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486B1 -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및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 - Google Patents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및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486B1
KR101005486B1 KR1020087010882A KR20087010882A KR101005486B1 KR 101005486 B1 KR101005486 B1 KR 101005486B1 KR 1020087010882 A KR1020087010882 A KR 1020087010882A KR 20087010882 A KR20087010882 A KR 20087010882A KR 101005486 B1 KR101005486 B1 KR 101005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tablet
exhaust pipe
amorphous
amorphous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3110A (ko
Inventor
노리아키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3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24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i.e. for use as seals between dissimilar materials, e.g. glass and metal; Glass s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38Exhausting, degassing, filling, or cleaning vessels
    • H01J9/385Exhausting vess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14Glass frit mixtures having non-frit additions, e.g. opacifiers, colorants, mill-ad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22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containing two or more distinct frit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8Sealing, e.g. seals specially adapted for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54Means for exhausting the g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5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과제) 평면 표시장치용 배기관 등의 봉착시에는 양호하게 유동하고, 또한 그 후에 제공되는 370∼420℃의 배기공정에서 연화 변형하기 어렵고, 배기관이 움직여서 배기구멍을 막거나, 구멍이 뚫려서 기밀성이 손상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 비스무트계 유리에 의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을 얻는 것.
(해결수단)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저융점 유리와 내화성 필러를 함유하는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으로서, 저융점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하기 산화물 환산의 몰% 표시로 Bi2O3 30∼60%, B2O3 10∼40%, ZnO 10∼50%를 함유하고, 또한 내화성 필러는 조성으로서 하기 산화물 환산의 중량% 표시로 SiO2 30∼100%, Al2O3 0∼45%, ZnO 0∼35%, ZrO2 0∼20%, TiO2 0∼20%, Li2O 0∼10%, MgO 0∼25%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

Description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및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AMORPHOUS GLASS TABLET AND TABLET-INTEGRATED EXHAUST TUBE}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라고 칭함) 등의 평면 표시장치용 배기관 등의 봉착에 사용하는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및 이것을 사용한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자부품 및 평면 표시장치 등의 봉착재료로서 유리가 사용되고 있다. 유리는 수지계의 접착제에 비하여 화학적 내구성 및 내열성이 뛰어남과 아울러 평면 표시장치 등의 기밀성을 확보하는데도 적합하다.
이들의 유리는 용도에 따라서는 기계적 강도, 유동성, 전기절연성 등 여러 가지 특성이 요구되지만, 적어도 평면 표시장치 등에 사용되는 형광체의 형광특성 등을 열화시키지 않는 온도에서 사용 가능한 것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상기 특성을 만족시키는 유리로서 유리의 융점을 낮추는 효과가 매우 큰 PbO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납붕산계 유리(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 납붕산계 유리에 함유되는 PbO에 대하여 환경상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어, 납붕산계 유리로부터 PbO를 함유하지 않는 유리로 교체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그 때문에, 납붕산계 유리의 대체품으로서 여러가지 저융점 유리가 개발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특허문헌 2 등에 기재되어 있는 비스무트계 유리(Bi2O3-B2O3계 유리라고도 함)는 화학 내구성, 기계적 강도 등의 여러가지 특성에 있어서 납붕산계 유리와 동등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그 대체 후보로서 기대되고 있다.
그런데, PDP 등의 평면 표시장치에는 그 내부를 배기, 또는 배기 후에 희가스를 충전하는 목적에서 배기관이라고 불리는 유리관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배기관은 배기 공정에 제공되기 전에 평면 표시장치의 패널에 형성된 배기 구멍의 위치와 배기관 선단의 개구부가 일치하도록 부착된다.
배기관의 설치에 있어서는, 배기 설비로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배기관의 경사를 패널에 대하여 가급적으로 저감함과 아울러, 패널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부착하는 것, 또한 평면 표시장치의 발광 능력을 유지하면서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부착하는 것 등이 요구된다. 또한 후공정에 있어서, 배기관이 파손되거나, 부착부가 박리되지 않는 강도로 배기관을 패널에 부착할 필요가 있다.
종래, 배기관의 부착에는 배기관 선단부에 저융점 유리 분말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도포한 후, 패널 상에 배기관을 세운 상태에서 유지하고, 소성하는 방법이 널리 채용되고 있었다. 이 방법에서는 소성시에 유기성분이 분해 휘발해서 평면 표시장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 배기관을 가열하고, 슬러리 도포층의 유기성분을 제거(탈바인더)하는 공정이 행하여진다. 그런데, 이 방법에서는 슬러리 도포층의 유기성분을 제거한 후에 남은 저융점 유리층의 평탄도가 나빠진 다. 이 때문에, 패널 상의 배기관에 경사가 생기기 쉬워져,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태에서 봉착되어버린다. 또한 저융점 유리층과 패널의 간극이 메워지지 않아 기밀성이 유지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그래서, 배기관을 패널에 봉착시키는 방법으로서 유리 분말을 표면 평탄도가 양호한 링상으로 성형 가공한 유리 태블릿(프레스 프릿·유리 소결체·유리 성형체 등으로도 칭해짐)이 사용되고 있다. 유리 태블릿에는 배기관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구멍에 배기관을 삽입하고, 배기관의 선단부를 패널의 배기 구멍의 위치에 맞춘 후, 유리 태블릿의 봉착 온도에서 소성하고, 유리 태블릿을 연화시킴으로써 배기관을 패널에 부착하고 있다.
배기관을 부착한 후에 배기할 때에는, 배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비교적 높은 온도(예를 들면 370∼420℃)에서 배기된다. 이 때, 유리 태블릿이 연화 변형해 배기관이 움직여서 배기 구멍을 막거나, 유리 태블릿에 구멍이 뚫려서 기밀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유리 태블릿에는 370∼420℃정도에서 배기관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정도의 내열성이 요구된다.
