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379B1 - 금속제 캔 - Google Patents

금속제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379B1
KR101020379B1 KR1020087021579A KR20087021579A KR101020379B1 KR 101020379 B1 KR101020379 B1 KR 101020379B1 KR 1020087021579 A KR1020087021579 A KR 1020087021579A KR 20087021579 A KR20087021579 A KR 20087021579A KR 101020379 B1 KR101020379 B1 KR 101020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cap
metal
bent
max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420A (ko
Inventor
야스히사 요코타
젠로우 시라네
에이지 츠다
요우스케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6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65D41/42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made of relatively-stiff metallic material, e.g. crow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65D41/44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made of metallic foil or like thin flexible material
    • B65D41/445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made of metallic foil or like thin flexible material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38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몸통부에 이어지는 구부(13) 선단의 개구 주연을 외방으로 권곡시켜 형성한 비드부(14)에, 탭을 끌어당김으로써 스코어를 잘라 파열시켜 마개를 여는 캡(20)을 감음 체결 고정한 금속제 캔으로서, 상기 비드부(14)를, 내방을 향해 경사지게 한 금속제 캔이다. 비드부(14)를 내방을 향해 경사지게 함으로써, 중심 방향으로 어느 정도 치우친 부위에서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한 일반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소구경의 맥시캡을 이용하여도 충분한 기밀성을 얻어진다.
몸통부, 구부, 비드부, 캡, 체결 고정, 금속제 캔, 기밀성, 소구경, 맥시캡

Description

금속제 캔{METAL CAN}
본 발명은 몸통부로부터 이어지는 구부에 맥시캡(maxi-cap)이 감음 체결 고정된 금속제 캔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맥시캡이 감음 체결된 금속제 캔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금속제 캔은 금속제 캔의 몸통체(몸통부)로부터 이어져 형성되는 구부(mouth part)의 개구 주연(周緣)을 외방으로 권곡(Kar)시켜 형성된 비드부에, 탭을 끌어당김으로써 스코어(라인 형상의 약화부)를 잘라 파열시켜 마개를 여는 맥시캡이 감음 체결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금속제 캔에 의하면, 몸통부보다 소구경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구부로부터 내용액을 따르기 쉽다, 또, 마개를 열기가 쉬운 금속제 캔을 실현할 수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 1983-88328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비교적 소구경으로 이루어지는 맥시캡은 병 용기의 마개로서 넓게 이용되고 있지만, 이 일반적인 소구경의 맥시캡은 도 1에 나타내는 것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맥시캡(20)은 원반 형상의 캡 헤드부(23a) 및 캡 헤드부(23a)의 외주연(外周緣)으로부터 세워서 설치하는 측부(23b)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캡 본체(23)를 가지고, 캡 본체(23)의 캡 헤드부(23a) 내면에 합성 수지제의 라이너 부재(linear member)(24)가 고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라이너 부재(24)는 캡 본체(23)의 캡 헤드부(23a) 내면을 대체로 덮고 있고, 그 주연부에 상기 금속제 캔 측의 비드부(bead part)를 받아들여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받이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24a)에는 그 주위 전체에 걸쳐서 홈(groove)(24aa)이 형성되어 있다.
