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944B1 -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944B1
KR101061944B1 KR1020100091694A KR20100091694A KR101061944B1 KR 101061944 B1 KR101061944 B1 KR 101061944B1 KR 1020100091694 A KR1020100091694 A KR 1020100091694A KR 20100091694 A KR20100091694 A KR 20100091694A KR 101061944 B1 KR101061944 B1 KR 101061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transfer
ventilation
transfer unit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태
홍석균
조승구
이현주
김영일
정광섭
박종일
금종수
김창연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에이티이엔지
Priority to KR1020100091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08Rotary wheel comprising a by-pass chan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24Rotary wheel combined with a humidifier

Abstract

본 발명은 데시칸트 로터 및 열교환 장치를 이용하여 사계절에 적합한 냉/난방 및 제습, 가습 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P),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제2전열유닛(C), 상기 제2전열유닛(C)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변(E), 상기 팽창변(E)을 통과한 냉매가 코일로 된 열교환부를 통과토록 하여 외부 공기가 냉각되도록 열교환시키는 제1전열유닛(V)으로 구성된 냉동장치(1); 외기가 도입되며 상기 제1전열유닛(V)에 연결된 외기도입부(2); 상기 외기도입부(2)와 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전열유닛(V)에서 냉각된 외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영역이 형성되고, 회전장치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되는 데시칸트 로터(R); 상기 데시칸트 로터(R)에서 제습된 냉각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급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의 내부에 장착된 급기팬(IF)으로 구성된 급기부(4); 상기 실내공간의 환기를 회수하며 상기 제2전열유닛(C)과 연결된 환기회수부(5); 상기 데시칸트 로터(R)에서 수분이 제거된 환기를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내에 장착된 배기팬(OF)으로 구성된 배기부(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HYBRI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데시칸트 로터 및 열교환 장치를 이용하여 사계절에 적합한 냉/난방 및 제습, 가습 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시스템은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여름철에는 실내 공기의 냉방을 위해 가동되며, 겨울철에는 난방을 위해 가동된다.
통상 실내에서는 이러한 냉/난방을 위해 여름철용 에어컨과 겨울철용 히터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봄, 가을철에는 별도의 공기조화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창문을 통한 외부 환기 정도로 만족하게 된다.
그리고 습도가 낮을 경우에 대비하여 가습기를 별도로 마련하여 둔다.
한편 최근에는 아파트의 건설시 실내 공기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전열 시스템을 갖도록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천장에 급,배기 덕트를 설비하고, 열교환을 위한 전열교환기가 설치된다.
즉, 실내의 공기를 전열교환기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전열교환기에서 외기와 열교환시키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내부 온도 및 습도 조절은 에어컨, 히터, 가습기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들 장비들의 구입 및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또한 이러한 장비들로 인해 실내 공간의 활용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환기의 열을 회수하고 있으나 여전히 에너지의 활용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에어컨과 난방기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사계절용 히트펌프에 대한 개발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히트펌프에 데시칸트 로터를 부가하여 습도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치도 개시되어 있다.
그 일 예에 해당되는 선행기술로써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83915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체적인 구성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조시스템은 냉난방, 환기 및 제습기능을 겸비하는 장치로서, 공기흡입통로(51)와 토출통로(52)가 형성된 덕트(50), 상기 흡입 및 토출통로에 각각 설치되는 흡입팬(54) 및 토출팬(55), 상기 덕트(50)의 흡입통로와 토출통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데시칸트 물질이 도포되는 동시에 다수개의 공기 톨과홀이 형성되는 제습장치(56), 상기 덕트(50)의 토출통로에서 제습장치 근처에 설치되어 제습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습기를 방출시키는 재생히터(57), 상기 제습장치를 기준으로 실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통로(51)와 토출통로(52)에 설치되는 전열교환기(58), 상기 덕트(50)에 설치되어 전열교환기(58)를 거친 실외 공기를 열교환시켜서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히트펌프장치(60)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필요에 따라 환기와 냉난방 및 제습기능을 동시에 또는 별개로 나타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조시스템을 외기도입식에 적용할 경우, 반드시 실내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가 있어야 하며, 크로스타입 열교환기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장치가 커지면서 그 비용이 추가되고 또한 팬의 동력도 증가하게 되므로 가동비용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겨울철에는 제습장치가 정지되고, 외기가 전열교환기 직접 접촉하므로 동파의 위험이 있으며, 제습장치가 공기의 흐름에 의해 막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또 사용하지 않는 제습장치에 의해 팬동력이 증가하므로 효율적인 가동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공간의 냉난방, 제습 및 가습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고, 공간점유율을 낮출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제2전열유닛, 상기 제2전열유닛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변, 상기 팽창변을 통과한 냉매가 코일로 된 열교환부를 통과토록 하여 외부 공기가 냉각되도록 열교환시키는 제1전열유닛으로 구성된 냉동장치; 외기가 도입되며 상기 제1전열유닛에 연결된 외기도입부; 상기 외기도입부와 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전열유닛에서 냉각된 외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영역이 형성되고, 회전장치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되는 데시칸트 로터; 상기 데시칸트 로터에서 제습된 냉각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급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의 내부에 장착된 급기팬으로 구성된 급기부; 상기 실내공간의 환기를 회수하며 상기 제2전열유닛과 연결된 환기회수부; 상기 데시칸트 로터에서 수분이 제거된 환기를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내에 장착된 배기팬으로 구성된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부 및 배기부에는 공기필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시칸트 로터는 원통형 바디와, 상기 바디를 격판으로 구획하여 제습영역과 재생영역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제습영역과 재생영역의 면적비율은 1:! 