상기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 패널에 배기관을 부착한 후에 유리 태블릿이 결정화되는 결정성 유리 태블릿이 사용되고 있다. 패널에 배기관을 부착한 후에 유리 태블릿이 결정화되면, 그 후에 370∼420℃의 온도에서 배기해도 유리 태블릿이 연화 변형될 일이 없고, 배기관이 움직여서 배기 구멍을 막거나, 유리 태블릿에 구멍이 뚫려서 기밀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사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재질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3, 4에 기재된 유리가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소63-31553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평6-24797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2001-122640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공개 2001-10843호 공보
유리 태블릿은, 이하와 같이 복수회의 열공정을 별도 독립적으로 거쳐 제조된다. 우선, 저융점 유리 분말과 내화성 필러 분말을 함유하는 봉착 유리 분말에 바인더나 용제를 첨가하고, 슬러리를 형성한다. 그 후에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 등의 입자화 장치에 투입하고, 봉착 유리 분말의 과립을 제작한다. 그 때, 봉착 유리 분말의 과립은 용제가 휘발하는 온도 영역(100∼200℃정도)에서 열처리된다. 또한, 제작된 봉착 유리 분말의 과립은 소정의 치수로 설계된 금형에 투입되어, 링상으로 건식 프레스 성형되어 프레스체가 제작된다. 다음에 벨트 로 등의 소성로에서 이 프레스체에 잔존하는 바인더를 분해 휘발시킴과 아울러 저융점 유리의 연화점 정도에서 소결되어 유리 태블릿이 제작된다. 또한 소성로에 있어서의 소성은 복수회 행하여질 경우가 있고, 소성을 복수회 행하면 유리 태블릿의 소결 강도가 향상되어 유리 태블릿의 결손, 파괴 등을 억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리 태블릿에 사용하는 저융점 유리는, 복수회의 열공정을 별도 독립적으로 거치는 유리 태블릿의 제조공정에서 결정이 석출하지 않는 정도의 열적 안정성이 요구된다. 유리 태블릿의 제조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에 결정이 소량이라도 석출되면, 봉착공정에서 배기관이 평면 표시장치의 패널에 봉착되기 전에 유리 태블릿이 결정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유리 태블릿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없음과 아울러 평면 표시장치 내의 기밀성을 담보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여러 가지의 결정성 유리를 이용하여 결정성 유리 태블릿을 제작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질량백분률 표시로 80%이상 또한 98.99%미만의 PbO-ZnO-B2O3-SiO2계 결정성 저융점 유리의 분말, 0.01∼5%의 지르콘 분말, 1%초과 또한 19.99%이하의 α-알루미나 분말 및 0∼10%의 저팽창 세라믹스 필러로부터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에, α-4PbO·B2O3 결정분말과 Pb3O4 분말의 적어도 1종이 합량으로 0.0001∼3% 외부비율로 첨가되어 있는 봉착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봉착용 조성물은 소량의 결정종의 첨가에 의해 유리 내에 석출되는 결정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제작에 있어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 봉착용 조성물은 납붕산계 유리이며, 최근의 환경적 관점에서 납 삭감 요구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P2O5-SnO계 유리에, WO3, ZrO2 및 Nb2O5 성분을 도입함으로써 유리의 결정화가 촉진되어 화학적 내구성 및 내열성이 향상되고, 또한 양호한 유동성을 나타내고, 강고한 접착 강도를 갖는 결정성 저융점 유리가 얻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고, 또한 상기 결정성 저융점 유리의 분말에 저열팽창 내화성 필러를 첨가함으로써 봉착 온도의 상승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양호한 유동성을 유지하면서, 한층더 작은 열팽창계수(α)를 갖고, 또한 강고한 접착 강도를 갖는 봉착용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산화물 기준의 몰%로 나타내어 P2O5 20∼45%, SnO 45∼75%, WO3 0.5∼10%, MgO 0∼10%, CaO 0∼10%, SrO 0∼10%, BaO 0∼10%, SiO2 0∼5%, B2O3 0∼5%, Al2O3 0∼5%, ZrO2 0.1∼5%, Nb2O5 0.1∼10%의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결정성 저융점 유리가 기재되어 있다. 이 결정성 저융점 유리는 유리 조성 내에 PbO를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최근의 납 삭감 요구를 만족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결정성 저융점 유리는 주성분으로서 SnO를 함유하고 있고, SnO는 유리 태블릿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첨가되는 바인더의 열분해에 의해 용이하게 산화되어 SnO2가 된다. 유리 내의 SnO가 SnO2로 산화되면 유리에 결정이 현저하게 석출되고, 복수회의 열처리공정을 거치는 유리 태블릿을 제작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유리 태블릿의 제조공정에서 유리 분말에 바인더를 첨가하지 않으면 제조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 문제는 심각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비스무트계 유리는 열적 안정성 등의 특성에 있어서 여전히 납붕산계 유리의 특성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실정이다. 즉, 비스무트계 유리는 납붕산계 유리에 비해서 열에 대하여 불안정하기 때문에, 열처리에 의한 결정의 석출을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 결정의 석출 시기가 빠르면 유리 태블릿으로 배기관을 봉착 할 수 없고, 유리 태블릿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없음과 아울러 평면 표시장치 내의 기밀성을 담보할 수 없다. 한편, 결정의 석출이 느리면 배기 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이 용이하게 연화 변형되어 배기관이 움직여서 배기 구멍을 막거나, 유리 태블릿에 구멍이 뚫려서 평면 표시장치 내의 기밀성을 담보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사정으로부터 결정 석출의 제어가 요구되는 비스무트계 유리로 구성되는 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평면 표시장치 내의 기밀성을 담보하는 것이 곤란하고, 특히, 평면 표시장치용 배기관의 봉착에 사용하는 것이 곤란해서, 아직 실용화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결정 석출의 제어가 불필요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을 사용하는 방법도 채용 가능하지만, 종래의 비스무트계 유리에 의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370∼420℃의 온도에서 배기하면 유리 태블릿이 용이하게 연화 변형되어 배기관이 움직여서 배기 구멍을 막거나, 유리 태블릿에 구멍이 뚫려서 기밀성이 손상된다. 이 경우, 배기 공정에서 로 내를 유리전이점 미만의 저온으로 유지하면 상기 사태는 생기지 않지만, 평면 표시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배기 공정시의 온도를 저하하면 배기 시간을 매우 길게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제조 효율의 저하는 현저하고, 유효한 조치로는 안되다.
그래서, 본 발명은 평면 표시장치용 배기관 등의 봉착시에는 양호하게 유동하고, 또한 그 후에 제공되는 370∼420℃의 배기 공정에서 연화 변형하기 어려워, 배기관이 움직여서 배기 구멍을 막거나, 구멍이 뚫려서 기밀성이 손상되는 사태가 생기지 않는 비스무트계 유리에 의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을 얻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예의 노력의 결과, 저융점 유리와 내화성 필러를 함유하는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있어서, 저융점 유리를 하기 산화물 환산의 몰% 표시로 Bi2O3 30∼60%, B2O3 10∼40%, ZnO 10∼50%의 범위로 규제하고, 내화성 필러의 조성을 하기 산화물 환산의 중량% 표시로 SiO2 30∼100%, Al2O3 0∼45%, ZnO 0∼35%, ZrO2 0∼20%, TiO2 0∼20%, Li2O 0∼10%, MgO 0∼25%로 규제함으로써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으로서 제안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비결정성」이란, 매크로형 시차열 분석장치에 있어서 10℃/분으로 승온했을 때 500℃이하의 온도에서 결정화 피크가 검출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평면 표시장치 등의 봉착은 통상, 550℃이하에서 행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평면 표시장치 등의 봉착층에 유리 광택이 있으면 「비결정성」 유리가 사용된 것으로서 취급해도 관계없다. 또한 「저융점 유리」란 매크로형 시차열 분석장치로 측정했을 때의 유리의 연화점이 500℃이하인 유리를 가리킨다. 또한, 「연화점」은 매크로형 시차열 분석장치로 측정하고,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굴곡점의 온도(TB)를 가리키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있어서, 저융점 유리의 유리 조성을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제하면 유리의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복수회의 열처리 공정을 거치는 유리 태블릿의 제조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에 결정이 석출되고, 유리 태블릿의 사용시에 석출된 결정이 성장한다고 하는 사태가 생기지 않는다. 