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644B1 -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644B1
KR101011644B1 KR1020077020871A KR20077020871A KR101011644B1 KR 101011644 B1 KR101011644 B1 KR 101011644B1 KR 1020077020871 A KR1020077020871 A KR 1020077020871A KR 20077020871 A KR20077020871 A KR 20077020871A KR 101011644 B1 KR101011644 B1 KR 10101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levator
car
counterweight
str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785A (ko
Inventor
군터 로이터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08000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13)에서 운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카(12)의 상이한 측면(24, 25)과 결합되는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7, 18; 61, 62; 91, 92; 111, 112; 143, 144; 157, 158)에 의해 균형추(2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12)와,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7, 18; 61, 62; 91, 92; 111, 112; 143, 144; 157, 158)가 그 상부에 유도되는 구동 시브(21)를 갖고, 카(12)는 1:1의 서스펜션비로 유지되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상이한 연장 거동이 평형화될 수 있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설비를 개량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7, 18; 61, 62; 91, 92; 111, 112; 143, 144; 157, 158)는 카(12) 및/또는 균형추(20) 상에 배치되는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30; 42; 67; 74; 85; 107; 108; 131; 164)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제안된다.
엘리베이터 설비, 샤프트, 카, 케이블 스트랜드, 구동 시브, 균형추, 케이블

Description

엘리베이터{Elevator}
본 발명은 샤프트에서 운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카(car)의 상이한 측면에 결합되는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에 의해 균형추(counterweight)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와,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가 그 상부에서 유도되는 구동 시브(traction sheave)를 갖고, 카는 1:1의 서스펜션비로 유지되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 유형의 엘리베이터 설비는 EP-A-1 329 412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설비의 경우에, 샤프트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상승 및 하강 운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두 개의 카가 사용된다. 상부 카는 다수의 개별 케이블을 포함하는 단일 케이블 스트랜드에 의해 구동 시브 및 균형추에 연결된다. 이 균형추로부터 시작하여, 케이블 스트랜드는 이어서 하부 카의 구동 시브로 유도되고, 케이블 스트랜드는 그 후에, 서로로부터 이격하여 연장하고 하부 카의 일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로 분할된다. 하부 카의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측방향 위치는 상부 카의 일 측면을 각각 지나 케이블 스트랜드로 유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부 카는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 사이의 위치를 차지한다. 두 개의 카 각각은, 각각의 구동 시브에 결합되어 회전으로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고유의 구동기를 갖는다.
카를 구동하기 위해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사용은, 케이블 스트랜드가 상이한 굽힘 하중을 갖고 일반적으로 상이한 경로 상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가 상이한 정도의 연장을 경험하는 결과를 갖는다. 케이블 스트랜드의 상이한 연장 거동은, 케이블 스트랜드가 일반적으로 상이한 마찰 조건에 노출되기 때문에 카가 균일한 하중을 받을지라도 제어될 수 없다. 상이한 연장 거동은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 상에 유지된 카가 경사지게 되는 결과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스프링 요소에 의해 카에 케이블 스트랜드를 장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케이블 스트랜드의 상이한 연장 거동은, 이들의 통상의 스프링 길이를 갖는 스프링 요소가 특히 긴 케이블 스트랜드의 경우에 완전한 평형에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경우에 이 유형의 스프링 요소에 의해 완전히 보상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카가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보조에 의해 일반적으로 4m/s 이상의 속도로 운행하도록 구성되는 고속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상이한 연장 거동은 무시할 수 없다. 비교적 고속에서도 카의 진동 및 주행 소음 및 또한 카의 편향 롤러 및 케이블 스트랜드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카는 1:1의 서스펜션비로 유지되므로, 카의 높이의 변경은 케이블 스트랜드의 전진과 동일하고, 따라서 케이블 스트랜드와 카 사이에 상대 이동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상이한 연장 거동이 평형화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엘리베이터 설비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일반적인 유형의 엘리베이터 설비의 경우에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가 카 및/또는 균형추 상에 배치된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에 의해,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상이한 연장 거동을 평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케이블 스트랜드가 두 개의 상이한 경로 상으로 유도되는 1:1의 서스펜션비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 설비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길이의 비교적 큰 차이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경우에, 두 개의 스트랜드는 동일한 인장력을 받으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마찰 거동이 구동 시브의 구역에서 양 케이블 스트랜드에 대해 얻어진다. 더욱이, 카의 경사진 위치가 회피된다.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는 카 또는 균형추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카 또는 균형추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용어 카는 카 프레임이 없는 사용자가 진입할 수 있는 카 캐빈 및 카 캐빈이 그 상부에 유지되는 카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 캐빈 모두를 칭하도록 본 명세서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는 두 개의 연결 링크를 갖고, 이 두 개의 연결 링크에 의해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가 카 또는 균형추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케이블 스트랜드는 두 개의 연결 링크 사이에 또는 두 개의 연결 링크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케이블 스트랜드는 각각의 경우에 각각의 케이블 스트랜드와 결합되는 연결 링크에 작용한다. 연결 링크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케이블 스트랜드와 결합되는 카 또는 균형추의 측면에 의해 규정된 평면과 나란히 배치된다.
