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300B1 - 휴대통신단말 - Google Patents

휴대통신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300B1
KR101004300B1 KR1020057009086A KR20057009086A KR101004300B1 KR 101004300 B1 KR101004300 B1 KR 101004300B1 KR 1020057009086 A KR1020057009086 A KR 1020057009086A KR 20057009086 A KR20057009086 A KR 20057009086A KR 101004300 B1 KR101004300 B1 KR 101004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screen
casing
op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920A (ko
Inventor
노리오 오카다
미호코 호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8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changing, e.g. reversing, the face orientation of the screen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e.g. for folding into tablet PC like position or orienting toward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user to show to a second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화상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액정표시화면(5)과,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6)과를 구비한 본체를, 본체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축을 따라 제 1 케이싱(2) 및 제 2 케이싱(3)으로 분할하고,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의 길이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1 케이싱(2) 및 제 2 케이싱(3)을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는 회전수단(4)과, 액정표시화면(5) 및 조작부(6)가 회전수단(4)을 통하여 회전시켰을 때, 그 회전위치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설정하는 시스템 제어(21)를 구비한 휴대전화(1)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57009086
화상 데이터, 문자 데이터, 표시수단, 조작수단과, 회전수단, 기능설정수단,휴대통신단말

Description

휴대통신단말{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송화 및 수화 기능을 갖춘 휴대전화 등의 휴대통신단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등의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는, 본체의 동일면측에 조작부 및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고, 유저는 표시부에 표시된 가이던스를 따라서 콘트롤 키나 텐 키 등의 조작키를 조작함으로써, 발착신, 인터넷 접속 또는 메일 송수신 등의 여러 조작을 행하게 되어 있다.
또, 최근의 휴대전화에 있어서는,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 카메라는 휴대전화의 본체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유저는 카메라를 피사체측을 향함으로써, 표시부에 피사체를 표시하여 피사체를 확인하고, 조작키를 조작하여 촬영을 행하게 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1-285436호 공보 참조).
그렇지만, 이러한 휴대전화에 있어서는, 콘트롤 키나 텐 키 등의 비교적 작은 면적의 조작키를 조작함으로써 각종 조작을 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을 행하는 경우라도, 조작키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어 조작이 번거로웠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조작성이 양호한 휴대통신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은, 화상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를 표시가능한 표시수단과,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의 길이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을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을 상기 회전수단 을 통하여 회전시켰을 때, 그 회전위치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표시수단 및 조작수단을 파지하여 회전수단을 통하여 회전함으로써, 조작수단을 조작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어, 휴대통신단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표시수단 및 조작수단을 회전수단을 통하여 회전함으로써, 조작수단을 조작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표시수단 및 조작수단이 회전하여 휴대통신단말이 통상과 상이한 상태에 있을 때에, 소정의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외관으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을 구비한 본체를,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축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케이싱으로 분할하고, 상기 회전수단이 상기 케이싱을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케이싱을 파지하고 회전수단을 통하여 회전함으로써, 조작수단을 조작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어, 휴대통신단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케이싱을 회전수단을 통하여 회전함으로써, 조작수단을 조작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케이싱이 회전하여 휴대통신단말이 통상과 다른 상태에 있을 때에, 소정의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외관으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표시수단을 구비한 표시측 케이싱 및 상기 조작수단을 구비한 조작측 케이싱으로 구성되다.
이 경우, 본체에 대해 각각 큰 점유면적을 갖는 표시수단과 조작수단을 2개의 표시측 케이싱 및 조작측 케이싱으로 분할하고, 회전수단을 통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파지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어, 휴대통신단말의 조작성을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회전수단은, 연결되는 일방의 케이싱에 설치된 회전축과, 타방의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또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지지부를 구비한 것 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케이싱을 간단한 구조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수단을 갖고, 상기 기능설정수단은, 상기 회전각도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능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케이싱을 파지하여 회전시켰을 때의 홈 포지션으로부터의 회전수단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고, 예를 들면, 회전수단 홈 포지션으로부터 180° 회전했을 때에 키잠금 또는 매너 모드를 설정하고, 회전수단이 이 위치로부터 180° 회전하여 홈 포지션에 복귀했을 때에 오프 훅 기능을 설정하는 등을 행함으로써, 휴대통신단말의 기능을 다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조작측 케이싱에 촬상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촬상장치를 조작측 케이싱에 설치했으므로, 표시측 케이싱을 자신을 향하게 하고 촬상장치를 피사체인 상대측을 향하게 함으로써, 표시수단을 보면서 상대의 위치 등을 조정하면서 상대의 화상을 촬상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측 케이싱을 자신을 향하게 하고 촬상장치도 피사체인 자신을 향하게 함으로써, 표시수단을 보면서 자신의 위치 등을 조정하면서 자신의 화상을 촬상할 수 있어, 화상의 촬상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조작측 케이싱에 설치된 촬상장치를 표시측 케이싱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촬상장치로 촬상할 수 있으므로, 촬상장치를 피사체측에 회전시키기 위한 전용의 회전기구를 설치하는 것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용의 회전기구를 불필요하게 하여 촬상장치를 조작측 케이싱의 배면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촬상장치를 조작측 케이싱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상에 설치하면, 피사체와 촬상장치의 중심위치를 물리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어, 촬상시에 촬상장치의 중심위치를 피사체에 맞추는 작업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은, 소정의 부가기능을 갖고, 상기 조작측 케이싱의 상기 조작수단과 반대측의 면에 상기 소정의 부가기능을 조작하는 부조작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기능설정수단은, 상기 회전수단을 통하여 상기 조작측 케이싱의 조작수단과 상기 표시측 케이싱의 표시수단이 동일면측으로 회전되면, 휴대전화로서의 기능을 설정하고, 상기 회전수단을 통하여 상기 조작측 케이싱의 부조작 수단과 상기 표시측 케이싱의 표시수단이 동일면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소정의 부가기능을 설정하는 것으로 구성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작측 케이싱의 조작수단과 표시측 케이싱의 