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습영역은 다수의 파형판을 밀집시켜 형성되며, 각 파형판의 외면에 제습제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장치는 데시칸트 로터의 중앙축과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연결수단으로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동장치는 냉매가 압축기로부터 제2전열유닛으로 이송되거나 또는 압축기로부터 제1전열유닛으로 이동되도록 냉매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열유닛으로부터 급기덕트로 직접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제1바이패스덕트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전열유닛으로부터 직접 배기덕트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제2바이패스덕트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기의 온도와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냉동장치가 구동되어 제1전열유닛은 증발기로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2전열유닛은 응축기로 작동하도록 하는 준비단계; 외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냉방운전, 냉방 및 제습병행운전, 제습운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운전선택단계; 외기도입부를 통해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운전선택단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가동시켜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외기도입단계; 상기 실내공간의 환기를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환기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봄·가을철에는 상기 냉동장치(1)의 구동을 정지하는 준비단계; 외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환기운전, 제습운전, 가습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운전선택단계; 외기도입부를 통해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운전선택단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운전시켜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외기도입단계; 상기 실내공간의 환기를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환기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와 습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냉동장치가 구동되어 제1전열유닛은 응축기로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2전열유닛은 증발기로 작동하도록 하는 준비단계; 외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난방운전, 난방 및 가습병행운전, 가습운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운전선택단계; 외기도입부를 통해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운전선택단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가동시켜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외기도입단계; 상기 실내공간의 환기를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환기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로서 실내공간의 냉난방, 제습 및 가습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고, 공간점유율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이용한 여름철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상기 도 3에서 '외기도입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3에서 '환기배출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이용한 여름철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상기 도 6에서 '외기도입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상기 도 6에서 '환기배출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이용한 겨울철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상기 도 9에서 '외기도입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상기 도 9에서 '환기배출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도면에 표시된 O.A는 외기, E.A는 배기, S.A는 급기, R.A는 환기를 의미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A)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P),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제2전열유닛(C), 상기 제2전열유닛(C)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변(E), 상기 팽창변(E)을 통과한 냉매와 외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제1전열유닛(V)으로 구성된 냉동장치(1);
외기가 도입되며 상기 제1전열유닛(V)에 연결된 외기도입부(2);
상기 제1전열유닛(V)을 통과하여 냉각된 외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영역이 형성되고, 회전장치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되는 데시칸트 로터(R);
상기 데시칸트 로터(R)에서 제습된 냉각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급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의 내부에 장착된 급기팬(IF)으로 구성된 급기부(4);
상기 실내공간의 환기를 회수하며 상기 제2전열유닛(C)과 연결된 환기회수부(5);
상기 데시칸트 로터(R)에서 수분이 제거된 환기를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 내에 장착된 배기팬(OF)으로 구성된 배기부(6);
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냉동장치(1)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P),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제2전열유닛(C), 상기 제2전열유닛(C)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변(E), 상기 팽창변(E)을 통과한 냉매와 외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제1전열유닛(V)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전열유닛(V)은 팽창변(E)을 통과한 후 온도가 낮아진 냉매가 공급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열교환부는 냉매가 통과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휜(fin)으로 구성된 것으로, 외기가 상기 휜 사이를 지나가는 동안 냉매와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 냉각되어 온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증발기의 기능을 하게 된다.
물론 후술될 겨울철 운전방법에서는 제1전열유닛(V)이 응축기가 됨으로써 온도가 낮은 외기를 가열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전열유닛(C)은 상기 제1전열유닛(V)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압축기(P)에서 압축된 냉매를 공급받아 응축시키는 응축기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응축시 발생된 응축열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회수된 환기를 예열하게 되고, 이렇게 예열된 환기가 데시칸트 로터(R)에 공급되어 제습영역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는 열원으로 작용함으로써 재생작용을 하게 된다.
물론 후술될 겨울철 운전방법에서는 제2전열유닛(C)이 증발기로 작용함으로써 온도가 높은 실내 환기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외기도입부(2)는 외기덕트를 통해 외기가 도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기덕트의 일단이 제1전열유닛(V)에 연결됨으로써 외기가 제1전열유닛(V)으로 안내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외기를 도입시키는 흡입력은 급기덕트 내에 장착된 급기팬(IF)의 가동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외기덕트의 내부에는 흡입된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기타 유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공기필터(F)가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배기덕트의 내부에도 공기필터(F)가 구비된다.
상기 데시칸트 로터(R)는 원통형 바디와, 상기 바디를 격판으로 구획하여 제습영역과 재생영역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외기도입부(2)와 급기부(4)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환기회수부(5)와 배기부(6)가 연결된다.
따라서 외기도입부(2)와 급기부(4)를 통해 외기가 도입되어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환기회수부(5)와 배기부(6)를 통해 실내공간의 탁한 환기가 회수될 수 있다.
또한 데시칸트 로터(R)의 제습영역과 재생영역의 면적비율은 1:1 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습영역은 제1전열유닛(V)에서 냉각된 외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부분으로, 다수의 파형의 굴곡을 갖는 파형판을 밀집시켜 형성되며, 각 파형판의 외면에 제습제가 도포되고, 상기 재생영역은 상기 제2전열유닛(C)에서 가열된 환기를 이용해 상기 제습영역에 흡수된 수분을 재생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습제로는 실리카 겔이나 티타늄 실리케이트와 같은 흡습성 물질이 적용된다.
