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122B1 -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보수방법 - Google Patents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122B1
KR101021122B1 KR20100096225A KR20100096225A KR101021122B1 KR 101021122 B1 KR101021122 B1 KR 101021122B1 KR 20100096225 A KR20100096225 A KR 20100096225A KR 20100096225 A KR20100096225 A KR 20100096225A KR 101021122 B1 KR101021122 B1 KR 10102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ascon
waste ascon
melte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96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통신
Priority to KR20100096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6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axis
    • B28C5/161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axis in containers tiltable for emptying in containers with inclined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6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during mixing; 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during mixing, e.g. by introducing vapou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특정부분 혹은 맨홀 주변이 침하되거나 파손되어 부분적인 재시공이 요구될 경우, 재시공시 발생하는 폐아스콘을 재활용하기 위한 기계장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장치하여 폐아스콘의 재활용수단이 간단하게 할 뿐 아니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재시공시간을 단축, 교통통제에 따른 교통체증 및 민원발생을 줄이고, 또한 폐아스콘의 폐기처분에 따른 2차적인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폐아스콘 재생장치를 구성하되,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이중용탕기를 구성하고, 상기 이중용탕기 내에는 회전축봉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날개와, 별도의 제어편을 구성하고, 상기 이중용탕기는 핸들의 조작에 의해 경사지게 구성한 것으로, 도로재시공시 발생된 폐아스콘을 파쇄시킨 다음 이중용탕기에 소량의 콜탈과 함께 투입, 교반, 가열하여 딱딱한 폐아스콘이 고열에 와해되어 점성의 재생아스콘으로 변환하게 하고, 상기 재생아스콘을 이용하여 도로의 재시공에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보수방법{WASTE-ASCON REGENERATION APPARATUS AND ROAD REPAIR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폐아스콘(아스팔트)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로의 특정부분, 혹은 맨홀 주변이 침하되거나 파손되어 부분적인 재시공이 요구될 경우, 도로의 재시공을 신속용이하고 견고하게 함으로서 교통체증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되, 재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아스콘을 간단한 구성으로 된 폐아스콘 재생장치를 통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하여 2차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시공한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행하는 자동차의 하중이나 지반침하 및 노후화됨에 따라 도로 및 맨홀 주변의 부분적인 침하와 함께 파손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 도로의 부분적인 보수공사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보수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통을 통제시킨 다음 도로 주변에 침하되고, 파손된 부분을 절단기로 부분절개시킨 다음 파손된 아스콘을 분리시키고, 상기 절개부에 충진물을 채워넣게 되며, 이때 사용되는 충진물의 소재로서는 규사, 혹은 소량씩 포장된 아스콘을 사용하거나, 아스콘공장에서 직접, 구매운송하여 사용하는 방법들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절개부에 채워지는 충진물로서 규사와 시멘트몰탈 및 양생제를 혼합사용할 경우에는 이들의 양생에 약3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교통체증이 심할 뿐 아니라, 기존에 설치된 아스콘과 색상에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도시미관상 바람직하지 않는 것이었다.
