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513B1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513B1
KR102459513B1 KR1020180043535A KR20180043535A KR102459513B1 KR 102459513 B1 KR102459513 B1 KR 102459513B1 KR 1020180043535 A KR1020180043535 A KR 1020180043535A KR 20180043535 A KR20180043535 A KR 20180043535A KR 102459513 B1 KR102459513 B1 KR 102459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air
outdoor
air conditioner
operation m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950A (ko
Inventor
라기공
박진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80043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51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환경에 대응하여 제습모드 또는 가습모드의 가동이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모드와 실내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외의 환경에 관한 실외환경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 중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환경정보에 대응하여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의 가동여부가 결정되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에 제습, 가습, 냉방, 난방, 공기 정화, 환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계절의 변화에 맞추어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제습 또는 가습하는 경우 계절별로 제습 또는 가습의 필요성이 상이하게 된다.
즉, 동절기에는 공기가 건조하므로 가습의 필요성은 높지만 제습의 필요성이 낮다. 또한, 동절기에 일시적으로 실내 습도가 높아진 경우 제습모드로 가동하지 않더라도 대기가 건조하므로 실외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실내 습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하절기에는 공기가 습하므로 제습의 필요성은 높지만 가습의 필요성은 낮다. 또한, 하절기에 일시적으로 실내 습도가 낮아진 경우 가습모드로 가동하지 않더라도 대기가 습하므로 실외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실내 습도가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계절에 상관없이 실내 습도가 설정기준을 벗어난 경우 무조건 제습모드 또는 가습모드로 가동되므로, 불필요하게 제습장치 또는 가습장치를 가동시키게 되어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였다.
한편, 실내공기의 질을 결정하는 요소로는 CO2, VOC(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세먼지, 온도, 습도가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요소는 공기조화기를 가동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CO2, VOC, 미세먼지의 농도를 낮추기 위해 공기조화기는 환기모드 또는 공기청정모드로 가동될 수 있다. 또한,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쾌적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 가습, 제습, 난방, 냉방모드 중 어느 하나의 운전모드로 가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요소마다 실내공기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운전모드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실내공기에 포함된 CO2와 VOC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큰데, 어떤 운전모드를 우선적으로 가동하느냐에 따라 실내공기의 CO2와 VOC 농도는 달라지므로 운전모드의 선택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마다 가동되는 부품이 차이가 있으므로, 각각의 운전모드를 가동하기 위한 에너지 소모량의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실내공기의 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면서도 에너지 소모를 적게 할 수 있는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한데, 소비자가 어떤 운전모드로 가동할지 판단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2838호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공기조화기는 환기모드, 제습모드, 가습모드, 공기청정모드로 각각 가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각각의 운전모드를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기재되어 있고, 계절에 따른 운전모드의 선택에 대한 기재가 없고, 어떤 운전모드를 우선으로 가동할지에 대한 기재가 없어, 실내공기의 질 개선과 에너지 소모량 감소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외환경에 대응하여 제습모드 또는 가습모드의 가동이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운전모드 중 환기모드가 우선적으로 가동되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질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기모드를 습도조절모드보다 우선적으로 가동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공기의 오염물질이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모드와 실내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외의 환경에 관한 실외환경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 중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공기조화기는, 실외의 환경에 관한 실외환경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가동하기 위한 제1가동조건과, 상기 제1가동조건보다 상기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의 가동 범위를 줄이는 제2가동조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가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외환경정보는, 계절에 관한 정보와 실외공기의 온도에 관한 정보와 실외공기의 습도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외환경정보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외부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거나, 현재 계절이 동절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거나, 현재 계절이 하절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거나, 현재 계절이 하절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습도가 설정습도 이상이거나, 현재 장마철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와 제2설정온도 사이인 경우 또는 현재 계절이 간절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와, 실내공기를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다시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청정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공기청정모드에 우선하여 상기 환기모드가 가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자동운전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가 정해진 순서대로 가동되되 상기 환기모드가 우선하여 가동되는 자동운전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실내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모드와 실내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실외의 환경에 관한 실외환경정보가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 중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실외환경정보에 대응되는 모드로 가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a) 실외의 환경에 관한 실외환경정보가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가동하기 위한 제1가동조건과, 상기 제1가동조건보다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의 가동 범위를 줄이는 제2가동조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가동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실외환경정보에 대응되는 가동조건으로 가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환경정보는, 계절에 관한 정보와 실외공기의 온도에 관한 정보와 실외공기의 습도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외환경정보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외부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거나, 