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477B1 -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477B1
KR101018477B1 KR1020080136763A KR20080136763A KR101018477B1 KR 101018477 B1 KR101018477 B1 KR 101018477B1 KR 1020080136763 A KR1020080136763 A KR 1020080136763A KR 20080136763 A KR20080136763 A KR 20080136763A KR 101018477 B1 KR101018477 B1 KR 101018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value
fan
humidity
stored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485A (ko
Inventor
윤대덕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47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습도값을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팬의 작동이 변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저장된 습도값과 팬 작동 변환후 감지된 습도값을 비교하여 습도값을 보상하는 보상단계를 포함하여, 가습공기청정기 내부의 습기로 인해 습도값이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습, 공기, 청정, 습도

Description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ir washer}
본 발명은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습도값을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팬의 작동이 변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저장된 습도값과 팬 작동 변환후 감지된 습도값을 비교하여 습도값을 보상하는 보상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습 및 공기정화기는 한국등록실용 제20-0157935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도면에서 10은 상부 케이스, 20은 내부에 물이 담기는 하부 케이스를 각각 보인 것으로, 상부 케이스(10)에 형성된 고정틀(11)에 모터(30)가 고정되고, 모터(30)의 축에는 송풍팬(31)이 고정되어있으며, 고정틀(11)의 하측 결합부(12)에는 한쌍의 롤러(40)가 결합되어있어, 상기 모터(30)가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하면 송풍팬(31)이 회전하고, 한쌍의 롤러(4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예컨데,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모터(30)의 축과 롤러(40)의 축에는 서로 맞물리는 웜과 웜기어가 결합됨으로써 모터(30)의 축이 회전함에 따라 롤러(40)가 구동되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상부 케이스(10)의 일측부에는 전원을 온,오프하고 송풍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노브(50)가 결합되어있다.
도면에서 100은 디스크 롤러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이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는 디스크A와 디스크B가 롤러 형태로 조립되어 디스크 롤러(101)를 이루고 있으며, 양쪽의 디스크 롤러(101)가 상기 롤러(40)와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는 한쌍의 디스크 롤러(101)와, 이 한쌍의 디스크 롤러(101)에 결합된 축봉(111)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간과, 양쪽 지지간이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디스크 롤러(101)는, 지지관의 중간부에 복수개의 디스크B가 결합된과 아울러 디스크B의 양쪽부에 중간 지지판이 결합되고, 지지관의 양측부에 복수개의 디스크A가 결합됨과 아울러 지지관의 단부에 캡이 각각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디스크A와 디스크B는 중간부에 결합공이 형성됨과 우울러 결합공의 주연부에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절결부가 방사방향으로 형성되며, 일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돌기가 형성됨과 아울러 다른면에는 연결홈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중간 지지판은 중간부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결합공의 주연부에 환상 결합리브가 형성됨과 아울러 환상 결합리브에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어있으며, 일면에 복수개의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면에 연결홈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캡은 중간부에 고정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관부의 단부에 환상 걸림턱이 형성되어있으며, 고정관부의 주위로 복수개의 원형통공이 형성되고, 고정관부의 외면에는 쐐기형 걸림턱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지지관은 상기 디스크A와 디스크B 및 중간 지지판의 걸림홈이 삽입되는 걸림리브가 형성되고, 지지관의 중간부에는 상기 중간 지지판의 결합리브가 결합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있으며, 지지관의 양단부에는 상기 캡의 고정관부가 삽입되어 그의 걸림턱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공이 각각 형성되어있다.