표시수단을 동일면측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휴대전화로서의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휴대통신단말을 휴대전화로서 사용하고, 조작측 케이싱의 부조작수단과 표시측 케이싱의 표시수단을 동일면측에 회전시켰을 때에 소정의 부가기능으로서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원터치로 휴대전화와 부가기능의 전환을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의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기재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통신단말로서의 휴대전화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하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회전기구의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액정표시화면에 회전각도를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액정표시화면에 휴대전화의 기능이 키잠금인 것을 표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케이싱을 180° 회전시킨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유저 설정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유저 설정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키잠금/매너 모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음량조정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계층조작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계층조작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계층조작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메모리 보존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로 상대방을 촬상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상대방 촬상의 카메라 모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로 자신을 촬상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자신 촬상의 카메라 모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카메라모드시의 이용가능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인터넷 접속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메일 송신 모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정면도, 도 2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배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제 2 실시의 케이싱을 정체 위치로부터 180°회전시킨 상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10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오디오 플레이어 기능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를 오디오 플레이어로서 사용할 때의 이용가능 기능의 설명도이다.
도 27(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정면도, 도 2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카메라 기능/오디오 플레이어 기능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카메라 모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0(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정면도, 도 30(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배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라디오 기능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휴대전화를 라디오로서 사용할 때의 이용가능 기능의 설명도이다.
도 33(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정면도, 도 33(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배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텔레비젼 기능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휴대전화를 라디오로서 사용할 때의 이용가능 기능의 설명도이다.
도 36(a)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정면도, 도 36(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배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비디오 데크 기능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휴대전화를 비디오 데크로서 사용할 때의 이용가능 기능의 설명도이다.
도 39(a)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정면도, 도 39(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배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내비게이션 기능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휴대전화를 내비게이션으로서 사용할 때의 이용가능 기능의 설명도이다.
도 42(a)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정면도, 도 42(b)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배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개인인증 기능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휴대전화를 개인인증으로서 사용할 때의 이용가능 기능의 설명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개인인증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휴대전화를 라디오로서 사용할 때의 이용가능 기능의 설명도이다.
도 47(a)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정면도, 도 47(b)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배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의 백업 기능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휴대전화를 백업장치로서 사용할 때의 이용가능 기능의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휴대통신단말로서 휴대전화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휴대통신단말로서는, 휴대전화에 한하지 않고, 고정전화기, PHS 등 이어도 좋다.
먼저,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휴대통신단말로서의 휴대전화(1)의 본체는 제 1 케이싱(표시측 케이싱)(2) 및 제 2 케이싱(조작측 케이싱)(3)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제 1 케이싱(2) 및 제 2 케이싱(3)은 본체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축을 따라 분할되어, 회전수단(4)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케이싱(2)에는 표시수단으로서의 액정표시화면(5)이 설치되어 있고, 이 액정표시화면(5)에는 문자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게 되어 있다. 또, 제 1 케이싱(2)의 상방에는 스피커(7)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피커(7)로부터는 음성이 출력된다.
또, 제 2 케이싱(3)에는 휴대전화(1)의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수단으로서의 조작부(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부(6)는, 수신 메일이나 신규작성 메일을 읽어 내기 위한 메일 키(6a), 액정표시화면(5)에 표시된 문자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를 스크롤 등 하기 위한 콘트롤 키(6b), 전화번호부를 읽어 내기 위한 전화번호부 키(6c), 오프 훅이나 각종 조작을 개시하기 위한 오프 훅 키(6d), 온 훅시나 각종 조작을 종료하기 위한 오프 훅 키(6e), 및 텐 키(6f)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2 케이싱(3)의 바닥면에는 마이크(8)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케이싱(3)의 표면 또는 배면측에서도 음성이 입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 2 케이싱(3)의 배면에는 촬상장치로서의 카메라(2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카메라(26)는 제 1 케이싱(2) 및 제 2 케이싱(3)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수단(4)은 제 1 케이싱(2)의 바닥부(연결되는 일방의 케이싱)에 설치된 회전축(2a) 및 제 2 케이싱(3)(타방의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고, 회전축(2a)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홈부(지지부)(3a)로 구성되어 있고, 회전축(2a)이 홈부(3a)내를 회전함으로써,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은 회전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회전수단으로서는 제 2 케이싱(3)의 상부에 회전축을 설치하는 동시에 제 1 케이싱(2)의 바닥부에 회전축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홈부를 설치한 것으로 구성해도 좋다. 요는,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구성을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에 설치하면 좋은 것이다.