다수의 경우에, 케이블 스트랜드는 다수의 개별 케이블을 갖는다. 여기서, 연결 링크가 다수의 연결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개별 케이블이 연결 요소와 결합되고,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개별 케이블이 각각의 연결 요소 사이에 및/또는 각각의 연결 요소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 유리하다. 이 유형의 구조는 케이블 길이 평형화 및 또한 장력 평형화가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개별 케이블 사이에 가능해지므로 개별 케이블의 상이한 연장 거동이 평형화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카 또는 균형추와 관련하여 케이블 스트랜드의 변위 불가능한 고정을 위해 정지 장치가 연결 링크 사이에 배치되면 유리하다. 이 유형의 구조는 예를 들어 작동 고장이 존재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설비의 특정 작동 조건 하에서 케이블 길이 평형화를 방지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 경우, 카 또는 균형추에 대해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변위 불가능한 고정은 정지 장치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설비의 정상 작동 중에, 정지 장치는 작동 해제될 수 있으므로 케이블 길이 평형화가 엘리베이터 설비의 정상 작동 중에 가능하다.
정지 장치는 예를 들면 케이블 스트랜드가 그에 의해 카 또는 균형추에 변위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케이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가 케이블 스트랜드에 존재하는 케이블 장력을 평형화하기 위해 연결 링크와 결합되면 특히 유리하다.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에 의해, 케이블 길이를 평형화하는 것에 부가하여 케이블 장력이 일 케이블 스트랜드에서 증가되고 다른 케이블 스트랜드에서 감소되어 케이블 장력의 차이를 직접 상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케이블 스트랜드가 다수의 개별 케이블을 가지면, 연결 링크가 개별 케이블에 퍼져 있는 케이블 장력을 평형화하기 위한 다수의 관련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를 가지면 특히 유리하다. 이 방식으로, 케이블 스트랜드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케이블 장력을 갖고, 따라서 동일 방식으로 과부하되지 않고 하중을 받는 것이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스트랜드 및 연결 링크와 상이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가 케이블 스트랜드와 연결 링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가 연결 링크와 카 또는 균형추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의 경우에,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는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두 개의 연결 링크가 케이블 길이 평형화 요소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연결 링크는 이 경우 카 또는 균형추 상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케이블 길이의 차이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링크를 이동시킴으로써 평형화될 수 있다.
케이블 길이 평형화 요소가 예를 들면 선형 구동 요소, 특히 유압 또는 공압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와 같은 직선(선형) 운동을 위한 전기, 기계, 유압 또는 공압 구동 요소와 같은 선형 조정 시스템을 가지면 유리하다. 선형 조정 시스템의 사용은 선형 조정 시스템이 케이블 길이의 실제 차이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고 따라서 연장되거나 및/또는 단축되는 점에서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케이블 길이의 차이가 전기, 기계, 유압 또는 공압 조정 요소에 의해 적극적으로 상쇄되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연결 링크는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치되고,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는 연결 링크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연결된다. 이 유형의 구조는 연결 링크 주위에 서로 연결된 케이블 스트랜드를 유도하고 이에 의해 케이블 스트랜드 사이의 길이 평형화 및 직접적인 인장을 성취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구조적으로 간단한 구조의 경우에, 연결 링크는, 케이블 스트랜드가 그 주위에 각각 유도되는 편향 요소로서 구성된다. 여기서, 케이블 스트랜드는 활주 방식으로 각각의 편향 요소 상에 유지되므로, 이들은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불균일한 인장 하중을 평형화하기 위해 편향 요소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편향 요소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편향 롤러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가 다수의 개별 케이블을 가지면, 편향 롤러가 다수의 편향 시브를 포함하고, 각각의 개별 케이블이 개별 편향 시브 주위로 유도되면 유리하다. 이는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개별 케이블 사이의 특히 간단한 장력 및 길이 평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길이 평형화 중에 개별 케이블이 서로 영향을 주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편향 롤러의 편향 시브가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면 유리하다. 이 유형의 실시예의 경우에, 편향 시브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케이블 길이 평형화의 경우에, 단지 관련된 개별 케이블만이 각각의 경우에 이동하고, 케이블 스트랜드의 다른 개별 케이블은 어떠한 상대 운동도 경험하지 않는다.
편향 요소는 카 또는 균형추 상에 배치된 공통 캐리어 상에 유지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편향 요소는 카 또는 균형추 상에 배치되는 개별 캐리어 상에 각각 유지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캐리어는 예를 들면 각각의 경우에 편향 롤러 형태의 편향 요소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그 상부에 장착되는 베어링 지지체를 형성할 수 있다.
편향 요소는 스프링 요소에 의해 카 또는 균형추 상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요소는 상이한 케이블 길이 및 케이블 장력의 평형화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카 또는 균형추의 매우 낮은 진동 장착을 보장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편향 요소는 예를 들어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와 같은 선형 조정 시스템에 의해 카 또는 균형추 상에 유지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선형 조정 시스템의 작동에 의해, 편향 요소는 카 또는 균형추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편향 요소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으면 유리하다. 예를 들면, 편향 요소는 각각 카 또는 균형추의 일 측면을 지나 돌출되고 그 결과 편향 요소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기 위해 카 또는 균형추의 각각의 측면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유사하게, 편향 요소의 평형화 운동은 또한 수직 방향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편향 요소의 형태로 연결 링크를 형성하는 대신에,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의 경우에, 연결 링크는 케이블 스트랜드가 그 상부에 유지되는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아암을 각각 형성하는 것이 제공된다. 레버 아암을 피벗함으로써, 케이블 길이 평형화가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성취될 수 있다.
