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600B1 - 전원 회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회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600B1
KR101011600B1 KR1020107003446A KR20107003446A KR101011600B1 KR 101011600 B1 KR101011600 B1 KR 101011600B1 KR 1020107003446 A KR1020107003446 A KR 1020107003446A KR 20107003446 A KR20107003446 A KR 20107003446A KR 101011600 B1 KR101011600 B1 KR 101011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relay
commercial power
commer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642A (ko
Inventor
간지 이자키
마츠오 시라이시
야스유키 오쿠무라
하루모토 이토우
고우이치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3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02P6/18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고주파 발생 잡음 전파가 연속적으로 방사되는 것을 배제하여, 시공시의 작업 공정수가 적은 열 변환형 냉각 장치 및 그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원(307)을 소정의 전압 범위로 변압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를 마련한다. 또한, 공칭 전압이 200V에서 250V까지의 광범위한 상용 교류 전압을 소정의 출력 전압 범위에 들어가도록 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권선에 구비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를 갖는다.

Description

전원 회로 구동 장치{POWER SUPPLY CIRCUIT DRIV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용 기지국 등 발열 기기를 수납한 콘테이너 내의 기기 냉각에 사용되는 열 교환형 냉각 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는,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 내의 공기를 취입하고, 취입한 공기를 열 교환 소자 내를 통과시켜 열 교환시키고, 다시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 내로 되돌려 순환시키는 내향성 풍로(風路)를 갖는다. 또한, 열 교환형 냉각 장치는, 외기(外氣)를 취입하고, 열 교환 소자 내를 통과시켜 열 교환시킨 후, 다시 외기로 배출하는 외기 풍로를 갖는다. 이들 양 풍로는 구획판에 의해 분리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마련되고, 각각의 풍로 내에는, 각각의 공기를 반송하는 송풍기가 설치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56478호 공보).
통상 이러한 구성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는, 휴대 전화기용 기지국 등의 냉각에 사용되고, 휴대 전화기용 기지국 본체측으로부터,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상용 전원으로부터 변환한 직류의 저전압 전원이 공급되어, DC 모터를 탑재한 송풍기 등을 구동한다.
종래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 내의 뜨겁게 한 공기(이하, 이것을 내기(內氣)라고 칭함)는 실내측 DC 브러쉬리스 모터(103)를 탑재한 실내측 송풍기(104)에 의해서, 열 교환형 냉각 장치(100)의 내기(內氣) 흡입구(102)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열 교환 소자(105)를 통과시켜, 내기 토출구(106)로부터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 내로 되돌아가는 순환 풍로를 순환하고 있다.
한편, 실외측 DC 브러쉬리스 모터(107)를 탑재한 실외측 송풍기(108)에 의해서, 외기 흡입구(109)로부터 흡입한 외기는, 열 교환 소자(105)를 통과한 후, 외기 토출구(110)로부터 외기로 재차 배출된다. 내기 풍로와 외기 풍로는 구획판(111)에 의해서 양 풍로가 분리되어, 서로 독립하도록 대략 기밀 상태로 구획되고, 또한 내기 풍로와 외기 풍로의 교점에는 외기와 내기의 현열(顯熱)을 교환하는 열 교환 소자(105)가 배치되어 있다. 열 교환형 냉각 장치(100)는, 저온 외기를 취입하여,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 내부의 따뜻한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 교환 소자(105)에 의해 열 교환을 행하여, 따뜻해진 외기를 배기하고, 차가워진 공기를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에 급기(給氣)한다.
또한, 실내측 DC 브러쉬리스 모터(103) 및 실외측 DC 브러쉬리스 모터(107)에는, 통상 홀 소자 등의 자극(磁極) 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이들 실내측 DC 브러쉬리스 모터(103)와 실외측 DC 브러쉬리스 모터(107)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로서의 전자 제어 장치(112)는, 기지국을 설치하는 장소의 저온 외기나 분진(粉塵)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열 교환형 냉각 장치(100)의 내기 풍로 내에 설치되고, 외기에 노출되는 실외측 DC 브러쉬리스 모터(107)와는 긴 중계의 동력 리드선(114)과 센서 신호 리드선(115)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로서의 전자 제어 장치(112)에는,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 내 등에 설치된 비교적 낮은 전압의 직류 전원(116)(후술하는 도 20을 참조)으로부터 구동 전력이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은, 외기 풍로에 배치되는 실외측 DC 브러쉬리스 모터(107)는,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 내의 발열이 적고,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열 교환 소자(105)에 의한 열 교환율이 저하하기 때문에, 저온의 외기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DC 브러쉬리스 모터(107)에 홀 소자 등의 자기(磁氣) 센서를 탑재하는 경우에는, 열 교환형 냉각 장치(100)를 설치하는 장소를, 자기 센서가 확실히 작동하도록, 예를 들면, 주위 온도가 -30℃ 이상인 지역으로 한정해야 한다. 또한, 실외측 DC 브러쉬리스 모터(107)와 내기 풍로측에 배치된 제어부로서의 전자 제어 장치(112)를 긴 중계 리드선으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센서 신호의 신호 리드선(115)이, 노이즈의 영향을 받아, 오동작에 이르는 현념(懸念)이 발생한다. 또한, 열 교환형 냉각 장치(100)의 내부의 배선 작업도 복잡하여 손이 많이 가, 열 교환형 냉각 장치(100)의 비용이 비싸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에, 열 교환형 냉각 장치(100)에 이용하는 종래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고주파 스위칭에 의한 스위칭 전원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8,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8은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와,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를 냉각하는 열 교환형 냉각 장치(100)를 나타낸다. 또한, 도 19는 열 교환형 냉각 장치(100), 내기 온도를 외기에 폐열(廢熱)하는 열 교환 수단으로서의 열 교환기(105), 제어부로서의 마이크로컴퓨터를 탑재한 전자 제어 장치(112), 전자 제어 장치(112)에 의해서 제어 구동되는 직류 팬 모터(119)를 도시한다. 또한, 내기 풍로의 흐름 N19, 외기 풍로의 흐름 G19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도 17, 도 18을 참조)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116)은, 열 교환형 냉각 장치(100)의 전압 공급원으로서, 전자 제어 장치(112) 및 직류 팬 모터(119)에도 직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다. 또한, 열 교환형 냉각 장치(100)에는,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로부터 공급되는 보조 전원으로서의 상용 교류 전원(122)으로부터 교류 전압이 공급되고 있다. 공급된 교류 전압은, 노이즈 필터(N/F)(123)를 거쳐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주파 스위칭에 의한 스위칭 전원(AC/DC)(124)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전원(AC/DC)(124)의 출력측으로부터는, 직류 전압으로 변환된 소정의 직류 전압이 출력되고, 출력된 직류 전압은 전자 제어 장치(112) 및 직류 팬 모터(119)에 공급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통상 공급되고 있는 주전원으로서의 직류 전원(116)이 예를 들면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의 직류 전원용 차단기(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한 것에 의해 직류 전원(116)이 공급되지 않게 된 경우라도 상용 교류 전원(122)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스위칭 전원(AC/DC)(124)에서 변환된 소정의 직류 전압에 의해 전자 제어 장치(112)의 지령에 근거하여 직류 팬 모터(119)를 구동한다. 이렇게 하여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켜, 내기 온도를 외기에 폐열시킴으로써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를 냉각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에는, 세계의 많은 각국이나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칭 전압이 200V에서 250V까지의 이른바, 200V계 상용 전원에 대응시키기 위해서 선택 스위치와 상용 전원 트랜스의 1차측에 복수의 탭을 마련한 것도 알려져 있다.