그 결과, 결정의 석출에 기인하는 유리 태블릿의 유동성의 저하가 생기지 않아, 평면 표시장치 내의 기밀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평면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 봉착 온도를 500℃이상으로 해도 결정의 석출에 기인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평면 표시장치의 제조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조성은 열적 안정성이 뛰어나는 것에 추가로, 유리의 연화점이 낮고, 유리의 유동성이 뛰어나는 특징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유리의 유동성이 좋기 때문에 패널과 유리 태블릿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응도 충분하게 진행되고, 패널과 배기관의 봉착 강도를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배기관이 봉착 부분에 기인해서 결손, 박리할 일이 없고, PDP의 장기신뢰성의 유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실투에 의한 유동성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는 것에 추가로, 유리의 연화점이 낮기 때문에 봉착재료 본래의 양호한 유동성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봉착공정에 있어서 저융점 유리가 양호하게 유동함으로써 배기관의 봉착에 있어서 적확한 봉착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유리 태블릿과 배기관 및 유리 태블릿과 패널간의 계면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봉착온도가 480℃이하에서도 양호하게 유동하기 때문에, 평면 표시장치 등의 제조 효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유리는 Bi2O3, B2O3, ZnO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리이며, PbO를 함유하고 있지 않아도 양호한 열적 안정성 및 유동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최근의 환경적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있어서, 내화성 필러의 조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제되어 있다. 여기에서, 내화성 필러에는 세라믹 등의 결정물, 유리 등의 비정질의 쌍방이 포함된다. 내화성 필러가 결정물인 경우, 결정물의 구성 성분이 중량% 환산으로 상기 범위 내이면 본 발명에 따른 내화성 필러라고 판단한다. 또한, 내화성 필러의 구성 성분은 명시되어 있지 않은 성분의 함유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명시되어 있지 않은 성분은 ZrO2, TiO2, Li2O, MgO와 마찬가지로 임의 성분이다. 내화성 필러의 조성을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제하면, 평면 표시장치 등의 봉착공정에서 내화성 필러의 성분의 일부(내화성 필러의 표층부분)를 저융점 유리에 용해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화성 필러의 융점은 유리의 융점보다 수백℃이상 높다. 따라서, 평면 표시장치의 봉착공정에서 필러의 일부를 유리에 적절하게 용해시킬 수 있으면, 봉착공정 후에 유리 태블릿의 융점을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후에 제공되는 370∼420℃의 배기 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이 용이하게 연화 변형되는 일이 없어짐과 아울러, 배기관이 움직여서 배기 구멍을 막거나, 구멍이 뚫려서 기밀성이 손상되는 사태가 생기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유리가 비결정성임에도 불구하고 결정성 유리 태블릿과 같은 이익을 향수할 수 있는 것에 더해서, 당연히 결정성 유리 태블릿이 갖는 결정의 석출에 기인하는 문제가 생길 일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화성 필러의 조성을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제함으로써 봉착공정에서 내화성 필러의 용해량을 적절한 범위로 제어하기 쉬워짐과 아울러, 봉착공정 후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융점상승 효과를 최대한으로 향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내화성 필러는 조성을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제함으로써 내화성 필러의 표층부분만을 용해시킬 수 있고, 내화성 필러의 본래의 효과, 예를 들면 저팽창화 효과, 기계적 강도향상 효과 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봉착공정 후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융점상승 효과를 향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화성 필러는 비스무트계 유리와 상성(적합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봉착공정에서 내화성 필러의 일부가 유리에 용해되어도 유리 태블릿의 열적 안정성이 손상될 일이 없고, 봉착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에 결정이 석출될 일이 없다.
일반적으로, 유리 태블릿 제조공정의 열처리 온도는 봉착 온도에 비해서 저온임과 아울러 열처리 시간도 10분정도로 짧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내화성 필러는 유리 태블릿의 제조공정에서 용해되기 어렵고, 유리 태블릿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에 기인하여 유리 태블릿의 유동성이 손상될 일은 없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 표시장치용 배기관 등의 봉착시에는 양호하게 유동하고, 또한 그 후에 제공되는 370∼420℃의 배기 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이 용이하게 연화 변형되는 일이 없음과 아울러, 배기관이 움직여서 배기 구멍을 막거나, 구멍이 뚫려서 기밀성이 손상되는 사태가 생기지 않는 비스무트계 유리에 의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을 얻을 수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저융점 유리와 내화성 필러를 함유하는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있어서, 저융점 유리가 유리 조성으로서 하기 산화물 환산의 몰% 표시로 Bi2O3 30∼60%, B2O3 10∼40%, ZnO 10∼50%, BaO + SrO + MgO + CaO 0∼15%, CuO 0∼10%, Fe2O3 0∼5%, SiO2 + Al2O3 0∼15%, WO3 0∼5%, Sb2O3 0∼5%, In2O3 + Ga2O3 0∼5%를 함유하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셋째로,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체적% 표시로 저융점 유리 40∼95%, 내화성 필러 5∼60%을 함유하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넷째로,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내화성 필러가 코디어라이트(2MgO·2Al2O3·5SiO2)를 주결정으로 하는 결정물인 것에 특징지어진다.
다섯째로,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실질적으로 PbO를 함유하지 않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PbO를 함유하지 않는다」라고 하는 것은 PbO의 함유량이 1000ppm이하인 경우를 가리킨다.
여섯째로,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연화점이 350∼470℃인 것에 특징지어진다. 여기에서, 「연화점」은 매크로형 시차열 분석장치로 측정한 값을 가리킨다.
일곱번째로,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굴복점을 T1(℃)로 하고, 480℃에서 30분간 소성한 후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굴복 점을 T2(℃)로 했을 때에, T2-T1≥5℃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여기에서, 「굴복점」이란 압봉식 열팽창 측정(TMA) 장치로 측정한 값을 가리킨다. 또한, 480℃에서 30분간 소성에 있어서의 승강온 속도는 2℃/분이며, 실온으로부터 승온을 개시하여 실온이 된 시점에서 강온을 종료한다.
여덟번째로,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평면 표시장치용 배기관의 봉착에 사용하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아홉번째로,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PDP용 배기관에 사용하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열번째로, 본 발명의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은 확경된 배기관의 선단부에 상기 어느 하나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이 부착되어 있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여기에서, 「배기관의 선단부」란 확경화된 배기관의 표면 부위를 가리키고, 확경화된 부분에 있어서 패널과 접하는 측의 배기관 저면 및 배기관 외주 측면을 가리킨다. 또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배기관의 선단부에만 접착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배기관의 선단부의 일부에 접착되는 형태를 포함한다.
열한번째로, 본 발명의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은 확경된 배기관의 선단부에 상기 어느 하나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과, 고융점 태블릿이 부착되어 있고, 또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이 확경된 배기관의 선단부측에 부착되고, 고융점 태블릿이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보다 후단부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또한 「고융점 태블릿」이란 내열성이 520℃이상의 재료(유리의 경우에는 매크로형 시차열 분석장치로 측정했을 때의 연화점이 520℃이상)를 이용하여 제작한 태블릿을 가리킨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평면 표시장치용 배기관 등의 봉착시에는 양호하게 유동하고, 또한 그 후에 제공되는 370∼420℃의 배기 공정에서 용이하게 연화 변형되는 일이 없어, 배기관이 움직여서 배기 구멍을 막거나, 구멍이 뚫려서 기밀성이 손상되는 사태가 생기지 않는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유리가 비결정성임에도 불구하고, 봉착공정 후에 유리 태블릿의 연화점을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정성 유리 태블릿과 같은 이익을 향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태블릿은 비결정성이기 때문에, 유리 태블릿의 제조공정 및 평면 표시장치의 봉착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에 결정이 석출할 일이 없고, 결정 석출의 제어가 매우 어려운 결정성 유리 태블릿이 갖는 결정의 석출에 기인하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결정성 유리 태블릿과 동등이상의 특성을 갖고 있고, 특히 비스무트계 유리는 납붕산계 유리에 비해서 열적 안정성이 부족하고, 결정성 유리 태블릿을 양산할 수 없었던 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이 초래하는 효과는 크다고 생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매크로형 시차열 분석장치로 측정했을 때의 유리의 연화점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기관 2 :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3 : 고융점 태블릿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있어서 저융점 유리의 유리 조성을 상기한 바와 같이 한정한 이유를 하기에 나타낸다.
