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959B1 -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959B1
KR101010959B1 KR1020070091390A KR20070091390A KR101010959B1 KR 101010959 B1 KR101010959 B1 KR 101010959B1 KR 1020070091390 A KR1020070091390 A KR 1020070091390A KR 20070091390 A KR20070091390 A KR 20070091390A KR 101010959 B1 KR101010959 B1 KR 101010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tray
customer
rail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429A (ko
Inventor
이연숙
이재성
이재연
이호준
이수진
곽윤정
이선혜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91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9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이 조리할 음식의 재료가 레일을 따라 다수의 고객 테이블의 플랫폼에 자동 공급되고, 다수의 고객 테이블의 플랫폼으로부터 자동 퇴식처리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가능한 음식 데이터별로 폴더가 할당되고, 상기 폴더에 할당된 음식의 조리에 소요되는 음식재료가 객체클래스별로 구분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음식 데이터에 따라, 외부로부터 대량으로 유입되는 음식재료가 상기 객체클래스별로 저장된 식자재 공급부; 음식준비 및 조리를 위한 주방시설과 식탁시설이 구비되어서 가족 기타 소집단 단위의 고객들이 재료주문, 음식준비, 조리 및 식사 후 정리까지의 전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다수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 특정 고객이 점유하는 고객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조리되어야 하는 음식의 종류 및 분량이 주문되면, 조리될 음식에 대응하는 음식 데이터를 검색하여, 주문에 따른 상기 식자재 공급부내의 객체클래스별 음식재료를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에 할당된 트레이 상에 탑재하고, 주문량에 따라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상기 트레이를 출고하는 메인 플랫폼; 상기 음식재료가 담겨진 트레이를 복수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으로 이송하고,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된 식기를 식기 세척을 하기 위해 이송하는 레일;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 플랫폼으로부터 출고된 상기 음식재료가 탑재된 트레이를 이송받는 고객 플랫폼; 및 상기 트레이가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고객 플랫폼에 액세스되면 상기 레일을 일시 정지시키는 레일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음식재료, 식기, 트레이, 메인 플랫폼, 고객 플랫폼, 레일

Description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Network kitchen cluster restaura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이 스스로 음식을 조리하고자 하는데 필요한 음식재료가 레일을 따라 각각의 고객 테이블의 고객 플랫폼으로 자동 공급되고, 다수의 고객 플랫폼으로부터 자동 퇴식처리됨으로서 음식재료의 제공에서부터 식기의 반환까지의 전체적인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및 방법을 구축함으로써, 서비스 인력 및 비용의 절감, 소비자 맞춤식 식단의 운영, 서비스의 질적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스토랑이나 한식당 혹은 일식집 등과 같은 대중 음식점에 손님이 방문한 경우에는, 종업원이 손님을 테이블로 안내한 후, 주문서에 손님이 선택한 음식을 표기한 다음, 그 주문서를 카운터에 전달함으로써 주문이 행해진다. 이와 동시에, 카운터에 접수된 주문서의 사본이 주방에 전달되어 손님이 주문한 음식물의 조리가 행해진 후, 종업원에 의해 손님이 착석한 테이블로 배달되는 것에 의해 주문한 음식물의 공급이 완료된다. 이후, 손님은 식사가 종료된 후 테이블에 놓여진 주문서 사본을 갖고 카운터로 가서 식대를 정산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 생활환경의 개선과 외식문화가 발달해 감으로 인하여 가족 기타 소규모 집단의 외식이나 사람들과의 교제를 위하여 야외 식당과 같은 음식점이 많이 이용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외식문화의 발달과 함께 행사나 각종 기념일, 그리고 가족 기타 소규모 집단 스스로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연회라는 외식문화의 조류를 수용함과 함께 가족 단위나 소규모 모임, 소규모 단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소규모 집단이 직접 음식을 조리하여 신선한 음식을 만드는 데 필요한 음식재료를 자동적으로 공급받아 일괄적으로 조리, 퇴식, 정산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건강한 음식과 건강한 환경을 중시하는 경향, 체험형 문화를 중시하는 경향, 건강한 유기농 식재에 대한 신뢰성을 추구하는 경향 등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면서 손님에게 보다 편리하고 많은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시설을 필요로 하고 있지만,기존의 음식점들은 이러한 요구를 채워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고객의 만족을 높이고,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안락한 마음으로 안심하고 음식을 직접 조리하여 식사를 하고, 가족 기타 소규모 집단의 구성원들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여, 내부적 유대 강화 및 친목 도모를 위한 기반을 조성해 줄 수 있는 고급화되고 차별화된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가족 기타 소규모 집단의 특유한 성질을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는, 야외에서 손님이 조리를 원하는 음식의 음식재료의 일괄적 인 제공에서부터, 조리, 퇴식, 식기의 세척, 건조 및 반환까지의 전반적인 과정을 자동화하여, 음식재료의 공급이나 퇴식에 따른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손님에게 신속, 정확하게 신선한 음식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자동 공급 및 퇴식 처리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족 기타 소규모 집단 단위의 폐쇄적인 집단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는 전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고객이 필요로 하는 음식재료가 자동으로 공급되고 퇴식처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가족 기타 소규모 집단만을 위한 고유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에, 직접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음식재료가 자동으로 공급되고, 공급이 확인되면 정산이 가능하게 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가족 기타 소규모 집단만을 위한 고유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에, 퇴식을 위해 식기가 자동으로 반납되고, 반납이 확인되면 정산이 가능하게 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가족 기타 소규모 집단의 구성원들이 음식준비에서부터, 조리, 및 식사 후 퇴식까지의 전과정을 직접 체험하는 과정을 통해, 가족 기타 소규모 집단의 구성원들간의 유대 강화 및 친목도모가 가능하며, 인간의 존엄성이 존중될 수 있는 슬로우 컬쳐 사회를 이루는 데에 큰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정찬 라인을 통해 음식물 제공에서부터 빈 그릇의 회수까지의 전체적인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음식점의 종원원수를 그만큼 줄일 수 있어 인력부족과 인건비가 비싼 현실에 있어서 영업적 이윤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또 음식 주문과 배달 등과 같은 음식점의 소란한 분위기를 일거에 해소할 수 있으므로, 항상 쾌적하고 조용한 음식점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등 대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이외의 목적, 특징, 양상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결합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은, 