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933B1 - 복련앰풀불출장치 - Google Patents

복련앰풀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933B1
KR101010933B1 KR1020057006213A KR20057006213A KR101010933B1 KR 101010933 B1 KR101010933 B1 KR 101010933B1 KR 1020057006213 A KR1020057006213 A KR 1020057006213A KR 20057006213 A KR20057006213 A KR 20057006213A KR 101010933 B1 KR101010933 B1 KR 101010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oule
double
stocker
ampoules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539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히로카주 치하라
야스히로 시게야마
아키오 니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5004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torn or severed from strips or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복련앰풀불출장치는, 복련앰풀(3)이 적층상태에서 수납되는 스토커(11), 스토커(11)의 하부로부터 복련앰풀(3)을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배출기구(12), 및 스토커(11)의 하방에 설치되어져 복련앰풀(3)이 자중에 의해 상단측에서 하단측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경사를 갖는 반송경사로(14)을 구비한다. 배출기구(12)에 의해 스토커(11)로부터 배출되어서 반송경사로(14)의 상단측에 재치된 복련앰풀이 불출 기구(13)를 향해서 반송경사로(14) 상을 반송된다.

Description

복련앰풀불출장치{APPARATUS FOR DISPENSING SERIES-CONNECTED AMPULES}
본 발명은, 복련(複連) 앰풀로부터 앰풀을 1개씩 분리하여 불출(拂出)하기 위한 복련앰풀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앰풀(1)을, 절리(切離)하기 용이한 칼자국(절리선)(2a)을 가지는 박판형상의 연결부(2)를 통하여 복수 연접하여 이루어지는 복련앰풀(3)이 알려져 있다. 복련앰풀(3)을 구성하는 개개의 앰풀(1)은, 외형이 원주형상의 앰풀 본체(1a)와, 이 앰풀 본체(1a)의 선단측에 테이퍼부(1b)를 통하여 연결되며, 앰풀 본체(1a)보다도 직경이 작은 외형이 원주형상의 머리부(1c)를 구비하여 있다. 앰풀 본체(1a), 테이퍼부(1b), 및 머리부(1c)에 약액이 봉입되어 있다. 머리부(1c)의 선단에는 마개(1d)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2)는 앰풀(1)의 선단측으로 마개(1d)를 넘어 연장되어 있고, 마개(1d)와 머리부(1c)의 연결부분의 연접부(2)에는 슬릿(2b)이 형성되어 있다. 절리선(2a)으로 하나의 앰풀(1)을 인접하는 앰풀(1)로부터 분리한 후는, 머리부(1c)와 대응하는 부분의 연접부(2)가 개봉 조작용의 손잡이(1e)로서 기능한다.
이 복련앰풀(1)로부터 앰풀을 1개씩 절리하여 불출하기 위한 복련앰풀불출장치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출원공개 평8―243146 호 공보에는, 복련앰풀을 일방향으로 반송(搬送)하는 컨베이어와, 복련앰풀을 절리하는 커터 롤과, 선두의 앰풀이 절리될 때에 2번째의 앰풀을 정지 상태로 보지(保持)하는 보지기구를 구비하는 불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 제3194888호에는, 다수의 앰풀로부터 이루어지는 복련앰풀(연속 앰풀)이 수납되고 출구로부터 앰풀이 배출되는 스토커(stocker)와, 이 스토커의 출구에 설치된 대향하는 한 쌍의 로우터와, 로우터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불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복련앰풀불출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상기 일본특허출원공개 평8―243146호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복련앰풀을 수용부에서 낙하시킨 후에 로우터로 향해서 수평방향으로 반송하고, 선두의 앰풀로부터 순차적으로 절리한다. 따라서, 이 수평방향의 반송을 위하여 상기 컨베이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로우터에 의한 앰풀의 절리시에, 앰풀의 연결부에 작용하는 힘 및 그 반작용에 의해, 절리 전의 앰풀이 반송방향 후방측으로 되튀어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일본특허 제3194888호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연속 앰풀 중 최하단의 것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절리하여 분리하지만, 인접하는 앰풀 사이에 설치된 절리선에서 연결 부분이 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스토커 내의 앰풀 수용 공간을 좁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스토커에 수납 가능한 앰풀수가 한정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복련앰풀불출장치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비추어 보아, 스토커에 수납 가능한 앰풀수를 확보하면서, 구성의 간이화 및 절리시의 되튀어옴의 방지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 복수의 앰풀을 연결부를 통하여 연접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복련앰풀이 적층상태에서 수용된 스토커와, 상기 스토커에 수용된 상기 복련앰풀을, 상기 스토커의 하부로부터 1개씩 배출하는 배출기구와, 상기 