Bi2O3는 연화점을 낮추기 위한 주요 성분이다. 그 함유량은 30∼60몰%, 바람직하게는 35∼5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5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45몰%이다. Bi2O3의 함유량이 30몰%보다 적으면 유리의 연화점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500℃이하의 저온에서 봉착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Bi2O3의 함유량이 60몰%보다 많으면 유리가 열적으로 불안정해져 용융시 또는 소성시에 유리가 실투하기 쉬워진다.
B2O3는 비스무트계 유리의 유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성분이며, 필수 성분이다. 그 함유량은 10∼40몰%, 바람직하게는 12∼3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5몰%이다. B2O3의 함유량이 10몰%보다 적으면 유리가 열적으로 불안정해져 용융시 또는 소성시에 유리가 실투하기 쉬워진다. 한편, B2O3의 함유량이 40몰%보다 많으면 유리의 점성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500℃ 이하의 저온에서 봉착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ZnO는 유리의 용융시 또는 소성시의 실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성분이다. 그 함유량은 10∼50몰%, 바람직하게는 12∼4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5몰%이다. ZnO의 함유량이 10몰%보다 적으면 유리의 용융시 또는 소성시의 실투를 억제하는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ZnO의 함유량이 50몰%보다 많으면 유리 조성 내의 밸런스를 파괴하여, 반대로 유리의 열적 안정성이 손상되고, 그 결과 유리가 실투하기 쉬워진다.
BaO, SrO, MgO, CaO는 유리의 용융시 또는 소성시의 실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들의 성분은 합량으로 15몰%까지 함유시킬 수 있다. 이들의 성분의 합량이 15몰%보다 많아지면 유리의 연화점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500℃ 이하의 저온에서 봉착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BaO의 함유량은 1∼10몰%가 바람직하고, 2∼6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BaO의 함유량이 1몰%보다 적으면 유리의 용융시 또는 소성시의 실투를 억제하는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ZnO의 함유량이 10몰%보다 많으면 유리 조성 내의 밸런스를 파괴하여, 반대로 유리의 열적 안정성이 손상되고, 그 결과 유리가 실투하기 쉬워진다.
SrO2, MgO, CaO의 각각의 함유량은 0∼5몰%가 바람직하고, 0∼2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각 성분의 함유량이 5몰%보다 많으면 유리가 실투나 분상하기 쉬워진다.
CuO는 유리의 용융시 또는 소성시의 실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10몰%까지 첨가할 수 있다. CuO의 함유량이 10몰%보다 많으면 유리가 실투하기 쉬워져 유리의 유동성이 손상되기 쉬워진다.
Fe2O3는 유리의 용융시 또는 소성시의 실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그 함유량은 0∼5몰%가 바람직하고, 0.1∼2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Fe2O3의 함유량이 5몰%보다 많으면 유리 조성 내의 균형을 파괴하고, 역으로 유리의 열적 안정성이 손상되고, 그 결과 유리가 실투하기 쉬워진다.
SiO2, Al2O3는 유리의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그 함유량은 합량으로 0∼15몰%가 바람직하고, 0∼10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성분의 합량이 15몰%보다 많으면 유리의 연화점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500℃ 이하의 저온에서 봉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특히, SiO2의 함유량은 0∼10몰%가 바람직하고, 0∼5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Al2O3의 함유량은 0∼5몰%가 바람직하고, 0∼2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WO3는 유리의 실투를 억제하기 위한 성분이며, 그 함유량은 0∼5몰%가 바람직하고, 0∼2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비스무트계 유리에 있어서 유리의 연화점을 낮추기 위해서는 Bi2O3의 함유량을 많게 할 필요가 있지만, Bi2O3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소성 중에 유리로부터 결정이 석출되어 유리의 유동성이 저해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Bi2O3의 함유량이 40몰%이상인 경우 그 경향이 현저해진다. 그러나, 비스무트계 유리에 있어서 WO3를 적당하게 첨가함으로써 Bi2O3의 함유량이 40몰%이상이여도 유리의 열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사태를 억지할 수 있다. 단, WO3의 함유량이 5몰%보다 많아지면 유리 조성 내의 밸런스를 파괴하여, 반대로 유리의 열적 안정성이 손상되고, 그 결과, 유리가 실투하기 쉬워진다.
Sb2O3는 유리의 실투를 억제하기 위한 성분이며, 그 함유량은 0∼5몰%가 바람직하고, 0∼2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Sb2O3는 비스무트계 유리의 네트워크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비스무트계 유리에 있어서 Sb2O3를 적당하게 첨가하는 것에 의해 Bi2O3의 함유량이 40몰%이상이여도 유리의 열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사태 를 억지할 수 있다. 단, Sb2O3의 함유량이 5몰%보다 많아지면 유리 조성 내의 밸런스를 파괴하여, 반대로 유리의 열적 안정성이 손상되고, 그 결과, 유리가 실투하기 쉬워진다.
In2O3, Ga2O3는 필수성분은 아니지만, 유리의 실투를 억제하기 위한 성분이며, 그 함유량은 합량으로 0∼5몰%가 바람직하고, 0.1∼3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Sb2O3는 비스무트계 유리의 네트워크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비스무트계 유리에 있어서 In2O3, Ga2O3를 적당하게 첨가함으로써 Bi2O3의 함유량이 40몰%이상이여도 유리의 열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사태를 억지할 수 있다. 단, In2O3, Ga2O3의 함유량이 5몰%보다 많아지면 유리 조성 내의 밸런스를 파괴하여, 반대로 유리의 열적 안정성이 손상되고, 그 결과 유리가 실투하기 쉬워진다. 또한, In2O3의 함유량은 0∼5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Ga2O3의 함유량은 0∼2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Li, Na, K 및 Cs의 산화물은 유리의 연화점을 낮게 하는 성분이지만, 용융시에 유리의 실투를 촉진하는 작용을 갖기 때문에 합량으로 2몰%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P2O5는 용융시의 실투를 억제하는 성분이지만, 첨가량이 1몰%보다 많으면 용융시에 유리가 분상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MoO3, La2O3, Y2O5, CeO2 및 Gd2O3는 용융시에 유리의 분상을 억제하는 성분이 지만, 이들의 합량이 3몰%보다 많으면 유리의 연화점이 높아져서 500℃이하의 온도에서 소성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그 밖의 성분이여도, 유리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5몰%까지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있어서 내화성 필러의 조성을 상기한 바와 같이 한정한 이유를 하기에 나타낸다.
