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772B1 - 저온처리공정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온처리공정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772B1
KR101011772B1 KR1020100096729A KR20100096729A KR101011772B1 KR 101011772 B1 KR101011772 B1 KR 101011772B1 KR 1020100096729 A KR1020100096729 A KR 1020100096729A KR 20100096729 A KR20100096729 A KR 20100096729A KR 101011772 B1 KR101011772 B1 KR 101011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centa extract
horse
extract
placenta
horse placen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경환
박용대
Original Assignee
(주)리코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코리스 filed Critical (주)리코리스
Priority to KR102010009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분해효소 브로멜라인(bromelain) 및 저온공정을 통해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말태반 추출물은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시, 냉동 말태반을 직접 분쇄하는 단계 및 브로멜라인을 이용해 기존보다 저온에서 단백분해하는 단계를 이용하여 말태반 추출물의 총제조시간 및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었다. 또한 아미노산과 생리활성물질의 함량 또한 기존에 제조되던 말태반 추출물보다 증가되었으며, 기존에 제조되던 말태반 추출물보다 이취가 더 제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escription

저온처리공정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Process for preparing horse placental extract by low temperature treatment, horse placental prepared therefrom, and food compositi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생리활성 물질의 파괴를 줄이면서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식품 규격에 적합한 정제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반(placenta)은 임신한 포유류의 자궁에 생기는 기관으로 탯줄을 통하여 태아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고, 생명을 지탱하게 한다. 태반은 출산시 자궁으로부터 배출되며, 태반이 나오는 것을 후출산이라고 한다.
태반에는 필수 아미노산, 멜라토닌, RNA, DNA 등의 핵산 성분, 항산화 효소인 SOD(super oxide dismutase),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항산화제, 면역보조인자(cytocine), 태반펩타이드, 인슐린유사성장 촉진인자(insulin-like-growth factor), 표피성장 촉진인자(EGFS, epidermal growth factors) 및 독특한 노쇠세포활성인자(SCAFS, senescent cell adivating factors) 등의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류가 포함되어 있어 피로회복, 면역증강 등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태반은 티로신으로부터 멜라닌 과립 생성을 촉진하는 효소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색소 형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멜라닌색소를 포함하는 세포의 배출을 촉진하는 작용을 발휘하여 기미 예방과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결국 색소 침착을 예방하는 작용 뿐만 아니라 미백작용도 나타나게 된다(Mallick S et el., Pigment Cell Res. Feb 18(1), 25-33, 2005).
또한, 태반의 조직대사 촉진작용이 피지의 분비선 기능을 높여 피지의 분비를 정산화한 결과 잔주름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태반에는 섬유아세포의 증식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가 포함되어 있어 섬유아세포의 증식, 재생을 촉진하며 이의 활성화를 통해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의 양을 증가시켜 피부의 신축성이나 탄력성을 회복하여 깊은 주름과 피부처짐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태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종래에는, 강산이나 강알칼리를 이용하여 태반을 가수분해함으로서 그 산물을 얻는 방법이 이용되었으나, 이 방법은 장시간 고온상태에서 공정처리를 행하는 단점을 갖고 있어 추출과정에서 태반의 주성분인 각종 아미노산과 생리활성 물질이 파괴 또는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어 온 파파인이나 프로테아제, 펩티다아제, 펩신 등의 효소를 이용하는 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아울러 종래방법으로 제조되는 태반 추출물은 불쾌한 냄새가 나고, 진한 색도를 가져 식품에 적용하기에 다소의 어려움이 있어 원료 첨가물로서 극히 제한된 양이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는 말태반 추출물(horse placenta)에 관한 것으로, 말태반 추출물도 고유의 이취가 있어 이를 식품으로 사용하기에는 미흡한 면이 있는데, 이를 한국등록특허 제932183호의 제조방법에서는 진공압 조건에서 활성탄을 