조리가능한 음식 데이터별로 폴더가 할당되고, 상기 폴더에 할당된 음식의 조리에 소요되는 음식재료가 객체클래스별로 구분되는 데이터베이스(170);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음식 데이터에 따라, 외부로부터 대량으로 유입되는 음식재료가 상기 객체클래스별로 저장된 식자재 공급부(100); 음식준비 및 조리를 위한 주방시설과 식탁시설이 구비되어서 가족 기타 소집단 단위의 고객들이 재료주문, 음식준비, 조리 및 식사 후 정리까지의 전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다수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102,103,104); 특정 고객이 점유하는 고객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조리되어야 하는 음식의 종류 및 분량이 주문되면, 조리될 음식에 대응하는 음식 데이터를 검색하여, 주문에 따른 상기 식자재 공급부내의 객체클래스별 음식재료를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에 할당된 트레이(150) 상에 탑재하고, 주문량에 따라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상기 트레이를 출고하는 메인 플랫폼(100p); 상기 음식재료가 담겨진 트레이를 복수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으로 이송하고,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된 식기를 식기 세척을 하기 위해 이송하는 레일(200);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 플랫폼으로부터 출고된 상기 음식재료가 탑재된 트레이를 이송받는 고객 플랫폼(101p,102p,103p,104p); 및 상기 트레이가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고객 플랫폼에 액세스되면 상기 레일을 일시 정지시키는 레일제어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102,103,104)은 상호간에 담(20)에 의하여 구획됨으로써, 공간적으로 특정 고객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점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150)는 상기 특정 고객에 의해 주문된 음식재료가 상기 특정 고객 플랫폼에 제공될 수 있게 하는 고유 식별번호(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플랫폼(101p,102p,103p,104p)은 상기 트레이의 식별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수단(110)과, 상기 레일제어부로 상기 레일을 정지 및 진행시키도록 명령하는 송신부(120), 및 상기 인식수단과 송신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식수단(110)은 상기 트레이(150)가 그 인식영역내에 액세스됨으로써 상기 트레이의 식별번호(50)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130)는 상기 트레이의 식별번호(50)가 인식되면 상기 송신부를 통하여 상기 레일제어부(350)에게 상기 레일(200)을 일시 정지시키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플랫폼(101p,102p,103p,104p)은 상기 트레이 내의 음식재료를 상기 트레이로부터 꺼내는 리니어 아암(140a)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상기 트레이(50)가 액세스되면 상기 송신부(120)를 통해 상기 레일제어부(350)에게 상기 레일을 일시 정지시키는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리니어 아암(140a)을 구동하여 상기 음식재료를 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가 구비하는 상기 고유 식별번호는 RFID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식수단은 RFID 판독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가 구비하는 상기 고유 식별번호는 바코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식수단은 바코드 판독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문된 음식재료 승인신호를 수신받으면 주문된 음식재료의 정산이 가능하도록 카운터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120)는 상기 음식재료의 식별번호를 통해 주문된 음식재료의 정산을 위한 승인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20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식기세척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기(10b)는 고유 식별번호(60b)를 구비하고, 상기 인식수단(110)은 상기 고객이 상기 식기를 퇴식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객 플랫폼(101p,102p,103p,104p) 상에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식기(10b)의 식별번호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송신부(120)는 상기 퇴식된 식기(10b)가 상기 식기세척 시스템(340)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레일제어부(350)에게 상기 레일(200)을 진행시키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제어부(350)는, 상기 고객 플랫폼(101p,102p,103p,104p)에 상기 트레이(150)가 액세스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53)와, 상기 레일을 일시 정 지 및 진행시키는 구동부(3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고객 테이블의 플랫폼(101p,102p,103p,104p)은, 상기 레일(200)의 레이아웃에 있어서, 동일한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트레이(150)와 주기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구동방법은,조리가능한 음식 데이터별로 폴더가 할당되고, 상기 폴더에 할당된 음식의 조리에 소요되는 음식재료가 객체클래스별로 구분되며, 외부로부터 대량으로 유입되는 음식재료가 상기 객체클래스별로 현실 분류되는 재료공급준비단계(S100); 상기 음식재료를 이송하기 위하여 특정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고객 플랫폼에 대응하는 특정 트레이가 지정되는 단계(S110); 상기 음식재료를 포함하는 트레이가 상기 특정 고객 플랫폼을 향하여 이송되는 단계(S120); 상기 트레이가 상기 특정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고객 플랫폼에 도달하면, 상기 트레이의 식별번호가 인식되고 레일제어부에 정지명령이 수신되어 상기 트레이의 이송이 정지되는 단계(S130); 및 상기 트레이 내의 음식재료가 상기 고객 플랫폼 상에 반출되고, 상기 레일제어부에 레일 진행명령이 수신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별번호를 구비한 식기의 퇴식시에, 상기 고객 플랫폼에서 식기의 식별번호가 인식되면, 상기 레일제어부에 상기 트레이가 상기 고객 플랫폼으로 이송되도록 진행명령이 수신되는 단계(S180); 및 레일제어부가 레일을 진행시켜 상기 트레이가 상기 고객 플랫폼에 도달된 후, 상기 식기가 트레이에 탑재되면, 상기 레일제어부 에 상기 트레이가 식기세척시스템으로 이송되도록 진행명령이 수신되는 단계(S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플랫폼에서 상기 트레이의 식별번호가 인식되는 단계에서, 식별번호가 인식되면 승인신호를 송출하여 카운트 정산이 가능하게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기세척 시스템에서 퇴식된 상기 식기의 식별번호를 인식하고, 승인신호를 송출하여 카운트 정산이 가능하게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족 기타 소규모 집단 단위의 폐쇄적인 집단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는 전용공간을 구비됨으로써, 소속 구성원들만이 누릴 수 있는 유대 강화 및 친목도모가 가능하게 된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여, 고객이 필요로 하는 음식재료가 자동으로 공급되고 퇴식처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고객 중심의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종업원의 인건비 절감과 쾌적한 업소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고객만족 등을 얻을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한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에 의하면, 가족 기타 소규모 집단의 구성원들이 음식준비에서부터, 조리, 및 식사 후 퇴식까지의 전과정을 직접 체험하는 과정을 통해, 가족 기타 소규모 집단의 구성원들간의 유대 강화 및 친목도모가 가능하며, 인간의 존엄성이 존중될 수 있는 슬로우 컬쳐 사회를 이룰 수 있다.
