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859B1 - 슬라이드 조작 기구 및 이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조작 기구 및 이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859B1
KR101008859B1 KR1020080092056A KR20080092056A KR101008859B1 KR 101008859 B1 KR101008859 B1 KR 101008859B1 KR 1020080092056 A KR1020080092056 A KR 1020080092056A KR 20080092056 A KR20080092056 A KR 20080092056A KR 101008859 B1 KR101008859 B1 KR 101008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operation
push switch
slide
press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1283A (ko
Inventor
히로시 오하라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1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6Driving mechanisms
    • H01H15/18Driving mechanisms acting with snap action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푸시 스위치가 온될 때의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량에 장착 오차에서 기인한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슬라이드 조작 기구의 제공.
해결 수단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동작 가능한 상태에서 푸시 스위치 (50) 에 지지되어 배치 형성된 가압 조작체 (90) 와,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조작 부재 (20) 에 유지되어 있고,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가압 조작체 (90) 상을 이동하는 슬라이딩체 (30) 와, 이 슬라이딩체 (30) 를 탄성에 의해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캠체 (40) 및 코일 스프링 (41) 등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딩체 (30) 가 이동하는 가압 조작체 (90) 의 안내면 (92) 은, 캠체 (40) 및 코일 스프링 (41) 등으로부터 슬라이딩체 (30) 에 부여되는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의 탄성 지지력이,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량 증가에 수반하여 증대되도록 슬라이딩체 (30) 를 안내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조작 기구 및 이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SLIDE OPERATING MECHANISM AND SLIDE OPERATING TYPE SWITCH DEVICE HAVING THE MECHANISM}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등의 소형 전기 기기에 설치되고, 가압 조작에 의해 온 (on) 됨과 함께 오프 (off) 상태로 자기 복귀 가능한 푸시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작 기구 및 이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로는, 특허 문헌 1 에 나타난 종래 기술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가압 조작에 의해 온됨과 함께 오프 상태로 자기 복귀 가능한 스위치 소자로서의 푸시 스위치와, 미리 설정된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 조작되는 조작 부재에 연동시켜 푸시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작 기구를 갖는다. 슬라이드 조작 기구는, 조작 부재에 부여된 초기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력을 푸시 스위치의 가압 조작력으로 변환하는 전동 (傳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전동 수단은, 푸시 스위치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 1 변과, 이 제 1 변의 일 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에 있어서 푸시 스위치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제 2 변과, 푸시 스위치에서 가장 먼 제 2 변의 단부로부터 제 1 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3 변을 갖는 탄성 구동체로 이루어진다. 제 1 변에는, 푸시 스위치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변에 있어서, 푸시 스위치에 가장 가까운 단부측에는, 제 2 변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대한 이동이 규제된 상태의 조작 부재가 맞닿아 있다. 요컨대, 슬라이드 조작시에 조작 부재가 제 2 변의 경사에 의해 탄성 구동체를 푸시 스위치의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이동하고, 이로써 제 1 변의 돌기부가 푸시 스위치를 가압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82476호
특허 문헌 1 에 나타난 종래 기술에서는, 푸시 스위치의 가압 조작 방향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와 탄성 구동체의 제 1 변의 위치 관계와, 푸시 스위치가 온될 때의 조작 부재의 초기 위치로부터의 슬라이드 조작량이 상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착 오차에 의해 푸시 스위치가 온될 때의 슬라이드 조작량이 불균일하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구동체의 제 1 변이 푸시 스위치에 지나치게 가까워지거나, 또는 지나치게 가압되어 있으면 푸시 스위치가 온되는 데 필요한 슬라이드 조작량은 지나치게 작아진다. 반대로, 제 1 변이 푸시 스위치로부터 지나치게 멀어져 있으면, 푸시 스위치가 온되는 데 필요한 슬라이드 조작량은 지나치게 커진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상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푸시 스위치가 온될 때의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량에 장착 오차에서 기인한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슬라이드 조작 기구 및 이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조작 기구는, 가압 조작에 의해 온됨과 함께 오프 상태로 자기 복귀 가능한 푸시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작 기구로서, 초기 위치로부터의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한 조작 부재와, 상기 푸시 스위치와 상기 조작 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조작 부재에 부여된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력을 상기 푸시 스위치의 가압 조작력으로 변환하는 전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전동 수단이, 상기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동작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푸시 스위치에 지지되어 배치 형성된 가압 조작체와, 상기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상기 조작 부재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상기 가압 조작체 상을 이동하는 이동체와, 이 이동체를 탄성에 의해 상기 가압 조작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을 갖고,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는 상기 가압 조작체의 면이, 상기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량 증가에 수반하여 상기 탄성 지지 수단의 탄성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상기 이동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서는, 조작 부재가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드 조작되면, 전동 수단에 있어서, 이동체가 조작 부재와 함께 슬라이드 동작하고 가압 조작체의 안내부를 탄성 지지 수단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이동시킨다. 이에 수반하여, 이동체로부터 가압 조작체에 가압 조작 방향의 힘이 부여되고, 그 결과, 가압 조작체가 푸시 스위치의 자기 복귀력에 저항하여 동작하여, 즉, 푸시 스위치를 가압 조작하여, 푸시 스위치가 온된다.