현재 계절이 동절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거나, 현재 계절이 하절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습도가 설정습도 이상이거나, 현재 장마철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와 제2설정온도 사이인 경우 또는 현재 계절이 간절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와, 실내공기를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다시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청정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공기청정모드에 우선하여 상기 환기모드가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자동운전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가 정해진 순서대로 가동되는 자동운전모드로 가동하되 상기 환기모드가 우선하여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환경에 대응하여 제습모드 또는 가습모드의 가동이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운전모드 중 환기모드가 우선적으로 가동되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질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환기모드를 습도조절모드보다 우선적으로 가동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제어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실외의 환경에 관한 정보인 실외환경정보에 대응하는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0),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21,22)를 포함한다. 또한, 실내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부(23)와 실내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부(24)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운전모드는, 상기 제습부(23)에 의해 실내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모드, 상기 가습부(24)에 의해 실내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전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 실내공기를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다시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청정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실외환경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 중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실외환경정보는, 동절기와 하절기 및 간절기로 이루어진 계절에 관한 정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실외공기의 온도에 관한 정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실외공기의 습도에 관한 정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동절기에는 가습의 필요성은 높지만 제습의 필요성이 낮으므로 제습모드가 가동되지 않고, 제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하절기에는 제습의 필요성은 높지만 가습의 필요성은 낮으므로 가습모드가 가동되지 않고, 가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간절기에는 제습과 가습이 모두 필요할 수 있으므로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절기는 장마철과 구분하여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고, 장마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외환경정보에 따라 필요성이 낮은 모드의 가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하게 되면, 실내 상황에 따라 일시적으로 습도의 변동이 있더라도 실외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실내 습도가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로 가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에너지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계절에 관한 판단은 실외공기의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실외온도가 설정온도(제1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현재 계절이 동절기라고 판단할 수 있고, 실외온도가 설정온도(제2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현재 계절이 하절기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와 제2설정온도 사이인 경우 현재 계절이 간절기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장마철의 판단은 실외공기의 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실외공기의 습도가 설정습도 이상인 경우 장마철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계절 또는 실외공기의 온도 또는 실외공기의 습도에 관한 판단은 실외온도센서(41) 또는 실외습도센서(42)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외부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정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어부(10)에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외온도센서(41)와 실외습도센서(42)는 공기조화기(1)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서버는 공기조화기(1)와 인터넷 망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0)에서 실외환경정보를 요청하면 실외공기의 온도 또는 습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날씨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외부서버로부터 장마철로 판단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도 있고, 이 기간동안에는 장마철에 대응되는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2)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공기조화기(1) 본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리모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32)에는 계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동절기와 하절기(장마철) 및 간절기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계절에 대응하는 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실외환경정보에 대응하도록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제외하고 가동하거나,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하여 가동하도록 제어부(10)에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의 가동을 제한하도록 가동조건을 변경하는 것으로 제어부(10)에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실외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가동하기 위한 제1가동조건과, 상기 제1가동조건보다 상기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의 가동 범위를 줄이는 제2가동조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어부(10)에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의 가동 범위를 줄인다는 것은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의 가동조건을 제한하여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가 가동될 가능성을 줄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실내습도센서(52)에서 측정한 현재 실내습도와 설정습도의 차이인 습도차를 구한다. 