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494B1 -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494B1
KR101007494B1 KR1020090033549A KR20090033549A KR101007494B1 KR 101007494 B1 KR101007494 B1 KR 101007494B1 KR 1020090033549 A KR1020090033549 A KR 1020090033549A KR 20090033549 A KR20090033549 A KR 20090033549A KR 101007494 B1 KR101007494 B1 KR 101007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signal
reception
rotational movement
initial op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267A (ko
Inventor
마사토 나가사와
가츠토시 오카다
요시키 나가오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003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49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조작자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는, 표시 장치(5)가 부착되는 부착부(3)와, 부착부(3)를 회전이동하는 전동 회전이동 기구(7)와, 표시 장치(5)에 설치되어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와, 수신부(11)에서 수신하는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전동 회전이동 기구(7)를 제어하는 제어부(13)를 구비하고, 제어부(13)는,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부(11)에서 수신하면, 초기 동작으로서 전동 회전이동 기구(7)를 통해 부착부(3)를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의 주위를 순환 회전이동시키면서 수신부(11)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본 동작으로서 상기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로부터 상기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의 연장 방향으로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수신부(11)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에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킨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및 그 제어 방법{TURNTABLE FOR DISPLAY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의해 표시 장치의 방향을 조정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종래의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에서는, 리모콘 장치에 설치된 십자키 등으로, 표시 장치가 부착된 설치부의 회전이동 방향 및 회전이동량을 지정 하는 것으로,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의해 표시 장치의 방향을 조정하고 있었다.
이 경우, 표시 장치의 조작자가 회전이동 방향 및 회전이동량을 지정해야 하기 때문에, 그 지정을 위한 리모콘 조작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1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표시 장치의 전면에 측거 센서를 설치하고, 표시 장치의 방향을 회전이동시키면서 그 측거 센서에 의해 표시 장치의 전방에 있는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고, 그 검출이 된 시점에서 회전이동을 정지하는 것으로, 표시 장치의 전방에 있는 그 사람의 방향으로 표시 장치의 방향을 자동적으로 조정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2-206812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경우, 측거 센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표시 장치의 조작자가 아닌 사람이나 장해물이 표시 장치의 가까이에 있으면, 그 사람이나 장해물의 방향으로 표시 장치의 방향이 조정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표시 장치의 방향을 표시 장치의 조작자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표시 장치가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하는 전동 회전이동 기구와,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리모콘 장치와, 상기 부착부 또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부는,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하면, 초기 동작으로서,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통해 상기 부착부를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의 주위를 순환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본 동작으로서, 상기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로부터 상기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에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방향을 리모콘 장치의 방향(따라서 표시 장치의 조작자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수신부로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초기 동작에 의해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개략적으로 검출하고, 본 동작에 의해 그 전파 방향에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기 때문에, 본 동작시에 부착부(따라서 표시 장치)에 쓸데없는 회전이동을 행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빠르게 표시 장치를 조작자의 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또한 초기 동작에 의해 부착부를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의 주위를 순환 회전이동시키기 때문에, 전후좌우의 회전이동 방향에 대하여 리모콘 장치로부 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는, 도 1과 마찬가지로, 부착부(3)와, 부착부(3)에 부착된 표시 장치(5)와, 부착부(3)를 회전이동하는 전동 회전이동 기구(7)와, 무선 신호(예컨대, 적외선 신호)를 발신하는 리모콘 장치(9)와, 부착부(3) 또는 표시 장치(5)에 설치되어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와, 수신부(11)에서 수신하는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전동 회전이동 기구(7)를 제어하는 제어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회전이동 기구(7)는, 예컨대, 부착부(3)를 전후좌우로 회전이동하는 것이고, 부착부(3)를 수평축 주위에 전후로 회전이동하는 전후 회전이동 기구와, 부착부(3)를 수직축 주위에 좌우로 회전이동하는 좌우 회전이동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 전후 회전이동 기구 및 좌우 회전이동 기구는 각각, 전동 모터를 구비하고 있고, 그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수신부(11)는 부착부(3)의 전면 또는 표시 장치의 전면에 하나 설치되어 있다. 수신부(11)는, 예컨대, 리모콘 장치(5)로부터의 무선 신호가 적외선 신호인 경우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광 센서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3)는, 수신부(11)에서 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검파하는 검파부(13a)와, 수신부(11)에서 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2치화하는 2치화부(13b)와, 전동 회전이 동 기구(7)의 전후 회전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전후 회전이동용 드라이버(13c)와, 전동 회전이동 기구(7)의 좌우 회전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좌우 회전이동용 드라이버(13d)와, 검파부(13a) 및 2치화부(13b)의 각각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각 드라이버(13c, 13d)를 제어하는 중앙 연산 처리부(CPU)(13e)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 연산 처리부(13e)는, 2치화부(13b)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수신부(11)에서 수신한 무선 신호가, 표시 장치(5)를 리모콘 장치(9)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이동하는 취지의 제어 신호(이후, 자동 회전이동 신호라고 부름)인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또 중앙 연산 처리부(13e)는, 2치화부(13b)로부터 자동 회전이동 신호를 받으면, 각 드라이버(13c, 13d)를 통해 전동 구동 기구(7)를 제어하여, 부착부(3)의 회전이동 상태를 중립 위치(표시 장치(5)가 정면을 향하는 위치)로 되돌린다.