케이블 스트랜드가 다수의 개별 케이블을 가지면, 레버 아암이 개별 케이블이 그 각각의 상부에 유지되는 다수의 레버 아암 요소를 가지면 유리하다. 이는 케이블 스트랜드의 개별 케이블의 상이한 연장 거동이 평형화될 수 있게 한다.
두 개의 레버 아암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로커를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로커는 예를 들면 카로부터 돌출하는 베어링 지지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로커는 카 또는 균형추의 수직 중심축의 구역에 피벗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형의 구조의 경우에, 로커는 두 개의 레버 아암이 각각의 경우에 동일 길이인 방식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개별 케이블이 로커에 의해 서로 각각 결합되면 특히 유리하다. 개별 케이블은 로커의 단부에서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는 예를 들면 1-부품 또는 다중 부품 스프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는 상이한 수의 개별 케이블을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유형의 구조는 높은 샤프트의 경우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카 또는 균형추의 수직 중심축에 대해 무수의 개별 케이블을 갖는 케이블 스트랜드의 방향으로 편위되어 피벗 가능하게 유지되는 로커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무수의 개별 케이블을 갖는 케이블 스트랜드는 소수의 개별 케이블을 갖는 케이블 스트랜드보다 짧은 레버 아암 상에 유지된다. 따라서, 상이한 수의 개별 케이블에 불구하고, 케이블 길이 평형화 및 또한 장력 평형화가 간단한 방식으로 케이블 스트랜드 사이에 성취될 수 있다.
로커의 피벗 운동은 센서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자계 센서, 바람직하게는 홀 센서와 같은 비접촉 센서, 또는 로커의 피벗축에 결합된 통상의 증분 인코더가 사용될 수 있다. 레버 아암과 카 사이의 거리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점에서 카로의 로커의 레버 아암의 접근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 중 하나의 길이의 매우 큰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로커의 미리 결정된 피벗각 또는 레버 아암과 카 사이의 미리 결정된 거리가 초과될 때 센서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으면 유리하다. 제어 신호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으므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면 케이블 스트랜드가 비교적 장시간 동안 사용되었기 때문에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가 매우 상이한 케이블 길이를 갖는 것을 사용자에게 지시하기 위해 광학 또는 음성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두 개의 연결 링크는, 제1 측면 아암 및 제1 측면 아암에 소정 각도로 정렬된 제2 측면 아암을 갖는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각도 레버로서 각각 구성되고, 제1 측면 아암 상에는 케이블 스트랜드가 유지되고, 제2 측면 아암은 결합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 측면 아암은 카 또는 균형추의 측벽을 지나 각각 돌출하여 대향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고, 케이블 스트랜드는 제1 측면 아암의 자유 단부의 옆에 각각 유지된다. 케이블 스트랜드는 각각의 측면 아암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케이블 스트랜드가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 특히 스프링 요소에 의해 제1 측면 아암에 고정되면 특히 유리하다. 제2 측면 아암은 수직으로 정렬되어 결합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결합 링크는 두 개의 측면 아암 사이에 결합되는 스프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결합 링크가 선형 조정 시스템을 가져 제2 측면 아암이 예를 들면 서로 전기적, 기계적, 공압식 또는 유압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케이블 스트랜드가 다수의 개별 아암을 가지면, 각도 레버가 제1 및 제2 측면 아암을 갖는 다수의 각도 레버 요소를 각각 갖고, 개별 케이블은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에 의해 각도 레버 요소의 제1 측면 아암 상에 각각 유지되고, 두 개의 각도 레버 요소의 제2 측면 아암은 각각의 경우에 이들 자신의 결합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되면 유리하다. 이 방식으로, 개별 케이블의 상이한 케이블 길이가 특히 효과적으로 상쇄될 수 있다. 각도 레버 요소는 서로에 대해 피벗식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은 도면과 관련하여 더 상세한 설명의 기능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3 내지 제9 실시예의 절결 상세 형태의 개략도.
도 1에는, 사람 및/또는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샤프트(13)에서 운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카 프레임(14) 및 카 캐빈(15)을 갖는 카(12)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설비(10)가 도시되어 있다. 카(12)는 1:1의 서스펜션비로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7, 18)에 의해 균형추(20)에 연결되고, 케이블 스트랜드(17, 18)는 구동기(22)에 의해 회전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공통 구동 시브(21) 상에 유도된다. 케이블 스트랜드(17, 18)는 각각 카의 일 측면(24, 25) 각각에 결합된다.
상부 측면에서, 그 각각의 주위에 케이블 스트랜드(17, 18) 각각의 카측 단부 구역이 유도되어 있는 두 개의 편향 롤러(32, 33)의 형태로 두 개의 연결 링크 가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카가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30)를 갖는다. 두 개의 편향 롤러(32, 33)는 각각 카(12)에 단단하게 연결된 베어링 지지체(35, 36) 각각의 형태로 캐리어 상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케이블 스트랜드(17, 18)는 또한 균형추(20)의 구역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되고, 균형추(20)의 상부 측면 상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 균형추 롤러(38) 주위에 유도된다.
