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811B1 -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 및 방화 도어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 및 방화 도어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811B1
KR101006811B1 KR1020097013121A KR20097013121A KR101006811B1 KR 101006811 B1 KR101006811 B1 KR 101006811B1 KR 1020097013121 A KR1020097013121 A KR 1020097013121A KR 20097013121 A KR20097013121 A KR 20097013121A KR 101006811 B1 KR101006811 B1 KR 101006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mmunication port
elevator
evacuation
f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087A (ko
Inventor
기요지 가와이
마사히코 고니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Abstract

건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과,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에 인접하고, 제1 연통구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에 연통된 인접 구획과, 제1 연통구와 다른 제2 연통구를 통하여 인접 구획에 연통된 외부 구획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연통구는 제1 방화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제2 연통구는 제2 방화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은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각 층에 마련된 복수의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관리한다. 또,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 및 인접 구획에서의 화재에 의한 오염이 모두 회피되어 있을 때에, 건물에 남겨진 재관자를 피난층으로 운반하는 피난 운전을 엘리베이터에 대해 실시 가능으로 하고,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 및 인접 구획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화재에 의해 오염되어 있을 때에 피난 운전의 실시를 정지하는 피난 운전 지령부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 및 방화 도어 제어 장치{FIRE EVACUATION SUPPORT SYSTEM AND FIRE DOOR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건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건물 내에 남겨진 재관자(在館者)를 피난시키기 위한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 및 방화 도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물에 마련된 화재 감지기가 작동했을 때에 건물 내의 잔류자를 피난층까지 구출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시스템에서는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불이나 연기가 엘리베이터홀에 도달하기까지의 피난 시간이 예측 연산되고, 예측된 피난 시간의 범위 내에서, 잔류자의 구출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구출 운전이 행해진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구출 운전은 불이나 연기가 엘리베이터홀에 도달하기까지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국제 공개 제2004/101418호 팜플렛
그러나 엘리베이터홀이 화염이나 연기에 의해 오염될 때까지 구출 운전이 계속되면, 예를 들어 화염이나 소화 활동에 수반하는 물 등에 의해, 구출 운전 계속 중에 엘리베이터가 돌연 고장나고 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고장(이상)에 의해 구출 운전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화, 방연 및 방수의 각 대책을 엘리베이터에 대해 행할 필요가 있어, 비용이 증가하고 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엘리베이터의 이상에 의한 운전 중지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 증가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 및 방화 도어 제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이용 피난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과,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에 인접하고, 제1 연통구(連通口)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에 연통된 인접 구획과, 제1 연통구와 다른 제2 연통구를 통하여 인접 구획에 연통된 외부 구획이 복수의 층에 마련되고, 제1 연통구가 제1 방화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제2 연통구가 제2 방화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각 층에 마련된 복수의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관리하는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 및 인접 구획에서의 화재에 의한 오염이 모두 회피되어 있을 때에, 건물에 남겨진 재관자를 피난층으로 운반하는 피난 운전을 엘리베이터에 대해 실시 가능으로 하고,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 및 인접 구획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화재에 의해 오염되어 있을 때에 피난 운전의 실시를 정지하는 피난 운전 지령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 도어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과,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에 인접하고, 제1 연통구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에 연통된 인접 구획과, 제1 연통구와 다른 제2 연통구를 통하여 인접 구획에 연통된 외부 구획이 복수의 층에 마련된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각 층에 마련된 복수의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연통구를 개폐하는 제1 방화 도어 및 제2 연통구를 개폐하는 제2 방화 도어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화 도어 제어 장치로서, 각 층에 마련된 제1 방화 도어 및 제2 방화 도어 중, 화재 감지기가 화재에 의한 오염을 감지한 화재 발생층에 대응시켜서 미리 설정된 동작 대상층에 마련된 제1 방화 도어 및 제2 방화 도어의 각각을 화재 발생층에 있어서 화재 감지기의 감지와 연동시켜서 동작시켜, 제 1 연통구 및 제2 연통구의 각각을 폐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이용 피난 제어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 인접 구획 및 외부 구획의 각각에 대한 화재에 의한 오염의 유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전의 가부(可否) 판정이 행해지고,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 및 인접 구획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화재에 의해 오염되어 있을 때에 피난 운전의 실시가 정지되므로, 인접 구획으로부터의 화재에 의한 오염이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에 도달하기 전에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전을 정상적으로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이상에 의한 피난 운전 중지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방화, 방연 및 방수의 각 대책을 과잉으로 행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비용 증가의 방지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 도어 제어 장치에서는 화재 감지기가 화재에 의한 오염을 감지한 화재 발생층에 대응시켜서 미리 설정된 동작 대상층에 마련된 제1 방화 도어 및 제2 방화 도어의 각각이 화재 발생층에 있어서 화재 감지기의 화재 감지와 연동하여 동작되고, 제1 연통구 및 제2 연통구의 각각이 폐쇄되므로,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 및 인접 구획으로의 화염이나 연기 도달을 보다 확실히 지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가 피난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상에 의한 피난 운전 중지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방화, 방연 및 방수의 각 대책을 과잉으로 행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비용 증가의 방지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건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피난 운전 지령부에 의한 피난 운전 개시 후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도 1의 방화 도어 제어부에 의한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건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건물(1)에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그룹(2)이 마련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그룹(2)은 복수의 엘리베이터(3)를 가지고 있다.