이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서는, 푸시 스위치에 지지되는 가압 조작체와 이 가압 조작체 상을 이동하는 이동체 각각이,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고, 이동체가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가압 조작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가압 조작 방향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의 위치가 장착 오차에 의 해 불균일하여도, 그 푸시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가압 조작체의 위치가 변화하고,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시에는 변화된 가압 조작체의 위치에 이동체가 추종함으로써, 푸시 스위치에 대한 가압 조작체 및 이동체의 위치가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압 조작체에 푸시 스위치가 가압되는 방향으로 장착 오차가 발생한 경우, 가압 조작체가 가압 조작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체가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이동한 가압 조작체의 위치에 추종함으로써 푸시 스위치에 대한 가압 조작체 및 이동체의 위치가 조정된다. 반대로, 가압 조작체로부터 푸시 스위치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장착 오차가 발생한 경우, 가압 조작체가 가압 조작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체가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이동한 가압 조작체의 위치에 추종함으로써 푸시 스위치에 대한 가압 조작체 및 이동체의 위치가 조정된다. 그 결과, 푸시 스위치가 온될 때의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량에, 장착 오차에서 기인한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수단이, 상기 슬라이드 조작 방향을 따라 배치된 코일 스프링과, 이 코일 스프링과 상기 이동체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상기 이동체에 전달하는 캠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캠체가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는 역방향인 힘과, 상기 가압 조작 방향으로 분산시켜 상기 이동체에 전달하는 캠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서는, 캠체가 코일 스프링 의 복원력을,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역방향인 힘과, 가압 조작 방향으로 분산시켜 이동체에 전달하는 캠면을 가짐으로써, 조작 부재의 초기 위치에 대한 자기 복귀와 이동체의 가압 조작 방향에 대한 탄성 지지 각각에 대해 별개로 탄성 부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이동체를 상기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체의 양단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 의하면,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체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 의하면, 조작 부재에 대한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에 대한 이동체 양단부의 이동과, 가압 조작체에 대한 이동체의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슬라이드 조작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하여 1 쌍 배치되고, 상기 가압 조작체가 상기 1 쌍의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 의하면, 캠체의 자세 안정성과, 조작 부재의 자기 복귀와 이동체의 탄성 지지를 위한 탄성력을 확보하면서, 가압 조작 방향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의 치수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가압 조작체의 일단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에 대한 상기 가압 조작체의 동작이, 상기 가압 조작체의 타단측을 회전 이동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라이드 조작 기구는, 가압 조작체가 타단측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는 것이므로, 확실하게 가압 조작체를 푸시 스위치에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에 대한 가압 조작체의 동작을 안정시키기 쉽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가, 이 안내부의 시단 (始端) 에서 종단까지의 전체 범위 중 상기 시단에서 소정의 중도 위치까지의 범위를 형성하는 제 1 안내부와, 상기 전체 범위 중 상기 중도 위치에서 상기 종단까지의 범위를 형성하는 제 2 안내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안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 지지력의 증대율이 상기 제 2 안내부보다 커지도록 굴곡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 의하면, 제 1, 제 2 안내부의 경계인 굴곡부를 이동체가 통과할 때 조작자에게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드 조작 기구와, 이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 가압 조작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푸시 스위치에 지지되는 가압 조작체와 이 가압 조작체 상을 이동하는 이동체 각각이,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고, 이동체가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가압 조작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으므로, 가압 조작 방향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의 위치가 장착 오차에 의해 불균일하여도, 그 푸시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가압 조작체의 위치가 변화하고,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시에는 변화된 가압 조작체의 위치에 이동체가 추종한다. 이로써, 푸시 스위치가 온될 때의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량에 장착 오차에서 기인한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 는 도 1 에 나타낸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에 구비된 푸시 스위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b 는 도 4a 의 A 부 확대도이다. 도 4c 는 도 2 에 나타낸 도전 부재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5a 는 도 2 에 나타낸 베이스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b 는 도 5a 에 나타낸 베이스 부재에 가압 조작체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는 도 2 에 나타낸 조작 부재 본체에 유지체가 장착된 조합체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6b 는 도 6a 에 나타낸 조합체의 상면도이다. 도 6c 는 도 6a 에 나타낸 조합체의 측면도이다. 도 7a 는 도 6a 에 나타낸 유지체에 이동체인 슬라이딩체가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b 는 도 7a 에 나타낸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7c 는 도 7a 에 나타낸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a 는 도 2 에 나타낸 캠체, 코일 스프링 및 가압 조작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8b 는 도 8a 에 나타낸 캠체, 코일 스프링 및 가압 조작체의 하면도이다. 도 8c 는 도 8a 에 나타낸 캠체, 코일 스프링 및 가압 조작체의 측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는 하우징 (10) 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 (10) 은 가늘고 긴 형상을 하고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하면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제의 베이스체 (11) 와, 하우징 (10) 의 하면을 제외한 부분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본체 (12) 를 스냅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 본체 (12) 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금속제의 암나사체 (13, 14) 가 압입되어 있어, 이 암나사체 (13, 14) 에 의해 하우징 (10) 은 휴대 전화 등의 전기 기기에 나사 고정된다.
하우징 (10) 의 하면에는, 가압 조작에 의해 온됨과 함께 오프 상태로 자기 복귀 가능한 스위치 소자로서의 푸시 스위치 (50) 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 (10) 의 상면에는, 미리 설정된 초기 위치 (도 1 에 나타내는 위치) 로부터 상반되는 2 방향, 즉 화살표 S1 방향 및 화살표 S2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조작 부재 (20) 가 형성되어 있다.
푸시 스위치 (5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4a ∼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스위치 (50) 는, 가동 접촉부 (53) 가 형성된 탄성부 (52), 및 가동 접촉부 (56) 가 형성된 탄성부 (55) 를 갖는 도전 부재 (51) 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도전 부재 (51) 는 금속판으로 성형된 것으로, 회로 기판 (70) 에 겹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도전 부재 (51) 는,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 (화살표 S1 방향 및 화살표 S2 방향) 에 직교하고 회로 기판 (70) 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세로판부 (58) 와, 이 세로판부 (58) 로부터 화살표 S1 방향 및 화살표 S2 방향 각각으로 연장된 가로판부 (59, 60) 와, 이들 가로판부 (59, 60) 의 세로판부 (58) 와는 반대측인 단부 각각으로부터 세로판부 (58) 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평행판부 (61, 62) 를 갖는다.