이하, 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에 대하여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로부터 열 교환형 냉각 장치(100)로 공급된 보조 전원으로서의 상용 교류 전원(122)에는, 공칭 전압(일반적으로 200V, 208V, 220V, 230V, 240V, 250V)으로 전환하는 선택 스위치(120)가 접속되어 있다. 선택 스위치(120)는, 상용 전원 트랜스(121)의 1차측에 마련한 공칭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6개의 복수의 탭을 갖는다. 상용 전원 트랜스(121)의 2차측 출력에는 제 1 다이오드 브리지(117) 및 제 1 콘덴서(118)에 의해 정류 평활된 직류 전압(이하, 제 2 직류 전원이라고도 칭함)이 발생한다. 이 직류 전압은 전자 제어 장치(104) 및 직류 팬 모터(119)에 공급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열 교환형 냉각 장치(100)의 시공시에, 선택 스위치(120)를 상용 교류 전원(122)의 공칭 전압의 크기에 맞추도록 손잡이를 돌리면 선택 스위치(120)의 접점이 수동으로 상용 전원 트랜스(121)의 상용 교류 전원(122)의 정격 전압에 적합한 탭에 접속되어 소정의 직류 전압이 만들어진다. 여기서, 통상 공급되고 있는 주전원으로서의 직류 전원(116)이 예컨대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의 차단기(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여, 직류 전압이 공급되지 않게 된 경우이더라도 상용 교류 전원(122)으로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소정의 직류 전압 V1에 의해 전자 제어 장치(112)의 지령에 근거하여 직류 팬 모터(119)를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기와 내기를 순환시켜, 내기 온도를 외기에 폐열시킴으로써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01)(도 17, 도 18을 참조)를 냉각하고 있다.
이러한 고주파 스위칭에 의한 스위칭 전원을 이용한 종래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에서는, 스위칭 동작시에 고주파 잡음 전파가 연속적으로 방사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통신 기기를 취급하는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에 있어서는, 방사되는 연속적인 고주파 잡음 전파가 통신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레벨까지 저감시켜야 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통신 주파수의 800㎒대에서는 CISPR(국제 무선 장해 특별위원회 : International Special Committee on Radio Interference) 22 정보 기술 기기의 방해파 한도값에 의하면 10m법으로 37㏈㎶/m을 넘으면 기기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적어도 이 레벨을 대폭 하회하는 것이 요구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전원의 입력 전압 범위는, 멀티 전원 대응으로 되는 타입에 있어서는, 90V∼264V의 범위가 일반적이다. 공칭 전압이 200V에서 250V까지의 200V계 상용 전원의 전압 변동을 ±10% 정도 고려하여 180V에서 275V를 망라할 수 있도록 요구되어 있다.
또한, 상용 전원 트랜스의 1차측에 복수의 탭의 전환을 위해서 선택 스위치를 이용한 종래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에서는, 시공시에 시공자가 공급하는 상용 교류 전원의 공칭 전압에 맞추어, 선택 스위치를 조작해야만 하기 때문에, 시공시의 작업 공정수가 증대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작업 공정수를 삭감하는 것이 요구되어 있다.
또한,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부착할 때에, 시공자가 선택 스위치의 설정을 틀리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휴먼 에러(human error)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상용 교류 전원이 송배전 설비 등의 고장(trouble)에 의해서, 공칭 전압의 예를 들면 ±10%의 범위를 일탈하여 공급된 경우에는, 고정의 탭 접속으로는 출력되는 직류 전압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일탈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상용 교류 전원이 송배전 설비 등의 고장 등에 의해 공칭 전압 ±10%을 일탈하더라도 소정의 직류 전압을 일탈하지 않도록 요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극복하는 것으로서, 실외측 DC 브러쉬리스 모터를, 센서리스 구동의 DC 브러쉬리스 모터로 하는 것에 의해, 설치 장소의 온도 조건의 영향을 배제하여, 열 교환형 냉각 장치의 신뢰성 향상과 비용의 저렴화를 실현한다. 또한, 시공시의 작업 공정수를 삭감하여 저비용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전원 트랜스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시공시의 작업 공정수를 삭감하여, 신뢰성 향상과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는 실외측 송풍기를 구동하는 실외측 DC 브러쉬리스 모터를 센서리스 구동의 DC 브러쉬리스 모터로 한 것이다. 모터 내에 전자 부품인 홀 소자 등의 자기 센서를 갖지 않는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실외측 DC 브러쉬리스 모터를 저온 외기 중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설치 장소의 온도 조건에 의한 영향을 배제한다.
또한, 내기 풍로측에 설치된 제어부와의 접속에 사용하는 센서 신호의 중계 리드선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센서 신호선에 노이즈가 침입한다고 하는 문제를 배제하여, 오동작을 배제한, 신뢰성이 높은 열 교환형 냉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드선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중계선을 접속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시공시의 작업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는 실내측의 모터도 실외측과 동일한 센서리스 DC 브러쉬리스 모터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실외측과 실내측의 센서리스 DC 브러쉬리스 모터의 구동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는, 인버터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센서리스 DC 브러쉬리스 모터의 위치 검출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센서리스 DC 브러쉬리스 모터와 제어부를 가령 긴 동력 리드선으로 접속했다고 하여도, 리드선에 있어서의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를 배제하여, 확실히 센서리스 DC 브러쉬리스 모터의 위치 검출이 가능하게 되어, 신뢰성이 높은 열 교환형 냉각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는, 3상 풀브리지 인버터 회로의 하부 아암 트랜지스터의 부(負) 전위측 단자에 접속한 션트(shunt)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센서리스 DC 브러쉬리스 모터의 위치 검출부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전류 검출 수단을 저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는 실외측 팬을 구동하는 DC 브러쉬리스 모터에 센서리스 구동 타입의 DC 브러쉬리스 모터를 채용한다. 이에 따라, 열 교환형 냉각 장치를 설치하는 장소의 온도 조건에 의한 영향을 배제한다. 또한, 긴 센서 신호선의 사용도 불필요하게 되어, 신뢰성이 높고 저비용인 열 교환형 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소정의 전압 범위로 변압시키는 변압 수단으로서 상용 전원 트랜스를 마련한다. 또한, 상용 교류 전압을 소정의 출력 전압 범위에 들어가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상용 전원 트랜스의 권선에 구비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을 갖는다.
