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558B1 -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558B1
KR101647558B1 KR1020140145828A KR20140145828A KR101647558B1 KR 101647558 B1 KR101647558 B1 KR 101647558B1 KR 1020140145828 A KR1020140145828 A KR 1020140145828A KR 20140145828 A KR20140145828 A KR 20140145828A KR 101647558 B1 KR101647558 B1 KR 101647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a
heart
peptide
antioxidant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251A (ko
Inventor
남희섭
김인환
유천우
이미현
오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에프앤비
Priority to KR1020140145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55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6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04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fish or other sea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3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 A23J3/32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 A23J3/34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using enzymes
    • A23J3/341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using enzymes of animal 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2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by hydrolysis, i.e. solvolysis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은 참치심장을 분쇄하는 단계, 참치심장 분쇄물의 건조물을 효소 처리하는 단계, 효소 처리된 참치심장 분해물의 펩타이드 농축물을 분리하는 단계, 농축물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항산화활성이 강한 펩타이드는 저분자 펩타이드로서 장관내 단백질 분해효소에 희한 분해율이 매우 낮고 흡수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섭취시 생체내 활성산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antioxidant peptides extracted from tuna fish heart}
본 발명은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참치통조림 제조공정 중 선별과정에서 다량 유출되고 있는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펩타이드는 효소분해, 원심분리 및 분획, 나노필터(Nano Filter), 분무건조(Spray dry, SD) 등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참치심장 심장에서 추출 정제한 기능성 펩타이드를 함유하여 항산화 기능이 우수한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자임(Prozyme) 1000L효소는 종소명(Bacillus licheniformis)와 고초균(Bacillus subtilis)의 배양물에서 얻어진 프로제테아제(protease)로 단백질 기질을 빠르게 분해하여 수용성 폴리펩타이드를 생성하기 때문에 육류, 어류 및 곡류 단백질의 1차 분해용으로 적합하다.
프로자임(Prozyme) 2000P 효소는 아스페르길수르 오리제(Aspergillus oryzae)의 배양물 및 돼지의 췌장에서 얻어진 프로테아제로서 강한 엑소페티디아제(exo peptidase) 및 엔도페티디아제(endo peptidase) 활성을 가지고 있어 육류, 어류, 곡류 또는 1차 분해된 폴리펩타이드를 보다 작은 단위의 저분자량 펩타이드로 분해할 수 있다. 단백질 분해물의 쓴 맛을 현저히 줄여주기 때문에 각종 조미원료의 생산에 적합한 효소이다.
인체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영양분의 섭취 외에 공기 중의 산소를 호흡하여 산화에 의해 얻어지는 에너지를 이용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 때 여러 대사과정에서 생체 조직을 공격, 세포를 산화 및 손상시키는 주된 성분인 활성산소가 생성되며, 이 활성산소는 단백질의 SH 기와 반응해서 효소의 활성을 잃게 하거나 가교결합의 형성, DNA, RNA, 효소 및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불포화 지방산을 산화시켜 과산화지질을 형성하며, 과산화지질은 생체에 매우 유독하여 생체의 기능을 저하시켜 결국에는 동맥경화, 혈액순환장애, 피로, 당뇨병, 심장병, 간장장애, 발암, 암전이 등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되고 궁극적으로 노화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지질의 과산화를 막아주는 물질을 항산화 물질이라 하며, 이러한 물질로는 핵산을 포함하여 vitamin C, 토코페롤(tocopherols), 토코트리에놀(tocotrienols), 오리자놀(γ-oryzanol), 베타카로틴(β-carotene), 폴리코사놀(polycosanols), 카테킨(catechins) 등이 탁월한 항산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항산화 물질의 섭취를 위한 식품의 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수산물 중 참치의 심장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펩타이드는 어획된 참치의 식품가공 후 별도로 재 활용되지 못하고 부산물로서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양은 