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882B1 - 비디오 카메라 - Google Patents

비디오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882B1
KR101004882B1 KR1020090015266A KR20090015266A KR101004882B1 KR 101004882 B1 KR101004882 B1 KR 101004882B1 KR 1020090015266 A KR1020090015266 A KR 1020090015266A KR 20090015266 A KR20090015266 A KR 20090015266A KR 101004882 B1 KR101004882 B1 KR 10100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display panel
unit
control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654A (ko
Inventor
유키오 스기무라
슈이치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0015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88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외관의 미관을 유지하면서도 내부온도를 억제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비디오 카메라(10)에 있어서, 본체부(12)는, 배기공(12b) 및 흡기공(12c)이 패널 대향면(12a)에 마련된다. 덕트(40)는 본체부(12)의 내부에 배치되어, 흡기공(12c)으로부터 넣어진 공기를 배기공(12b)으로 안내한다. 제 1 히트싱크(44)는, 촬상소자(36)로부터 덕트(40)의 내부에 연장되어 놓이도록 마련되고, 촬상소자(36)에서 발생하는 열을 덕트(40)의 내부에 방열한다. 액정패널 유닛은, 액정패널의 표시면을 포함하는 제 1 면이 패널 대향면(12a)에 대향하는 제 1 위치와, 제 2 면이 패널 대향면(12a)에 대향하는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액정패널 유닛은, 제 1 위치에 있는 때에 배기공(12b) 및 흡기공(12c)을 덮도록 제 1 면이 형성되고, 제 2 위치에 있는 때에 배기공(12b) 및 흡기공(12c)을 개방하도록 제 2 면이 형성되어 있다.
Figure R1020090015266
비디오 카메라

Description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촬상소자를 가지는 비디오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소자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는, 지나치게 고온이 되면 출력화상에 영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액정패널 유닛을 닫은 때에 이 액정패널 유닛에 대향하는 본체 측의 면에 개구부가 마련된 비디오 카메라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예를 들어, 촬상소자, 서모모듈, 및 방열핀의 주위에 덕트를 마련하고, 전동팬에 의해 덕트 내의 공기를 카메라 상자체 밖으로 배출하는 촬상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0-15204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 4-331580호 공보
액정패널 유닛을 여는 것이 가능한 것만이 아니라, 액정패널을 외측으로 향한 채 액정패널 유닛을 닫는 것이 가능한 비디오 카메라가 근년 수많이 개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비디오 카메라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이 개구부가 액정패널에 화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액정패널 유닛에 의해 막힐 우려가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패널에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비디오 카메라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개구부가 막히면 내부의 열을 외기로 배출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기재되는 기술에서는, 배기구가 촬상장치의 외관에 나타나 미관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외관의 미감을 유지하면서 내부 온도를 억제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어떤 태양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는, 배기공 및 흡기공을 가지고, 배기공 또는 흡기공이 패널 대향면에 배치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흡기공으로부터 넣어진 공기를 배기공으로 안내하는 덕트와,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된 촬상소자와, 촬상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덕트의 내부로 방열하는 방열부재와, 액정패널을 가지고, 당해 액정패널의 표시면을 포함하는 제 1 면이 패널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 1 위치와,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이 패널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 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액정패널유닛을 구비한다. 액정패널유닛은, 제 2 위치에 있는 때에, 제 1 위치에 있는 때보다도, 패널 대향면에 마련된 배기공 또는 흡기공을 통한 통기 저항이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전체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촬상소자를 집중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그리고, 촬상소자가 동작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에서 전동팬을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냉각할 필요성이 높은 때에 본체부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이하, 실시형태라고 한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1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비디오 카메라(10)는, 본체부(12) 및 액정패널 유닛(14)을 가진다. 본체부(12)의 상면에는 마이크(15)가 마련되어 있다. 마이크(15)는, 젤을 개입하여 본체부(12)의 상자체에 취부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본체부(12)에서 발생한 음이나 진동이 마이크(15)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액정패널 유닛(14)은, 본체부(12)의 좌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액정패널 유 닛(14)은, 회동기구(16)의 내부에 마련된 연직으로 축방향이 향하는 연직회동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본체부(12)에 지지되어 있다. 