또한 절개부에 채워지는 충진물로서 소량씩 포장되어 임시복구용으로 사용되는 아스콘을 사용할 경우에는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견고한 시공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아스콘 생산공장에서 직접 구매하여 시공할 경우에는 견고한 시공을 기대할 수 있겠으나, 아스콘을 시공하여야 하는 절개부의 면적이 좁기 때문에 필요한 아스콘의 량이 극히 소량이므로, 경비낭비와 시공후 남는 아스콘을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로의 부분적인 보수공사시 시공현장에서 발생한 폐아스콘을 재활용하는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으나, 폐아스콘 재생을 위한 장치들이 복잡할 뿐 아니라, 장치가 대형이어서 고가이고, 또한 폐아스콘을 가열용융시켜 재활용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폐아스콘에 함유된 성분이 아닌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야 함으로 이질감이 있는 등의 폐단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도로의 특정부분 혹은 맨홀 주변이 침하되거나 파손되어 부분적인 재시공이 요구될 경우, 재시공시 발생하는 폐아스콘을 재활용하기 위한 기계장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장치하여 폐아스콘의 재활용수단이 간단하게 할 뿐 아니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재시공시간을 단축, 교통통제에 따른 교통체증 및 민원발생을 줄이고, 또한 폐아스콘의 폐기처분에 따른 2차적인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폐아스콘 재생장치를 구성하되, 버너에 의해 가열되는 이중용탕기를 구성하고, 상기 이중용탕기 내에는 회전축봉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날개와, 별도의 제어편을 구성하고, 상기 이중용탕기는 핸들의 조작에 의해 경사지게 구성한 것으로, 도로재시공시 발생된 폐아스콘을 파쇄시킨 다음 이중용탕기에 소량의 콜탈과 함께 투입, 교반, 가열하여 딱딱한 폐아스콘이 고열에 와해되어 점성의 재생아스콘으로 변환하게 하고, 상기 재생아스콘을 이용하여 도로의 재시공에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특정부분, 혹은 맨홀 주변이 침하되거나 파손되어 부분적인 재시공이 요구될 경우, 재시공시 발생하는 폐아스콘을 재활용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재활용가능케 함으로서, 도로의 부분적인 재시공시간을 단축, 교통통제에 따른 교통체증을 줄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폐아스콘의 폐기처분에 따른 2차적인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장치의 정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 장치의 배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 장치의 측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 장치의 평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 장치에 구성된 이중용탕기의 구조
도 7 : 본 발명 장치에 구성된 이중용탕기의 단면구조
도 8 : 본 발명 장치에 구성된 이중용탕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도 9 : 본 발명 장치에서 이중용탕기의 또다른 회전장치 예시도
도 10 : 도 9의 측면구성도
도 11 : 도 10의 상태에서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이중용탕기가 경사진 상태도
도 12 : 본 발명 장치에 구성된 동력전달 클러치 부분의 사시도
도 13 : 본 발명 장치 전면에 분쇄기가 설치된 상태도
도 14 : 도 13의 측면구성도
도 15 : 도로에 시공된 아스콘에 크랙이 발생한 상태도
도 16 : 도 15에서 크랙이 발생한 도로의 폐아스콘을 절개하여 분리시킨 상태도
도 17 : 도 16의 상태에서 절개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도
도 18 : 도 17의 상태에서 절개부에 재생아스콘을 시공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10)의 상세구성도로서, 받침프레임(20) 양측에 지지프레임(21)을 수직으로 고정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1) 상에 이중용탕기(30) 양측에 일체형으로 용접구성된 지지봉(31)을 브라켓(32)으로 고정설치하여 이중용탕기(30)가 지지프레임(21) 상에서 지지봉(31)을 축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한다.
상기 이중용탕기(30)는 회전장치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구성하여 이중용탕기(30) 내에 채워진 재생아스콘(83)이 쏟아질 수 있게 구성하며, 상기 회전장치는 수동식과 자동유압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수동식 회전장치를 설명한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일측 지지봉(31) 단부에 워엄휠(33)을 고정설치한 다음 지지프레임(21) 측부에 고정설치된 회전축봉(34)의 워엄(35)과 치차결합되게 하고, 상기 회전축봉(34) 단부에는 핸들(36)을 설치하여 핸들(36)을 회전시키면 회전축봉(34)과 워엄(35)이 회전하면서 워엄휠(33)이 회전되게 하고, 상기 워엄휠(33)이 회전하면 지지봉(31)이 도 8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중용탕기(30)가 회전하면서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서, 이중용탕기(30)에 채워진 재생아스콘(83)이 쏟아지게 한다.
지지봉(31) 측부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스토퍼(37)를 고정설치하여 지지프레임(21) 일측에 고정설치된 걸림편(22)과 접하게 하여 이중용탕기(30)의 역회전이 제어되게 하고, 지지프레임(21) 전면에는 홀더(23)를 고정설치하고, 홀더(23)에는 잠금편(24)을 좌우이동가능케 결합하되, 상기 잠금편(24)이 회전축봉(34)에 구성된 절삭면(38)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되게 함으로서 회전축봉(34)의 공회전을 방지케 한다.
자동유압식 회전장치를 설명한다.