매년 수백톤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심장에 함유된 기능성 펩타이드의 우수한 기능성에도 불구하고 다량으로 폐기되고 있는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 정제하여 생체내 활성산소의 감소 기능성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참치로부터, 항산화활성이 강한 펩타이드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섭취시 생체내 활성산소가 감소되는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 후의 부산물로 버려지고 있는 참치심장을 활용할 수 있는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은 참치심장을 분쇄하는 단계, 참치심장 분쇄물의 건조물을 효소 처리하는 단계, 효소 처리된 참치심장 분해물의 펩타이드 농축물을 분리하는 단계, 농축물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효소는 프로자임(Prozyme)2000P와 프로자임(Prozyme)1000L(Bacillus licheniformis & subtilis)의 혼합요소, 프로자임(Prozyme)1000L(Bacillus licheniformis & subtilis), Thermoase PC 10F(Bacillus thermoproteolyticus), Collpulin MG(Carica Papaya), Sumizyme LP 50D(Aspergillus Oryzae) 중 일 수 있으며, 효소 처리하는 단계는 온도 50℃ 내지60℃, 반응시간 48시간 이내로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분쇄하는 단계는 참치를 표준체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2.54cm안에 구멍이 20개가 들어있는 체를 통과하는 분말의 크기 (testing sieve 20mesh)로 분리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참치심장 분해물의 펩타이드 농축물을 분리하는 단계는 펩타이드 농축물은 참치심장 분해물의 분획분자량 5,000 이하의 항산화활성이 강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참치심장 분쇄물의 건조물을 효소 처리하는 단계는 분쇄물 기준 5배의 물을 가수하여, 진공농축반 용기로 건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항산화활성이 강한 펩타이드는 저분자 펩타이드로서 장관내 단백질 분해효소에 희한 분해율이 매우 낮고 흡수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섭취시 생체내 활성산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산화활성이 강한 펩타이드는 저분자 펩타이드로서 장관내 단백질 분해효소에 희한 분해율이 매우 낮고 흡수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섭취시 생체내 활성산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참치 통조림 가공시 발생하는 부산물을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참치심장 채취하여 분말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2는 참치심장의 시간에 따른 효소 분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은 참치심장 채취하여 분말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2는 참치심장의 시간에 따른 효소 분해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참치심장 채취 및 전처리 공정에 있어서, 참치는 skipjack tuna(Katsuwonus pelamis)일 수 있으며, 심장은 참치를 자숙한 후 채취하여, 채취된 심장은 5배의 정제수로 30분간 침지한 후 흐르는 수도물에 10분간 세척한다.
세척된 참치심장을 거름망 위에 30분 정치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사일런트 커터(Fatosa, S.A, Spain)을 이용하여 분쇄하고 이를 표준체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2.54cm안에 구멍이 20개가 들어있는 체를 통과하는 분말의 크기(testing sieve 20mes)로 분리하여 본 발명의 주원료인 심장 분말을 제조한다.
아미노태 질소함량을 측정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참치심장 효소분해액 5mL에 3차 증류수 95mL를 가하여 100mL로 정용한 후 160rpm으로 1시간 동안 추출한 뒤 여과(Whatman No.2)한다. 이 중 여액 50mL을 취하여 0.1N 수산화나트륨(NaOH)으로 pH 8.4까지 중화한다. 중성포르말린 20mL를 가하여 0.1N 수산화나트륨(NaOH)으로 pH 8이 될 때까지 적정하고, 적정의 종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pH meter (Orion 420A, Thermo, Beverly, MA, USA)를 이용할 수 있다.
총 질소를 측정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참치심장 효소분해액50mL을 분해병에 취하고 알카리성과황산칼륨용액 10mL를 넣고 흔들어 섞는다. 이를 고압증기멸균기 120℃에서 30분간 가열 후 방냉한다. 시료를 여과한 후 여액 25mL를 비색관에 취하고 염산 5mL를 넣어 pH 2~3으로 조정한 후 2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총 질소를 측정한다. 바탕시험은 참치심장 효소분해액 대신 3차증류수 50mL를 취하여 위 시험방법으로 하면 된다. 검량선은 질산성질소 표준액(0.2mg NO3-N/mL) 0~10mL를 단계적으로 취하여 100mL용량 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넣어 표선을 채운다. 이 액 25mL씩을 정확히 취하여 염산5mL를 넣은 다음 시료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고 질소의 양 또는 농도의 흡광도와의 관계식은
총질소(mg-N/L) = A * 60/25 * 1000/V
A = 분석용 시료 용액의 질소 농도(mg-N/L)
V = 전처리에 사용한 시료량(mL)이다.