사용자는, 액정패널 유닛(14)의 후단부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연직회동축을 중심으로 액정패널 유닛(14)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부(12)에 대하여 액정패널 유닛(14)을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10)를, 액정패널 유닛(14)을 닫은 상태에서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 액정패널 유닛(14)과 대향하는 본체부(12)의 외면을 패널 대향면(12a)으로 하고, 패널 대향면(12a)과 대향하는 액정패널 유닛(14)의 외면을 제 1 면(14a)으로 한다. 제 1 면(14a)의 이면(裏面)을 제 2 면(14b)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이 제 1 면(14a)이 패널 대향면(12a)에 대향하는 액정패널 유닛(14)의 위치를 제 1 위치로 한다. 액정패널 유닛(14)은, 면취한 것과 같이 제 2 면(14b)의 단부로부터 경사지는 상부경사면(14c) 및 하부경사면(14d)을 가진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10)를, 액정패널 유닛(14)을 연 상태에서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제 1 면(14a)에는 액정패널(18)이 마련된다. 액정패널(18)은 화상표시패널로서 기능하고, 이 때문에 액정패널 유닛(14)은 화상표시패널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또, 액정패널(18)을 대신하여, 유기 EL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 다른 종류의 화상표시패널이 채용되어도 좋다. 회동기구(16)는, 제 1 면(14a)과 평행하고 더욱이 수평한 수평회동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액정패널 유닛(14)을 지지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액 정패널 유닛(14)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 상태에서 이 수평회동축을 중심으로 액정패널 유닛(14)을 회동시키고, 액정패널(18)을 역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액정패널(18)을 역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다시 액정패널 유닛(14)을 본체부(12)로 향하여 닫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10)를, 액정패널 유닛(14)을 역으로 향하여 닫은 상태에서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이때, 액정패널 유닛(14)의 제 1 면(14a)이 외면으로 되고, 제 2 면(14b)이 패널 대향면(12a)에 대향한 상태로 된다. 이하, 이때의 액정패널 유닛(14)의 위치를 제 2 위치라고 한다. 이와 같이 액정패널 유닛(14)은, 회동기구(16)에 의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액정패널 유닛(14)을 연 때의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10)의 좌측면도이다. 본체부(12)의 패널 대향면(12a)에는, 두 군데에서 통기공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패널 대향면(12a)에는 내부의 공기를 외기로 배출하는 배기공(12b), 및 외기로부터 내부에 공기를 넣는(채입(採入)하는) 흡기공(12c)이 마련되어 있고, 배기공(12b)은 패널 대향면(12a)의 상부중앙에, 흡기공(12c)은 패널 대향면(12a)의 하부중앙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정패널 유닛(14)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제 1 면(14a)에 의해 배기공(12b) 및 흡기공(12c)을 포함하는 패널 대향면(12a)의 거의 전체가 덮여진다. 한편, 액정패널 유닛(14)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 제 2 면(14b)에 의해 패널 대향면(12a)의 중앙부분이 덮여진다. 그러나 본체부(12)의 배기 공(12b) 및 흡기공(12c)은, 제 1 면(14a)에 의해 덮여지지 않고 외기에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액정패널 유닛(14)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배기공(12b) 및 흡기공(12c)을 통한 통기저항이 낮아진다. 또, 액정패널 유닛(14)은,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제 1 위치에 있을 때보다도 작은 면적으로 배기공(12b) 및 흡기공(12c)을 덮도록, 제 1 면(14a) 및 제 2 면(14b)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이, 액정패널 유닛(14)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액정패널 유닛(14)의 상부경사면(14c)은, 제 2 면(14b)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배기공(12b)로부터 서서히 이격하도록 경사진다. 또한, 액정패널 유닛(14)의 하부경사면(14d)은, 제 2 면(14b)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흡기공(12c)으로부터 서서히 떨어지도록 경사진다. 이 때문에, 하부경사면(14d)은, 더 하방으로부터 흡기공(12c)에 공기를 넣도록 외기에 에어 플로우를 안내하고, 상부경사면(14c)은, 더 상방에 배기공(12b)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도록 외기에 에어 플로우를 안내한다. 이와 같이 상부경사면(14c) 및 하부경사면(14d)이 마련되는 것에 의해, 배기공(12b)으로부터 한번 배출된 공기가 다시금 흡기공(12c)으로부터 본체부(12)의 내부로 들어오도록 돌아서 들어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본체부(12) 내부의 온도상승을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부경사면(14c) 및 하부경사면(14d)은, 제 1 위치에 있을 때는, 면취한 것과 같이 매끄러운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들이 에어 플로우 형성 기능을 담당하는 것에 의해 디자인 성의 저하를 억제하고 있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10)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좌측 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10)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의 쌍방에 관련하여 비디오 카메라(10)의 내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체부(12)의 내부에는, 촬상유닛(30), 서미스터(38), 기판(52),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8)가 마련되어 있다. 촬상유닛(30)은, 유닛본체(32), 렌즈(34)를 포함하는 렌즈군, 및 촬상소자(36)를 가진다. 유닛본체(32)는 통(筒) 형상으로 형성되어, 축방향이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본체부(12)의 내부에 배치된다. 렌즈(34)는 유닛본체(32)의 전단부에 취부되고, 렌즈 군의 다른 렌즈는 유닛본체(32)의 내부에 배치된다. 촬상소자(36)는 유닛본체(32)의 후단부에 취부된다.