사용하여 말태반 추출물의 이취를 흡착시키는 방법으로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식품으로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932183호에 개시된 말태반 추출물 제조방법을 개선시켜 저온에서 단백분해효소인 브로멜라인(bromelain)을 이용하여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기존 파파인의 경우에는 70℃에서 최대 단백분해효과를 보이나 이번에 사용된 브로멜라인의 효소 특성상 50℃에서 최대의 단백분해 효과를 보이는 특징을 갖는 장점을 갖고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은 종래기술로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보다 필수아미노산 및 생리활성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식품으로 사용하기에 더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온처리 및 단백분해효소 브로멜라인(bromelain)을 이용하여 말태반(horse placenta)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말태반(horse placenta)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1공정) 냉동 말태반 35 내지 45 중량부에 대하여 단백분해효소 브로멜라인 0.4 내지 0.6 중량부 및 물 7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2공정) 상기 1공정의 혼합물을 3 내지 4 시간 동안 40 내지 50℃에서 단백분해를 하는 단계;
(3공정) 상기 2공정의 단백분해물을 활성화된 활성탄을 0.2 내지 0.5 중량부를 넣고 고순도 질소 또는 0.1 내지 0.5 기압의 진공압 하에서 45 내지 50에서 교반하여 냄새 및 색깔을 제거하되, 상기 활성화된 활성탄은 5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1차 세척하고 중성염 용액 및 염기 용액으로 순차적으로 2차 세척하여 물로 중화시킨 후 1 내지 5%의 수분 함유량을 갖도록 건조된 활성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말태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말태반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말태반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농장에서 정기적으로 수의사의 검진을 받은 건강한 말의 정상적인 태반을 사용하며, 상기 농장에서 가져온 말태반은 10 내지 15℃의 물에서 핏물을 제거한 후 냉동고에 얼린다. 이 때 피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피 성분으로 인해 악취성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세척작업은 필수적이고 중요하다. 상기 냉동된 말태반은 육절기 및 빙수기를 이용하여 잘게 분쇄하여 단백분해가 용이하도록 제조하며, 이후, 상기 냉동 분쇄된 말태반을 단백분해효소 브로멜라인(bromelain) 및 물을 첨가하여 단백분해를 수행한다. 종래기술에서는 해동된 태반을 분쇄하여 이를 사용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냉동 태반을 직접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하는데, 이로 인해 해동시간의 감소와 더불어 활성물질 및 아미노산의 파괴를 줄여 최대한의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말태반 추출물은 말태반 35 내지 45 중량부에 대하여 단백분해효소 브로멜라인 0.4 내지 0.6 중량부 및 물 70 내지 80 중량부를 첨가하여 단백분해를 한 후 활성화 된 활성탄 0.2 내지 0.5 중량부를 넣고 냄새와 색깔을 완벽히 제거한 말태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말태반 함량은 35 내지 45 중량부를 사용하되,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2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40 중량부가 되도록 포함하는 것이 좋다. 말태반 함량이 3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는 유용성분의 함량이 낮다는 문제가 있고, 4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는 초과하는 양에 비해 가수분해 효율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단백분해효소 브로멜라인의 반응 시간은 3 내지 4 시간이 바람직하다. 3시간 미만으로 반응하는 경우에는 가수분해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4시간을 초과하여 반응하는 경우에는 반응에 필요한 시간 이상으로 비경제적이다.
상기 반응 온도는 40 내지 50℃가 바람직하며, 45 내지 50℃가 보다 바람직하다. 40℃ 미만으로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반응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있고, 50℃를 초과하여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효소의 불활성화 문제로 가수분해 반응이 완전히 일어나기 어렵고 유용성분이 변성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 과정 후, 뷰렛반응 및 트리콜로로 초산 반응으로 완전한 단백질 가수분해를 확인할 수 있다.
정제를 위한 정제공정 중 사용되는 상기 활성화된 활성탄은 5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1차 세척한 후 산 용액과 염기 용액을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이를 2차 세척 후 물로 중화시켜 활성탄의 활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좋으며 수분 함유량은 1% 내지 5%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가 최적이다.