즉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일측 지지봉(31) 단부에 연결간(90)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연결간(90)에 유압실린더(91)의 축봉(92) 단부에 구성된 연결편(93)을 연결하여 유압실린더(91)의 작동에 의해 지지봉(31)이 회전되게 함으로서 이중용탕기(30)가 회전하면서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이중용탕기(30)에 채워진 재생아스콘(83)이 쏟아지게 하는 것이며, 상기 유압실린더(91)는 브라켓(94)을 통하여 지지프레임(21) 일측에 고정설치되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21) 상에 수동 및 자동회전장치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되는 이중용탕기(3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도 7은 이중용탕기(30)를 절단한 단면구성도로서 외부용기(30-1)와 내부용기(30-2)로 구성되며, 그 사이에 공간부(30-3)가 구성되고, 외부용기(30-1) 일측에는 관통공(30-4)이 뚫린 구성으로서 하단에 구성된 버너(12)를 통하여 이중용탕기(30)를 가열시키면 외부용기(30-1)가 가열되면서 내부용기(30-2)가 간접가열되고, 관통공(30-4)을 통하여 공간부(30-3) 내의 공기가 소통이 자유롭게 되므로 공기팽창에 따른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중용탕기(30) 양측부에는 별도의 고정편(40)을 용접구성하고, 상기 고정편(40) 상에 연결간(41)을 용접구성하고, 연결간(41) 상면 중앙부에는 지지체(42)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지지체(42) 상에 교반날개(43)가 형성된 회전축봉(44)을 설치하고, 회전축봉(44) 상에는 피동스파이럴기어(46)을 설치하고, 피동스파이럴기어(46)는 구동스파이럴기어(47)와 치차결합되게 하고, 상기 구동스파이럴기어(47)는 구동축봉(48)에 축결합되게 한다.
연결간(41) 중앙 저면에는 제어편(49)을 결합하여 제어편(49)의 하단부가 교반날개(43) 직상부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 구동축봉(48) 단부에는 제6풀리(P6)를 설치하고, 상기 제6풀리(P6)는 벨트(V)를 통하여 제5풀리(P5)와 연결되게 하고, 제5풀리(P5)는 동축으로 연결된 제4풀리(P4)에 의해 구동되게 하고, 상기 제4풀리(P4)는 또다른 축봉(52)에 굴대설치된 제3풀리(P3)와 벨트(V)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제3풀리(P3)는 클러치핸들(51)에 의해 작동하는 클러치(50)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 혹은 차단되는 제2풀리(P2)에 의해 구동되게 하고, 제2풀리(P2)는 벨트(V)를 통하여 제1풀리(P1)와 연결되게 하고, 제1풀리(P1)는 발전기의 구동모터(M1)에 의해 구동되게 한다.
본 발명의 폐아스콘 재생장치(10)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 13에서와 같이 이중용탕기(30) 전면 받침프레임(20) 상에 호퍼(71)와 분쇄롤러(72)로 구성된 통상의 분쇄기(70)를 설치하여 공사현장에서 수집된 폐아스콘(80)을 간편하게 분쇄할 수도 있다.
폐아스콘 재생장치(10)를 이용한 도로보수작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5에서와 같이 도로 상에 크랙(82)이 발생하거나 침하된 부분에는 재시공이 요구되며, 이때 재시공이 요구되는 부분을 커팅기를 이용하여 절개하여 절개부(84)가 구성되게 하고, 절개시 발생된 폐아스콘(80)은 별도로 수집하면 된다.
상기 수집된 폐아스콘(80)은 폐아스콘 재생장치(10)를 통하여 재생시킨다.
즉 도로를 보수하기 위한 절개부(84)에서 수거된 폐아스콘을 잘게 파쇄하여 파쇄된 폐아스콘 100㎏에 대하여 콜탈을 80~120g의 비율로 함께 투입한다.