촬상소자(36)는, 비디오 카메라(10)의 전방으로부터 렌즈(34)를 포함하는 렌즈 군을 개입하여, 입력된 광학 화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로서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소자(36)로서 CMOS 이미지 센서가 채용되어 있다. 다만, CMOS 이미지 센서를 대신하여 CCD 이미지 센서가 채용되어도 좋고, 또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미스터(38)는, 유닛본체(32)의 상방 더욱이 촬상소자(36)의 근방에 배치되어, 촬상소자(36)의 주변에서 분위기 온도를 검지한다. 기판(52)은 촬상유닛(30)의 우측에 배치되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8)는 그보다 더 우측에 배치된다. 촬상소자(3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는, 기판(52)에 입력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판(52)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판(52)에는 반도체소자인 제 1 처리유닛(54) 및 제 2 처리유닛(56)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처리유닛(54) 및 제 2 처리유닛(56)은, 촬상소자(36)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부호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처리를 실시한다. 이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녹화가 지시되면, 그 화상 데이터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8)에 저장된다. 제 1 처리유닛(54) 및 제 2 처리유닛(56)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8)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 혹은 촬상소자(36)로부터의 화상신호로부터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부호화 등을 실시하여, 액정패널(18) 등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신호를 생성한다.
도 6 및 도 7로 되돌아간다. 본체부(12)의 내부에는, 제 1 처리유닛(54), 제 2 처리유닛(56),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8), 및 촬상소자(36)가 주된 발열원으로 되어 있다. 이 중에서, 제 1 처리유닛(54) 및 제 2 처리유닛(56)은, 녹화대기중 및 녹화중일 때 다른 구성요소보다 많은 열량을 발생한다.
한편, CMOS 이미지 센서나 CCD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소자는, 온도가 지나치게 고온이 되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발명자의 연구개발의 결과, 이와 같이 온도의 영향을 받아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정패널 등에 화상을 표시하면, 예를 들어 [백색 흠(white scars)] 등의 디펙트(defect)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더욱이 발명자의 예의(銳意) 연구개발의 결과, CMOS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소정의 고온환경 하에서 CCD 이미지 센서를 채용한 경우와 비교할 때 백색 흠이 약 10배 많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때문에, 본체부(12)의 내부에는, 덕트(40), 전동팬(42), 제 1 히트싱크(44), 제 2 히트싱크(46), 및 격리부재(50)가 마련되어 있다. 격리부재(50)는, 알루미늄 등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료에 의해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12)의 상자체의 일부를 구성한다. 격리부재(50)는, 제 1 처리유닛(54) 및 제 2 처리유닛(56)의 주위의 공기,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8)의 주위 공기가 촬상소자(36)의 주위로 직접 진입하는 것을 억지(抑止)하도록, 기판(52)이 마련된 영역과 촬상소자(36)가 마련된 영역이 서로 떨어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덕트(40)는, 제 1 개구부(40a) 및 제 2 개구부(40b)를 가진다. 덕트(40)는, 제 1 개구부(40a) 및 제 2 개구부(40b)가, 각각 배기공(12b) 및 흡기공(12c) 각각의 이면에 위치하도록 패널 대향면(12a)의 뒷쪽에 배치된다. 덕트(4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으로 형성되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의 직선적인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도록, 내부공기를 안내한다. 이러한 덕트(40)는, 흡기공(12c)로부터 넣어진 공기를 배기공(12b)으로 안내한다.
제 1 히트싱크(44)는, 방열부재로써 기능하는 것으로서, 촬상소자(36)의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촬상소자(36)의 이면에 취부된다. 제 1 히트싱크(44)는, 촬상소자(36)로부터 덕트(40)의 내부로 연장되어 놓이도록 마련되어, 촬상소자(36)에서 발생하는 열을 덕트(40)의 내부로 방열한다.