한편, 회전축(2a)에는 그 원주방향으로 90° 간격으로 복수의 단자(12)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홈부(3a)에는 회전축(2a)에 대향하여 단자(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자(12)중 하나는 홈 포지션을 구성하는 단자가 포함되어 있고,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이 설치되었을 때에는, 홈 포지션을 구성하는 단자가 단자(11)에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이 홈 포지션으로부터 제 1 케이싱(2)이 제 2 케이싱(3)에 대해 회전하면, 단자(12)가 단자(11)를 90°또는 180° 간격으로 검출함으로써, 제 1 케이싱(2)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게 되어 있다. 또한, 단자(1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가변함으로써, 인접하는 단자의 전위차에 의해 제 1 케이싱(2)이 좌우 어느 방향으로 회전했는지를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는 휴대전화(1)의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4에 있어서, 휴대전화(1)는, 시스템 제어부(21), RAM(Random Access Memory)(22), ROM(Read Only Memory)(23), 통신제어부(24), 메모리(25),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33), 카메라(26), 표시부(27), 조작부(6), 배터리(29), 마이크(8), 스피커(7), 바이브레이터(32) 및 각도검출수단(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부(21)는 ROM(23)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휴대전화(1) 전체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RAM(22)은 시스템 제어부(21)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또, 시스템 제어부(21)의 워크에리어를 구성하고 있다.
통신제어부(24)는 상대편으로부터의 착신(착호(着呼))을 검출하거나, 상대편에 발신(발호(發呼))하거나 하는 동시에, 휴대전화(1)를 통신회선(36)을 통하여 상대편의 통신단말에 접속하게 되어 있다.
통신제어부(24)에 착신이 있으면, 스피커(7)로부터 착신음이 출력되거나, 바이브레이터(32)에 의해 휴대전화(1)가 진동함으로써, 착신상태를 통지하게 되고 있어, 스피커(7)로부터의 착신음의 출력 또는 바이브레이터(32)에 의한 진동은 조작부(6)에 의해 선택되게 되어 있다.
메모리(25)에는 전화번호부로서 모은 휴대전화나 메일 어드레스 등이 기억되는 동시에, 각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의한 착신멜로디 등의 음성신호, 아이들 화상 등의 화상 데이터 등이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33)는 외부 메모리로서 공지의 메모리 카드(34)가 탈착 자유로운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고, 메모리 카드(34)에 기억된 각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의한 착신멜로디 등의 음성신호, 아이들 화상 등의 화상 데이터 등을 읽어들여 메모리(25)에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카메라(26)는 CCD 카메라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카메라(26)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A/D 컨버터에 의해 A/D 변환된 후,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표시부(27)는 액정표시화면(5)을 구비하고 있고, 액정표시화면(5)에 일시, 시간, 배터리의 잔량, 권외, 권내, 기다림 화상 등을 표시하거나, 착신이나 메일 수신이 있는 경우에 전화번호나 메일 수신 통지를 표시하게 되고 있다.
조작부(6)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종 키(6a 내지 6f)를 구비하고 있고, 온 훅, 오프 훅을 행하거나, 메일 문장의 작성이나 송수신을 행하거나, 인터넷 등에 접속하여 화상 데이터나 문자 데이터의 다운로드나 업 로드 등을 행하게 되어 있다.
배터리(29)는 휴대전화(1)의 시스템 제어부(21) 등의 각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원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마이크(8)는 입력된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통신제어부(24)를 통하여 상대편의 통신단말에 송신하게 되어 있고, 스피커(7)는 통신제어부(24)를 통하여 입력한 음성신호를 음성출력하거나, 상기한 바와 같이 착신음을 출력하게 되어 있다.
각도검출수단(35)은 단자(1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회전축(2a)에 설치된 단자(12)를 검출하여 제 2 케이싱(3)에 대한 제 1 케이싱(2)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검출하여 시스템 제어부(21)에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에서는, 단자(12) 및 각도검출수단(35)이 회전각도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시스템 제어부(21)는 각도검출수단(35)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각 회전각도 마다 소정의 기능을 설정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이 위치하는 홈 포지션으로부터, 제 1 케이싱(2)이 180° 회전하면(즉,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화면(5)과 조작부(6)가 반대측의 위치가 됨), 버튼 조작을 무효로 하는 키잠금 또는 착신음을 울리지 않는 매너 모드를 설정하고, 제 1 케이싱(2)이 이 위치로부터 180° 더 회전하면(즉, 액정표시화면(5)과 조작부(6)가 동일한측의 위치로 됨), 오프 훅 기능을 설정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스템 설정부(21)가 제 1 케이싱(2)의 회전위치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설정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시스템 제어부(21)는 각도검출수단(35)으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2)의 회전각도를 액정표시화면(5)에 표시하게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8), 시스템 제어부(21), 메모리(25) 등의 휴대전화(1)를 구성하는 각 전자기기는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내에 배분되어서 설치 되어 있고, 회전축(2a)과 홈부(3a)에 신호선을 설치하여 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휴대전화(1)의 사용방법을 도 6 내지 도 2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화(1)는 제조 메이커가 축회전에 의한 기능설정( 프리셋 설정)을 행한 후, 출하할 수도 있고, 또, 유저가 축회전에 의한 기능설정(유저 설정)을 수시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저 설정으로서 도 6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도 6에서, 유저 설정은 조작부(6)를 조작하여 액정표시화면(5)에 설정화면을 표시한다(스텝S1).