상기 회전장치는 데시칸트 로터(R)의 중앙축과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연결수단으로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가 적정한 속도로 구동됨으로써 데시칸트 로터를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제1전열유닛(V)으로부터 급기덕트로 직접 공기가 흐르도록 제1바이패스(BP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전열유닛(C)으로부터 직접 배기부(6)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제2바이패스(BP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 2바이패스(BP1,BP2)에는 각기 데시칸트 로터(R)의 제습 및 가습 강도를 조절하도록 급기팬(IF) 및 배기팬(OF)의 회전속도에 연동되어 개도율이 조절되는 댐퍼(MV1,MV2)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P)로부터 제1전열유닛(V) 또는 제2전열유닛(C)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통하도록 냉매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전환밸브(H)가 더 포함된다.
상기 방향전환밸브(H)는 4군데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개구공을 갖는 바디와, 상기 4개의 개구공과 통하는 4개의 유로가 형성된 절환디스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4개의 개구공은 제1전열기(V), 제2전열기(C), 압축기(P)에 연결되는 2개의 배관과 각기 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방향전환밸브(H)의 작동에 의해 압축기(P)로부터 송출되는 냉매의 흐름 방향이 절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여름철의 운전에서는 압축기(P)에서 송출된 냉매가 제2전열유닛(C)으로 공급된 후 제1전열유닛(V)을 경유하여 회수되도록 방향이 설정된다.
반면 겨울철의 운전에서는 압축기(P)에서 송출된 냉매가 제1전열유닛(V)으로 공급된 후 제2전열유닛(C)을 경유하여 회수되도록 방향이 설정된다.
[제어방법]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A)를 외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운전하는 제어방법은
냉동장치(1)가 구동되어 제1전열유닛(V)과 제2전열유닛(C)이 작동되는 준비단계(B);
여름철, 봄·가을철, 겨울철의 외기 온도 및 습도 조건에 적합한 운전방식을 선택하는 운전선택단계(T);
외기도입부(2)를 통해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계절별 운전선택단계(T)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한 후 실내공간(100)으로 공급하는 외기도입단계(S);
상기 실내공간(100)의 환기를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환기배출단계(U)
를 포함한다.
이하 봄·가을철, 여름철, 겨울철로 구분되는 각 계절에 적합한 운전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이용한 여름철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상기 도 3에서 '외기도입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3에서 '환기배출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A)을 운전하는 제어방법 중 여름철의 운전방법은
제1전열유닛(V)은 증발기로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2전열유닛(C)은 응축기로 작동하도록 하는 준비단계(B);
외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냉방운전(T-1), 냉방 및 제습병행운전(T-2), 제습운전(T-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운전선택단계(T);
외기도입부(2)를 통해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운전선택단계(T)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내공간(100)으로 공급하는 외기도입단계(S);
상기 실내공간(100)의 환기를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환기배출단계(U)
를 포함한다.
상기 준비단계(B)는 압축기(P)가 구동되어 냉매를 제2전열유닛(C)로 공급하여 응축기로 작동하도록 하고, 이후 팽창변(E)을 통과하면서 팽창된 후 제1전열유닛(V)에 공급되어 증발기로 작동되도록 한 다음 다시 압축기(P)로 회수되는 냉방사이클이 수행된다.
상기 운전선택단계(T)는 외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냉방운전(T-1), 냉방 및 제습병행운전(T-2), 제습운전(T-3)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선택하게 된다.
즉, 냉방운전(T-1)은 외기온도가 실내공간(100)의 온도보다 높고 습도가 낮을때 선택된다.
냉방운전(T-1)을 선택하면, 냉동장치(1)의 압축기(P)가 가동되고, 데시칸트 로터(R)(도면에서는 D/C로 기재하였음)는 정지(OFF)되며, 급기팬(IF) 및 배기팬(OF)도 가동(ON)된다.
따라서 데시칸트 로터(R)가 정지됨으로써 제습기능은 정지되고, 외기가 제1전열유닛(V)에서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후 제1바이패스(BP1)를 통해 전량이 급기부(4)로 유입된 다음 실내공간(100)으로 공급된다.
냉방 및 제습병행운전(T-2)은 외기의 온도 및 습도가 실내공간(100)보다 높은 조건일때 선택된다.
냉방 및 제습병행운전(T-2)을 선택하면, 냉동장치(1)의 압축기(P)가 가동되고, 아울러 데시칸트 로터(R)도 가동(ON)되며, 급기팬(IF) 및 배기팬(OF)도 가동(ON)된다.
따라서 도입된 외기가 제1전열유닛(V)에서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후 제1바이패스(BP1) 및 데시칸트 로터(R)로 공급된다.
이때 제1바이패스(BP1)의 댐퍼(MV1)의 개도율에 따라 데시칸트 로터(R) 또는 제1바이패스(BP1)로 공급되는 외기의 이송량이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바이패스(BP1)의 댐퍼(MV1)가 50%만 개방됨으로써 데시칸트 로터(R) 또는 제1바이패스(BP1)로 공급되는 외기의 이송량이 균분되도록 한다.
물론 제습기능을 증대시켜야 할 경우에는 제1바이패스(BP1)의 댐퍼(MV1)의 개도율을 감소시켜 냉각된 외기가 데시칸트 로터(R)쪽으로 많이 공급되도록 하고, 이와 반대로 제습을 감소시켜야 할 경우에는 제1바이패스(BP1)의 댐퍼(MV1)의 개도율을 증가시켜 냉각된 외기가 데시칸트 로터(R)쪽으로 공급되는 양을 감소시킨다.