넷째, 음식재료 주문 및 결재를 포함하여 음식재료의 제공에서부터 식기의 반환까지의 모든 서비스를 포괄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인력 및 비용의 절감, 소비자 맞춤식 식단의 운영, 서비스의 질적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음식점을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더 나아가 고객만족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및 방법은, 조리가능한 음식 데이터별 폴더 및 객체클래스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70)와, 데이터베이스의 음식 데이터에 따라 외부로부터 대량으로 유입되는 음식재료가 상기 객체클래스별로 저장된 식자재 공급부(100)에서부터 시작하여 소정의 궤적으로 홀을 거쳐 식기세척시스템(340)에서 종료되는 레일 형태의 정찬 라인(200)을 따라서, 주문, 조리, 전송, 승인, 섭취, 퇴식, 정산 등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음식재료 제공에서부터 식기 반환까지의 전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70)에 의해 음식재료가 분류되고, 식자재 공급부(100)로부터 분류되어 주문된 음식재료가 반입되며, 그 밖에 음식재료가 전송되는 레일(300), 레일을 통해 각각의 고객 테이블에 전송되는 음식재료가 담겨진 트레이(150), 음식재료가 각 고객 테이블(101 ~ 109)에 전송될 때 레일 제어, 음식재료 반출, 정산 승인 등의 작용을 가능케 하는 플랫폼(101p ~ 109p), 레일의 구동을 제어하는 레일제어부(350)를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170)는, 조리가능한 음식 데이터별로 폴더가 할당되고, 상기 폴더에 할당된 음식의 조리에 소요되는 음식재료가 객체클래스별로 구분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의 자료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스테이크, 샐러드, 불고기 등과 같이 조리가능한 음식 데이터별로 폴더가 마련된다. 그리고, 각 폴더에 할당된 음식의 조리에 소요되는 음식재료가 객체클래스별로 구분되어 기입된다. 예를 들어, 스테이크의 조리에 소요되는 음식재료로서, 쇠고기의 특정부위(B3), 특정 소스(B4), 특정 양념(C5), 감자(D2), 고구마(E3), 양파(F2), 파슬리(G1) 등과 같이 각각의 음식재료는 객체클래스가 할당되어 있으며, 각 객체클래스마다 그 속성인 가격, 유통기한, 재고량, 재고위치 등이 기입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되는 폴더 및 객체클래스 데이터는 고객이 주문하는 음식재료의 재고관리 및 후술하는 식자재 공급부(100)에서 원활한 재료공급을 위해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식자재 공급부와 메인 플랫폼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식자재 공급부(100)는, 데이터베이스(170)의 음식 데이터에 따라, 외부로부터 대량으로 유입되는 음식재료가 객체클래스별로 현실적으로 저장된 물리적 공간이다.
객체클래스는 단순한 분류가 아니라, 각 음식재료의 유통기한과 보관조건(온도, 습도, 내충격성 등)에 따라 효율적인 창고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분류이므로, 보관이 까다로운 음식재료 조달에 가장 효율적인 공간설계에 맞추어 할당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자재 공급부(100)는 자동 창고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식자재 공급부(100)의 후측에서는, 소정의 자동 입고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농축수산물, 가공식품재료가 조달되어 들어온다. 각 음식재료는 데이터베이스(170)에서 할당된 객체클래스별로 창고의 레지스터(100r)에 일시 저장된다. 예를 들어, 식자재 공급부(100)의 각 레지스터(100r)에는 1인분의 음식재료가 일시저장될 수 있으며, 하나의 객체클래스마다 100개의 레지스터 공간이 마련되면 100인분의 음식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일례로, 특정 쇠고기 부위에 할당된 객체클래스(B3)는 100개의 레지스터(100r)를 가지고, 식자재 공급부(100)는 총 100인분의 음식재료를 조달할 수 있다.
식자재 공급부(100)의 각 레지스터(100r)에서 반출되는 음식재료(10a)는 소정의 콘베이어 밸트(200a,200b) 및 이송수단(180)을 통해, 메인 플랫폼(100p)으로 공급된다. 도 3에는 일례로서, 아파트형 창고에서 각 층마다 콘베이어 밸트(200a) 가 엘레베이터 이송수단(180)에 결합되고, 다시 콘베이어 밸트(200b)가 메인 플랫폼(100p)과 결합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따를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창고관리 시스템이 식자재 공급부(100)로 이용될 수 있다.