이때 폐아스콘의 파쇄수단으로서는 여러수단들이 제공될 수도 있겠지만 도 13에서와 같이 구성된 분쇄기(7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수거된 폐아스콘(80)을 분쇄기(70)에 호퍼(71)에 투입하면 분쇄롤러(72)에 의해 적절한 크기로 파쇄되며, 이때 파쇄되는 입자의 크기를 분쇄롤러(72)의 간격조정을 통하여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파쇄된 폐아스콘(80)과 함께 투입되는 콜탈의 량은 시공된 도로의 조건에 따라 조정이 되며, 시공시점이 오래된 도로의 경우 콜탈의 투입량을 120g까지 높이고, 시공시점이 얼마되지 않은 경우에는 콜탈의 투입량을 80g 낮출 수 있으며, 수거된 폐아스콘(80)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조정한다.
이는 도로의 시공기간이 오래된 아스콘일수록 콜탈의 접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에서와 같은 조건으로 폐아스콘(80)과 콜탈을 이중용탕기(30)에 투입 되면 버너(12)를 통하여 이중용탕기(30)를 가열하고 동시에 교반날개(43)를 회전시켜 폐아스콘(80)과 콜탈이 골고루 혼합되게 한다.
이때 버너(12)를 통하여 이중용탕기(30) 저면을 가열하게 되면, 버너(12)의 열기가 폐아스콘(80)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간접가열된다.
즉 버너(12)의 열기가 이중용탕기(30) 외면에 위치하는 외부용기(30-1)를 먼저 가열하게 되고, 가열된 외부용기(30-1)의 열기가 내부용기(30-2)로 전달되거나 공간부(30-3)를 통하여 간접가열되게 함으로서 고른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공간부(30-3) 내의 열기는 관통공(30-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공간부(30-3) 내에 위치하는 공기의 팽창에 따른 이중용탕기(30)의 안전성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며, 이때 온도는 약160~190℃까지 가열하게 된다.
교반날개(43)의 회전은 다음과 같이 된다.
구동모터(M)를 작동시키면 벨트(V)로 연결된 제1~6풀리(P1~P6)가 회전하게 되고, 제6풀리(P6)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봉(48)이 회전하게 되므로, 구동스파이럴기어(47)와 피동스파이럴기어(46)가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축봉(44)이 회전하여 교반날개(43)가 회전하게 된다.
이중용탕기(30) 내에 폐아스콘(80)과 콜탈이 채워진 상태에서 교반날개(43)를 회전시키면 파쇄된 폐아스콘(80) 전체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간(41) 직하방에 제어편(49)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편(49) 하단부가 교반날개(43) 직상부에 위치되게 함으로서 폐아스콘(80)이 교반날개(43)와 함께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고른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작업하여 이중용탕기(30) 내에 충진된 폐아스콘(80)과 콜탈이 충분히 혼합되어 덩어리형태의 폐아스콘이 와해되면 재생아스콘(83)의 재생이 완료되고, 상기 재생아스콘(83)을 이용하여 도로의 보수를 위한 재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폐아스콘(80)의 재생이 완료되면 도 17에서와 같이 도로의 절개부(84)에 별도의 접착제(82)를 도포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재생아스콘(83)을 투입한 다음 타압하여 시공면을 평활하게 마무리함으로 도로의 보수가 완료되며, 보수완료와 동시에 차량의 주향이 가능하게 되므로 교통체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보수시공완료와 동시에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것은 시공시 사용된 소재가 기설치된 도로의 손상된 부분을 수거한 폐아스콘을 가열하여 점성의 재생아스콘으로 재활용하되, 부족한 점성은 추가로 투입되는 콜탈에 의해 보강될 뿐 아니라, 재시공되는 재생아스콘은 이미 시공설치된 아스콘과 동질의 아스콘으로 시공되어 견고한 시공과 함께 신속히 경화되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이중용탕기(30)에 재생완료된 재생아스콘(83)의 분리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핸들(36)을 이용한 수동식은 다음과 같다.