상기 디스크 롤러(101)는 조립할 때, 지지관에 하나의 중간 지지판, 예를 들어 제5도에 도시한 두 개의 중간 지지판 중 우측 중간 지지판을 그의 걸림홈에 지지관의 걸림리브가 삽입되도록 맞춘후 밀어 넣으면 중간 지지판의 결합리브가 지지관의 걸림턱 사이에 끼워져 안정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복수개의 디스크B를 그의 걸림홈에 지지관의 걸림리브가 삽입되도록 맞춰 끼운후, 다른 하나의 중간 지지판을 위와 같이 삽입 결합한다. 이어서, 지지관의 양측부에 복수개의 디스크A를 위 디스크B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하고, 지지관의 내측으로 축단 지지관이 양단부에 고정된 축봉(111)을 삽입한후, 상기 지지관의 양단부에 캡의 고정관부를 삽입하면 고정관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지지관의 걸림공에 끼워져 걸리고, 캡의 환상 걸림턱이 축봉(111)의 양단부에 고정된 축단 지지관의 내측단부에 걸려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로써 디스크 롤러(101)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디스크 롤러(101)는 지지간의 양단부에 형성된 축공에 축봉(111)의 양쪽 축단 지지관이 삽입됨으로써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를 이루게 되며, 이와 같이된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의 양쪽 축단 지지관은 제2도와 같이 하 부 케이스(20)의 내벽면에 형성된 축받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를 이루는 디스크A와 디스크B, 중간 지지판, 캡 및 지지관은 합성수지에 방향제, 항균제 및 살균제 등을 혼입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출성형으로 제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하부 케이스(20)의 낼부에 소정 높이로 물을 담고 상,하부 케이스(10),(20)를 결합한후 모터(3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면 모터(30)의 회전력으로 송풍팬(31)이 회전하고, 송풍팬(31)과 연동하는 롤러(40)에 의해 디스크 롤러(101)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디스크 롤러(101)의 디스크A,B에 박막형으로 묻어있는 물이 디스크 A,B의 원심력과 송풍팬(31)에 의한 강제 송풍력에 의해 미세하게 분해되면서 공기와 함께 하부 케이스(20)의 주벽에 형성된 그릴을 통하여 실내에 사방으로 고르게 확산되어 실내에 가습하게 되며, 그외 작용은 종래 가습 및 공기정화기와 같다.
전술한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자연가습청정기는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수조내 가습수를 퍼올려 대기중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가습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습 및 공기정화기는 디스크등에 뭍어 있는 물이 증발되어 습도센서의 값에 영향을 주어, 가습 및 공기정화기의 동작 또는 정지시 실제의 습도값과 감지된 습도값이 차이가 나서 제어상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습공기청정기 내부의 습기로 인해 습도값이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은, 습도값을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팬의 작동이 변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저장된 습도값과 팬 작동 변환후 감지된 습도값을 비교하여 습도값을 보상하는 보상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상단계에서 저장된 습도값이 감지된 습도값보다 크면 저장된 습도값을 습도값으로 선정하고, 상기 보상단계에서 저장된 습도값이 감지된 습도값보다 작으면 감지된 습도값을 습도값으로 선정하며, 상기 판단단계 이후에, 팬이 운전 또는 정지된 시간이 정해진 시간이내인지 판단하는 운전시간감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 이전에, 물수위가 팬 운전 수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 이전에, 저장된 습도값이 팬 운전 습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상단계에서 선정된 습도값의 크기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다르게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습도값을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팬의 작동이 변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저장된 습도값과 팬 작동 변환후 감지된 습도값을 비교하여 습도값을 보상하는 보상단계를 포함하여, 가습공기청정기 내부의 습기로 인해 습도값이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상단계에서 저장된 습도값이 감지된 습도값보다 크면 저장된 습도값을 습도값으로 선정하고, 상기 보상단계에서 저장된 습도값이 감지된 습도값보다 작으면 감지된 습도값을 습도값으로 선정하여, 저장된 습도값보다 감지된 습도값이 크면 가습공기청정기 내부의 습기로 인해 감지된 습도값이 영향을 받은 것이므로 감지된 습도값을 버리고 저장된 습도값으로 선정하고, 저장된 습도값보다 감지된 습도값이 작으면 감지된 습도값이 가습공기청정기 내부의 