또한, 격리부재(50)는, 제 1 처리유닛(54) 및 제 2 처리유닛(56)의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 1 처리유닛(54) 및 제 2 처리유닛(56)의 열전도시트를 끼워서 외면에 접촉하여 배치된다. 제 2 히트싱크(46)도 또한 방열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격리부재(50)의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격리부재(50)의 측면에 취부된다. 제 2 히트싱크(46)는, 격리부재(50)로부터 덕트(40)의 내부로 연장되어 놓이도록 마련되어, 격리부재(50)를 개입하여 제 1 처리유닛(54) 및 제 2 처리유닛(56)에서 발생하는 열을 덕트(40)의 내부로 방열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히트싱크(44) 및 제 2 히트싱크(4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해가 용이하게 되도록, 도 9에는, 덕트(4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을 때보다 제 1 히트싱크(44)와 제 2 히트싱크(46)를 상하방향으로 떨어뜨려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히트싱크(44)는, 촬상소자(36)에 취부된 취부면(44a)으로부터, 복수의 핀(44b)이 취부면(44a)과 수직으로 연장되어 놓이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연장되어 놓이는 핀(44b)의 선단도 서로 연결되도록, 취부면(44a)과 평행인 판상의 연결부재(44c)가 핀(44b)의 선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핀(44b)의 선단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써, 촬상소자(36)에서 발생한 전자 노이즈가 핀(44b)에 의해 증폭되는 것을 억지하고 있다. 또한, 제 1 히트싱크(44)는, 알루미늄 재료를 압출 성형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료의 다이캐스트에 의해 성형하는 것보다 높은 방열성능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제 2 히트싱크(46)는, 제 1 히트싱크(44)보다도 에어 플로우 하류 측에 배치된다. 제 2 히트싱크(46)는, 격리부재(50)를 개입하여, 가장 고온이 되는 제 1 처리유닛(54) 및 제 2 처리유닛(56)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한다. 그러므로, 제 2 히트싱크(46)를 제 1 히트싱크(44)보다도 에어 플로우 하류 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제 1 처리유닛(54) 및 제 2 처리유닛(56)으로부터 전달된 열이 제 1 히트싱크(44)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히트싱크(46)는, 격리부재(50)에 취부되는 취부면(46a)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놓이는 복수의 핀(46b)을 가진다. 제 2 히트싱크(46)도 또한, 알루미늄 재료를 압출 성형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히트싱크(44)는 전면인 취부면(44a)에서 촬상소자(36)에 취부되고, 제 2 히트싱크(46)는 우측면인 취부면(46a)에서 격리부재(50)에 취부된다. 이 때문에, 제 1 히트싱크(44)의 핀(44b)과 제 2 히트싱크(46)의 핀(46b)은 서로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놓인다.
도 6 및 도 7로 되돌아간다. 덕트(40)는, 제 1 처리유닛(54) 및 제 2 처리유닛(56)이 존재하는 영역과, 격리부재(50)를 사이에 넣은(격리부재(50)에 의해서 구분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덕트(40)는, 제 1 개구부(40a), 제 2 개구부(40b), 제 1 히트싱크(44)가 삽입통과되는 삽통공, 및 제 2 히트싱크(46)가 삽입통과되는 삽통공을 제외하고는 공기를 받아들이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처리유닛의 주위 공기가 덕트 내부로 진입하는 것이 억지되고 있다.
전동팬(42)은, 동작시에 흡기공(12c)으로부터 넣어진 공기를 배기공(12b)으로 강제적으로 배출시킨다. 전동팬(42)은, 제 1 히트싱크(44)의 하방, 즉, 에어 플로우 상류 측에 배치된다. 또, 전동팬(42)은, 제 1 히트싱크(44) 또는 제 2 히트싱크(46)보다 에어 플로우 하류 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전동팬(42)에서도 어느 정도의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전동팬(42)을 각 히트싱크 보다도 하류 측에 마련하는 것으로써, 제 1 히트싱크(44) 및 제 2 히트싱크(46)를 더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 전동팬(42)은, 외주가 전체에 걸쳐서 젤로 덮여 있고, 이 젤을 개입하여 덕트(40)의 내부에 취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마이크(15)를 덮는 젤과 상호작용하여 전동팬(42)에서 발생하는 음이나 진동이 마이크(15)에 전달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전동팬(42)은 덕트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한 음의 공기전파가 양호하게 억제되어, 저 소음화가 실현되고 있다. 더욱이, 마이크(15)로의 음의 전달도 덕트(40)에 의해 대폭적으로 억제되어 있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1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에는, 각종 연산처리를 실행하는 CPU,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 데이터 저장이나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워크 에어리어(작업영역)로서 이용되는 RAM 등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연계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의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디오 카메라(10)는, 전자제어부(80)를 가진다. 전자제어부(80)는, 예를 들어 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 등을 구비한 기억부(88)를 가지고, 이 기억부(88)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전자제어부(80)는, 전동팬(42), 액정패널(18),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8)에 접속되어 있다.