SiO2는 봉착공정 후에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융점을 상승시키는 성분임과 아울러, 내화성 필러의 열팽창계수를 저하시키는 성분이며, 그 함유량은 30∼100중량%, 바람직하게는 35∼8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70중량%이다. SiO2의 함유량이 30중량%보다 적으면 봉착공정 후에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융점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부족해진다. 또한, Si02는 단독으로 내화성 필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Al2O3는 봉착공정 후에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융점을 상승시키는 성분이며, 그 함유량은 0∼45중량%, 바람직하게는 10∼40중량%이다. Al2O3의 함유량이 45중량%보다 많으면 봉착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에 결정이 석출하기 쉬워진다.
ZnO는 내화성 필러의 열팽창계수를 저하시키기 위한 성분이며, 그 함유량은 0∼35중량%, 바람직하게는 0∼30중량%이다. ZnO의 함유량이 35중량%보다 많으면 내화성 필러의 열팽창계수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부족하게 되는 것에 추가로, 봉착공정에 있어서의 내화성 필러의 용출량이 적어진다.
ZrO2는 봉착공정 후에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융점을 상승시키는 성분이며, 그 함유량은 0∼20중량%이다. ZrO2의 함유량이 20중량%보다 많으면 봉착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에 결정이 석출하기 쉬워진다.
TiO2는 내화성 필러의 열팽창계수를 저하시키기 위한 성분이며, 그 함유량은 0∼20중량%이다. TiO2의 함유량이 20중량%보다 많으면 봉착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에 결정이 석출하기 쉬워진다.
Li2O는 봉착공정에 있어서의 내화성 필러의 용출을 촉진하기 위한 성분이며, 그 함유량은 0∼10중량%이다. Li2O의 함유량이 10중량%보다 많으면 봉착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에 결정이 석출하기 쉬워진다.
MgO는 봉착공정 후에 있어서의 내화성 필러의 용출을 촉진하기 위한 성분이며, 그 함유량은 0∼25중량%, 바람직하게는 0∼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이다. MgO의 함유량이 25중량%보다 많으면 봉착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에 결정이 석출하기 쉬워진다.
또한 그 밖의 성분은 내화성 필러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바람직하게는 10중량%까지)에서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있어서, 내화성 필러는 상기 조성 범위 내이면 유리 및 결정물의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지만, 내화성 필러로서 결정물을 사용하면 내화성 필러의 열팽창계수를 낮게,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기계적 강 도를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내화성 필러로서 유리를 사용하면 내화성 필러의 용출량을 많게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봉착공정 후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융점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커진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성 필러는 코디어라이트, β-석영 고용체, 아연 페탈라이트(petalite), β-유크립타이트(eucryptite), 가나이트 등을 주결정으로 하는 결정물 또는 석영유리는, 열팽창계수가 낮음과 아울러 봉착공정 후의 융점 상승 효과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코디어라이트를 주결정으로 하는 결정물은 봉착공정에서 내화성 필러가 유리에 용해되는 양이 많고, 봉착공정 후의 융점상승 효과가 클뿐만 아니라 비스무트계 유리와 상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내화성 필러의 용해량이 많아도 유리의 열적 안정성을 손상할 일이 없는, 즉 봉착공정에서 결정의 석출을 촉진시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의 기계적 강도 등을 상승시키는 목적에서 상기 조성을 갖는 내화성 필러 이외의 내화성 필러(예를 들면 산화주석,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등)를 적당하게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성 필러에 있어서, 레이저 회절 입도분포 측정장치로 측정했을 때의 5㎛이하의 입자 비율(적산값)은 15%이상이 바람직하고, 20%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35%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화성 필러의 5㎛이하의 입자 비율이 15%보다 작으면 봉착공정에서 내화성 필러가 유리에 용해되는 양이 적어지고, 그 결과, 봉착공정 후의 융점 상승 효과가 얻기 어려워진다.
봉착공정에서 내화성 필러가 유리에 용해되는 양은 내화성 필러의 비표면적이 클수록 많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성 필러에 있어서, BET 비표면적 측정장 치로 측정했을 때의 비표면적값은 0.5∼3.5㎡/g이 바람직하고, 0.6∼1.2㎡/g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화성 필러의 비표면적값이 0.5㎡/g 보다 작으면 봉착공정에서 내화성 필러가 유리에 용해되는 양이 지나치게 많아져, 유리 태블릿의 유동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내화성 필러의 비표면적값이 3.5㎡/g보다 많으면 봉착공정에서 내화성 필러가 유리에 용해되는 양이 적어지고, 그 결과, 봉착공정 후의 융점 상승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저융점 유리(저융점 유리 분말)와 내화성 필러(내화성 필러 분말)의 혼합 비율은 저융점 유리가 40∼95체적%, 내화성 필러 5∼60체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저융점 유리가 40∼90체적%, 내화성 필러 10∼60체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양자의 비율을 이렇게 규정한 이유는, 내화성 필러가 5체적%보다 적으면 열팽창계수를 저하시키는 효과나 기계적 강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고, 60체적%보다 많아지면 유리 태블릿의 유동성이 나빠져서 기밀봉착을 할 수 없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면 고변형점 유리(열팽창계수 85×10-7/℃), 소다 판유리(열팽창계수 90×10-7/℃) 등의 봉착을 행할 경우,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열팽창계수는 피봉착물에 대하여 10∼30×10-7/℃정도 낮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봉착 후에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가해지는 변형을 압축측으로 해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파괴를 막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실질적으로 PbO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 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저융점 유리 및 내화성 필러에 대해서 PbO를 함유하지 않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을 실질적으로 PbO를 함유하지 않는 형태로 하면, 최근의 환경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있어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연화점은 350∼470℃가 바람직하고, 390∼450℃가 보다 바람직하다.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연화점이 350℃보다 낮으면 봉착공정에서 내화성 필러의 용해량을 매우 많게 하지 않으면, 그 후에 제공되는 배기 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이 용이하게 연화 변형하고, 배기관이 움직여서 배기 구멍을 막거나, 유리 태블릿에 구멍이 뚫려서 기밀성이 손상된다.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연화점이 450℃보다 높으면 봉착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이 충분하게 유동하지 않고, 평면 표시장치 내의 기밀성을 담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있어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굴복점을 T1(℃)로 하고, 480℃에서 30분간 소성한 후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굴복점을 T2(℃)로 했을 때에, T2-T1≥5℃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T2-T1≥7℃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T2-T1≥1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2-T1<5℃이면 봉착공정 후의 유리 태블릿의 연화점 상승 효과가 부족하여 본 발명이 갖는 특유한 효과를 향수하기 어렵다. 즉, T2-T1<5℃이면, 배기 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이 용이하게 연화 변형하고, 배기관이 움직여서 배기 구 멍을 막거나, 유리 태블릿에 구멍이 뚫려서 기밀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T2-T1≥5℃의 관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화성 필러의 재질을 선정함과 아울러 그 입도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유효하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있어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굴복점을 T1(℃)로 하고, (연화점+50)℃의 온도에서 30분간 소성한 후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굴복점을 T3(℃)로 했을 때에, T3-T1≥5℃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T3-T1≥7℃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T3-T1≥10℃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3-T1<5℃이면 봉착공정 후의 유리 태블릿의 연화점 상승효과가 부족하여 본 발명이 갖는 특유한 효과를 향수하기 어렵다. 