건물(1)의 각 층에는 각 엘리베이터(3)가 마련된 공통의 승강장(엘리베이터홀)과, 승강장에 인접하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은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으로 되어 있다. 통로는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에 인접하는 인접 구획(5)과, 인접 구획(5)에 각각 인접하여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으로부터 떨어진 2개의 외부 구획(6, 7)으로 구분되어 있다(도 2).
인접 구획(5)은 제1 연통구(8)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에 연통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과 인접 구획(5) 사이에는 제1 연통구(8)를 개폐하는 제1 방화 도어(9)가 마련되어 있다. 각 외부 구획(6, 7)은 제1 연통구(8)와 다른 제2 연통구(10)를 통하여 인접 구획(5)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인접 구획(5)과 각 외부 구획(6, 7) 사이에는 제2 연통구(10)를 개폐하는 제2 방화 도어(1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도 2). 따라서,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및 인접 구획(5)은 방화 도어에 의한 구분이 가능한 방화 구획으로 되어 있다.
인접 구획(5)의 넓이는 제1 연통구(8)를 둘러싸는 소정의 넓이로 되어 있다. 또, 제1 연통구(8)로부터 각 제2 연통구(10)까지의 거리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거리(예를 들어 10m 등)를 초과하지 않도록 각각 결정되어 있다. 즉, 각 제2 연통구(10)는 제1 연통구(8)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까지의 범위 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건물(1)에는 건물(1) 내의 재관자가 각 층 사이를 이동하기 위한 피난 계단(도시하지 않음)이 통로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건물(1)의 각 층 중에서, 현관층인 1층이 피난층으로 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층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칸(12)과, 엘리베이터칸(12)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3)를 가지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3)의 운전은 엘리베이터 그룹(2)마다, 그룹 관리 장치(14)에 의해 일괄하여 관리된다.
각 층에는 화재에 의한 화염이나 연기 등의 오염을 감지하는 복수의 화재 감지기(15)가 마련되어 있다. 각 층에 있어서 화재 감지기(15)는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인접 구획(5) 및 각 외부 구획(6, 7)의 각각에 마련되어 있다. 각 화재 감지기(15)로부터의 정보는 건물(1) 전체의 방재 기기를 통괄 관리하는 방재 관리 장치(16)로 전송된다. 방재 관리 장치(16)는 각 화재 감지기(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 발생의 유무를 검출한다. 또, 방재 관리 장치(16)는 화재에 의한 오염을 감지한 화재 감지기(15)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발생한다.
방재 관리 장치(16)로부터의 정보는 각 그룹 관리 장치(14)를 화재 발생시에 통괄 관리하는 피난 지원 장치(17)로 전송된다. 즉, 피난 지원 장치(17)에는 각 화재 감지기(15)로부터의 정보가 방재 관리 장치(16)를 통하여 전송된다. 피난 지원 장치(17)는 방재 관리 장치(16)에 의해 화재 발생이 검출된 후, 재관자를 각 층으로부터 피난층으로 운반하는 피난 운전을 각 엘리베이터(3)에 대해 행한다.