라이너 부재(24)의 주연부에 형성된 받이부(24a)와 캡 본체(23)의 측부(23b) 내면과의 사이에는 간극(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25)은 캡 본체(23) 내면에 라이너 부재(24)를 형성하기 위한 수법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 라이너 부재(24)는 도 2a, 2b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캡 본체(23) 내면에 인젝션(injection) 몰드(mold)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즉, 도 2(a)에 나타내듯이, 하형(下型)(도시 생략)에 세트(set)된 캡 본체(23)의 캡 헤드부(23a)의 내면에 연화한 수지 덩어리 P가 세트된다. 상형(上型)은 센터 펀치(center punch)(100), 센터 펀치(100)의 외주에 배치된 센터 붓싱(center bushing)(101) 및 센터 붓싱(101)의 외주에 미끄러져 움직임 자유롭게 배치된 로케이팅 슬리브(locating sleeve)(102)에 의해 구성되고, 하형에 대한 형체결(型締結) 및 형개방(型開放)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술한 것처럼 하형(下型)에 세트된 캡 본체(23)의 캡 헤드부(23a)의 내면에 연화한 수지 덩어리 P가 세트된 상태로, 우선 상형(上型)의 로케이팅 슬리브(102)만이 캡 본체(23)의 측부(23b)의 내면을 따라 그 선단부가 캡 헤드부(cap head part)(23a)와 측부(23b)와의 경계부에 맞부딪치도록 세트된다. 이에 의해 캡 본체(23)의 이동이 규제된다(위치 결정). 그 다음에, 상형의 센터 펀치(100)와 센터 붓싱(101)이 일체적으로 하강하여 상형과 하형의 형체결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하면, 도 2(b)에 나타내듯이 연화한 수지 덩어리 P가 센터 펀치(100), 센터 붓싱(101) 및 로케이팅 슬리브(102)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cavity) 내에 고루 미치고, 상형에 맞닿는 수지층이 센터 펀치(100) 및 센터 붓싱(101)의 선단면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수지가 경화하면 예상되는 적당한 타이밍에, 도 3에 나타내듯이, 센터 펀치(100), 센터 붓싱(101)및 로케이팅 슬리브(locating sleeve)(102)를 일체적으로 캡 본체(23)로부터 격리하면(형개방 하면) 캡 본체(23)의 캡 헤드부(23a) 내면에 소정의 형상으로 되는 라이너 부재(24)(수지층)가 형성된 맥시캡(20)이 완성한다. 전술한 것처럼 로케이팅 슬리브(locating sleeve)(102)가 캡 본체(23)의 측부(23b)의 내면을 따라 그 선단부가 캡 헤드부(23a)와 측부(23b)와의 경계부에 맞부딪치도록 세트된 상태로 형체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로케이팅 슬리브(locating sleeve)(102)의 선단 부분의 형상에 대응한 간극(25)가 라이너 부재(24)의 받이부(24a)와 캡 본체(23)의 측부(23b)의 사이에 형성된다.
도 1로 되돌아와 맥시캡(20)과 금속제 캔(50)의 구부(51)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구부(51)의 선단부를 외방으로 권곡(Kar)시켜 형성한 비드부(52)의 가장 외면이 맥시캡(20)의 측부(23b) 내면에 맞닿음과 아울러 비드부(52)의 정부(頂部)가 맥시캡(20) 내면에 형성된 라이너 부재(24)의 주연부에 위치하는 받이부(24a)의 홈(24aa)에 임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위치 관계가 아니면 맥시캡(20)의 측부(23b)를 비드부(52)에 감음 채결했을 때에, 비드부(52)의 정부가 라이너 부재(24)의 받이부(24a)의 홈(24aa)에 끼이지 않아 라이너 부재(24)에 의한 밀봉성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구부(mouth part)(51)가 비드부(52)의 권곡 개시 위치 Pcs까지 똑바로 일어서 그 내경 Din이 대략 일정하게 되는 종래의 금속제 캔(50)에서는 간극(25)에 의해 캡 헤드부(23a)의 중심 방향으로 치우친 라이너 부재(24)의 받이부(24a)(기밀성을 확보하는 부위)의 홈(24aa)에 비드부(52)의 정부를 임하도록 하기 위해서 그 비드부(52)의 폭 Lc(권곡 폭)를 비교적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비드부(52)의 폭 Lc를 크게 하면 비드부(52)의 강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비드부(52)의 강도가 저하하면 맥시캡(20)을 비드부(52)로 강고하게 감음 체결할 수가 없어 충분한 기밀성이 얻어질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것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중심 방향으로 어느 정도 치우친 부위에서 밀폐성을 확보하도록 한 일반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소구경의 맥시캡을 이용하여도 충분한 기밀성을 얻는 것이 가능한 금속제 캔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제 캔(can)은, 몸통부로부터 이어지는 구부(mouth part)의 선단부를 외방으로 권곡(Kar)시켜 형성한 비드부(bead part)에, 탭(tap)을 끌어당김(pulling)으로써 스코어(score)를 잘라 파열시켜 마개를 여는 캡을 감음 체결 고정한 금속제 캔으로서, 상기 구부는 곧은 형상으로 뻗고, 이 구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비드부는, 내방을 향해 경사지고, 그 경사 개시위치가 당해 비드부의 하단부위와 권곡 개시위치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구성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부의 선단 부위에 형성되는 비드부가 내방을 향해 경사져 있으므로, 중심 방향으로 어느 정도 치우친 부위에서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한 일반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소구경의 맥시캡을 상기 비드부에 감음 체결하는 경우, 비드부의 폭이 특히 크지 않아도, 그 캡의 상기 중심 방향으로 어느 정도 치우친 당해 부위에서 상기 비드부의 정부를 받아들일 수가 있도록 된다.