제습운전(T-3)은 외기온도가 실내공간(100)의 온도보다 낮고 습도가 높을때 선택된다.
제습운전(T-3)을 선택하면, 냉동장치(1)의 압축기(P)가 가동되고, 데시칸트 로터(R)도 가동되며, 급기팬(IF) 및 배기팬(OF)도 가동(ON)된다.
이때 도입되는 외기의 온도가 낮으므로 제1전열유닛(V)을 통과하더라도 열교환은 거의 없는 상태로 도입되고, 제1바이패스(BP1) 보다는 데시칸트 로터(R) 쪽으로 많이 이송된다.
즉 제1바이패스(BP1)의 댐퍼(MV1)를 폐쇄시켜 외기가 데시칸트 로터(R) 쪽으로 전량 이송되도록 하여 제습시킨다.
또한 냉방운전(T-1), 냉방 및 제습병행운전(T-2), 제습운전(T-3)은 "강,중,약 모드"로 세분되고, 상기 "강,중,약 모드"는 급기팬(IF) 및 배기팬(OF)의 회전속도로 정해진다.
즉, "강 모드"는 급기팬(IF) 및 배기팬(OF)이 고속으로 구동하여 외기 도입량 및 배기량을 최대로 증가시킨다.
"중 모드"는 급기팬(IF) 및 배기팬(OF)이 중간 속도로 구동되고, "약 모드"는 급기팬(IF) 및 배기팬(OF)이 저속으로 구동된다.
또한 상기 "강,중,약 모드"에 연동되어 제1 및 제2바이패스(BP1,BP2)의 댐퍼(MV1,MV2)의 개도율이 조절될 수도 있다.
즉, 제습 효율 또는 냉방 효율을 고려하여 댐퍼(MV1,MV2)가 0 ∼ 100%의 개도율 중 임의로 결정된다.
상기 외기도입단계(S)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기가 외기도입부(2)를 통해 제1전열유닛(V)으로 유입되어 냉각되는 1단계(S1)와, 상기 냉각된 외기가 데시칸트 로터(R)의 제습영역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2단계(S2)와, 상기 2단계(S2)에서 제습된 공기가 급기부(4)를 통해 실내공간(10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3단계(S3)로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의 덥고 습한 외기가 도입된 후 제습 및 냉각된 상태로 실내공간(100)으로 공급되어 냉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1단계(S1)의 냉각된 외기 중 일부가 제1바이패스(BP1)를 통해 우회하여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단계(S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바이패스(BP1)로 우회할것인지 여부와 우회시 이송량의 결정 여부는 댐퍼(MV1)에 의해 결정된다.
즉, 댐퍼(MV1)을 폐쇄시키면 외기는 제1바이패스(BP1)로 우회가 차단되므로 전량 데시칸트 로터(R)로 이송될 것이며, 댐퍼(MV1)를 개방시키더라도 그 개도율에 따라 제1바이패스(BP1)와 데시칸트 로터(R)로의 이송량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댐퍼(MV1)의 작동은 수동으로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개도율을 조절하거나 또는 외기의 온도, 습도에 연동하는 개도율 조절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환기배출단계(U)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내공간(100)의 환기를 회수하여 환기회수부(5)를 통해 제2전열유닛(C)으로 이송시켜 응축열로 가열시키는 1단계(U1)와, 상기 제2전열유닛(C)에서 가열된 환기가 데시칸트 로터(R)로 공급되어 제습영역을 건조시키는 열원으로 작용토록 하여 제습영역을 재생시키는 2단계(U2)와, 상기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후 배기부(6)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3단계(U3)로 구성된다.
따라서 실내공간(100)의 탁하고 더워진 환기를 회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되 환기가 가지고 있던 열을 회수하여 데시칸트 로터(R)의 재생열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1단계(U1)에서 일부의 환기가 제2바이패스(BP2)를 통해 우회하여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단계(U4)가 더 포함된다.
물론 상기 제2바이패스(BP2)에는 댐퍼(MV2)가 설치되어 환기의 이송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댐퍼(MV2)도 댐퍼(MV1)과 동일한 원리로 작동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봄가을]
외기의 온도가 약 15∼25℃ 정도로 유지되고, 습도가 높지 않은 봄·가을철에는 필요한 경우에 제습을 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이용한 여름철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상기 도 6에서 '외기도입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상기 도 6에서 '환기배출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A)을 이용하여 외기의 온도가 15∼25℃인 봄·가을철에 운전하는 제어방법은
상기 냉동장치(1)의 구동을 정지하는 준비단계(B);
외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환기운전(T1-1), 제습운전(T1-2), 가습운전(T1-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운전선택단계(T1);
외기도입부(2)를 통해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운전선택단계(T1)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가동시켜 실내공간(100)으로 공급하는 외기도입단계(Sa);
상기 실내공간(100)의 환기를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환기배출단계(Ua)
를 포함한다.
상기 준비단계(B)는 환기운전(T1-1), 제습운전(T1-2)시 냉동장치(1)의 구동을 정지(OFF)시켜 제1 및 제2전열유닛(V,C)에서는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가습운전(T1-3)시에는 냉동장치(1)의 압축기(P)를 가동(ON)시켜 제1 및 제2전열유닛(V,C)도 가동(ON)되므로 열교환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운전선택단계(T1)는 외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환기운전(T1-1), 제습운전(T1-2), 가습운전(T1-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환기운전(T1-1)은 실내 온도 보다 외기온도가 낮고 외기습도가 같은 조건일때 선택된다.
