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963B1 -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 Google Patents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963B1
KR101022963B1 KR1020080128675A KR20080128675A KR101022963B1 KR 101022963 B1 KR101022963 B1 KR 101022963B1 KR 1020080128675 A KR1020080128675 A KR 1020080128675A KR 20080128675 A KR20080128675 A KR 20080128675A KR 101022963 B1 KR101022963 B1 KR 101022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hotosensitive resin
cleaning
substrate
press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078A (ko
Inventor
황세현
김광석
김대중
김용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8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96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7Auxiliary operations or devices
    • B29C66/876Maintenance or cleaning

Abstract

본 발명은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감광성 수지가 라미네이팅된 기판을 이송하는 기판 이송부, 상하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기판 이송부로부터 전달되어 그 사이를 통해 지나가는 상기 기판 및 상기 감광성 수지를 압착하는 압착 롤러, 및 상기 압착 롤러를 자동으로 세정하기 위한 클리닝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감광성 수지, 압착 롤러, 클리닝 롤러, 세정

Description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AN APPARATUS FOR LAMINATING PHOTOSENSITIVE RESIN POSSIBLE AUTO CLEANING OF PRESSURE ROLLER}
본 발명은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소자 및 평판 디스플레이소자 등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은 레지스트 코팅, 노광, 현상 및 식각과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진행되는 포토리소그래피공정을 통해 제작된다.
레지스트의 코팅은 일반적으로 사진기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사진기법은 액상상태의 용액을 사용하는 잉크방법과, 감광물체를 피압착재(패턴 형성을 위해 준비된 기판) 표면에 얇게 도포하는 드라이 필름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잉크방법은 고밀도 회로의 공정에서 필름 소재의 표면이 거칠거나 홈 또는 스크래치등이 있어도 용액이 완전히 도포되는 점에서 장점이 있으나, 액상의 솔벤트를 사용하므로 작업자의 건강에 영향을 주며 인위적인 관통홀(through hole)이 있으면 사용이 불가능하며, 불균일하게 도포되는 두께로 인하여 노광시 불량 가능 성이 크고 도포 후에 장시간 동안 건조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드라이 필름방법은 액상타입의 감광제와는 달리 도포 후, 건조공정이 없이도 사용가능하며, 두께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통홀이 있는 경우에도 라미네이팅이 가능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드라이 필름방법에서 드라이 필름은 일반적으로 공급롤러에 의해 드라이 필름을 공급하여 기판에 도포한 상태에서 압착 롤러에 압착하는 롤링 작업을 수행하는 라미네이팅 장치에 의해 기판에 부착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의 압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압착부는 압착 롤러(20)로 구성되며, 압착 롤러(20)는 측면 플레이트(30)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로 배치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압착 롤러(20)는 기판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드라이 필름(R) 및 기판(P)과 직접 접촉하여 드라이 필름 전체 표면에 걸쳐 고른 가압력을 전달하여 기판(P)에 드라이 필름(R)을 부착시키게 된다.
이때, 압착 롤러(20)에 이물이 묻은 경우 드라이 필름(R) 및 기판(P)의 압착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이물을 제거하는 세정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 라미네이터 장치를 정지한 상태에서 무진천과 알코올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세정작업을 실시하였는데, 이 경우 압착 롤러(20)의 고온에 의해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문제가 발생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터 장치의 정지에 따라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라미네이팅 장치에는 드라이 필름(R)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부가 구비되는데 작업자가 직접 세정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커팅부에 의해 손상을 당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리닝 롤러를 압착부에 설치하여 자동으로 압착 롤러의 세정작업을 수행하여 작업 능률을 증대시키고 작업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는, 감광성 수지가 라미네이팅된 기판을 이송하는 기판 이송부(100), 상하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기판 이송부로부터 전달되어 그 사이를 통해 지나가는 상기 기판 및 상기 감광성 수지를 압착하는 압착 롤러, 및 상기 압착 롤러를 자동으로 세정하기 위한 클리닝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착 롤러는, 상기 기판 및 상기 감광성 수지를 열압착하도록 내부에 히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 내부에 히터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압착 롤러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압착 롤러에 열을 공급하는 백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 롤러는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점착성 롤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 롤러는 구동부에 