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411B1 -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411B1
KR101009411B1 KR1020080087968A KR20080087968A KR101009411B1 KR 101009411 B1 KR101009411 B1 KR 101009411B1 KR 1020080087968 A KR1020080087968 A KR 1020080087968A KR 20080087968 A KR20080087968 A KR 20080087968A KR 101009411 B1 KR101009411 B1 KR 101009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ser terminal
user
uni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8977A (ko
Inventor
지유정
김광수
엄석경
배인화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80087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411B1/ko
Priority to JP2009197069A priority patent/JP5748399B2/ja
Publication of KR20100028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Abstract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은 (a)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속성을 포함하는 게임 룸 개설이 요청되면, 상기 게임 룸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게임 룸에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에 대한 게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단위 게임 중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단위 게임을 조합하여 세트 게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세트 게임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게임 룸에 참여한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세트 게임의 실행을 통해 발생하는 게임 진행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게임 진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대한 게임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온라인 게임, 멀티 유저

Description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GAME SUPPORING PARTICIPATION OF MULTI-USERS}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전통적인 패키지 형태의 게임(콜솔 게임, PC 게임)이 아닌,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게임 서비스가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게임으로는 가상의 공간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경쟁하여 자신의 캐릭터를 성장시키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이 대표적이다. MMORPG 이외에도 오프라인에서 존재했던 카드 게임, 보드 게임, 아케이드 게임, 리듬 게임 등을 온라인 상에서 구현한 다수의 온라인 게임이 활발히 개발 중에 있다.
특히, 최근에는 플래시(flash)라는 저작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부하로 다양한 이펙트를 제공하는 플래시 게임이 많이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플래시 게임 중 게임성이 높은 게임을 회원들에게 제공하 는 서비스 역시 활성화되고 있다.
플래시 게임은 주로 개인들이 가볍게 즐길 수 있도록 제작된 경우가 많으나, 최근에는 개인뿐만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의 플레이를 지원하는 플래시 게임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유저 플래시 게임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한국 특허 출원 제 2005-0029489호(온라인 플래시 게임에서의 멀티 플레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는 온라인 플래시 게임에서 다른 사용자와 대전 할 수 있는 멀티 플레이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온라인 플래시 게임은, 미리 정해진 하나의 게임을 제공할 뿐이므로,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 다수의 취향을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나의 게임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게임에만 익숙한 사용자로 인해 다른 사용자의 참여 의욕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게임 도중 용이하게 지인을 초청하여 게임에 참여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멀티 유저가 참여하여 하나 이상의 게임이 조합된 세트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실행 도중, 지인을 쉽고 간편하게 게임에 참여시킬 수 있는 URL 복사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은 (a)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속성을 포함하는 게임 룸 개설이 요청되면, 상기 게임 룸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게임 룸에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에 대한 게임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단위 게임 중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단위 게임을 조합하여 세트 게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세트 게임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게임 룸에 참여한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세트 게임의 실행을 통해 발생하는 게임 진행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게임 진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대한 게임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멀티 유저의 참 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 정보 제공부, 상기 제공된 단위 게임 중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에 대한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단위 게임을 조합하여 세트 게임을 생성하는 세트 게임 생성부, 상기 세트 게임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게임의 실행을 통해 발생한 게임 진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게임 진행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게임 진행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게임 진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세트 게임을 실행하는 모든 사용자 단말의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멀티 유저가 참여하여 하나 이상의 게임이 조합된 세트 게임을 실행함으로써 게임에 참여하는 다수의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게임이 조합된 세트 게임을 실행함으로써 특정 게임에만 익숙한 사용자로 인해 다른 사용자의 참여 의욕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채널 및 게임 룸의 URL 복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게임 실행 도중, 지인을 쉽고 간편하게 게임에 참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참고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은 제 1 사용자 단말(110), 하나 이상의 제 2 사용자 단말(120) 및 게임 서버(130)를 포함하며, 게임 서버(130)는 채널 서버(미도시)의 기능을 포함하거나, 별도의 채널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제 1 사용자 단말(110) 및 제 2 사용자 단말(120)은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랩톱(laptop) 컴퓨터 및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며,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제 1 사용자 단말(110) 및 제 2 사용자 단말(120)과 게임 서버(13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 중 제 1 사용자 단말(110)은 게임 서버(130)에 접속하여 특정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한 특정 채널 내에 게임 룸 생성을 요청한다.