탄성부 (52) 는, 도전 부재 (51) 의 세로판부 (58) 측 일단이 고정단이 되고, 타단이 자유단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서 봤을 때, 세로판부 (58) 로부터 화살표 S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세로판부 (58) 와 평행판부 (61)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탄성부 (52) 는 회로 기판 (70)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볼록 곡면을 형성하고 있고, 탄성부 (52) 의 고정단측 부분과 자유단측 부분은 회로 기판 (70) 에 맞닿아 있다. 또한, 탄성부 (52) 는, 고정단측 (세로판부 (58) 측) 에서부터 서서히 폭이 좁아지고, 이 폭이 좁은 상태에서 가동 접촉부 (53) 를 향하여 서서히 넓어지며, 또한 가동 접촉부 (53) 에서부터 서서히 폭이 좁아지고, 이 폭이 좁은 상태로 자유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요컨대, 탄성부 (52) 에 있어서, 그 고정단과 가동 접촉부 (53) 사이의 부분과, 가동 접촉부 (53) 와 자유단 사이의 부분이 가동 접촉부 (53) 보다 작은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탄성부 (55) 는, 상면에서 봤을 때, 세로판부 (58) 로부터 화살표 S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세로판부 (58) 와 평행판부 (62)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탄성부 (52) 와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탄성부 (52, 55) 는 세로판부 (58) 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 (70) 에 있어서, 가동 접촉부 (53, 56) 각각에 대향하여 제 1 고정 접촉부 (71, 72) 각각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 (52) 의 고정단측 부분, 탄성부 (52) 의 자유단측 부분, 탄성부 (55) 의 고정단측 부분 및 탄성부 (55) 의 자유단측 부분 전부와 접촉하는 제 2 고정 접촉부 (73) 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부 (53) 는 제 1 고정 접촉부 (71) 의 방향으로 돌기된 복수의 돌기부, 예를 들어 2 개의 돌기부 (54) 를 갖는다. 가동 접촉부 (56) 도 동일하게, 제 1 고정 접촉부 (72) 의 방향으로 돌출된 2 개의 돌기부 (57) 를 갖는다.
도전 부재 (51) 에는, 회로 기판 (70) 의 방향으로 돌출된 3 개의 위치 결정 돌기 (64) 가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 (70) 에는, 3 개의 위치 결정 돌기 (64) 각각이 삽입되는 3 개의 위치 결정 구멍 (74) 이 형성되어 있다.
도전 부재 (51) 및 회로 기판 (70) 은, 합성 수지제의 탄성 시트 (80) 로 덮여져 있다. 이 탄성 시트 (80) 는, 도전 부재 (51) 와 회로 기판 (70) 에 부착되어 있다. 이로써, 회로 기판 (70) 상의 소정 위치에 도전 부재 (51) 가 유지되어 있다.
세로판부 (58), 평행판부 (61), 평행판부 (62) 각각에는, 회로 기판 (70) 으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스페이서 (63A, 63B, 63C) 각각이 드로잉 가공에 의해, 도 4a,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조작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부 (53) 와 대략 동일 위치에서 가로판부 (59) 의 탄성부 (52) 에 면하는 가장자리부, 및 슬라이드 조작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부 (56) 와 대략 동일 위치에서 가로판부 (60) 의 탄성부 (55) 에 면하는 가장자리부 각각에는, 회로 기판 (70)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동 접촉부 (53, 56)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의 길이를 포함하도록 돌출된 스페이서 (63D, 63E) 각각이 드로잉 가공에 의해, 단면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탄성부 (52) 를 포위하는 가상의 사각형 (65) 에 있어서, 탄성부 (52) 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1 세트의 맞은 변 각각을 따라 스페이서 (63A, 63B) 가 배치되어 있고, 그 1 세트의 맞은 변과는 다른 맞은 변을 구성하는 한 변에 스페이서 (63D) 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 (55) 에 대한 스페이서 (63A, 63C, 63E) 의 위치 관계도, 탄성부 (52) 에 대한 스페이서 (63A, 63B, 63D) 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다. 스페이서 (63A, 63B, 63D) 는 탄성부 (52) 주위에 있어서의 탄성 시트 (80) 와 회로 기판 (7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고 있고, 스페이서 (63A, 63C, 63E) 는 탄성부 (55) 주위에 있어서의 탄성 시트 (80) 와 회로 기판 (7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고 있다.
회로 기판 (70) 의 도전 부재 (51) 측의 면을 기준으로 한 스페이서 (63A) 의 돌출 치수 (T) 는,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 접촉부 (72) 와 가동 접촉부 (56) 의 돌기부 (57) 선단의 간격 치수 (K)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제 1 고정 접촉부 (71) 와 가동 접촉부 (53) 의 돌기부 (54) 선단의 간격 치수도 K 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스페이서 (63D, 63E) 의 돌출 치수도 T 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푸시 스위치 (50) 에서는, 탄성부 (52) 가 회로 기판 (70) 의 방향 (화살표 P 방향) 으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함으로써, 즉 탄성부 (52) 가 가압 조작됨으로써, 가동 접촉부 (53) 가 제 1 고정 접촉부 (71) 에 접촉하고, 이 제 1 고정 접촉부 (71) 와 제 2 고정 접촉부 (73) 가 도전 부재 (51) 를 통하여 도통한다. 요컨대, 푸시 스위치 (50) 의 탄성부 (52) 측이 온된다. 이와 동일하게, 탄성부 (55) 가 회로 기판 (70) 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함으로써, 즉 탄성부 (55) 가 가압 조작됨으로써, 가동 접촉부 (56) 가 제 1 고정 접촉부 (72) 에 접촉하고, 제 1 고정 접촉부 (72) 와 제 2 고정 접촉부 (73) 가 도전 부재 (51) 를 통하여 도통한다. 요컨대, 푸시 스위치 (50) 의 탄성부 (55) 측이 온된다.
푸시 스위치 (50) 를 조작 부재 (20) 에 연동시켜 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베이스체 (11) 중앙에는 개구부 (11a) 가 형성되어 있다. 푸시 스위치 (50) 는 그 개구부 (11a) 로부터 하우징 (10) 내로 노출되게 된다. 개구부 (11a) 의 크기는, 상면에서 봤을 때, 푸시 스위치 (50) 의 가동 접촉부 (53, 55) 를 포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베이스체 (11) 에는, 개구부 (11a) 를 통해 탄성부 (52, 55) 를 가압 조작하기 위한 합성 수지제의 가압 조작체 (90, 95) 가 유지되어 있다.