스토커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기구에 의해 상기 스토커로부터 배출되어 상단측에 재치된 상기 복련앰풀을 자중에 의해 상기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하여 반송하는 경사를 가지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의 상기 하단측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로의 상기 상단측으로부터 상기 하단측으로 반송된 상기 복련앰풀의 연결부를 절단하여 선두의 앰풀로부터 순서대로 불출하는 불출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련앰풀불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련앰풀불출장치에서는, 반송로 상을 미끄러져 떨어짐으로써 복련앰풀이 불출기구를 향하여 반송되기 때문에, 스토커로부터 불출기구로 복련앰풀을 반송하기 때문에, 컨베이어 등의 복잡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성이 간편하다. 또한 스토커에는 복수의 상기 복련앰풀이 적층상태로 수납되기 때문에, 대형화할 필요 없이 다수의 복련앰풀을 스토커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불출기구는 반송로의 하단측의 상방으로 배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절리시의 작용ㆍ반작용에 의해 복련앰풀의 되튀어오는 일이 생겨도, 되튀어온 복련앰풀은 자중에 의해 반송로를 이동하여 불출기구로 돌아간다. 따라서, 절리시의 되튀어오는 것을 가능한 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반송로는, 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부와, 상기 복련앰풀이 자중에 의해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의 접속부분인 경사개시위치는, 상기 배출기구에 의해 상기 스토커로부터 낙하하여 상기 반송로 상에 재치된 상기 복련앰풀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복련앰풀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반송로는, 횡단면의 단면형상이 원호형상이어도 좋다. 이 경우, 반송로의 상단측에 대한 복련앰풀의 재치 위치를 고정도(高精度)로 설정할 필요없이, 복련앰풀을 하단측의 불출기구를 향해서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상기 복련앰풀을 구성하는 앰풀은, 앰풀 본체와, 이 앰풀 본체의 선단측에 설치되며, 앰풀 본체보다도 직경이 작은 소경부를 각각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앰풀의 소경부는, 상기 앰풀 본체와 연결된 머리부와, 이 머리부의 선단에 설치된 마개를 구비하여 있다. 상기 불출기구보다도 상기 복련앰풀의 반송방향 상류측의 상기 반송로 상에 배치되고, 반송로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앰풀 본체가 상기 반송로 상면에 재치되어 있는 상기 앰풀의 소경부를 지지하는 앰풀지지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상세하게는, 상기 앰풀지지부는, 상기 반송로 상면으로부터 제1의 양만큼 돌출하여 상기 머리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머리부 지지부와, 상기 반송로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의 양보다도 큰 제2의 양만큼 돌출하여 상기 마개의 하측을 지지하는 마개지지부를 구비한다. 앰풀지지부를 설치함으로써, 불출기구에 의한 연결부의 절단시에, 복련앰풀 선단의 앰풀보다도 반송방향 상류측의 앰풀(나머지 복련앰풀)이 반송로 상에 안정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연결부의 절단시에 복련앰풀이 반송로 상에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이 튀는 것에 기인하는 복련앰풀불출장치 내에서의 복련앰풀의 막힘 내지는 정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불출기구보다도 상기 복련앰풀의 반송방향 상류측, 또한 상기 반송로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로 상의 복련앰풀의 상부와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규제부를 더 설치하여도 좋다. 불출기구에 의한 연결부의 절단시에 복련앰풀 선단의 앰풀보다도 반송방향 상류측의 앰풀(나머지 복련앰풀)이 반송로 상에서 튀면, 튀어 오른 앰풀은 규제부와 충돌하여 반송로 상으로 돌아온다. 따라서, 복련앰풀의 튀어오름에 기인하는 복련앰풀불출장치 내에서의 복련앰풀의 막힘 내지는 정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불출기구보다도 상기 복련앰풀의 반송방향 상류측의 상기 반송로에 배치되고, 상기 복련앰풀의 상기 앰풀이 통과하면 격납위치가 되는 제1의 검출편과, 상기 제1의 검출편이 상기 격납위치가 된 것을 검출하는 제1의 센서와, 상기 제1의 센서가 상기 제1의 검출편이 상기 격납위치가 된 것을 검출하면 상기 불출기구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러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불출기구보다도 상기 복련앰풀의 반송방향 하류측의 상기 반송로에 배치되고, 상기 복련앰풀의 상기 앰풀이 통과하면 격납위치가 되는 제2의 검출편과, 상기 제2의 검출편이 상기 격납위치로 된 것을 검출하는 제2의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1의 센서가 상기 제1의 검출편이 격납위치로 된 것을 검출한 후에 상기 제2의 센서가 상기 제2의 검출편이 상기 격납위치로 된 것을 검출하지 않으면, 상기 복련앰풀불출장치를 동작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복련앰풀불출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복련앰풀불출장치를 도시하는 도 1의 II-II선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복련앰풀불출장치를 도시하는 도 1의 III-III선에서의 단면도,