여기에서 '게임 룸'은 다수의 사용자가 참여하여 소정의 게임을 실행하는 공간이며, 제 1 사용자 단말(110)은 게임 룸 생성 요청 시 해당 '게임 룸의 속성', 예를 들어 참여 인원 수, 게임 룸 명칭 및 해당 게임 룸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실행할 하나 이상의 게임에 대한 선택 정보 등을 게임 서버(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임 서버(130)는 게임 웹 사이트, 하나 이상의 게임 채널 및 다수의 실행 가능한 게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제 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게임 채널 선택 정보, 게임 룸 속성 설정 정보 및 게임 룸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게임 채널 내에 사용자가 설정한 속성에 기초하여 게임 룸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게임 룸은 제 1 사용자 단말(110)에서 지정한 '게임 룸의 속성'에 의해 참여 인원 수, 게임 룸 명칭 및 해당 게임 룸에 참여한 사용자들이 실행할 게임 등이 정해질 수 있으며, 게임 서버(130)는 제 1 사용자 단말(110)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게임에 대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게임을 조합하여 하나의 세트 게임을 생성한다.
이하, 제 1 사용자 단말(110)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게임 중 각각의 게임을 '단위 게임'이라 칭하고, 게임 서버(130)에서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을 조합하여 생성한 게임을 '세트 게임'이라 칭하도록 한다.
참고로, 세트 게임에 포함된 각각의 단위 게임은 플래시 기반 게임이며, 제 1 사용자 단말(110) 및 제 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되는 플래시 기반의 게임 진행 설정은 동일하다. 즉, 각각의 플래시 기반 게임이 게임 수행시마다 복수의 맵이나 난이도 중 하나를 랜덤하게 제공될 수 있다면, 세트 게임으로서 제 1 사용자 단말(110) 및 제 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되는 단위 게임은 이러한 맵이나 난이도의 설정은 동일하게 조정함으로써, 모든 게이머가 공평한 환경에서 상호 경쟁할 수 있다.
한편, 제 2 사용자 단말(120)은 게임 서버(130)에 접속하여 특정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한 채널에 포함된 다수의 게임 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게임 서버(130)에게 해당 게임 룸에 대한 참여를 요청한다.
제 2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게임 룸에 대한 참여를 요청 받은 게임 서버(130)는 해당 게임 룸에 대한 정보, 즉 해당 게임 룸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를 업데이트하고, 추후 제 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게임 시작을 요청 받으면 제 1 사용자 단말(110) 및 제 2 사용자 단말(120)에게 세트 게임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 1 사용자 단말(110) 또는 제 2 사용자 단말(120)에서 게임이 실행되면, 게임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은 게임 서버(130)에게 게임 진행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여기에서 '게임 진행 데이터'는 게임 룸에 참여하는 각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한 점수 데이터, 클리어한 스테이지, 클리어한 단위 게임 및 각 사용자 단말에서 게임을 진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게임 룸에 참여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에서 각각 게임을 진행할 때, 각 사용자 단말에서 진행되는 게임 진척도는 게임 룸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게임 서버(130)는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게임 진행 데이터를 기초로, 각 사용자 단말에서 진행되는 게임 상황,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가 획득한 점수, 현재 세트 게임 중 몇 개의 단위 게임(또는 단위 게임의 스테이지)을 완료(클리어)했는지를 나타내는 게임 진척도를 게임 룸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참고로, 게임 서버(130)는 웹 기반에서도 동작 가능한 플래시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 생성된 게임 룸에 참여할 수 있도록, 채널 또는 게임 룸의 URL 주소의 복사를 제공한다. 