그리고 중앙 연산 처리부(13e)는, 초기 동작으로서, 각 드라이버(13c, 13d)를 통해 전동 회전이동 기구(7)를 제어하여 부착부(3)를 상기 중립 위치(소정의 회전이동 위치)의 주위를 순환 회전이동시키면서, 검파부(13a)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수신부(11)에서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중앙 연산 처리부(13c)는, 본 동작으로서,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의 연장 방향으로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키면서, 검파부(13a)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수신부(11)에서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에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5에 근거하여 이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에서는, 리모콘 장치(9)에 설치된 자동 회전이동 버튼을 누름으로써 하기와 같이 하여, 표시 장치(5)의 방향이 리모콘 장치(9)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이동된다.
단계 S1에서, 리모콘 장치(9)를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의 방향을 향해서, 리모콘 장치(9)의 자동 회전이동 버튼을 길게 누르면,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가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를 향해 계속 발신된다. 그리고, 그 무선 신호가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의 수신부(11)에서 수신되고,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의 제어부(13)에 의해, 그 수신 신호가 자동 회전이동 신호인지 여부의 판정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그 수신 신호가 자동 회전이동 신호인 경우는, 단계 S2에서, 제어부(13)에 의해, 부착부(3)(따라서 표시 장치(5))의 회전이동 상태가 중립 위치인지의 판정이 행하여진다. 그 판정의 결과, 중립 위치인 경우는, 단계 S4에 진행하고, 한편, 중립 위치가 아닌 경우는, 단계 S3에서, 제어부(13)에 의해 전동 회전이동 기구(7)가 제어되어 부착부(3)의 회전이동 상태가 중립 위치로 되돌려진다. 그리고 단계 S4에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 S4, S5에서, 제어부(13)에 의해, 초기 동작으로서, 전동 회전이동 기구(7)를 통해 부착부(3)가 상기 중립 위치의 주위를 순환 회전이동(예컨대, 원 형상으로 회전이동)되면서, 수신부(11)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가 검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도 2와 마찬가지로, 준비 동작 D1로서, 부착부(3)가 중립 위치 O로부터 순환 회전이동의 개시 위치 P1까지 예컨대, 좌우 회전이동 방향으로 일정 거리 회전이동된다. 그리고 초기 동작 D2로서, 도 2와 마찬가지로, 부착부(3)가 개시 위치 P1로부터 중립 위치 O를 중심으로 하여 원 형상으로 회전이동되어 다시 개시 위치 P1에 되돌려지고 또한, 도 3과 마찬가지로, 제어부(13)에 의해, 그 원 형상 회전이동 중, 수신부(11)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가 검출된다.
그리고 단계 S6에서, 제어부(13)에 의해,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 PA(그 최대 수신 강도를 TA라고 부름)가 검출된다.
그리고 단계 S7~S9에서, 제어부(13)에 의해, 수신부(11)의 수신 강도가 최대 수신 강도 TA가 되도록 부착부(3)의 회전이동 위치가 되돌려짐으로써 부착부(3)가 회전이동 위치 PA로 회전이동된다.
그리고 단계 S10~S12에 의해, 도 2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3)에 의해, 본 동작(제 1 본 동작 M1)으로서, 중립 위치 O로부터 회전이동 위치 PA로의 연장 방향으로 부착부(3)가 회전 이동되면서, 도 4(a)와 마찬가지로, 수신부(11)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가 검출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 PB(그 최대 수신 강도를 TB라고 부름)가 검출된다. 또, 이 본 동작 M1은, 최대 수신 강도가 검출될 때까지, 또는 상기 연장 방향으로 가능한 한 회전이동할 수 있을 때까지(예컨대, 회전이동 위치 P2까지) 회전이동된다. 이렇게 검출 되는 회전이동 위치 PB는,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단계 S13~S15에서, 제어부(13)에 의해, 본 동작(제 2 본 동작 M2)으로서, 예컨대, 도 4(b)와 마찬가지로, 수신부(11)의 수신 강도가 최대 수신 강도 PB가 되도록 부착부(3)의 회전이동 위치가 되돌려짐으로써 부착부(3)가 회전이동 위치 PB로 회전이동된다. 이렇게 하여, 표시 장치(5)가 리모콘 장치(9)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이동된다.