항산화 라디칼(DPPH Radical)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활성 측정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항산화(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hydrate) 라디칼(radical)이 항산화제로부터 수소(hydrogen)를 받아 항산화(DPPH)로 변환되는데, 항산화제의 활성은 항산화 라디컬(DPPH radical)이 소멸되는 비율로 산출한다. 항산화 라디컬(DPPH radical)은 일반적으로 517nm의 흡광도에서 강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한다. 시험방법은 1mM DPPH 에탄올 용액을 만든 후 희석하여 0.2mM 농도가 되게 만들고 이 용액을 참치심장 효소분해액이 8단계로 희석(1, 0.8, 0.5, 0.4, 0.3, 0.2, 0.1, 0)되어 20uL씩 분주된 96well plate에 180uL씩 첨가한다. 빛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96plate를 은박지로 싼 뒤 실온에서 45분 방치한다. 방치된 시료를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흡광도의 값이 낮을수록 항산화(DPPH)소거능이 우수하다고 분석할 수 있다. 항산화활성은 IC50(inhibitory Concentration)으로 표현했으며 IC50은 free radical 을 50% 저해하는데 필요한 농도로 산출된다.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 [{C-(S-SB)} / C] X 100
S = sample 흡광도
SB = sample blank
C = control
참치심장 효소분해도 측정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1,000mL의 효소반응조에 분쇄하여 전처리 된 참치심장 100g, 효소 프로자임(Prozyme) 2000P 1.5%, 효소 프로자임(Prozyme) 1000P 1.5%을 각각 넣고 참치심장 건조물(dry matter)기준 5배의 물을 가수하고 150rpm으로 교반하면서 아미노태 질소 및 총 질소 함량 변화의 패턴을 6, 12, 18, 24시간 동안 분석한다.
도1을 보면 참치심장을 효소처리하여 분해하였을 때 분해도가 높을수록 고분자의 단백질이 효율적으로 저분자의 단백질 혹은 펩타이드류로 분해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예비실험 결과 선정된 효소로 최대 69%의 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1,000mL의 효소반응조에 분쇄하여 전처리 된 참치심장 100g, 효소 프로자임(Prozyme) 2000P 1.5%, 효소 프로자임(Prozyme) 1000P 1.5%을 각각 넣고 참치심장 건조물(dry matter)기준 5배의 물을 가수하고 150rpm으로 55℃에서 24시간, 48시간 교반하고 IR Mircro-Cenvac(NB-503CR) 진공농축반응기로 온도 50℃, 5,000rpm에서 24시간 건조시켜 본 발명의 항산화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2]
1,000mL의 효소반응조에 분쇄하여 전처리 된 참치심장 100g, 효소 프로자임(Prozyme) 1000P (Bacillus licheniformis & subtilis) 3.0%을 넣고 참치심장 건조물(dry matter)기준 5배의 물을 가수하고 150rpm으로 55℃에서 24시간, 48시간 교반하고 IR Mircro-Cenvac(NB-503CR) 진공농축반응기로 온도 50℃, 5,000rpm에서 24시간 건조시켜 본 발명의 항산화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3]
1,000mL의 효소반응조에 분쇄하여 전처리 된 참치심장 100g, Thermoase PC 10F(Bacillus licheniformis & subtilis) 3.0%을 넣고 참치심장 건조물(dry matter)기준 5배의 물을 가수하고 150rpm으로 55℃에서 24시간, 48시간 교반하고 IR Mircro-Cenvac(NB-503CR) 진공농축반응기로 온도 50℃, 5,000rpm에서 24시간 건조시켜 본 발명의 항산화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4]
1,000mL의 효소반응조에 분쇄하여 전처리 된 참치심장 100g, Collpulin MG(Carica papaya) 6.0%을 넣고 참치심장 건조물(dry matter)기준 5배의 물을 가수하고 150rpm으로 55℃에서 24시간, 48시간 교반하고 IR Mircro-Cenvac(NB-503CR) 진공농축반응기로 온도 50℃, 5,000rpm에서 24시간 건조시켜 본 발명의 항산화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5]