도 4는 수용부에 있어서의 복련앰풀의 적층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불출기구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A 및 도 6B은 불출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복련앰풀불출장치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복련앰풀불출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도,
도 10A는 도 9의 X-X선에서의 단면도,
도 10B은 앰풀지지부재가 없는 경우의 앰풀의 자세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복련앰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복련앰풀불출장치는, 복수의 복련앰풀(3)이 적층상태로 수납되는 스토커(11), 스토커(11)의 하부개구(11d)로부터 복련앰풀(3)을 순차적으로 1개씩 배출하는 배출기구(12), 복련앰풀(3)을 그 일단부에 위치하는 앰풀(1)로부터 순차적으로 절리하여 불출하는 불출기구(13), 및 배출기구(12)에 의해 스토커(11)로부터 배출된 복련앰풀(3)을 불출기구(13)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경사로(14)를 구비하여 있다. 또한, 복련앰풀불출장치는, 도 5에만 도시하는 콘트롤러(15)를 구비하고, 이 콘트롤러(15)는, 후술하는 센서(45A, 45B)의 검출 출력 등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구동모터(32, 43)를 포함하는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스토커(11)는, 전체로서 길이가 긴 사각형 통(筒)상이다. 도 1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토커(11) 내에는 복수의 복련앰풀(3)이 연직방향 내지는 상하 방향(도면에서 Z방향)으로 적층상태로 수납된다. 하나의 복련앰풀(3)과 그 상하에 위치하는 복련앰풀(3)과는 개개의 앰풀(1)의 최상단과 최하단끼리가 당접(當接)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뒤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스토커(11)는, 각 복련앰풀(3)의 외주연(外周緣) 중, 좌우 양측 및 후측의 전체를 규제하고, 전측을 앰풀규제부재(104)에 의해 부분적으로 규제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스토커(11)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복련앰풀불출장치의 케이스(100) 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각통(角筒)형상의 통체(101, 102, 103)가 배치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통체(101∼103)에 의해 스토커(11)의 좌측벽(11a), 우측벽(1lb), 및 후측벽(11c)이 구성되어 있다. 통체(101∼103)의 내부는, 각종 케이블 배치 등을 위한 공간으로서 사용된다. 스토커(11)의 전방측은 개방하여 있다. 좌측벽(11a)을 구성하는 통체(101)의 전부(前部)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앰풀규제부재(104)가 고정되어 있다. 이 앰풀규제부재(104)는 통체(101)의 전면에 고정된 고정부(104a)와, 이 고정부(104a)로부터 좌측벽(11a)과 연속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규제부(104b)와, 이 제1규제부(104b)의 선단으로부터 굴곡하여 우측벽(1lb)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규제부(104c)를 구비하여 있다. 도 3 및 도 4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규제부(104b) 및 제2규제부(104c)에 의해 각 복련앰풀(3)의 모서리부가 규제된다.
스토커(11)의 좌측벽(11a), 우측벽(1lb), 및 후측벽(11c)의 상단은, 케이스(100)의 상단벽(100a)까지 연장되어 있다. 한편, 앰풀규제부재(104)의 상단의 상하방향의 위치는 좌측벽(11a), 우측벽(1lb), 및 후측벽(11c)의 상단보다도 낮고, 케이스(100)의 상단벽(100a)과의 사이에는 공간(22)이 형성되어 있다(도 1 및 도 4 참조). 그래서, 케이스(100)의 전면에 설치된 수동 개폐 가능한 도어(21)를 개방하면, 공간(22)을 통하여 복련앰풀(3)을 스토커(11)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련앰풀(3)의 외주연 중, 스토커(11)의 좌우 양측 및 후측은 좌측벽(11a), 우측벽(1lb), 및 후측벽(11c)에 의해 전체가 규제된다. 그러나, 복련앰풀(3)의 외주연 중, 스토커(11)의 전측은 좌측의 모서리부만이 앰풀규제부재 (104)의 제1규제부(104b) 및 제2규제부(104c)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22)으로부터 스토커(11) 내에 반입된 복련앰풀(3)은, 자세에 어긋남이 생기는 일 없이 하단측을 향하여 확실하고 원활하게 낙하하고, 스토커(11)에 복련앰풀(3)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21)는,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축(23)에 대해 회동 가능하고, 지축(23)측의 단부(端部)에 후육부(厚肉部)(21a)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커(11)에의 복련앰풀(3)의 수납 작업시에 상단벽(1lb) 부근까지 복련앰풀(3)이 적재되기 때문에, 최상층측의 2층을 구성하는 2개의 복련앰풀(3)이 측벽(11a)으로부터 공간(22)으로 밀려나오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도어(21)를 폐쇄할 때에, 후육부(21a)에 의해 밀려나온 2개의 복련앰풀(3)이 스토커(11)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기 때문에, 이들의 복련앰풀(3)도 하층측의 복련앰풀(3)과 위치 어긋남이 없는 상태에서 스토커(11) 내에 수납된다.