상기 비드부는, 전체적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라도 부분적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제 캔은 상기 비드부의 상단 부분이 내방을 향해 경사져 있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제 캔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의 외방으로의 권곡 개시 위치에서의 캔의 내경은, 상기 비드부의 하단 부위에 대응한 캔의 내경보다 작은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비드부의 하단 부위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권곡 개시 위치에서의 캔의 내경이 상기 하단 부위에 대응한 캔의 내경보다 작아지므로, 상기 비드부가 내방을 향해 경사진 구조로 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제 캔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는, 그 권곡된 선단부가 상기 구부의 외면에 맞닿는 구조로 되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비드부의 권곡된 선단부가 구부의 외면에 맞닿아 있으므로, 그 비드부에 캡을 감음 체결할 때에 권곡 형상의 비드부를 찌그러뜨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해도, 그 선단에서 버티어 찌그러뜨리는 방향의 힘에 저항할 수 있도록 된다. 이에 의해 비교적 강하게 캡을 감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당해 금속제 캔의 기밀성을 비교적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제 캔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의 권곡된 선단이 대략 수직으로 상기 구부의 외면에 맞부딪친 구조로 되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비드부의 권곡된 선단이 구부의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맞부딪치도록 맞닿으므로, 그 선단에서의 버팀의 정도가 보다 강고하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을 더욱 강고하게 감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당해 금속제 캔의 기밀성을 더욱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제 캔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의 권곡된 선단의 외측 모서리가 상기 구부의 외면에 맞부딪친 구조로 되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비드부의 권곡된 선단이 구부의 외면에 그 외측 모서리가 맞부딪치도록 맞닿으므로, 그 선단에서의 버팀의 정도가, 어느 정도 유지되지만, 그 선단이 대략 수직으로 구부의 외면에 부딪치는 경우에 비해 완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교적 강하게 캡을 비드부에 감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그 캡을 비교적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제 캔에 의하면, 중심 방향으로 어느 정도 치우친 부위에서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한 일반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소구경의 맥시캡을 비드부에 감음 체결하는 경우, 비드부의 폭이 특히 크지 않아도, 그 캡의 상기 중심 방향으로 어느 정도 치우친 당해 부위에서 상기 비드부의 정부를 받아들일 수가 있도록 되므로, 상기 일반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소구경의 맥시캡을 이용하여도 충분한 기밀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금속제 캔에 있어서의 구부에 형성되는 비드부와 캡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캡을 성형하는 공정에 있어서 수지 덩어리를 캡 내에 세트한 상태 (a)와 캡 내에서 수지 성형이 이루어진 상태 (b)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캡 내에 수지제의 라이너 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금속제 캔을 나타내는 정면도 (a), 측면도 (b), (c) 및 평면도 (d)이다.
도 5는 도 4(a)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c)의 B부 상세 단면도이다.
도 7은 금속제 캔의 구부에 비드부를 형성하는 도중 과정 (a), (b)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금속제 캔의 구부에 비드부를 형성하는 최종 과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금속제 캔의 구부에 형성되는 비드부와 캡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감음 체결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캡을 금속제 캔의 구부에 감음 체결 고정하는 도중 과정 (a), (b)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캡을 금속제 캔의 구부에 감음 체결 고정하는 최종 과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금속제 캔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금속제 캔에 있어서의 비드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낙하 기밀성 평가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부호의 설명>