가압 조작체 (90) 는,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일단이 개구부 (11a) 를 통해 푸시 스위치 (50) 에 맞닿아 지지되는 봉상부 (91) 와, 이 봉상부 (91) 의 타단측에 형성되고, 봉상부 (91) 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고 회로 기판 (70) 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1 쌍의 축부 (93, 94) 를 갖는다. 베이스체 (11) 에는, 1 쌍의 축부 (93, 94) 에 대응하는 베어링 (11b, 11c) 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가압 조작체 (90) 는, 탄성부 (52) 의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자유롭게 동작 가능해지도록, 타단측을 회전 이동 중심으로 하여 탄성부 (52) 의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베이스체 (11) 에 유지되어 있다. 가압 조작체 (95) 도 가압 조작체 (9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탄성부 (55) 의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베이스체 (11) 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 조작체 (90, 95) 는, 푸시 스위치 (50) 에 슬라이드 조작 기구를 장착하였을 때, 푸시 스위치 (50) 에 지지됨으로써 위치가 결정된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 (12) 의 상면에는 긴 홈 ( 12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홈 (12a) 내에 조작 부재 (20)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 (20)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 (12) 의 긴 홈 (12a) 내에 이 긴 홈 (12a)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합성 수지제로 고리형의 조작 부재 본체 (21) 와, 이 조작 부재 본체 (21) 에 끼워 넣어지고, 가압 조작체 (90) 상을 이동하는 이동체로서의 가압 조작체 (90) 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체 (30) 를 유지한 합성 수지제의 유지체 (22) 와, 이 유지체 (22) 를 조작 부재 본체 (21) 와의 사이에 끼워 조작 부재 본체 (21) 와 스냅 결합된 합성 수지제의 커버체 (25) 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딩체 (30) 는 합성 수지제이고,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 및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의 양방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원기둥부 (31) 와, 이 원기둥부 (31) 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부 (31) 와 동심인 1 쌍의 축부 (32, 33) 를 갖는다. 유지체 (22) 는, 조작 부재 본체 (21) 에 끼워 넣어진 끼움판부 (23) 와, 이 끼움판부 (23) 의 중앙에 형성되고 슬라이딩체 (30) 를 유지하는 유지부 (24) 를 갖는다. 유지부 (24) 는, 도 6a ∼ 도 7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 (화살표 P 방향) 으로 연장되고, 슬라이딩체 (30) 의 1 쌍의 축부 (32, 33) 각각을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드 조작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유지하는 1 쌍의 아암부 (24a, 24b) 로 이루어진다. 끼움판부 (23) 의 중앙에는, 슬라이딩체 (30) 를 유지체 (22) 에 장착할 때, 1 쌍의 아암부 (24a, 24b) 에 대하여 끼움판부 (23) 의 상면측으로부터 슬라이딩체 (30) 를 배치하기 위한 장착 구멍 (23a) 이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아암부 (24a, 24b) 는, 긴 홈 (12a) 의 저부 중앙에 형성된 긴 구멍 (12b) 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도 2 에 나타내는 고리형의 탈락 방지체 (26) 에 삽입 통과되어 스냅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조작 부재 (20) 가 하우징 본체 (12) 의 긴 홈 (12a) 에 대하여 해 탈락 방지되어 있다.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 (화살표 S1 방향 및 화살표 S2 방향) 에 있어서의 슬라이딩체 (30) 의 양 측방 각각에는, 합성 수지제의 캠체 (40, 43) 각각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캠체 (40, 43) 는, 베이스체 (11) 에 대하여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하우징 본체 (12) 와 베이스체 (11) 사이에 오는 합성 수지제의 누름체 (46) 에 의해 베이스체 (11)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일방의 캠체 (40) 와 누름체 (46)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41, 42) 이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이들 코일 스프링 (41, 42) 에 의해 캠체 (40) 가 슬라이딩체 (30) 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 (41, 42) 은,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 및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의 양방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고, 1 쌍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코일 스프링 (41, 42) 은 누름체 (46) 에 의해 베이스체 (11)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캠체 (40) 는, 조작 부재 (20) 의 화살표 S1 방향에 대한 슬라이드 조작에 저항하는 코일 스프링 (41, 42) 의 복원력을, 화살표 S1 방향과 역방향인 힘과,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 (화살표 P 방향) 의 힘으로 분산시켜 슬라이딩체 (30) 에 전달하는 캠면 (40a) 을 갖는다.
타방의 캠체 (43) 와 누름체 (46) 사이에도, 코일 스프링 (41, 42) 과 동일하게 코일 스프링 (44, 45) 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코일 스프링 (44, 45) 에 의해 캠체 (43) 가 슬라이딩체 (30) 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캠체 (43) 도 캠체 (40) 와 동일하게, 조작 부재 (20) 의 화살표 S2 방향에 대한 슬라이드 조작에 저항하는 코일 스프링 (44, 45) 의 복원력을, 화살표 S2 방향의 역방향의 힘과,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 (화살표 P 방향) 의 힘으로 분산시켜 슬라이딩체 (30) 에 전달하는 캠면 (43a) 을 갖는다.
요컨대, 일방의 캠체 (40) 와 코일 스프링 (41, 42) 으로부터, 화살표 S1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 부재 (20) 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과, 조작 부재 (20) 의 화살표 S1 방향에 대한 슬라이드 조작시에 슬라이딩체 (30) 를 가압 조작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타방의 캠체 (43) 와 코일 스프링 (44, 45) 으로부터, 화살표 S2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 부재 (20) 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과, 조작 부재 (20) 의 화살표 S2 방향에 대한 슬라이드 조작시에 슬라이딩체 (30) 를 가압 조작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 8a ∼ 도 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조작체 (90) 의 봉상부 (91) 는 1 쌍의 코일 스프링 (41, 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1 쌍의 축부 (93, 94) 와 반대측인 봉상부 (91) 의 단부는, 캠체 (40) 에 형성된 홈 (40b) 에 삽입되어 있다. 가압 조작체 (95), 캠체 (43), 1 쌍의 코일 스프링 (44, 45) 의 위치 관계도, 가압 조작체 (90), 캠체 (40), 1 쌍의 코일 스프링 (41, 42) 의 위치 관계와 동일하다.