스토커(11)에는 복수의 복련앰풀(3)이 적층상태로 수납되기 때문에, 대형화하는 일 없이 다수의 복련앰풀(3)을 스토커(11)에 수납할 수 있다.
스토커(11)의 하부개구(11d)의 하측에 배출기구(12)가 설치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출기구(12)는 스토커(11)의 하부개구(11d)에 대향하여 배치 설치된 케이스(24)를 구비하고, 이 케이스(24)의 상면에 스토커(11) 내의 최하층의 복련앰풀(3)이 지지된다. 케이스(24)의 내부 공간에는, 스토커(11) 내에 수납된 복련앰풀(3)의 앰풀(1)의 병렬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면에서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행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26A, 26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26A, 26B)에 의해, 슬라이더(27)가 상기 Y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27)와 연동하여 압출부재(28)가 Y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압출부재(28)는 그 상부에 1개의 복련앰풀(3)이 구비하는 앰풀(1)에 대응하여,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압출편(28a)을 구비하여 있다. 각 압출편(28a)은 홈구멍(24a)으로부터 케이스(24)의 외부에 돌출하여 있다. 슬라이더(27)의 하면에는 스토커(11)에 수용된 복련앰풀(3)의 앰풀(1)의 병렬방향(도면에서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상의 홈(2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7a) 내에는 캠 롤러(29)가 수용되어 있다. 캠 롤러(29)를 지지하는 플레이트(31)는 구동모터(32)의 출력축(32a)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모터(32)는 케이스(24)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고, 출력축(32a)은 연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스(24)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하여 있다. 구동모터(32)가 작동하여 출력축(32a)이 회전하면 캠 롤러(29)와 홈(27a)의 걸어맞춤(係合)에 의해 슬라이더(27)가 가이드 레일(26A, 26B) 상을 왕복이동하기 때문에, 압출부재(28)가 Y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압출부재(28)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에는,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출편(28a)은 최하층측의 복련앰풀(3)을 구성하는 5개의 앰풀(1)의 기단측에 위치하여 있다. 한편, 압출부재(28)가 초기위치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을 때에는, 2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출편(28a)은 케이스(24)의 Y축방향의 가장자리부 부근까지 이동한다. 압출부재(28)가 이 위치까지 이동하면, 압출편(28a)에 의해 Y축방향으로 밀린 복련앰풀(3)이 케이스(24)의 상면으로부터 반송경사로(14)의 상단측으로 낙하한다.
또한, 배출기구(12)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토커(11)의 하부로부 터 복련앰풀(3)을 순차적으로 1개씩 배출하는 기능을 달성하는 것이면 좋다.
반송경사로(14)는 스토커(11)의 하부개구(11d)의 하방으로 배치 설치되어 있고, 도 1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토커(11)에 수용된 복련앰풀(3)의 앰풀(1)의 병렬 설치 방향(도면에서 X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경사로(14)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6)와, 이 수평부(36)와 연속하여 설치된 경사부(37)를 구비하여 있다. 경사부(37)의 상면은 하향 경사진 평탄면이다. 배출기구(12)에 의해 스토커(11)로부터 반송경사로(14) 상에 낙하한 복련앰풀(3)은, 경사부(37)의 상면을 불출기구(13)가 배치 설치되어 있는 하단측을 향하여 미끄러져 떨어지고, 도면에서 X축방향으로 반송된다.
경사부(37)의 경사는 복련앰풀(3)이 자중에 의해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을 향하여 확실하게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커(11)로부터 낙하한 복련앰풀(3)이 반송경사로(14)에 의해 확실하게 반송되기 위해서는, 수평부(36)와 경사부(37)의 접속부분인 경사 개시 위치(38)를 적절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커(11)로부터 낙하한 복련앰풀(3)이 반송경사로(14) 상에 재치되었을 때의 복련앰풀(3)의 중심(G)에 대하여, 경사개시위치(38)가 반송경사로(14) 상의 복련앰풀(3)의 반송방향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바와 같이 경사개시위치(38)를 설정함으로써,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련앰풀(3)은 반송경사로(14)의 경사부(37)의 상면을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떨어져서 불출기구(13)를 향하여 반송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복련앰풀(3)이 구비하는 5개의 앰풀(1) 중 반송방향 선 두측에서 세어서 3개째의 앰풀(1)과 4개째의 앰풀(1)과의 사이에 경사개시위치(38)가 설정되어 있다. 경사개시위치(38)의 일반적인 설정 조건을 개략적으로 규정하면, 스토커(11)로부터 낙하하여 반송경사로(14) 상에 재치된 복련앰풀(3)의 중심(G)으로부터 선단 및 후단까지의 거리(L1, L2)가, L1>L2라고 하는 관계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반송경사로(14)는, 그 양측에 복련앰풀(3)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플레이트(39A, 39B)를 구비하여 있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불출기구(13)에 관하여 설명한다. 불출기구(13)는 복련앰풀(3)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면에서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로우터(41)를 구비하여 있다. 로우터(41)는 단면이 대략 C자형으로, 일방의 측가장자리부에 절단날(切刃)(41a)이 형성되고, 이 절단날(41a)으로부터 타방의 측가장자리부를 향하여 내면 및 외면이 원호형상으로 만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로우터(41)는 회전축(4lb)을 가지고, 이 회전축(4lb)에 고정된 기어(42A)는, 구동모터(43)의 출력축(43a)에 고정된 기어(42B)와 맞물려 있다. 그러므로, 구동모터(43)가 작동하면, 로우터(41)가 회전축(4lb)에 대해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한다.