습기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이므로 감지된 습도값으로 선정하여 단순한 과정을 통해 습도값이 보상될 수 있으며, 더욱 정확한 습도값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 이후에, 팬이 운전 또는 정지된 시간이 정해진 시간이내인지 판단하는 운전시간감지단계를 포함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가습공기청정기 내부의 습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정해진 시간 이후에는 상기 보상단계를 거치지 않도록 하여 가습공기청정기가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 이전에, 물수위가 팬 운전 수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단계 이전에, 저장된 습도값이 팬 운전 습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를 포함하여, 팬이 자동으로 정지되거나 자동으로 운전시 자동으로 습도값이 보상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보상단계에서 선정된 습도값의 크기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다르게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여, 소비전력은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에게 중요한 정보는 더 눈에 띄게 표시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플로우차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은, 습도값을 저장하는 저장단계(S1)와, 팬의 작동이 변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8)와, 저장된 습도값과 팬 작동 변환후 감지된 습도값을 비교하여 습도값을 보상하는 보상단계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팬이 운전되고 있거나 팬이 정지되어 있을 때 습도센서 등을 통해 감지된 습도를 저장한다.(S1)
상기 제어부는 수위센서 등을 통해 감지된 물수위가 팬 운전 수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
물수위가 팬 운전수위가 아니면 팬 운전을 정지시킨다.(S7')
물수위가 팬 운전수위이면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습도값이 팬 운전 습도(59%)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5)
저장된 습도값이 팬 운전 습도가 아니면 팬 운전을 정지시킨다.(S7')
저장된 습도값이 팬 운전 습도이면 상기 제어부는 팬모터를 구동시켜서 팬을 운전시킨다.(S9)
상기 제어부는 팬모터를 위상제어하여 OFF횟수를 조절함으로써 강풍, 약풍과 같이 풍량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제1판단단계(S3)와 제2판단단계(S5)를 통해, 팬이 자동으로 정지되거나 자동으로 운전시 자동으로 습도값이 보상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팬은 전원 버튼에 의해 운전 또는 정지될 수 있다.
습도값을 저장할 때 팬의 작동상태와 현재 팬의 작동상태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팬의 작동이 변환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S8)
팬의 작동상태가 변환되지 않고 계속 유지되면 저장단계(S1)로 리턴된다.
팬의 작동상태가 변환되면 변환 후에 팬이 운전되거나 정지된 시간이 정해진 시간 이내인지 감지한다.(S9)
상기 정해진 시간은 팬이 정지되었다가 운전으로 상태가 변환되었을 경우에는 30초가 될 수 있고, 팬이 운전되었다가 정지로 상태가 변환되었을 경우에는 1시간이 될 수 있다.
팬이 운전되거나 정지된 시간이 정해진 시간을 지나면 습도값을 보상하지 않고 감지된 습도값을 습도값으로 선정한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가습공기청정기 내부의 습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정 해진 시간 이후에는 상기 보상단계를 거치지 않도록 하여 가습공기청정기가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팬이 운전된 시간이 정해진 시간 이내이면 상기 보상단계로 진행된다.
상기 보상단계는 저장된 습도값과 감지된 습도값을 비교하여(S11) 습도값을 보상한다.
저장된 습도값이 팬의 작동상태가 변환된 상태에서 감지된 습도값보다 크면 저장된 습도값을 습도값으로 선정한다. (S12)
저장된 습도값이 팬의 작동상태가 변환된 상태에서 감지된 습도값보다 작으면 감지된 습도값을 습도값으로 선정한다.(S13)
이와 같이 저장된 습도값보다 감지된 습도값이 크면 가습공기청정기 내부의 습기로 인해 감지된 습도값이 영향을 받은 것이므로 감지된 습도값을 버리고 저장된 습도값으로 선정하고, 저장된 습도값보다 감지된 습도값이 작으면 감지된 습도값이 가습공기청정기 내부의 습기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이므로 감지된 습도값으로 선정하여 단순한 과정을 통해 습도값이 보상될 수 있으며, 더욱 정확한 습도값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상단계에서 저장된 습도값이 선정될 경우에는, 팬의 작동상태 변환 후 일정시간 동안은 별도로 습도값을 감지하지 않고, 저장된 습도값을 습도값으로 계속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일정 시간은 팬이 정지되었다가 운전으로 상태가 변환되었을 경우에는 30초가 될 수 있고, 팬이 운전되었다가 정지로 상태가 변환되었을 경우에는 1시간 이 될 수 있다.