비디오 카메라(10)에는, 개폐센서(90)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센서(90)는, 회동기구(16)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액정패널 유닛(14)이 소정의 위치까지 회동하였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액정패널 유닛(14)의 개폐를 검지한다. 이와 같은 개폐센서는 공지이기 때문에, 그 구성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개폐센서(90)는 전자제어부(80)에 접속되어 있고, 개폐센서(90)에 의한 검지 결과는 전자제어부(80)로 출력된다.
또한, 서미스터(38)도 전자제어부(80)에 접속되어 있어, 서미스터(38)에 의한 검지 결과는 전자제어부(80)에 출력된다. 촬상소자(36) 및 마이크(15)도 전자제어부(80)에 접속되어 있다. 촬상소자(36)에 의해 촬상되어 생성된 영상신호, 및 마이크(15)에 의해 검지 된 음성신호는, 전자제어부(80)로 출력된다.
전자제어부(80)는 더욱이, 팬 작동제어부(82), 표시제어부(84), 및 화상처리부(86)를 가진다. 팬 작동제어부(82)는, 전동팬(42)으로의 전력공급을 온 오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전동팬(42)의 작동을 제어한다. 표시제어부(84)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신호를 액정패널(18)에 출력하여 액정패널(18)에 화상을 표시시킨다. 화상처리부(86)는, 촬상소자(36)로부터의 영상신호에 부호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처리를 실시한다. 사용자에 의해 녹화 스위치(미도시)가 눌려지는 것에 의해 녹화대기모드로부터 녹화모드로 이행한 경우, 전자제어부(80)는, 화상처리부(86)에 의해 신호처리가 실시되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8)에 저장한다.
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8)를 대신하여 비디오 카메라(10)에 플래쉬 메모리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매체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착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녹화대기모드로부터 녹화모드로 이행한 경우, 전자제어부(80)는,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 또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한다.
개폐센서(90)에 의해 액정패널 유닛(14)이 제 1 위치로부터 열린 것이 검지된 경우, 전자제어부(80)는, 전원플래그를 참조하여 비디오 카메라(10)의 전원이 온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비디오 카메라(10)의 전원이 온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자제어부(80)는, 비디오 카메라(10)의 전원을 온으로 하여 전원플래그를 온으로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10)에는,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는 때, 녹화대기모드, 녹화모드, 및 재생모드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이 오프인 상태로부터, 액정패널 유닛(14)의 제 1 면(14a)이 본체부(12)의 패널 대향면(12a)으로부터 소정의 위치까지 이격한 것이 개폐센서(90)에 의해 검지된 때, 전자제어부(80)는, 제 1 위치로부터 액정패널 유닛(14)이 열렸다고 하여 녹화대기모드를 개시한다. 이때 전자제어부(80)는, 녹화대기모드를 나타내는 값으로 모드플래그를 설정한다. 녹화대기모드에서는, 전자제어부(80), 촬상소자(36)를 구동시켜 신호를 출력시키고, 이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데이터에 화상처리 등을 실시하여 액정패널(18)에 화상을 표시시킨다.
사용자에 의해 녹화개시버튼이 눌러지면, 전자제어부(80)는, 녹화모드를 나타내는 값으로 모드플래그를 설정하여 녹화모드를 개시한다. 녹화모드에서는, 전자제어부(80)는, 녹화처리가 실시되어 생성된 화상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8)에 저장하여 녹화한다. 사용자에 의해 정지버튼(미도시)이 눌러지면, 전자제어부(80)는, 녹화모드로부터 녹화대기모드로 이행시킨다.
녹화대기모드 또는 녹화모드로 되어 있는 때에 사용자에 의해 액정패널 유 닛(14)이 제 1 위치까지 닫히면, 전자제어부(80)는, 비디오 카메라(10)의 전원을 오프로 하여 전원플래그를 오프로 설정한다. 이때, 팬 작동제어부(82)는, 전동팬(42)의 작동도 정지시켜서, 액정패널 유닛(14)이 제 1 위치에 있는 때에 전동팬(42)이 작동하는 것을 회피한다. 녹화모드로 되어 있었던 경우는, 녹화도 정지하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8)로의 화상 데이터의 저장도 정지시킨다.
