KR102255807B1 -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807B1
KR102255807B1 KR1020190177377A KR20190177377A KR102255807B1 KR 102255807 B1 KR102255807 B1 KR 102255807B1 KR 1020190177377 A KR1020190177377 A KR 1020190177377A KR 20190177377 A KR20190177377 A KR 20190177377A KR 102255807 B1 KR102255807 B1 KR 102255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holder
handle
shot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김영무
Original Assignee
연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대상물에 투사하는 과정에서 튕겨져 나오는 쇼트에 의해 작업자가 손을 다치는 사고를 예방하고, 아울러 호스의 끝부분을 어깨에 메거나 걸고 작업하기 위한 어깨끈의 위치를 작업 상황 및 조건 등에 따라 간편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호스 중 노즐과 연결되는 앞쪽의 끝부분에 형성되고, 표면의 마찰저항을 증대시켜 잡기 쉽고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앞쪽 끝부분에 고정되고, 손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가공 대상물에 맞고 튕겨지는 쇼트로부터 손을 보호하는 보호캡 및 상기 손잡이의 뒤쪽에서 상기 호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위치 이동 및 상기 호스에 대해 특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호스를 어깨에 메거나 걸고 작업하기 위한 어깨끈이 달린 홀더를 포함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HOSE ASSEMBLY FOR SHOT BLAST}
본 발명은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 대상물에 투사하는 과정에서 튕겨져 나오는 쇼트(shot)에 의해 작업자가 손을 다치는 사고를 예방하고, 아울러 호스의 끝부분을 어깨에 메거나 걸고 작업하기 위한 어깨끈의 위치를 작업 상황 및 조건 등에 따라 간편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쇼트 블라스트(shot blast)는 스틸 그릿(steel grit)이나 모가 없는 경질 입자의 쇼트(shot)를 압축공기나 원심력, 기타의 방법으로 금속 등 가공 대상물의 표면에 세차게 부딪쳐서 스케일, 녹, 도막 등 부착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마무리 가공장치이다.
이러한 쇼트 블라스트는 작업 시 쇼트가 블라스트 장치에서 긴 호스를 타고 고속으로 이동하여 그 호스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노즐을 통해 분사, 즉 직진성 및 속도가 조절되는 특성상 작업자는 호스의 선단 부분을 잡고 가공 대상물의 표면을 향해 투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는 상당한 길이를 가지며 무게가 무거운 데다 내부에서 분사되는 강력한 압축공기와 쇼트 등의 반작용으로 인해 장시간 손으로 들고 있거나 끌고 다니기가 매우 힘이 들고 어려워서 작업 중 자칫 호스를 놓치기 쉽고, 이 경우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클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 과정에서 쇼트(shot)가 가공 대상물에 맞고 튕겨서 작업자의 손을 때리는 경우 작업자가 다치는 사고가 빈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노즐은 가공 대상물의 표면에 쇼트를 분사하기 편리하도록 직선 형태로 되어 있어 가공 대상물의 저면이나 내부 또는 좁은 공간의 구석, 각진 부분 등의 사각 지역에는 쇼트를 분사하기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허리를 구부리거나 호스를 꺾어서 작업해야 하고, 이 경우 고압의 압축공기와 쇼트가 흐르는 호스를 꺾는데 힘이 많이 들어 작업 강도가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2017-0072713 A(2017.06.27) KR 20-0472489 Y1(2014.04.24) KR 10-1625376 B1(2016.05.24) KR 10-1475269 B1(2014.12.16) KR 10-1023404 B1(2011.03.11) KR 10-1228062 B1(2013.01.24)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가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으로, 가공 대상물에 투사하는 쇼트(shot)가 가공 대상물에 맞고 튕겨져도 작업자가 손을 다치는 일이 없이 작업할 수 있고, 아울러 호스를 어깨에 메거나 걸고 작업하기 위한 어깨끈의 위치를 작업 상황 및 조건에 따라 간편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가공 대상물에 맞고 튕겨지는 쇼트에 의해 작업자가 손을 다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호스를 어깨에 메거나 걸기 위한 어깨끈의 위치를 작업 상황 및 조건에 따라 간편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호스 중 노즐과 연결되는 앞쪽의 끝부분에 형성되고, 표면의 마찰저항을 증대시켜 잡기 쉽고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앞쪽 끝부분에 고정되고, 손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가공 대상물에 맞고 튕겨지는 쇼트(shot)로부터 손을 보호하는 보호캡 및 상기 손잡이의 뒤쪽에서 상기 호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위치 이동 및 상기 호스에 대해 특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호스를 어깨에 메거나 걸고 작업하기 위한 어깨끈이 달린 홀더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작업 중 가공 대상물에 맞고 튕겨지는 쇼트에 의해 작업자가 손을 다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호스를 어깨에 메거나 걸고 작업하기 위한 어깨끈의 위치를 작업 상황 및 조건 등에 따라 간편하고 용이하게 변경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호스의 바깥쪽 둘레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정지홈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홀더에는 위치 이동 시 상기 정지홈들 중 어느 하나에 강구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리면서 상기 호스에 대해 상기 홀더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볼 플런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으로써 어깨끈의 위치를 