메인 플랫폼(100p)은, 특정 고객이 점유하는 고객 서비스 시스템(예컨대, 101)으로부터 조리되어야 하는 음식의 종류 및 분량이 주문되면, 조리될 음식에 대응하는 음식 데이터를 검색하여, 주문에 따른 식자재 공급부내의 객체클래스별 음식재료(10a)를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에 할당된 트레이(150) 상에 탑재하고, 주문량에 따라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트레이를 출고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트레이(150)를 실은 콘베이어 밸트(200c)가 식자재 공급부(100)의 콘베이어 밸트(200b)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레일(200)은 주문된 음식재료(10a)가 담겨진 트레이를 복수의 고객 테이블(101 ~ 109)로 전송하고, 상기 고객 테이블에서 사용된 식기(10b)가 들어 있는 퇴식 트레이(150)를 식기 세척을 하기 위해 이송한다. 주문된 음식재료가 담겨진 트레이를 복수의 고객 테이블로 전송하는 레일(200)을 정방향 레일, 상기 고객 테이블에서 사용된 식기가 들어 있는 퇴식 트레이를 식기 세척을 하기 위해 이송하는 레일(200)을 역방향 레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정방향 레일과 역방향 레일은 동일한 레일이어도 무방하고, 서로 독립된 별개의 레일이어도 무방하다. 레일(200)은 레일제어부(350)의 모터로 구동되는 콘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트레이(150)는 특정 고객에 의해 주문된 음식재료가 담기는 이송수단으로서, 특정 고객 테이블의 플랫폼에만 제공될 수 있도록 고유 식별번호(50)를 구비한다.
다수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 ~ 109)에는, 음식준비 및 조리를 위한 주방시설과 식탁시설이 구비되어서 가족 기타 소집단 단위의 고객들이 재료주문, 음식준비, 조리 및 식사 후 정리까지의 전과정을 체험할 수 있으며, 메인 플랫폼으로부터 출고된 음식재료가 탑재된 트레이를 이송받는 고객 플랫폼(101p ~ 109p)과 결합되어 있다.
고객 플랫폼(101p ~ 109p)은 각각의 고객 테이블에서 상기 트레이가 반입 및 반출되는 곳으로서, 고객 플랫폼에서는 레일 제어, 음식재료 반출, 정산 승인 등의 작용을 가능케 하는 명령이 이루어진다. 즉, 고객 플랫폼에 음식재료가 도달할 때에 레일제어부(350)로 하여금 레일을 일시 정지시키고, 리니어 아암과 같은 로보트 팔을 통해 트레이로부터 음식재료를 자동으로 반출하고, 이에 따라 음식재료의 고유 식별번호가 인식되는 순간에 카운터부(500)에 특정 음식재료가 정상적으로 특정 고객에 도달하였다는 신호로서 정산 승인 신호가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플랫폼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플랫폼(101p)은 인식수단(110)과, 송신부(120)와, 인식수단과 송신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130)를 구비한다. 인식수단(110)은 트레이(150)가 소정의 거리, 예컨대 대략 30 Cm 이내의 영역에 들어오면 트레이의 식별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주문에 따라 조리된 음식재료는 특정 고객이 착석한 테이블의 고객 플랫폼(101p)에 대응하는 식별번호를 가진 트레이(150)에 상기 음식재료(10a)를 배치하여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로 대응하는 식별번호를 가진 트레이와 플랫폼이 정렬 되면, 플랫폼의 인식수단(110)에서 해당 트레이가 도달되었음이 인지되고, 플랫폼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0)는 정해진 프로그램 명령에 따라, 송신부(120)를 통하여 레일제어부(350)로 레일(200)을 일시정지시키도록 명령하는 신호를 송신케 한다.
플랫폼(101p)은 리니어 아암(140a,140b)과 같은 로보트 팔을 통하여, 트레이(150)로부터 음식재료를 반출 또는 반입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플랫폼에서 음식재료 가 반입, 반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테이블에 대응하는 트레이(150)는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트레이(150)에는 각 테이블에 대응하는 고유의 트레이 식별번호(50)가 할당되며, 식별번호(50)는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바코드(Bar Code)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식수단(110)은 RFID 판독기 또는 바코드 판독기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200)은 트레이(150) 내의 음식재료(10a)를 트레이(150)로부터 반출하거나 식기(10b)를 반입시키는 리니어 아암(140a, 140b)을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아암(140a, 140b)은 음식재료(10a) 및 식기(10b)를 용이하게 반입,반출할 수 있도록 홀더(141)를 구비할 수 있다. 홀더(141)는 집개방식, 고리방식, 또는 흡착방식을 통해 음식재료(10a) 또는 식기(10b)에 결착된 후 식기를 테이블로 옮기거나, 식기를 테이블로부터 트레이(150) 안으로 옮긴다.
조리된 음식재료를 담은 식기가 테이블에 도착하면, 플랫폼(200)의 마이크로콘트롤러(130)는 트레이(150)가 액세스되면 송신부(120)를 통해 레일제어부(350)에게 레일(200)을 일시정지시키는 신호를 송출하고, 리니어 아암(140a)을 구동하여 음식재료(10a)를 꺼내도록 한다.