피난 지원 장치(17)는 통신부(18), 화재 상황 판정부(19), 방화 도어 제어부(방화 도어 제어 장치)(20) 및 피난 운전 지령부(21)를 가지고 있다.
통신부(18)는 각 그룹 관리 장치(14) 및 방재 관리 장치(16)의 각각과 피난 지원 장치(17)의 정보 통신을 행한다.
화재 상황 판정부(19)는 방재 관리 장치(16)를 통하여 얻어진 각 화재 감지기(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재에 의한 오염의 유무를 각 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인접 구획(5) 및 각 외부 구획(6, 7)의 각각에 대해 판정한다.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인접 구획(5) 및 각 외부 구획(6, 7)의 각각에 대한 화재에 의한 오염의 유무의 판정은 각 구획(4 ~ 7)에 마련되어 있는 화재 감지기(15)가 화재에 의한 오염을 감지하였는지의 여부에 의해 행해진다.
방화 도어 제어부(20)는 화재 상황 판정부(19)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방화 도어(9) 및 각 제2 방화 도어(11) 각각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방화 도어 제어부(20)는 각 층에 있어서 화재 감지기(15)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화재에 의한 오염을 감지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인접 구획(5) 및 각 외부 구획(6, 7)에서의 화재에 의한 오염의 유무에 관계없이, 화재 감지기(15)가 화재에 의한 오염을 감지한 층(화재 발생층)과, 화재 발생층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층(화재 바로 윗층)에 마련된 제1 방화 도어(9) 및 제2 방화 도어(11)의 각각을 도어 닫힘(戶閉) 동작시킨다. 이로 인해,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바로 윗층의 각각에 있어서 제1 연통구(8) 및 제2 연통구(10)가 각각 폐쇄된다. 제1 방화 도어(9) 및 제2 방화 도어(11)의 도어 닫힘 동작은 화재 발생층에 있어서 화재 감지기(15)의 화재에 의한 오염의 감지와 연동하여 행해진다. 즉, 이 예에서는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바로 윗층이, 화재 발생층에 있어서 화재 감지기(15)의 화재 감지와 연동하는 제1 방화 도어(9) 및 제2 방화 도어(11)가 마련된 동작 대상층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다.
피난 운전 지령부(21)는 화재 상황 판정부(19)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3)의 피난 운전의 실시 가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피난 운전 지령부(21)는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및 인접 구획(5) 모두에 대해 화재에 의한 오염이 회피되어 있을 때에 피난 운전의 실시가 가능하다고 판정하고,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및 인접 구획(5)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화재에 의해 오염되고 있을 때에 피난 운전의 실시가 불가능하다고 판정한다.
또, 피난 운전 지령부(21)는 피난 운전의 실시가 가능할 때에 피난 운전의 지령을 각 그룹 관리 장치(14)로 출력하고, 피난 운전의 실시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에 피난 운전의 지령의 출력을 정지한다. 각 그룹 관리 장치(14)는 피난 운전 지령부(21)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지령을 받는 것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3)가 피난 운전을 행하도록 관리한다.
즉, 피난 운전 지령부(21)는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및 인접 구획(5)에서의 화재에 의한 오염이 모두 회피되어 있을 때에만, 각 엘리베이터(3)에 대해 피난 운전을 실시 가능으로 한다. 또, 피난 운전 지령부(21)는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및 인접 구획(5)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화재에 의해 오염되었을 때에 각 엘리베이터(3)의 피난 운전의 실시를 정지한다. 피난 운전은 화재 상황 판정부(19)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12)이 정지하는 층이나 엘리베이터칸(12)이 층에 정지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 등을 포함한 피난 운전 계획안을 작성하고, 작성한 피 난 운전 계획안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12)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피난 지원 장치(17)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및 RAM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신부(18), 화재 상황 판정부(19), 방화 도어 제어부(20) 및 피난 운전 지령부(21)의 기능은 피난 지원 장치(17)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즉,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통신부(18), 화재 상황 판정부(19), 방화 도어 제어부(20) 및 피난 운전 지령부(21)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연산 처리부는 기억부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피난 지원 장치(17)의 기능에 관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방재 관리 장치(16)에 의해 화재의 발생이 검출되면, 방재 관리 장치(16)로부터는 화재를 감지한 화재 감지기(15)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화재 발생의 확정 정보가 피난 지원 장치(17)로 전송된다. 피난 지원 장치(17)가 방재 관리 장치(16)로부터의 정보를 받으면, 각 층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인접 구획(5) 및 각 외부 구획(6, 7)의 각각에 대해, 화재에 의한 오염의 유무가 화재 상황 판정부(19)에 의해 판정된다.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및 인접 구획(5) 모두 오염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피난 운전의 지령이 피난 운전 지령부(21)로부터 각 그룹 관리 장치(14)로 출력되고, 각 엘리베이터(3)의 피난 운전이 개시된다.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및 인접 구획(5)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난 운전은 행해지지 않고, 각 엘리베이터(3)의 운전이 정지된다.