이 경우 상기 제1가동조건은 상기 습도차가 제1상한값(예를 들어, +5%)과 제1하한값(예를 들어, -5%) 사이로 정의되는 제1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동조건은 상기 습도차가 상기 제1설정범위보다 넓은 범위로 정의되는 제2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설정범위의 일례로, 상기 습도차가 상기 제1상한값보다 큰 제2상한값(예를 들어, +10%)과 상기 제1하한값보다 작은 제2하한값(예를 들어, -10%) 사이로 정의할 수도 있고, 제2상한값과 제1하한값 사이의 범위 또는 제1상한값과 제2하한값 사이의 범위 등 상기 제1설정범위보다 큰 다양한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가동조건을 적용하게 되면, 동절기에 제습을 하기 위해서는 습도차가 제1상한값보다 큰 제2상한값을 초과해야 하므로, 습도차가 제2설정범위를 벗어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습모드의 가동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하절기에 가습을 하기 위해서는 습도차가 제1하한값보다 작은 제2하한값 미만이 되어야 하므로, 습도차가 제2설정범위를 벗어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가습모드의 가동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간절기에는 제1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제습모드 또는 가습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0)에 제습모드 또는 가습모드의 가동조건을 설정하게 되면 동절기에 제습모드로 가동되는 경우를 줄일 수 있고, 하절기에 가습모드로 가동되는 경우를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절은 공기조화기(1)에 구비된 타이머(31)에서 계산한 월별로 계절을 구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송풍기(21)는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송풍기(22)는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습부(23)는 제습모드시 상기 제1송풍기(21)에 의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일례로 히트펌프의 증발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부(23)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실외공기에 방출하는 제습로터와 상기 제습로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습로터로 유동하는 실외공기를 가열하여 제습로터를 재생시키는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습부(24)는 가습모드시 상기 제1송풍기(21)에 의해 실내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제습로터의 수분을 증발시켜 실내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례로 히트펌프의 응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습부(23)와 가습부(24)는 상기한 구성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의 환경조건을 감지하기 위해 복수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공기조화기(1)와 별도로 구비된 센싱박스(미도시)에 구비될 수도 있고, 공기조화기(1)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실내의 다양한 위치에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온도센서(51), 실내공기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습도센서(52), 실내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먼지센서(53), 실내공기에 포함된 CO2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CO2센서(54), 실내공기에 포함된 VOC(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VOC센서(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에서 감지된 실내온도, 실내습도, 먼지의 농도, CO2의 농도, VOC의 농도는 공기조화기(1)의 제어부(10)에 수신된다.
상기 공기조화기(1)는 복수의 운전모드가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가동되는 자동운전모드로 가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에는 자동운전버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자동운전버튼을 누르면 공기조화기(1)는 실내환경조건을 감지하여 필요한 운전모드로 가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에는 복수의 운전모드에 대한 우선순위가 설정될 수 있고, 환기모드가 다른 운전모드에 대해 우선하여 가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환기모드가 우선하여 가동된다는 것은 자동운전모드의 경우 환기모드, 습도조절모드(제습모드, 가습모드), 공기청정모드의 순서로 가동되는 것과 습도조절모드 또는 공기청정모드의 가동 중 환기모드 가동조건을 충족시킨 경우 가동 중이던 운전모드를 중단하고 환기모드를 가동시키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실내공기의 질을 결정하는 요소로는 CO2, VOC, 미세먼지, 온도, 습도가 있고, 이 중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오염물질인 먼지, CO2, VOC의 농도가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 중 어느 운전모드로 가동하는지에 따라 공기조화의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즉, CO2와 VOC 및 미세먼지의 농도가 낮아지는 정도가 달라지고, 실내공기의 온도/습도가 가변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CO2는 필터에 의해 여과되지 않으므로 환기모드로 가동하여 농도를 가장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다.
상기 VOC는 공기청정모드로 가동하는 경우에도 약간의 효과는 있으나, 환기모드로 가동하면 공기청정모드보다 더 효과적으로 농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먼지는 환기모드로 가동하여 실외로 배출함으로써 일부 제거할 수도 있지만, 공기청정모드로 가동하여 필터에서 여과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으로 농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온도의 경우 냉방모드나 난방모드로 가동하는 대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전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로 가동하면 실내 온도를 쾌적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습도의 경우 제습모드를 가동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으로 실내 습도를 쾌적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물론, 제습모드로 가동하는 대신 환기모드로 가동하여 실외공기를 이용하여 실내 습도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결국 실내공기의 질을 결정하는 요소를 변화시키기 위한 운전모드는 각 요소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운전모드가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CO2와 VOC와 같이 필터에서 여과가 되지 않는 요소의 경우에는 환기모드를 가동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먼지와 같이 필터에서 여과가 되는 요소의 경우에는 공기청정모드로 가동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경우 CO2와 VOC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판단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따라서 자동운전모드로 가동되면 복수의 운전모드 중 환기모드가 가장 우선적으로 가동되도록 제어부(10)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환기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의 가동 중인 경우를 포함하여 환기모드의 가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항상 환기모드 가동조건을 모니터링하고, 환기모드 가동조건이 충족되면 현재 가동중인 운전모드의 가동을 중단하고, 환기모드가 가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31)는 환기모드의 가동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이 시작되면 타이머(31)는 가동시간을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10)에는 상기 환기모드의 최소 가동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환기모드로 가동되기 시작하면 상기 최소 가동 시간 이상 가동되어야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에 의해 실내공기의 상태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최소한 유의미한 정도의 환기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에는 상기 환기모드의 최대 가동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환기모드로 가동되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므로 실내공기의 질은 실외공기의 질에 영향을 받게 된다. 환기모드의 가동시간이 필요이상으로 길면 실외공기의 질이 나쁜 경우 실내공기의 질도 나빠지고, 나빠진 실내공기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다시 환기모드를 가동시켜야 하므로 환기모드의 가동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환기모드가 최대로 가동되는 시간을 최대 가동 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에는 환기모드의 정지 제한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정지 제한 시간은 환기모드가 일정 시간 이상 가동되지 않는 정지상태가 너무 오래 지속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정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01에서 실외환경정보가 제어부(10)에 수신된다. 실외온도센서(41) 또는 실외습도센서(42)로부터 수신된 실외온도정보 또는 실외습도정보 또는 계절에 관한 정보, 외부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실외온도정보 또는 실외습도정보 또는 계절에 관한 정보,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계절에 관한 정보, 타이머(31)에 의해 계산된 계절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이 제어부(10)에 수신된다.