또, 팬 작동제어부(82)는, 액정패널 유닛(14)의 개폐 타이밍 대신에, 서미스터(38)의 검지 결과에 상응하여 전동팬(42)의 작동을 제어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팬 작동제어부(82)는, 서미스터(38)에 의해 소정의 고온 역치 이상의 온도가 검지된 때에 전동팬(42)을 작동시키고, 소정의 저온 역치 이하의 온도가 검지된 때에 전동팬(42)의 작동을 정지시켜도 좋다.
녹화대기모드로 되어 있는 때에 본체부(12)에 마련된 재생모드버튼(미도시)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전자제어부(80)는, 재생모드를 나타내는 값으로 모드플래그를 설정하여 재생모드로 이행한다. 재생모드로 이행하면, 표시제어부(84)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8)에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섬네일 표시에 의해 액정패널(18)에 표시한다. 본체부(12)에 마련된 선택버튼(미도시)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져 어느 하나의 화상 데이터가 선택되면, 표시제어부(84)는, 선택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액정패널(18)에 표시시킨다.
또, 비디오 카메라(10)는 외부의 DVD(Digital Versatile Disc) 버너(DVD로의 기입장치)에 접속하여, 녹화하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8)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DVD 미디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도, 재생모드에서, DVD 미디어에 기록해야 하는 화상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화상 데이터가 선택되면, 전자제어부(80)는, 접속된 외부의 DVD 버너에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 비디오 카메라(10)는, DVD 이외의 다른 기록 미디어에 기록하는 기입장치에 접속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도, 재생모드에서 어느 하나의 화상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전자제어부(80)는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 미디어에 기록해야 하는 기입장치에 출력하여도 좋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10)에서 전동팬(42)의 작동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플로우 차트에서 처리는 소정시간마다 반복실시된다.
팬 작동제어부(82)는, 전원플래그를 참조하여 비디오 카메라(10)의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 10). 비디오 카메라(10)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경우(S 10의 N), 본 플로우 차트에서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비디오 카메라(10)의 전원이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S 10의 Y), 팬 작동제어부(82)는, 서미스터(38)에 의해 검지된 본체부(12)의 내부온도(T)가 고온역치(Tmax)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 12). 고온역치(Tmax)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기억부(88)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70℃로 설정되어 있다. 내부온도(T)가 고온역치(Tmax)보다 높다고 판정된 경우(S 12의 N), 팬 작동제어부(82)는, 비디오 카메라(10)의 전원을 오프하는 것과 함께 전원플래그를 오프로 설정한다(S 20).
내부온도(T)가 고온역치(Tmax)이하로 판정된 경우(S 12의 Y), 팬 작동제어 부(82)는, 모드플래그를 참조하여, 촬상소자(36)를 구동시키는 녹화대기모드 또는 녹화모드로 현재 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 14). 녹화대기모드 또는 녹화모드로 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S 14의 Y), 팬 작동제어부(82)는, 녹화모드처리를 실행한다(S 16). 녹화대기모드 및 녹화모드 중의 어느 하나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즉 재생모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S 14의 N), 팬 작동제어부(82)는, 재생모드처리를 실행한다(S 18).
도 12는, 도 11에서 S 16의 녹화모드처리의 실행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팬 작동제어부(82)는, 팬 작동플래그를 참조하여 전동팬(42)이 정지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 40). 전동팬(42)이 정지 중인 경우(S 40의 Y), 팬 작동제어부(82)는, 내부온도(T)가 제 1 저온역치(Tmin1)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 42). 제 1 저온역치(Tmin1)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기억부(88)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10℃로 설정되어 있다. 내부온도(T)가 제 1 저온역치(Tmin1)보다 낮다고 판정된 경우(S 42의 N), 온도가 낮기 때문에 S 44 및 S 46을 스킵(skip)하여 전동팬(42)의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내부온도(T)가 제 1 저온역치(Tmin1)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S 42의 Y), 팬 작동제어부(82)는, 전동팬(42)의 작동을 개시한다(S 44). 또한, 전동팬(42)에는 FG(Frequency Generator) 펄스 발생기(미도시)가 탑재되어 있다. 전동팬(42)이 작동개시하면, FG 펄스 발생기에 의해 소정의 파형이 출력된다. FG 펄스 발생기에서 발생한 파형(이하, [FG파형]이라고 한다)은 전자제어부(80)에 출력된다(S 46).