10 금속제 캔 11 몸통부
12 견부(肩部) 13 구부(mouth part)
14 비드부(bead part)
14a 선단
14aa 외측 모서리 14ab 내측 모서리
20 캡(맥시캡(maxi-cap)) 21 탭(tab)
22a, 22b 스코어(score)
23 캡 본체 23a 캡 헤드부
23b 측부 23ba 하단부
24 라이너 부재
24a 받이부 24aa 홈(groove)
25 간극
100 센터 펀치(center punch)
101 센터 붓싱(center bushing)
102 로케이팅 슬리브(locating sleeve)
201 제1툴(the 1st tool)
202 제2툴(the 2nd tool)
203 제3툴(the 3rd tool)
301 플런저(plunger)
302i, 302j 실링 슬리브(sealing sleeve)
302ia, 302ja  실링 돌기(sealing protrusion)
302ib, 302jb 경사면
303 푸싱 슬리브(pushing sleeve)
304 압축 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금속제 캔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듯이 구성되어 있다. 또,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금속제 캔의 정면도 (a), 측면도 (b), (c) 및 평면도 (d)이고, 도 5는 도 4(a)의 A -A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c)의 B부 상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이 금속제 캔(10)은 바닥 가짐 원통 형상의 몸통부(11)로부터 견부(12)를 통해 구부(13)로 이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부(13)의 개구하는 선단부에는 탭(21)을 끌어당김으로써 스코어(score)(22a, 22b)(도 4(d) 참조)를 잘라 파열시켜 마개를 여는 맥시캡(maxi-cap)(20)이 장착되어 있다. 도 5와 함께 도 6에 상세하게 나타내듯이, 구부(13)에는 그 선단부를 외방으로 권곡(Kar)시켜 비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맥시캡(20)의 구체적인 구조는 전술한 일반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소구경의 맥시캡(도 1 참조)과 마찬가지로, 원반 형상의 캡 헤드부(23a) 및 캡 헤드부(23a)의 외주연으로부터 세워서 설치하는 측부(23b)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캡 본체(23)를 가지고, 캡 본체(23)의 캡 헤드부(23a) 내면에 합성 수지제의 라이너 부재(24)가 고착된 것으로 되어 있다. 라이너 부재(24)의 주연부에 금속제 캔(10)의 비드부(14)를 받아들여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받이부(24a)가 형성되어 있고, 받이부(24a)에는 그 주위 전체에 걸쳐서 홈(24a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비드부(14)의 정부가 라이너 부재(linear member)(24)의 받이부(24a)의 홈(groove)(24aa)에 임하도록 맥시캡(20)이 금속제 캔(10)의 구부(13)에 세트(set)되고, 그 맥시캡(20)의 측부(23b)가 비드부(14)로 감음 체결 고정된다. 이 측부(23b)의 비드부(14)에의 감음 체결함에 의해, 라이너 부재(24)의 받이부(24a)가 비드부(14)로 밀착하게 되어, 이에 의해 맥시캡(20)의 감음 체결된 금속제 캔(10)의 기밀성이 확보된다.
다음에, 전술한 비드부(14)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7(a)에 나타내듯이, 링(ring) 형상의 소정의 만곡면을 가지는 제1툴(201)이 금속제 캔(10)의 구부(13)의 개구하는 선단 부위(13a)에 세트되고, 이 제1툴(201)을 하강시킴으로써 그 선단 부위(13a)가 제1툴(201)의 만곡면을 따라 구부려진다. 그 다음에, 구부(13)가 구부려진 선단 부위(13a)에, 도 7(b)에 나타내듯이, 그 선단 부위(13a)를 더욱 감아 넣는 것 같은 형상으로 되는 링 형상의 만곡면을 가지는 제2툴(202)이 세트되고, 이 제2툴(202)을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구부려진 선단 부위(13a)가 더욱 감아 넣어져 그 선단이 구부(13)의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맞닿는다. 그리고, 그 상태로 더욱 제2툴(202)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선단이 구부(13)의 외면에 맞닿아 버틴 상태로 되는 선단 부위(13a)가 제2툴(202)의 만곡면을 따르도록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것처럼 그 선단이 구부(13)의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맞닿는 상태로 되는 구부(13)의 선단 부위(13a)에, 도 8에 나타내듯이, 제3툴(203)이 세트된다. 