도 6(a), (b)는, 초기 동작 및 본 동작을 도 2와 마찬가지로 행한 경우의 좌우 회전이동용 드라이버(13d) 및 전후 회전이동용 드라이버(13c)의 각 출력 전압(PWM 구동의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그들 각 출력 전압의 진폭 Va, Vb를 식 1을 만족시키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초기 동작 D2 시의 부착부(3)의 회전이동을 원 형상의 회전이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Va×(좌우 회전이동용 전동 모터의 토크 정수)×(좌우 회전이동 기구의 초단과 최종단과의 감속비)×(표시 장치(5) 및 부착부(3)의 좌우 회전이동 방향의 관성 모멘트)
= Vb×(상하 회전이동용 전동 모터의 토크 정수)×(상하 회전이동 기구의 초단과 최종단과의 감속비)×(표시 장치(5) 및 부착부(3)의 상하 회전이동 방향의 관성 모멘트) … 식 1
또, 도 6(a), (b)은, 각 드라이버(13c, 13d)가 각각 전동 회전이동 기구(7)의 전후 회전이동용 전동 모터 및 좌우 회전이동용 전동 모터를 PWM 구동하는 경우 의 각 드라이버(13c, 13d)의 출력 전압이지만, PWM 구동 대신에 출력 전압의 크기를 변화시켜 그들 각 전동 모터를 구동하는 경우의 각 드라이버(13c, 13d)의 출력 전압은 도 7(a), (b)와 같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에 의하면,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부(11)에서 수신하면, 초기 동작으로서, 전동 회전이동 기구(7)를 통해 부착부(3)를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의 주위를 순환 회전이동시키면서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본 동작으로서, 상기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로부터 상기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의 연장 방향으로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에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키기 때문에, 표시 장치(5)의 방향을 리모콘 장치(9)의 방향(따라서 표시 장치(5)의 조작자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1개의 수신부(11)로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초기 동작에 의해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개략적으로 검출하고, 본 동작에 의해 그 전파 방향으로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키기 때문에, 본 동작시에 부착부(3)(따라서 표시 장치(5))에 쓸데없는 회전이동을 행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빠르게 표시 장치(5)를 조작자의 방향으로 회전이동 할 수 있다.
또 초기 동작에 의해 부착부(3)를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의 주위를 순환 회전이동시키기 때문에, 전후좌우의 회전이동 방향에 대하여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제어부(13)는,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부착부(3)의 회전이동 상태를 중립 위치로 되돌리고 나서, 부착부(3)에 대하여 초기 동작을 행하게 하기 때문에, 초기 동작시에 어떤 방향에 대해서도 적절히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도 8과 마찬가지로,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자동 회전이동 신호)를 수신하면, 부착부(3)의 회전이동 상태를 중립 위치 O로 되돌리고 나서, 그 중립 위치 O를 중심으로 하여 부착부(3)를 순환 회전이동시켰지만, 부착부(3)의 회전이동 상태를 중립 위치 O에 되돌리지 않고,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자동 회전이동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회전이동 위치 O2를 중심으로 하여 부착부(3)를 순환 회전이동시키더라도 좋다.
또, 그렇게 하는 경우,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자동 회전이동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회전이동 위치가, 도 8의 점 O3와 마찬가지로, 전후 회전이동 방향의 한계선 L1 상 또는 좌우 회전이동 방향의 한계선 L2 상에 있는 경우는, 부착부(3)의 회전이동은 완전한 원이 아니라, 각 한계선 L1, L2에 의해 결손한 원으로 된다.
이상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B)에 의하면, 제어부(13)는,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부착부(3)의 회전이동 상태를 중립 위치로 되돌리고 나서, 부착부(3)에 대하여 초기 동작을 행하게 하기 때문에, 초기 동작시에 어떤 방향에 대해서도 적절히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초기 동작의 도중에서, 예컨대,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가 사람 등에 의해 가로막히는 것에 의해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가 소정값 T1보다 저하된 경우는, 초기 동작을 정지하고, 다시, 수신부(11)로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자동 회전이동 신호)를 수신하면, 초기 동작으로서의 부착부(3)의 회전이동을 상기 정지시의 회전이동 위치로부터 재개하여 나머지의 초기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의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C)의 동작을 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단계 S4, S5에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초기 동작으로서, 제어부(13)에 의해, 전동 회전이동 기구(7)를 통해 부착부(3)가 중립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순환 회전이동되면서, 수신부(11)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가 검출된다.
그리고 단계 S5-1에서, 제어부(13)에 의해, 수신부(11)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가 소정값 T1보다 저하됐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하여진다. 그 판정의 결과, 소정값 T1보다 저하되고 있지 않으면, 단계 S5-2에 진행하고, 또한, 제어부(13)에 의해, 부착부(3)가 상기 순환 회전이동의 최후까지 회전이동됐는지 여부 가 판정된다. 그리고 그 판정의 결과, 상기 순환 회전이동의 최후까지 회전이동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 S4에 되돌아가, 상기 순환 회전이동의 최후까지 회전이동된 경우는, 단계 S6 이후에 순차로 진행하고,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한다.