상용 전원 주파수로 변압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를 사용함으로써, 고주파 잡음 전파가 연속적으로 방사한다고 하는 문제를 배제한다. 또한 전원 트랜스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시공시의 작업 공정수를 적게 하여, 시공시의 조작 미스를 배제한다. 또한, 변동하는 상용 교류 전원에 대응한 소정의 출력 전압으로 자동 조정할 수 있는 열 교환형 냉각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상용 전원 트랜스의 권선에 구비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에, 상용 전원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출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용 전원 트랜스의 1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탭 전환 수단의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작동,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출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용 전원 트랜스의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탭 전환 수단의 스위치 소자를 작동,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출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용 전원 트랜스의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탭 전환 수단의 스위치 소자를 작동,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상용 전원 트랜스의 권선에 구비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에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로부터 공급되는 공칭 전압이 200V에서 250V까지의 비교적 광범위한 상용 교류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용 전원 트랜스의 1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탭 전환 수단을 복수의 스위치 소자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용 전원 트랜스의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탭 전환 수단을 스위치 소자로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용 전원 트랜스의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탭 전환 수단의 스위치 소자를 작동,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상용 전원 트랜스의 권선에 구비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에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로부터 공급되는 공칭 전압이 200V에서 250V까지의 비교적 광범위한 상용 교류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과 상용 전원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 수단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 및 출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용 전원 트랜스의 1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탭 전환 수단의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작동,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 및 출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용 전원 트랜스의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탭 전환 수단을 구성하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작동,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 및 출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용 전원 트랜스의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탭 전환 수단의 스위치 소자를 작동,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특히, 고주파 잡음 전파의 연속적인 방사를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시공시의 작업 공정수의 삭감과 작업, 조작 미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계의 많은 각국이나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원의 공칭 전압에 폭넓게 대응할 수 있어, 전원 변동에도 신속히 출력 전압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고주파 잡음 전파가 연속적으로 방사한다고 하는 문제를 배제한다. 또한, 시공시의 작업 공정수를 적게 하여, 작업, 조작 미스를 배제한다. 이것에 의해서, 변동하는 상용 교류 전원에 대응한 소정의 출력 전압으로 자동 조정할 수 있는 열 교환형 냉각 장치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열 교환형 냉각 장치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상용 전원 주파수로 변압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를 사용함으로써, 고주파 잡음 전파가 연속적으로 방사한다고 하는 문제를 배제한다. 또한 전원 트랜스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시공시의 작업 공정수를 적게 하여, 시공시의 조작 미스를 배제한다. 또한, 변동하는 상용 교류 전원에 대응시켜 소정의 출력 전압으로 자동 조정할 수 있는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열 교환형 냉각 장치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상용 전원 주파수로 변압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를 사용함으로써, 고주파 잡음 전파가 연속적으로 방사한다고 하는 문제를 배제한다. 또한 전원 트랜스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시공시의 작업 공정수를 적게 하여, 시공시의 조작 미스를 배제한다. 또한, 변동하는 상용 교류 전원에 대응시켜 소정의 출력 전압으로 자동 조정할 수 있는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팬 모터 구동 장치의 인버터 회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의 위치 검출부 및 제어부의 상세 블럭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의 전류 검출에 근거하여 센서리스 위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의 전류 검출에 근거하여 센서리스 위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의 출력 전압 검출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입력 전압 검출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전원 회로 구동 장치의 입력 전압 검출 수단 및 출력 전압 검출 수단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7은 종래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8은 종래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의 개략 구조도,
도 19는 종래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의 구조도,
도 20은 종래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1은 종래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13)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실외측 센서리스 DC 브러쉬리스 모터(1)는 실외측 송풍기(2)를 구동한다. 실외측 송풍기(2)가 회전하면, 휴대 전화의 교환 기지국 등의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8)가 설치된 주위의 외기를 열 교환형 냉각 장치(13)의 하부의 외기 흡입구(14)로부터 흡입한다.
흡입한 공기는, 열 교환 소자(12)를 통과하여, 열 교환형 냉각 장치(13)의 상부의 외기 토출구(15)로부터 토출된다. 실내측 송풍기(4)는 실내측 DC 브러쉬리스 모터(3)에 의해서 구동되어,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8)의 내부의 뜨거워진 내기를 열 교환형 냉각 장치(13)의 상부의 내기 흡입구(16)로부터 흡입한다. 흡입한 내기는, 열 교환 소자(12)를 통과한 후, 열 교환형 냉각 장치(13)의 하부에 마련된 내기 토출구(17)로부터 토출된다.
실외측 송풍기(2)의 회전에 의한 외기의 움직임을 흐름 F2로, 실내측 송풍기(4)의 회전에 의한 실내 공기의 움직임을 흐름 F4로 각각 나타낸다. 열 교환 소자(12)의 내부를 차가운 외기와 뜨거워진 실내 공기가 통과할 때에 열 교환된다. 외기는 뜨거워져 대기 중으로 배출되고, 실내 공기는 냉각되어 실내측으로 환류(還流)됨으로써,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8) 내의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열 교환 소자(12)의 내부에서는 외기 풍로와 내기 풍로가 차단되어 있어, 열 교환형 냉각 장치(13)의 내기 풍로 내에 외기 풍로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배제한다.
제어 박스(9)는 열 교환형 냉각 장치(13)의 내기 풍로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 박스(9)는 후술하는 도 2에 나타내는 실외측 센서리스 DC 브러쉬리스 모터(1)의 회전자의 위치 검출부(5)와, 회전자의 위치 검출부(5)에서 검출된 회전자 위치에 의해서, 인버터 회로(7)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6)를 갖는다. 또한, 인버터 회로(7)에는,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8) 내에 설치된 DC 전원(10)으로부터 비교적 낮은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제어부(6)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근거하여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구동용 리드선(11)을 거쳐서 실외측 센서리스 DC 브러쉬리스 모터(1)를 구동한다. 또한, 제어 박스(9) 내에는, 실내측 DC 브러쉬리스 모터(3)를 구동하는 실내측 제어부와 실내측 인버터 회로가 구비되어, 실내측 송풍기(4)를 운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열 교환형 냉각 장치(13)를 저온 외기 중에 설치했다고 하여도, 저온의 외기 풍로 내에 설치된 실외측 센서리스 DC 브러쉬리스 모터(1)는, 저온에서의 동작이 불안정한 홀 소자 등의 자기 센서를 탑재하지 않은 상태로, 센서리스의 위치 검출부(5)에서 검출된 회전자 위치에 의해서 운전된다. 이 때문에, 설치 장소의 외기 온도의 영향을 배제하여, 안정한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내기 풍로측에 설치한 제어 박스(9) 내의 제어부(6)와 모터 사이를 접속하는 자기 센서의 신호선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노이즈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모터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신호선의 드로잉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저비용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는, 실내측 DC 브러쉬리스 모터(3)에는 통상의 자기 센서 내장의 DC 브러쉬리스 모터를 채용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실외측과 동일한 모터, 즉, 자기 센서를 탑재하지 않은 센서리스 DC 브러쉬리스 모터를 채용하더라도 좋다. 그 경우에는, 위치 검출부와 제어부 및 인버터 회로의 구성을 실외측과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설계 개발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저비용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실시예 1에 이용한 전원 구동 회로 장치, 특히 인버터 회로(7)의 개략 구성도이다. 인버터 회로(7)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트랜지스터 TR1∼TR6, 그들의 트랜지스터에 역(逆)병렬로 접속된 다이오드 D1∼D6으로 이루어지는 3상 풀브리지 인버터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TR1(TR3, TR5)은 다이오드 D1(D3, D5)과 함께 상부 아암을 구성하고 있다. 트랜지스터 TR2(TR4, TR6)는 다이오드 D2(D4, D6)와 함께 하부 아암을 구성하고 있다. 션트 저항(8)은, 인버터 회로(7)의 하부 아암의 부(負) 전위측 단자 GND1과, DC 전원(10)의 부 전위측 단자 GND2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 회로(7)에 흐르는 전류, 즉 모터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션트 저항(8)에 발생하는 전압을 위치 검출부(5)에 의해서 검출한다. 이에 따라,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회전자 위치에 근거해서, 제어부(6)가 모터의 구동 신호를 인버터 회로(7)에 출력한다.
도 3은 실시예 2에 따른 위치 검출부(5) 및 제어부(6)의 블럭도이다. 위치 검출부(5)는, 션트 저항(8)의 양단의 전압을 OP 앰프(20)에서 증폭하여 AD 변환부(21)에 의해서 AD(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후, 미리 파형 기억부(22)에 기억된 소정의 통전 위상시의 전류 파형과 비교부(23)에서 비교한다. 다음에,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부(6)의 통전 전환 타이밍 결정부(24)가 전환 타이밍의 양부(良否)를 판정하여, 최적의 통전 전환 타이밍에서 통전 전환을 행하도록 타이밍을 변경한다. 통전 전환 타이밍 결정부(24)는, 구동 회로(25)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인버터 회로(7)의 통전을 전환한다. 이에 따라, 소정의 통전 위상에서의 센서리스 위치 검출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전류 검출에 의한 센서리스 위치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특히, 120도 통전 방식의 경우에 전기각(電氣角) 60도를 확보하여 통전 전환을 행했을 때의 전류 파형을 나타낸다. 도 4(a), 도 4(b)에서, 전류 파형(40a, 40b)은 소정의 통전 위상으로 운전한 경우의 이상적인 전류를, 전류 파형(42a, 42b)은 AD 변환부(21)에서 검출된 실제의 운전시의 전류를 각각 나타낸다.