제3툴(203)은 링 형상으로 하강 동작에 의해 내방으로 압력을 가하는 것 같은 형상의 만곡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3툴(203)을 하강시킴으로써 구부(13)의 선단 부위(13a)에서 형성된 권곡 형상 부위의 상단 부분이 금속제 캔(10)의 내방을 향해 경사진다. 이에 의해 구부(13)의 선단부에 비드부(14)가 형성되고, 그 비드부(14)의 상단 부분이 각도 α만큼 내방을 향해 경사진 것으로 된다. 이 비드부(14)의 경사에 의해, 비드부(14)의 외방으로의 권곡 개시 위치 Pcs에서의 캔의 내경 Din2는 비드부(14)의 권곡한 선단(14a)이 구부(13)의 외면에 맞닿는 당해 비 드부(14)의 하단에 대응한 캔의 내경 Din1보다 작아진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구부(13)의 선단부에 형성된 비드부(14)의 상단 부분이 내방을 향해 경사져 있으므로, 도 9에 나타내듯이, 비드부(14)의 폭 Lc를 그만큼 크게 하지 않아도, 비드부(14)의 가장 외면에 측부(23b)의 내면이 맞닿도록 맥시캡(20)을 구부(13)에 세트했을 때에, 비드부(14)의 정부가 맥시캡(20)의 내면에 형성된 라이너 부재(24)의 받이부(24a)의 홈(24aa)에 임하게 된다(도 9의 일점쇄선 부분 참조). 이 상태로 맥시캡(20)의 측부(23b)를 비드부(14)에 감음 체결하면, 비드부(14)의 정부가 라이너 부재(24)의 받이부(24a)의 홈(24aa)에 확실히 끼여, 전술한 것처럼(도 6 참조), 라이너 부재(24)의 받이부(24a)가 비드부(14)에 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드부(14)의 폭 Lc가 특히 크지 않아도, 캡 본체(23)의 중심 방향으로 어느 정도 치우친 받이부(24a)에서 비드부(14)의 정부를 받아들일 수가 있도록 되므로, 일반적인 구조(도 1, 도 6 참조)로 이루어지는 소구경의 맥시캡(20)을 이용하여도 충분한 기밀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비드부(14)가 그 하단으로부터 외방으로의 권곡 개시 위치 Pcs까지의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서 굴곡하도록 되어 있지만, 비드부(14)의 하단에서 굴곡함으로써 비드부(14) 전체가 내방을 향해 경사지는 것 같은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구부(13)의 선단부에 형성된 비드부(14)에 맥시캡(20)을 감음 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금속제 캔(10)에 이용되는 감음 체결기의 주요부는 도 10에 나타내듯이 구성되어 있다. 이 감음 체결기는, 대체로 원통 형상의 플런저(301), 플런저(301)의 외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선단이 복수로 분할된(예를 들면, 20개) 실링 슬리브(sealing sleeve)(302i,···302j,···), 이들 실링 슬리브(302i,···, 302j,···)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되는 푸싱 슬리브(pushing sleeve)(303) 및 플런저(plunger)(301)를 하방으로 항상 힘을 가하는 압축 스프링(304)을 가지고 있다. 압축 스프링(304)에 의해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플런저(301)의 하단면에는 맥시캡(20)의 캡 본체(23) 상의 모서리 형상에 대응한 만곡면으로 되는 받이면(301a)이 형성되어 있다. 각 실링 슬리브(302i(302j))는 상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내부에 배치되는 맥시캡(20)의 직경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맥시캡(20)에 대향하는 면에 선단이 만곡한 실링 돌기(sealing protrusion)(302ia(302ja))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실링 슬리브(302i(302j))의 실링부(sealing part)(302ia(302ja))의 형성된 면의 역측이 경사면(302ib(302jb))로 되어 있고, 각 실링 슬리브(302i(302j))의 외측에서 상하 움직임을 하는 푸싱 슬리브(303)의 선단부가 경사면(302ib(302jb))에 맞닿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감음 체결기에 의해 맥시캡(20)이 다음과 같이 하여 금속제 캔(10)의 구부(13)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맥시캡(20)의 외각면이 플런저(301)의 받이면(301a)을 따르도록 하여 금속제 캔(10)과 그 구부(13)의 선단부에 세트된 맥시캡(20)이 감음 제결기에 장전된다. 이 상태로 감음 체결기를 동작시키면, 도 11(a)에 나타내듯이, 맥시캡(20)이 플런저(301)에 의해 압압되어 캡 본체(23)의 내면에 형성된 라이너 부재(24)의 받이부(24a)의 홈(24aa)에 금속제 캔(10)의 구부(13)에 형성된 비드부(14)의 정부가 끼워져 라이너 부재(24)가 비드부(14)에 밀착한다. 그리고, 푸싱 슬리브(303)가 하방(Sa) 으로 이동하고, 그 선단부가 각 실링 슬리브(302i(302j))의 경사면(302ib(302jb))을 하방으로 눌러간다. 이와 같이 하면, 각 실링 슬리브(302i(302j))가 상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맥시캡(20)의 중심을 향해(Sb) 요동하고, 실링 돌기(302ia(302ja))가 비드부(14)를 덮는 캡 본체(23)의 측부(23b)로 치우쳐 간다.