그리고 단계 S5-1에서의 판정의 결과, 수신부(11)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가 소정값 T1보다 저하된 경우는, 단계 S5-3에 진행하고, 제어부(13)에 의해, 초기 동작으로서의 부착부(3)의 회전이동이 정지된다. 예컨대, 도 10과 마찬가지로, 부착부(3)의 회전이동 위치가 Pt일 때에 수신 강도가 소정값보다 저하된 것이 검출된 경우는, 그 회전이동 위치 Pt에서 부착부(3)의 회전이동 동작이 정지된다.
그리고 단계 S5-4에서, 제어부(13)에 의해, 표시 장치(5)의 화면에 자동 회전이동 버튼을 다시 누르게 하는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또, 이 메시지는, 소정의 기억부에 보존되어 있고, 제어부(13)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억부로부터 판독되고 표시 장치(5)에 구비된 소정의 화상 합성부를 통해 표시 장치(5)의 표시 화상 위에 중첩 표시된다.
그리고 단계 S5-5에서, 제어부(13)에 의해, 다시, 수신부(11)로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자동 회전이동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판정이 행하여진다. 그 판정의 결과, 수신되지 않으면, 단계 S5-4에 되돌아가, 상기 메시지가 계속 표시되고, 한편, 수신되면, 단계 S5-6에 진행하여, 제어부(13)에 의해 상기 메시지의 표시가 중지되고, 또한, 상기 정지시의 회전이동 위치 Pt로부터 초기 동작으로 서의 부착부(3)의 순환 회전이동이 재개된다. 그리고 단계 S4에 되돌아가, 제어부(13)에 의해, 초기 동작으로서의 부착부(3)의 순환 회전이동의 나머지의 회전이동 동작이 행하여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C)에 의하면, 제어부(13)는, 초기 동작의 도중에서 수신 강도가 소정값 T1보다 저하된 경우는, 초기 동작을 정지하기 때문에,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어부(13)는, 초기 동작을 정지한 경우에, 다시, 수신부(11)에서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초기 동작으로서의 부착부(3)의 회전이동을 상기 정지시의 회전이동 위치 Pt로부터 재개하기 때문에, 재개 후, 빠르게 초기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5-6에서, 상기 정지시의 회전이동 위치 Pt로부터 초기 동작으로서의 부착부(3)의 순환 회전이동이 재개되었지만, 초기 동작의 처음부터(예컨대, 순환 회전이동의 개시 위치 P1로부터) 재개하더라도 좋다. 이렇게하면,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초기 동작의 도중에서, 예컨대, 리모콘 장치(9)가 흔들림으로써, 도 11과 마찬가지로,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에 있어서 복수의 극대값이 검출된 경우는, 초기 동작을 정지하고, 다시, 수신부(11)에서 리 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자동 회전이동 신호)를 수신하면, 초기 동작을 처음부터 재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의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D)의 동작은, 도 9에서, 단계 S5-1의 동작 내용을 「제어부(13)에 의해, 수신부(11)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에 있어서 복수의 극대값이 검출됐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하여진다」라는 동작 내용으로 치환되고, 또한, 단계 S5-6의 동작 내용을 「초기 동작의 처음부터(예컨대, 순환 회전이동의 개시 위치 P1로부터) 초기 동작으로서의 부착부(3)의 순환 회전이동이 재개된다」라는 동작 내용으로 치환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D)에 의하면, 제어부(13)는, 초기 동작의 도중에서 수신 강도에 있어서 복수의 극대값을 검출한 경우는, 초기 동작을 정지하기 때문에,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어부(13)는, 초기 동작을 정지한 경우에, 다시, 수신부(11)에서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초기 동작을 처음부터 재개하기 때문에,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는, 초기 동작으로, 부착부(3)가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의 주위를 순환 회전이동되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 동작으로, 부착부(3)가 소정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만큼 회전이동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이하, 도 1, 도 12 및 도 13에 근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E)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중앙 연산 처리부(13eB)는, 실시예 1의 중앙 연산 처리부(13e)의 초기 동작 및 본 동작을 행하기와 마찬가지로 변경한 것이다. 즉, 중앙 연산 처리부(13eB)는, 예컨대, 도 12(a)와 마찬가지로, 초기 동작 D로서, 각 드라이버(13c, 13d)를 통해 전동 회전이동 기구(7)를 제어하여 부착부(3)를 일정 범위내에서 소정 방향(예컨대, 좌우 회전이동 방향)을 따라 개시 위치 P2(여기서는, 이 개시 위치 P2는 중립 위치 O와 일치함)로부터 종단 위치 P3까지 회전이동시키면서, 예컨대, 도 12(b)와 마찬가지로, 검파부(13a)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자동 회전이동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회전이동의 양단 위치 P2, P3의 어느 쪽의 위치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지를 검출한다. 도 12(b)의 경우는, 종단 위치 P3에서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연산 처리부(13eB)는, 예컨대, 도 12(a)와 마찬가지로, 본 동작 M으로서, 양단 위치 P2, P3 중의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쪽(도 12(b)에서는 종단 위치 P3)에 또한 상기 소정 방향(예컨대, 좌우 회전이동 방향)을 따라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예컨대, 도 12(c)와 마찬가지로, 검파부(13a)의 처리 신호에 근거하여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 P4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 P4에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킨다. 또, 상기의 본 동작 M은, 최대 수신 강도가 검출될 때까지, 또는 상기 소정 방향으로 가능한 한 회전이동할 수 있을 때까지(예컨대, 회전이동 위치 P5까지) 회전이동된다.