즉, 스텝S1에서는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화면(5)에 「설정기능」의 화면을 표시한 후, 콘트롤 키(6b)를 누르면,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정 항목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설정항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키잠금, 매너 모드, 음량조정, 계층조작, 메모리 보존, 카메라 모드, 인터넷 접속, 메일 송신 등이 있다.
이어서, 소정의 항목을 설정하여 축회전에 의한 기능설정을 행한다(스텝S2). 즉, 콘트롤 키(6b)에 의해 설정항목을 스크롤하고, 예를 들면,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잠금를 선택하면, 도 7(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잠금을 행할 때의 축회전의 조작예가 표시되므로, 표시내용에 따라서 회전방향이나 회전각도를 입력하여 키잠금시의 축회전을 설정하고, 콘트롤 키(6b)를 눌러서 확정한다(스텝S3).
또한, 키잠금 및 기타의 항목의 설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키잠금, 매너 모드, 음량조정, 계층조작, 메모리 보존, 카메라 모드, 인터넷 접속, 메일 송신 등이 있고, 항목의 설정방법은, 도 6에서 설명한 수순과 동일하다. 이하, 설정항목별 휴대전화(1)의 기능에 대해 도 8 내지 도 10, 도 12, 도 13, 도 15, 도 17, 도 19, 도 20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플로우차트는 시스템 제어부(21)가 실행하는 것이다.
(키잠금/매너 모드)
도 8에 있어서, 키잠금 또는 매너 모드에 있어서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동일면상(이하, 이 위치를 정체(正體)라고 함)에 위치하도록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이 위치하는 홈 포지션으로부터, 제 1 케이싱(2)이 180°회전하여,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화면(5)과 조작부(6)가 반대측의 위치(이하, 이 위치를 역체(逆體)라고 함)이 되었을 때에, 키잠금 또는 매너 모드로 설정된다.
시스템 제어부(21)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1), 역체로 없는 경우에는, 키잠금 또는 매너 모드를 해제한다(스텝S12). 또, 역체로 있는 경우에 키잠금 또는 매너 모드를 설정한다(스텝S13). 이어서, 착신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4), 착신이 있은 경우에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고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5), 정체로 되었을 경우에는, 키잠금 또는 매너 모드를 해제한다(스텝S16). 이때에는 오프 훅 키(6d)를 누르면 수화를 개시할 수 있다(스텝S17).
이어서, 오프 훅 후에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8), 역체로 있을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온 훅 하여 수화를 종료한 후(스텝S19). 다시 키잠금 또는 매너 모드를 설정한다(스텝S13).
한편, 스텝S14에서 착신이 없는 경우에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 것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20), 정체로 된 경우에는, 키잠금 또는 매너 모드를 해제한다(스텝S21). 이때에는 텐 키(6f)로 상대편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오프 훅 키(6d)를 누루거나, 전화번호부로부터 상대편의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오프 훅 키(6d)를 누르면 대화를 개시할 수 있다(스텝S22).
이어서, 오프 훅후에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 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23), 역체로 있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온 훅 하고 대화를 종료한 후(스텝S24), 다시 키잠금 또는 매너 모드를 설정한다(스텝S13).
(음량조정)
도 9에서, 음량조정에 있어서는, 통화중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31), 통화중인 경우에는, 콘트롤키(6b)가 눌려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32).
콘트롤 키(6b)가 눌려진 경우에는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한다(스텝S33). 또한, 회전방향은 액정표시화면(5)이 아니고 조작부(6)이어도 좋다. 스텝S33에서는 액정표시화면(5)이 좌측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180° 회전할 때마다 음량을 작게 하고(스텝S34), 액정표시화면(5) 우측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180° 회전할 때마다 음량을 크게 한다(스텝S35).
이어서, 콘트롤 키(6b)가 눌려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콘트롤 키(6b)가 눌려진 경우에는, 그 회전수에 따른 음량을 설정한다. 또한, 여기에서, 통화중에 콘트롤 키(6b)를 누름으로써 음량조정 모드로 이행하므로, 키잠금/매너 모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의 회화시에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로 되어서 온 훅 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층조작)
계층조작은, 상위계층으로부터 하위계층을 스크롤하거나, 각 계층의 데이터를 표시하여 각 계층의 데이터를 스크롤 하는 조작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층조작에 있어서는,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41), 전화번호부 등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에는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한다(스텝S42). 스텝S42에서는 액정표시화면(5)이 우측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화면(5)을 45° 회전할 때마다 아래로 스크롤하고(스텝S43), 액정표시화면(5)이 좌측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45° 회전할 때마다 위로 스크롤한다(스텝S44).
이어서, 스크롤 위치에서 콘트롤 키(6b)가 눌려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45), 콘트롤 키(6b)가 압하된 경우에는, 그 스크롤 위치에서 결정한 내용을 표시한다.
이상을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메일의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의 계층조작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조작부(6)의 키 조작에 의해 메뉴를 선택하여 메일의 액정표시화면(5)을 표시하면, 액정표시화면(5)에는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일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액정표시화면(5)을 45°마다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위로부터 「수신메일 일람」 「송신메일 일람』 「미송신메일 일람」……의 순서로 스크롤된다.