불출기구(13)는, 반송경사로(14)의 경사부(37)에 설치된 홈구멍(37a, 37b)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위치와, 반송경사로(14)의 하방으로 격납되는 격납위치에 변위 가능한 검출편(44A, 44B)을 구비하여 있다. 검출편(44A, 44B)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부세(付勢)됨으로써 통상시는 돌출위치에 있고, 앰풀(1)이 통과할 때만 격납위치가 된다. 검출편(44A, 44B)이 격납위치로 된 것을 검출하는 센서(45A, 45B)가 설치되고, 이것들의 센서(45A, 45B)의 검출 출력은 콘트롤러(15)에 입력된다. 일방의 검출편(44A) 및 센서(45A)는 로우터(41)보다도 복련앰풀(3)의 반송방향 상류측{스토커(11)}에 배치 설치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불출기구(13)에 복련앰풀(3)이 공급된 것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타방의 검출편(44B) 및 센서(45B)는 로우터(41)보다도 복련앰풀(3)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배치 설치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러 검출 기능을 가진다.
다음에, 이 복련앰풀불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배출기구(12)의 구동모터(32)가 작동하면 슬라이더(27)와 연동하여 압출부재(28)가 도면에 있어서 X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 왕복 이동에 의해, 스토커(11) 중의 최하층의 복련앰풀(3)이 압출부재(28)에 밀려, 스토커(11)의 하부개구(11d)로부터 반송경사로(14)의 상단측에 낙하한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커(11)로부터 낙하하여 반송경사로(14) 상에 재치된 복련앰풀(3)은, 그 중심(G)이 경사부(37)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자중에 의해 경사부(37) 상을 하단측을 향하여 미끄러져 떨어지고, 불출기구(13)를 향하여 반송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의 복련앰풀불출장치로는, 반송경사로(14)를 미끄러져 떨어짐으로써 복련앰풀(3)이 불출기구(13)를 향하여 반송되기 때문에, 스토커(11)로부터 불출기구(13)에 복련앰풀(3)을 반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등의 복잡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성이 간편하다.
경사부(37) 상을 반송하는 복련앰풀(3)의 선단이 검사편(44A)을 통과한 것을 센서(45A)가 검출하면, 소요의 타이밍으로 구동모터(43)가 작동하여 로우터(41)가 회전을 개시한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우터(41)의 내부에 복련앰풀(3)의 선두의 앰풀(1)이 배치되어, 로우터(41)가 더 회전하면 절단날(41a)에 의해 절리선(2a)이 절단된다. 절리된 선두의 앰풀(1)은 경사부(37) 상을 미끄러져 떨어지고, 장치 밖으로 불출된다. 나머지 앰풀(1)도 마찬가지로 로우터(41)에 의해 절리된다. 절리시의 작용ㆍ반작용에 의해 앰풀(1)이 튀어 올라 스토커(11)측으로 되돌아갈 경우가 있지만, 불출기구(13)의 로우터(41)는 반송경사로(14)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튀어 오른 앰풀(1)은 자중에 의해 반송경사로(14) 상을 미끄러져 떨어져서 로우터(41)로 돌아간다. 그러므로, 앰풀(1)이 튀어 오르는 것에 기인하는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로우터(41)에 의해 정상적으로 앰풀(1)이 절리되어 있으면, 센서(45B)에 의해 앰풀(1)의 통과가 검출된다. 콘트롤러(15)는 센서(45B)가 앰풀(1)의 통과를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러 발생이라고 판단하여 장치의 동작을 정지한다.