환기운전(T1-1)을 선택하면 냉동장치(1)의 압축기(P)가 정지(OFF)되고, 데시칸트 로터(R)도 정지(OFF)된다.
따라서 도입된 외기는 열교환 없이 직접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하거나 또는 제1바이패스(BP1)를 통과하여 급기부(4)를 경유하여 실내공간(100)으로 유입된다.
환기운전(T1-1)은 "강,중,약 모드"로 세분되고, 상기 "강,중,약 모드"는 급기팬(IF) 및 배기팬(OF)의 회전속도로 정해진다.
또한 상기 강,중,약 모드에 연동되어 제1 및 제2바이스패스(BP1,BP2)의 댐퍼(MV1,MV2)의 개도율이 변경된다.
즉 데시칸트 로터(R)가 정지된 상태이므로 강 모드일때는 댐퍼(MV1,MV2)가 최대로 개방되고, 중 모드일때는 중간 정도로 개방되며, 약 모드일때는 댐퍼(MV1,MV2)가 최소로 개방된다.
상기 댐퍼(MV1,MV2)의 개도율의 변경은 제습운전(T1-2) 및 가습운전(T1-3)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습운전(T1-2)은 실내온도보다 외기온도가 낮고, 외기습도가 높을때 선택된다.
제습운전(T1-2)을 선택하면, 냉동장치(1)의 압축기(P)는 정지되고 데시칸트 로터(R)만 가동된다.
따라서 도입된 외기는 열교환 없이 직접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하여 제습된 후 급기부(4)를 경유하여 실내공간(100)으로 유입된다.
또한 도입된 외기 중 일부는 제1바이패스(BP1)를 통해 우회한 후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공기와 혼합되어 급기부(4)를 경유한 후 실내공간(100)으로 유입된다.
제습운전(T1-2)도 상기한 바와 같이 "강,중,약 모드"로 세분된다.
가습운전(T1-3)은 실내온도보다 외기온도가 낮고 외기습도가 낮을때 선택된다.
가습운전(T1-3)을 선택하면, 냉동장치(1)의 압축기(P)가 가동되며 제1전열유닛(V)은 응축기로 작용되고, 제2전열유닛(C)은 증발기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데시칸트 로터(R)가 가동된다.
따라서 도입된 외기는 제1전열유닛(V)을 통과하면서 응축열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외기가 데시칸트 로터(R)의 재생영역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증발시키게 되며, 이렇게 증발된 수분이 가열된 외기와 함께 급기부(4)를 경유하여 실내공간(100)으로 유입됨으로써 가습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외기 중 일부는 제1바이패스(BP1)를 통해 우회한 후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공기와 혼합되어 급기부(4)를 경유한 후 실내공간으로 유입된다.
한편 실내공간(100)의 환기는 습도가 높은 상태이며, 환기회수부(5)를 통해 데시칸트 로터(R)로 공급된다.
상기 데시칸트 로터(R)로 공급된 환기는 제습영역을 통과하면서 제습된 후 배기부(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외기도입단계(Sa)는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기가 외기도입부(2)를 통해 정지된 제1전열유닛(V)을 통과하여 데시칸트 로터(R)를 경유하는 1단계(Sa1)와, 상기 1단계(Sa1)를 통과한 외기가 급기부(4)를 통해 실내공간(100)으로 공급되는 2단계(Sa2)로 구성된다.
상기 1단계(Sa1)는 환기운전(T1-1) 및 제습운전(T1-2)시에는 냉동장치(1)의 정지 및 제1전열유닛(V)도 정지된 상태이므로 외기의 열교환은 없다.
그러나 가습운전(T1-3)시에는 냉동장치(1)가 가동되어 제1전열유닛(V)이 응축기로 작동하게 되므로, 도입된 외기가 제1전열유닛(V)에서 응축열에 의해 열교환되어 가열된다.
또한 상기 1단계(Sa1)의 냉각된 외기 중 일부가 제1바이패스(BP1)를 통해 우회되어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공기와 혼합되는 단계(Sa3)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환기배출단계(Ua)는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공간(100)의 환기를 회수하여 환기회수부(5)를 통해 제2전열유닛(C) 및 데시칸트 로터(R)로 통과시키는 1단계(Ua1),
상기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후 배기부(6)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2단계(Ua2)로 구성된다.
환기운전(T1-1), 제습운전(T1-2)시에는 냉동장치(1)의 구동을 정지(OFF)시키므로 제2전열유닛(C)에서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가습운전(T1-3)시에는 냉동장치(1)가 가동(ON)되므로 제2전열유닛(C)이 증발기로 작동하게 되어 환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된 환기는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하면서 제습되어 배출된다.
또한 상기 1단계(Ua1)에서 일부의 환기가 제2바이패스(BP2)를 통해 우회하여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단계(Ua3)를 더 포함한다.
[겨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이용한 겨울철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상기 도 9에서 '외기도입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상기 도 9에서 '환기배출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A)을 외기의 온도와 습도가 낮은 겨울철에 운전하는 제어방법은
냉동장치(1)가 구동되어 제1전열유닛(V)은 응축기로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2전열유닛(C)은 증발기로 작동하도록 하는 준비단계(B);
외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난방운전(T2-1), 난방 및 가습병행운전(T2-2), 가습운전(T2-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운전선택단계(T2);
외기도입부(2)를 통해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운전선택단계(T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가동되어 실내공간(100)으로 공급시키는 외기도입단계(Sb);
상기 실내공간(100)의 환기를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환기배출단계(Ub)
를 포함한다.