도 4(a)에 나타내는 전류 파형(42a)은 소정의 통전 위상에 비해서 통전 전환이 느린 경우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는, 통전 전환 타이밍을 빠르게 함으로써, 전류 파형(40a)에 접근시켜 소정의 통전 위상에서의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도 4(b)에 나타내는 전류 파형(42b)은 소정의 통전 위상보다 통전 전환이 빠른 경우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는, 통전 전환 타이밍을 느리게 하여, 전류 파형(40b)에 근접시켜 소정의 통전 위상에서의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전류 검출에 의한 센서리스의 위치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모터와 제어부의 위치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모터와 위치 검출부를 접속하는 구동용 리드선(11)이 길어진다고 하여도, 리드선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의 영향을 배제하여, 신뢰성이 높은 위치 검출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발열체가 휴대 기지국과 같은 경우에는, DC 전원은 24V나 48V와 같은 비교적 낮은 직류(DC) 전원 전압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경우에는, 모터는 141V와 같은 높은 전압의 DC 전원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비해서, 큰 전류가 흐르는 상태로 구동되기 때문에, 전류 검출의 신뢰성이 더 높아져, 위치 검출 운전의 신뢰성도 더욱 향상된다. 또한, 하나의 션트 저항을 이용하여 전류 검출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제어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되어, 저비용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실시예 1, 2에 있어서는, 120도 통전 방식에 있어서의 전류 파형의 비교에 의한 위치 검출의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통전 방식은 120도 통전일 필요는 없으며, 150도라도 180도라도 또는 그 오의 통전 방식이라도 좋다. 또한 위치 검출의 방법도, 전류 파형의 비교에 의한 위치 검출의 방법이 아니라, 예를 들면 전압 방정식을 풀어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유기 전압을 이용한 센서리스의 위치 검출을 채용하지 않고, 전류 검출을 이용하는 방식이면 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 11까지는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실시예 3에서 11에 나타내는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도시하지 않음) 및 열 교환형 냉각 장치(302)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8) 및 열 교환형 냉각 장치(13)에 각각 대응한다.
그런데, 실시예 3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도시하지 않음)(도 1,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18)에 상당)를 냉각하는 열 교환형 냉각 장치(302)(도 1, 열 교환형 냉각 장치(13)에 상당)에는 주전원인 직류 전원(306)(이하, 제 1 직류 전원이라고도 칭함) 및 보조 전원인 상용 교류 전원(307)으로부터 각각 전력이 공급된다. 직류 전원(306)은 열 교환형 냉각 장치(302)에 구비한 순환 송풍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직류 팬 모터(305) 및 냉각 장치 제어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201)를 탑재한 전자 제어 장치(304)에 공급된다.
상용 교류 전원(307)의 1상(307a)은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에 접속된다. 제 1 릴레이(210)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제 1 릴레이(210)로는 1C 접점형의 스위치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접속 단자(210a)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개방 단자(210b)는 탭 전환 수단으로서 준비된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에 접속된다. 제 2 릴레이(212)에는 제 1 릴레이(210)와 마찬가지로, 1C 접점형의 스위치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접속 단자(212a)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한 복수의 다른 탭의 하나에 접속된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개방 단자(212b)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나머지 하나에 접속된다.
상용 교류 전원(307)의 다른 상(307b)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공통 단자(311pc)에 접속된다.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은 출력 전압을 전파(全波) 정류하기 위한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 접속된다.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는 제 1 콘덴서(313)가 접속되고, 제 1 콘덴서(313)에는 평활된 직류 전압 V1이 발생한다. 직류 전압 V1은 직류 팬 모터(305) 및 전자 제어 장치(304)를 구동하기 위해서 공급된다.
전자 제어 장치(304)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출력 전압 검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도 6에 나타내는 제 1 저항기(203), 제 2 저항기(204) 및 마이크로컴퓨터(201)를 갖는다.
도 5, 도 6에 있어서, 상용 교류 전원(307)으로부터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그 2차측 권선(311s)에 접속된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 및 제 1 콘덴서(313)의 공통 접속점에 직류 전압 V1이 발생한다. 직류 전압 V1은, 제 1 저항기(203)와 제 2 저항기(204)에 의해 분압되어,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에 인가된다.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제 1 임계값, 예컨대, 직류 전압 V1이 29V를 상회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1 릴레이(210)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에,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를 노멀 개방 단자(210b)로 전환하여,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많아지는 탭으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탭의 권수비에 의존하기 위해서 출력이 내려간다.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 크기의 변화에 직류 전압 V1의 크기가 추종한다.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상기 제 1 임계값을 상회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전자 제어 장치(304))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에,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개방 단자(212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더욱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이 권수비에 의존하여 출력이 내려간다.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 변화 등으로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제 2 임계값, 예를 들면, 직류 전압 V1이 20V를 하회하면,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오프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접속 단자(212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적어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이 권수비에 의존하여 출력이 올라간다.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직류 전압 V1의 분압 전압을 감시하여, 제 1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제 1 임계값을 하회할 때까지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를 순차적으로 온하도록 구동, 제어하고, 제 2 임계값을 하회한 경우는, 제 2 임계값을 상회할 때까지 제 2 릴레이(212) 및 제 1 릴레이(210)를 순차적으로 오프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용 전원 주파수로 변압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를 이용함으로써, 고주파 잡음 전파가 연속적으로 방사한다고 하는 문제를 배제한다. 또,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의 변화에 따라 직류 전압 V1의 크기가 변화되게 되지만,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를 직류 전압 V1의 크기에 따라 제어하여, 상용 전원 트랜스(311)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직류 전압 V1을 결정된 소정의 출력 전압의 범위, 예컨대 20∼29V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
또, 실시예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탭을 3개로 하여 설명했지만, 4개 이상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것은 이후의 실시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실시예 4)
종래예, 실시예 3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류 전원(306)은 열 교환형 냉각 장치(302)에 구비된 순환 송풍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직류 팬 모터(305) 및 냉각 장치 제어부로서의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201)를 탑재한 전자 제어 장치(30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용 교류 전원(307)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접속되고,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에는,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이 준비되어 있다.
탭 전환 수단은, 예를 들면, 1C 접점형의 스위치 소자를 구비한 제 1 릴레이(210)를 갖는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접속 단자(210a)에는, 상기 탭의 하나가 접속되고,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개방 단자(210b)에는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가 접속되어 있다. 제 2 릴레이(212)는 제 1 릴레이(210)와 마찬가지로, 1C 접점형의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고,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측에 마련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접속 단자(212a)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에 마련한 복수의 다른 탭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개방 단자(212b)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나머지 하나에 접속된다.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의 공통 단자(311sc)는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의 출력측에는 제 1 콘덴서(313)가 접속되고, 제 1 콘덴서(313)에는 평활된 직류 전압 V1이 발생한다. 직류 전압 V1은 직류 팬 모터(305) 및 전자 제어 장치(304)에 공급된다.
상용 교류 전원(307)으로부터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으로 인가된 교류 전압은 그 2차측으로부터 직류 전압 V1이 발생한다. 직류 전압 V1은 제 1 저항기(203)와 제 2 저항기(204)에 의해 분압되어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에 인가된다.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제 1 임계값, 예를 들면, 직류 전압 V1의 전압이 29V를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전자 제어 장치(304))는 제 1 릴레이(210)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를 노멀 개방 단자(210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출력이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변화 등으로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상기 제 1 임계값을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개방 단자(212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더욱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변화 등으로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제 2 임계값, 예를 들면, 직류 전압 V1이 20V를 하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오프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에, 제 2 릴레이(212)의 접점을 노멀 접속 단자(212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적어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올라간다.