더욱 간편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손잡이의 바깥쪽 둘레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실리콘 밴드를 감싸거나 요철 무늬를 넣어 더욱 안정적으로 잡고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보호캡은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는 탄성 소재로 하여 반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작업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홀더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호스의 바깥쪽 둘레와 밀착되어 상기 홀더와 상기 호스 사이의 틈을 막아주고 압력이 가해지면 변형되는 틈새막이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홀더와 상기 호스 사이의 틈으로 쇼트가 들어가 끼여서 홀더가 원활하게 움직이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은, 쇼트 블라스트 작업 중 손잡이에서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호스를 놓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가공 대상물에 맞고 튕겨지는 쇼트를 보호캡이 막아주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을 다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가 호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위치 이동 또는 특정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호스를 어깨에 메거나 걸고 작업하기 위한 어깨끈의 위치를 작업자의 자세나 신체 조건, 가공 대상물의 크기 또는 작업 상황 등에 따라 간편하고 용이하게 변경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틈새막이가 홀더와 호스 사이의 틈을 유연하게 차단하여 홀더와 호스 사이의 틈으로 쇼트가 들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므로 홀더가 이물질의 간섭 없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를 나타낸 국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를 나타낸 국부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 중 호스와 홀더를 나타낸 국부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 중 호스와 노즐을 나타낸 국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 중 호스와 홀더를 나타낸 국부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는 크게 호스(1), 노즐(2), 손잡이(10), 보호캡(20) 및 홀더(30)를 포함하고 있다.
호스(1)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에서 노즐(2)까지 압축공기와 쇼트를 전달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굴곡성이 있는 관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1) 중 손잡이(10) 뒤쪽의 바깥쪽 둘레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정지홈(32)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호스(1)는 유연하게 휘어지는 가요성 호스(flexible hos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2)은 쇼트 블라스트 장치에서 호스(1)를 통해 전달되는 압축공기와 쇼트를 고속으로 자유공간에 분출시키기 위해 호스(1)의 앞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노즐(2)은 압축공기와 쇼트가 고속으로 자유공간에 분출될 때 안쪽의 둘레면에 발생하는 마모 및 손상을 줄이는 텅스텐 카바이드, 보론 카바이드, 실리콘 카바이드 등의 내마모성 및 경도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노즐(2)은 호스(1)의 앞쪽 끝부분에는 커플링이나 조인트 또는 클램프 등으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노즐(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앞쪽 끝부분이 호스(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꺾인 형상으로 형성하고, 호스(1)의 선단 구멍에 압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쇼트의 분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즐(2)을 호스(1)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돌림으로써 가공 대상물의 저면이나 내부 또는 좁은 공간의 구석, 각진 부분 등의 사각 지역에도 쇼트를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 강도를 낮출 수 있다.
손잡이(10)는 표면의 마찰저항을 증대시켜 잡기 쉽고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호스(1)의 앞쪽 끝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손잡이(10)는 호스(1)의 앞쪽 끝부분 중 노즐(2)과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손잡이(10)의 바깥쪽 둘레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실리콘 밴드를 감싸거나 요철 무늬를 넣을 수 있다.
보호캡(20)은 가공 대상물에 맞고 튕겨지는 쇼트(shot)로부터 손잡이(10)를 잡고 있는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보호캡(20)은 손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잡이(10)의 앞쪽 끝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보호캡(20)은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는 탄성 소재로 하여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30)는 손잡이(10)의 뒤쪽에서 호스(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위치 이동 및 호스(1)에 대해 특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마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홀더(30)는 호스(1)에 고정된 위치를 작업자가 임의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홀더(30)의 한쪽에는 호스(1)의 앞쪽 끝부분을 어깨에 메거나 걸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어깨끈(31)이 달려 있다.