또한, 푸싱 슬리브(303)가 하방(Sa)으로의 이동을 계속하면, 도 11(b)에 나타내듯이, 각 실링 슬리브(302i(302j))가 더욱 맥시캡(20)의 중심 방향(Sb)으로 요동을 계속하여 각 실링 돌기(302ia(302ja))가 캡 본체(23)의 측부(23b)를 금속제 캔(10)의 구부(13)측으로 꽉 눌러 캡 본체(23)의 측부(23b)가 비드부(14)에 감겨져 간다. 그리고, 또한 푸싱 슬리브(303)이 하방(Sa)으로의 이동을 계속하면, 도 12에 나타내듯이, 각 실링 슬리브(302i(302j))의 요동에 의한 각 실링 돌기(302ia(302ja))의 맥시캡(20)의 중심 방향(Sb)으로의 움직임에 의해, 측부(23b)가 비드부(14)에 감겨진 맥시캡(20)이 상방(Sc)으로 밀어 올려지도록 된다. 이에 의해 압축 스프링(304)(도 10 참조)에 의해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플런저(301)의 받이면(301a)과 각 실링 돌기(302ia(302ja))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캡 본체(23)의 측부(23b)가 비드부(14)에 강고하게 단단히 조여진다. 이에 의해 캡 본체(23)의 내면에 형성된 라이너 부재(24)가 비드부(14)에 강고하게 밀착한 상태로 맥시캡(20)이 금속제 캔(10)의 구부(13)에 형성된 비드부(14)에 감음 체결 고정된다(도 6 참 조).
전술한 것 같은 감음 체결기(도 10∼도 12 참조)에서는, 압축 스프링(304)에 의한 가하는 힘과 맥시캡(20)이 밀어 올리는 양을 결정하는 비드부(14)의 높이에 의해 캡 본체(23)의 측부(23b)의 비드부(14)에의 감음 체결력이 정해진다. 그리고, 비드부(14)의 권곡된 선단부가 구부(13)의 외면에 맞닿아 있으므로, 그 맥시캡(20)의 감음 체결 때에(도 11(a), (b), 도 12 참조) 권곡 형상의 비드부(14)로 금속제 캔(10)의 중심 방향(도 11(a), (b) 및 도 12에 있어서의 Sb) 및 그 축방향(도 11(a), (b) 및 도 12에 있어서의 Sa의 역방향)으로 각각 힘이 작용하지만, 구부(13)의 외면에 맞닿는 권곡한 비드부(14)의 선단부가 저항으로 되어, 상기 중심 방향의 힘에 저항할 수가 있기 때문에, 축방향의 힘이 감쇠하는 일 없이 작용하고, 맥시캡(20)의 라이너 부재(24)가 비드부(14)에 강고하게 밀착한 상태로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금속제 캔(10)의 기밀성을 비교적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비드부(14)의 권곡한 선단(14a)이 대략 수직으로 구부(13)의 외면에 맞부딪치도록 맞닿아 있으므로(도 8, 도 9 참조), 비드부(14)에 맥시캡(20)을 감음 체결할 때에 권곡 형상의 비드부(14)가 그 선단(14a)에서 버틴 상태로 되어, 금속제 캔(10)의 중심 방향 및 그 축방향의 힘에 대해서 비드부(14)의 선단부가 보다 변형에 저항할 수 있도록 된다. 그 결과, 더욱 기밀성이 높은 금속제 캔(10)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전술한 예에서는 비드부(14)의 권곡한 선단이 구부(13)의 외면에 대략 수직으로 맞닿는 것이었지만, 비드부(14)가 내방으로 경사진 구조(도 8, 도 9 참 조)이면, 비드부(14)는, 종래(도 1 참조)와 마찬가지로 선단부가 감아 넣어지는 것 같은 구조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금속제 캔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금속제 캔은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듯이 구성된다. 또,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금속제 캔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금속제 캔에 있어서의 비드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도 6 및 도 9에 나타나는 부분과 같은 부분에는 같은 참조 번호가 붙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금속제 캔(10)에서는, 비드부(14)의 권곡된 선단(14a)의 외측 모서리(14aa)가 구부(13)의 외면에 부딪치는 한편 비드부(14)의 권곡된 선단(14a)의 내측 모서리(14ab)는 구부(13)의 외면에 맞닿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비드부(14)의 권곡된 선단부가 구부(13)의 외면에 그 외측 모서리(14aa)가 맞부딪치도록 맞닿으므로, 금속제 캔(10)의 중심 방향 및 그 축방향의 힘에 대해서 그 선단부가 변형에 저항할 수가 있지만, 그 중심 방향의 힘에 대한 선단부의 버팀 정도가, 전술한 선단(14a)이 대략 수직으로 구부(13)의 외면에 부딪치는 경우에 비해 완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드부(14)에 맥시캡(20)을 감음 체결하였을 때에 그 비드부(14)의 하방 부위에 맥시캡(20)의 하단부가 맞닿기 쉬워져 비드부(14)에 감음 체결된 맥시캡(20)의 하단부의 비드부(14)에의 압박이 억제된다. 그 결과, 비드부(14)에 감음 체결된 맥시캡(20)을 비교적 용이하게 떼어내는(마개를 여는) 것을 할 수 있도록 된다.