단계 S102, S104에서 제어부(10)는 현재 어느 계절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먼저, 단계 S102에서 동절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동절기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단계 S10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104로 진행한다. 이 경우 동절기에 해당하는지 여부 대신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32)를 통해 동절기에 해당하는 메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 신호가 제어부(10)에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단계 S103에서 동절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동절기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운전모드 중 제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제어부(10)에 설정한다.
단계 S104에서 하절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하절기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S10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106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하절기에 해당하는지 여부 대신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32)를 통해 하절기에 해당하는 메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 신호가 제어부(10)에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단계 S105에서 하절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하절기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운전모드 중 가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제어부(10)에 설정한다.
단계 S102와 S104에서 동절기와 하절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계절은 간절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06에서 간절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간절기에 대응하는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간절기에 대응하는 운전모드는,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만약 실외온도를 기초로 간절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실외온도가 봄과 가을의 실외온도에 해당하는 제1설정온도와 제2설정온도 사이인 경우 간절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동절기, 하절기, 간절기의 순서로 판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계절의 판단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단계 S107에서 상기에서 판단된 계절에 대응하도록 운전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설정된 운전모드의 가동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현재 계절이 동절기에 해당하는 경우 제습모드를 제외한 환기모드, 가습모드, 공기청정모드 각각의 가동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현재 계절이 하절기에 해당하는 경우 가습모드를 제외한 환기모드, 제습모드, 공기청정모드 각각의 가동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현재 계절이 간절기에 해당하는 경우 제습모드와 가습모드 중 하나 이상, 환기모드, 공기청정모드 각각의 가동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가동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단계 S108로 진행한다.
단계 S108에서 가동조건이 충족된 운전모드로 가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동절기의 경우 환기모드, 가습모드, 공기청정모드가 가동될 수 있는데, 환기모드 또는 가습모드 또는 공기청정모드의 각각의 가동조건이 충족된 경우 해당 운전모드로 가동하게 된다.
단계 S109에서 상기 가동되는 운전모드의 종료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공기조화기(1)의 가동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현재 가동상태를 유지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도 2에서 설명한 내용 중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제어방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201에서 실외환경정보가 제어부(10)에 수신된다.
단계 S202에서 현재 계절이 동절기 또는 하절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동절기 또는 하절기에 해당하면 단계 S20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204로 진행한다.
단계 S203에서 동절기 또는 하절기에 해당하면 제어부(10)는 제습모드 또는 가습모드의 가동범위를 줄이는 제2가동조건이 적용되도록 선택한다.
단계 S204에서 동절기 또는 하절기에 해당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간절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가동조건이 적용되도록 선택한다.
이 경우 제2가동조건은 제1가동조건에 비하여 제습모드 또는 가습모드의 가동 범위를 줄이도록 설정된다.
또한, 동절기에 해당하는 경우의 제2가동조건과 하절기에 해당하는 경우의 제2가동조건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동조건이 실내의 습도차가 제1설정범위인 -5%에서 +5% 사이를 벗어난 경우 제습모드 또는 가습모드가 가동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 동절기에 해당하는 경우의 제2가동조건은 습도차가 -5%에서 +10%의 범위를 (+)방향으로 벗어날 경우에 제습모드가 가동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제습모드의 가동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하절기에 해당하는 경우의 제2가동조건은 습도차가 -10%에서 +5%의 범위를 (-)방향으로 벗어날 경우에 가습모드가 가동되도록 설정함으로써 가습모드의 가동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단계 S205 내지 S207은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단계 S107 내지 S109와 동일한 제어방법으로 이루어지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서는 복수의 운전모드에 환기모드와 제습모드 및 공기청정모드가 포함된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자동운전모드가 가동되는 경우 환기모드가 제습모드 및 공기청정모드에 우선하여 가동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단계 S301에서 자동운전신호가 제어부(10)에 입력되어 자동운전모드가 시작된다.