음식재료(10a)가 꺼내어질 수 있는 소정의 시간(예컨대, 30초 정도)이 지나면 송신부(120)는 레일제어부(350)에게 레일을 진행시키도록 명령하는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레일을 통한 후속적인 절차가 진행될 수 있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음식재료 및 식기는 고유 식별번호(60a, 60b)를 구비하는데, 플랫폼의 인식수단(110)은 트레이의 음식재료(10a) 및 식기(10b)가 트레이로부터 꺼내어져 인식수단(110)의 인식영역내에 액세스됨으로써 트레이의 음식재료(10a) 및 식기(10b)의 식별번호(60a,60a)를 인식할 수 있고, 송신부(120)는 트레이(150) 내의 음식재료 및 식기의 식별번호(60a,60a)가 인식된 후에 레일제어부(350)에게 레일을 진행시키도록 명령하는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레일을 통한 후속적인 절차가 진행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고객이 식사를 마치고 퇴식하고자 하면, 식기(10b)를 플랫폼(101p)에 올려둔다. 이에 따라, 인식수단(110)은 식기(10b)의 고유 식별번호(60b)를 식별하고, 마이크로콘트롤러(130)는 레일제어부(350)에게 당해 테이블에 대응하는 고유 트레이(150)가 도달될 때까지 레일을 진행시키는 명령을 송출한다. 트레이(150)가 플랫폼(101p)과 정렬이 될 수 있는 거리에 도달하면, 인식수단(110)을 통해 트레이(150)가 인식되고 마이크로콘트롤러(130)는 레일제어부(350)에게 일시정지를 명령하는 신호를 송출한다. 이어서, 마이크로콘트롤러(130)는 리니어 아암(140b)을 통해 식기(60b)(또는 서브 트레이(160))를 트레이(150)에 넣어서 식기세척시스템(340)를 향해 이송하게 한다.
한편, 플랫폼(101p)은 고객에게 음식재료가 정확히 도달된 것이 확인됨으로써 정산이 가능하도록 승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은, 주문된 음식재료의 승인신호를 수신받으면 주문된 음식재료의 정산이 가능하도록 카운터부(500)를 더 포함한다. 플랫폼(101p)의 인식수단(110)은 트레이(150)의 음식재료(10a)가 트레이로부터 꺼내어짐으로써 음식재료의 식별번호(10a)를 인식할 수 있고, 마이크로콘트롤러(130)는 송신부(120)를 통해 인식된 음식재료(10a)를 통해 주문된 음식재료의 정산을 위한 승인신호를 송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은 레일(20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식기세척 시스템(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101p)의 인식수단(110)은 고객이 식기(예컨대, 10b)를 퇴식시키기 위하여 플랫폼 상에 올려놓음으로써 식기의 식별번호(예컨대, 60b)를 인식할 수 있고, 송신부(120)는 퇴식된 식기가 식기세척 시스템(340)에 도달될 때까지, 레일제어부(350)에게 레일(200)을 진행시키도록 명령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에서 식기세척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식기세척시스템(340)의 내부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별도의 특허출원이 이루질 것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과 관련하여, 식기세척시스템(340)이 정산을 승인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는 완전한 셀프서비스가 가능케 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퇴식 후의 식기가 식기세척시스템(340)까지 도달해야, 고객의 최종 절차인 정산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 식기세척시스템(340)은 도달된 식기의 식별번호(예컨대, 60b)를 인식하는 인식수단(341)과, 인식된 식기의 식별번호(예컨대, 60b)를 통해 주문된 음식재료의 정산을 위한 승인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3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카운터부(500)에서는 주문된 음식재료의 승인신호를 수신받으면 주문된 음식재료의 정산이 가능하게 하여, 식사를 완료한 고객에게 모든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레일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레일제어부(350)는 각 고객의 테이블에 탑재된 플랫폼(101p)에 트레이(150)가 액세스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52)와, 레일(200)을 일시 정지 및 진행시키는 구동부(356)과, 구동작용을 하는 모터(354)를 포함한다. 레일제어부(350)의 수신부(352)는 그 밖에도, 각 고객의 테이블에 탑재된 플랫폼(101p)에 음식재료 및 식기(10a,10b)가 액세스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되면, 구동부(356)로 하여금 일시 정지되었던 레일(200)을 진행시키도록 모터(354)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용은 퇴식시에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 및 레일(200)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다수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 ~ 109)은 상호간에 담(20)에 의하여 구획됨으로써, 공간적으로 특정 고객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점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담은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들을 상호간에 독립적인 영역으로 만들어서 가족 기타 소규모 집단의 영역적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여, 내부적인 집단적 동질감 및 유 대감을 유지하면서 식사관련 체험을 할 수 있으며, 각 영역별로 독자성이 보장되므로 시청각적 통제 및 조용하고 쾌적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다. 담(20)은 사랑 허리 정도의 낮은 담(예컨대, 1m) 또는 사람 키 높이 보다 높은 담(예컨대, 2m)이 될 수 있고, 구체적인 담의 재료로는 석재, 벽돌재, 콘크리트재, 식물 울타리, 나무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족 단위나 단체 단위로 식사를 할 때 주변의 다른 손님과의 간섭이나 영향을 받지 않고 쾌적하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음식을 조리하여 먹을 수 있으며, 자연스러운 대화를 나눌 수 있다.
또한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 ~ 109)마다 컴퓨터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컴퓨터를 통해 카운터부(500)와 화상대화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만들고자하는 음식재료의 레시피 등을 인터넷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주문한 음식물의 계산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수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 ~ 109)는 음식준비, 조리, 식사, 정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주방시설, 식탁시설, 기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소파 등의 가구 등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즉, 각 고객 체류설비에는 부엌시설과 식탁시설이 일체로 제공되며, 식사를 위한 일체의 행위를 한 곳에서 일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관여되는 시설물들이 갖추어져 있다. 예를 들면, 싱크대 등을 이용하여 조리준비를 할 수 있고, 작업대, 싱크대, 가열대, 조리료 수납장 등을 이용하여 실질적인 조리를 할 수 있고, 식탁과 식기장 등의 배선시설을 이용하여 수저나 그릇 등을 배치할 수 있고, 식탁과 의자에서 식사를 할 수 있고, 싱크대, 식기세척기, 식기반납통 등을 이용하여 식사 후 정리를 할 수 있다.