전동팬(42)이 이미 구동하고 있는 경우(S 40의 N), 팬 작동제어부(82)는 FG 파형기준을 참조하여, 입력된 FG 파형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 48). 또, FG 파형기준에는 FG 파형의 주기나 듀티 등에 관하여 기준이 미리 정하여져 있고, FG 파형기준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기억부(88)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FG 파형에 이상이 생겼다고 판정된 경우(S 48의 N), 팬 작동제어부(82)는, 전원을 오프로 하는 것과 함께(S 54), 전원플래그를 오프로 설정한다.
FG 파형이 정상이라고 판정된 경우(S 48의 Y), 팬 작동제어부(82)는, 내부온도(T)가 제 2 저온역치(Tmin2) 이하인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 50). 제 2 저온역치(Tmin2)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기억부(88)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5℃로 설정되어 있다. 내부온도(T)가 제 2 저온역치(Tmin2)보다 높다고 판정된 경우(S 50의 N), S 52단계를 스킵하고 전동팬(42)의 작동상태를 유지한다. 내부온도(T)가 제 2 저온역치(Tmin2) 이하로 판정된 경우(S 50의 Y), 팬 작동제어부(82)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전동팬(4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 52).
도 13은, 도 11에서 S 18단계의 재생모드처리의 실행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팬 작동제어부(82)는, 팬 작동플래그를 참조하여 전동팬(42)이 정지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 70). 전동팬(42)이 정지 중인 경우(S 70의 Y), 본 플로우 차트에서 처리를 종료한다. 전동팬(42)이 작동 중인 경우(S 70의 N), 팬 작동제어부(82)는, 전동팬(4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 72).
재생모드에서는, 촬상소자(36)로부터의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가 재생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촬상소자(36)에 따른 백색 흠 등의 좋지 않은 상태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촬상소자(36)를 냉각할 필요성이 녹화대기모드 및 녹화모드 보다도 낮다. 이와 같이 재생모드에서 전동팬(42)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소비전력절감 또는 소음억제 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팬 작동제어부(82)는, 촬상소자(36)로부터의 화상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해야 하는 촬상소자 동작 타이밍에서 전동팬(42)을 작동시키고, 촬상소자(36)가 동작하여 화상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때는 전동팬(42)을 정지시킨다. 본체부(12)에서는, 내부 전체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아니고, 덕트(40) 및 제 1 히트싱크(44)에 의해 촬상소자(36)를 집중적으로 냉각하고 있다. 한편, 촬상소자(36)가 비구동 상태에서는 촬상소자(36)를 냉각할 필요성도 낮고, 또한 제 1 처리유닛(54) 및 제 2 처리유닛(56)도 촬상소자(36)가 동작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할 때에 비교하여 발생하는 열량은 적다. 이와 같이 촬상소자(36)가 동작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에서 전동팬(42)을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냉각할 필요성이 높은 때에 본체부(12)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실시형태의 각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유효하다. 또한,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각종 설계변경 등의 변형을 본 실시형태에 대하여 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와 같은 변형이 더하여진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를, 액정패널 유닛을 닫은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를, 액정패널 유닛을 연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를, 액정패널 유닛을 역으로 향하게 하여 닫은 상태에서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액정패널 유닛을 연 때의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기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히트싱크 및 제 2 히트싱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디오 카메라에서 팬의 작동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S 16의 녹화모드처리의 실행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S 18의 재생모드처리의 실행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Claims (14)

  1. 배기공 및 흡기공을 가지고, 상기 배기공 또는 흡기공이 패널 대향면에 배치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기공으로부터 넣어진 공기를 상기 배기공으로 안내하는 덕트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된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덕트의 내부로 방열하는 방열부재와,
    화상표시패널을 가지고, 당해 화상표시패널의 표시면을 포함하는 제 1 면이 상기 패널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면과 다른 제 2 면이 상기 패널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 2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화상표시패널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표시패널유닛은, 제 2 위치에 있는 때에, 제 1 위치에 있는 때보다도, 상기 패널 대향면에 마련된 상기 배기공 또는 상기 흡기공을 통한 통기저항이 낮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패널유닛은, 제 2 위치에 있는 때에, 제 1 위치에 있는 때보다도, 작은 면적으로 상기 배기공 또는 상기 흡기공을 덮도록 제 1 면 및 제 2 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패널유닛은, 제 2 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배기공 또는 흡기공으로부터 서서히 이격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에 신호처리를 실시하는 처리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처리유닛의 주위 공기가 덕트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억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유닛의 주위 공기가 상기 촬상소자의 주위로 진입하는 것을 억지하도록, 상기 처리유닛이 마련된 영역과 상기 촬상소자가 마련된 영역을 서로 떨어뜨리는 격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공으로부터 넣어진 공기를 상기 배기공으로 강제적으로 배출시키는 팬과,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팬 작동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팬 작동제어부는, 상기 화상표시패널유닛이 제 1 위치에 있는 때는, 상기 팬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공으로부터 넣어진 공기를 상기 배기공으로 강제적으로 배출시키는 팬과,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팬 작동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팬 작동제어부는, 상기 촬상소자로부터의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야 하는 촬상소자의 동작타이밍에서 상기 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를 동작시켜서 영상신호를 출력시키고, 이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화상표시패널유닛의 제 1 면이 상기 본체부의 상기 패널 대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위치까지 이격한 때에 상기 촬상소자의 동작을 개시시키는 것과 함께,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표시시키고,