예를 들면 매우 긴 케이블이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사용되어 있거나 또는 카(12)의 비대칭 중량 하중에 기인하여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7, 18)의 상이한 연장이 존재하면,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7, 18)의 일체 연결 및 편향 롤러(32, 33)에 의한 카(12) 상의 고정의 결과로서, 수반하는 길이의 변화가 카(12)에 대해 케이블 스트랜드(17, 18)의 연결 구역의 변위에 의해 평형화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면 부호 40으로 전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되고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 엘리베이터 설비는 엘리베이터 설비(10)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도 2 내지 도 9의 동일 부품에 사용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와 관련하여 상술한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비(40)는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42)가 카 캐빈(15)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엘리베이터 설비(10)와는 상이하다. 이 장 치는 스프링 요소(49, 50)에 의해 카 캐빈(15) 상에 유지되어 있는 공통 캐리어(47) 상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각각 장착된 편향 롤러(44, 45)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비(10)의 경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카 프레임은 엘리베이터 설비(40)의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설비(40)의 경우에서도, 케이블 스트랜드(17, 18)는 편향 롤러(44, 45) 사이의 구역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케이블 클램프(52)의 형태의 정지 장치(arresting device)와 이 구역에서 상호 작용한다. 케이블 클램프(52)에 의해,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7, 18)는 이들이 캐리어(47) 상에 단단히 클램핑되는 점에서 카 캐빈(15)과 관련하여 변위 불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예를 들면 작동 결함의 경우에, 케이블 스트랜드(17, 18) 사이의 길이 평형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카 캐빈(15)은 대안적으로 또한 단지 하나의 케이블 스트랜드(17 또는 18)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설비(40)는 또한,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7, 18)가 균형추(20)에 직접 고정되어 있는 점에서 엘리베이터 설비(10)와는 상이하다. 엘리베이터 설비(10)의 경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균형추 롤러는 엘리베이터 설비(40)의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도 3에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3 실시예가 절결 상세의 형태로 도시되고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60으로 나타낸다. 이 엘리베이터 설비의 경우에, 다수의 개별 케이블(63, 64)을 각각 갖는 케이블 스트랜드(61, 62)가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케이블 스트랜드(61, 62)는 카(12)의 하부에 장착된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67)의 편향 롤러 주위에 유도되지만, 각각의 개별 케이블(63, 64)은 편향 롤러의 개별의 관련 편향 시브(65, 66) 각각을 갖는다. 개별 편향 시브(65, 66)는 캐리어(47) 상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므로, 다른 개별 케이블(63, 64)이 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길이 평형화가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61, 62) 각각의 두 개의 개별 케이블(63, 64) 사이에 각각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각각의 편향 롤러, 특히 각각의 편향 시브(65, 66)가 별도로 탄성 방식으로 유지되는 것이 또한 여기에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49, 50)에 의한 캐리어(47)의 탄성 장착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 4에는, 케이블 길이 평형화 유닛(74)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70으로 나타내며, 이 설비에서 카(12)의 하부에 배치된 편향 롤러(71, 72)는 카(12)의 하부에 고정된 유압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73)의 형태로 케이블 길이 평형화 요소 상에 유지된다.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73)는 선형 조정 시스템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편향 롤러(71, 72)는 편향 롤러(71, 72)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대향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케이블 스트랜드(61, 62)의 케이블 길이의 변경이 특정하게 평형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편향 롤러(71, 72)는 도 3에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그 각각의 주위에 케이블 스트랜드(61, 62)의 개별 케이블이 유도되는 개별 편향 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편향 롤러(71)의 각각의 편향 시브는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73)에 의해 편향 롤러(72)의 편향 시브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케이블 스트랜드(61, 62)의 개별 케이블의 케이블 길이가 개별적으로 평형화될 수 있다.
도 5에는, 케이블 평형화 장치(85)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고,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80으로 나타내며, 이 설비에서 각각의 경우에 스프링 요소(83, 84) 각각의 형태로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에 의해 카(12)의 하부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는 두 개의 편향 롤러(81, 82)가 사용된다. 케이블 스트랜드(61, 62)는 편향 롤러(81, 82) 사이의 구역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되므로, 길이 평형화가 엘리베이터 설비(80)의 작동 중에 케이블 스트랜드(61, 62) 사이에 실행될 수 있다. 스프링 요소(83, 84) 각각에 의한 편향 롤러(81, 82)의 장착은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케이블 스트랜드(61, 62)의 상이한 케이블 장력을 상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재차, 편향 롤러(81, 82)는, 대향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그 각각의 주위에 케이블 스트랜드(61, 62)의 개별 케이블이 유도되는 개별 편향 시브를 가질 수 있다. 개별 편향 시브는 개별 스프링 요소(83, 84)에 의해 카(12) 상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므로, 개별 케이블의 케이블 장력이 개별적으로 평형화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실시예의 경우에,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가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이와 대조로, 도 6에는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107)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6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면 부호 90으로 나타내며, 이 경우에 케이블 스트랜드(91, 92)는 스프링 요소(93, 94) 각각의 형태의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에 의해 레버 아암(95, 96) 각각에 단부에서 고정된다. 두 개의 레버 아암(95, 96)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고, 카(12)에 단단 히 연결된 캐리어(100) 상에 카(12)의 수직 중심축(98)의 구역에서 수평 정렬 피벗축(99)에 대해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로커(97)를 형성한다.