(실험예)
본 발명의 발명자는, 도 1에 나타내는 것 같은 종래의 금속제 캔과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구조의 금속제 캔(10)(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금속제 캔)에 대해서 낙하 기밀성 평가의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가 도 15에 나타난다. 도 15에 있어서, 종래 캔은 도 1에 나타내는 구조의 금속제 캔이고, 개량 캔은,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구조의 금속제 캔(10)이다.
그 시험 방법은 용량 100㎖의 금속제 캔에 물을 양압 상태로 충전하여 맥시캡을 구부에 감음 체결하고, 그 금속제 캔을 각도 10도로 경사진 철판에 단체로 물구나무 서기 낙하(구부를 아래로 한 상태에서의 낙하)시켜, 그 때의 기밀성(누설)을 감압의 유무로 확인하였다. 20㎝, 30㎝, 40㎝, 50㎝의 높이로부터 각각 10개씩 낙하시켰다.
도 15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종래 캔은 20㎝의 높이로부터의 낙하에 있어서는, 10개중 2개로부터 밖에 누설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그것을 넘어서는 높이(30㎝, 40㎝, 50㎝)로부터의 낙하에 있어서는, 10개 모두로부터 누설이 확인되었다. 한편, 개량 캔은 20㎝, 30㎝, 40㎝의 높이로부터의 낙하에 있어서는, 10개 모두에 있어서 누설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 개량 캔은 50㎝의 높이로부터의 낙하에 있어서, 10개중 3개로부터밖에 누설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낙하 기밀성 평가 시험으로부터,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구조의 금속제 캔(10)은 종래의 구조의 금속제 캔에 비해 낙하에 대해서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6에 나타내는 구조의 금속제 캔(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금속제 캔)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 같은 낙하 기밀성 평가 시험은 행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상기 낙하 기밀성 평가 시험에 제공된 개량 캔(도 13 및 도 14 참조)은, 비드부(14)의 권곡한 선단(14a)의 외측 모서리(14aa)만이 구부(13)의 외면에 부딪쳐, 비드부(14)의 굽음이 어느 정도 허용되는 것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데 대해, 상기 양쪽 금속제 캔은, 비드부(14)의 권곡한 선단(14a)이 대략 수직으로 구부(13)의 외면에 부딪쳐 비드부(14)의 굽음을 매우 억제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기밀성에 대해서는 상기 낙하 기밀성 평가 시험에 제공된 개량 캔보다 우수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금속제 캔은, 중심 방향으로 어느 정도 치우친 부위에서 밀폐성을 확보하도록 한 일반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소구경의 맥시캡을 이용하여도 충분한 기밀성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지고, 몸통부에 이어지는 구부에 맥시캡이 감음 체결 고정된 금속제 캔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6)

  1. 몸통부로부터 이어지는 구부(mouth part)의 선단부를 외방으로 권곡(Kar)시켜 형성한 비드부(bead part)에, 탭(tap)을 끌어당김(pulling)으로써 스코어(score)를 잘라 파열시켜 마개를 여는 캡을 감음 체결 고정한 금속제 캔으로서,
    상기 구부는 곧은 형상으로 뻗고,
    이 구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비드부는, 내방을 향해 경사지고, 그 경사 개시위치가 당해 비드부의 하단부위와 권곡 개시위치의 사이에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의 외방으로의 권곡 개시 위치에서의 캔의 내경은, 상기 비드부의 하단 부위에 대응한 캔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는, 그 권곡된 선단부가 상기 구부의 외면에 맞닿는 구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의 권곡된 선단이 대략 수직으로 상기 구부의 외면에 맞부딪친 구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부의 권곡된 선단의 외측 모서리가 상기 구부의 외면에 맞부딪친 구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캔.