1,000mL의 효소반응조에 분쇄하여 전처리 된 참치심장 100g, Sumizyme LP 50D(Aspergillus oryzae) 6.0%을 넣고 참치심장 건조물(dry matter)기준 5배의 물을 가수하고 150rpm으로 55℃에서 24시간, 48시간 교반하고 IR Mircro-Cenvac(NB-503CR) 진공농축 반응기로 온도 50℃, 5,000rpm에서 24시간 건조시켜 본 발명의 DPPH 항산화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1-5를 통해 항산화 조성물의 항산화 기능을 DPPH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치심장의 효소종류 및 반응시간에 따른 DPPH 항산화효과 분석
분해
시간
(hr)
시료농도
(mg/mL)
효소종류에 따른 참치심장 효소분해액의 DPPH 활성(%)
대조군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24시간 2 3.74 9.38 4.56 43.05 2.22 0.45
1 2.41 9.65 3.48 23.23 1.88 0
0.5 1.54 3.63 2.45 11.50 0.45 0
0.25 0 0.64 2.11 9.00 0 0
0.125 0 2.28 1.46 7.24 0 0
0.0625 0 2.25 1.09 5.25 0 0
0.03125 0 0.03 0.09 3.53 0 0
48시간 2 3.85 31.04 8.89 28.23 5.78 3.41
1 2.49 16.68 6.78 3.48 2.65 2.34
0.5 1.67 13.70 3.21 2.82 3.44 0
0.25 0 6.87 1.89 4.98 0.98 0
0.125 0 5.79 1.11 3.48 0.04 0
0.0625 0 4.28 0 3.12 0 0
0.03125 0 1.56 0 3.26 0 0

참치심장 효소분해 후 DPPH 항산화활성을 측정해 본 결과, 효소 5종 중 효소 프로자임(Prozyme)2000P와 효소 프로자임(Prozyme)1000L이 혼합된 효소와 Thermoase PC 10F효소 분해된 참치심장 조성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24시간 분해 된 시료에서는 Thermoase PC 10F 효소의 활성이 우수하였고, 48시간 분해 된 시료에서는 효소 프로자임(Prozyme)2000P와 효소 프로자임(Prozyme) 1000L이 혼합된 효소군에서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참치심장 효소분해 조성물의 분자량별 분리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1,000mL의 효소반응조에 분쇄하여 전처리 된 참치심장 100g, Thermoase PC 10F(Bacillus thermoproteolyticus) 3.0%을 넣고 참치심장 건조물(dry matter)기준 5배의 물을 가수하고 150rpm으로55℃에서 24시간 교반하여 효소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항산화 조성물을 Vivaspin(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Goettingen, Germany) 6 polyethersulfone을 이용하여 분자량 2000, 3000, 5,000, 10,000, 30,000 membrane cut-off(MWCO) 순서대로 참치심장 효소분해액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여과액을IR Mircro-Cenvac(NB-503CR) 진공농축반응기로 온도 50℃, 5,000rpm에서 24시간 건조시켜 농축시킨 후 본 발명의 항산화 조성물을 제조한다.
참치심장의 분획분자량 MWCO ratio
MWCO(분획분자량) Ratio(%)
2,000 미만 10.09
2,000이상 ~ 3,000미만 15.29
3,000이상 ~ 5,000미만 30.56
5,000이상 ~ 10,000미만 27.88
10,000이상 ~ 30,000미만 13.90
30,000 이상 2.28

참치심장 효소분해액을 분획분자량(MWCO: Molecular Weght Cut Off)로 분리한 결과, 분획분자량(MWCO) 5,000 이상이 44.06% 로 절반이상을 차지했으며 항산화활성이 강한 저분자량의 펩타이드들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분획분자량(MWCO) 5,000 이하의 분획물은 55.94%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이 강할 것으로 판단되는 분획분자량(MWCO) 5,000이하 분획물이 50%이상 되기 때문에 산업화하여 대량생산했을 때 경제적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참치심장 효소분해 조성물의 항산화활성 평가한다.