슬라이딩체 (30) 에 슬라이딩되는 가압 조작체 (90) 의 상면은, 조작 부재 (20) 의 화살표 S1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량 증가에 수반하여 탄성 지지 수단 (캠체 (40) 와 1 쌍의 코일 스프링 (41, 42)) 의 탄성 지지력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체 (30) 를 이동시키는 안내부인 안내면 (92) 을 형성하고 있다. 안내면 (92) 은, 이 안내면 (92) 의 시단에서 종단까지의 전체 범위 중 시단에서 소정의 중도 위치까지의 범위를 형성하고, 화살표 S1 방향에 있어서 푸시 스위치 (50) 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제 1 안내부 (92a) 와, 전체 범위 중 중도 위치에서 종단까지의 범위를 형성하는 제 2 안내부 (92b) 로 구성되어 있고, 제 1 안내부 (92a) 상에서의 탄성 지지력의 증대율이 제 2 안내부 (92b) 보다 커지도록 굴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가압 조작체 (95) 의 상면도 가압 조작체 (90) 의 상면과 동일하게, 조작 부재 (20) 의 화살표 S2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량 증가에 수반하여 탄성 지지 수단 (캠체 (43) 와 1 쌍의 코일 스프링 (44, 45)) 의 탄성 지지력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체 (30) 를 이동시키는 안내면 (96) 을 형성하고 있다.
전술한 유지체 (22) 와 슬라이딩체 (30) 와 캠체 (40) 와 1 쌍의 코일 스프링 (41, 42) 과 가압 조작체 (90) 로, 조작 부재 (20) 에 부여된 화살표 S1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력을 푸시 스위치 (50) 의 탄성부 (52) 에 대한 가압 조작력으로 변환하는 전동 수단이 구성되어 있고, 이 전동 수단과, 조작 부재 본체 (21), 커버체 (25), 탈락 방지체 (26), 누름체 (46) 및 하우징 (10) 으로, 화살표 S1 방향에 대한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체 (22) 와 슬라이딩체 (30) 와 캠체 (43) 와 1 쌍의 코일 스프링 (44, 45) 과 가압 조작체 (95) 로, 조작 부재 (20) 에 부여된 화살표 S2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력을 푸시 스위치 (50) 의 탄성부 (55) 에 대한 가압 조작력으로 변 환하는 전동 수단이 구성되어 있고, 이 전동 수단과, 조작 부재 본체 (21), 커버체 (25), 탈락 방지체 (26), 누름체 (46) 및 하우징 (10) 으로, 화살표 S2 방향에 대한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의 동작에 대해, 조작 부재 (20) 가 화살표 S1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9a ∼ 도 9d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a 은 슬라이딩체가 조작 부재와 함께 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b 는 도 9a 에 나타낸 상태에서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이 개시되어 슬라이딩체가 가압 조작체의 제 1 안내부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c 은 도 9b 에 나타낸 상태에서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이 진행되어 슬라이딩체가 가압 조작체의 제 1 안내부 상을 슬라이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d 는 도 9c 에 나타낸 상태에서 조작 부재가 한계 위치까지 슬라이드 조작되어 슬라이딩체가 제 2 안내부 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20) 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딩체 (30) 는 캠체 (40, 43) 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1 쌍의 코일 스프링 (41, 42) 의 복원력, 및 1 쌍의 코일 스프링 (44, 45) (도 9a ∼ 도 9d 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각각이, 캠체 (40, 43) 각각을 통하여 슬라이딩체 (30) 에 전달되고 있다. 이로써, 조작 부재 (20) 가 슬라이딩체 (30) 와 함께 푸시 스위치 (50) 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조작 부재 (20) 의 하우징 (10) 에 대한 흔들림이 방지되고 있다.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20) 가, 슬라이딩체 (30) 를 통하여 전달되는 1 쌍의 코일 스프링 (41, 42) 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초기 위치에서 화살표 S1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되기 시작하면, 슬라이딩체 (30) 가 캠체 (40) 를 화살표 S1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슬라이드를 개시하고, 이로써 안내면 (40a) 과 제 1 안내부 (92a) 에 맞닿는다. 또한, 슬라이딩체 (30) 는,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는 가압 조작체 (90) 상을 회전하면서 이동하는 경우도 있고, 회전하지 않고 이동하는 경우도 있다.
도 9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 진행에 수반하여, 슬라이딩체 (30) 는 캠체 (40) 를 화살표 S1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유지부 (24) 의 아암부 (24a, 24b) 에 의해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 (화살표 P 방향) 과는 역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어, 제 1 안내부 (92a) 상을 슬라이딩해 간다. 이로써, 캠체 (40) 에서 슬라이딩체 (30) 로 전달되는 1 쌍의 코일 스프링 (41, 42) 의 복원력이 증대되고, 즉,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으로 슬라이딩체 (30) 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력이 증대된다. 이에 수반하여, 슬라이딩체 (30) 가 가압 조작체 (90) 를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 (화살표 P 방향) 으로 회전 이동시켜, 가압 조작체 (90) 에 푸시 스위치 (50) 의 탄성부 (52) 를 가압 조작시킨다. 그 결과, 탄성부 (52) 의 가동 접촉부 (53) 가 제 1 고정 접촉부 (71) 에 접촉하고, 제 1 고정 접촉부 (71) 와 제 2 고정 접촉부 (73) 가 도전 부재 (51) 를 통하여 도통한다.