케이블 스트랜드(91, 92)는 각각의 경우에 다수의 개별 케이블(101, 102) 각각을 갖고, 각각의 경우에 레버 아암(95, 96)은 그 각각에 개별 케이블(101, 102) 각각이 스프링 요소(93, 94) 각각에 의해 고정되는 레버 아암 요소(103, 104) 각각을 포함한다. 두 개의 레버 아암 요소는 각각 캐리어(100) 상의 잔류 로켓 요소(105)에 대해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로커 요소(105)를 형성한다.
모든 로커 요소(105)는 각각 각형성 리졸버(angular resolver)(106)와 상호 작용하고, 이 리졸버에 의해 로커 요소(105)의 피벗 위치가 감지될 수 있고 이 리졸버는 그 자체가 공지된(따라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최대 허용 가능한 미리 결정 가능한 피벗각이 초과되면 제어 신호를 표시하므로, 상기 제어 시스템은 허용 가능한 피벗각이 초과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108)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7 실시예가 절결 상세도의 형태의 도 7에 도시되고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10으로 나타낸다. 이 엘리베이터 설비의 경우에, 상이한 수의 개별 케이블(113, 114) 각각을 갖는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11, 112)가 사용된다. 개별 케이블(113, 114)은 각각의 경우에 스프링 요소(115, 116) 각각의 형태의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에 의해 레버 아암(117, 118) 각각에 고정된다. 레버 아암(117, 118)은 각각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108)의 연결 링크를 형성하고 캐리어(100) 상에 피벗 가 능하게 장착된다. 무수의 개별 케이블(113)을 갖는 케이블 스트랜드(111)가 그 상부에서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레버 아암(117)은 케이블 스트랜드(112)의 개별 케이블(114)을 탄성적으로 장착하는 레버 아암(118)보다 짧다. 두 개의 레버 아암(117, 118)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캐리어(100) 상의 수직 중심축(98)에 대해 편향하여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로커(119)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이한 수의 개별 케이블(113, 114) 각각을 갖는 케이블 스트랜드(111, 112)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케이블 스트랜드(111, 112)의 동등하게 높은 하중 및 길이 평형화가 로커(119)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게다가, 개별 케이블(113, 114)에 존재하는 케이블 장력의 평형화가 스프링 요소(115, 116)에 의해 가능하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8 실시예가 도시되고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30으로 나타내며, 이 설비에서 그 각각이 제1 측면 아암(135, 136) 각각 및 이 제1 측면 아암에 대해 직각으로 정렬된 제2 측면 아암(137, 138)을 각각 갖는 두 개의 각도 레버(133, 134)의 형태로 서로 소정 거리에 배치된 두 개의 연결 링크를 갖는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131)가 사용된다. 각도 레버(133, 134)는 카(12)의 하부에 고정된 캐리어(141, 142) 상에서 수평 피벗축(139, 140) 각각에 대해 피벗 가능하게 유지된다. 제1 측면 아암(135, 136)의 자유 단부 각각에 고정된 것은 케이블 스트랜드(143, 144) 각각이고, 두 개의 측면 아암(137, 138)이 텐션 스프링(145)의 형태의 커플링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각도 레버(133, 134)를 피벗함으로써,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상이한 연장 거동이 평형화될 수 있고,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43, 144)의 케이블 연장이 또한 텐션 스프링(145)에 의해 평형화된다.
도 9에는,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164)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의 제9 실시예가 도시되고 전체로서 도면 부호 150으로 나타내며, 이 설비에서는 그 각각이 제1 측면 아암(153, 154) 각각 및 제2 측면 아암(155, 156)을 갖는 두 개의 각도 레버(151, 152)가 엘리베이터 설비(130)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재차, 제1 측면 아암(153, 154))의 각각에는 케이블 스트랜드(157, 158) 각각이 고정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설비(130)와 대조적으로, 제2 측면 아암(155, 156)은 텐션 스프링에 의해서가 아니라 유압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159)의 형태의 선형 조정 시스템에 의해서 서로 결합된다. 더욱이, 두 개의 각도 레버(151, 152)는, 실질적으로 U형 방식으로 형성되고 카(12)에 고정되고 운반 크로스 부품(163)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된 두 개의 운반 아암(161, 162)을 갖는 공통 캐리어(160)에 장착된다.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159)는 두 개의 운반 아암(161, 162) 사이에 유지되고 따라서 카(12)에 의해 상부측에 운반 크로스 부품(163)에 의해 하부측에서 커버된다. 이는 케이블 스트랜드(157, 158)의 상이한 케이블 길이를 평형화하기 위한 케이블 길이 평형화 요소를 형성한다.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131 및 164)의 경우에도, 그 각각이 케이블 스트랜드(143, 144 및 157, 158) 각각은 그 각각이 개별 각도 레버(133, 134 및 151, 152) 각각과 결합된 다수의 개별 케이블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에 각도 레버(133 및 151)는 개별 커플링 링크(145 또는 159)에 의해 관련 각도 레버(134 및 152) 각각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케이블 스트랜드(143, 144 및 157, 158) 각각의 개별 케이블의 케이블 길이는 또한 잔류 개별 케이블의 케이블 길이에 무관하게 평형화될 수 있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164)의 경우, 케이블 스트랜드(157, 158)의 개별 케이블은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되어 도면 부호 93 및 94로 나타낸 바와 같은 스프링 요소에 의해 각각의 각도 레버(151, 152) 상에 각각의 경우에 유지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스프링 요소는 개별 케이블의 케이블 장력의 평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37)