이와 같이 상용 전원 주파수로 변압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를 이용하면, 고주파 잡음 전파가 연속적으로 방사한다고 하는 문제를 배제할 수 있다. 또,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의 변화에 따라 직류 전압 V1이 변화된다. 그러나,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를 직류 전압 V1의 크기에 따라 작동, 제어함으로써, 상용 전원 트랜스(311)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정의 출력 전압인 직류 전압 V1을 결정된 범위, 예컨대, 20∼29V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실시예 5)
종래예, 실시예 3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용 교류 전원(307)의 1상(307a)은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릴레이(210)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으로서 준비되어, 예를 들면, 1C 접점형의 스위치 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접속 단자(210a)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개방 단자(210b)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나머지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상용 교류 전원(307)의 다른 상(307b)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의 공통 단자(311pc)에 접속된다.
제 2 릴레이(212)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에 마련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예를 들면, 1C 접점형의 스위치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접속 단자(212a)는 상기 탭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개방 단자(212b)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나머지 하나에 접속된다.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의 공통 단자(311sc)는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 접속된다. 교류 전압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에 출력되고,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서 전파(全波) 정류되고, 또한, 제 1 콘덴서(313)에서 평활되면, 직류 전압 V1이 발생한다. 직류 전압 V1은 직류 팬 모터(305) 및 전자 제어 장치(304)에 공급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용 교류 전원(307)으로부터 상용 전원 트랜스(311)로 인가된 교류 전압에 의해 직류 전압 V1이 발생하고, 직류 전압 V1이 제 1 저항기(203)와 제 2 저항기(204)에 의해 분압되어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에 인가된다.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제 1 임계값, 예를 들면, 직류 전압 V1이 29V를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1 릴레이(210)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를 노멀 개방 단자(210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변화 등으로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상기 제 1 임계값을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전자 제어 장치(304))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개방 단자(212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의 권수가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올라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변화 등으로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제 2 임계값, 예를 들면, 직류 전압 V1이 20V를 하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오프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접속 단자(212a)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적어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이와 같이 상용 전원 주파수로 변압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를 이용하면, 고주파 잡음 전파가 연속적으로 방사한다고 하는 문제를 배제할 수 있다. 또,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의 변화에 따라 직류 전압 V1이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를 직류 전압 V1의 크기에 따라 제어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출력 전압인 직류 전압 V1은 결정된 범위, 예를 들면 20∼29V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실시예 6)
종래예, 실시예 3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된 상용 교류 전원(307)의 1상(307a)은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에 접속된다. 제 1 릴레이(210)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제 1 릴레이(210)는, 스위치 소자로서의 기능을 갖고, 예를 들면, 1C 접점형인 릴레이를 채용할 수 있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접속 단자(210a)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개방 단자(210b)는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릴레이(212)는 제 1 릴레이(210)와 마찬가지로,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한 복수의 탭을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 2 릴레이(212)는, 스위치 소자로서의 기능을 갖고, 예를 들면, 1C 접점형인 릴레이를 채용할 수 있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접속 단자(212a)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한 복수의 다른 탭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개방 단자(212b)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나머지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상용 교류 전원(307)의 다른 상(307b)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공통 단자(311pc)에 접속된다.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은 전파 정류를 하기 위해서 준비된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 접속되고, 제 1 콘덴서(313)는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 접속된다. 제 1 콘덴서(313)에는 평활된 직류 전압 V1이 발생한다. 직류 전압 V1은 직류 팬 모터(305) 및 전자 제어 장치(304)에 공급된다.
실시예 6은, 지금까지의 실시예와는 달리,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가 마련되어 있다.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는, 예를 들면, 공칭 전압이 200V에서 250V까지의 비교적 광범위한 상용 교류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서 준비되어 있다.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의 입력측은 상용 교류 전원(307)에 접속되고, 그 출력측은 전자 제어 장치(30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용 교류 전원(307)에 접속된 전압 트랜스(207), 전압 트랜스(207)의 2차측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는 제 2 다이오드 브리지(208) 및 제 2 콘덴서(209)를 갖는다. 제 2 콘덴서(209)에서 평활된 직류 전압 V2는 전자 제어 장치(304)에 구비된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에 인가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제 1 임계값,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의 크기가 220V를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전자 제어 장치(304))는 제 1 릴레이(210)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를 노멀 개방 단자(210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크기가 변화되는 것에 추종하여,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상기 제 1 임계값을 상회하면, 전자 제어 장치(304)(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개방 단자(212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더욱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 크기의 변화에 추종하여, 직류 전압 V2가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제 2 임계값,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의 크기가 예컨대, AC240V를 하회한 경우에는, 전자 제어 장치(304)는 제 2 릴레이(212)를 오프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접속 단자(212a)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적어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올라간다.
이와 같이 상용 전원 주파수로 변압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를 이용하면, 고주파 잡음 전파가 연속적으로 방사한다고 하는 문제를 배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의 크기 변화에 따라 직류 전압 V1이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과 2차측 권선(311s)의 권수비를 소정의 출력 전압으로 설정해 놓으면,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를 직류 전압 V2의 크기에 따라 작동, 제어하여, 상용 전원 트랜스(311)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된 소정의 출력 전압인 직류 전압 V1을 결정된 범위, 예를 들면 20∼29V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실시예 7)
종래예, 실시예 3, 6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류 전원(306)은 열 교환형 냉각 장치(302)에 구비된 순환 송풍 수단으로서의 직류 팬 모터(305) 및 냉각 장치 제어부의 기능을 갖고 마이크로컴퓨터(201)를 탑재한 전자 제어 장치(304)에 공급되고 있다. 상용 교류 전원(307)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접속되어 있다.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에는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으로서의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릴레이로는 1C 접점형의 스위치 소자를 채용할 수 있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접속 단자(210a)에는 상기 탭의 하나가 접속되고,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개방 단자(210b)는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접속 단자(212a)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에 마련한 복수의 다른 탭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개방 단자(212b)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나머지 하나에 접속된다.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의 공통 단자(311sc)는 전파 정류하기 위한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 접속된다.
제 1 콘덴서(313)는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 접속되고, 제 1 콘덴서(313)에는 평활된 직류 전압 V1이 발생한다. 직류 전압 V1은 직류 팬 모터(305) 및 전자 제어 장치(304)에 공급된다.
또한, 실시예 7은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를 갖는다.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는 이전에도 설명한 바와 같이, 공칭 전압이 200V에서 250V까지의 비교적 광범위한 상용 교류 전압의 크기를 검출한다.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의 입력측에는 상용 교류 전원(307)이 접속되고, 그 출력측에는 전자 제어 장치(30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는 상용 교류 전원(307)에 접속된 전압 트랜스(207), 전압 트랜스(207)의 2차측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는 제 2 다이오드 브리지(208) 및 제 2 콘덴서(209)를 갖는다. 제 2 콘덴서(209)에서 평활된 직류 전압 V2는 전자 제어 장치(304)에 구비된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에 인가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제 1 임계값,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이 220V를 상회한 경우에는, 전자 제어 장치(304)는 제 1 릴레이(210)를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를 노멀 개방 단자(210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의 권수가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 크기의 변화에 추종하여,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상기 제 1 임계값을 상회한 경우에는, 전자 제어 장치(304)는 제 2 릴레이(212)를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개방 단자(212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더욱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크기 변화에 추종하여, 직류 전압 V2가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제 2 임계값,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이 AC240V를 하회한 경우에는, 전자 제어 장치(304)(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오프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접속 단자(212a)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의 권수가 적어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올라간다.