복사된 URL은 메신저 등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실시간 초청을 가능하도록 하고, URL을 통해 직접 게임 룸에 참여한 사용자가 비 로그인 사용자인 경우 소정의 패널티를 부여하거나 로그인 사용자로 전환할 수 있는 로그인 윈도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게임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단위 게임은 지속적으로 추가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130)는 채널 생성부(131), 게임 룸 생성부(132), 게임 정보 제공부(133), 세트 게임 생성부(134), 게임 진행 데이터 수신부(135), 게임 진행 정보 제공부(136), URL 복사 제공부(137) 및 사용자 제어부(138)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게임 서버(130)의 구성 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채널 생성부(131)는 '소정의 기준'으로 게임 채널을 생성한다. 여기에 서 '소정의 기준'은 예를 들어 시간, 연령, 지역, 게임 레벨 및 게임 난이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채널 생성부(131)의 기능은 별도의 채널 서버(미도시)에 의해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게임 룸 생성부(132)는 제 1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의해 게임 룸을 생성하며, 이때, 제 1 사용자 단말(110)에서 설정한 해당 '게임 룸의 속성', 예를 들어 참여 인원 수, 게임 룸 명칭 및 해당 게임 룸에 참여한 사용들이 실행할 하나 이상의 게임에 대한 선택 정보 등을 기초로 게임 룸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게임 정보 제공부(133)는 제 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게임 룸 생성을 요청 받으면, 하나 이상의 게임에 대한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하여 게임 룸에서 실행 할 하나 이상의 게임을 선택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게임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는 게임의 명칭, 게임의 참여 가능 인원수, 게임의 난이도 및 게임의 실행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 1 사용자 단말(110)에서는 상술한 게임에 대한 정보를 참고하여 게임 룸의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정보 제공부(133)는 단위 게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게임 데이터 DB(133a) 및 사용자에 관한 개인 신상 정보와 게임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응하는 캐릭터, 아이템, 게임 머니, 랭킹 및 누적 점수 등을 저장하는 사용자 DB(133b)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데이터 DB(133a)에 저장된 단위 게임 데이터는 이후 지속적으로 추가 및 갱신되어 사용자들은 새로운 단위 게임을 조합한 세트 게임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제 1 사용자 단말(110)에서, 게임 룸에서 실행 할 하나 이상의 게임을 선택하는 시점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게임 룸 생성 요청 시 게임 룸의 속성을 설정하면서 원하는 게임을 선택할 수 있거나, 게임 룸이 생성된 이후 게임 룸에 참여한 다른 사용자들과 채팅 창을 통해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게임 룸에서 실행할 게임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룸에서 하나 이상의 게임을 선택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게임 룸이 생성된 이후, 게임 룸에서 실행할 게임을 선택하는 화면이다.
게임 서버(130)의 게임 정보 제공부(133)에서 제공한 다양한 단위 게임(310)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제 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게임 룸에 참여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채팅 창(320)을 통해 수렴하여 해당 게임 룸에서 실행할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세트 게임 생성부(134)는 제 1 사용자 단말(110)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게임에 대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게임, 즉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을 조합하여 하나의 세트 게임을 생성한다.
참고로, 제 2 사용자 단말(120)이 게임 서버(130)에 접속하여 특정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한 채널에 포함된 다수의 게임 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게임 서버(130)에게 해당 게임 룸에 대한 참여를 요청하면, 게임 서버(130)는 해당 게임 룸에 대한 정보, 즉 해당 게임 룸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를 업데이트한다.
추후, 제 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게임 시작을 요청 받으면, 게임 서버(130)는, 제 1 사용자 단말(110) 및 제 2 사용자 단말(120)에게 세트 게임 생성부(134)에서 생성한 세트 게임을 전송한다.