단계 S302에서 실내오염도가 설정기준을 벗어난 경우에는 환기모드로 가동하게 된다. 상기 실내오염도를 판단하는 기준은 CO2와 VOC 중 하나 이상이 설정기준을 벗어났는지 여부로 설정할 수 있다. 환기모드의 가동결과 실내오염도가 설정기준을 충족시킨 경우 환기모드를 종료시킨다. 환기모드가 종료되면 단계 S3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03에서 실내습도가 설정기준을 벗어난 경우에는 제습모드로 가동하게 된다.
실내습도센서(52)에서 측정한 현재습도와 제어부(10)에 기 설정된 설정습도의 차이인 현재 습도차를 기준으로 제습 가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0)에는 습도차 범위인 제1설정범위가 설정된다.
즉, 상기 제1설정범위의 상한값을 +5%, 제1설정범위의 하한값을 -5%로 설정한다. 상기 현재 습도차가 +5% 이상인 경우에는 제습가동조건을 충족하여 제습모드로 가동하고, 상기 현재 습도차가 -5% 이하가 되면 제습종료조건을 충족하여 제습모드를 종료하고, 단계 S304로 진행한다.
만약 현재 습도차가 상한값인 +5%와 하한값인 -5% 사이인 경우 이전 가동모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자동운전모드의 시작 이후 한 번이라도 제습모드로 가동한 경우에는 제습가동조건을 충족하여 제습모드로 가동되도록 하고, 자동운전모드의 시작 이후 한 번도 제습모드로 가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습종료조건을 충족하여 제습모드로 가동되지 않고 단계 S304로 진행한다.
상기 제습모드의 가동결과 실내습도가 설정기준을 충족시킨 경우 제습모드를 종료시키고, 단계 S304로 진행한다.
한편, 동절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습모드가 가동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제1설정범위 대신 제습모드의 가동범위를 줄이기 위해 상기 습도차가 제1설정범위보다 범위가 넓은 제2설정범위가 적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절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가습모드가 가동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제1설정범위 대신 가습모드의 가동범위를 줄이기 위해 상기 습도차가 제1설정범위보다 범위가 넓은 제2설정범위가 적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설정습도는 사용자가 조절할 수도 있고, 현재온도에 적합한 습도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S303 단계가 진행되고 있는 도중에도 환기모드 가동조건을 모니터링하고, 환기모드 가동조건이 충족되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단계를 중단하고, 환기모드가 가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기모드를 제습모드에 우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내공기의 CO2/VOC의 농도를 설정기준 이하로 관리할 수 있어 CO2와 VOC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소모량이 제습모드보다 작은 환기모드를 우선적으로 가동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습도조절모드의 하나인 제습모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가습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303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1송풍기(21)와 가습부(24)를 제어하여 가습모드로 가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습모드가 종료되면 공기청정모드가 진행된다. 또한, 상기 제습모드 또는 가습모드는 공기청정모드에 우선하여 진행된다.
단계 S304에서 실내먼지가 설정기준을 벗어난 경우 공기청정모드로 가동하게 된다. 공기청정모드의 가동결과 실내먼지가 설정기준을 충족시킨 경우 공기청정모드를 종료시킨다.