특히, 부엌시설의 경우 그 시설 규모는 기본시설만 갖춘 콤팩트한 것에서부터 기본시설 및 부가시설을 갖춘 정교하고 큰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부엌시설과 식탁시설이 갖추어져 있는 각각의 고객 체류설비에서는 개인 또는 가족이나 모임 단위의 고객들이 음식준비에서부터 조리 및 식사 후 정리까지의 전과정을 직접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고객 테이블의 플랫폼(101p ~ 109p)은 서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복수의 고객 테이블의 플랫폼(101p ~ 109p)은 서로 규칙적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트레이(150)를 여러 테이블에서 공유할 수도 있으므로, 유용할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식기세척시스템(340)에서 정산 승인하는 기능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퇴식시에 식기를 임의의 트레이(150)에 넣는 것이 미관상 좋으므로, 복수의 고객 테이블의 플랫폼(101p ~ 109p)은 서로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고객 테이블의 플랫폼(101p ~ 109p)은, 레일(200)의 레이아웃에 있어서, 동일한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트레이(150)와 주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 내에서의 건축 구조 기타 필요에 의해서 각 고객의 테이블간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 복수의 고객 테이블의 플랫폼(101p ~ 109p) 사이의 간격도 불규칙적으로 된다.
복수의 고객 테이블의 플랫폼(101p ~ 109p) 사이의 간격도 불규칙적으로 되는 경우에도, 가까운 플랫폼들 사이에는 레일을 구부러지게 하는 등 레이아웃을 길게 설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플랫폼들 사이의 레이아웃상으로 거리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음식재료의 공급준비 단계로서, 조리가능한 음식 데이터별로 폴더가 할당되고, 상기 폴더에 할당된 음식의 조리에 소요되는 음식재료가 객체클래스별로 구분되며, 외부로부터 대량으로 유입되는 음식재료가 상기 객체클래스별로 현실 분류된다(S100).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객체클래스별 데이터 구조에 따라, 음식 데이터별로 폴더가 할당되고, 상기 폴더에 할당된 음식의 조리에 소요되는 음식재료가 객체클래스별로 구분되어, 음식재료인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에 레지스터가 할당된다. 그리고,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창고관리 시스템을 갖춘 식자재 공급부(100)에서, 각 레지스터(100r)에 1인분에 해당하는 음식재료가 객체클래스별로 현실 분류되어 저장된다.
이어서, 음식재료를 이송하기 위하여 특정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고객 플랫폼에 대응하는 특정 트레이가 지정된다(S110). 각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 ~ 109)마다 컴퓨터가 장착되어 있어, 고객은 자신이 점유하는 고객 서비스 시스템에서 컴퓨터를 통해 주문할 음식 및/또는 구체적 음식재료를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문을 한 고객의 특정 고객 서비스 시스템(예컨대, 101)에 음식재료를 착오없이 정확히 이송하기 위한 특정 트레이(150)가 지정된다.
이어서, 고객이 주문했던 음식재료를 포함하는 트레이(150)가 특정 테이블(예컨대, 101번 테이블)의 플랫폼(101p)을 향하여 전송되는 단계(S120)가 진행된 다. 그리고, 트레이(150)가 특정 테이블의 플랫폼(101p)에 도달하면, 레일제어부(350)에 정지명령이 수신되어 레일(200)이 정지됨으로써 트레이(150)의 이송이 정지되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트레이(150)의 이송이 정지됨에 따라 트레이 내의 음식재료가 플랫폼 상에 반출되는 단계(S150)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 내의 음식재료가 반출되는 작용은 플랫폼(101p)에 구비되는 리니어 아암(140a)을 통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음식재료가 반출됨에 따라 플랫폼(101p)에서 인식수단(110)을 통해 음식재료의 식별번호가 인식되는 단계(S160)가 수행되고, 이로써 고객이 주문한 음식재료가 정상적으로 고객에게 도달된 것이 인정된다.
그 후, 레일(200)은 다시 정상진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플랫폼(101p)의 마이크로콘트롤러(130)는 레일제어부(350)에 레일 진행명령을 송출하도록 한다(S170).
한편, 고객의 식사가 완료된 다음, 식기세척시스템으로 이송시키는 퇴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하여 퇴식시에 플랫폼(101p)에서 퇴식 식기의 식별번호(60b)가 인식되면 마이크로콘트롤러(130)는 레일제어부(350)에 정지명령을 송출한다(S180). 마이크로콘트롤러(130)는 동일한 식기의 식별번호가 중복하여 인식될 경우 퇴식 식기로 인식하여 레일제어부(350)로 하여금 퇴식용 트레이(150)를 이송시키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어서, 소정 시간 후에 레일제어부(350)가 레일(200)을 진행시키고, 식기세척 시스템(340)에서 퇴식된 음식재료의 식별번호를 인식하는 단계(S200)가 이루어짐으로써 식기세척 작업까지 완료되었음이 승인될 수 있다.