다음에, 피난 운전 개시 후의 처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피난 운전 지령부(21)에 의한 피난 운전 개시 후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난 운전이 개시되면(S1), 인접 구획(5)이 화재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화재 상황 판정부(19)에 의해 판정된다(S2). 인접 구획(5)이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난 운전 지령부(21)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지령의 출력이 정지되어 피난 운전이 종료한다(S3).
인접 구획(5)이 오염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이 화재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화재 상황 판정부(19)에 의해 판정된다(S4).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이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난 운전 지령부(21)로부터의 피난 운전의 지령의 출력이 정지되어 피난 운전이 종료한다(S3).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이 오염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피난 운전이 그대로 계속되어, 인접 구획(5) 및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에서의 화재에 의한 오염의 유무가 화재 상황 판정부(19)에 의해 반복 판정된다.
다음에, 방화 도어 제어부(20)에 의한 처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방화 도어 제어부(20)에 의한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재 관리 장치(16)로부터의 화재 발생의 확정 정보가 피난 지원 장치(17)로 전송되고, 각 층에서의 화재에 의한 오염의 유무가 화재 상황 판정부(19)에 의해 판정되면, 화재 상황 판정부(19)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층에 대해 화재 발생층 인지의 여부가 방화 도어 제어부(20)에 의해 판정된다(S11).
화재 발생층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방화 도어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해당 화재 발생층에 마련된 제1 방화 도어(9) 및 제2 방화 도어(11)에 대해 도어 닫힘 동작이 행해지고, 제1 연통구(8) 및 제2 연통구(10)의 각각이 폐쇄된다(S12).
화재 발생층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화재 바로 윗층인지의 여부가 방화 도어 제어부(20)에 의해 판정된다(S13). 화재 바로 윗층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방화 도어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해당 화재 바로 윗층에 마련된 제1 방화 도어(9) 및 제2 방화 도어(11)에 대해 도어 닫힘 동작이 행해지고, 제1 연통구(8) 및 제2 연통구(10)의 각각이 폐쇄된다(S12). 화재 바로 윗층에도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층에 마련된 제1 방화 도어(9) 및 제2 방화 도어(11)에 대해서는 도어 닫힘 동작이 행해지지 않고, 제1 연통구(8) 및 제2 연통구(10)의 각각은 개방된 채로 된다.