상기 준비단계(B)는 압축기(P)가 구동되고, 방향전환밸브(H)의 방향이 절환됨으로써 냉매를 제1전열유닛(V)로 공급하여 응축기로 작동하도록 하고, 이후 팽창변(E)을 통과하면서 팽창된 후 제2전열유닛(C)에 증발기로 작동하도록 한 다음 다시 압축기(P)로 회수되도록 하는 사이클이 수행된다.
상기 운전선택단계는 외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난방운전(T2-1), 난방 및 가습병행운전(T2-2), 가습운전(T2-3)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선택하게 된다.
난방운전(T2-1)은 외기온도가 매우 낮을때 습도 제어보다는 온도를 높이고 싶을때 선택된다.
난방운전(T2-1)을 선택하면 냉동장치(1)의 압축기(P)가 가동(ON)되고, 데시칸트 로터(R)는 정지(OFF)된다.
따라서 제1전열유닛(V)의 응축열에 의해 외기가 가열된 후 정지된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하고, 일부의 외기는 제1바이패스(BP1)로 우회한 후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외기와 혼합되어 급기부(4)를 통해 실내공간(100)으로 유입된다.
난방운전(T2-1)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강,중,약 모드"로 세분되고, 상기 "강,중,약 모드"는 급기팬(IF) 및 배기팬(OF)의 회전속도로 정해진다.
난방 및 가습(T2-2)은 기온이 낮고 습도가 낮은 겨울철 외기조건일때 선택된다.
난방 및 가습(T2-2)을 선택하면, 냉동장치(1)의 압축기(P)가 가동(ON)되고, 데시칸트 로터(R)도 가동(ON)된다.
따라서 도입된 외기가 제1전열유닛(V)을 통과하면서 응축열에 의해 가열된 후 일부는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하고 일부는 제1바이패스(BP1)를 통과하여 급기부(4)에서 혼합된다.
상기 가열된 외기가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하면서 제습영역에 흡수된 수분을 가열시키는 열원으로 작용하여 재생시키게 되고, 제습영역의 수분이 증발된다.
이렇게 증발된 수분이 가열된 외기에 혼합된 상태로 실내공간(100)으로 유입됨으로써 난방 및 가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실내공간(100)의 습도가 높고 온도가 높은 환기는 환기회수부(5)를 통해 회수된 후 데시칸트 로터(R)로 공급되고, 제습영역에서 제습된 후 배기부(6)를 통해 배출된다.
가습운전(T2-3)은 실내 온도보다 실내 습도를 높이고 싶을때 선택된다.
가습운전(T2-3)을 선택하면, 냉동장치(1)의 압축기(P)가 가동되고 데시칸트 로터(R)도 가동된다.
따라서 도입된 외기가 제1전열유닛(V)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일부는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하고 일부는 제1바이패스(BP1)를 통과하여 급기부(4)에서 합류한다.
상기 가열된 외기가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하면서 제습영역에 흡수된 수분을 가열시키는 열원으로 작용하여 재생시키게 되고, 이로인해 수분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수분에 의해 가열된 외기가 습도를 갖게 되고, 실내공간(100)으로 유입되어 적정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기도입단계(Sb)는 도 2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기가 외기도입부(2)를 통해 제1전열유닛(V)을 통과하면서 가열되는 1단계(Sb1),
상기 가열된 외기가 데시칸트 로터(R)의 제습영역을 통과하면서 건조시키는 열원으로 작용하여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고, 증발된 수분이 외기에 포함되도록 하여 가습시키는 2단계(Sb2),
상기 1단계(Sb1)와 2단계(Sb2)에서 가습 및 가열된 공기가 급기부(4)를 통해 실내공간(100)으로 공급되는 3단계(Sb3)로 구성된다.
따라서 저온의 외기가 도입된 후 적정한 온도로 가열되고, 또한 적정한 습도로 가습된 상태로 실내공간(100)으로 공급되어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단계(S2b)의 일부의 가열된 외기가 제1바이패스(BP1)를 통해 우회하여 데시칸트 로터(R)에서 제습된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단계(Sb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바이패스(BP1)에 설치된 댐퍼(MV1)의 개도율 조절에 의해 외기의 이송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환기배출단계(Ub)는 도 2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내공간(100)의 수분이 함유된 환기를 회수하여 환기회수부(5)를 통해 제2전열유닛(C)으로 이송시켜 증발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1단계(Ub1),
상기 제2전열유닛(C)에서 냉각되고, 수분이 함유된 환기를 데시칸트 로터(R)에 공급하여 제습되도록 하는 2단계(Ub2),
상기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후 배기부(6)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3단계(Ub3)로 구성된다.