제2실시형태
도 7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복련앰풀불출장치에서는, 반송경사로(14)의 상면은, 횡단면(Y단면)의 단면형상이 원호형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의 반송경사로(14)는 수평부(36)와 경사부(37)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사개시위치(38)를 복련앰풀(3)의 중심(G)에 대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경사로(14)를 원호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스토커(11)로부터 낙하한 복련앰풀(3)이 반송경사로(14)에 재치되는 위치가 반송방향(도면에서 X축방향)에 있는 정도 벗어난 경우라 하더라도, 복련앰풀(3)은 정지하는 일 없이 하단측을 향하여 미끄러져 떨어진다. 따라서, 반송경사로(14)를 원호형상으로 하면, 반송경사로(14)의 상단측에 대한 복련앰풀(3)의 재치 위치를 고정도로 설정하는 필요가 없고, 복련앰풀(3)을 하단측의 불출기구(13)를 향하여 확실하게 이송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1실시형태와 같으므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형태
도 8 내지 도 10B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복련앰풀불출장치는, 앰풀지지부(50)와 규제부(51)를 구비하여 있다.
우선, 앰풀지지부(50)를 설명한다. 앰풀지지부(50)는 불출기구(13)보다도 복련앰풀(3)의 반송방향 상류측의 반송경사로(14){경사부(37)} 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앰풀지지부(50)는 불출기구(13)의 로우터(41)로 현재 절단중인 복련앰풀(3)의 선두의 앰풀(1)로부터 세어서 2번째의 앰풀(1)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앰풀지지부(50)의 선단(50a)은 로우터(41)의 직전에 위치하고, 후단(50b)은 복련앰풀(3)의 2번째의 앰풀(1)과 3번째의 앰풀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여 있다.
앰풀지지부(50) 2장의 평판을 약간 어긋나게 겹친 형상 내지는 계단 형상으로, 반송경사로(14)의 상면으로부터 제1의 양(t1)만큼 돌출한 머리부 지지부(50c)와, 제1의 양(t1)보다도 큰 제2의 양(t2)만큼 반송경사로(1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한 마개지지부(50d)를 구비하여 있다.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부 지지부(50c)는, 복련앰풀(3)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반송경사로(14)의 일단으로부터 반송경사로(14) 상의 앰풀(1)의 머리부(1c)와 테이퍼부(1b)의 접속부분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한편, 마개지지부(50d)는, 상기 반송경사로(14)의 일단으로부터 앰풀(1)의 마개부(50d)와 머리부(50c)의 접속부분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래서, 도 9 및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불출기구(13)의 로우터(41)로 현재 절단중인 복련앰풀(3)의 선두로부터 세어서 2번째의 앰풀(1)은, 앰풀 본체(1a)의 하면이 반송경사로(14)의 상면에서 지지되는 것에 더하여, 머리부(1c)의 하면이 머리부 지지부(50c)의 상면에서 지지되며, 마개(1d)의 하면이 마개지지부(50d)의 상면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2번째의 머리부(1c) 및 마개(1d)(소경부)를 포함하는 앰풀(1)의 하면 전체가 지지된다.
앰풀지지부(50)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 앰풀(1)의 선단측에 있는 머리부(1c)나 마개(1d)가 반송경사로(14)로부터 뜬 상태에 있다. 그래서,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련앰풀(3)의 선두의 앰풀(1)과 2번째의 앰풀(1)의 절리마개(2a)가 로우터(41)로 절단될 때에, 2번째 이후의 앰풀(1)의 자세가 기울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앰풀(1)의 선단측이 반송경사로(14)측에 접근하는 한편, 앰풀 본체(1)의 기단측이 반송경사로(14)로부터 벗어난다. 이 기울어짐에 의해, 복련앰풀(3)의 선단의 앰풀(1)보다도 반송방향 상류측의 앰풀(1){나머지 복련앰풀(3)}이 반송경사로(14) 상에서 튈 가능성이 있다. 이 복련앰풀(3)의 튀어오름은 복련앰풀불출장치 내에서의 복련앰풀(3)의 막힘 내지는 정체의 원인이 된다. 이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A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앰풀지지부(50)를 설치하면, 불출기구(13)의 로우터(41)로 현재 절단중인 복련앰풀(3)의 선두로부터 2번째의 앰풀(1)은, 하면 전체가 지지되므로 기울어지지 않고, 복련앰풀(3)의 튀어오름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튀어오름에 기인하는 복련앰풀의 막힘 내지는 정체가 생기지 않는다.
앰풀지지부(50)는 반송경사로(14)와 별체이어도 좋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련앰풀(3)의 선두로부터 2번째의 앰풀(1)과 대응하는 위치에 앰풀지지부(50)를 설치하여 있는데, 선두로부터 3번째 이후의 앰풀(1)도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규제부(51)를 설명한다. 도 8, 도 9, 및 도 10A를 참조하면, 규제부(51)는, 불출기구(13)보다도 앰풀(1)의 반송방향 상류측, 또한 반송경사로(14){경사부(37)}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규제부(51)는, 상단측이 케이스(100)의 하단 부근에 고정되고, 하단측이 반송경사로(14) 상의 복련앰풀(3){불출기구(13)의 로우터(41)로 현재 절단중인 복련앰풀(3)의 선두의 앰풀(1)로부터 2번째 및 3번째의 앰풀(1)}의 상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며, 전술한 앰풀지지부(50)와 연직방향으로 대향하여 있다. 또한,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51)는 복련앰풀(3)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가, 반송경사(14){경사부(37)}와 거의 동일하다.