팬의 작동상태가 변환된 후 팬이 운전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팬이 정지상태이면 상기 보상단계에서 선정된 습도값을 디스플레이 휘도 50%로 표시한다.(S17)
팬이 운전상태이면 상기 보상단계에서 선정된 습도값이 정해진 범위(40%~64%) 내의 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15)
상기 보상단계에서 선정된 습도값이 정해진 범위 내의 값이면 선정된 습도값을 디스플레이 휘도 100%로 표시한다.(S16)
상기 보상단계에서 선정된 습도값이 정해진 범위 내의 값이 아니면 디스플레이 휘도 50%로 표시한다.(S15)
이와 같이 팬이 운전 상태일 때와 정지상태일 때 모두 실내의 습도값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다.
습도 표시범위는 20%RH~60%RH가 될 수 있다.
선정된 습도값은 5%단위로 레벨바(LEVEL BAR)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보상단계에서 선정된 습도값의 크기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다르게 표시하여, 소비전력은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에게 중요한 정보는 더 눈에 띄게 표시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은, 특히, 흡입구측에 습도센서가 구비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적합하다.
도 1은 종래의 가습 및 공기정화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보상방법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2보상방법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플로우차트.

Claims (7)

  1. 습도값을 저장하는 저장단계;
    팬의 작동이 변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팬의 작동이 변환되면, 저장된 습도값과 팬 작동 변환후 감지된 습도값을 비교하여 습도값을 보상하는 보상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단계에서 저장된 습도값이 감지된 습도값보다 크면 저장된 습도값을 습도값으로 선정하는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단계에서 저장된 습도값이 감지된 습도값보다 작으면 감지된 습도값을 습도값으로 선정하는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 이후에,
    팬이 운전 또는 정지된 시간이 정해진 시간이내인지 판단하는 운전시간감지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 이전에,
    물수위가 팬 운전 수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 이전에,
    저장된 습도값이 팬 운전 습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판단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단계에서 선정된 습도값의 크기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휘도를 다르게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KR1020080136763A 2008-12-30 2008-12-30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KR101018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763A KR101018477B1 (ko) 2008-12-30 2008-12-30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763A KR101018477B1 (ko) 2008-12-30 2008-12-30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485A KR20100078485A (ko) 2010-07-08
KR101018477B1 true KR101018477B1 (ko) 2011-03-02

Family

ID=4263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763A KR101018477B1 (ko) 2008-12-30 2008-12-30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4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274A (ja) * 1992-09-14 1994-04-05 Toshiba Corp 浴室用換気扇の運転制御装置
JP2001059638A (ja) 1992-08-11 2001-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638A (ja) 1992-08-11 2001-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器
JPH0694274A (ja) * 1992-09-14 1994-04-05 Toshiba Corp 浴室用換気扇の運転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485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665B1 (ko) 공기가습청정기용 디스크 및 디스크 어셈블리
JP5483652B2 (ja) 加湿装置
JP2008281277A (ja) 加湿器
JP2010151365A (ja) 加湿装置
KR101018477B1 (ko) 가습공기청정기 제어방법
EP3330625B1 (en) Humidifier
JP2009068763A (ja) 加湿器
KR101249505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102459513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04003864A (ja) 空気調和機
JP3649919B2 (ja) 空気清浄装置
JP2008057847A (ja) 加湿器
JP2002081718A (ja) 加湿器
KR100805666B1 (ko) 가습공기청정기용 디스크 어셈블리
KR101027058B1 (ko) 가습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JP2003343974A (ja) 傘自動乾燥装置
JP2006263632A (ja) 除湿機
JP3176473B2 (ja) 電気除湿機
JP7203298B2 (ja) 加湿装置
KR200466909Y1 (ko) 가습공기청정기
JP2003194371A (ja) 加湿器
JP2011167585A (ja) 除湿装置
KR20060122097A (ko) 제습기의 응축수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KR101240085B1 (ko) 가습 공기청정기용 수조조립체
JPH1123027A (ja) 換気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