이와 같이 상용 전원 주파수로 변압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를 이용함으로써, 고주파 잡음 전파가 연속적으로 방사된다고 하는 문제을 배제한다. 또,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의 크기 변화에 추종하여 직류 전압 V1이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과 2차측 권선(311s)의 권수비를 소정의 출력 전압으로 설정해 놓으면,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를 직류 전압 V2의 값에 따라 작동, 제어하여, 상용 전원 트랜스(311)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행해서, 결정된 소정의 직류 전압 V1을 결정된 범위, 예를 들면 20∼29V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실시예 8)
종래예, 실시예 3, 6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된 상용 교류 전원(307)의 1상(307a)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인, 예를 들면, 1C 접점형의 스위치 소자로 구성된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접속 단자(210a)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개방 단자(210b)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나머지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상용 교류 전원(307)의 다른 상(307b)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공통 단자(311ps)에 접속된다. 제 2 릴레이(212)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에 마련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으로서 준비되어, 예를 들면 1C 접점형의 스위치 소자로 구성된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접속 단자(212a)에 상기 탭의 하나가 접속된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개방 단자(212b)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나머지 하나에 접속된다.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의 공통 단자(311sc)가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 접속되어 있다. 교류 전압은,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서 전파 정류되고, 제 1 콘덴서(313)에서 평활되면, 직류 전압 V1이 발생한다. 직류 전압 V1은 직류 팬 모터(305) 및 전자 제어 장치(304)에 공급된다.
또한, 공칭 전압이 200V에서 250V까지의 비교적 광범위한 상용 교류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으로서의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에는 전압 트랜스(207)를 상용 교류 전원(307)에 접속한다. 전압 트랜스(207)의 2차측 출력 전압을 제 2 다이오드 브리지(208)와 제 2 콘덴서(209)에서 평활한다. 이 평활되어 발생한 직류 전압 V2는 전자 제어 장치(304)에 구비한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에 인가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제 1 임계값,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이 220V를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1 릴레이(210)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에,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를 노멀 개방 단자(210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의 권수가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변화 등으로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상기 제 1 임계값을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개방 단자(212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더욱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변화 등으로 직류 전압 V2가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제 2 임계값,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으로 AC240V를 하회한 경우에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오프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접속 단자(212a)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적어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올라간다.
이와 같이 상용 전원 주파수로 변압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를 이용함으로써, 고주파 잡음 전파의 연속적인 방사를 배제한다. 또한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의 변화에 따라 직류 전압 V1이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과 2차측 권선(311s)의 권수비를 소정의 출력 전압으로 설정해 놓음으로써,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를 직류 전압 V2의 값에 따라 작동, 제어하여, 상용 전원 트랜스(311)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결정된 소정의 출력 전압인 직류 전압 V1은 결정된 범위, 예를 들면 20∼29V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실시예 9)
종래예, 실시예 3, 6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도시하지 않음)를 냉각하는 열 교환형 냉각 장치(302)에는 주전원인 직류 전원(306) 및 보조 전원인 상용 교류 전원(307)이 공급된다. 직류 전원(306)은 열 교환형 냉각 장치(302)에 구비된 순환 송풍 수단으로서의 직류 팬 모터(305) 및 냉각 장치 제어부로서의 마이크로컴퓨터(201)를 탑재한 전자 제어 장치(304)에 공급된다.
상용 교류 전원(307)의 1상(307a)은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릴레이(210)는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 1 릴레이(210)는 1C 접점형의 스위치 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접속 단자(210a)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된 복수의 탭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개방 단자(210b)는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릴레이(212)의 기능 및 그 구성은 제 1 릴레이(210)와 동일하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접속 단자(212a)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한 복수의 다른 탭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개방 단자(212b)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된 복수의 탭의 나머지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상용 교류 전원(307)의 다른 상(307b)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공통 단자(311pc)에 접속된다.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에는 출력 전압을 전파 정류하기 위한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가 접속되고,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는 제 1 콘덴서(313)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지금까지의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제 1 콘덴서(313)에는 평활된 직류 전압 V1이 발생한다. 직류 전압 V1은 직류 팬 모터(305) 및 전자 제어 장치(304)에 공급된다.
전자 제어 장치(304)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출력 전압 검출 수단으로서의 제 1 저항기(203)와 제 2 저항기(204)와 마이크로컴퓨터(201)를 갖는다. 또한, 공칭 전압이 200V에서 250V까지의 비교적 광범위한 상용 교류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으로서,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가 준비되어 있다.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공칭 전압이 200V에서 250V까지의 비교적 광범위한 상용 교류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서 준비되어 있다.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의 입력측은 상용 교류 전원(307)에 접속되고, 그 출력측은 전자 제어 장치(30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는 상용 교류 전원(307)에 접속된 전압 트랜스(207), 전압 트랜스(207)의 2차측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는 제 2 다이오드 브리지(208) 및 제 2 콘덴서(209)를 갖는다. 제 2 콘덴서(209)에서 평활된 직류 전압 V2는 전자 제어 장치(304)에 구비된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에 인가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1 및 AIN2에는 직류 전압 V1의 분압 전압 및 직류 전압 V2가 인가된다.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2의 전압이 제 1 임계값,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이 220V를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1 릴레이(210)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를 노멀 개방 단자(210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의 권수가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변화 등으로 직류 전압 V2가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2의 전압이 상기 제 1 임계값을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개방 단자(212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더욱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변화 등으로 직류 전압 V2가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2의 전압이, 제 2 임계값,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이 AC240V를 하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오프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접속 단자(212a)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적어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올라간다. 다음에 이 상태에 있어서,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1의 전압이 제 3 임계값, 예를 들면, 직류 전압 V1의 전압으로 29V를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또한,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개방 단자(212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의 권수가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변화 등으로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1의 전압이 제 4 임계값, 예를 들면, 직류 전압 V1의 전압으로 20V를 하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오프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접속 단자(212a)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적어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이 권수비에 의해 출력이 올라간다.
이와 같이 상용 전원 주파수로 변압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를 이용함으로써, 고주파 잡음 전파의 연속적인 방사를 배제한다. 또한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의 변화에 따라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를 작동시키고, 또한 직류 전압 V1의 변화에 따라 신속히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를 작동, 제어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출력 전압인 직류 전압 V1을 결정된 범위, 예를 들면 20∼29V의 범위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0)
종래예, 실시예 3, 6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용 교류 전원(307)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접속되어 있다.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의 탭의 하나에는,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접속 단자(210a)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개방 단자(210b)는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는 모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을 전환하는 수단으로서 준비되어 있다. 또한, 이들 2개의 릴레이는 1C 접점형의 스위치 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접속 단자(212a)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p)에 마련한 복수의 다른 탭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개방 단자(212b)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나머지 하나에 접속된다.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의 공통 단자(311sc)는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서 전파 정류된 전압은, 제 1 콘덴서(313)에서 평활되어, 직류 전압 V1이 발생한다. 직류 전압 V1은 직류 팬 모터(305) 및 전자 제어 장치(304)에 공급된다.
또한, 실시예 10은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를 갖는다.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는 공칭 전압이 200V에서 250V까지의 비교적 광범위한 상용 교류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으로서 준비되어 있다.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의 입력측은 상용 교류 전원(307)에 접속되고, 그 출력측은 전자 제어 장치(30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는 상용 교류 전원(307)에 접속된 전압 트랜스(207), 전압 트랜스(207)의 2차측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는 제 2 다이오드 브리지(208) 및 제 2 콘덴서(209)를 갖는다. 제 2 콘덴서(209)에서 평활된 직류 전압 V2는 전자 제어 장치(304)에 구비된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에 인가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1 및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2에는 직류 전압 V1의 분압 전압 및 직류 전압 V2가 각각 달리 인가된다.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2의 전압이 제 1 임계값,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이 220V를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l)는 제 1 릴레이(210)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를 노멀 개방 단자(210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변화 등으로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2의 전압이 상기 제 1 임계값을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또한,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개방 단자(212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더욱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변화 등으로 직류 전압 V2가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2의 전압이, 제 2 임계값,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은 AC240V를 하회한 경우에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오프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접속 단자(212a)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의 권수가 적어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이 권수비에 의해 출력이 올라간다.