상기 산 용액으로는 염산 수용액, 황산 수용액, 아세트산 수용액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염기 용액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수산화칼륨 수용액 등이 선택될 수 있지만 이 외에도 다른 종류의 산 용액과 염기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은 1 내지 9M의 농도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M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산 용액과 염기 용액은 활성탄 중량의 1~5배 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활성탄을 이용한 정제시 진공압 또는 고순도 질소 조건이 매우 중요하며, 이는 일반적인 조건에서 활성탄을 이용한 정제는 완벽한 냄새를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진공압 또는 고순도 질소 조건에서 활성탄에 의해 악취 또는 이취 원인물질들을 흡착, 제거하는 것이 좋다. 특히 본 발명에서 온도는 45 내지 50℃의 고온에서 교반 하에 20 내지 30분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정제공정 이후에도 기타 고형물질 또는 잔존하는 활성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상기 말태반 추출물을 재여과하는 과정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0.1 내지 3μm 필터를 사용하여 1회 이상 여과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차 여과는 2μm 필터로, 2차 여과는 0.45μm 필터로, 3차 여과는 0.2μm 필터를 사용하여 3회 수행한다.
필터의 기공 사이즈가 0.1μm 미만인 경우에는 필터가 초정밀하여 초고가이므로(한외여과법)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3μm를 초과하는 경우는 제균력이 없어 진균이나 세균의 원물에 포함되어 유통 중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말태반 추출물은 감압증류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완제품으로 생산하기 위해 용기를 에탄올로 세척한 후 자외선 살균건조를 하고 살균된 용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충진한 뒤, 120 내지 130℃에서 15 내지 60분간 고압증기 멸균을 수행하여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말태반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식품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말태반 추출물은 종래기술로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보다 질소, 아미노산 및 생리활성물질 함량이 높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강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말태반 추출물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그 함량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총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말태반 추출물은 한국등록특허 제932183호의 말태반 추출물 제조방법을 개선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종래방법으로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은 강산이나 강알칼리 분해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장시간 고온에 노출됨으로서 아미노산과 인체에 유용한 생리활성 물질이 파괴되거나, 단백분해효소인 프로타아제, 파파인, 펩신 등을 이용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상대적으로 긴 단백분해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백분해효소 브로멜라인(bromelain)의 이용 및 저온공정을 통해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말태반 추출물은 무색, 무취 상태이며, 아미노산과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종래 방법으로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보다 높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국등록특허 제932183호의 제조방법보다 말태반 해동시간이 생략되고 동시에 단백분해효소의 반응시간이 짧아 전체적인 말태반 제조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었으며, 상기 단축된 제조시간 및 저온공정으로 인해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에 따라 말태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활성화된 활성탄의 제조>
활성탄의 활성화 및 수분제거를 위하여 활성탄 1kg을 70% 에탄올 3ℓ로 1차 세척한 후 순차적으로 1M의 염산 수용액 3ℓ와 1M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ℓ를 순차적으로 가해 2차 세척하였다. 이 후 물로 중화시켜 활성탄의 활성을 극대화시키고 120℃ 진공오븐에서 10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소량의 샘플을 채취하여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여 3% 이하가 되었을 때 상기 활성탄을 최종적으로 이취를 제거하기 위한 정제용 원료로 이용하였다.
<실시예 2. 저온처리 및 브로멜라인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 ① >
냉동상태의 말태반을 육절기 및 빙수기를 이용하여 잘게 분쇄하고, 상기 말태반 분쇄물 1.5kg에 단백분해효소 브로멜라인 17g 및 증류수 3kg을 첨가하여 5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켜 태반이 물에 완전히 분해되도록 하였다. 이후 뷰렛반응 및 트리클로로 초산반응으로 완전한 단백질 가수분해를 확인한 후 식품 원료에 적합한 색도와 냄새를 위하여 고순도 질소(99.9%) 조건에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활성화된 활성탄 30g을 넣고 반응온도 50℃에서 30분간 교반하며 색깔과 냄새를 제거한다. 이 후 이 용액을 여과하여 활성탄을 제거하는데 이 때, 1차 여과는 2μm 필터로, 2차 여과는 0.45μm 필터로, 3차 여과는 0.2μm 필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저온처리 및 브로멜라인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 ② >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고순도 질소 조건 대신 진공압 0.2기압 조건에서 이취를 제거하여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저온처리 및 브로멜라인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 ③ >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활성탄 반응온도를 45℃로 하였다.
<비교예 1. 기존 방법을 이용한 활성탄의 제조>
70% 에탄올 수용액, 염산, 수산화나트륨으로 세척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은 활성탄 1kg을 120℃ 진공오븐에서 12시간 건조시켰다. 이 후 소량의 샘플을 채취하여 수분측정을 측정하여 3% 이하가 되면 정제공정용 원료로 이용하였다.
