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701B1 - 화물차량 리프트용 동력전달축 - Google Patents

화물차량 리프트용 동력전달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701B1
KR102636701B1 KR1020160145852A KR20160145852A KR102636701B1 KR 102636701 B1 KR102636701 B1 KR 102636701B1 KR 1020160145852 A KR1020160145852 A KR 1020160145852A KR 20160145852 A KR20160145852 A KR 20160145852A KR 102636701 B1 KR102636701 B1 KR 102636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universal joint
wire drum
yoke
conver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9656A (ko
Inventor
안한배
안가영
Original Assignee
안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가영 filed Critical 안가영
Priority to KR1020160145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7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1/00Vehicle modifications for receiving separate lifting, supporting, or manoeuv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리프트본체에 구비된 모터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구동변환부의 양측에 유니버셜조인트를 설치하고 일측유니버셜조인트의 타측에 카리프트본체 일측에 설치된 와이어드럼과 연결되고, 타측유니버셜조인트의 일측에 카리프트본체 타측에 설치된 와이어드럼과 연결되게 설치하여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변환부의 구동력을 유니버셜조인트를 통해서 와이어드럼에 안정적으로 전달구동되게하여 와이어드럼이 안정적으로 구동되고 유니버셜조인트의 수리가 필요시 분해조립이 손쉬워 교체가 용이하며, 와이어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제1,2시브를 통해서 시브구비한 케이지를 가이드체인내에서 수직프레임빔 내에서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한 화물차량 리프트용 동력전달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량 리프트용 동력전달축{Lift Apparatus for Freight Vehicle}
본 발명은 화물차량 리프트용 동력전달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리프트본체에 구비된 모터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구동변환부(감속기)의 양측에 유니버셜조인트를 설치하고 일측유니버셜조인트의 타측에 카리프트본체 일측에 설치된 와이어드럼과 연결되고, 타측유니버셜조인트의 일측에 카리프트본체 타측에 설치된 와이어드럼과 연결되게 설치하여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변환부의 구동력을 유니버셜조인트를 통해서 와이어드럼에 안정적으로 전달구동되게 하여 와이어드럼이 안정적으로 구동되게 하며, 제품 조립시에도 구동변환부와 와이어드럼의 제작상의 공차로 미세한 높낮이의 차이나 중심이 어긋나 있을 때에도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조립이 용이하게 될 뿐만아니라, 유니버셜조인트의 수리가 필요시 분해조립이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며, 와이어드럼에서 구동되는 와이어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제1, 2 시브를 통해서 드럼구비한 케이지를 수직 작업구역 내에서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한 화물차량 리프트용 동력전달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화물차량 리프트의 동력전달축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리프트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110)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110)와 연결된 구동변환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변환부(120)의 양측에 설치된 동력연결축(200a)으로 구성된다.
일측의 상기 동력연결축(200a)과 타측의 상기 동력연결축(200a)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드럼(140)으로 구성된다.
양 상기 와이어드럼(140)에 와이어(150)로 연결되어 구동되게 양 상기 와이어드럼(140)의 후방에 각각 설치된 제1, 2 시브(160a,160b)으로 구성된다.