한편, 플랫폼에서 음식재료의 식별번호가 인식되는 단계(S160)에서, 식별번호가 인식되면 승인신호를 송출하여 카운트 정산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의 카운트 정산 승인은 고객에게 음식재료가 정확히 전달되었으므로 요금 계산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의미로서, 영업주의 주의의무 이행을 담보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식기세척 시스템에서 퇴식된 상기 음식재료의 식별번호를 인식하는 단계(S200)에서, 식별번호가 인식되면 승인신호를 송출하여 카운트 정산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의 카운트 정산 승인은 고객이 퇴식 절차까지 완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로서, 고객의 주의의무 이행을 담보하는 기능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니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는 당업자가 공지된 다양한 구성요소들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의 자료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식자재 공급부와 메인 플랫폼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고객 플랫폼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고객 플랫폼에서 음식재료 및 식기가 반입, 반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에서 식기세척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레일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객 서비스 시스템 및 레일의 전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구동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음식재료 60a: 음식재료의 식별번호
10b:식기 60b: 식기의 식별번호
20: 담 50: 트레이 식별번호
100: 메인 주방 101,102,103,104...:고객 테이블
100p: 메인 플랫폼 101p,102p,103p,104p: 고객 플랫폼
110: 인식수단 120: 송신부
130: 마이크로콘트롤러 140,140a,140b: 리니어 아암
150: 트레이 170: 데이터베이스
180: 이송수단 200,200a,200b,200c: 레일
340: 식기 세척 시스템 341: 인식수단
342: 송신부 343: 구동부
344: 세척장치 350: 트레이 제어부
352: 수신부 354: 모터
356: 구동부 500: 카운터부

Claims (16)

  1. 조리가능한 음식 데이터별로 폴더가 할당되고, 상기 폴더에 할당된 음식의 조리에 소요되는 음식재료가 객체클래스별로 구분되는 데이터베이스(170);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음식 데이터에 따라, 외부로부터 대량으로 유입되는 음식재료가 상기 객체클래스별로 저장된 식자재 공급부(100);
    음식준비 및 조리를 위한 주방시설과 식탁시설이 구비되어서 가족 기타 소집단 단위의 고객들이 재료주문, 음식준비, 조리 및 식사 후 정리까지의 전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다수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102,103,104);
    특정 고객이 점유하는 고객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조리되어야 하는 음식의 종류 및 분량이 주문되면, 조리될 음식에 대응하는 음식 데이터를 검색하여, 주문에 따른 상기 식자재 공급부내의 객체클래스별 음식재료를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에 할당된 트레이(150) 상에 탑재하고, 주문량에 따라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상기 트레이를 출고하는 메인 플랫폼(100p);
    상기 음식재료가 담겨진 트레이를 복수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으로 이송하고,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된 식기를 식기 세척을 하기 위해 이송하는 레일(200);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 플랫폼으로부터 출고된 상기 음식재료가 탑재된 트레이를 이송받는 고객 플랫폼(101p,102p,103p,104p); 및
    상기 트레이가 상기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고객 플랫폼에 액세스되면 상기 레일을 일시 정지시키는 레일제어부(350)를 포함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50)는 상기 특정 고객에 의해 주문된 음식재료가 상기 특정 고객 플랫폼에 제공될 수 있게 하는 고유 식별번호(50)를 구비하며,
    상기 고객 플랫폼(101p,102p,103p,104p)은 상기 트레이의 식별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수단(110)과, 상기 레일제어부로 상기 레일을 정지 및 진행시키도록 명령하는 송신부(120), 및 상기 인식수단과 송신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객 서비스 시스템(101,102,103,104)은 상호간에 담(20)에 의하여 구획됨으로써, 공간적으로 특정 고객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점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110)은 상기 트레이(150)가 그 인식영역내에 액세스됨으로써 상기 트레이의 식별번호(50)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130)는 상기 트레이의 식별번호(50)가 인식되면 상기 송신부를 통하여 상기 레일제어부(350)에게 상기 레일(200)을 일시 정지시키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플랫폼(101p,102p,103p,104p)은 상기 트레이 내의 음식재료를 상기 트레이로부터 꺼내는 리니어 아암(140a)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상기 트레이(150)가 액세스되면 상기 송신부(120)를 통해 상기 레일제어부(350)에게 상기 레일을 일시 정지시키는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리니어 아암(140a)을 구동하여 상기 음식재료를 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구비하는 상기 고유 식별번호는 RFID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식수단은 RFID 판독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구비하는 상기 고유 식별번호는 바코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식수단은 바코드 판독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주문된 음식재료 승인신호를 수신받으면 주문된 음식재료의 정산이 가능하도록 카운터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120)는 상기 음식재료의 식별번호를 통해 주문된 음식재료의 정산을 위한 승인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20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식기세척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기(10b)는 고유 식별번호(60b)를 구비하고,
    상기 인식수단(110)은 상기 고객이 상기 식기를 퇴식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객 플랫폼(101p,102p,103p,104p) 상에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식기(10b)의 식별번호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송신부(120)는 상기 퇴식된 식기(10b)가 상기 식기세척 시스템(340)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레일제어부(350)에게 상기 레일(200)을 진행시키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제어부(350)는,