즉 버너(12)의 가열 및 구동모터(M)의 작동을 정지시킨 다음 일측 지지프레임(21) 전면홀더(23)에 결합된 잠금편(24)을 후진시켜 잠금편(24)이 회전축봉(34)의 절삭면(38)으로부터 이탈되게 하여 핸들(36)을 통한 회전축봉(34)의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핸들(36)을 회전시키면 회전축봉(34) 단부에 구성된 워엄(35)이 회전하여 워엄휠(33)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워엄휠(33)의 회전에 의해 이중용탕기(30) 측부에 구성된 지지봉(31)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지지봉(31)의 회전에 의해 이중용탕기(3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이중용탕기(30) 내에 위치한 재생아스콘(83)을 별도의 용기에 옮겨지게 하면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하여 재생아스콘(83)의 분리가 완료되면 핸들(36)을 역회전시켜 이중용탕기(30)을 원복시키게 되며, 이때 지지봉(31)에 구성된 스토퍼(37)가 지지프레임(21) 일측에 용접구성된 걸림편(22)에 접하게 되면 핸들(36)의 회전이 제어되면서 이중용탕기(30)의 원복이 완료된다.
유압실린더(91)를 이용한 자동식은 다음과 같다.
즉 도 10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유압실린더(91)를 작동시켜 축봉(92)을 당기면 지지봉(31) 및 이중용탕기(30)가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중용탕기(30) 내에 채워진 재생아스콘(83)이 쏟아지게 되고, 재생아스콘(83)의 회수가 완료되면 유압실린더(91)의 축봉(92)을 전진시키는 도 11에서와 같이 이중용탕기(30)가 원복하여 다음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또한 도 12에서와 같이 제2풀리(P2)와 제3풀리(P3) 사이에는 클러치(50)가 설치되어 있어 클러치핸들(51)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M)의 동력을 전달 혹은 차단케 하여 교반날개(43)의 회전이 제어되게 함으로서, 구동모터(M)의 동력을 멈추지 않고도 이중용탕기(30) 내에 충진된 재생아스콘(83)을 수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13에서와 같이 이중용탕기(10) 전면에 별도의 분쇄기(70)를 설치하여 수거된 폐아스콘(80)의 파쇄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아스콘 재생장치(10)를 구성하고, 상기 폐아스콘 재생장치(10)를 통하여 도로보수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폐아스콘을 재생시켜 재생아스콘을 얻고, 상기 재생아스콘을 이용하여 도로보수공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도로의 보수작업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비용절감과 함께 2차적인 환경오염 및 교통체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폐아스콘 재생장치 (12)--버너
(20)--받침프레임 (21)--지지프레임
(22)--걸림편 (23)--홀더
(24)--잠금편 (30)--이중용탕기
(30-1)--외부용기 (30-2)--내부용기
(30-3)--공간부 (30-4)--관통공
(31)--지지봉 (32)--브라켓
(33)--워엄휠 (34)--회전축봉
(35)--워엄 (36)--핸들
(37)--스토퍼 (38)--절삭면
(40)--고정편 (41)--연결간
(42)--지지체 (43)--교반날개
(44)--회전축봉 (46)--피동스파이럴기어
(47)--구동스파이럴기어 (48)--구동축봉
(49)--제어편 (50)--클러치
(51)--클러치핸들 (52)--축봉
(70)--분쇄기 (71)--호퍼
(72)--분쇄롤러 (80)--폐아스콘
(81)--크랙 (82)--접착제
(83)--재생아스콘 (84)--절개부
(90)--연결간 (91)--유압실린더
(92)--축봉 (93)--연결편
(94)--브라켓

Claims (7)

  1. 도로의 침하된 부분이나 파손된 부분을 보수할때 발생하는 폐아스콘을 재생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폐아스콘 재생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받침프레임(20) 양측에 지지프레임(21)을 직립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1) 상에 이중용탕기(30)를 설치하되, 이중용탕기(30) 양측에 구성된 지지봉(31)이 브라켓(32)을 통하여 지지프레임(21) 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이중용탕기(30)는 지지봉(31) 일측에 구성된 회전장치에 의해 이중용탕기(30)가 경사지게 조정될 수 있게 하고, 이중용탕기(30) 저면에는 버너(12)를 설치하고, 이중용탕기(30) 내면에는 교반날개(43)를 설치하되, 교반날개(43)는 회전축봉(44) 단부에 구성되게 하되, 