도 9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이 더 진행되면, 슬라이딩체 (30) 는 제 1 안내부 (92a) 에서 제 2 안내부 (92b) 로 이동한다. 이 제 2 안내부 (92b) 를 슬라이딩체 (30) 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 가동 접촉부 (53) 와 제 1 고정 접촉부 (71) 의 접촉압이, 제 1 안내부 (92a) 의 통과시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안정된다. 또한, 제 1 안내부 (92a) 와 제 2 안내부 (92b) 의 경계인 굴곡부 (92c) 를 슬라이딩체 (30) 가 통과할 때, 조작자에게 클릭감이 부여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서는, 푸시 스위치 (50) 에 지지되는 가압 조작체 (90) 및 가압 조작체 (95) 와 가압 조작체 (90) 또는 가압 조작체 (95) 상을 이동하는 슬라이딩체 (30) 각각이,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고, 슬라이딩체 (30) 가 탄성 지지 수단, 즉 캠체 (40) 와 1 쌍의 코일 스프링 (41, 42), 및 캠체 (43) 와 1 쌍의 코일 스프링 (44, 45) 에 의해 가압 조작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가압 조작 방향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 (50) 의 위치가 장착 오차에 의해 뷸균일하여도, 그 푸시 스위치 (50) 의 위치에 따라 가압 조작체 (90) 및 가압 조작체 (95) 의 위치가 변화하고,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는 변화된 가압 조작체 (90) 및 가압 조작체 (95) 의 위치에 슬라이딩체 (30) 가 추종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가압 조작체 (90) 에 푸시 스위치 (50) 가 가압되는 방향으로 장착 오차가 발생 한 경우, 가압 조작체 (90) 가 가압 조작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딩체 (30) 가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이동한 가압 조작체 (90) 의 위치에 추종함으로써 푸시 스위치 (50) 에 대한 가압 조작체 (90) 및 슬라이딩체 (30) 의 위치가 조정된다. 반대로, 가압 조작체 (90) 로부터 푸시 스위치 (50) 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장착 오차가 발생한 경우, 가압 조작체 (90) 가 가압 조작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딩체 (30) 가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이동한 가압 조작체 (90) 의 위치에 추종함으로써 푸시 스위치 (50) 에 대한 가압 조작체 (90) 및 슬라이딩체 (30) 의 위치가 조정된다. 그 결과, 푸시 스위치 (50) 가 온될 때의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량에, 장착 오차에서 기인한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서는, 캠체 (40) 가 1 쌍의 코일 스프링 (41, 42) 의 탄성력을,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 (화살표 S1 방향) 과 역방향인 힘과,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 (화살표 P 방향) 으로 분산시켜 슬라이딩체 (30) 에 전달하는 캠면 (40a) 을 갖는다. 이로써, 화살표 S1 방향에 대한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에 관하여, 조작 부재 (20) 의 초기 위치에 대한 자기 복귀와 슬라이딩체 (30) 의 가압 조작 방향에 대한 탄성 지지 각각에 대해 별개로 탄성 부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동일하게, 화살표 S2 방향에 대한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에 관해서는, 캠체 (43) 에 의해, 조작 부재 (20) 의 초기 위치에 대한 자기 복귀와 슬라이딩체 (30) 의 가압 조작 방향에 대한 탄성 지지 각각에 대해 별개로 탄성 부재 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서는, 조작 부재 (20) 가, 슬라이드 조작 방향 및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의 양방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슬라이딩체 (30) 의 양단부를,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한다. 이로써,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에 있어서의 슬라이딩체 (30) 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서는, 슬라이딩체 (30) 는,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 및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의 양방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원기둥부 (31) 와, 이 원기둥부 (31) 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부 (31) 와 동심인 1 쌍의 축부 (32, 33) 를 갖는다. 이로써, 유지부 (24) 에 유지된 상태에서의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에 대한 슬라이딩체 (30) 의 동작과, 가압 조작체 (90, 95) 에 대한 슬라이딩체 (30) 의 슬라이딩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서는, 코일 스프링 (41, 42) 이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 및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의 양방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쌍을 이루고, 가압 조작체 (90) 가 1 쌍의 코일 스프링 (41, 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동일하게, 코일 스프링 (44, 45) 이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 및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의 양방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쌍을 이루 고, 가압 조작체 (90) 가 1 쌍의 코일 스프링 (44, 4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캠체 (40, 43) 의 자세 안정성과, 조작 부재 (20) 의 자기 복귀와 슬라이딩체 (30) 의 탄성 지지를 위한 탄성력을 확보하면서,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의 치수를 단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서는, 푸시 스위치 (50) 를 가압 조작하는 방향에 대한 가압 조작체 (90, 95) 의 동작이 회전 이동이다. 이로써, 걸리지 않고 확실하게 가압 조작체 (90, 95) 를 푸시 스위치 (50) 에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에 대한 가압 조작체 (90, 95) 의 동작을 안정시키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서는, 가압 조작체 (90) 의 안내면 (92) 은 제 1, 제 2 안내부 (92a, 92b) 로 구성되어 있고, 제 1 안내부 (92a) 상에서의 슬라이딩체 (30) 에 대한 탄성 지지력의 증대율이 제 2 안내부 (92b) 보다 커지도록 굴곡된 형상을 하고 있다. 이로써, 제 1 안내부 (92a) 와 제 2 안내부 (92b) 의 경계인 굴곡부 (92c) 를 슬라이딩체 (30) 가 통과할 때, 조작자에게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다. 