이와 같은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인접 구획(5) 및 외부 구획(6, 7)의 각각에 대한 화재에 의한 오염의 유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3)의 피난 운전의 가부 판정이 행해지고,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및 인접 구획(5)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화재에 의해 오염되어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3)의 피난 운전의 실시가 정지되므로, 인접 구획(5)으로부터의 화재에 의한 오염이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에 도달하기 전에 엘리베이터(3)의 피난 운전을 정상적으로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엘리베이터(3)가 예를 들어 화염이나 소화 활동에 수반하는 물 등에 의해 고장나는 가능성을 낮게 억제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3)의 이상에 의한 피난 운전 중지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방화, 방연 및 방수의 각 대책을 과잉으로 실시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비용 증가의 방지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 방화 도어(9) 및 제2 방화 도어(11) 각각의 동작이 각 화재 감지기(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방화 도어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되므로, 재관자가 수동에 의해 제1 방화 도어(9) 및 제2 방화 도어(11)을 움직일 필요가 없고,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및 인접 구획(5)으로의 화염이나 연기의 도달을 용이하게 또한 효과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엘리베이터(3)의 피난 운전의 실시 시간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또, 각 층에 마련된 제1 방화 도어(9) 및 제2 방화 도어(11) 중,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바로 윗층에 마련된 제1 방화 도어(9) 및 제2 방화 도어(11)의 각각이 화재 발생층에 있어서 화재 감지기(15)의 화재 감지와 연동하여 동작되고, 제1 연통구(8) 및 제2 연통구(10)의 각각이 폐쇄되므로,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및 인접 구획(5)으로의 화염이나 연기의 도달을 보다 확실히 지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3)의 이상에 의한 피난 운전 중지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방화, 방연 및 방수의 각 대책을 과잉으로 행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비용 증가의 방지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방화 도어 제어부(20)가 피난 지원 장치(17)에 포함되어 있으나, 방화 도어 제어부(20)를 방재 관리 장치(16)에 탑재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3)의 승강장이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으로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은 엘리베이터(3)가 마련된 구획이면 무 방하고,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3)의 상부에 마련된 기계실이나 엘리베이터(3)의 전기 배선이 통과된 전기실 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인접 구획(5)은 엘리베이터(3)의 기계실이나 전기실에 인접하여 마련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화재 발생층에서의 화재에 의한 오염을 감지했을 때에 화재 감지기(15)의 동작에 연동하는 제1 방화 도어(9) 및 제2 방화 도어(11)가 마련된 층이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바로 윗층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발생층의 바로 밑에 위치하는 층(화재 바로 아랫층)으로 해도 되고, 화재 발생층, 화재 바로 윗층 및 화재 바로 아랫층이라고 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방화 도어(9) 및 제2 방화 도어(11)가 연동하는 층의 설정은 동작 대상층을 화재 발생층이나 화재 바로 윗층, 화재 바로 아랫층 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동작 대상층은 화재에 의한 오염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3)가 고장날 가능성이 높은 층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1 방화 도어(9) 및 제2 방화 도어(11)의 각각이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인접 구획(5) 및 각 외부 구획(6, 7)에서의 화재에 의한 오염의 유무에 관계없이, 방화 도어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4), 인접 구획(5) 및 각 외부 구획(6, 7)에서의 화재에 의한 오염의 유무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방화 도어(9) 및 제2 방화 도어(11)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일방의 외부 구획(6)이 화재에 의해 오염되었을 때에는 제2 방화 도어(11)가 도어 닫힘 동작되어, 외부 구획(6)측의 제2 연통구(10)가 폐쇄된다. 또, 타방의 외부 구획(7)이 화재에 의해 오염되었을 때에는 제2 방화 도어(11)가 동작되어 외부 구획(7)측의 제2 연통구(10)가 폐쇄된다. 또한, 제2 방화 구획(5)이 화재에 의해 오염되었을 때에는 제1 방화 도어(9)가 도어 닫힘 동작되어 제1 연통구(8)가 폐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이상에 의한 운전 중지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비용 증가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 및 방화 도어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과,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에 인접하고, 제1 연통구(連通口)를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에 연통된 인접 구획과, 상기 제1 연통구와 다른 제2 연통구를 통하여 상기 인접 구획에 연통된 외부 구획이 복수의 층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연통구가 제1 방화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제2 연통구가 제2 방화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각 상기 층에 마련된 복수의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관리하는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 및 상기 인접 구획에서의 화재에 의한 오염이 모두 회피되어 있을 때에, 상기 건물에 남겨진 재관자(在館者)를 피난층으로 운반하는 피난 운전을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해 실시 가능으로 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 및 상기 인접 구획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화재에 의해 오염되어 있을 때에, 상기 피난 운전의 실시를 정지하는 피난 운전 지령부를 구비하고,
    각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방화 도어 및 상기 제2 방화 도어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화 도어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