의해 상/하 이동하여 상기 압착 롤러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 롤러의 양측에는 측면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내벽에는 상기 클리닝 롤러를 가이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 롤러의 양 측면에는 상기 클리닝 롤러와 연결되는 하우징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클리닝 롤러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 롤러는 상기 압착 롤러의 세정 작업시 상기 압착 롤러에 접촉되도록 이동하며, 상기 압착 롤러가 상기 기판 및 상기 감광성 수지를 압착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압착 롤러와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자동으로 구동되는 클리닝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 롤러를 세정함으로써 라미네이팅 장치를 정지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손수 세정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세정작업시 작업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착 롤러의 자동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100)는, 감광성 수지가 라미네이팅된 기판을 이송하는 기판 이송부(100), 및 기판(P)에 라미네이팅된 감광성 수지(R)를 압착하는 압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판 이송부(100)는 감광성 수지(R)가 라미네이팅된 기판(P)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롤러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기판(P)의 더미 영역과 접촉하여 그 접촉 마찰에 의해 기판을 이송시킨다.
이때, 기판 이송부(100)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P)은 감광성 수지(R)가 라미네이팅 되기 전에 감광성 수지(R)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정온도 수준으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예비 가열부(1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비 가열부(120) 내부에는 기판(P)을 가열하기 위해 열풍을 방출하는 건조부(미도시)가 구비된다.
한편, 감광성 수지(R)는 감광성 수지 공급부(200)에 의해 기판(P)에 라미네이팅 된다. 여기서, 감광성 수지 공급부(200)는 감광성 수지 공급 롤러부(220), 가이드 롤러(240), 및 흡착기(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2에는 감광성 수지 공급부(200)가 기판(P)의 일면에 감광성 수지(R)를 도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하 대칭되게 구비되어 기판(P)의 양면에 감광성 수지(R)를 도포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감광성 수지 공급 롤러부(220)는 감광성 수지(R)가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로 감광성 수지(R)를 공급하는 공급롤러(220a)와 이 공급롤러(220a)와 접촉하여 감광 성 수지(R)를 가이딩하는 공급 가이딩롤러(220b)로 구성된다. 이때, 사용되는 감광성 수지(R)는 예를 들어, 드라이 필름(Dry film; DF)이다.
가이드 롤러(240)는 감광성 수지 공급 롤러부(220)로부터 전달되는 감광성 수지(R)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감광성 수지(R)가 일정한 텐션(tension)을 유지한 채로 최종적으로 기판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흡착기(260)는 가이드 롤러(240)로부터 전달되는 감광성 수지(R)를 흡착한 상태로 기판(110)으로 가이딩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흡착기(150)는 감광성 수지(R)를 흡착한 상태로 그 하부를 통과하는 기판(P) 상에 감광성 수지(R)를 도포하는 것을 돕는다.
흡착기(150)의 하단에는 기판(P)의 길이에 맞춰 감광성 수지(R)를 절단하는 커팅부(262)가 설치된다. 여기서, 커팅부(262)는 절단모드와 준비모드로 작동된다. 즉, 감광성 수지(R)가 기판(P)에 도포될 때 준비모드에 있다가, 기판(P)의 길이에 맞춰 감광성 수지(R)가 도포되었을 때 절단모드로 전환되어 공급되던 감광성 수지(R)를 절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커팅부(262)에는 감광성 수지(R)의 위치 및 공급되는 길이를 측정하는 센서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센서부가 감광성 수지가 기판(P)에 도포되고 있는지 여부, 기판(P)에 도포된 감광성 수지(R)의 길이를 측정하여 커팅부(262)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센서부는 감광성 수지(R)가 커팅부(262)까지 공급되었는지를 감지하여 감광성 수지 공급 롤러부(220)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감광성 수지(R)는 그 상부에 커버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공급되게 되는데, 기판에는 커버필름이 제거된 상태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흡착기(260)로부터 가이딩되는 감광성 수지(R)는 커버필름이 제거된 상태로 기판(P)에 도포될 수 있도록 커버필름 박리용 롤러(28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필름 박리용 롤러(280)는 흡착기(260)의 측면에 배치된 다수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압착부(300)는 기판(P)에 라미네이팅된 감광성 수지(R)를 압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기판 이송부(100)로부터 전달되어 그 사이를 통해 지나가는 기판(P) 및 감광성 수지(R)를 압착하는 압착 롤러(320)와 상기 압착 롤러(320)를 세정하기 위한 클리닝 롤러(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압착 롤러(320)는 압착성능의 향상을 위해 열압착이 가능하도록 그 내부에 히터를 구비하거나, 내부에 히터를 구비한 백업롤러(미도시)가 압착 롤러(320)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착 롤러(320)는 감광성 수지(R)가 도포된 기판(P)의 상면을 압착하는 상부 압착 롤러(320a) 및 하면을 압착하는 하부 압착 롤러(320b)로 구성된다.