일,타측의 상기 제1시브(160a)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0)는 상기 카리프트본체(100)의 하부와 연결된 수직이동통로에 구비된 수직프레임빔(170a)내에서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와 수직이동통로(170b)의 하부에 설치된 지하피트프레임(170d)를 다수개로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체인(170c) 내부에서 화물차량을 싣고 승강되는 상기 케이지(170)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드럼(180)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호이스트본체(100)의 일,타측 전방에 각각 고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일,타측의 상기 제2시브(160b)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0)는 카운터웨이터(190)에 조립된 제3시브(160c)들과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0)의 일,타측 후방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물차량 리프트의 상기 동력전달축(200a)은 상기 구동변환부(120)의 동력을 상기 와이어드럼(140)에 장시간 공급시 상기 동력전달축(200a)에 열이 발생되어 상기 동력전달축(200a)이 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일어나 상기 동력전달축(200a)을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는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손상된 상기 동력전달축(200a)은 상기 구동변환부(120)의 동력을 상기 와이어드럼(140)에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여 상기 와이어드럼(140), 상기 제1,2,3시브(160a,160b,160c)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와(150)와, 상기 와이어(150)와 연결된 상기 케이지(170)가 가이드체인 내에서 상기 수직프레임빔(170a)의 내부에서 승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카리프트호이스트본체에 구비된 모터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구동변환부의 양측에 유니버셜조인트를 설치하고 일측유니버셜조인트의 타측에 호이스트본체 일측에 설치된 메인드럼과 연결되고, 타측유니버셜조인트의 일측에 카리프트호이스트본체 타측에 설치된 와이어드럼과 연결되게 설치하여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변환부의 구동력을 유니버셜조인트를 통해서 와이어드럼에 안정적으로 전달구동되게하여 와이어드럼이 안정적으로 구동되며, 제품 조립시에도 구동변환부와 와이어드럼의 제작상의 공차로 미세한 높낮이의 차이나 중심이 어긋나 있을 때에도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해 조립이 용이하게 될 뿐만아니라, 유니버셜조인트의 수리가 필요시 분해조립이 손쉬워 교체가 용이하며, 와이어드럼에서 구동되는 와이어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제1,2시브를 통해서 시브를 구비한 케이지를 가이드체인 내에서 수직프레임빔내에서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한 새로운 화물차량 리프트용 동력전달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카리프트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11)와, 상기 모터(11)와 연결된 구동변환부(12)의 양측에 설치된 동력연결축(20a)과, 일측의 상기 동력연결축(20a)과 타측의 상기 동력연결축(20a)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드럼(14)과, 양 상기 와이어드럼(14)에 와이어(15)로 연결되어 구동되게 양 상기 와이어드럼(14)의 후방에 각각 설치된 제1,2시브(16a,16b)와, 일,타측의 상기 제1시브(16a)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와 연결된 수직이동통로에 구비된 수직프레임빔(17a)내에 다수개로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체인(17c)들 내에서 화물차량을 싣고 승강되는 상기 케이지(17)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시브(18)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타측 전방에 각각 고정되고, 각각의 상기 제2시브(16b)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카운터웨이터(19)를 구비한 제3시브(16c)들과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타측 후방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 화물차량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동력연결축(20a)은 상기 구동변환부(12)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드럼(14)에 설치된 제1플랜지요크(21a)와, 상기 제1플랜지요크(21a)에 연결된 제1십자축(22a)과, 상기 제1십자축(22a)이 중심축(23)의 일측에 형성된 일측요크(24a)와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23)의 타측에 형성된 타측요크(24b)와, 상기 구동변환부(12)의 일측에 설치된 제2플랜지요크(21b)는 제2십자축(22b)으로 연결되어 구비된 유니버셜조인트(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요크(21a)는 상기 와이어드럼(14)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되어 상기 제1플랜지요크(21a)가 상기 와이어드럼(14)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플랜지요크(21b)는 상기 구동변환부(12)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되어 상기 제2플랜지요크(21b)가 상기 구동변환부(12)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심축(23)은 상기 타측요크(24b)가 구비된 제1결합관(23a)과, 상기 제1결합관(23a)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23a-1)에 삽입되게 타측에 타측삽입구(23b)와 일측에 일측삽입구(23c)를 구비한 제2결합관(23d)과, 상기 일측삽입구(23c)가 삽입되도록 타측에 삽입부(23e)를 형성하고 일측에 일측요크(24a)를 구비한 제3결합관(23f)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리프트본체에 구비된 모터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구동변환부의 양측에 유니버셜조인트를 설치하고 일측유니버셜조인트의 타측에 카리프트본체 일측에 설치된 와이어드럼과 연결되고, 타측유니버셜조인트의 일측에 카리프트본체 타측에 설치된 와이어드럼과 연결되게 설치하여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변환부의 구동력을 유니버셜조인트를 통해서 와이어드럼에 안정적으로 전달구동되게하여 와이어드럼이 안정적으로 구동되고 유니버셜조인트의 수리가 필요시 분해조립이 손쉬워 교체가 용이하며, 와이어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제1,2시브를 통해서 시브구비한 케이지를 가이드체인내에서 수직프레임빔내에서 안정적으로 승강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화물차량 리프트의 동력연결축을 견고하고 안정적인 구조로 형성된 유니버셜조인트로 구성하여 종래의 화물차량 리프트의 동력연결축이 구동변환부의 동력을 와이어드럼에 장시간 전달시 동력전달축이 손상 또는 파손되어 동력전달축을 자주 교체해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조인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조인트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조인트의 개략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 카리프트의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종래의 화물차량 리프트의 동력전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조인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조인트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조인트의 개략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 카리프트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 리트프는 도 1 및 도 2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리프트본체(10)와, 모터(11)와, 동력연결축(20a)과, 와이어드럼(14)과, 와이어(15)와, 제1,2,3시브(16a,16b,16c)와, 케이지(17)와, 시브(18)와, 카운터웨이터(19)로 구성된다.