  2. 삭제
  3.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과,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에 인접하고, 제1 연통구(連通口)를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에 연통된 인접 구획과, 상기 제1 연통구와 다른 제2 연통구를 통하여 상기 인접 구획에 연통된 외부 구획이 복수의 층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연통구가 제1 방화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제2 연통구가 제2 방화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각 상기 층에 마련된 복수의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관리하는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 및 상기 인접 구획에서의 화재에 의한 오염이 모두 회피되어 있을 때에, 상기 건물에 남겨진 재관자(在館者)를 피난층으로 운반하는 피난 운전을 상기 엘리베이터에 대해 실시 가능으로 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 및 상기 인접 구획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화재에 의해 오염되어 있을 때에, 상기 피난 운전의 실시를 정지하는 피난 운전 지령부를 구비하고,
    각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방화 도어 및 상기 제2 방화 도어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화 도어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방화 도어 제어부는 각 상기 층에 마련된 상기 제1 방화 도어 및 상기 제2 방화 도어 중, 상기 화재 감지기가 화재에 의한 오염을 감지한 화재 발생층에 대응시켜서 미리 설정된 동작 대상층에 마련된 상기 제1 방화 도어 및 상기 제 2 방화 도어의 각각을 상기 화재 발생층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기의 화재 감지와 연동시켜서 동작시켜, 상기 제1 연통구 및 상기 제2 연통구의 각각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
  4. 엘리베이터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과,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에 인접하고, 제1 연통구를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 구획에 연통된 인접 구획과, 상기 제1 연통구와 다른 제2 연통구를 통하여 상기 인접 구획에 연통된 외부 구획이 복수의 층에 마련된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각 상기 층에 마련된 복수의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연통구를 개폐하는 제1 방화 도어 및 상기 제2 연통구를 개폐하는 제2 방화 도어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화 도어 제어 장치로서,
    각 상기 층에 마련된 상기 제1 방화 도어 및 상기 제2 방화 도어 중, 상기 화재 감지기가 화재에 의한 오염을 감지한 화재 발생층에 대응시켜서 미리 설정된 동작 대상층에 마련된 상기 제1 방화 도어 및 상기 제2 방화 도어의 각각을 상기 화재 발생층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기의 화재 감지와 연동시켜서 동작시켜, 상기 제1 연통구 및 상기 제2 연통구의 각각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도어 제어 장치.
KR1020097013121A 2006-12-15 2006-12-15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 및 방화 도어 제어 장치 KR101006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25067 WO2008072344A1 (ja) 2006-12-15 2006-12-15 火災時避難支援システム、及び防火戸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087A KR20090087087A (ko) 2009-08-14
KR101006811B1 true KR101006811B1 (ko) 2011-01-10

Family

ID=3951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121A KR101006811B1 (ko) 2006-12-15 2006-12-15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 및 방화 도어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13320B2 (ko)
EP (1) EP2096072B1 (ko)
JP (1) JP4907669B2 (ko)
KR (1) KR101006811B1 (ko)
CN (1) CN101563284B (ko)
WO (1) WO2008072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8232B2 (en) * 2006-01-19 2011-05-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vacuation control apparatus for an elevator
JP4932855B2 (ja) * 2007-01-25 2012-05-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KR101203357B1 (ko) * 2007-10-10 2012-11-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KR101202511B1 (ko) * 2008-12-08 2012-11-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FI125122B (fi) * 2010-02-01 2015-06-15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KR101393957B1 (ko) * 2010-03-01 2014-05-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JP5669190B2 (ja) * 2010-12-17 2015-02-1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17098656A1 (ja) * 2015-12-11 2017-06-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火災管制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火災管制方法
WO2019064371A1 (ja) * 2017-09-27 2019-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乗場行先階入力装置、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US11320798B2 (en) * 2017-12-14 2022-05-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trieval system and monitoring system
CN109653629A (zh) * 2017-12-31 2019-04-19 湖南汇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消防安全门的控制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09779445B (zh) * 2017-12-31 2021-05-28 湖南汇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火灾防火门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6591591B2 (ja) * 2018-03-06 2019-10-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診断運転方法、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診断運転プログラム
CN109812175A (zh) * 2018-12-29 2019-05-28 湖南汇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防火门的控制方法与系统
JP7236334B2 (ja) * 2019-06-17 2023-03-0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エレベータ制御装置