가압 조작체 (95) 도 동일한 안내면 (96)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동일하게 조작자에게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서는, 캠체 (40) 및 1 쌍의 코일 스프링 (41, 42), 및, 캠체 (43) 및 1 쌍의 코일 스프링 (44, 45) 중 적어도 일방에 의해, 조작 부재 (20) 가 슬라이딩체 (30) 와 함께 푸시 스위치 (50) 의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로써, 조작 부재 (20) 의 하우징 (10) 에 대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 의하면, 가동 접촉부 (53, 56) 가 형성된 탄성부 (52, 55) 와 스페이서 (63A ∼ 63E)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즉, 탄성부 (52, 55) 와 스페이서 (63A ∼ 63E) 의 위치 관계가 조립 전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동 접촉부 (53, 56) 가 형성된 탄성부 (52, 55) 와 스페이서 (63A ∼ 63E) 의 위치 관계 정밀도를 안정시키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 의하면, 탄성부 (52, 55) 가, 일단이 고정단이고 타단이 자유단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부 (52, 55) 의 고정단측과 스페이서 (63A ∼ 63E) 를 연결함으로써 탄성부 (52, 55) 와 스페이서 (63A ∼ 63E) 의 일체 형성을 실현할 수 있고, 이로써, 탄성부 (52, 55) 의 형성과, 스페이서 (63A ∼ 63E) 와 탄성부 (52, 55) 의 일체 형성이 실시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 의하면, 탄성부 (52) 에 있어서, 그 고정단과 가동 접촉부 (53) 사이의 부분과, 가동 접촉부 (53) 와 자유단 사이의 부분이 가동 접촉부 (53) 보다 작은 폭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 1 고정 접촉부 (71) 에 대한 가동 접촉부 (53) 의 접촉 가능 영역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탄성부 (52) 의 탄성력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에 필요한 조작력이 경감되므로,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탄성부 (55)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 의하면, 슬라이드 조작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부 (53) 와 대략 동일 위치에서 가로판부 (59) 의 탄성부 (52) 에 면하는 가장자리부, 및 슬라이드 조작 방향에 있어서의 가동 접촉부 (56) 와 대략 동일 위치에서 가로판부 (60) 의 탄성부 (55) 에 면하는 가장자리부 각각에, 회로 기판 (70)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동 접촉부 (53, 56)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의 길이를 포함하도록 돌출된 스페이서 (63D, 63E)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부 (52) 와 스페이서 (63D)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는 탄성 시트 (80) 의 부분과, 탄성부 (55) 와 스페이서 (63E)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는 탄성 시트 (80) 의 부분을 회로 기판 (70) 으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유지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 의하면, 탄성부 (52) 가 회로 기판 (70)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볼록 곡면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탄성부 (52) 의 고정단측 부분과 자유단측 부분에 제 2 고정 접촉부 (73) 가 맞닿아 배치되어 있으므로, 탄성부 (52) 에 부여된 회로 기판 (70) 방향의 가압력을, 탄성부 (52) 의 고정단측 부분과 자유단측 부분을 제 2 고정 접촉부 (73) 로 가압하도록 작용시킬 수 있어, 탄성부 (52) 를 통한 제 1, 제 2 고정 접촉부 (71, 73) 의 도통 상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성부 (55) 측도 동일하게, 탄성부 (55) 에 부여된 회로 기판 (70) 방향의 가압력을, 탄성부 (55) 의 고정단측 부분과 자유단측 부분을 제 2 고정 접촉부 (73) 로 가압하도록 작용시킬 수 있어, 탄성부 (55) 를 통한 제 1, 제 2 고정 접촉부 (72, 73) 의 도통 상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 의하면, 가동 접촉부 (53, 56) 가 각각 돌기부 (54), 돌기부 (57) 를 가지므로, 제 1 고정 접촉부 (71) 에 대한 가동 접촉부 (53) 의 접촉압, 제 1 고정 접촉부 (72) 에 대한 가동 접촉부 (56) 의 접촉압을 확보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 (50) 에서는, 회로 기판 (70) 의 도전 부재 (51) 측의 면을 기준으로 한 스페이서 (63A, 63D, 63E) 의 돌출 치수가, 가동 접촉부 (53) 의 돌기부 (54) 선단과 회로 기판 (70) 의 간격 치수 이상이고, 가동 접촉부 (56) 의 돌기부 (57) 선단과 회로 기판 (70) 의 간격 치수 이상이다. 이로써, 탄성 시트 (80) 에 탄성부 (52) 가 가압되어 가동 접촉부 (53) 가 제 1 고정 접촉부 (71) 에 접촉한 상태가 되거나, 탄성 시트 (80) 에 탄성부 (55) 가 가압되어 가동 접촉부 (56) 가 제 1 고정 접촉부 (72) 에 접촉한 상태가 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 에서는, 가동 접촉부 (53) 가 2 개의 돌기부 (54) 를 가지므로, 탄성부 (52) 에 대한 가압 조작 방향이 회로 기판 (70) 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우의 제 1 고정 접촉부 (71) 에 대한 가동 접촉부 (53) 의 접촉 확실성을, 돌기부 (54) 가 1 개인 경우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촉부 (56) 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서는, 슬라이딩체 (30) 는,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 및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 작 방향의 양방에 직교하는 자세로 배치된 원기둥부 (31) 와, 이 원기둥부 (31) 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부 (31) 와 동심인 원기둥상의 1 쌍의 축부 (32, 33) 를 갖는 형상을 하고 있다. 이것은, 유지부 (24) 에 유지된 상태에서의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에 대한 슬라이딩체 (30) 의 동작과, 가압 조작체 (90, 95) 에 대한 이동체의 이동을 원활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이동체 형상의 일례이다. 그 목적은, 조작 부재 (2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 및 푸시 스위치 (50) 의 가압 조작 방향의 양방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체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면 달성된다. 요컨대, 본 발명은, 이동체가 1 쌍의 축부를 갖지 않는 단순한 원기둥상이나 구상 등이고, 슬라이드 조작 방향 및 가압 조작 방향의 양방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체의 양단을 조작 부재가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서는, 조작 부재 (20) 가 초기 위치로부터 상반되는 2 방향, 즉 화살표 S1 방향 및 화살표 S2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고, 푸시 스위치 (50) 의 탄성부 (52, 55) 를 선택적으로 가압 조작할 수 있도록 캠체 및 가압 조작체 등을 2 세트씩 구비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조작 부재가 초기 위치로부터 일 방향으로만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고, 탄성부를 1 개만 갖는 푸시 스위치를 가압 조작할 수 있도록 캠체 및 가압 조작체 등을 1 세트만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슬라이드 조작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 는 도 1 에 나타낸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에 구비된 푸시 스위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b 는 도 4a 의 A 부 확대도이다.
도 4c 는 도 2 에 나타낸 도전 부재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5a 는 도 2 에 나타낸 베이스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b 는 도 5a 에 나타낸 베이스 부재에 가압 조작체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는 도 2 에 나타낸 조작 부재 본체에 유지체가 장착된 조합체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6b 는 도 6a 에 나타낸 조합체의 상면도이다.
도 6c 는 도 6a 에 나타낸 조합체의 측면도이다.
도 7a 는 도 6a 에 나타낸 유지체에 슬라이딩체가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b 는 도 7a 에 나타낸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7c 는 도 7a 에 나타낸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a 는 도 2 에 나타낸 캠체, 코일 스프링 및 가압 조작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8b 는 도 8a 에 나타낸 캠체, 코일 스프링 및 가압 조작체의 하면도이다.
도 8c 는 도 8a 에 나타낸 캠체, 코일 스프링 및 가압 조작체의 측면도이다.