회전축봉(44) 상단에는 피동스파이럴기어(46)를 구성하여, 구동축봉(48)에 구성된 구동스파이럴기어(47)와 치차결합되게 함으로서, 구동모터(M)에 의해 구동축봉(48)이 회전하면 구동, 피동스파이럴기어(47)(46)가 회전하여 교반날개(43)가 회전되게 하고, 이중용탕기(30) 내면에는 별도의 제어편(49)이 교반날개(43) 직상부에 고정설치되게 하여, 교반날개(43)에 의해 폐아스콘(80)이 회전할때 제어편(49)에 의해 폐아스콘(80)의 회전이 제어될 수 있게 하여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의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중용탕기(30)의 회전장치는 일측 지지봉(31) 단부에 워엄휠(33)을 구성하여 회전축봉(34)의 워엄(35)가 치차결합되게 하고, 회전축봉(34) 단부에는 핸들(36)을 구성하고, 상기 핸들(36)을 회전시키면 워엄(35) 및 워엄휠(33)이 회전하여 이중용탕기(30)가 회전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의 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이중용탕기(30)의 회전장치는 지지봉(31) 단부에 연결간(90)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연결간(90)에 유압실린더(91)의 축봉(92) 단부에 구성된 연결편(93)을 연결하여 유압실린더(91)의 작동에 의해 지지봉(31)이 회전되게 함으로서 이중용탕기(30)가 회전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의 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이중용탕기(30)는 외부용기(30-1)와 내부용기(30-2)로 구성하되, 그 사이에 공간부(30-3)가 구성되게 하고, 외부용기(30-1) 일측 상단에는 관통공(30-4)이 구성되게 하여 버너(12)의 가열열기가 내부용기(30-2)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외부용기(30-1)에 직접 전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이중용탕기(30) 전면에 호퍼(71)와 분쇄롤러(72)로 구성된 분쇄기(70)를 고정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이중용탕기(30) 양측에 고정편(40)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편(40) 사이에 연결간(41)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간(41)에 교반날개(43) 회전을 위한 피동스파이럴기어(46) 및 교반날개(43) 직상부에 위치하는 제어편(49)이 고정설치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7. 도로에 침하된 부분이나 파손된 부분을 절개하여 절개부가 구성되게 하고, 상기 절개부에 재생아스콘을 충진하여 도로를 부분적으로 보수, 재시공함에 있어서, 도로의 보수를 위한 절개부(84)에서 폐아스콘(80)을 수거하고, 상기 수거된 폐아스콘(80)을 파쇄한 다음 폐아스콘 재생장치(10)에 투입하되, 상기 폐아스콘 재생장치(10)는 받침프레임(20) 양측에 지지프레임(21)을 직립설치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1) 상에 이중용탕기(30)를 설치하되, 이중용탕기(30) 양측에 구성된 지지봉(31)이 브라켓(32)을 통하여 지지프레임(21) 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이중용탕기(30)는 지지봉(31) 일측에 구성된 회전장치에 의해 이중용탕기(30)가 경사지게 조정될 수 있게 하고, 이중용탕기(30) 저면에는 버너(12)를 설치하고, 이중용탕기(30) 내면에는 교반날개(43)를 설치하되, 교반날개(43)는 회전축봉(44) 단부에 구성되게 하되, 회전축봉(44) 상단에는 피동스파이럴기어(46)를 구성하여, 구동축봉(48)에 구성된 구동스파이럴기어(47)와 치차결합되게 함으로서, 구동모터(M)에 의해 구동축봉(48)이 회전하면 구동, 피동스파이럴기어(47)(46)가 회전하여 교반날개(43)가 회전되게 하고, 이중용탕기(30) 내면에는 별도의 제어편(49)이 교반날개(43) 직상부에 고정설치되게 하여, 교반날개(43)에 의해 폐아스콘(80)이 회전할때 제어편(49)에 의해 폐아스콘(80)의 회전이 제어될 수 있게 하여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폐아스콘 재생장치(10)를 구성하고, 상기 폐아스콘 재생장치(10)에 구성된 이중용탕기(30)에 파쇄된 폐아스콘(80) 100㎏에 콜탈 80~120g의 중량비로 투입한 다음, 버너(12)를 통하여 이중용탕기(30)를 가열함과 동시에 교반날개(43)를 회전시켜 이중용탕기(30) 내에 채워진 폐아스콘(80)과 콜탈이 가열에 의해 와해되면서 혼합되어 재생아스콘(83)이 얻어지게 하고, 상기 재생아스콘(83)이 채워지는 절개부(84)에 접착제(82)를 도포한 다음 재생아스콘(83)을 충진하고 가압하여 시공면이 도로면과 편평하게 시공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아스콘 재생장치를 이용한 도로보수방법.