상기 카리프트본체(10)는 다수개의 수직프레임(10a)들과 다수개의 수평프레임(10b)들로 구성된다.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상부면에는 상기 모터(11)와, 상기 동력연결축(20a)과, 상기 와이어드럼(14)과, 상기 와이어(15)와, 상기 제1,2,3시브(16a,16b,16c)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동력연결축(20a)은 상기 모터(11)와 연결된 구동변환부(12)의 양측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변환부(12)에는 감속기(미도시)가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드럼(14)은 일측의 상기 동력연결축(20a)과, 타측의 상기 동력연결축(20a)에 각각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2시브(16a,16b)는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드럼(14)에 와이어(15)로 연결되어 구동되게 상기 와이어드럼(14)의 후방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시브(16a,16b)는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드럼(14)에 와이어(15)로 연결되어 구동되게 상기 와이어드럼(14)의 후방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제1시브(16a)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수직프레임빔(17a)내에 다수개로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체인(17c)들 내에서 화물차량을 싣고 승강되는 케이지(17)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시브(18)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측 전방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타측에 설치된 상기 제1시브(16a)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수직프레임빔(17a)내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체인(17c)들내에서 화물차량을 싣고 승강되는 케이지(17)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시브(18)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타측 전방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케이지(17)는 화물차량이 출입하여 상기 화물차량을 상기 케이지(17)상에 승차시켜 실어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체인(17c)은 공사현장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이동통로(17b)의 내부에 설치된 수직프레임빔(17a)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체인(17c)은 상기 수직프레임빔(17a)의 내부에서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와 상기 수직이동통로(17b)의 하부에 설치된 지하피트프레임(17d)에 4개로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체인(17c)들의 내측에서 상기 케이지(17)가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체인(17c)들의 내부에서 상하로 상기 케이지(17)가 승강되도록구성된다.
한편, 일측의 상기 제2시브(16b)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카운터웨이터(19)를 구비한 제3시브(16c)들과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측 후방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타측의 상기 제2시브(16b)과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카운터웨이터(19)를 구비한 제3시브(16c)들과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타측 후방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물차량 리프트의 상기 동력연결축(20a)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변환부(12)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드럼(14)에 설치된 제1플랜지요크(21a)로 구성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상기 동력연결축(20a)인 상기 유니버셜조인트(20)의 양측에 제1,2십자축(22a)의 정면도를 더 도시하여 제1플랜지요크(21a)와 일측요크(24a)와 연결된 상기 제1십자축(22a)과 제2플랜지요크(21b)와 타측요크(24b)와 연결된 상기 제1십자축(22a)의 형상을 명확하게 하였다.