또 상기 1단계(Ub1)의 일부의 환기가 제2바이패스(BP2)를 통해 우회하여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단계(Ub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바이패스(BP2)에 설치된 댐퍼(MV2)의 개도율 조절에 의해 환기의 이송량을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냉동장치 2 : 외기도입부
4 : 급기부 5 : 환기회수부
6 : 배기부 B : 배기팬
C : 제2전열유닛 E ; 팽창변
R : 데시칸트 로터 P : 압축기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냉방 및 난방, 가습 및 제습을 병행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냉동장치(1) 및 제1전열유닛(V), 제2전열유닛(C)의 작동을 제어하는 준비단계(B);
    여름철, 봄·가을철, 겨울철의 외기 온도 및 습도 조건에 적합한 운전방식을 선택하는 운전선택단계(T);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계절별 운전선택단계(T)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한 후 실내공간(100)으로 공급하는 외기도입단계(S,Sa,Sb);
    상기 실내공간(100)의 환기를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환기배출단계(U,Ua,Ub)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도입단계(S,Sa,Sb) 및 환기배출단계(U,Ua,Ub)는 가습 및 제습 동작시 상기 제1전열유닛(V)으로부터 급기부(4)로 직접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제1바이패스(BP1)와 상기 제2전열유닛(C)으로부터 직접 배기부(6)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제2바이패스(BP2)에 각기 설치된 댐퍼(MV1,MV2)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제습 및 가습 강도를 조절하며,
    상기 환기배출단계(U)는
    상기 실내공간(100)의 환기를 회수하여 환기회수부(5)를 통해 제2전열유닛(C)으로 이송시켜 응축열로 가열시키는 1단계(U1),
    상기 제2전열유닛(C)에서 가열된 환기가 데시칸트 로터(R)로 공급되어 제습영역을 건조시키는 열원으로 작용토록 하여 제습영역을 재생시키는 2단계(U2),
    상기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후 배기부(6)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3단계(U3) 및
    상기 1단계(U1)에서 일부의 환기가 제2바이패스(BP2)를 통해 우회하여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4단계(U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여름철의 운전방식은,
    압축기(P)가 구동되고 제1전열유닛(V)은 증발기로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2전열유닛(C)은 응축기로 작동하도록 하여, 상기 압축기(P)의 냉매가 제2전열유닛(C)에서 응축되고, 팽창변(E)을 통과하면서 팽창되며, 제1전열유닛(V)에서 증발된 후 압축기(P)로 회수되는 사이클이 수행되는 준비단계(B);
    외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냉방운전(T-1), 냉방 및 제습병행운전(T-2), 제습운전(T-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운전선택단계(T);
    외기도입부(2)를 통해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운전선택단계(T)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내공간(100)으로 공급하는 외기도입단계(S);
    상기 실내공간(100)의 환기를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환기배출단계(U)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도입단계(S)는
    외기가 외기도입부(2)를 통해 제1전열유닛(V)으로 유입되어 냉각되는 1단계(S1);
    상기 냉각된 외기가 데시칸트 로터(R)의 제습영역을 통과하면서 제습되는 2단계(S2);
    상기 2단계(S2)에서 제습된 공기가 급기부(4)를 통해 실내공간(100)으로 공급되는 3단계(S3) 및
    상기 1단계(S1)의 냉각된 외기 중 일부가 제1바이패스(BP1)를 통해 우회하여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와 혼합되는 4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봄·가을철의 운전방식은,
    냉동장치(1)의 구동을 정지하는 준비단계(B);
    외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환기운전(T1-1), 제습운전(T1-2), 가습운전(T1-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운전선택단계(T1);
    외기도입부(2)를 통해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운전선택단계(T1)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가동시켜 실내공간(100)으로 공급하는 외기도입단계(Sa);
    상기 실내공간(100)의 환기를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환기배출단계(Ua)를 포함하고,
    상기 준비단계(B)는
    환기운전(T1-1)과 제습운전(T1-2)시에는 냉동장치(1)의 구동을 정지시켜 제1 및 제2전열유닛(V,C)에서는 열교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가습운전(T1-3)시에는 냉동장치(1)의 압축기(P)를 가동시켜 제1 및 제2전열유닛(V,C)이 가동(ON)되어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며,
    상기 외기도입단계(Sa)는
    외기가 외기도입부(2)를 통해 정지된 제1전열유닛(V)을 통과하여 데시칸트 로터(R) 및 제1바이패스(BP1)를 경유하는 1단계(Sa1);
    상기 1단계(Sa1)를 통과한 외기가 급기부(4)를 통해 실내공간(10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2단계(Sa2) 및
    상기 1단계(Sa1)의 냉각된 외기 중 일부가 제1바이패스(BP1)를 통해 우회되어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공기와 혼합되는 3단계(Sa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배출단계(Ua)는
    실내공간(100)의 환기를 회수하여 환기회수부(5)를 통해 제2전열유닛(C) 및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시키는 1단계(Ua1);
    상기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후 배기부(6)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2단계(Ua2) 및
    상기 3단계(Sa3)에서 일부의 환기가 제2바이패스(BP2)를 통해 우회하여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3단계(Ua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
  17. 삭제
  1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겨울철의 운전방식은,
    냉동장치(1)가 구동되어 제1전열유닛(V)은 응축기로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2전열유닛(C)은 증발기로 작동하도록 하는 준비단계(B);
    외기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난방운전(T2-1), 난방 및 가습병행운전(T2-2), 가습운전(T2-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운전선택단계(T2);
    외기도입부(2)를 통해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운전선택단계(T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가동되어 실내공간(100)으로 공급시키는 외기도입단계(Sb);
    상기 실내공간(100)의 환기를 회수하여 배출시키는 환기배출단계(Ub)를 포함하고,
    상기 준비단계(B)는 냉동장치(1)의 압축기(P)가 구동되고, 냉매가 제1전열유닛(V)에서 응축되며, 팽창변(E)을 통과한 후 제2전열유닛(C)에서 증발되고, 다시 압축기(P)로 회수되는 사이클이 수행되며,
    상기 외기도입단계(Sb)는
    외기가 외기도입부(2)를 통해 제1전열유닛(V)을 통과하면서 가열되는 1단계(Sb1);
    상기 가열된 외기가 데시칸트 로터(R)의 제습영역을 통과하면서 건조시키는 열원으로 작용하여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고, 증발된 수분이 외기에 포함되도록 하여 가습시키는 2단계(Sb2);
    상기 1단계(Sb1)와 2단계(Sb2)에서 가습 및 가열된 공기가 급기부(4)를 통해 실내공간(100)으로 공급되는 3단계(Sb3) 및
    상기 2단계(Sb2)의 일부의 가열된 외기가 제1바이패스(BP1)를 통해 우회하여 데시칸트 로터(R)에서 제습된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4단계(Sb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배출단계(Ub)는
    상기 실내공간(100)의 수분이 함유된 환기를 회수하여 환기회수부(5)를 통해 제2전열유닛(C)으로 이송시켜 증발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1단계(Ub1);
    상기 제2전열유닛(C)에서 냉각되고, 수분이 함유된 환기를 데시칸트 로터(R)에 공급하여 제습되도록 하는 2단계(Ub2);
    상기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후 배기부(6)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3단계(Ub3) 및
    상기 1단계(Ub1)의 일부의 환기가 제2바이패스(BP2)를 통해 우회하여 데시칸트 로터(R)를 통과한 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4단계(Ub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을 이용한 제어방법.