<비교예 2. 해동 말태반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말태반을 냉동상태가 아닌 해동시킨 후 민수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브로멜라인 반응온도를 고온으로 하여 말태반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브로멜라인 반응온도를 60℃가 되게 하여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35℃의 반응온도를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브로멜라인 반응온도를 35℃가 되게 하여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기존 활성탄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활성탄을 이용하여 이취를 제거한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흡착과정을 수행하지 않은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초순수 질소 조건 및 활성탄을 이용하는 흡착과정을 수행하지 않았다.
<비교예 7. 산 촉매를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 ① >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브로멜라인 대신 진한 염산 17g을 넣어 100℃에서 반응하여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산 촉매를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 ② >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냉동 말태반을 해동시켜 이를 민수기에 분쇄하여 사용하였고, 브로멜라인 대신 진한 염산 17g을 넣어 100℃에서 반응하였으며, 활성탄 및 초순수 질소조건의 이취제거 과정을 사용하지 않고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알칼리 촉매를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 ① >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브로멜라인 대신 KOH 17g을 넣어 100℃에서 반응하여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알칼리 촉매를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 ② >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냉동 말태반을 해동시켜 이를 민수기에 분쇄하여 사용하였고, 브로멜라인 대신 KOH 17g을 넣어 100℃에서 반응하였으며, 활성탄 및 초순수 질소조건의 이취제거 과정을 사용하지 않고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브로멜라인 대신 유기용매 침전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브로멜라인과 증류수 대신 동량의 아세톤을 넣고 실온에서 반응한 뒤 아세톤을 진공건조기에서 80℃에서 건조시켜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브로멜라인 대신 초음파를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브로멜라인을 처리하는 대신 초음파를 30초 간격으로 10번 처리하여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브로멜라인 대신 열처리를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브로멜라인을 처리하는 대신 50℃에서 180분간 가열하여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파파인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 ① >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브로멜라인 대신 파파인 17g을 넣어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5. 파파인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 ② >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냉동 말태반을 해동시켜 이를 민수기에 분쇄하여 사용하였고, 브로멜라인 대신 파파인 17g을 넣었으며, 초순수질소 조건은 사용하지 않고 활성탄만 이용하여 이취제거를 수행하여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6. 프로테아제를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브로멜라인 대신 프로테아제를 넣어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7. 파파인 분할 주입법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 ① >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브로멜라인 대신 파파인 10g을 첨가하여 5시간 동안 반응시켜 말태반을 물에 용해시키고 추가적으로 파파인 7g을 분해된 용액에 첨가하고, 70℃에서 2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비교예 18. 파파인 분할 주입법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 ② >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냉동 말태반을 해동시켜 이를 민수기에 분쇄하여 사용하였고, 브로멜라인 대신 파파인 10g을 첨가하여 5시간 동안 반응시켜 말태반을 물에 용해시키고 추가적으로 파파인 7g을 분해된 용액에 첨가하고, 70℃에서 2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비교예 19. 프로테아제 분할 주입법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브로멜라인 대신 프로테아제 10g을 첨가하여 5시간 동안 반응시켜 말태반을 물에 용해시키고 추가적으로 프로테아제 7g을 분해된 용액에 첨가하고, 70℃에서 2시간 동안 더 교반하였다.
<비교예 20. 돼지태반을 이용한 돼지태반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말태반 대신 돼지태반을 이용하여 돼지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활성탄 반응온도 40℃를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활성탄 반응온도를 40℃로 하여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활성탄 반응온도 55℃를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되 활성탄 반응온도를 55℃로 하여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는 조건 및 제조시간 비교>
본 발명의 방법으로 말태반을 제조하는 방법과 종래기술 중의 파파인 및 고온공정 조건을 이용한 한국등록특허 제932183호의 방법으로 말태반을 제조하는 조건의 전반적인 제조공정 및 제조시간을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02021540-pat00011
상기 표 1에 나타난 대로, 본 발명의 말태반 추출물은 브로멜라인의 이용으로 인해 기존에 제조되던 말태반 추출물보다 단시간 및 더 낮은 온도에서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가 가능하여, 전반적인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말태반 추출물의 질소 총량 및 아미노산과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분석>
본 발명에서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의 영양학적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말태반 추출물 내의 질소 총량 및 아미노산과 생리활성물질의 양을 확인하였으며 질소 총량과 생리활성물질의 양은 표 3 및 4에 나타내었고, 아미노산의 양은 표 5 내지 8에 나타내었다.