클리닝 롤러(340)는 압착 롤러(3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작업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압착 롤러(320)와 접촉 또는 이격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클리닝 롤러(340)는 세장작업조건 하에서 압착 롤러(320)와 접촉하도록 이동하며, 압착공정 하에서 압착 롤러(320)와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클리닝 롤러(340)의 작동상태는 도 3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클리닝 롤러(340)는 상부 압착 롤러(320a)를 세정하기 위한 상부 클리닝 롤러(340a) 및 하부 압착 롤러(320b)를 세정하기 위한 하부 클리닝 롤러(340b)로 구성된다.
또한, 클리닝 롤러(340)는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점착성 롤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착부의 상세도로서, 압착부(300)를 구성하는 압착 롤러(320) 및 클리닝 롤러(340)의 조립상태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하, 이를 참고하여, 압착부(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부(300)는 압착 롤러(320)와 클리닝 롤러(340)로 구성되며, 압착 롤러(320)와 클리닝 롤러(340)는 양측에 배치된 측면 플레이트(36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측면 플레이트(360)에는 압착 롤러(320)를 지지하기 위한 홈부(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고, 그 내벽에는 클리닝 롤러(340)를 가이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362)이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 레일(362)은 상부 클리닝 롤러(340a)를 가이딩 하기 위한 상부 가이드 레일(362a) 및 하부 클리닝 롤러(340b)를 가이딩 하기 위한 하부 가이드 레일(362b)로 구성된다.
클리닝 롤러(340)는 양 측면에 클리닝 롤러(340)와 연결되는 하우징부(342) 를 구비하며, 하우징부(342)는 측면 플레이트(360)의 내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6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하우징부(342)는 상부 클리닝 롤러(340a)에 연결된 상부 하우징부(342a) 및 하부 클리닝 롤러(340b)에 연결된 하부 하우징부(342b)로 구성되며, 구동부(380)에 의해 가이드 레일(362)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게 된다.
구동부(380)는 작업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클리닝 롤러(340)를 상/하로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클리닝 롤러(340)와 연결된 하우징부(342)에 설치되어 클리닝 롤러(34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구동부(380)는 공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구동부(380)가 상부 하우징부(342a)에만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서이며 하부 하우징부(342b)에도 당연히 연결되어 있다 할 것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롤러의 구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는 세정작업시 클리닝 롤러(340)가 압착 롤러(320)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압착작업시 클리닝 롤러(340)가 압착 롤러(320)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세정작업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롤러(340)는 구동부(380)에 의해 가이드 레일(362)을 따라 하부로 슬라이딩하여 압착 롤러(320)와 접촉되어 압착 롤러(320)에 묻은 이물을 제거하게 된다.
압착작업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롤러(340)는 구동부(380)에 의해 가이드 레일(362)을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하여 압착 롤러(320)와 이격되고, 압착 롤러(320)는 그 사이를 통과하는 기판(P) 및 감광성 수지(R)를 압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를 작동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감광성 수지 공급 롤러부(220)를 구동하여 감광성 수지(R)를 인출하고, 가이드 롤러(240)에 의해 가이딩 한다.
다음, 흡착기(260)가 기판 이송부(100)로부터 전달되는 기판(P) 상에 감광성 수지(R)를 가이딩하여 도포하고, 상하로 맞물려 회전하는 압착 롤러(320)에 의해 기판(P) 및 감광성 수지(R)를 압착하여 기판(P)에 감광성 수지(R)를 코팅한 후, 기판 이송부(100)에 의해 이송되는 다른 기판(P) 및 감광성 수지(R)의 압착작업을 계속 수행한다.
이때, 클리닝 롤러(340)는 압착 롤러(32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기판(P)의 길이에 맞춰 감광성 수지(R)가 도포됐는지를 센서부가 감지하여 커팅부(262)를 제어하여 적정 길이에 맞춰 감광성 수지(R)를 절단하게 되며, 커버필름 박리용 롤러(280)는 감광성 수지(R)의 커버필름을 제거하여 기판(P)에 커버필름이 제거된 감광성 수지(R)가 도포되도록 한다.
다음, 클리닝 롤러(340)가 구동부(380)에 의해 압착 롤러(320)와 접촉하도록 이동하여 압착 롤러(320)의 세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세정작업은 압착 롤러(320)에 기판(P)이 없는 상태로서, 소정 횟수의 압착작업이 진행된 후에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세정작업은 라미네이팅 장치를 중단할 필요 없이 다음 기판(P) 및 감광성 수지(R)가 압착 롤러(320)에 도달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클리닝 롤러(340)가 구동부에 의해 압착 롤러(320)와 이격되도록 이동되며, 압착 롤러(320)는 기판 이송부(100)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P) 및 감광성 수지(R)의 압착작업을 다시 수행한다. 이와 같은 작업 공정이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압착작업 및 세정작업이 자동적으로 번갈아 가면서 진행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의 압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착 롤러의 자동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착부의 상세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롤러의 구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기판 이송부 120 : 예비 가열부
200 : 감광성 수지 공급부 220 : 감광성 수지 공급롤러부
240 : 가이드 롤러 260 : 흡착기
262 : 커팅부 280 : 커버필름 박리용 롤러
300 : 압착부 320 : 압착 롤러
340 : 클리닝 롤러 342 : 하우징부
360 : 측면 플레이트 362 : 가이드 레일
380 : 구동부