  1. 샤프트(13)에서 운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카(12)의 상이한 측면(24, 25)과 결합되는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7, 18; 61, 62; 91, 92; 111, 112; 143, 144; 157, 158)에 의해 균형추(2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12)와,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7, 18; 61, 62; 91, 92; 111, 112; 143, 144; 157, 158)가 그 상부에 유도되는 구동 시브(21)를 갖고, 상기 카(12)는 1:1의 서스펜션비로 유지되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7, 18; 61, 62; 91, 92; 111, 112; 143, 144; 157, 158)는 상기 카(12), 상기 균형추(20), 또는 이들 모두에 배치되는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30; 42; 67; 74; 85; 107; 108; 131; 164)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30; 42; 67; 74; 85; 107; 108; 131; 164)는 두 개의 연결 링크(32, 33; 44, 45; 71, 72; 81, 82; 95, 96; 117, 118; 133, 134; 151, 152)를 갖고, 이 두 개의 연결 링크에 의해 상기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7, 18; 61, 62; 91, 92; 111, 112; 143, 144; 157, 158)가 상기 카(12) 또는 상기 균형추(20)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스트랜드(17, 18; 61, 62; 91, 92; 111, 112; 143, 144; 157, 158)는 상기 두 개의 연결 링크(32, 33; 44, 45; 71, 72; 81, 82) 사이에 또는 두 개의 연결 링크(95, 96; 117, 118; 133, 134; 151, 152)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 스트랜드(61, 62; 91, 92; 111, 112)는 다수의 개별 케이블(63, 64; 101, 102; 113, 114)을 갖고, 상기 연결 링크(44, 45; 95, 96)는 다수의 연결 요소(65, 66; 103, 104)를 포함하고, 각각의 개별 케이블(63, 64; 101, 102)은 연결 요소(65, 66; 103, 104)와 결합되고, 상기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61, 62; 91, 92)의 개별 케이블(63, 64; 101, 102)은 각각의 연결 요소(65, 66) 사이에 또는 각각의 연결 요소(103, 104)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길이 평형화 장치(30; 42; 67; 74; 85; 107; 108; 131; 164)는 상기 카(12) 또는 상기 균형추(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12) 또는 상기 균형추(20)와 관련하여 상기 케이블 스트랜드(17, 18)의 변위 불가능한 고정을 위해 정지 장치(52)가 상기 연결 링크(44, 45)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장치는 케이블 클램프(52)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7. 제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49, 50; 83, 84; 93, 94; 115, 116)가 상기 케이블 스트랜드(17; 18; 61; 62; 91; 92; 111; 112)에 퍼져 있는 케이블 장력을 평형화하기 위해 상기 연결 링크(44, 45; 71, 72; 81, 82; 95, 96; 117, 118; 133, 134; 151, 152)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스트랜드(91, 92; 111, 112)는 다수의 개별 케이블(101, 102; 113, 114)을 갖고, 상기 연결 링크(95, 96; 117, 118)는 상기 개별 케이블(101, 102; 113, 114)에 퍼져 있는 케이블 장력을 평형화하기 위한 다수의 관련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93, 94; 115, 11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9. 제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93, 94; 115, 116)가 케이블 스트랜드(91, 92; 111, 112)와 연결 링크(95, 96; 117, 118)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0. 제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49, 50; 83, 84)가 연결 링크(44, 45; 71, 72; 81, 82)와 상기 카(12) 또는 상기 균형추(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장력 평형화 요소는 스프링 요소(49, 50; 83, 84; 93, 94; 115, 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연결 링크(71; 72; 133, 134; 151, 152)는 케이블 길이 평형화 요소(73; 145; 159)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길이 평형화 요소는 선형 조정 시스템(73; 145; 15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32, 33; 44, 45; 71, 72; 81, 82)는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7, 18; 61, 62)는 상기 연결 링크(32; 33; 44, 45, 71, 72; 81, 82)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는,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치되고 케이블 스트랜드(17, 18; 61, 62)가 그 주위에 각각 유도되는 편향 요소(32; 33; 44, 45; 71, 72; 81, 82)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소는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편향 롤러(32; 33; 44, 45; 71, 72; 81, 82)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61, 62)는 다수의 개별 케이블(63, 64)을 갖고, 상기 편향 롤러(44, 45)는 다수의 편향 시브(65, 66)를 포함하고, 각각의 개별 케이블(63, 64)은 개별 편향 시브(65, 66) 주위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롤러(44, 45)의 편향 시브(65, 66)는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소(44, 45; 71, 72)는 상기 카(12) 또는 상기 균형추(20) 상에 배치된 공통 캐리어(47; 73) 상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소(32, 33; 81, 82)는 상기 카(12) 또는 상기 균형추(20) 상에 배치되는 개별 캐리어(35, 36; 83, 84) 상에 각각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1.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소(44, 45; 81, 82)는 스프링 요소(49, 50; 83, 84)에 의해 상기 카(12) 또는 상기 균형추(20) 상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2.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소(71, 72)는 선형 조정 시스템(73)에 의해 상기 카(12) 또는 상기 균형추(20) 상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3.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소(71, 72) 사이의 거리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소(71, 72) 사이의 거리는 선형 조정 시스템(73)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는 각각 케이블 스트랜드(91, 92; 111, 112)가 그 상부에 유지되는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아암(95, 96; 117, 11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아암(95, 96)은, 상기 케이블 스트랜드(91, 92)의 개별 케이블(101, 102)이 그 각각의 상부에 유지되는 다수의 레버 아암 요소(103, 10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레버 아암(95, 96)의 레버 아암 요소(103, 104)는 서로에 대해 피벗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8.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아암(95, 96; 117, 118)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로커(97; 11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97)는 상기 카(12) 또는 상기 균형추(20)의 수직 중심축(98)의 구역에 피벗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케이블 스트랜드(111, 112)는 상이한 수의 개별 케이블(113, 114)을 갖고, 상기 로커(119)는 상기 카(12) 또는 상기 균형추(20)의 수직 중심축(98)에 대해 무수의 개별 케이블(113)을 갖는 케이블 스트랜드(111)의 방향으로 편위되어 피벗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 이터 설비.