질소총량은 자동분석기(DMP1500 / Human Corporation)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태반 추출물을 물에 녹이고 물에 녹은 유기질소(단백질, 아미노산, 핵산 등)와 무기질소(암모니아성질소, 아질산성질소, 질산성질소)의 총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질소화합물을 산화분해하여 질산성질소 형태로 변화시킨 후 카드뮴-구리환원 칼럼을 통과시켜 아질산성질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아미노산과 생리활성분석을 위해서는 보레이트 완충액(borate buffer) 2.5㎕에 각각의 태반 추출물을 0.5㎕를 넣고 OPA 반응액(OPA reagent, o-phthaldehyde reagent) 0.5㎕를 넣었다. 이후 FMOC 반응액(FMOC reagent, fluorenylmethoxycarbonyl chloride reagent) 0.4㎕를 넣고, 물 32㎕를 넣고 하기 표 2의 분석기준으로 분석하였다.
Figure 112010064216150-pat00002
Figure 112010064216150-pat00003
Figure 112010064216150-pat00004
Figure 112010064216150-pat00005
Figure 112010064216150-pat00006
Figure 112010064216150-pat00007
Figure 112010064216150-pat00008
표 3 내지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말태반 추출물은 종래 말태반 추출물의 아미노산 및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훨씬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교예 5, 6, 20 및 21에서도 유사하게 말태반 추출물의 아미노산 및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훨씬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이취제거과정을 제외하고는 단백분해과정이 동일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브로멜라인을 이용한 단백분해법이 기존의 산 가수분해법, 알카리 가수분해법, 프로테아제나 파파인을 이용한 효소 단일 또는 분할 분해법보다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고, 생리활성물질에 있어서도 기존의 프로테아제나 파파인을 이용한 효소분해법에 비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산이나 강알카리를 이용한 단백분해반응에서는 장시간 고온처리를 행하는 과정에서 각종 아미노산, 성장촉진인자, 사이토카인, 히아루론산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비활성화 되거나 소멸되기 때문이라고 사료되며, 본 발명의 저온처리에 의한 새로운 단백분해효소를 이용한 추출법은 이러한 문제를 크게 해소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종래방법보다 말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는 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말태반 추출물의 향 평가>
본 발명의 말태반 추출물을 각각 다른 조건의 비교예의 말태반 추출물과 이취제거정도를 비교하였으며 비교대상은 하기와 같다.
*비교대상*
- 본 발명의 말태반 추출물 : 실시예 2 및 실시예 3
- 기존의 방법대로 제조된 활성탄을 사용한 조건 : 비교예 5
- 초순수 질소를 이용하지 않은 조건 : 비교예 15
- 활성화된 활성탄 및 초순수질소/진공압 조건을 모두 이용하지 않는 조건 : 비교예 6, 비교예 8 및 비교예 10
- 비교예 18
- 이취 제거 과정에서의 온도 비교 조건 : 비교예 20 및 비교예 21
이를 위해 남녀노소를 구분하지 않는 50명에게 상기 말태반 추출물의 이취 제거 정도를 비교하게 하였고 실험결과는 하기의 표 9에 5점 타점법으로 기재하였다.