CN110304514A (zh) * 2019-07-15 2019-10-08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电梯消防联动方法及系统
CN110589652A (zh) * 2019-09-18 2019-12-20 菱电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火灾人员疏散系统
JP7287382B2 (ja) * 2020-12-22 2023-06-0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0555A (en) * 1977-07-15 1979-02-16 Toshiba Corp Elevator fire controlling system
JP2003199839A (ja) * 2002-01-08 2003-07-15 Bunka Shutter Co Ltd 区画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A (en) * 1841-03-16 Improvement in the mode of harvesting grain
US2009A (en) * 1841-03-18 Improvement in machines for boring war-rockets
US4023146A (en) * 1976-02-03 1977-05-10 Carroll Wayne E Method for computing and evaluating emergency priority and evacuation routes for high rise buildings, mines and the like
JPS60198164A (ja) 1984-03-21 1985-10-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防災用エレベ−タ−装置
JPH0274268A (ja) 1988-09-12 1990-03-14 Shimizu Corp エレベーターホール
JPH07100222A (ja) 1993-10-07 1995-04-18 Fujita Corp 避難階段
US5979607A (en) * 1998-03-31 1999-11-09 Allen; Thomas H. Multiple level building with an elevator system operable as a means of emergency egress and evacuation during a fire incident
JP4006318B2 (ja) * 2002-11-08 2007-1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JP4012802B2 (ja) * 2002-11-08 2007-1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4203623A (ja) * 2002-12-23 2004-07-22 Inventio Ag 建物の人の緊急避難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前記システムを用いた既存の建物の近代化方法
JP2004269154A (ja) * 2003-03-07 2004-09-3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7210564B2 (en) 2003-05-14 2007-05-01 Mitsubishi Denki Dabushiki Kaisha Fire control system for elevator
US7621378B2 (en) * 2005-02-14 2009-11-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and method of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CN101014522B (zh) 2005-09-05 2011-09-28 三菱电机株式会社 组群管理电梯的火灾时避难运转装置
JP5026089B2 (ja) * 2006-01-12 2012-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避難時管理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避難時管理方法
US7938232B2 (en) * 2006-01-19 2011-05-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vacuation control apparatus for an elevator
JP5008983B2 (ja) * 2006-01-20 2012-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4932855B2 (ja) * 2007-01-25 2012-05-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WO2009054065A1 (ja) * 2007-10-26 2009-04-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避難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0555A (en) * 1977-07-15 1979-02-16 Toshiba Corp Elevator fire controlling system
JP2003199839A (ja) * 2002-01-08 2003-07-15 Bunka Shutter Co Ltd 区画形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087A (ko) 2009-08-14
EP2096072A4 (en) 2014-04-02
EP2096072A1 (en) 2009-09-02
JPWO2008072344A1 (ja) 2010-03-25
JP4907669B2 (ja) 2012-04-04
WO2008072344A1 (ja) 2008-06-19
CN101563284A (zh) 2009-10-21
CN101563284B (zh) 2012-08-08
EP2096072B1 (en) 2015-02-11
US20090321190A1 (en) 2009-12-31
US8113320B2 (en)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811B1 (ko) 화재시 피난 지원 시스템, 및 방화 도어 제어 장치
US7743889B2 (en) Elevator control system which operates an elevator in an event of a fire
KR101004226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US7963372B2 (en) Evacuation assistance device for elevator
CN109311626B (zh) 多轿厢电梯的安全控制装置及安全控制方法
US20210101781A1 (en) Safety switching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an elevator installation between a normal operating mode and an inspection operating mode
US20110108365A1 (en) Evacuation supporting system
JP2009062127A (ja) 非常用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011046494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CN114728758A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US8800722B2 (en) Elevator controller
JP6824466B2 (ja) エレベーター
JP2011001196A (ja) 非常用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H1017233A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時運転装置及び運転方法
JP5935433B2 (ja) エレベータの火災時運転システム
JP5463753B2 (ja) 荷物用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5137489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FI118730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rakennuksen tai sen osan evakuoimiseksi
JP3732701B2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JP2008074508A (ja) エレベータの救出運転装置
JP4536362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2469078B1 (ko) 비상통화장치를 활용한 승객 구출 시스템
JP2011153019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106342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H0398983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