즉, 쇼트 블라스트 작업 시 어깨끈(31)을 이용하여 작업자는 호스(1)의 앞쪽 끝부분을 어깨 위에 걸거나 가슴에 비스듬히 가로질러 메고 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훨씬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홀더(30)에는 위치 이동 시 어느 하나의 정지홈(32)에 강구(34)가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리면서 호스(1)에 대해 홀더(30)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볼 플런저(33)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볼 플런저(33)는 일정 위치, 즉 호스(1)의 정지홈(32)에서 멈춤 작용을 일으키도록 원통형의 한 끝에 강구(34) 또는 핀이 매입되어 있고 원통 속에는 강구(34)를 지지하는 압축코일형 스프링(35)이 내장되어 있어 강구(34)에 외부 상대물로부터 힘이 작용하면 원통 속으로 들어갔다가 압축코일형 스프링(35)의 탄성에 의해 원래대로 복귀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10)와 정지홈(32)은 호스(1)의 바깥쪽 둘레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호스에 각각 형성 및 가공하여 호스(1)의 앞쪽 끝부분에 커플링이나 조인트 또는 클램프 등으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의 주요 작용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잡이(10)가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쇼트 블라스트 작업 중 손잡이(10)에서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호스(1)를 놓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쇼트가 가공 대상물에 맞고 손잡이(10)를 향해 튕겨져 나와도 이를 보호캡(20)이 확실하게 막아주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을 다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아울러 어깨끈(31)이 달린 홀더(30)가 호스(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위치 이동 또는 특정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호스(1)의 앞쪽 끝부분을 어깨에 메거나 걸고 작업할 때 작업자의 자세나 신체 조건, 가공 대상물의 크기 또는 작업 상황 등에 따라 위치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하여 변경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어깨끈(31)을 이용하여 호스(1)의 앞쪽 끝부분을 어깨에 메거나 걸 때 정지홈(32)과 볼 플런저(33)의 작용에 의해 홀더(30)가 호스(1)에 대해 단계적으로 위치 이동하거나 특정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홀더(30)가 호스(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려면 볼 플런저(33)의 강구(34)가 정지홈(32)에서 빠져나와 넘어서고 스프링(35)의 미는 힘을 이겨내는 일정 이상의 힘이 전해져야 하므로, 작업자가 강제로 홀더(30)를 잡고 당기거나 밀지 않는 한 강구(34)와 정지홈(32)의 마찰간섭 작용으로 인해 움직임 없이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볼 플런저(33)의 강구(34)와 정지홈(32) 상호 간의 단속적인 간섭 작용에 의해 홀더(30)가 호스(1)를 따라 이동 시마다 정지하는 클릭(click) 감을 느낄 수 있어 홀더(30)가 어깨끈(31) 등을 강하게 잡아당기는 외력에 의해 한꺼번에 너무 많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홀더(30)의 개구부 가장자리에는 호스(1)의 바깥쪽 둘레와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호스(1)와 사이의 틈을 막아주고 압력이 가해지면 변형되는 틈새막이(36)를 장착할 수 있다.
즉, 틈새막이(36)는 호스(1)의 바깥쪽 둘레와 선접촉되어 홀더(30)와 호스(1) 사이의 틈을 차단하므로 그 틈을 통해 쇼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홀더(30)가 호스(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움직이지 않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틈새막이(36)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탄성중합체, 실리콘, 바이톤(Viton), 피혁 등 내열성, 내마모성, 내부식성, 저마찰성 등과 같은 물리적,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 호스 2: 노즐
10: 손잡이 20: 보호캡
30: 홀더 31: 어깨끈
32: 정지홈 33: 볼 플런저
34: 강구 35: 스프링
36: 틈새막이

Claims (5)

  1. 바깥쪽 둘레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정지홈(32)이 다수 형성된 호스(1);
    상기 호스(1) 중 노즐(2)과 연결되는 앞쪽의 끝부분에 형성되고, 표면의 마찰저항을 증대시켜 잡기 쉽고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손잡이(10);
    상기 손잡이(10)의 앞쪽 끝부분에 고정되고, 가공 대상물에 맞고 튕겨지는 쇼트(shot)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감싸서 보호하기 위하여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는 탄성 소재로 하여 반구형으로 형성된 보호캡(20);
    상기 손잡이(10)의 뒤쪽에서 상기 호스(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위치 이동 및 상기 호스(1)에 대해 특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중공관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지홈(32)들 중 어느 하나에 강구(34)가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볼 플런저(33)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된 홀더(30);
    상기 호스(1)를 작업자가 어깨에 메거나 걸고 작업하기 위해 상기 홀더(30)에 달린 어깨끈(31); 및