즉, T3-T1<5℃이면 배기 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이 용이하게 연화 변형하고, 배기관이 움직여서 배기 구멍을 막거나, 유리 태블릿에 구멍이 뚫려서 기밀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T3-T1≥5℃의 관계를 만족시키기 위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화성 필러의 재질을 선정함과 아울러 그 입도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유효하다. 여기에서, 「(연화점+50)℃의 온도에서 30분간 소성」에 있어서의 승강온 속도는 2℃/분이며, 실온으로부터 승온을 개시하고, 실온이 된 시점에서 강온을 종료한다. 또한 T3의 측정 시료는, 별도,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제작에 제공하는 분말시료의 연화점을 매크로형 시차열 분석장치로 측정한 후에, 새롭게 같은 분말시료를 연화점보 다 10℃ 높은 온도에서 30분간 소성한 것을 사용한다. 또, 이 소성에 있어서의 승강온 속도는 2℃/분이며, 실온으로부터 승온을 개시하고, 실온이 된 시점에서 강온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평면 표시장치용 배기관의 봉착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DP, 필드 에미션 디스플레이(FED) 등의 평면 표시장치는, 그 내부를 진공으로 하기 위해서 배기관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배기관의 봉착에는 평면 표시장치의 내부의 기밀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통상 유리가 사용된다. 또한 배기관을 봉착한 후는 배기관을 통해서 진공펌프 등에 의해 평면 표시장치 내부를 고진공 상태로 한다. 이 때, 평면 표시장치 내부를 단시간에 고진공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고온에서 배기할수록 유리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봉착공정 후에 연화점이 상승하기 때문에, 그 후에 제공되는 배기 공정의 열처리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평면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PDP의 배기 공정에 있어서 배기 온도를 상승시키면 배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고, 구체적으로는 배기 온도를 상승시키면 배기에 요하는 시간을 수십시간으로부터 10시간정도로 단축할 수 있음과 아울러, PDP의 장치 내부를 고진공으로 할 수 있다. PDP의 장치 내부를 고진공으로 할 수 있으면, 장치 내부의 부착 불순물의 함유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내부에서 뒤에 봉입되는 희가스 성분의 순도를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PDP의 발광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봉착공정 후에 연화점이 상승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청에 적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 태 블릿은 비결정성이기 때문에, 상기의 이점에 더해서, 유리 태블릿의 제조공정 및 평면 표시장치의 봉착공정에서 유리 태블릿에 결정이 석출할 일이 없고, 결정 석출의 제어가 어려운 결정성 유리 태블릿이 갖는 결정의 석출에 기인하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특히, PDP의 제조공정은 열처리가 다른 평면 표시장치에 비해서 장시간이며, 결정성 유리 태블릿을 사용하면 결정 석출의 제어가 매우 곤란해지기 때문에, PDP용 배기관의 봉착에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을 사용하는 의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특별히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링상, 원기둥상,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여러가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배기관의 봉착을 상정했을 경우,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형상은 패널의 배기 구멍을 막는 일 없이 배기관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링상(바람직하게는, 단차가 있는 링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있어서, 충전율은 65%이상(바람직하게는70%이상, 특히 75%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봉착공정에서 치수변화를 적게 할 수 있고, 비결정성 태블릿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충전율」이란 {(비결정성 태블릿의 실측밀도)/(비결정성 태블릿의 이론밀도)}×100(%)의 값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이하와 같이 복수회의 열공정을 별도 독립적으로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저융점 유리 분말과 내화성 필러 분말을 함유하는 봉착 유리 분말에 바인더나 용제를 첨가하고, 슬러리를 형성한다. 그 후에 이 슬러리를 스프레이 드라이어 등의 입자화 장치에 투입하고, 봉착 유리 분말의 과립을 제작한다. 그 때, 과립은 용제가 휘발하는 정도의 온도(100∼200℃정도)에서 열처리된다. 과립의 입도는 20∼250㎛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금형에의 충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작된 과립은 소정의 치수로 설계된 금형에 투입되어, 링상으로 건식 프레스 성형되어 프레스체가 제작된다. 다음에 벨트로 등의 소성로에서 이 프레스체에 잔존하는 바인더를 분해 휘발시킴과 아울러 저융점 유리의 연화점 정도로 소성되어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이 제작된다. 또한 소성로에 있어서의 소성은 복수회 행하여질 경우가 있고, 소성을 복수회 행하면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강도가 향상되어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결손, 파괴 등을 억지할 수 있다.
봉착 유리 분말에 첨가하는 용매로서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α-터피네올, 고급 알코올, γ-부틸락톤(γ-BL), 테트라린, 부틸카르비톨아세테이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이소아밀,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톨루엔, 3-메톡시-3-메틸부탄올, 물,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메틸술폭시드(DMSO), N-메틸-2-피롤리돈 등이 사용 가능하다. 특히, DMF, 톨루엔은 적당한 비점을 갖고 있고, 수지 등의 용해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봉착 유리 분말에 첨가하는 바인더로서는, 아크릴수지, 에틸셀룰로오스, 폴 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메틸스티렌, 폴리에틸렌카보네이트,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등이 사용 가능하다. 특히, 아크릴수지, 저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열분해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확경된 배기관의 선단부에 부착해서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하면, 패널,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및 배기관의 3개의 부품을 배기 구멍에서의 중심 위치맞춤을 동시에 행할 필요가 없어, 배기관 부착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러한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배기관에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을 삽입한 상태에서 소성하고,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을 배기관의 선단부에 접착시켜 둘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배기관을 지그에 의해 고정하고, 이 상태의 배기관에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을 삽입해 소성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배기관을 고정하는 지그는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이 융착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카본 지그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배기관과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접착은 저융점 유리의 연화점 부근에서 5∼10분정도의 단시간에 행하면 좋고, 이 배기관과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접착 공정에서 내화성 필러가 저융점 유리가 용해되는 양은 극소량이며,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연화점이 부당하게 상승할 일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열적 안정성이 양호해서, 배기관과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접착 공정에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결정이 석출될 일이 없음과 아울러, 평면 표시장치의 봉착공정에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부당하게 결정이 석출될 일이 없다.