다음에 이 상태에 있어서,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1의 전압이 제 3 임계값, 예를 들면, 직류 전압 V1의 전압으로 29V를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또한, 이 때,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개방 단자(212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의 권수가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변화 등으로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1의 전압이 제 4 임계값, 예를 들면, 직류 전압 V1의 전압으로 20V를 하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오프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또한,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접속 단자(212a)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적어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이 권수비에 의존하여 올라간다.
이와 같이 상용 전원 주파수로 변압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를 이용함으로써, 고주파 잡음 전파가 연속적으로 방사된다고 하는 문제를 배제한다. 또한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의 변화에 따라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를 작동, 제어하고, 또한 직류 전압 V1의 변화에 따라 신속히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를 작동, 제어시키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정의 출력 전압인 직류 전압 V1을 결정된 범위, 예를 들면 20∼29V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1)
종래예, 실시예 3∼10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용 교류 전원(307)의 1상(307a)은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릴레이(210)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제 1 릴레이(210)는, 지금까지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1C 접점형의 스위치 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접속 단자(210a)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에 마련된 복수의 탭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릴레이(210)의 노멀 개방 단자(210b)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에 마련된 복수의 탭의 나머지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상용 교류 전원(307)의 다른 상(307b)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공통 단자(311pc)에 접속된다. 제 2 릴레이(212)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에 마련한 복수의 탭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으로서 준비되어 있다. 제 2 릴레이(212)는 제 1 릴레이(210)와 마찬가지로, 1C 접점형의 스위치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릴레이(212)의 노멀 개방 단자(212b)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에 마련된 복수의 탭의 나머지 하나에 접속된다.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와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의 공통 단자(311sc)는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는 제 1 콘덴서(313)가 접속되어 있다. 교류 전압은, 제 1 다이오드 브리지(312)에서 전파 정류되어, 제 1 콘덴서(313)에서 평활되면 직류 전압 V1이 발생한다. 직류 전압 V1은 직류 팬 모터(305) 및 전자 제어 장치(304)에 공급된다.
실시예 11은, 지금까지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가 마련되어 있다.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는, 예컨대, 공칭 전압이 200V에서 250V까지의 비교적 광범위한 상용 교류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서 준비되어 있다.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의 입력측은 상용 교류 전원(307)에 접속되고, 그 출력측은 전자 제어 장치(30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력 전압 검출 장치(206)는 상용 교류 전원(307)에 접속된 전압 트랜스(207), 전압 트랜스(207)의 2차측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는 제 2 다이오드 브리지(208) 및 제 2 콘덴서(209)를 갖는다. 제 2 콘덴서(209)에서 평활된 직류 전압 V2는 전자 제어 장치(304)에 구비된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에 인가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1 및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2에는 직류 전압 V1의 분압 전압 및 직류 전압 V2가 인가된다. 마이크로컴퓨터(201)의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2의 전압이 제 1 임계값,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이 220V를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1 릴레이(210)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 때,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를 노멀 개방 단자(210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의 권수가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이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가고,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1의 전압이 제 2 임계값, 예를 들면, 직류 전압 V1의 전압으로 20V를 하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온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또한,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개방 단자(212b)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311s)의 권수가 많아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이 권수비에 의존하여 올라간다. 그 후, 상용 교류 전원(307)의 전압의 변화 등으로 직류 전압 V2가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의 전압이 제 2 임계값,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으로 AC240V를 하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1 릴레이(210)를 즉시 오프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제 1 릴레이(210)의 공통 단자(210c)를 노멀 접속 단자(210a)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1차측 권선(311p)의 권수가 적어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이 권수비에 의해 출력이 올라간다. 이 상태에 있어서, 직류 전압 V1이 변화되어 아날로그 입력 단자 AIN1의 전압이 제 4 임계값, 예를 들면, 직류 전압 V1의 전압으로 29V를 상회한 경우에는, 마이크로컴퓨터(201)는 제 2 릴레이(212)를 즉시 오프시키도록 릴레이 구동 회로(205)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제 2 릴레이(212)의 공통 단자(212c)를 노멀 접속 단자(212a)로 전환하면,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 권선의 권수가 적어지는 탭으로 회로가 전환되기 때문에, 상용 전원 트랜스(311)의 2차측의 전압은 권수비에 의존하여 내려간다.
이와 같이 상용 전원 주파수로 변압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311)를 이용함으로써, 고주파 잡음 전파가 연속적으로 방사한다고 하는 문제를 배제한다. 또한, 상용 교류 전원(307)의 입력 전압의 변화에 따라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를 작동, 제어하고, 또한 직류 전압 V1의 변화에 따라 신속히 제 1 릴레이(210) 및 제 2 릴레이(212)를 작동, 제어시킴으로써, 상용 전원 트랜스(311)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소정의 출력 전압인 직류 전압 V1을 결정된 범위, 예를 들면 20∼29V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형 냉각 장치는, 냉각 장치 본체나 콘트롤러에 부착한 전원 라인에 전력선 반송 통신용의 신호를 반송시키는 신호 반송부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배선 절약, 공간 절약화를 실현하고, 항공기의 기밀실이나 화물 콘테이너 등의 기밀성을 갖는 수납 콘테이너 등의 공기 조절 설비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냉각 장치에 이용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는 전원 트랜스에 마련한 복수의 탭의 전환을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시공시의 작업 공정수를 삭감하여, 신뢰성 향상과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은 높다.
1 : 실외측 센서리스 DC 브러쉬리스 모터
2 : 실외측 송풍기
3 : 실내측 DC 브러쉬리스 모터
4 : 실내측 송풍기
5 : 위치 검출부
6 : 제어부
7 : 인버터 회로
8 : 션트 저항
9 : 제어 박스
10 : DC 전원
11 : 구동용 리드선
12 : 열 교환 소자
13, 302 : 열 교환형 냉각 장치
14 : 외기 흡입구
15 : 외기 토출구
16 : 내기 흡입구
17 : 내기 토출구
18 :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
20 : OP 앰프
21 : AD 변환부
22 : 파형 기억부
23 : 비교부
24 : 통전 전환 타이밍 결정부
25 : 구동 회로
201 : 마이크로컴퓨터
210 : 제 1 릴레이
212 : 제 2 릴레이
203 : 제 1 저항기
204 : 제 2 저항기
205 : 릴레이 구동 회로
206 : 입력 전압 검출 장치
207 : 전압 트랜스
208 : 제 2 다이오드 브리지
209 : 제 2 콘덴서
300 : 열 교환형 냉각 장치
304 : 전자 제어 장치
305 : 직류 팬 모터
306 : 직류 전원
307 : 상용 교류 전원
311 : 상용 전원 트랜스
312 : 제 1 다이오드 브리지
313 : 제 1 콘덴서

Claims (13)

  1.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를 냉각하는 열 교환형 냉각 장치의 전원 회로 구동 장치로서,
    상기 열 교환형 냉각 장치는,
    주 전원인 제 1 직류 전원과 보조 전원인 교류 전원이 상기 발열체 수납 콘테이너로부터 공급되고, 순환 송풍하여 열 교환을 행하는 직류 팬 모터와,
    상기 교류 전원을 소정의 전압 범위로 변압하는 상용 전원 트랜스와,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출력 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얻은 제 2 직류 전원과,
    상기 제 2 직류 전원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입력 전압을 감시하는 전자 제어 장치와,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권선에 마련된 복수의 탭을 전환하는 탭 전환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직류 팬 모터와 상기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직류 전원과 상기 제 2 직류 전원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전원 공급되도록 접속되고,
    상기 전자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직류 전원의 출력 전압 또는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입력 전압이 소정의 전압 범위로 되도록, 상기 탭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복수의 탭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전환 수단은, 상기 제 2 직류 전원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한 전원 회로 구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1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상기 탭 전환 수단의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동작시키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상기 탭 전환 수단의 스위치 소자를 동작시키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상기 탭 전환 수단의 스위치 소자를 동작시키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전환 수단은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입력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한 전원 회로 구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1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상기 탭 전환 수단의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동작시키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상기 탭 전환 수단의 스위치 소자를 동작시키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상기 탭 전환 수단의 스위치 소자를 동작시키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전환 수단은,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입력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과, 상기 제 2 직류 전원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출력 전압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한 전원 회로 구동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 및 상기 출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1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상기 탭 전환 수단의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동작시키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 및 상기 출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상기 탭 전환 수단의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동작시키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교류 전압 검출 수단 및 상기 출력 전압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상용 전원 트랜스의 1차측 권선 및 2차측 권선에 마련한 복수의 탭에 접속한 상기 탭 전환 수단의 스위치 소자를 동작시키는 전원 회로 구동 장치.