로우터(41)에 의한 연결부(2)의 절단시에 복련앰풀(3)의 선단의 앰풀보다도 반송방향 상류측의 앰풀(1){나머지의 복련앰풀(3)}이 반송경사로(14) 상으로 튀어 오르면, 튀어 오른 앰풀(1)은 규제부(51)에 부딪혀 반송경사로(14) 상으로 돌아간 다. 따라서, 복련앰풀(3)의 튀어오름에 기인하는 복련앰풀불출장치 내에서의 복련앰풀(3)의 막힘 내지는 정체를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의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형태와 같이 반송경사로(14)가 원호형상인 경우에, 앰풀지지부(50)나 규제부(51)를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반송경사로(14)의 상면은, 스토커(11)로부터 낙하한 복련앰풀(3)이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경사를 가지고 있는 한,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반송경사로(14)는 수평부를 구비하지 않고 경사부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어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련앰풀불출장치로는, 배출기구에 의해 스토커로부터 배출된 복련앰풀은, 반송경사로의 상면을 미끄러져 떨어짐으로써 불출기구를 향하여 반송되기 때문에, 스토커로부터 불출기구에 복련앰풀을 반송하기 위해서 컨베이어 등의 복잡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구성이 간편하다. 또한, 스토커에는 복수의 상기 복련앰풀이 적층상태로 수납되므로, 대형화하지 않고 다수의 복련앰풀을 스토커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불출기구는 반송경사로의 하단측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절리시에 앰풀이 튀어 오르는 것을 가능한 한 억제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했는데, 당업자에게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은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지 않으면 안 된다.

Claims (11)

  1. 각각 복수의 앰플을 연결부를 통하여 연접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복련(複連) 앰플이 수평인 자세로 적층상태로 수용된 스토커(stocker)와,
     상기 스토커에 수용된 상기 복련앰플을, 상기 스토커의 하부로부터 1개씩 배출하는 배출기구와,
     상기 스토커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기구에 의해 상기 스토커로부터 배출되어 상단측에 재치된 상기 복련앰플을 자중에 의해 상기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하여 반송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의 상기 하단측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로의 상기 상단측으로부터 상기 하단측에 반송된 상기 복련앰플의 연결부를 절단하여 선두의 앰플로부터 순서대로 불출(拂出)하는 불출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복련앰플에 있어서의 상기 앰플의 병렬방향으로 상기 복련앰플을 반송하며,
     상기 불출기구는 절단날을 상기 반송로를 향하게 하여 강하시킴으로써 상기 복련앰플의 상기 연결부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련앰플불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구는,
     상기 스토커의 하부 개구에 배치되어 상면이 상기 스토커 내의 최하층의 복련앰플을 지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복련앰플에 있어서의 상기 앰플의 병렬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최하층의 복련앰플을 상기 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반송로에 낙하시키는 압출부재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련앰플불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기구는,
     일방의 측가장자리부에 상기 절단날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날로부터 타방의 측가장자리부를 향한 원호형상으로 만곡하는 단면 C자형상으로서, 상기 반송로 상에서의 상기 복련앰플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로우터와,
     상기 로우터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기구가 상기 로우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절단날이 상기 반송로를 향하게하여 강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련앰플불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복련앰플이 자중에 의해 상단측에서 하단측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는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련앰플불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의 접속부분인 경사개시위치는, 상기 배출기구에 의해 상기 스토커로부터 낙하해서 상기 반송로 상에 재치된 상기 복련앰플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복련앰플의 반송방향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련앰플불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는, 횡단면의 단면형상이 원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련앰플불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련앰플을 구성하는 앰플은, 앰플 본체와, 이 앰플 본체의 선단측에 설치되며, 앰플 본체보다도 작은 직경의 소경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반송로 상에서 상기 불출기구의 상기 절단날로 절단 중인 선두의 상기 앰플부터 세어서 2번째 앰플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반송로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앰플 본체가 상기 반송로 상면에 재치되어 있는 상기 앰플의 소경부를 지지하는 앰플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련앰플불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의 소경부는, 상기 앰플 본체와 연결된 머리부와, 이 머리부의 선단에 설치되어진 마개를 구비하고,
     상기 앰플지지부는, 상기 반송로 상면으로부터 제1의 양만큼 돌출해서 상기 머리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머리부 지지부와, 상기 반송로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의 양보다도 큰 제2의 양만큼 돌출해서 상기 마개의 하측을 지지하는 마개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련앰플불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기구보다도 상기 앰플의 반송방향 상류측, 상기 반송로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로 상의 복련앰플의 상부와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련앰플불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기구보다도 상기 복련앰플의 반송방향 상류측의 상기 반송로에 배치되고, 상기 복련앰플의 상기 앰플이 통과하면 격납위치가 되는 제1의 검출편과,
     상기 제1의 검출편이 상기 격납위치가 된 것을 검출하는 제1의 센서와,
    상기 제1의 센서가 상기 제1의 검출편이 상기 격납위치가 된 것을 검출하면 상기 불출기구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러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련앰플불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기구보다도 상기 복련앰플의 반송방향 하류측의 상기 반송로에 배치되고, 상기 복련앰플의 상기 앰플이 통과하면 격납위치가 되는 제2의 검출편과,
     상기 제2의 검출편이 상기 격납위치가 된 것을 검출하는 제2의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제1의 센서가 상기 제1의 검출편이 격납위치가 된 것을 검출한 후에 상기 제2의 센서가 상기 제2의 검출편이 상기 격납위치가 된 것을 검출하지 않으면, 상기 복련앰플불출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련앰플불출장치.