상기 제1플랜지요크(21a)에 연결된 제1십자축(22a)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십자축(22a)이 중심축(23)의 일측에 형성된 일측요크(24a)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중심축(23)의 타측에 형성된 타측요크(24b)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변환부(12)의 일측에 설치된 제2플랜지요크(21b)는 제2십자축(22b)으로 연결되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요크(21a)는 상기 와이어드럼(14)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되어 상기 제1플랜지요크(21a)가 상기 와이어드럼(14)에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랜지요크(21b)는 상기 구동변환부(12)에 다수개의 볼트(b)가 관통되어 상기 제2플랜지요크(21b)가 상기 구동변환부(12)에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화물차량 리프트의 상기 동력전달축(20a)을 유니버셜조인트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구동변환부(12)와 상기 와이어드럼(14)의 사이에서 유니버셜조인트를 손쉽게 조립 및 분해하여 유니버셜조인트가 수명이 다하거나, 유니버셜조인트가 손상될시 유니버셜조인트를 손쉽게 교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축(20a)을 유니버셜조인트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유니버셜조인트에는 내구성이 증대되어 있어서, 화물차량 리프트의 상기 동력전달축(20a)으로 장기간 고장없이 사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종래의 화물차량 리프트의 상기 동력연결축(20a)이 상기 구동변환부(12)의 동력을 상기 와이어드럼(14)에 장시간 전달시 상기 동력전달축(20a)이 손상 또는 파손되어 동력전달축을 자주 교체해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여 상기동력연결축(20a)인 유니버셜조인트 구입비용을 줄여주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중심축(23)은 상기 타측요크(24b)가 구비된 제1결합관(23a)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관(23a)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23a-1)에 삽입되게 타측에 타측삽입구(23b)와 일측에 일측삽입구(23c)를 구비한 제2결합관(23d)으로 구성된다.
상기 일측삽입구(23c)가 삽입되도록 타측에 삽입부(23e)를 형성하고 일측에 일측요크(24a)를 구비한 제3결합관(23f)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중심축(23)을 상기 제1,2,3결합관(23a,23d,23f)로 구성하는 것은;
상기 중심축(23)을 구성하는 상기 제1,2,3결합관(23a,23d,23f)을 손쉽게 분해 및 조립이 손쉬워서, 상기 중심축(23)을 이루는 상기 제1,2,3결합관(23a,23d,23f) 중 어느 하나가 손상 및 파손시 손상 및 파손된 결합관을 손쉽게 교체하기 위함이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카리프트본체(10)에 구비된 상기 모터(11)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상기 구동변환부(12)의 양측에 유니버셜조인트를 설치하고 일측유니버셜조인트의 타측에 상기 카리프트본체(10) 일측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드럼(14)과 연결되고, 타측 유니버셜조인트의 일측에 상기 카리프트본체(10) 타측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드럼(14)과 연결되게 설치하여 상기 모터(11)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구동변환부(12)의 구동력을 유니버셜조인트를 통해서 상기 와이어드럼(14)에 안정적으로 전달구동되게하여 상기 와이어드럼(14)이 안정적으로 구동되고 유니버셜조인트의 수리가 필요시 분해조립이 손쉬워 교체가 용이하며, 상기 와이어드럼(14)에서 구동되는 상기 와이어(15)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상기 제1,2시브(16a,16b)를 통해서 상기 시브(18)를 구비한 상기 케이지(17)를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체인내에서 수직프레임빔(17a)내에서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카리프트본체 11 : 모터
12 : 구동변환부(감속기) 14 : 와이어드럼
15 : 와이어 16a : 제1시브
16b : 제2시브 17 : 케이지
17a : 수직프레임빔 17c: 가이드체인
18 : 시브 19 : 카운터웨이터
20 : 유니버셜조인트 20a : 동력연결축
21a : 제1플랜지요크 21b : 제2플랜지요크
22a : 제1십자축 22b : 제2십자축
23 : 중심축 23a : 제1결합관
23a-1 : 삽입부 23b : 타측삽입구
23c : 일측삽입구 23d : 제2결합관
23e : 삽입부 23f : 제3결합관
24a : 일측요크 24b : 타측요크

Claims (3)

  1. 카리프트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11)와, 상기 모터(11)와 연결된 구동변환부(12)의 양측에 설치된 동력연결축(20a)과, 일측의 상기 동력연결축(20a)과 타측의 상기 동력연결축(20a)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드럼(14)과, 양 상기 와이어드럼(14)에 와이어(15)로 연결되어 구동되게 양 상기 와이어드럼(14)의 후방에 각각 설치된 제1,2시브(16a,16b)와, 일,타측의 상기 제1시브(16a)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하부와 연결된 수직이동통로에 구비된 수직프레임빔(17a)내에 다수개로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체인(17c)들내에서 화물차량을 싣고 승강되는 케이지(17)의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시브(18)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타측 전방에 각각 고정되고, 일,타측의 상기 제2시브(16b)와 연계된 상기 와이어(15)는 카운터웨이터(19)를 구비한 제3시브(16c)들과 연결되어 상기 카리프트본체(10)의 일,타측 후방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동력연결축(20a)은 상기 구동변환부(12)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드럼(14)에 설치된 제1플랜지요크(21a)와, 상기 제1플랜지요크(21a)에 연결된 제1십자축(22a)과, 상기 제1십자축(22a)이 중심축(23)의 일측에 형성된 일측요크(24a)와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23)의 타측에 형성된 타측요크(24b)와, 상기 구동변환부(12)의 일측에 설치된 제2플랜지요크(21b)는 제2십자축(22b)으로 연결되어 구비된 유니버셜조인트(20)로 구성되는 화물차량 리프트의 동력연결축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23)은 상기 타측요크(24b)가 구비된 제1결합관(23a)과, 제1결합관(23a)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23a-1)에 삽입되게 타측에 타측삽입구(23b)와 일측에 일측삽입구(23c)를 구비한 제2결합관(23d)과, 상기 일측삽입구(23c)가 삽입되도록 타측에 삽입부(23e)를 형성하고 일측에 일측요크(24a)를 구비한 제3결합관(23f)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화물차량 리프트용 동력전달축.