    상기 고객 플랫폼(101p,102p,103p,104p)에 상기 트레이(150)가 액세스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53)와, 상기 레일을 일시 정지 및 진행시키는 구동부(3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객 테이블의 플랫폼(101p,102p,103p,104p)은, 상기 레일(200)의 레이아웃에 있어서, 동일한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트레이(150)와 주기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13. 조리가능한 음식 데이터별로 폴더가 할당되고, 상기 폴더에 할당된 음식의 조리에 소요되는 음식재료가 객체클래스별로 구분되며, 외부로부터 대량으로 유입되는 음식재료가 상기 객체클래스별로 현실 분류되는 재료공급준비단계(S100);
    상기 음식재료를 이송하기 위하여 특정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고객 플랫폼에 대응하는 특정 트레이가 지정되는 단계(S110);
    상기 음식재료를 포함하는 트레이가 상기 특정 고객 플랫폼을 향하여 이송되는 단계(S120);
    상기 트레이가 상기 특정 고객 서비스 시스템의 고객 플랫폼에 도달하면, 상기 트레이의 식별번호가 인식되고 레일제어부에 정지명령이 수신되어 상기 트레이의 이송이 정지되는 단계(S130); 및
    상기 트레이 내의 음식재료가 상기 고객 플랫폼 상에 반출되고, 상기 레일제어부에 레일 진행명령이 수신되는 단계(S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구동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식별번호를 구비한 식기의 퇴식시에, 상기 고객 플랫폼에서 식기의 식별번호가 인식되면, 상기 레일제어부에 상기 트레이가 상기 고객 플랫폼으로 이송되도록 진행명령이 수신되는 단계(S180); 및
    레일제어부가 레일을 진행시켜 상기 트레이가 상기 고객 플랫폼에 도달된 후, 상기 식기가 트레이에 탑재되면, 상기 레일제어부에 상기 트레이가 식기세척시스템으로 이송되도록 진행명령이 수신되는 단계(S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구동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플랫폼에서 상기 트레이의 식별번호가 인식되는 단계에서, 식별번호가 인식되면 승인신호를 송출하여 카운트 정산이 가능하게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구동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 시스템에서 퇴식된 상기 식기의 식별번호를 인식하고, 승인신호를 송출하여 카운트 정산이 가능하게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070091390A 2007-09-10 2007-09-10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010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90A KR101010959B1 (ko) 2007-09-10 2007-09-10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390A KR101010959B1 (ko) 2007-09-10 2007-09-10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429A KR20090026429A (ko) 2009-03-13
KR101010959B1 true KR101010959B1 (ko) 2011-01-27

Family

ID=4069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390A KR101010959B1 (ko) 2007-09-10 2007-09-10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513A (ko) 2019-10-01 2021-04-12 김경우 무인 자동 주문수거 식당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7879A (zh) * 2017-01-25 2017-05-24 上海术道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智能餐厅系统及其工作方法
CN108937528A (zh) * 2018-06-19 2018-12-07 广东圣托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供餐系统及应用于智能供餐系统的控制方法
CN110025291A (zh) * 2019-04-26 2019-07-19 孙凡卓 Ndo面部皮肤状态检测仪及其检测系统
KR102391096B1 (ko) * 2020-03-09 2022-04-27 김민성 주문형 복합 자율 식당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299020B (zh) * 2021-07-22 2021-09-24 富泰锦(成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拓展的取餐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875B1 (ko) * 1988-04-01 1998-04-18 에드워드 로체 음식준비씨스템 및 방법
KR20030086866A (ko) * 2002-05-07 2003-11-12 (주)엔코어 인터랙티브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가상 요리 서비스 방법
US20050256774A1 (en) * 2004-05-17 2005-11-17 Clothier Brian L Food preparation system
CA2600163A1 (en) * 2005-12-12 2007-06-21 Heinemack Gmbh Restaurant system with gravity-based transport for mea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875B1 (ko) * 1988-04-01 1998-04-18 에드워드 로체 음식준비씨스템 및 방법
KR20030086866A (ko) * 2002-05-07 2003-11-12 (주)엔코어 인터랙티브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가상 요리 서비스 방법
US20050256774A1 (en) * 2004-05-17 2005-11-17 Clothier Brian L Food preparation system
CA2600163A1 (en) * 2005-12-12 2007-06-21 Heinemack Gmbh Restaurant system with gravity-based transport for me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513A (ko) 2019-10-01 2021-04-12 김경우 무인 자동 주문수거 식당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429A (ko) 200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959B1 (ko) 체험형 개별 키친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11096519B2 (en) Automatic food preparation apparatus
Baraban et al. Successful restaurant design
US7183518B2 (en) System of food storage preparation and delivery in finished cooked state
KR20210072588A (ko) 서비스 영역 내 로봇들을 제어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TW202042722A (zh) 料理自動提供系統、餐飲店、餐飲店用自動系統、料理自動提供方法、程式及記憶媒體
CN108937528A (zh) 一种智能供餐系统及应用于智能供餐系统的控制方法
CN209879572U (zh) 一种智能餐厅及自动烹饪装置
CN107618867B (zh) 一种餐馆系统及其使用方法
CN108629706A (zh) 一种线上线下一体的智能餐饮系统
CN115034773A (zh) 一种无人自主经营餐厅系统与智能终端应用
CN110136028A (zh) 一种自动供餐系统
CN101480311B (zh) 运用无线射频辨识的餐饮供应系统与方法
KR100949947B1 (ko) 자동 정찬 서비스 시스템
CN209733405U (zh) 一种智能供餐系统
CN112650155B (zh) 后厨系统及其控制方法和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311445A (zh) 餐饮店系统和餐饮订单信息处理方法
US202301480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food autonomously
TWI656861B (zh) 智慧型食材輸送及烹飪系統
CN114693473A (zh) 一种无人现场自动制作和无人自动售卖的无人餐厅共享系统及方法
CN113673960A (zh) 基于智慧云和ai技术的智慧食堂服务系统
US11966876B2 (en) Facility and method of use for a transportable autonomous robotic merchandise dispensing drive-thru
CN111311446A (zh) 餐具获取方法和系统及存储介质
CN114693014A (zh) 一种共享厨房自动制作菜食共享系统及方法
KR102654939B1 (ko) 비대면 로봇식당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