전송된 세트 게임을 제 1 사용자 단말(110) 및 제 2 사용자 단말(120)에서 실행할 때, 각 사용자는 세트 게임에 포함된 단위 게임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면서 상호 경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게임 a, b, c가 하나의 세트 게임인 경우, 세트 게임을 클리어하기 위하여 사용자들은 순차적으로 단위 게임 a, b, c를 수행하고 가장 먼저 세트 게임을 클리어 한 사용자가 최종 승자가 될 수 있다. 즉, 제 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아직 단위 게임 a를 클리어하지 못하였어도, 제 2 사용자 단말(120)의 사용자는 단위 게임 a를 클리어하고 단위 게임 b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듯, 사용자 각각의 게임 진척도는 상이하며, 이러한 게임 진척도는 세트 게임을 플레이하는 모든 사용자 단말에게 표시된다.
한편, 게임 진행 데이터 수신부(135)는 게임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 별로 게임의 실행을 통해 발생한 게임 진행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게임 진행 데이터는 게임 룸에 참여하는 각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한 점수 데이터 및 각 사용자 단말에서 게임을 진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게임 룸에 참여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에서 각각 게임을 진행할 때, 각 사용자 단말에서 진행되는 게임 진척도는 게임 룸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게임 진행 정보 제공부(136)는 게임 진행 데이터 수신부(135)에서 수신한 게임 진행 데이터를 기초로, 각 사용자 단말에서 진행되는 게임 상황,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가 획득한 점수, 현재 세트 게임 중 몇 개의 단위 게임(또는 단위 게임의 스테이지)을 완료(클리어)했는지를 나타내는 게임 진척도를 게임 룸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제공부(136)를 통해 게임 진척도를 표시한 도면이다.
게임 룸에 총 5 명의 사용자(1, 2, 3, 4, 5)가 참여하고 있으며, 현재 보여지는 화면은 제 1 사용자 단말에 보여지는 화면(400)이다. 게임 진척도(410)는 화면 상단에 표시되어 있고,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캐릭터의 위치가 게임 진척도를 나타내고 있다. 자신을 나타내는 캐릭터(420)는 다른 캐릭터보다 상대적으로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되므로 여러 사용자 중 자신의 진척도(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URL 복사 제공부(138)는 생성된 게임에 참여할 수 있도록 URL 주소의 복사를 제공하여 메신저 등을 이용한 실시간 초청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URL 복사 제공부(138)에서 제공하는 URL 주소는 게임 채널의 URL 주소이거나 게임 룸의 URL 주소일 수 있으며 게임 채널이나 게임 룸의 소정의 위치에 버튼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URL 주소의 복사를 제공하는 소정의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URL이 자동으로 복사되고, 사용자는 메신저와 같은 실시간 연락 수단의 대화 입력창에 복사된 URL을 간편하게 입력함으로써 게임에 참여할 지인을 해당 게임 채널 또는 해당 게임 룸에 초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RL 복사 제공부(138)에서 제공하는 URL 복사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는 게임 채널에 URL 주소의 복사를 제공하는 소정의 버튼(510)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해당 버튼(510)을 클릭하면 소정의 메시지 창(520)이 팝업되어 게임에 참여할 지인을 해당 게임 채널에 초청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제어부(138)는 상술한 복사된 URL을 통해 게임 채널 또는 게임 룸에 참여한 사용자가 비 로그인 사용자인지 로그인 사용자인지를 체크하고, 비 로그인 사용자인 경우, 해당 비 로그인 사용자의 게임 실행에 있어서 소정의 패널티, 예를 들어 아이템 사용의 제한, 이용 시간의 제한(예를 들어 10분으로 제한), 방 생성 제한, 다른 사용자들과 채팅 제한 및 승률이나 랭킹 정보 저장 제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제어부(138)는 비 로그인 사용자인 경우, 로그인 사용자로 전환할 수 있는 로그인 윈도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복사된 URL을 통해 게임에 참여한 사용자는 제공된 로그인 윈도우를 통해 즉시 로그인 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 및 도 2에 도시된 게임 서버(130)의 구성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게임 서버(130)의 채널 생성부(131)에 의해 다수의 게임 채널이 이미 생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도록 한다.