Figure 112010064216150-pat00009
표 9의 결과로, 본 발명의 말태반 추출물이 다른 비교예의 조건보다 고유의 이취가 가장 많이 제거되어 더 선호도가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5, 6, 20 및 21의 말태반 추출물은 실시예 2의 말태반 추출물과 아미노산 및 생리활성물질 함량이 유사하지만 실시예 2의 말태반 추출물이 이취 제거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말태반 추출물은 이취가 거의 없고 생리활성물질 및 아미노산 함량이 높으며, 전반적인 제조시간이 단축되어 식품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조성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1공정) 냉동 말태반 35 내지 45 중량부에 대하여 단백분해효소 브로멜라인 0.4 내지 0.6 중량부 및 물 7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2공정) 상기 1공정의 혼합물을 3 내지 4 시간 동안 40 내지 50℃에서 단백분해를 하는 단계;
    (3공정) 상기 2공정의 단백분해물에 활성화된 활성탄을 0.2 내지 0.5 중량부를 넣고 고순도 질소 또는 0.1 내지 0.5 기압의 진공압 하에서 45 내지 50℃에서 교반하여 냄새 및 색깔을 제거하되, 상기 활성화된 활성탄은 5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1차 세척하고 1 내지 9M의 염산 수용액, 황산 수용액 및 아세트산 수용액 중에서 선택되는 산 용액 및 1 내지 9M의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 수용액 중에서 선택되는 염기 용액으로 순차적으로 2차 세척하여 물로 중화시킨 후 1 내지 5 %의 수분 함유량을 갖도록 건조된 활성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
  5. 제 4항의 말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00096729A 2010-10-05 2010-10-05 저온처리공정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1011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729A KR101011772B1 (ko) 2010-10-05 2010-10-05 저온처리공정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729A KR101011772B1 (ko) 2010-10-05 2010-10-05 저온처리공정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772B1 true KR101011772B1 (ko) 2011-02-07

Family

ID=4377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729A KR101011772B1 (ko) 2010-10-05 2010-10-05 저온처리공정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7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2057A (zh) * 2014-11-17 2015-02-25 得利斯集团有限公司 一种胎盘素的提取方法
KR101751718B1 (ko) * 2017-02-17 2017-06-30 주식회사 에스제이인터내셔널 항주름 효능을 가지는 저분자 말태반 효소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83B1 (ko) * 2008-10-22 2009-12-16 주식회사 한국천연물사이언스 말태반의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83B1 (ko) * 2008-10-22 2009-12-16 주식회사 한국천연물사이언스 말태반의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2057A (zh) * 2014-11-17 2015-02-25 得利斯集团有限公司 一种胎盘素的提取方法
KR101751718B1 (ko) * 2017-02-17 2017-06-30 주식회사 에스제이인터내셔널 항주름 효능을 가지는 저분자 말태반 효소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WO2018151560A1 (ko) * 2017-02-17 2018-08-23 주식회사 에스제이인터내셔널 항주름 효능을 가지는 저분자 말태반 효소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7194B2 (ja) コラーゲンペプチド粉末、そ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フェノール含有製品
JP5774999B2 (ja) 水生動物からのコラーゲン抽出物
JP4236850B2 (ja) 魚類由来のコラーゲンペプチドの製造方法並びに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た魚類由来のコラーゲンペプチド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化粧品
KR100932183B1 (ko) 말태반의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조성물
JP5276813B2 (ja) エラスチン分解ペプチド並びにエラスチン及びその酵素分解ペプチドの製造方法
TWI469739B (zh) A deodorization method of collagen peptides and a food or a composition thereof using the same
KR101415225B1 (ko) 어류 유래 콜라겐 펩티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352282B1 (ko) 시알산 함량이 증가된 녹용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387415B1 (ko) 명태 가공부산물을 이용한 천연 조미 소재의 제조방법
JP2001211895A (ja) 生理活性ペプチドの製造法
KR101449804B1 (ko) 홍어 껍질 유래 젤라틴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KR101011772B1 (ko) 저온처리공정을 이용한 말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말태반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01021645B1 (ko) 미백화된 오징어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Alzaydi et al. Bioactive peptides: Synthesis, applications, and associated challenges
JP5087042B2 (ja) エラスチン由来ペプチドの製造方法、及びエラスチン由来ペプチド
KR102576286B1 (ko) 식물성 콜라겐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101647558B1 (ko)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JP2009034051A (ja) 生麦を亜臨界処理してできる麦茶様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46997B1 (ko) 황태 가수분해물, 2차 가수분해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0970371B1 (ko) 돼지 태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돼지 태반 추출물을포함하는 건강식품 및 화장품
JP2013221017A (ja) 表皮細胞活性化剤、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皮膚外用剤及び抗シワ化粧料
KR20020065433A (ko) 상온 산가수분해법을 이용한 수용성 진주분말의 제조방법
JP2010248134A (ja) ペプチド組成物
KR102589579B1 (ko) 말 태반을 이용한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KR20200036412A (ko) 비타민 c를 이용한 돈피 발효물 제조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