KR20100096225A 2010-10-04 2010-10-04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보수방법 KR101021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6225A KR101021122B1 (ko) 2010-10-04 2010-10-04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6225A KR101021122B1 (ko) 2010-10-04 2010-10-04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보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122B1 true KR101021122B1 (ko) 2011-03-14

Family

ID=4393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96225A KR101021122B1 (ko) 2010-10-04 2010-10-04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1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674A (ko) 2017-12-19 2019-06-27 김명대 폐아스콘 재생장치용 회전드럼
KR102078318B1 (ko) * 2019-08-29 2020-02-17 장미숙 믹싱 장치
KR102165634B1 (ko) * 2020-03-06 2020-10-14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024Y1 (ko) 2006-05-25 2006-08-14 (주)대명피에스 가스 회전식 솥
JP2008173861A (ja) 2007-01-18 2008-07-31 Nippon Steel Corp 耐火物用混練機および耐火物の混練方法
KR20090131611A (ko) * 2008-06-18 2009-12-29 정병조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유지보수차량
KR100960897B1 (ko) 2010-01-27 2010-06-04 진산아스콘(주) 교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024Y1 (ko) 2006-05-25 2006-08-14 (주)대명피에스 가스 회전식 솥
JP2008173861A (ja) 2007-01-18 2008-07-31 Nippon Steel Corp 耐火物用混練機および耐火物の混練方法
KR20090131611A (ko) * 2008-06-18 2009-12-29 정병조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유지보수차량
KR100960897B1 (ko) 2010-01-27 2010-06-04 진산아스콘(주) 교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674A (ko) 2017-12-19 2019-06-27 김명대 폐아스콘 재생장치용 회전드럼
KR102078318B1 (ko) * 2019-08-29 2020-02-17 장미숙 믹싱 장치
KR102165634B1 (ko) * 2020-03-06 2020-10-14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87063B (zh) 一种混凝土道路路面裂缝快速修补方法
KR101021122B1 (ko)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보수방법
CN109629386B (zh) 道路修补破碎装置
JP2014151320A (ja) 骨材およびシーラントミキサー
CN112356282A (zh) 一种方便控制的混凝土混匀装置
KR101861303B1 (ko) 현장가열 아스팔트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공법
CN108435750B (zh) 一种用于道路面层的废旧混凝土就地再生机及其作业方法
KR101313150B1 (ko) 아스콘 제조장치
CN112813786A (zh) 一种公路养护用修补设备及其使用方法
CN206553898U (zh) 一种城市道路沥青路面快速修补机
CN112359693A (zh) 道路路面修补装置及其补强方法
KR100655200B1 (ko) 현장가열 표층재생 아스팔트 포장공법용 아스콘의 혼합장치
CN116732827A (zh) 一种钢垫板及其施工工艺
CN214882730U (zh) 一种沥青路面修补拌料机
CN211395283U (zh) 一种公路工程用路面修复车
CN110541346B (zh) 一种路面就地热再生双层修补车
CN210395042U (zh) 一种环保沥青回收装置
CN113605203A (zh) 水泥路面加铺沥青用路面摊铺装备
CN113106828A (zh) 一种便携式桥梁道路的补修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040078B1 (ko) 폐아스콘 재생장치용 회전드럼
KR101681263B1 (ko) 골재 믹서
WO2003050359A1 (fr) Procede de reparation et regard et revetement autour du regard, et dispositif associe au procede
CN215947792U (zh) 一种热再生沥青搅拌设备
CN217973911U (zh) 一种沥青混凝土搅拌站
CN216891852U (zh) 一种沥青路面回收料就地温拌全再生施工拌合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