또한, 세트 게임에 포함된 각각의 단위 게임은 플래시 기반 게임이며, 제 1 사용자 단말(110) 및 제 2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되는 플래시 기반의 게임 진행 설정은 동일하다고 가정하도록 한다.
먼저, 먼저, 게임 서버(130)는, 채널에 접속한 제 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게임 룸 생성 요청을 수신한다(S601).
단계 S601 후, 게임 정보 제공부(133)는 제 1 사용자 단말(110)에게 하나 이상의 게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제 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게임 룸 명칭, 게임 룸에서 실행할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에 대한 선택 정보, 게임의 참여 가능 인원수 및 게임의 난이도 등을 포함하는 게임 룸의 속성 정보를 수신한다(S602).
참고로, 게임 룸에서 실행할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에 대한 선택 정보는 게임 룸 생성 이후에 제 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단계 S602 후, 게임 룸 생성부(132)는 제 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게임 룸의 속성에 기초하여 게임 룸을 생성한다(S603).
단계 S603 후, 게임 서버(130)에 접속하는 제 2 사용자 단말(120)은 게임 채널 내에 디스플레이된 각 게임 룸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게임 룸 명칭, 실행할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 명, 게임 참여 가능 인원, 현재 참여한 인원 등을 볼 수 있다.
이후, 게임 서버(130)는 다수의 제 2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채널 내에 디스플레이된 각 게임 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정보 및 선택된 게임 룸에 대한 참여 요청을 수신한 후 다수의 제 2 사용자 단말(120)을 해당 게임 룸에 참여시킨다(S604).
단계 S604 후, 세트 게임 생성부(134)는 제 1 사용자 단말(110)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에 대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게임, 즉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을 조합하여 하나의 세트 게임을 생성한다(S605).
단계 S605 후, 제 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게임 시작을 요청 받으면, 게임 서버(130)는, 제 1 사용자 단말(110) 및 다수의 제 2 사용자 단말(120)에게 세트 게임 생성부(134)에서 생성한 세트 게임을 전송한다(S606).
S606 후, 게임 룸에 참여한 각 사용자 단말에서 소정의 세트 게임이 실행되면, 게임 진행 데이터 수신부(135)는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게임 진행 데이터를 수신한다(S607).
한편, 단계 S607 후, 게임 진행 정보 제공부(136)는 게임 진행 데이터 수신부(135)에서 수신한 각 사용자 단말의 게임 진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서 진행되는 게임 상황,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가 획득한 점수 및 현재 세트 게임 중 몇 개의 단위 게임을 완료(클리어)했는지를 나타내는 게임 진척도 중 하나 이상을 게임 룸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S608).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RL 복사 제공부(138)를 통해 게임에 참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 및 도 2에 도시된 게임 서버(130)의 구성을 참고하여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하며, 제 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자신이 속한 게임 룸에 친구를 참여시키기 원한다고 가정하도록 한다.
또한, 제 1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는 친구(이하, 초대된 사용자)를 게임 룸에 초청하기 위해 메신저를 이용하며, 게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동되는 URL 주소의 복사는 URL 복사 제공부(138)를 통해 게임 룸의 소정의 위치에 버튼 형태로 제공된다고 가정하도록 한다.
이때, URL 복사 제공부(138)에서 제공하는 URL 주소는 게임 룸의 URL 주소이다.
먼저, 게임 서버(130)는 게임 룸의 URL 주소를 통해 접속한, 초대된 사용자의 단말을 해당 게임 룸에 참여 시킨다(S701)
단계 S701 후, 사용자 제어부(138)는 게임 룸에 새롭게 참여한 초대된 사용자가 비 로그인 사용자인지 로그인 사용자인지를 체크한다(S702).