이어서, 송신 메일 일람의 위치에서 콘트롤 키(6b)를 누르면,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화면(5)에 「송신BOX」 「END」 「돌아간다」가 표시되 고, 액정표시화면(5)을 45°마다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위로부터 「송신BOX」 「END」 「돌아간다」의 순서로 스크롤된다.
이어서, 송신BOX의 위치에서 콘트롤 키(6b)를 누르면,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위하층의 송신메일의 일람이 표시되므로, 액정표시화면(5)을 45° 마다 우측방향 또는 좌측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하방향으로 스크롤하고, 소망하는 송신 메일 위치에서 콘트롤 키(6b)를 누르면, 그 내용이 표시된다.
(메모리 보존)
도 13에 있어서, 메모리 보존에 있어서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있을 때에, 조작부(6)로부터 전화번호나 메일 어드레스 등을 입력한 후,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한다(스텝S51). 스텝S52에서 액정표시화면(5)을 우측방향으로 180°회전시키면, 조작부(6)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저장한다(스텝S52).
또, 스텝S52에서 액정표시화면(5)을 좌측방향으로 180° 회전시키면, 조작부(6)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저장하지 않는(스텝S53)다. 또한, 이 보존에 관해서는, 액정표시화면(5)을 회전시키지 않고 조작부(6)의 키 조작에 의해 보존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카메라모드)
카메라 모드에는 상대방 촬상과 자신 촬상 2개의 모드가 있다. 먼저, 상대방 촬상의 카메라 모드인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26)가 제 2 케이싱(3)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1 케이싱(2)을 제 2 케이싱(3)에 대해 180° 회전시 켜,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을 정체로 하고 카메라(26)를 상대를 향하게 함으로써(도 14 참조), 액정표시화면(5)을 보면서 상대의 위치 등을 조정하면서 상대의 화상을 촬상한다. 또한, 카메라(26)로 촬상되는 화상은 동화상이거나 또는 정지화상이어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5에 있어서, 상대방 촬상은, 먼저,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 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61). 여기에서,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가 아닌 경우에는, 키잠금 또는 매너 모드로 설정하고(스텝S62),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 경우에는, 카메라의 기동 스위치가 온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63).
이 기동 스위치는, 예를 들면 콘트롤 스위치(6b) 또는 전용의 기동 스위치로서, 기동 스위치가 온 되면, 카메라 모드를 기동한다(스텝S64). 이어서, 셔터 또는 콘트롤 키(6b)를 눌러 촬상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65), 촬상이 행해진 경우에는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한다(스텝S66).
스텝S66에서는,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이 우 180°, 즉,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로 된 경우에는 화상을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저장한다(스텝S67). 또한, 화상의 보존에 관해서는, 1장씩 촬상·보존해도 좋고, 복수매 촬상한 후에 정리하여 보존해도 좋다.
이어서,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하고(스텝S69), 액정표시화면(5)이 우측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온으로 한다(스텝S70). 또, 액정표시화면(5)이 좌측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오프로 한다(스텝S71).
한편, 스텝S66에서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이 좌 180°, 즉,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로 된 경우에는 화상을 소거한다(스텝S68). 이어서,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하고(스텝S69), 액정표시화면(5)이 우측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온으로 하고(스텝S70), 액정표시화면(5)이 좌측방향으로 180°회전하여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오프로 한다(스텝S71).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후에 액정표시화면(5)을 180°마다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 화상의 보존과 카메라 모드의 온 동작을 반복하고, 촬상후에 액정표시화면(5)을 180° 마다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면, 화상의 소거와 카메라 모드의 오프를 행한다.
한편, 자신 촬상을 행하는 경우에는, 카메라(26)가 자신을 향하도록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을 회전시켜서 역체로 하고(도 16 참조), 액정표시화면(5)을 보면서 자기의 위치 등을 조정하면서 자신의 화상을 촬상한다.
도 17에 있어서, 자신 촬상은,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지를 판별한다(스텝81). 여기에서,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가 아닌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오프로 설정하고(스텝S82),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 경우에는, 조작부(6)의 조작에 의해 키잠금/매너 모드가 해제되었는지 아닌지 를 판별한다(스텝S83).
매너 모드가 해제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기동한 후(스텝S84), 셔터 또는 콘트롤 키(6b)를 눌러서 촬상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85).
스텝S85에서 촬상이 행해진 경우에는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하고(스텝S86),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이 우 180°, 즉,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 경우에는 화상을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저장한다(스텝S87).
이어서,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하고(스텝S89), 액정표시화면(5)이 우측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로 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온으로 한다(스텝S90). 또, 액정표시화면(5)이 좌측방향으로 360° 회전하여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오프로 한다(스텝S90).