배기관으로서는, 니폰 덴키 가라스사 제의 상품 그레이드「FE-2」가 바람직하다. 이 배기관은 열팽창계수가 85×10-7/℃이며, 내열온도는 550℃이다. 또한 예를 들면 외경 5mm, 내경 3.5mm의 배기관이 이용 가능하다. 배기관으로서 선단부에 플레어부 또는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배기관의 선단부분을 확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관의 선단부분을 확경화하는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배기관의 선단부를 회전시키면서 가스버너를 이용하여 가열하고, 수종류의 지그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방법이 양산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1에 이러한 구성의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은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의 단면도이며, 배기관(1)의 선단부가 확경화되어 있고, 배기관의 패널측의 선단부분에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2)이 접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확경된 배기관의 선단부에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과 고융점 태블릿이 부착되어 있고, 또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이 확경된 배기관의 선단부측에 부착되고, 고융점 태블릿이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보다 후단부측에 부착된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을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이 배기관의 선단부측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패널 등에 배기관을 부착할 때에 패널 등과 접촉하는 면적은 배기관만의 경우보다 넓어져, 안정되게 패널 등 위에 배기관을 자립시킬 수 있고, 패널 등에 대하여 기울지 않고 수직으로 부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태블릿 일 체형 배기관을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을 제조하는 공정에 있어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을 배기관에 고정시킬 때에 지그와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사이에 고융점 태블릿을 배치시킴으로써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을 제조할 수 있고, 즉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의 제조에 있어서 특수한 지그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서 제조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에 있어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바람직하게는 유리관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고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리관의 선단부의 외주면에만 고착되고, 유리관 선단부의 선단면, 즉 패널 등과 접착하는 면에는 고착되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패널 등에 형성된 배기 구멍으로의 유리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고융점 태블릿은 배기관에 직접 접착하지 않고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을 통해서 배기관에 고착하면, 봉착공정에서 고융점 태블릿 부분을 클립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배기관을 가압 봉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고융점 태블릿으로서는, 니폰 덴키 가라스사 제의 상품 그레이드「ST-4」, 「FN-13」을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융점 태블릿은 상술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고융점 태블릿으로서 세라믹스 또는 금속을 재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에 이러한 구성의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의 단면도이며, 배기관(1)의 선단부가 확경되어 있고, 배기관(1)의 플랜지 부분(1a) 외주면측의 선단부분에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2)이 접착되어 있다. 한편, 고융점 태블릿(3)은 배기관(1)의 외주면측에 접착되어 있지 않 다. 또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2)은 플랜지 부분(1a)의 선단부측에 부착되고, 고융점 태블릿(3)이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2)보다 플랜지 부분(1a)의 후단부측에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 1∼표 4는 실시예의 저융점 유리(시료 A∼N)를 나타내고, 비교예의 저융점 유리(시료 O, P)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표 1∼4에 기재된 각 시료 A∼P는 다음과 같이 해서 조제했다.
우선, 표 1∼4에 나타낸 유리 조성이 되도록 각종 산화물, 탄산염 등의 원료를 조합한 유리 배치를 준비하고, 이것을 백금 도가니에 넣어서 900∼1000℃에서 1∼2시간 용융했다. 다음에, 용융 유리의 일부를 스테인레스제의 금형에 흘려내고, 그 밖의 용융 유리는 수냉 롤러에 의해 박편상으로 성형했다. 또, 열팽창계수 등을 측정하기 위한 샘플은 성형 후에 소정의 서냉처리(어닐)를 행했다. 마지막으로, 박편상의 유리를 볼밀로 분쇄한 후, 개구 75㎛의 체를 통과시켜서 평균 입경 약 10㎛의 각 시료를 얻었다.
이상의 시료를 이용하여 유리전이점, 굴복점, 연화점, 30∼300℃의 온도범위에 있어서의 열팽창계수 및 실투상태를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32223611-pct00001
Figure 112008032223611-pct00002
Figure 112008032223611-pct00003
Figure 112008032223611-pct00004
연화점은 분말시료를 이용하여 매크로형 시차열 분석장치에서 의해 구했다. 또한, 승온 속도는 10℃/분으로 했다.
유리전이점, 30∼300℃의 온도범위에 있어서의 열팽창계수 및 굴복점은 주지의 압봉식 열팽창 측정장치에 의해 구했다.
또한 실투상태는 시료 A∼P를 500℃에서 30분 소성한 후, 광학현미경(배율100배)을 이용하여 시료 중의 결정을 관찰함으로써 평가했다. 실투가 확인되지 않은 것을 「○」, 실투가 확인된 것을 「×」로 했다. 또한, 각 시료는 각 시료의 밀도에 상당하는 중량의 분말을 금형에 의해 외경 20mm의 버튼상으로 건식 프레스 한 것을 사용했다. 또한 승강온 속도는 10℃/분으로 했다.
표 5∼8은 실시예(시료 No.1∼15), 비교예(시료 No.16∼20)를 나타내는 것이다.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사용하는 재료는 저융점 유리 분말과 내화성 필러 분말을 표에 나타내는 혼합 비율로 혼합해서 조제했다.
Figure 112008032223611-pct00005
Figure 112008032223611-pct00006
Figure 112008032223611-pct00007
Figure 112008032223611-pct00008
내화성 필러 분말은 코디어라이트(결정물), 윌레마이트(결정물), 석영유리를 사용했다. 코디어라이트는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류미늄, 산화규소를 2MgO·2Al2O3·5SiO2의 비율로 되도록 조합(調合)하고, 혼합한 후, 1400℃에서 10시간 소성하고, 이어서 이 소성물을 분쇄하여 325메쉬의 스테인레스제 체를 통과시켜 평균 입자지름 5㎛로 한 것을 사용했다. 윌레마이트는 아연화, 산화규소, 산화알류미늄을 중량%로 ZnO 70%, SiO2 25%, Al2O3 5%의 조성이 되도록 조합하고, 혼합한 후, 1440℃에서 15시간 소성하고, 이어서 이 소성물을 분쇄하여 250메쉬의 스테인레스제 체를 통과시켜, 평균 입자지름 10㎛로 한 것을 사용했다. 석영유리는 평균 입자지름 10㎛로 한 것을 사용했다.
연화점은 분말시료를 이용하여 매크로형 시차열 분석장치에 의해 구했다.
유리전이점 30∼300℃의 온도범위에 있어서의 열팽창계수 및 굴복점은 주지의 압봉식 열팽창 측정장치에 의해 구했다. 굴복점의 측정에는 (연화점+10℃)의 온도에서 30분 소성한 것 및 (연화점+50℃)의 온도에서 30분 소성한 것을 시료로서 사용했다. 또한, 시료의 소성은 2℃/분의 승강온 속도로 행하였다. 또한, (연화점+10℃)의 온도는 유리 태블릿을 소성로에서 소결할 때의 온도에 상당하고, (연화점+50℃)의 온도는 평면 표시장치의 제조에 있어서의 봉착온도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연화점+10℃)의 온도에서 소성한 시료를 이용하여 측정한 굴복점은 T1에 상당하고, (연화점+50℃)의 온도에서 소성한 시료를 이용하여 측정한 굴복 점은 T3에 상당하고 있다. 또한, 어느쪽의 소성에 있어서나 No.1∼15의 시료에 결정은 석출되어 있지 않았다.
표 5∼7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료No.1∼15는 30∼300℃의 온도범위에 있어서의 열팽창계수가 67.0∼71.3×10-7/℃이며, 고변형점 유리 기판의 열팽창계수와 정합되어 있었다. 또한 시료No.1∼15는 연화점이 400∼450℃이며, 500℃이하의 저온에서 봉착 가능하다.