체크 결과, 비 로그인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 제어부(138)는 해당 비 로그인 사용자의 게임 실행에 있어서 소정의 패널티를 적용한다(S703).
여기에서 소정의 패널티는, 예를 들어 아이템 사용의 제한 등이 포함된다.
단계 S703 후, 사용자 제어부(138)는 비 로그인 사용자에게, 로그인 사용자로 전환할 수 있는 로그인 윈도우를 제공한다(S704).
이때, 사용자 제어부(138)에서 제공하는 로그인 윈도우는, 초대된 사용자가 게임 룸에 참여한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초대된 사용자의 단말에 자동으로 팝업(Pop up)되어 로그인을 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고, 초대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로그인이 요청되면(이를 위해, 초대된 사용자의 단말에는 로그인을 요청할 수 있는 소정의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초대된 사용자의 단말에 로그인 윈도우 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S704 후, 사용자 제어부(138)는 로그인이 요청되면 사용자 DB(133b)에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고,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패널티 적용을 해제한다(S705).
참고로, 비 로그인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사된 URL을 통해 게임에 참여할 수도 있고, 포털 사이트나 직접 해당 URL을 입력하여 게임에 참여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룸에서 하나 이상의 게임을 선택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진행 정보 제공부를 통해 게임 진척도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RL 복사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URL 복사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RL 복사 제공부를 통해 게임에 참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31 : 채널 생성부
132 : 게임 룸 생성부
133 : 게임 정보 제공부
134 : 세트 게임 생성부
135 : 게임 진행 데이터 수신부
136 : 게임 진행 정보 제공부
137 : URL 복사 제공부
138 : 사용자 제어부

Claims (9)

  1.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게임 서버의 게임 룸 생성부에 의해,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속성을 포함하는 게임 룸 개설이 요청되면, 상기 게임 룸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게임 서버의 게임 정보 제공부에 의해, 상기 게임 룸에서 실행할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에 대한 게임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게임 서버의 세트 게임 생성부에 의해, 상기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단위 게임을 조합하여 세트 게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세트 게임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게임 룸에 참여한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게임 서버의 게임 진행 데이터 수신부에 의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세트 게임의 실행을 통해 발생하는 게임 진행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게임 서버의 게임 진행 정보 제공부에 의해, 상기 게임 진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대한 게임 진행 정보를 상기 게임 룸에 참가한 각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e) 상기 게임 서버의 URL 복사 제공부에 의해, 상기 게임 룸에 참여할 수 있도록 상기 게임 룸의 URL 주소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f) 상기 게임 서버의 사용자 제어부에 의해, 상기 URL 주소를 통해 게임 룸에 참여한 사용자가 비로그인 사용자인 경우, 소정의 사용 제한을 설정하며, 상기 비로그인 사용자를 로그인 사용자로 전환하기 위한 로그인 윈도우를 상기 비로그인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 게임에 포함된 각각의 단위 게임은 플래쉬 기반 게임이며,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플래쉬 기반의 게임 진행 설정은 동일한 것인,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진행 정보는 상기 세트 게임의 시작부터 완료까지의 게임 진척도를 포함하는 것인,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6.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에 대한 정보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게임 정보 제공부,
    상기 제공된 단위 게임 중 하나 이상의 단위 게임에 대한 선택 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단위 게임을 조합하여 세트 게임을 생성하는 세트 게임 생성부,
    상기 세트 게임이 상기 각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게임의 실행을 통해 발생한 게임 진행 데이터를 수신하는 게임 진행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게임 진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각 사용자 단말에 상기 세트 게임을 실행하는 모든 사용자 단말의 게임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게임 진행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에 참여할 수 있도록 URL 주소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URL 복사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URL 주소를 통해 상기 게임에 참여한 사용자가 비 로그인 상태인 경우, 상기 비 로그인 사용자의 게임 실행에 대하여 소정의 사용제한을 설정하며, 상기 비로그인 사용자를 로그인 사용자로 전환하기 위한 로그인 윈도우를 상기 비로그인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사용자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게임이 저장된 게임 데이터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위 게임은 추가 및 갱신이 가능한 것인, 온라인 게임 시스템.