  2. 삭제
  3. 삭제
KR1020160145852A 2016-11-03 2016-11-03 화물차량 리프트용 동력전달축 KR102636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852A KR102636701B1 (ko) 2016-11-03 2016-11-03 화물차량 리프트용 동력전달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852A KR102636701B1 (ko) 2016-11-03 2016-11-03 화물차량 리프트용 동력전달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656A KR20180049656A (ko) 2018-05-11
KR102636701B1 true KR102636701B1 (ko) 2024-02-14

Family

ID=6218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852A KR102636701B1 (ko) 2016-11-03 2016-11-03 화물차량 리프트용 동력전달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7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426B1 (ko) * 2020-10-15 2022-11-14 유명철 건설공사용 리프트 동력 전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7737A (ja) 2014-01-23 2015-07-3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インターミディエイトシャフ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7881A (ja) * 1985-05-08 1986-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ガイドレ−ル装置
JPH05229771A (ja) * 1992-02-18 1993-09-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巻上装置
KR20000025369A (ko) * 1998-10-10 2000-05-06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로핑 방법
EP1700811B1 (de) * 2005-03-12 2013-01-09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KR20140046271A (ko) * 2012-10-10 2014-04-18 동국종합산업 주식회사 방화 리프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7737A (ja) 2014-01-23 2015-07-3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インターミディエイトシャフ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656A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8788B (zh) 一种低地板轨道车辆转向架
CN110240058B (zh) 阀塔模组更换装置及阀塔模组更换方法
KR102636701B1 (ko) 화물차량 리프트용 동력전달축
CN110255063B (zh) 链斗输送机链条及料斗的安装方法及系统
CN106448773A (zh) 核电厂凝汽器双联低加穿装方法
CN101955111A (zh) 一种改进的用于电梯的提升机构
US4276952A (en) Apparatus for installing vehicle components
CN205524567U (zh) 一种分体式自动导引运输车
US20200283272A1 (en) Trolley of a crane
CN205578643U (zh) 一种三级链传动机构
CN101532511B (zh) 一种风机吊装结构
CN210558794U (zh) 一种用于施工升降机中驱动装置和吊笼的连接机构
CN107339502A (zh) 一种用于管道铺设的防坠落吊装装置
CN101648679A (zh) 组合式电动单梁起重机
KR102636731B1 (ko) 화물차량 리프트의 카운터웨이터
CN102363963B (zh) 墙模板整片滑移式拆除装置
CN102207180B (zh) 一种分节丝杠式升降装置
KR102657780B1 (ko) 화물차량 리프트의 와이어드럼구조
WO2018047298A1 (ja) エレベータの吊車装置及び吊車装置の取付方法
CN104960627A (zh) 用于船舶上层建筑的托架
CN204265377U (zh) 一种滑轮装置及使用该滑轮装置的吊运小车、起重机
KR102467426B1 (ko) 건설공사용 리프트 동력 전달장치
KR200366261Y1 (ko) 호이스트
KR20170021661A (ko) 호이스트용 롤러 가이드장치
CN219950361U (zh) 一种安全的马道悬挂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