KR1020057006213A 2002-10-18 2003-10-10 복련앰풀불출장치 KR101010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04486 2002-10-18
JP2002304486 2002-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539A KR20050049539A (ko) 2005-05-25
KR101010933B1 true KR101010933B1 (ko) 2011-01-25

Family

ID=3210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213A KR101010933B1 (ko) 2002-10-18 2003-10-10 복련앰풀불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52184B2 (ko)
KR (1) KR101010933B1 (ko)
TW (1) TWI310309B (ko)
WO (1) WO20040349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274A1 (ko) * 2012-04-02 2013-10-10 (주)제이브이엠 주사제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6919B2 (ja) * 2008-07-14 2013-08-2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複連アンプル払出装置
JP5572860B2 (ja) * 2009-03-01 2014-08-2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箱払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8039A (ja) * 1995-11-24 1996-08-13 Shoji Yuyama 薬液入り容器の貯留供給方法及び装置
JPH08243146A (ja) * 1995-03-13 1996-09-24 Yuyama Seisakusho:Kk 複連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の切り離し装置
JPH08310663A (ja) * 1995-05-16 1996-11-26 Yuyama Seisakusho:Kk 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の払出し装置
JPH11253527A (ja) * 1998-03-11 1999-09-21 Takazono Sangyo Kk 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払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85803T1 (de) * 2001-04-19 2010-11-15 Yuyama Mfg Co Ltd Medikamentenzufuhrgerä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3146A (ja) * 1995-03-13 1996-09-24 Yuyama Seisakusho:Kk 複連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の切り離し装置
JPH08310663A (ja) * 1995-05-16 1996-11-26 Yuyama Seisakusho:Kk 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の払出し装置
JPH08208039A (ja) * 1995-11-24 1996-08-13 Shoji Yuyama 薬液入り容器の貯留供給方法及び装置
JPH11253527A (ja) * 1998-03-11 1999-09-21 Takazono Sangyo Kk 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払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274A1 (ko) * 2012-04-02 2013-10-10 (주)제이브이엠 주사제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539A (ko) 2005-05-25
JPWO2004034954A1 (ja) 2006-02-09
JP4452184B2 (ja) 2010-04-21
TW200422040A (en) 2004-11-01
TWI310309B (en) 2009-06-01
WO2004034954A1 (ja)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6897B (zh) 药片填充装置
US9299211B2 (en) Tablet feeder
US8944281B2 (en) Upright vial discharge unit
KR101968373B1 (ko) 약제 카세트
WO2010101095A1 (ja) 薬箱払出装置
EP1929991A1 (en) Apparatus for releasing drugs
US6789996B2 (en) Medicine feed apparatus
KR101776347B1 (ko) 약제 불출 장치
CN211585184U (zh) 麻将机及其拾牌搬运系统
JPWO2016047487A1 (ja) 薬剤払出装置
KR101010933B1 (ko) 복련앰풀불출장치
JP5572860B2 (ja) 薬箱払出装置
JP3428754B2 (ja) 排紙収納装置
JPH04146787A (ja) 景品払出機
JP2019150558A (ja) 薬箱払出装置
JP2010005028A (ja) 複連アンプル払出装置
JPH04146786A (ja) 景品払出機
JPH04146788A (ja) 景品払出機
JP5266919B2 (ja) 複連アンプル払出装置
CN115050146A (zh) 代币排列装置及代币游戏机
JPH04314477A (ja) 景品払出機
JP2003321129A (ja) 紙片供給装置
EP2818754A1 (en) Tray for containing vehicle balancing weights, Cartridge comprising such a tray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vehicle balancing weights
JPH04240466A (ja) 景品払出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