KR1020080087968A 2008-09-05 2008-09-05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09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968A KR101009411B1 (ko) 2008-09-05 2008-09-05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9197069A JP5748399B2 (ja) 2008-09-05 2009-08-27 マルチユーザの参加を支援するオンラインゲーム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968A KR101009411B1 (ko) 2008-09-05 2008-09-05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977A KR20100028977A (ko) 2010-03-15
KR101009411B1 true KR101009411B1 (ko) 2011-01-19

Family

ID=4217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968A KR101009411B1 (ko) 2008-09-05 2008-09-05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48399B2 (ko)
KR (1) KR101009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8850A (ko) * 2011-11-03 2013-05-13 (주)네오위즈게임즈 게임방 관리 방법, 게임방 관리 장치, 그를 위한 기록매체 및 게임방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게임 제공 시스템
KR101685226B1 (ko) * 2012-06-12 2016-12-20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 플랫폼의 인간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소셜 그래프를 활용한 메신저 연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5413934B1 (ja) * 2013-05-02 2014-02-12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サーバ装置
KR101633506B1 (ko) * 2015-01-15 2016-06-24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소셜 그룹 커뮤니티 기능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0213298B (zh) * 2019-06-28 2021-04-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联机房间的提供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7079504B2 (ja) 2019-11-29 2022-06-02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816A (ko) * 2003-05-16 2004-11-26 박동호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는 다중 플레이 운용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50104480A (ko) * 2004-04-29 2005-11-03 엔에이치엔(주) 커뮤니티 내의 멀티 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17284A (ko) * 2004-06-10 2005-12-14 엔에이치엔(주) 게임 방 속성 변경이 가능한 인터넷 게임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4090B2 (ja) * 2001-11-08 2006-04-05 株式会社ナムコ サーバ、サーバ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70082395A (ko) * 2006-02-16 2007-08-21 엔에이치엔(주) 유알엘을 이용한 플래시 게임 초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816A (ko) * 2003-05-16 2004-11-26 박동호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동영상을 공용하는 다중 플레이 운용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50104480A (ko) * 2004-04-29 2005-11-03 엔에이치엔(주) 커뮤니티 내의 멀티 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17284A (ko) * 2004-06-10 2005-12-14 엔에이치엔(주) 게임 방 속성 변경이 가능한 인터넷 게임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48399B2 (ja) 2015-07-15
KR20100028977A (ko) 2010-03-15
JP2010057912A (ja)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8985B2 (en) Social matching of game players on-line
US10646785B2 (en) Finding friends for multiuser online games
US80665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on game players and enhancing social matchmaking
KR101009411B1 (ko) 멀티 유저의 참여를 지원하는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387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online social interactions via cooperative gameplay
JP5436702B2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JP2007505673A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ゲーム・システム
US8147327B2 (en) Method for updating a multiplayer game session on a mobile device
US9333434B2 (en) Collaborative network game using player rankings
Boudreau et al. Families and social network games
JP2014144349A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JP5918203B2 (ja) ゲーム制御装置、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KR20100028858A (ko) 온라인 음악 게임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JP5096430B2 (ja) 協力型オンラインゲームの運営方法及びシステム
JP4759017B2 (ja) カードゲーム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6903803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JP2015136552A (ja) サーバシステム
JP2017202000A (ja) 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システム
JP2018015068A (ja) ゲーム提供システム及びゲーム提供プログラム
JP2020199376A (ja) 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システム
JP6299909B1 (ja) ゲームサーバ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4219802B2 (ja) ゲームシステム
JP2018103053A (ja) 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システム
JP2019216869A (ja)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ohnsson Mobility gaming-social interaction in massive multiplayer online games within a mobile con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