  31.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97)의 피벗 운동은 센서(106)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97)의 미리 결정된 피벗각이 초과될 때 상기 센서(106)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3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연결 링크는, 제1 측면 아암(135, 136; 153, 154) 및 상기 제1 측면 아암에 소정 각도로 정렬된 제2 측면 아암(137, 138; 155, 156)을 갖는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각도 레버(133, 134; 151, 152)로서 구성되고, 상기 제1 측면 아암(135, 136; 153, 154) 상에는 케이블 스트랜드(143, 144; 157, 158)가 유지되고, 상기 제2 측면 아암(137, 138; 155, 156)은 결합 링크(145; 159)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34.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링크는 스프링 요소(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35.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링크는 선형 조정 시스템(15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36.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스트랜드(143, 144; 157, 158)는 다수의 개별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 레버(133, 134; 151, 152)는 제1 및 제2 측면 아암을 갖는 다수의 각도 레버 요소를 갖고, 상기 각도 레버 요소의 제1 측면 아암 상에는 개별 케이블이 각각 유지되고, 상기 두 개의 각도 레버 요소의 제2 측면 아암은 결합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37.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레버 요소는 서로에 대해 피벗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KR1020077020871A 2005-03-12 2005-10-28 엘리베이터 KR101011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05443.6 2005-03-12
EP05005443A EP1700811B1 (de) 2005-03-12 2005-03-12 Aufzug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785A KR20080003785A (ko) 2008-01-08
KR101011644B1 true KR101011644B1 (ko) 2011-01-28

Family

ID=3493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871A KR101011644B1 (ko) 2005-03-12 2005-10-28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80060884A1 (ko)
EP (1) EP1700811B1 (ko)
JP (1) JP2008532880A (ko)
KR (1) KR101011644B1 (ko)
CN (1) CN101142136B (ko)
BR (1) BRPI0520111A2 (ko)
ES (1) ES2399095T3 (ko)
MX (1) MX2007011133A (ko)
RU (1) RU2410321C2 (ko)
TW (1) TWI295271B (ko)
WO (1) WO2006097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4806A4 (en) * 2009-04-29 2015-07-22 Otis Elevator Co LIFTING SYSTEM WITH SEVERAL CARS IN A SINGLE TRAVEL CHAIR
CN101973478B (zh) * 2010-10-22 2012-07-04 湖南海诺电梯有限公司 一种托架式滚轮摩擦驱动系统
JP2012148847A (ja) * 2011-01-18 2012-08-09 Ihi Corp 吊揚げ装置及び吊り天秤
US9249524B2 (en) 2011-08-31 2016-02-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oxi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wer storage device
DE102012100791A1 (de) * 2012-01-31 2013-08-01 ThyssenKrupp Fördertechnik GmbH Zugmittel-Windenvorrichtung
JP6091076B2 (ja) * 2012-04-23 2017-03-08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避難支援装置
FI125459B (fi) 2012-10-31 2015-10-15 Kone Corp Hissin vetohihnan kiristysjärjestelmä ja hissi
JP6137226B2 (ja) * 2015-03-10 2017-05-31 村田機械株式会社 昇降搬送装置
DE202015103087U1 (de) * 2015-06-12 2016-09-19 Schwartz Gmbh Umlenkrolle
EP3124421A1 (de) * 2015-07-28 2017-02-01 Inventio AG Tragmittelaufhängvorrichtung mit asymmetrischer wippvorrichtung für eine aufzuganlage
KR102636704B1 (ko) * 2016-11-03 2024-02-14 안가영 화물차량 리프트의 와이어드럼에 설치된 안전브레이크
KR102636731B1 (ko) * 2016-11-03 2024-02-14 국제승강기 주식회사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
KR102636701B1 (ko) * 2016-11-03 2024-02-14 안가영 화물차량 리프트용 동력전달축
KR102660067B1 (ko) * 2016-12-21 2024-04-22 안아영 화물차량 리프트용 슬라이딩 플랫폼
DE102019200375A1 (de) * 2019-01-15 2020-07-16 Thyssenkrupp Ag Aufzugsanlage mit einer ersten Aufhängung und einer zweiten Aufhängung an einem Fahrkorb
EP3705443A1 (de) * 2019-03-05 2020-09-09 Inventio AG Aufzuganlage mit ausbalancierten traktionsmitteln
DE102019120992A1 (de) * 2019-08-02 2021-02-04 Hans Lutz Maschinenfabrik GmbH & Co. KG Aufzug mit riemen-zugmittel
EP4271640A1 (de) * 2020-12-31 2023-11-08 Inventio Ag Aufhängevorrichtung und deren verwendung in einer aufzugsanlage und verfahr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6071A1 (de) * 1998-12-02 2000-06-07 Inventio Ag Aufzug mit zwei Antriebe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115A (en) * 1909-01-21 1915-12-14 Charles O Pearson Traction-elevator.