도 9a 는 슬라이딩체가 조작 부재와 함께 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b 는 도 9a 에 나타낸 상태에서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이 개시되어 슬라이딩체가 가압 조작체의 제 1 안내부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c 는 도 9b 에 나타낸 상태에서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이 진행되어 슬라이딩체가 가압 조작체의 제 1 안내부 상을 슬라이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d 는 도 9c 에 나타낸 상태에서 조작 부재가 한계 위치까지 슬라이드 조작되어 슬라이딩체가 제 2 안내부 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10 : 하우징
11 : 베이스체
11a : 개구부
11b, 11c : 베어링
12 : 하우징 본체
12a : 긴 홈
12b : 긴 구멍
13, 14 : 암나사체
20 : 조작 부재
21 : 조작 부재 본체
22 : 유지체
23 : 끼움판부
23a : 장착 구멍
24 : 유지부
24a, 24b : 아암부
25 : 커버체
26 : 탈락 방지체
30 : 슬라이딩체 (이동체)
31 : 원기둥부
32, 33 : 축부
40 : 캠체
40a : 캠면
40b : 홈
41, 42 : 코일 스프링
43 : 캠체
43a : 캠면
44, 45 : 코일 스프링
46 : 누름체
50 : 푸시 스위치
51 : 도전 부재
52 : 탄성부
53 : 가동 접촉부
54 : 돌기부
55 : 탄성부
56 : 가동 접촉부
57 : 돌기부
58 : 세로판부
59, 60 : 가로판부
61, 62 : 평행판부
63A ∼ 63E : 스페이서
64 : 위치 결정 돌기
65 : 사각형
70 : 회로 기판
71, 72 : 제 1 고정 접촉부
73 : 제 2 고정 접촉부
74 : 위치 결정 구멍
80 : 탄성 시트
90 : 가압 조작체
91 : 봉상부
92 : 안내면 (안내부)
92a : 제 1 안내부
92b : 제 2 안내부
92c : 굴곡부
93, 94 : 축부
95 : 가압 조작체
96 : 안내면 (안내부)

Claims (8)

  1. 가압 조작에 의해 온 (on) 됨과 함께 오프 (off) 상태로 자기 복귀 가능한 푸시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작 기구로서,
    초기 위치로부터의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한 조작 부재와, 상기 푸시 스위치와 상기 조작 부재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조작 부재에 부여된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력을 상기 푸시 스위치의 가압 조작력으로 변환하는 전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전동 수단이, 상기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동작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푸시 스위치에 지지되어 배치 형성된 가압 조작체와, 상기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동작 가능하게 상기 조작 부재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상기 가압 조작체 위를 이동하는 이동체와, 이 이동체를 탄성에 의해 상기 가압 조작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을 갖고,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는 상기 가압 조작체의 면이, 상기 조작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량 증가에 수반하여 상기 탄성 지지 수단의 탄성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상기 이동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 지지 수단이, 상기 슬라이드 조작 방향을 따라 배치된 코일 스프링과, 이 코일 스프링과 상기 이동체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상기 이동체에 전달하는 캠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캠체가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는 역방향인 힘과, 상기 가압 조작 방향으로 분산시켜 상기 이동체에 전달하는 캠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 기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이동체를 상기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체의 양단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슬라이드 조작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병렬하여 1 쌍 배치되고, 상기 가압 조작체가 상기 1 쌍의 코일 스프링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가압 조작체의 일단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 조작 방향 및 그 역방향에 대한 상기 가압 조작체의 동작이, 상기 가압 조작체의 타단측을 회전 이동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가, 이 안내부의 시단에서 종단까지의 전체 범위 중 상기 시단에서 소정의 중도 위치까지의 범위를 형성하는 제 1 안내부와, 상기 전체 범위 중 상기 중도 위치에서 상기 종단까지의 범위를 형성하는 제 2 안내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안내부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 지지력의 증대율이 상기 제 2 안내부보다 커지도록 굴곡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 기구.
  8.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슬라이드 조작 기구와, 이 슬라이드 조작 기구에 가압 조작되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KR1020080092056A 2007-09-21 2008-09-19 슬라이드 조작 기구 및 이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KR101008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45578 2007-09-21
JP2007245578 2007-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283A KR20090031283A (ko) 2009-03-25
KR101008859B1 true KR101008859B1 (ko) 2011-01-17

Family

ID=4066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056A KR101008859B1 (ko) 2007-09-21 2008-09-19 슬라이드 조작 기구 및 이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06293B2 (ko)
KR (1) KR101008859B1 (ko)
CN (1) CN1014590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258951U (zh) * 2011-04-28 2012-05-30 金宝电子(中国)有限公司 多档位开关结构
CN102683076B (zh) * 2012-04-25 2014-09-03 赵凯 一种滑动式级进开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765A (ja) * 1999-03-31 2000-10-1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センタープッシュ機構を有するスライド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20Y2 (ko) * 1981-02-28 1988-02-26
DE3644212A1 (de) * 1986-12-23 1988-09-01 Braun Ag Elektrischer schalter
JP2000311551A (ja) * 1999-04-27 2000-11-07 Alps Electric Co Ltd スライド操作型スイッチ
JP4446925B2 (ja) * 2005-04-28 2010-04-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765A (ja) * 1999-03-31 2000-10-1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センタープッシュ機構を有するスライド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59006A (zh) 2009-06-17
CN101459006B (zh) 2011-05-25
JP5006293B2 (ja) 2012-08-22
KR20090031283A (ko) 2009-03-25
JP2009094057A (ja)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8212B1 (en) Push and rotary operating type electronic component
JP4132889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6222144B1 (en) Pushbutton switch
KR101045491B1 (ko) 슬라이드 조작식 스위치
KR101008859B1 (ko) 슬라이드 조작 기구 및 이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조작형 스위치 장치
JP3964132B2 (ja) スイッチ装置
JP5611742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20070047688A (ko) 슬라이드조작식 스위치
EP2237298A1 (en) Slide switch
JP2013239372A (ja) 押圧型スイッチ装置
JP2013191443A (ja) スイッチ
US20210294437A1 (en) Rolling mechanism and mouse device using the same
JP3039139B2 (ja) シーソー操作型可変抵抗器
US20190333718A1 (en) Push switch
CN113345745B (zh) 按键结构及键盘
JP2015076326A (ja) レバースイッチ
JP2006310226A (ja) マイクロスイッチ
CN110265253B (zh) 按键
JP4106924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CN107644751B (zh) 操作单元的组装结构
US8143538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assembly
JP200907637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の導電部材
CN220553132U (zh) 触控板、电子设备及其配件
JP4303082B2 (ja) 揺動式スイッチユニット
JP2014060107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