상기 단계 S304가 진행되고 있는 도중에도 환기모드 가동조건을 모니터링하고, 환기모드 가동조건이 충족되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단계를 중단하고, 환기모드가 가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실외환경에 대응하여 제습모드 또는 가습모드의 가동이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운전모드 중 환기모드가 우선적으로 가동되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질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환기모드를 우선적으로 가동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 : 공기조화기 10 : 제어부
21 : 제1송풍기 22 : 제2송풍기
23 : 제습부 24 : 가습부
31 : 타이머 32 : 입력부
41 : 실외온도센서 42 : 실외습도센서
51 : 실내온도센서 52 : 실내습도센서
53 : 먼지센서 54 : CO2센서
55 : VOC센서

Claims (24)

  1. 실내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모드와 실내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외의 환경에 관한 실외환경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 중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와, 실내공기를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다시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청정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공기청정모드에 우선하여 상기 환기모드가 가동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실내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모드와 실내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외의 환경에 관한 실외환경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가동하기 위한 제1가동조건과, 상기 제1가동조건보다 상기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의 가동 범위를 줄이는 제2가동조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가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환경정보는, 계절에 관한 정보와 실외공기의 온도에 관한 정보와 실외공기의 습도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환경정보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외부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거나, 현재 계절이 동절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거나, 현재 계절이 하절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습도가 설정습도 이상이거나, 현재 장마철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와 제2설정온도 사이인 경우 또는 현재 계절이 간절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와, 실내공기를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다시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청정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공기청정모드에 우선하여 상기 환기모드가 가동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자동운전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가 정해진 순서대로 가동되되 상기 환기모드가 우선하여 가동되는 자동운전모드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조건은 현재 실내습도와 설정습도의 차이인 습도차가 제1상한값과 제1하한값 사이로 정의되는 제1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가동조건은 상기 습도차가 상기 제1설정범위보다 넓은 범위로 정의되는 제2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실내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모드와 실내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실외의 환경에 관한 실외환경정보가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 중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실외환경정보에 대응되는 모드로 가동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와, 실내공기를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다시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청정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공기청정모드에 우선하여 상기 환기모드가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실내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모드와 실내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실외의 환경에 관한 실외환경정보가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b)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가동하기 위한 제1가동조건과, 상기 제1가동조건보다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의 가동 범위를 줄이는 제2가동조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가동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실외환경정보에 대응되는 가동조건으로 가동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환경정보는, 계절에 관한 정보와 실외공기의 온도에 관한 정보와 실외공기의 습도에 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환경정보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외부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거나, 현재 계절이 동절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거나, 현재 계절이 하절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습도가 설정습도 이상이거나, 현재 장마철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습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환경정보로부터, 실외온도가 제1설정온도와 제2설정온도 사이인 경우 또는 현재 계절이 간절기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한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와, 실내공기를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다시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청정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공기청정모드에 우선하여 상기 환기모드가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3. 제13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자동운전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가 정해진 순서대로 가동되는 자동운전모드로 가동하되 상기 환기모드가 우선하여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조건은 현재 실내습도와 설정습도의 차이인 습도차가 제1상한값과 제1하한값 사이로 정의되는 제1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가동조건은 상기 습도차가 상기 제1설정범위보다 넓은 범위로 정의되는 제2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가습모드와 제습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가동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80043535A 2018-04-13 2018-04-13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459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535A KR102459513B1 (ko) 2018-04-13 2018-04-13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535A KR102459513B1 (ko) 2018-04-13 2018-04-13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950A KR20190119950A (ko) 2019-10-23
KR102459513B1 true KR102459513B1 (ko) 2022-10-27

Family

ID=68461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535A KR102459513B1 (ko) 2018-04-13 2018-04-13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5608A (zh) * 2022-07-01 2022-11-18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空调防异味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空调器
KR102506254B1 (ko) * 2022-10-28 2023-03-07 (주)유원기술 공기청정기능 및 환기기능을 구현하는 냉방제습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285B1 (ko) * 2009-06-01 2010-02-23 (주)에이티이엔지 하이브리드 데시칸트 제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61944B1 (ko) * 2010-09-17 2011-09-05 (주)에이티이엔지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261A (ko) * 2016-07-29 2018-03-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285B1 (ko) * 2009-06-01 2010-02-23 (주)에이티이엔지 하이브리드 데시칸트 제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61944B1 (ko) * 2010-09-17 2011-09-05 (주)에이티이엔지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950A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4574B2 (ja) 換気装置
JP6234575B2 (ja) 換気装置
JP3187770B2 (ja) 空調システムのための湿度制御サーモスタット及び湿度制御方法
JP5535336B2 (ja) 換気空調装置
KR102426199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35986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KR102459513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09247469A (ja) 除湿装置
KR20240042370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448714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7051489B2 (ja) 換気システム
KR102426194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01355900A (ja) 空気調和機
KR102448713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N113757954A (zh) 用于空调器的控制方法及空调器
KR102368816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KR102325788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01343144A (ja) 空気調和機
WO2023042655A1 (ja) 空気調和機の換気制御方法、換気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122693A (ko) 공기 조화기의 가습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1317796A (ja) 空気調和機
JP2024057843A (ja) 空気調和機、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24046347A (ja) 空気調和機、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22151942A (ja) 調湿機能付き換気装置
JPH042745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