KR1020087021579A 2006-04-17 2007-03-29 금속제 캔 KR101020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13463 2006-04-17
JPJP-P-2006-00113463 2006-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420A KR20080106420A (ko) 2008-12-05
KR101020379B1 true KR101020379B1 (ko) 2011-03-08

Family

ID=3862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579A KR101020379B1 (ko) 2006-04-17 2007-03-29 금속제 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51394B2 (ko)
KR (1) KR101020379B1 (ko)
CN (1) CN101421169B (ko)
WO (1) WO2007122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62295A1 (en) * 2012-05-08 2013-11-13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Metal container
JP6356951B2 (ja) * 2013-08-22 2018-07-11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易開封性容器蓋
WO2015159809A1 (ja) * 2014-04-15 2015-10-22 大塚製薬株式会社 陽圧飲料用の密閉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946620B2 (ja) * 2016-04-27 2021-10-06 東洋製罐株式会社 缶体及び缶体口部のカール部形成方法
JP2018103254A (ja) * 2016-12-28 2018-07-05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ボトル缶、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114989A (ja) * 2017-01-16 2018-07-26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容器
CN106734713B (zh) * 2017-03-20 2018-09-18 山东胜宁电器有限公司 一种杯体加工方法
CN106807850B (zh) * 2017-03-20 2018-09-18 山东胜宁电器有限公司 容器口部压合装置及设备
JP6515952B2 (ja) * 2017-05-19 2019-05-22 東洋製罐株式会社 ボトル缶、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及びボトル缶の製造方法
JP6754340B2 (ja) * 2017-08-25 2020-09-09 東洋製罐株式会社 ボトル缶及びキャップ付きボトル缶
JP7447443B2 (ja) * 2018-12-04 2024-03-12 アルテミラ製缶株式会社 缶体
JP7075508B2 (ja) * 2019-01-28 2022-05-25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缶体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4436A (en) * 1980-08-29 1982-03-12 Hirohama Kinzoku Kogyo Kk Manufacture of can opening
JPS58161843U (ja) * 1982-04-22 1983-10-28 東洋製罐株式会社 容器の口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2238A (ja) * 1983-10-07 1985-05-10 Nippon Alum Mfg Co Ltd:The 口金構造の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4436A (en) * 1980-08-29 1982-03-12 Hirohama Kinzoku Kogyo Kk Manufacture of can opening
JPS58161843U (ja) * 1982-04-22 1983-10-28 東洋製罐株式会社 容器の口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21169B (zh) 2011-08-10
JPWO2007122971A1 (ja) 2009-09-03
WO2007122971A1 (ja) 2007-11-01
JP5051394B2 (ja) 2012-10-17
KR20080106420A (ko) 2008-12-05
CN101421169A (zh)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379B1 (ko) 금속제 캔
US7798357B2 (en) Bottle can member, bottle, and thread forming device
KR100714083B1 (ko) 합성수지제 캡, 폐지장치, 및 음료 충진 용기
US4434641A (en) Buckle resistance for metal container closures
US10486852B2 (en) Can end produced from downgauged blank
US8167161B2 (en) Metallic container closure having internal pressure release function
US3924777A (en) Non-detachable easy open flap and tab assembly
CN105073589A (zh) 用于容器端盖的易操作开启拉片
CN101835693A (zh) 具有第一盖件和装配在第一盖件上的第二盖件的瓶盖
US4149479A (en) Method for forming opening means in panel
KR102583427B1 (ko) 플라스틱 캡 및 그 제조 방법
US3362563A (en) Frangible closure cap
JP7046163B2 (ja) ネジ付き容器用の金属栓を形成する装置及び方法
US3960287A (en) Easy-open ecology crown cap
JP6198471B2 (ja) 二重エアゾール容器
JP5577410B2 (ja) 金属製缶の密封リップ加工装置
JPH0891456A (ja) エアゾル噴射頭
JP5392772B2 (ja) 液体噴出容器
KR20060125107A (ko) 밀폐용 병마개
JPS591360A (ja) 密封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56574B2 (ja) 罐口の成形方法
JP3537736B2 (ja) ラムネびん及びその開栓具
JP2008302935A (ja) 金属缶の開口具
JP2006248533A (ja)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