시료No.1∼15는 내화성 필러로서 코디어라이트, 또는 석영유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화점+10℃)의 온도에서 소성했을 때에 비하여 (연화점+50℃)의 온도에서 소성했을 경우, 굴복점이 6∼12℃ 상승했다. 따라서, 시료No.1∼15를 이용하여 제작한 비결정성 태블릿은, 봉착공정의 과정에서 연화점이 상승하고, 그 후의 배기 공정에서 연화 유동하기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시료No.1∼15에 따른 비결정성 태블릿은, 당연히 봉착시간을 길게 하면, 예를 들면 PDP의 봉착공정과 같이 봉착온도에서 60분정도 유지하면, 굴복점의 상승치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시료No.16∼20은 내화성 필러로서 윌레마이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화점+10℃)의 온도에서 소성했을 경우와 (연화점+50℃)의 온도에서 소성했을 경우에서 굴복점이 대략 동등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PDP, FED, 플라즈마 어드레스 리퀴드 크리스탈 디스플레이, 형광표시관 등의 배기관 등의 봉착용도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음극선관(CRT) 등의 디스플레이의 봉착용도, 형광표시관, PDP 등의 절연 유전체층 형성용도, 자기헤드-코어끼리 또는 코어와 슬라이더의 봉착용도, 수정진동자나 IC패키지 등의 전자부품의 봉착용도, 시스 히터의 밀봉용도 및 보온병의 밀봉용도에도 바람직하다.

Claims (11)

  1. 저융점 유리와 내화성 필러를 함유하는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에 있어서:
    체적% 표시로 저융점 유리 40∼95%, 내화성 필러 5∼60%를 함유함과 아울러,
    저융점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하기 산화물 환산의 몰% 표시로 Bi2O3 30∼60%, B2O3 10∼40%, ZnO 10∼50%를 함유하고,
    또한 내화성 필러는 조성으로서 하기 산화물 환산의 중량% 표시로 SiO2 30∼100%, Al2O3 0∼45%, ZnO 0∼35%, ZrO2 0∼20%, TiO2 0∼20%, Li2O 0∼10%, MgO 0∼25%를 함유하고, 또한 코디어라이트를 포함하는 결정물이며,
    배기관의 봉착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유리는 BaO + SrO + MgO + CaO 0∼15%, CuO 0∼10%, Fe2O3 0∼5%, SiO2 + Al2O3 0∼15%, WO3 0∼5%, Sb2O3 0∼5%, In2O3 + Ga2O3 0∼5%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PbO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연화점은 350∼4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굴복점을 T1(℃)로 하고, 480℃에서 30분간 소성한 후의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의 굴복점을 T2(℃)로 했을 때에,
    T2 - T1 ≥ 5℃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평면 표시장치용 배기관의 봉착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표시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10. 확경된 배기관의 선단부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
  11. 확경된 배기관의 선단부에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과 고융점 태블릿이 부착되어 있고, 또한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은 확경된 배기관의 선단부측에 부착되고, 고융점 태블릿은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보다 후단부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
KR1020087010882A 2006-04-03 2007-03-29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및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 KR101005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01552 2006-04-03
JPJP-P-2006-00101552 2006-04-03
JP2007067110A JP5257824B2 (ja) 2006-04-03 2007-03-15 非結晶性ガラスタブレットおよびタブレット一体型排気管
JPJP-P-2007-00067110 2007-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110A KR20080083110A (ko) 2008-09-16
KR101005486B1 true KR101005486B1 (ko) 2011-01-04

Family

ID=3856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882A KR101005486B1 (ko) 2006-04-03 2007-03-29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및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57824B2 (ko)
KR (1) KR101005486B1 (ko)
WO (1) WO20071142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042B1 (ko) 2011-11-24 2012-07-04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산화 분위기에서 소성 가능한 봉착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3975B2 (ja) * 2007-02-06 2012-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グリーンシート用セラミック粉末及び多層セラミック基板
WO2009014029A1 (ja) * 2007-07-20 2009-01-2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封着材料、封着タブレット及び封着用ガラス組成物
JP4772071B2 (ja) * 2008-03-07 2011-09-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グリーンシート用セラミック粉末及び低温焼成多層セラミック基板
KR101064228B1 (ko) * 2008-11-24 2011-09-14 신세라믹 주식회사 봉착용 무연 유리프리트 조성물
JP5562584B2 (ja) * 2009-06-30 2014-07-30 アズビル株式会社 放電管のガラス間接合方法及び放電管
JP5476850B2 (ja) * 2009-08-14 2014-04-2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タブレットおよびタブレット一体型排気管
CN106495490B (zh) * 2016-11-01 2019-02-22 福州大学 一种含SiO2的LED低温封接玻璃
CN106495489B (zh) * 2016-11-01 2019-03-12 福州大学 一种含p2o5的led低温封接玻璃
JP7116353B2 (ja) * 2017-08-28 2022-08-1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封止材料
CN114212995B (zh) * 2021-12-27 2023-10-20 中建材玻璃新材料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oled封接焊料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697A (ja) * 2001-09-18 2003-04-03 Nihon Yamamura Glass Co Ltd 封着用組成物
JP2003335557A (ja) * 2002-05-16 2003-11-2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タブレット一体型ガラス管
JP2004238273A (ja) * 2002-03-29 2004-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スマス系ガラス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封着部材として用いた磁気ヘッド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6507B2 (ja) * 1998-10-21 2007-12-0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ビスマス系ガラス組成物
JP4540224B2 (ja) * 2000-01-07 2010-09-0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タブレット一体型ガラス管
JP4900868B2 (ja) * 2004-12-14 2012-03-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タブレット一体型排気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697A (ja) * 2001-09-18 2003-04-03 Nihon Yamamura Glass Co Ltd 封着用組成物
JP2004238273A (ja) * 2002-03-29 2004-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スマス系ガラス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封着部材として用いた磁気ヘッド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3335557A (ja) * 2002-05-16 2003-11-2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タブレット一体型ガラス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042B1 (ko) 2011-11-24 2012-07-04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산화 분위기에서 소성 가능한 봉착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4222A1 (ja) 2007-10-11
KR20080083110A (ko) 2008-09-16
JP2007297266A (ja) 2007-11-15
JP5257824B2 (ja)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486B1 (ko) 비결정성 유리 태블릿 및 태블릿 일체형 배기관
JP5403476B2 (ja) ビスマス系材料、タブレット及びタブレット一体型排気管
JP5476850B2 (ja) タブレットおよびタブレット一体型排気管
JP5190672B2 (ja) バナジウム系ガラス組成物およびバナジウム系材料
JP4972954B2 (ja) ビスマス系ガラス組成物およびビスマス系封着材料
JP5257827B2 (ja) 封着材料
KR101020143B1 (ko) 비스무트계 봉착 재료 및 비스무트계 페이스트 재료
JP5013317B2 (ja) 平面表示装置
JP5190671B2 (ja) バナジウム系ガラス組成物およびバナジウム系材料
JP5083705B2 (ja) 結晶性ビスマス系材料
JP5083704B2 (ja) ビスマス系封着材料
JP5419249B2 (ja) ビスマス系ガラス組成物およびビスマス系封着材料
KR101441598B1 (ko) 내화성 필러 분말, 봉착 재료 및 내화성 필러 분말의 제조 방법
JP5476691B2 (ja) 封着材料
JP5321934B2 (ja) 結晶性ビスマス系材料
JP2008208022A (ja) 平面表示装置
JP5983536B2 (ja) 結晶性ビスマス系材料
JP2010013332A (ja) ビスマス系ガラス組成物および封着材料
KR101355116B1 (ko) 비스무트계 유리조성물 및 비스무트계 봉착재료
JP2009173480A (ja) 封着材料
JP5679522B2 (ja) 封着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