  24. 삭제
KR1020100091694A 2010-09-17 2010-09-17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1061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694A KR101061944B1 (ko) 2010-09-17 2010-09-17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694A KR101061944B1 (ko) 2010-09-17 2010-09-17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944B1 true KR101061944B1 (ko) 2011-09-05

Family

ID=4495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694A KR101061944B1 (ko) 2010-09-17 2010-09-17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94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640B1 (ko) * 2015-05-11 2015-06-29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하이브리드 데시칸트 제습장치의 운전제어방법
KR20190119950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경동전자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US11162695B2 (en) 2017-08-31 2021-11-0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ir conditioning system
KR20220031812A (ko) * 2020-09-04 2022-03-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22682B1 (ko) 2021-11-04 2023-04-18 주식회사 휴마스터 열회수 환기장치에 부가되는 공조기를 구비한 공조 시스템
KR20230077008A (ko) 2021-11-24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20230077009A (ko) 2021-11-24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20230090429A (ko) 2021-12-14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JP7312894B1 (ja) * 2022-07-19 2023-07-21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空調システム
KR102597628B1 (ko) * 2023-04-26 2023-11-02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재생배기 없는 하이브리드 데시칸트 제습기 및 제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4074A (ja) 1999-12-21 2001-06-29 Ebara Corp 除湿装置
JP2007327712A (ja) * 2006-06-09 2007-12-20 Japan Exlan Co Ltd 湿度調節装置
KR100943285B1 (ko) * 2009-06-01 2010-02-23 (주)에이티이엔지 하이브리드 데시칸트 제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4074A (ja) 1999-12-21 2001-06-29 Ebara Corp 除湿装置
JP2007327712A (ja) * 2006-06-09 2007-12-20 Japan Exlan Co Ltd 湿度調節装置
KR100943285B1 (ko) * 2009-06-01 2010-02-23 (주)에이티이엔지 하이브리드 데시칸트 제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640B1 (ko) * 2015-05-11 2015-06-29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하이브리드 데시칸트 제습장치의 운전제어방법
US11162695B2 (en) 2017-08-31 2021-11-0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90119950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경동전자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459513B1 (ko) * 2018-04-13 2022-10-2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220031812A (ko) * 2020-09-04 2022-03-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24071B1 (ko) * 2020-09-04 2022-07-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22682B1 (ko) 2021-11-04 2023-04-18 주식회사 휴마스터 열회수 환기장치에 부가되는 공조기를 구비한 공조 시스템
KR20230077008A (ko) 2021-11-24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20230077009A (ko) 2021-11-24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20230090429A (ko) 2021-12-14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JP7312894B1 (ja) * 2022-07-19 2023-07-21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空調システム
KR102597628B1 (ko) * 2023-04-26 2023-11-02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재생배기 없는 하이브리드 데시칸트 제습기 및 제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944B1 (ko) 하이브리드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0504489B1 (ko) 공기조화장치
KR100504503B1 (ko) 공기조화시스템
US11525600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49194B1 (ko) 난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2968241B2 (ja) 除湿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KR100943285B1 (ko) 하이브리드 데시칸트 제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968232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US6751964B2 (en) Desiccant-based dehumid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487381B1 (ko) 환기겸용 공기조화시스템
KR101782839B1 (ko) 냉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1229676B1 (ko) 하이브리드 냉방 장치
AU200429553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20230022397A1 (en) Air quality adjustment system
CN100494793C (zh) 可利用低品位热源的两级转轮除湿空调装置
KR101664791B1 (ko)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WO2013046715A1 (ja) 除湿システム
JP4857901B2 (ja)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WO2007141901A1 (ja) 湿度調節装置
CN102506475A (zh) 冷凝废热驱动的基于固体除湿的热湿独立控制的热泵系统
JP2018115821A (ja) 空調システム
KR20200092221A (ko) 공조 시스템
JP2010054135A (ja) 乾式デシカント装置及び空気熱源ヒートポンプ装置
JP2013130389A (ja) 空気熱源ヒートポンプ装置
CN112923459A (zh) 新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