분획분자량(MWCO)별로 분획된 참치심장 효소분해 조성물의 항산화 기능을 DPPH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치심장의 분획분자량(MWCO) ratio
분획분자량(MWCO) DPPH 항산화활성(%), (1mg/mL)
2,000 미만 83.24
2,000이상 ~ 3,000미만 78.91
3,000이상 ~ 5,000미만 54.77
5,000이상 ~ 10,000미만 34.67
10,000이상 ~ 30,000미만 10.08
30,000 이상 6.3

참치심장 효소분해액을 분획분자량(MWCO)별로 분획하여 1mg/mL의 농도로 조정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예상대로 분획분자량(MWCO) 5,000 미만에서 항산화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경제성을 고려하여 분획분자량(MWCO) 5,000 이하의 참치심장 효소분해액을 혼합하여 농축하였다.
이후에, 나노필터장치(Nano Filter system)을 이용한 참치심장 효소분해물 분획분자량(MWCO) 5,000이하 농축 & 분말화100L의 효소반응조에 분쇄하여 전처리 된 참치심장 10kg, Thermoase PC 10F(Bacillus thermoproteolyticus) 3.0%을 넣고 참치심장 건조물(dry matter)기준 5배의 물을 가수하고 150rpm으로55℃에서 24시간 교반하여 효소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참치심장 효소분해액을 모터 구동식 나노필터장치(Nano Filter system)를 제작하여 압력 18Hz, membrane filter 5kDa, 여액 배출 속도 200mL/min 이 되도록 속도를 조절하여 최종 농축액이 35brix가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농축된 시료는 분무건조(Spray dryer)를 통해 분말화하여 소재화 시켰다.
참치심장 펩타이드 분말의 DPPH 항산화 활성 평가한다.
참치심장 효소분해액 중 분획분자량(MWCO) 5,000이하 조성물을 분말화하여 DPPH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치심장의 분획분자량(MWCO) ratio
시료 농도(mg/mL) DPPH 항산화 활성(%)
참치심장효소분해액 중
분획분자량(MWCO) 5,000이하
분말 시료
0.125 90.45
0.0625 77.88
0.03125 61.34

참치심장을 효소처리하여 분획분자량(MWCO) 5,000 이하 펩타이드 성분을 분리하여 분말화한 본 발명품은 농도 31.25㎍/mL 의 농도에서도 항산화 활성이 60%이상이 될 정도로 항산화 활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정리하면, 심장 분해물 중 항산화활성이 강한 MWCO 5,000 이하 펩타이드 농축물을 분리하여, 이를 분말화하여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참치 심장 펩타이드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저분자 펩타이드로서 장관내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분해율이 매우 낮고 흡수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생체내 활성산소의 감소 기능성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참치심장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참치심장 분쇄물의 건조물을 효소 처리하는 단계;
    상기 건조물 기준 5배 이내의 물을 가수하여, 온도50℃ 내지 60℃로 반응시간 48시간 이내에서 교반하고, 진공농축반응기로 24시간 이내에서 건조하여 분해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효소 처리된 참치심장 분해물에서 분획분자량이 2,000Da 내지 10,000Da의 항산화활성이 강한 펩타이드 농축물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물을 분말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프로자임(Prozyme)2000P와 'Bacillus licheniformis와 Bacillus subtilis 에서 유래한 프로자임(Prozyme)1000L'의 혼합효소, Bacillus licheniformis와 Bacillus subtilis 에서 유래한 프로자임(Prozyme)1000L, Bacillus thermoproteolyticus 에서 유래한 Thermoase PC 10F, carica Papaya에서 유래한 Collpulin MG, Aspergillus Oryzae에서 유래한 Sumizyme LP 50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하는 단계는 상기 참치를 표준체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2.54cm안에 구멍이 20개가 들어있는 체를 통과하는 분말의 크기 (testing sieve 20mesh)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치심장 분해물의 펩타이드 농축물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상기 펩타이드 농축물은 상기 참치심장 분해물의 분획분자량 2,000이상 5,000 이하의 항산화활성이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치심장 분쇄물의 건조물을 효소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분쇄물 기준 5배의 물을 가수하여, 진공농축반응기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1020140145828A 2014-10-27 2014-10-27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101647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828A KR101647558B1 (ko) 2014-10-27 2014-10-27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828A KR101647558B1 (ko) 2014-10-27 2014-10-27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251A KR20160049251A (ko) 2016-05-09