또, 도 12에서는, 종단 위치 P3에서 수신 강도가 최대가 되는 경우의 초기 동작 D 및 본 동작 M이 도시되지만, 도 13(b)와 마찬가지로 개시 위치 P2에서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경우는, 도 13(a)와 마찬가지로, 본 동작 M으로서, 개시 위치 P2의 측에 또한 상기 소정 방향(예컨대, 좌우방향)에 따라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예컨대, 도 13(c)와 마찬가지로, 검파부(13a)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 P7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 P7에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킨다. 또, 회전이동 위치 P6은, 도 13의 경우의 본 동작 M의 상기 소정 방향으로 가능한 한 회전이동할 수 있는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E)의 동작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의 동작(도 5)에 있어서, 상기의 초기 동작 및 본 동작의 차이를 제외하고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E)에 의하면,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부(11)에서 수신하면, 초기 동작으로서, 전동 회전이동 기구(7)를 통해 부착부(3)를 소정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만큼 회전이동시키면서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회전이동의 양단 위치의 어느 쪽의 위치에서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지를 검출하고, 본 동작으로서, 상기 양단 위치 중의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쪽에 또한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에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키기 때문에, 표시 장치(5)의 방향을 리모콘 장치(9)의 방향(따라서 표시 장치(5)의 조작자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1개의 수신부(11)에서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초기 동작에 의해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개략적으로 검출하고, 본 동작에 의해 그 전파 방향에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키기 때문에, 본 동작시에 부착부(3)(따라서 표시 장치(5))에 쓸데없는 회전이동을 행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빠르게 표시 장치(9)를 조작자의 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또 초기 동작으로 부착부를 소정 방향(여기서는 좌우 회전이동 방향)을 따라 회전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소정 방향(좌우 회전이동 방향)에 관하여,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자동 회전이동 신호)를 수신하면, 부착부(3)의 회전이동 상태를 중립 위치 O로 되돌리지 않고,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자동 회전이동 신호)를 수신했을 때의 회전이동 위치 O2를 초기 동작의 개시 위치로서 부착부(3)를 회전이 동시키더라도 좋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는, 하나의 수신부(11)를 이용하여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검출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수신부를 이용하여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검출한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여, 실시예 1과 다른 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F)는, 도 14와 마찬가지로, 부착부(3)와, 부착부(3)에 부착된 표시 장치(5)와, 부착부(3)를 회전이동하는 전동 회전이동 기구(7)와, 무선 신호(예컨대, 적외선 신호)를 발신하는 리모콘 장치(9)와, 부착부(3) 또는 표시 장치(5)에 설치되어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예컨대, 3개)의 수신부(11a, 11b, 11c)와, 수신부(11a, 11b, 11c)에서 수신하는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전동 회전이동 기구(7)를 제어하는 제어부(13F)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표시 장치(5)의 전면의 상부 중앙에 수신부(11a)가 설치되고, 표시 장치(5)의 하부 좌우 양단에 각각 각 수신부(11b, 11c)가 설치되어 있다. 또, 표시 장치(5)의 전면의 하부 중앙에 수신부(11a)가 설치되고, 표시 장치(5)의 상부좌우 양단에 각각 각 수신부(11b, 11c)가 설치되더라도 좋다.
제어부(13F)는, 각 수신부(11a, 11b, 11c)에서 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검파하 는 복수의 검파부(13Fa, 13Fb, 13Fb)와, 각 검파부(13Fb, 13Fc)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부(13Fe)와, 각 검파부(13Fb, 13Fc)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부(13Ff)와, 가산부(13Ff)의 출력값을 1/2배로 하는 1/2배화부(倍化部)(13Fg)와, 1/2배화부(13Fg)의 출력 신호와 검파부(13Fa)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부(13Fh)와, 전동 회전이동 기구(7)의 전후 회전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전후 회전이동용 드라이버(13c)와, 전동 회전이동 기구(7)의 좌우 회전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좌우 회전이동용 드라이버(13d)와, 각 비교부(13Fe, 13Fh)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각 드라이버(13c, 13d)를 제어하는 중앙 연산 처리부(CPU)(13Fi)를 구비하고 있다.