한편, 스텝S86에서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이 좌 180°, 즉,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 경우에는 화상을 소거한다(스텝S88). 이어서,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하고(스텝S89), 액정표시화면(5)이 우측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로 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온으로 하고(스텝S90), 액정표시화면(5)이 좌측방향으로 360° 회전하여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오프로 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후에 액정표시화면(5)을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 화상의 보존과 카메라 모드의 온 동작을 반복하고, 촬상후에 액정표시화면(5) 을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면, 화상의 소거와 카메라 모드의 오프를 행한다. 또한, 이 카메라 모드에서는, 조작부(6)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 모드의 설정, 화상의 보존, 소거 등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카메라 모드에서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기억하는 이외에 자동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버에 업 로드하도록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스텝S66이나 스텝S86의 처리전에, 조작부(6)의 콘트롤 키(6b)를 조작하고 인터넷의 웹사이트에 다운로드의 개시를 지시하는 처리를 가하고,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우측방향으로 180° 회전시키면 인터넷의 웹사이트에 자동적으로 접속하여, 촬상된 화상을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의 웹사이트에 다운로드 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터넷의 웹사이트로부터 화상을 다운로드하거나,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로부터 화상을 읽어내서 액정표시화면(5)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조작부(6)의 콘트롤 키(6b)를 조작하여 화상의 취득을 지시한 후,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을 정체로부터 우측방향으로 180° 회전시키면, 인터넷의 웹사이트로부터 화상을 다운로드하고,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을 정체로부터 좌측방향으로 180°회전시키면,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로부터 화상을 취득한다.
(인터넷 접속)
인터넷 접속에 있어서는, 미리, 북 마크나 즐겨찾기 형태로 접속하는 웹사이 트를 하나 이상 등록해 둔다.
도 19에서, 인터넷 접속에 있어서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00), 정체로 있지 않은 경우에는, 키잠금 또는 매너 모드를 설정한다(스텝S101).
또,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있을 경우에는 조작부(6)의 키 조작에 의해 인터넷 접속이 지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02), 인터넷 접속의 경우에는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한다(스텝S103).
여기에서, 액정표시화면(5)이 좌측방향으로 180° 회전된 경우에는 인터넷에 미접속인채로 인터넷 접속을 해제하고(스텝S104), 액정표시화면(5)이 우측방향으로 180° 회전된 경우에는, 인터넷의 웹사이트에 접속한다(스텝S105).
이어서,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하고(스텝S106), 액정표시화면(5)이 우측방향으로 180° 더 회전된 경우에는, 등록된 다른 웹사이트에 접속한다. 또, 액정표시화면(5)이 좌측방향으로 180° 회전된 경우에는, 인터넷의 접속을 해제한다(스텝S104).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정표시화면(5)을 우측방향으로 180°로 회전할 때마다 북마크나 즐겨찾기에 등록된 웹사이트로 차례 차례로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접속순서는 접속의 우선도가 높은 웹사이트로부터 최초에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일 송신)
도 20에 있어서, 메일 송신에 있어서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 체로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11), 정체로 있지 않은 경우에는, 키잠금 또는 매너 모드를 설정한다(스텝S112).
또,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있는 경우에는, 메일을 작성한 후(스텝S113),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한다(스텝S114).
여기에서, 액정표시화면(5)이 좌측방향으로 180° 회전된 경우에는 작성한 메일을 소거하고(스텝S116), 액정표시화면(5)이 우측방향으로 180°회전된 경우에는, 메일을 송신한다(스텝S115). 이어서,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하고(스텝S117), 액정표시화면(5)이 우측방향으로 180° 더 회전된 경우에는, 대기화면으로 이동하고(스텝S118), 액정표시화면(5)이 좌측방향으로 180° 회전된 경우에는, 키잠금 또는 매너 모드로 이행한다(스텝S112).
이상이 각 유저 설정에 있어서의 휴대전화(1)의 기능이다. 또한, 유저 설정을 행하기 전에 제조 메이커가 프리셋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프리셋 설정으로서 상기한 각 항목중 어느 하나를 행하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1)로 빈번하게 설정되는 키잠금/매너 모드를 프리셋 설정하여 출하하고, 그 밖의 설정항목을 유저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을 파지하고 회전수단(4)을 통하여 회전함으로써, 조작부(6)를 조작 하지 않고 휴대전화(1)의 여러 기능을 설정할 수 있어, 휴대전화(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 1 케이싱(2) 및 제 2 케이싱(3)을 회전수단(4)을 통하여 회전함으로써, 조작부(6)를 조작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제 1 케이싱(2) 및 제 2 케이싱(3)이 회전하여 휴대전화(1)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과 다른 상태에 있을 때에, 액정표시화면(5)을 보지 않아도 키잠금 또는 매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외관으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제 1 케이싱(2)을 180° 간격으로 또는 45° 간격으로 회전시켜 휴대전화(1)의 각 기능을 설정하고 있는데, 360°의 범위내에서 더욱 미세하게 회전각도를 결정하여 보다 많은 기능으로 설정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레이트 타입의 휴대전화(1)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폴더식의 휴대전화와 같이 개폐 동작을 불필요로 할 수 있고, 한 동작으로 즉시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케이싱(3)에 설치된 카메라(26)를 제 1 케이싱(2)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26)로 촬상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26)를 피사체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전용의 회전기구를 설치하는 것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용의 회전기구를 불필요하게 하고 카메라(26)를 제 2 케이싱(3)의 배면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26)를 제 2 케이싱(3)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상에 설치하면, 피사체와 카메라(26)의 중심위치를 물리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어, 촬상시에 카메라(26)의 중심위치를 피사체에 맞추는 작업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케이싱(2) 및 제 2 케이싱(3)을 파지하여 회전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적으로 회전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 1 케이싱(2) 및 제 2 케이싱(3)을 모터 등의 회전기구를 통하여 연결하고, 콘트롤 키(6b) 등을 조작함으로써, 회전기구를 회전시키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2a)과 홈부(3a)에 신호선을 설치하여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에 설치된 전자기기로 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하게 되어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에 각각 무선으로 신호의 주고받음을 행하는 인터페이스(41, 42)를 설치하고, 제 1 케이싱(2) 및 제 2 케이싱(3)에 분배된 전자기기의 신호를 인터페이스(41, 42)를 통하여 무선으로 주고받도록 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도 22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 도 23은 소정의 부가기능으로서 휴대전화(51)에 오디오 플레이어 기능을 부가하고 제 2 케이싱(53)의 배면에 오디오 플레이어를 조작하는 부조작부(54)를 설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부조작부(54)는 재생/정지/빨리감기/되감기를 지시하는 키(54a), 음량을 크게 하는 키(54b), 음량을 작게 하는 키(54c)를 구비하고 있다.