    상기 홀더(30)의 양쪽 개구부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상기 호스(1)의 바깥쪽 둘레에 탄성에 의해 밀착 및 상기 호스(1)에 대하여 상기 홀더(30)의 위치 이동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되어 상기 홀더(30)와 상기 호스(1) 사이의 틈을 막아주는 틈새막이(36);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의 바깥쪽 둘레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실리콘 밴드를 감싸거나 요철 무늬를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KR1020190177377A 2019-12-30 2019-12-30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 KR102255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377A KR102255807B1 (ko) 2019-12-30 2019-12-30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377A KR102255807B1 (ko) 2019-12-30 2019-12-30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807B1 true KR102255807B1 (ko) 2021-05-26

Family

ID=7613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377A KR102255807B1 (ko) 2019-12-30 2019-12-30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80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91Y1 (ko) * 2007-04-20 2007-12-07 정석종 호스 고정용 벨트
KR101023404B1 (ko) 2010-07-27 2011-03-24 씨엠텍 주식회사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
KR101228062B1 (ko) 2010-09-09 2013-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노즐
KR101368340B1 (ko) * 2012-06-05 2014-02-28 진연창 최루가스분사 진압봉
KR200472489Y1 (ko) 2012-07-27 2014-05-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노즐 안전장치
KR101475269B1 (ko) 2013-09-26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호스 이탈 감지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625376B1 (ko) 2014-06-10 2016-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장치
KR20170072713A (ko) 2015-12-17 2017-06-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균일 품질 유지를 위한 블라스팅용 가이드 장치
JP6384917B2 (ja) * 2014-10-08 2018-09-05 学校法人立命館 消火用ノズル
CN208686031U (zh) * 2018-09-05 2019-04-02 长兴欧立亚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机械化施工的改进型砂浆喷涂机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91Y1 (ko) * 2007-04-20 2007-12-07 정석종 호스 고정용 벨트
KR101023404B1 (ko) 2010-07-27 2011-03-24 씨엠텍 주식회사 쇼트볼 블라스터의 블라스트호스 터짐 감지장치
KR101228062B1 (ko) 2010-09-09 2013-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노즐
KR101368340B1 (ko) * 2012-06-05 2014-02-28 진연창 최루가스분사 진압봉
KR200472489Y1 (ko) 2012-07-27 2014-05-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노즐 안전장치
KR101475269B1 (ko) 2013-09-26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호스 이탈 감지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625376B1 (ko) 2014-06-10 2016-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장치
JP6384917B2 (ja) * 2014-10-08 2018-09-05 学校法人立命館 消火用ノズル
KR20170072713A (ko) 2015-12-17 2017-06-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균일 품질 유지를 위한 블라스팅용 가이드 장치
CN208686031U (zh) * 2018-09-05 2019-04-02 长兴欧立亚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机械化施工的改进型砂浆喷涂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9265B2 (en) Visor and combination thereof with a protective helmet
CN107278127B (zh) 用于减小与防护头具相关联的防护壳体的角速度的装置
KR102255807B1 (ko) 쇼트 블라스트용 호스 어셈블리
US20090284032A1 (en) Hose Manipulator
JP4427033B2 (ja) 回転波動ノズル
US11313641B2 (en) Bowfishing arrow slide
US20030024535A1 (en) Thumb protector and method therefor
KR101228062B1 (ko) 블라스팅 노즐
US10661429B2 (en) Pneumatic tool with adjustable exhaust direction
US20100077912A1 (en) Fighting Shield
US10492558B2 (en) Protective glasses for fitting on a protective helmet, and protective helmet provided with the protective glasses
US5946733A (en) Belt supported holder for construction workers' safety gloves
US4575142A (en) Safety grip handle for a hose
KR20180128762A (ko) 작업용 장갑
US11053751B2 (en) Cable protecting device
SE441344B (sv) Reglerorgan for forinstellning av verktygets vinkellege under drift for en med slagverkan arbetande maskin
KR20130049872A (ko) 손가락 보호용 안전장갑
US2692712A (en) Hose supporting device
EP3781268B1 (en) Polarized deceleration brake for self retracting device
KR102535317B1 (ko) 안면 보호 장치
WO2019215382A1 (en) Handle for welding torch and welding torch
KR101879793B1 (ko) 피팅 지지구를 갖는 에어 자켓
CN108955374A (zh) 警用防抢催泪式多功能超长棍
KR101490037B1 (ko) 목 보호기능을 가진 해머
KR102141960B1 (ko) 볼링용 커핑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