비교부(13Fe)는, 예컨대, 각 검파부(13Fb, 13Fc)의 출력 신호 중, 검파부(13Fc)의 출력 신호쪽이 높은 경우는 H(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검파부(13Fb)의 출력 신호쪽이 높은 경우는 L(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비교부(13Fh)는, 예컨대, 각 검파부(13Fa) 및 1/2배화부(13Fg)의 출력 신호 중, 검파부(13Fa)의 출력 신호쪽이 높은 경우는 H 신호를 출력하고, 1/2배화부(13Fg)의 출력 신호쪽이 높은 경우는 L 신호를 출력한다.
중앙 연산 처리부(13Fi)는, 각 비교부(13Fe, 13Fh)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수신부(11a~11c)에서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검출하고, 그 전파 방향으로, 각 드라이버(13c, 13d)를 통해 전동 회전이동 기구(7)의 좌우 회전이동 기구 및 전후 회전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연산 처리부(13Fi)는, 좌우 회전이동 방향에 관하여는, 비교부(13Fe)의 출력 신호가 L 신호로부터 H 신호로 변화되는 변화점 또는 H 신호로부터 L 신호로 변화되는 변화점을 상기 무선 신호의 좌우 회전이동 방향에 관한 전파 방향이라고 보고, 전동 회전이동 기구(7)의 좌우 회전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부착부(3)의 좌우의 회전이동 위치를 그 변화점이 얻어지는 위치로 회전이동시킨다. 즉, 비교부(13Fe)의 출력 신호가 H 신호(L 신호)인 경우는, 비교부(13Fe)의 출력 신호가 L 신호(H 신호)로 변화될 때까지 부착부(3)가 오른쪽(왼쪽)으로 회전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표시 장치(5)가, 좌우 회전이동 방향에 관하여,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으로 회전이동된다.
또 중앙 연산 처리부(13Fi)는, 전후 회전이동 방향에 관하여는, 비교부(13Fh)의 출력 신호가 L 신호로부터 H 신호로 변화되는 변화점 또는 H 신호로부터 L 신호로 변화되는 변화점을 상기 무선 신호의 전후 회전이동 방향에 관한 전파 방향이라고 보고, 전동 회전이동 기구(7)의 전후 회전이동 기구를 제어하여 부착부(3)의 전후의 회전이동 위치를 그 변화점이 얻어지는 위치로 회전이동시킨다. 즉, 비교부(13Fh)의 출력 신호가 H 신호(L 신호)인 경우는, 비교부(13Ff)의 출력 신호가 L 신호(H 신호)로 변화될 때까지 부착부(3)가 뒤(앞)로 회전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표시 장치(5)가, 전후 회전이동 방향에 관하여,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으로 회전이동된다.
다음으로 이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F)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F)에서는, 리모콘 장치(9)에 마련된 자동 회전이동 버튼을 누름으로써 하기와 같이 하여, 표시 장치(5)가 리모콘 장치(9)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이동된다.
즉, 리모콘 장치(9)를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F)의 방향을 향해서, 리모콘 장치(9)의 자동 회전이동 버튼을 길게 누르면,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가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F)를 향해 계속 발신된다. 그리고, 그 무선 신호가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F)의 수신부(11a~11c)에서 수신되고,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F)의 제어부(13F)에 의해, 그 검파부(13Fe)의 출력 신호가 H 신호(L 신호)로부터 L 신호(H 신호)로 변화될 때까지, 전동 회전이동 기구(7)를 통해 부착부(3)가 왼쪽(오른쪽)으로 회전이동되고, 또한, 그 검파부(13Fh)의 출력 신호가 H 신호(L 신호)로부터 L 신호(H 신호)로 변화될 때까지, 전동 회전이동 기구(7)를 통해 부착부(3)가 뒤(앞)로 회전이동된다. 이렇게 하여, 부착부(3)(따라서 표시 장치(5))가 리모콘 장치(9)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이동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F)에 의하면, 복수의 수신부(11a~11c)의 각각의 수신 강도에 근거하여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검출하고, 그 전파 방향으로 전동 회전이동 기구(7)를 통해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키기 때문에, 표시 장치(5)의 방향을 리모콘 장치(9)의 방향(따라서 표시 장치(5)의 조작자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수신부(11a~11c)는, 표시 장치(5)의 전면의 상부 및 하부 중의 한쪽의 중앙 및 다른 쪽의 좌우 양단에 각각 설치된 3개의 수신부이기 때문에, 전후좌우의 회전이동 방향에 대하여 리모콘 장치(9)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실시예 1~6에서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에 대하여 설명했지 만, 그 제어 방법도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의 구성 개략도,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의 동작의 일례(초기 동작으로 부착부가 순환 회전이동되는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초기 동작의 사이의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나타낸 도면,
도 4의 (a)은 도 2의 본 동작중의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본 동작시에 검출된 최대 수신 강도 θB에 대응하는 회전이동 방향으로 부착부(3)를 회전이동시키는 동안의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의 동작의 흐름도,
도 6은 도 2의 경우의 각 드라이버(13c, 13d)의 출력 전압의 파형(PWM 구동의 경우의 파형)의 일례도,
도 7은 도 2의 경우의 각 드라이버(13c, 13d)의 출력 전압의 파형(출력 전압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경우의 파형)의 일례도,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B)의 동작(즉, 초기 동작이 무선 신호(자동 회전이동 신호)의 수신시의 회전이동 위치로부터 시작되는 경우의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실시예 3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의 동작(즉, 수신부(11)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가 사람 등의 장해물에 의해 막힌 경우의 동작)의 흐름도,
도 10은 수신부(11)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가 사람 등의 장해물에 의해 막힌 경우의 수신부(11)의 수신 강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리모콘 장치(9)의 손 흔들림 등에 의해 수신부(11)의 수신 강도에 복수의 극대점이 나타난 경우의 수신부의 수신 강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2의 (a)은 실시예 5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E)의 동작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b)는 (a)의 초기 동작중의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c)는 (a)의 본 동작중의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나타낸 도면,
도 13의 (a)은 실시예 5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E)의 동작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b)는 (a)의 초기 동작중의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c)는 (a)의 본 동작중의 수신부(1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실시예 6에 따른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1F)의 구성 개략도.