도 24는 휴대전화(51)의 시스템 구성도로, 도 24에 있어서, 부가기능(61)으로서 오디오 플레이어 기능이 부가되어 있고, 제 1 케이싱(52)을 회전시키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각도검출수단(35)에 의해 제 1 케이싱(52)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25의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오디오 기능을 설명한다. 도 25에 있어서, 먼저,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21),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 경우에는, 전화 모드로 이행하여(스텝S122), 수화하거나 대화를 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모드는 로킹 된다.
또,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 경우에는, 부조작부(54)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이므로, 오디오 모드로 이행한다(스텝S123). 이 오디오 모드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이크(8)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기억하거나, 인터넷 서버에 업 로드하거나 하게 되어 있다.
또, 오디오 모드에서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 상태로부터 제 1 케이싱(52)을 360° 회전시키면, 시스템 제어부(21)가 각도검출수단(35)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기억된 음성을 스피커(7)로 출력하거나, 인터넷 서버로부터 음성을 다운로드하여 스피커(7)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의 녹음 또는 재생시에 메모리(25), 메모리 카드(34), 인터넷 써버의 전환에 관해서는 콘트롤 키(6b)를 사용한다.
또, 이 상태로부터 제 1 케이싱(52)을 360° 더 회전시키면, 시스템 제어부(21)가 각도검출수단(35)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인터넷에 접속해서 인터넷 서버로부터 음악을 시청(재생)하고 스피커(7)로 출력하거나, 또는, CD나 DVD 등의 기록매체에 기억된 음악을 인터넷 서버나 메모리(25) 또는 메모리 카드(34)에 녹음해도 좋다.
한편, 오디오 모드시에 착신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24),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지의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125). 유저가 착신을 받고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을 정체로 되돌리고 전화 모드로 전환하면, 오디오 모드를 로킹하고 수화를 행한다(스텝S126).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터치로 휴대전화(51)와 오디오 플레이어 기능과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24, 도 27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는, 휴대전화(51)에 소정의 부가기능으로서 카메라(26)에 덧붙여 오디오 기능을 부가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조작부(6)와 반대측의 케이싱(52)의 면에는 카메라(26) 및 소정의 기능을 조작하는 부조작부(55)가 설치되어 있고, 이 부조작부(55)는 재생/정지/빨리감기/되감기를 지시하는 키(55a), 음량을 크게 하는 키(55b), 음량을 작게 하는 키(55c)를 구비하고 있다.
도 24에서, 부가기능(61)으로서 오디오 플레이어 기능이 부가되어 있고, 제 1 케이싱(52)을 회전시키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각도검출수단(35)에 의해 제 1 케이싱(52)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28의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오디오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본 실 시형태에서는, 유저 설정에 의해 카메라와 오디오 기능을 설정한다. 이 유저 설정은 조작부(6)의 콘트롤 키(6b)에 의해 카메라와 오디오를 전환하는 것이다.
먼저,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31),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 경우에는, 콘트롤 키(6b)에 의해 카메라 전환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132). 스텝S132에서 카메라 전환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전화 모드로 이행하고(스텝S133), 카메라 전환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도 29에 도시하는 상대방 촬상의 카메라 모드로 이행한다(스텝S133).
이 상대방 촬상의 카메라 모드에서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 또는 콘트롤 키(6b)를 눌러 촬상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41), 촬상이 행해진 경우에는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한다(스텝S142). 스텝S142에서는,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이 우 180°, 즉,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로 된 경우에는 화상을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보존한다(스텝S143). 또한, 화상의 보존에 관해서는, 1장씩 촬상·보존해도 좋고, 복수매 촬상한 후에 모아서 보존해도 좋다.
이어서,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하고(스텝S145), 액정표시화면(5)이 우측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온으로 한다(스텝S146). 또한 액정표시화면(5)이 좌측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오프로 한다(스텝S147).
한편, 스텝S142에서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이 좌 180°, 즉,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로 된 경우에는 화상을 소거한 후(스텝S144), 스텝S145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촬상후에 액정표시화면(5)을 180°마다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 화상의 보존과 카메라 모드의 온 동작을 반복하고, 촬상후에 액정표시화면(5)을 180° 마다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면, 화상의 소거와 카메라 모드의 오프를 행한다.