KR1020107003446A 2005-08-31 2006-08-31 전원 회로 구동 장치 KR101011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251172 2005-08-31
JP2005251172A JP2007064552A (ja) 2005-08-31 2005-08-31 熱交換型冷却機用ファンモータ駆動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906A Division KR20080039952A (ko) 2005-08-31 2006-08-31 열 교환형 냉각 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전원 회로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642A KR20100037642A (ko) 2010-04-09
KR101011600B1 true KR101011600B1 (ko) 2011-01-27

Family

ID=378088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906A KR20080039952A (ko) 2005-08-31 2006-08-31 열 교환형 냉각 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전원 회로 구동장치
KR1020107003446A KR101011600B1 (ko) 2005-08-31 2006-08-31 전원 회로 구동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906A KR20080039952A (ko) 2005-08-31 2006-08-31 열 교환형 냉각 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전원 회로 구동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863854B2 (ko)
EP (1) EP1921391B1 (ko)
JP (1) JP2007064552A (ko)
KR (2) KR20080039952A (ko)
CN (2) CN101253372B (ko)
DK (1) DK1921391T3 (ko)
WO (1) WO2007026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4820A (en) * 2008-10-28 2010-05-05 Champion Aerospace Inc Regulation of aircraft power supply
GB2483095A (en) * 2010-08-26 2012-02-29 Laing O Rourke Plc Air handling unit
JP5632257B2 (ja) * 2010-10-29 2014-11-26 ローム株式会社 センサレスファンモータの駆動装置、それを用いた冷却装置および電子機器、ならびにセンサレスファンモータの起動方法
US8436566B2 (en) * 2011-02-02 2013-05-07 Cooler Master Co., Ltd. Multi-speed control apparatus for fan motor
US9048777B2 (en) * 2012-12-31 2015-06-02 Silicon Laboratories Inc. Apparatus for integrated circuit interface and associated methods
DE102013211323A1 (de) * 2013-06-17 2014-12-18 Leica Biosystems Nussloch Gmbh Probenkühlgerät für histologische Proben
JP6485718B2 (ja) * 2015-07-31 2019-03-20 工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工具
CN107168287A (zh) * 2017-05-26 2017-09-15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贵阳局 一种基于plc变压器冷却器控制系统的plc故障应急模块
JP2019062450A (ja) * 2017-09-27 2019-04-18 日本電産株式会社 演算回路、制御回路及び表示装置姿勢検出システム
CN107912004A (zh) * 2017-12-14 2018-04-13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变压器冷却控制柜
CN109327143A (zh) * 2018-09-27 2019-02-12 段志刚 一种提高llc拓扑电源输出参数及合理利用的方法及电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8349A (ja) * 1993-06-10 1994-12-22 Kawasaki Steel Corp 電力供給系統の電圧制御方法
JPH08149818A (ja) * 1994-11-16 1996-06-07 Sansei Denki Kk 整流方法および整流装置
JP2001128361A (ja) * 1999-10-22 2001-05-11 Tokyo Electron Ltd 電源装置、加熱処理装置、電圧制御方法及び温度制御方法
JP2001156478A (ja) * 1999-09-17 2001-06-08 Matsushita Seiko Co Ltd 発熱体収納箱冷却装置と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2150A (ja) * 1990-03-30 1991-12-12 Toshiba Corp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制御方式
JP2646937B2 (ja) * 1992-05-20 1997-08-27 日本電池株式会社 イオン水生成器の電解制御装置
US6274950B1 (en) * 1994-03-03 2001-08-14 American Power Conversion Battery communication system
US5602462A (en) * 1995-02-21 1997-02-11 Best Power Technology, Incorporated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JP3324439B2 (ja) * 1997-04-08 2002-09-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US6078148A (en) * 1998-10-09 2000-06-20 Relume Corporation Transformer tap switching power supply for LED traffic signal
US6612365B1 (en) 1999-09-17 2003-09-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eating-element accommodating-box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6417651B1 (en) * 2000-05-02 2002-07-09 James W. Kronberg Digitally-controlled AC voltage stabilizer
JP4428017B2 (ja) * 2002-12-09 2010-03-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JP4416486B2 (ja) * 2002-12-12 2010-0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
JP4239643B2 (ja) * 2003-03-27 2009-03-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
KR100695581B1 (ko) * 2003-04-30 2007-03-1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구동 장치, 압축기, 공기 조화기, 냉장고, 송풍기,전기 청소기, 전기 건조기, 히트 펌프 급탕기 및하이브리드 자동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8349A (ja) * 1993-06-10 1994-12-22 Kawasaki Steel Corp 電力供給系統の電圧制御方法
JPH08149818A (ja) * 1994-11-16 1996-06-07 Sansei Denki Kk 整流方法および整流装置
JP2001156478A (ja) * 1999-09-17 2001-06-08 Matsushita Seiko Co Ltd 発熱体収納箱冷却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01128361A (ja) * 1999-10-22 2001-05-11 Tokyo Electron Ltd 電源装置、加熱処理装置、電圧制御方法及び温度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1391A1 (en) 2008-05-14
WO2007026793A1 (ja) 2007-03-08
CN101253372A (zh) 2008-08-27
CN101253372B (zh) 2012-04-25
EP1921391A4 (en) 2010-07-07
KR20080039952A (ko) 2008-05-07
US20110012572A1 (en) 2011-01-20
EP1921391B1 (en) 2012-10-03
CN102563821A (zh) 2012-07-11
US7863854B2 (en) 2011-01-04
KR20100037642A (ko) 2010-04-09
US20090224712A1 (en) 2009-09-10
DK1921391T3 (da) 2012-11-12
JP2007064552A (ja) 200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600B1 (ko) 전원 회로 구동 장치
US6801013B2 (en) PSC motor system for use in HVAC applications
US7272302B2 (en) PSC motor system for use in HVAC applications with field adjustment and fail-safe capabilities
US6952088B2 (en) PSC motor system for use in HVAC applications with improved start-up
EP2455676A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5973491A (en) System interconnection generator
JP2012070531A (ja) インバータ装置
CN101351648A (zh) 用于机动车的冷却风扇模块
JP2013138561A (ja) コンバータ回路
JP2012135157A (ja) モータ駆動システム
US6369544B1 (en) Furnace and air conditioner blower motor speed control
JP3546786B2 (ja) 空気調和機
JP2005337519A5 (ko)
JP4899358B2 (ja) 発熱体収納函冷却装置の電源安定化回路
JPH07154976A (ja) インバータ冷却ファンの運転方法
JP5417740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3101380B2 (ja) 空気調和機の電源装置
JP5151963B2 (ja) 発熱体収納装置用冷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熱体収納装置
JP5055934B2 (ja) ブラシレスdcモータの制御装置及び換気送風機
JP2859066B2 (ja) 空気調和機
JP4221401B2 (ja) 空気調和機
JP2005236125A (ja) 太陽光発電装置
JPH07322677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JPH0583846A (ja) 空気調和機のインバータ保護装置
JPH05252794A (ja) 空気調和機のインバータ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