부호의 설명
1 :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3 : 부착부
5 : 표시 장치 7 : 전동 회전이동 기구
9 : 리모콘 장치 11, 11a~11c : 수신부
13, 13F, 13Fi : 제어부 13a, 13Fa~13Fc : 검파부
13b : 2치화부 13c : 전후 회전이동용 드라이버
13d : 좌우 회전이동용 드라이버 13e, 13Fi : 중앙 연산 처리부
13Fe, 13Fh : 비교부 13Ff : 가산부
13Fg : 1/2배화부

Claims (16)

  1. 표시 장치가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하는 전동 회전이동 기구와,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리모콘 장치와,
    상기 부착부 또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하면, 초기 동작으로서,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통해 상기 부착부를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의 주위를 순환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본 동작으로서, 상기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로부터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동작의 도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소정값보다 저하된 경우는, 상기 초기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2. 표시 장치가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하는 전동 회전이동 기구와,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리모콘 장치와,
    상기 부착부 또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하면, 초기 동작으로서,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통해 상기 부착부를 미리 정해진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회전이동의 양단 위치의 어느 쪽의 위치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지를 검출하고, 본 동작으로서, 상기 양단 위치중의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지 않는 쪽의 위치로부터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쪽의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동작의 도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소정값보다 저하된 경우는, 상기 초기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은 좌우 회전이동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부착부의 회전이동 상태를 중립 위치로 되돌리고 나서, 상기 부착부에 대하여 상기 초기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5. 삭제
  6. 표시 장치가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하는 전동 회전이동 기구와,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리모콘 장치와,
    상기 부착부 또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하면, 초기 동작으로서,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통해 상기 부착부를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의 주위를 순환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본 동작으로서, 상기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로부터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동작의 도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에 있어서 복수의 극대값을 검출한 경우는, 상기 초기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7. 표시 장치가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하는 전동 회전이동 기구와,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리모콘 장치와,
    상기 부착부 또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하면, 초기 동작으로서,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통해 상기 부착부를 미리 정해진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회전이동의 양단 위치의 어느 쪽의 위치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지를 검출하고, 본 동작으로서, 상기 양단 위치중의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지 않는 쪽의 위치로부터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쪽의 위치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동작의 도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에 있어서 복수의 극대값을 검출한 경우는, 상기 초기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동작을 정지한 경우에, 다시,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초기 동작을 처음부터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 동작을 정지한 경우에, 다시, 상기 수신부에서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초기 동작을 처음부터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10. 표시 장치가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하는 전동 회전이동 기구와,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리모콘 장치와,
    부착부 또는 상기 표시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무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수신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전면의 상부 및 하부중의 한쪽의 중앙 및 다른 쪽의 좌우 양단에 각각 설치된 3개의 수신부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신부의 각각의 수신 강도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검출하고, 그 전파 방향으로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통해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11. 삭제
  12. (a) 전동 회전이동 기구에 의해 회전이동가능한 부착부 또는 상기 부착부에 부착된 표시 장치에 설치된 수신부에서,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공정과,
    (b) 초기 동작으로서,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통해 상기 부착부를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의 주위로 순환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는 공정과,
    (c) 본 동작으로서, 상기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로부터 상기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는 공정
    을 구비하되,
    상기 초기 동작의 도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소정값보다 저하된 경우는, 상기 초기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의 제어 방법.
  13. (a) 전동 회전이동 기구에 의해 회전이동가능한 부착부 또는 상기 부착부에 부착된 표시 장치에 설치된 수신부에서,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공정과,
    (b) 초기 동작으로서,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통해 상기 부착부를 소정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만큼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회전이동의 양단 위치의 어느 쪽의 위치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지를 검출하는 공정과,
    (c) 본 동작으로서, 상기 양단 위치 중의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쪽으로 또한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는 공정
    을 구비하되
    상기 초기 동작의 도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소정값보다 저하된 경우는, 상기 초기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의 제어 방법.