KR101647558B1 true KR101647558B1 (ko) 2016-08-10

Family

ID=5602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828A KR101647558B1 (ko) 2014-10-27 2014-10-27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0352A (zh) * 2017-12-06 2018-06-08 华南协同创新研究院 一种制备南极磷虾抗氧化肽的方法及该抗氧化肽与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9490B (zh) * 2021-11-10 2023-10-27 中国科学院南海海洋研究所 一种抑制髓过氧化物酶mpo的金枪鱼抗氧化肽的制备方法与应用
CN116458649A (zh) * 2023-04-25 2023-07-21 佛山市生物医学工程学会 一种肠道活性多肽组合物的制备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9919A (ja) * 2009-04-08 2010-10-28 Hagoromo Foods Corp エラスチン由来ペプチドの製造方法、及びエラスチン由来ペプチド
CN103073621A (zh) * 2012-12-20 2013-05-01 浙江海洋学院 一种金枪鱼碎肉蛋白抗氧化肽及其制备方法和用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9919A (ja) * 2009-04-08 2010-10-28 Hagoromo Foods Corp エラスチン由来ペプチドの製造方法、及びエラスチン由来ペプチド
CN103073621A (zh) * 2012-12-20 2013-05-01 浙江海洋学院 一种金枪鱼碎肉蛋白抗氧化肽及其制备方法和用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 Food Chem., Vol 46, Pages 2167-2170(199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0352A (zh) * 2017-12-06 2018-06-08 华南协同创新研究院 一种制备南极磷虾抗氧化肽的方法及该抗氧化肽与应用
CN108130352B (zh) * 2017-12-06 2020-08-25 华南协同创新研究院 一种制备南极磷虾抗氧化肽的方法及该抗氧化肽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251A (ko)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g et al. Peptide fractionation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zein hydrolysate
KR102560013B1 (ko) 키틴, 가수분해물, 및 효소 가수분해에 의해 곤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관심 생성물을 생산하는 방법
CN103073621B (zh) 一种金枪鱼碎肉蛋白抗氧化肽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757252B (zh) 一种具有抗氧化活性的灰树花蛋白酶解物的制备方法
CN104250285B (zh) 一种大黄鱼鱼肉抗氧化肽及其制备方法和用途
AU2022202246A1 (en) Water-soluble mussel extract
TWI516280B (zh) 紅藜萃取物用於製備促進膠原蛋白生成及抗皮膚老化之組合物之用途
CN111041059B (zh) 一种具有抗氧化活性南极磷虾肽的制备方法
US20180002452A1 (en) Chitin, hydrolysat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one or more desired products by means of enzymatic hydrolysis, including pre-treatment with an oxidising agent
CN107278208B (zh) 壳多糖、水解产物和通过酶促水解的方式从昆虫生产至少一种目标产物
CN110042138B (zh) 一种林蛙油抗氧化肽组分的制备方法及其分离方法与用途
CN107164447A (zh) 一种利用鳕鱼加工副产物制备抗氧化肽的方法
CN103524596A (zh) 一种鲨鱼蛋白抗氧化肽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1152330A1 (ja) 大豆蛋白質加水分解物含有抗酸化剤及びその利用
KR101647558B1 (ko) 참치심장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WO2017034390A2 (en) Bioactive swiftlet nest supplement
CN105567772B (zh) 一种高抗氧化性蛋白肽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00033643A (ko) 미백화된 오징어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WO2017215313A1 (zh) 一种利用银杏果皮制备抗氧化肽的方法
CN111423489B (zh) 抗氧化肽、含有该抗氧化肽的大豆蛋白水解物
WO2016153362A1 (en) Water-soluble paua extract
JP2022554263A (ja) 美白機能を有する米ペプチド及びその調製方法
CN104862364B (zh) 油菜蜂花粉寡肽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30060954A (ko) 알로에 겔로부터 고수율의 효소 추출물 제조방법 및 알로에 겔의 효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KR20120049045A (ko) 바지락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