Claims (10)

  1. 감광성 수지가 라미네이팅된 기판을 이송하는 기판 이송부;
    상하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기판 이송부로부터 전달되어 그 사이를 통해 지나가는 상기 기판 및 상기 감광성 수지를 압착하는 압착 롤러; 및
    상기 압착 롤러를 자동으로 세정하기 위한 클리닝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롤러는 구동부에 의해 상/하 이동하여 상기 압착 롤러와 접촉 또는 이격되며, 상기 클리닝 롤러의 양측에는 측면 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내벽에는 상기 클리닝 롤러를 가이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롤러는,
    상기 기판 및 상기 감광성 수지를 열압착하도록 내부에 히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그 내부에 히터를 구비한 상태로, 상기 압착 롤러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압착 롤러에 열을 공급하는 백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는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점착성 롤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의 양 측면에는 상기 클리닝 롤러와 연결되는 하우징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클리닝 롤러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롤러는 상기 압착 롤러의 세정 작업시 상기 압착 롤러에 접촉되도록 이동하며, 상기 압착 롤러가 상기 기판 및 상기 감광성 수지를 압착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압착 롤러와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KR1020080128675A 2008-12-17 2008-12-17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KR101022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675A KR101022963B1 (ko) 2008-12-17 2008-12-17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675A KR101022963B1 (ko) 2008-12-17 2008-12-17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078A KR20100070078A (ko) 2010-06-25
KR101022963B1 true KR101022963B1 (ko) 2011-03-16

Family

ID=4236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675A KR101022963B1 (ko) 2008-12-17 2008-12-17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636B1 (ko) * 2013-07-08 2014-07-04 주식회사 리텍 습식 시트 투 롤 라미네이터용 클리너 장치
KR101500476B1 (ko) * 2014-04-14 2015-03-09 주식회사 지유전자 라미네이터
KR102504532B1 (ko) 2021-04-09 2023-03-02 주식회사 디에이피 핫롤러버
CN117732882B (zh) * 2024-02-07 2024-04-19 丽岛新能源(安徽)有限公司 一种铝箔压延机轧辊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8624A (ja) * 1986-05-17 1987-11-21 Canon Inc ラミネ−タ
JPH0615655A (ja) * 1992-07-01 1994-01-25 Nikkiso Co Ltd 加熱ロール清掃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8624A (ja) * 1986-05-17 1987-11-21 Canon Inc ラミネ−タ
JPH0615655A (ja) * 1992-07-01 1994-01-25 Nikkiso Co Ltd 加熱ロール清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078A (ko) 201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963B1 (ko) 압착 롤러의 자동 세정이 가능한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US7850800B2 (en) Bonding sheet applying apparatus and method
TWI702993B (zh) 擦拭系統
JP2011189668A (ja) マスククリーニング装置、スクリーン印刷機、マスク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20170082979A (ko) 박리 장치
JP2011189669A (ja) ペーパー部材進行量検出装置、スクリーン印刷機、ペーパー部材進行量検出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100986020B1 (ko) 자동으로 감광성 수지를 교체할 수 있는 감광성 수지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JP2002036272A (ja) 積層方法
JP6968750B2 (ja) マスク清掃装置、印刷機、マスク清掃方法
KR101332987B1 (ko) 보호필름 압착용 라미네이터
JP2002131764A (ja) 液晶表示素子セルの封孔方法及び封孔装置
KR101148113B1 (ko) 스티프너 필름 부착장치
JP2015013272A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2007073897A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2010017634A (ja) 基板の清掃装置及び清掃方法
JP2002246422A (ja) 電子部品圧着装置および電子部品圧着方法
JP2010241565A (ja) 粘着テープの貼着装置及び貼着方法
JP3477601B2 (ja) 偏光板張り付け装置及びその張り付け方法
JP4992362B2 (ja) フィルム剥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11911804B2 (en) Transfer substrate recycling apparatus and transfer substrate recycling method
TWI601463B (zh) 圖案形成方法、圖案印刷方法、圖案形成系統以及圖案印刷系統
TWM465662U (zh) 泛用型活動式隔熱輔助裝置
JPH05162205A (ja) フィルム張付装置
JP5587717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WO2007148370A1 (ja) スクリーン連続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