  14. (a) 전동 회전이동 기구에 의해 회전이동가능한 부착부 또는 상기 부착부에 부착된 표시 장치에 설치된 복수의 수신부에서,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공정과,
    (b) 상기 복수의 수신부의 각각의 수신 강도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신호의 전파 방향을 검출하고, 그 전파 방향으로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통해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는 공정
    을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수신부는, 상기 표시 장치의 전면의 상부 및 하부중의 한쪽의 중앙 및 다른 쪽의 좌우 양단에 각각 설치된 3개의 수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의 제어 방법.
  15. (a) 전동 회전이동 기구에 의해 회전이동가능한 부착부 또는 상기 부착부에 부착된 표시 장치에 설치된 수신부에서,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공정과,
    (b) 초기 동작으로서,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통해 상기 부착부를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의 주위로 순환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는 공정과,
    (c) 본 동작으로서, 상기 소정의 회전이동 위치로부터 상기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는 공정
    을 구비하되,
    상기 초기 동작의 도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에 있어서 복수의 극대값을 검출한 경우는, 상기 초기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의 제어 방법.
  16. (a) 전동 회전이동 기구에 의해 회전이동가능한 부착부 또는 상기 부착부에 부착된 표시 장치에 설치된 수신부에서, 리모콘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공정과,
    (b) 초기 동작으로서, 상기 전동 회전이동 기구를 통해 상기 부착부를 소정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만큼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회전이동의 양단 위치의 어느 쪽의 위치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지를 검출하는 공정과,
    (c) 본 동작으로서, 상기 양단 위치 중의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쪽으로 또한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면서 상기 수신부에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 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가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를 검출하고, 그 최대로 되는 회전이동 위치로 상기 부착부를 회전이동시키는 공정
    을 구비하되
    상기 초기 동작의 도중에서 상기 수신 강도에 있어서 복수의 극대값을 검출한 경우는, 상기 초기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의 제어 방법.
KR1020090033549A 2008-04-17 2009-04-17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및 그 제어 방법 KR101007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549A KR101007494B1 (ko) 2008-04-17 2009-04-17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07506 2008-04-17
KR1020090033549A KR101007494B1 (ko) 2008-04-17 2009-04-17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267A KR20090110267A (ko) 2009-10-21
KR101007494B1 true KR101007494B1 (ko) 2011-01-12

Family

ID=4153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549A KR101007494B1 (ko) 2008-04-17 2009-04-17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4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679A (ja) * 1991-07-17 1993-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テレビジヨン受像機の回動装置
KR970020154U (ko) * 1995-10-27 1997-05-26 텔레비젼수상기의 시청각도에 따른 자동회전장치
KR20000045548A (ko)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리모콘을 이용한 tv수상기세트의 자동자세조절장치
KR20060105985A (ko) * 2005-04-04 2006-10-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기기의 시야각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679A (ja) * 1991-07-17 1993-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テレビジヨン受像機の回動装置
KR970020154U (ko) * 1995-10-27 1997-05-26 텔레비젼수상기의 시청각도에 따른 자동회전장치
KR20000045548A (ko)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리모콘을 이용한 tv수상기세트의 자동자세조절장치
KR20060105985A (ko) * 2005-04-04 2006-10-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기기의 시야각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267A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1221B1 (en) Parking assistance method and parking assistance device
KR101266734B1 (ko) 표시장치
JP5328959B2 (ja) 情報表示装置
US8649973B2 (en) Guide display device and guide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display contents
EP1544843A2 (en) Display luminance controller
CN101546210A (zh) 角度调整控制方法及自动调整角度的显示装置
EP1491406A1 (en) In-car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JP2005186648A (ja) 車両用周囲視認装置および表示制御装置
JP5178298B2 (ja) 表示装置用回動台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129251A (ja) 操作入力装置
US20040212484A1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view angle of rearview angle of outside camera in response to output of navigation system
US7602315B2 (en) Navigation apparatus having a picture frame fun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007494B1 (ko) 표시 장치용 회전이동대 및 그 제어 방법
JP2018160732A (ja) 画像処理装置、カメラずれ判定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2204446A (ja) 車載後方確認装置と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3219411A (ja) 車両周囲監視方法および車両周囲監視装置
JPH10268759A (ja) 電子地図表示装置
JP2017143482A (ja) 車両用画像表示装置
JP3339298B2 (ja) 車両のビュー装置
JPH1047978A (ja) 車両用前方モニタ装置
JP2003212042A (ja) 車両用バックミラーの視角を自動調整する方法と装置
JP3888904B2 (ja) 画像切替装置および車両周囲表示装置並びに車載用テレビ装置
JP2000172989A (ja) リモコン装置及び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6027307A (ja) 車両用後退ガイド表示装置
JP2004272805A (ja) 多方向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