    상기 팬 작동제어부는, 상기 화상표시패널유닛의 제 1 면이 상기 본체부의 상기 패널 대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위치까지 이격한 때에 상기 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패널유닛은, 제 2 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배기공 또는 상기 흡기공으로부터 서서히 이격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에 신호처리를 실시하는 처리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처리유닛의 주위 공기가 덕트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억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유닛의 주위 공기가 상기 촬상소자의 주위로 진입하는 것을 억지하도록, 상기 처리유닛이 마련된 영역과 상기 촬상소자가 마련된 영역을 서로 떨어뜨리는 격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공으로부터 넣어진 공기를 상기 배기공으로 강제적으로 배출시키는 팬과,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팬 작동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팬 작동제어부는, 상기 화상표시패널유닛이 제 1 위치에 있는 때는, 상기 팬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공으로부터 넣어진 공기를 상기 배기공으로 강제적으로 배출시키는 팬과,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팬 작동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팬 작동제어부는, 상기 촬상소자로부터의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해야 하는 촬상소자의 동작타이밍에서 상기 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를 동작시켜서 영상신호를 출력시키고, 이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제어부는, 상기 화상표시패널유닛의 제 1 면이 상기 본체부의 상기 패널 대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위치까지 이격한 때에 상기 촬상소자의 동작을 개시시키는 것과 함께,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상기 화상표시패널에 표시시키고,
    상기 팬 작동제어부는, 상기 화상표시패널유닛의 제 1 면이 상기 본체부의 상기 패널 대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위치까지 이격한 때에 상기 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
KR1020090015266A 2008-03-31 2009-02-24 비디오 카메라 KR101004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266A KR101004882B1 (ko) 2008-03-31 2009-02-24 비디오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93968 2008-03-31
KR1020090015266A KR101004882B1 (ko) 2008-03-31 2009-02-24 비디오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654A KR20090104654A (ko) 2009-10-06
KR101004882B1 true KR101004882B1 (ko) 2010-12-28

Family

ID=41534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266A KR101004882B1 (ko) 2008-03-31 2009-02-24 비디오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8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048A (ja) 1998-11-18 2000-05-30 Canon Inc ビデオカメラ
JP2005123470A (ja) 2003-10-17 2005-05-12 Sharp Corp 携帯型電子機器及びビデオカメラの放熱装置
JP2007180706A (ja) 2005-12-27 2007-07-12 Sony Corp 撮像装置
JP2009033547A (ja) 2007-07-27 2009-02-12 Panasonic Corp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048A (ja) 1998-11-18 2000-05-30 Canon Inc ビデオカメラ
JP2005123470A (ja) 2003-10-17 2005-05-12 Sharp Corp 携帯型電子機器及びビデオカメラの放熱装置
JP2007180706A (ja) 2005-12-27 2007-07-12 Sony Corp 撮像装置
JP2009033547A (ja) 2007-07-27 2009-02-12 Panasonic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654A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5523B2 (ja) ビデオカメラ
US10004158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ooling fans for suppressing temperature increase within the electronic apparatus
JP7076996B2 (ja) 電子機器
JP2008164799A (ja) 電子機器の筐体及びその筐体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8083354A (ja) 撮像装置
KR101004882B1 (ko) 비디오 카메라
JP5066486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9151037A (ja) 撮像装置
JP5262697B2 (ja) 撮像装置
JP2006092728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7188599A (ja) 電子機器
JP2017139584A (ja) 撮像装置
JP7114353B2 (ja) 撮像装置
US20080279537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15079883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182962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8027483A (ja) 情報記録再生装置、制御方法
JP7055369B2 (ja) 撮像装置
JP2011087021A (ja) 撮像装置
JP2011109578A (ja) 撮像装置
JPH0715636A (ja) カメラ一体型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2004246947A (ja) データ記録装置
JP4131187B2 (ja) 情報処理装置
JP2023090496A (ja) 音声記録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65851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