US1782671A (en) * 1929-05-13 1930-11-25 Jr William P Allred Storage and parking garage
US1805227A (en) * 1929-05-27 1931-05-12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Multiple-car elevator
US1837643A (en) * 1931-03-28 1931-12-22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FI84051C (fi) * 1988-03-09 1991-10-10 Kone Oy Linupphaengning foer en hiss.
CN1019786B (zh) * 1990-03-17 1992-12-30 铁法矿务局 多绳提升机钢绳张力自动平衡装置
JPH0426749A (ja) * 1990-05-18 1992-01-29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溶融Zn―Al合金めっき用フラックス
JPH0742063B2 (ja) * 1992-07-17 1995-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駆動システム
US5419414A (en) * 1993-11-18 1995-05-30 Sakita; Masami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the same hoistway
JPH07223785A (ja) * 1994-02-04 1995-08-22 Otis Elevator Co 巻き上げ式エレベーター
JPH07237852A (ja) * 1994-02-15 1995-09-12 Otis Elevator Co 巻胴式ホームエレベーター
US5490577A (en) * 1994-06-22 1996-02-13 Otis Elevator Company Flexible elevator hitch
JPH09216778A (ja) * 1996-02-15 1997-08-1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ワイヤロープ装置
CN1044998C (zh) * 1996-09-27 1999-09-08 中国矿业大学 钢丝绳张力自动平衡悬挂装置
JP4131764B2 (ja) * 1998-09-01 2008-08-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4442941B2 (ja) * 1998-09-09 2010-03-3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6223862B1 (en) * 1999-06-17 2001-05-01 Michael Barnes Elevator cable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EP1329412B1 (en) * 2000-10-10 2009-1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JP2003306281A (ja) * 2002-04-15 2003-10-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用綱車
KR100536934B1 (ko) * 2002-06-10 2005-12-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WO2004026749A1 (ja) * 2002-09-19 2004-04-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JP2006513116A (ja) * 2003-01-21 2006-04-20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トラクション駆動型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のためのロープ張力付与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6071A1 (de) * 1998-12-02 2000-06-07 Inventio Ag Aufzug mit zwei Antrie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10321C2 (ru) 2011-01-27
TWI295271B (en) 2008-04-01
RU2007137627A (ru) 2009-04-20
MX2007011133A (es) 2007-10-23
KR20080003785A (ko) 2008-01-08
WO2006097138A1 (de) 2006-09-21
CN101142136A (zh) 2008-03-12
ES2399095T3 (es) 2013-03-25
EP1700811B1 (de) 2013-01-09
US20080060884A1 (en) 2008-03-13
TW200702276A (en) 2007-01-16
EP1700811A1 (de) 2006-09-13
JP2008532880A (ja) 2008-08-21
CN101142136B (zh) 2010-11-17
BRPI0520111A2 (pt)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644B1 (ko) 엘리베이터
US8162110B2 (en) Rope tension equalizer and load monitor
US10266374B2 (en) Lift installation having a compensating device, so that a first roller is largely relieved of loading when the lift car is at rest
US8800721B2 (en) Elevator installation
US7661513B2 (en) Dual-car elevator system with common counterweight
US10427912B2 (en) Elevator system
US5566783A (en) Vehicle parking system
FI120763B (fi) Menetelmä kuorman mittaamiseksi hississä ja hissi
JP2008531433A (ja) 角度を形成するアンダースラング式ローピング配置を有するエレベータかご
CA2146722A1 (en) Automotive lift
EP2678258B1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4:1 roping arrangement
US20190218067A1 (en) Elevator cab suspension assembly for a double deck elevator
JP2004115184A (ja) エレベータの釣合補償用索状体案内装置
US9132991B2 (en) Elevator system having a double-decker
CA2613937A1 (en) Lift system
JP2016060635A (ja) 主ロープの張力調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JPWO2002038480A1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側荷重検出装置
CN1738761A (zh) 用于平衡电梯的主绳拉力的装置
US20010025743A1 (en) Tensioning device for at least one trailing rope
KR101012254B1 (ko)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WO2004022471A1 (ja) エレベータ装置
FI126805B (fi) Vetoelimen kireyttä valvovalla laitteistolla varustettu hissi
KR200311282Y1 (ko) 승강기의 로우프 장력을 균등화시키는 장치
JP2000118911A (ja) エレベータ
WO2020115861A1 (ja) エレベータの張力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