한편, 스텝S131에서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가 아닌 경우에는 부조작부(55)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다. 이때, 콘트롤 키(6b)에 의해 오디오 전환 조작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35), 오디오 전환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자신 촬상의 카메라 모드로 이행한다(스텝S137).
이 자신 촬상의 카메라 모드는 도 29에 나타내는 플로차트와 동일한 처리이다. 이 자신 촬상의 카메라 모드에서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셔터 또는 콘트롤 키(6b)를 눌러서 촬상이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41), 촬상이 행해진 경우에는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한다(스텝S142). 스텝S142에서는,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이 우 180°, 즉,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 경우에는 화상을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보존한다(스텝S143).
이어서,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을 판별하고(스텝S145), 액정표시화면(5)이 우측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로 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온으로 한다(스텝S146). 또, 액정표시화면(5)이 좌측방향 으로 180° 회전하여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로 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오프로 한다(스텝S147).
한편, 스텝S142에서 액정표시화면(5)의 회전방향이 좌 180°, 즉,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 경우에는 화상을 소거한 후(스텝S144), 스텝S145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촬상후에 액정표시화면(5)을 180° 마다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 화상의 보존과 카메라 모드의 온 동작을 반복하고, 촬상후에 액정표시화면(5)을 180° 마다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면, 화상의 소거와 카메라 모드의 오프를 행한다.
한편, 콘트롤 키(6b)에 의해 오디오 전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도 26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하게 마이크(8)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기억하거나, 인터넷 서버에 업 로드하거나 하게 되어 있다.
또, 오디오 모드에서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 상태로부터 제 1 케이싱(52)을 360° 회전시키면, 시스템 제어부(21)가 각도검출수단(35)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기억된 음성을 스피커(7)로 출력하거나, 인터넷 서버로부터 음성을 다운로드하여 스피커(7)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의 녹음 또는 재생시에 메모리(25), 메모리 카드(34), 인터넷 서버의 전환에 관해서는 콘트롤 키(6b)를 사용한다.
또, 이 상태로부터 제 1 케이싱(52)을 360° 더 회전시키면, 시스템 제어부(21)가 각도검출수단(35)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인터넷에 접속해서 인터넷 서버로부터 음악을 시청(재생)하여 스피커(7)로 출력하거나, 또는, CD나 DVD 등 의 기록매체에 기억된 음악을 인터넷 서버나 메모리(25) 또는 메모리 카드(34)에 녹음해도 좋다.
또, 오디오 모드시에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을 정체로 되돌리면, 전화 모드로 전환되고, 이때에는, 오디오 모드가 로킹되고 수화가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터치로 휴대전화(51), 카메라, 오디오 플레이나 기능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24, 도 30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의 제 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30은 소정의 부가기능으로서 휴대전화(51)에 라디오 기능을 부가하고, 제 2 케이싱(53)의 배면에 라디오를 조작하는 부조작부(56)를 설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부조작부(56)는 튜닝용의 회동키(56a), 음량을 조절하는 회동키(56b)를 구비하고 있다.
도 24는 휴대전화(51)의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24에서, 부가기능(61)으로서 라디오 기능이 부가되어 있고, 제 1 케이싱(52)을 회전시키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각도검출수단(35)에 의해 제 1 케이싱(52)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31의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라디오 기능을 설명한다. 도 31에서, 먼저,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51), 조 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 경우에는, 전화 모드로 이행하여(스텝S152), 수화하거나 대화를 할 수 있다. 이때에, 라디오 모드는 로킹된다.
또,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 경우에는, 부조작부(5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이므로, 라디오 모드로 이행한다(스텝S153). 이 라디오 모드는,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디오방송을 수신하여 스피커(7)로 음성을 출력한다.
또, 제 1 케이싱(52)을 360° 더 회전시켰을 때에, 시스템 제어부(21)가 각도검출수단(35)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라디오방송을 녹음하거나, 자동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버에 라디오방송을 녹음한다. 또, 회동키(56b)를 조작함으로써 음량조절을 행하거나, 회동키(56a)에 의해 라디오국을 선택한다.
또, 음량을 조절하는 회동키(56b)를 폐지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튜닝을 행하는 회동키(56a)가 남기 때문에, 회동키(56a)를 누른 후, 액정표시화면(5)을 우측방향으로 45°씩 회전시킬 때마다 음량을 크게 하고, 액정표시화면(5)을 좌측방향으로 45°씩 회전시킬 때마다 음량을 작게 한다.
또, 튜닝을 행하는 회동키(56a)를 폐지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음량을 조절하는 회동키(56b)가 남기 때문에, 회동키(56b)를 1초간 이상 누른 후, 액정표시화면(5)을 우측방향으로 45°씩 회전시킬 때마다 수신 주파수가 커지는 라디오국을 선택하고, 액정표시화면(5)을 좌측방향으로 45°씩 회전시킬 때마다 수신 주파수가 작아지는 라디오국을 선택한다.
또한 라디오 모드시에 착신이 있었는지 아닌가를 판별하고(스텝S154),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지의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155). 유저가 착신을 받아서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을 정체로 되돌려 전화 모드로 전환하면, 라디오 모드를 로킹하여 수화를 행한다(스텝S156).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터치로 휴대전화(51)와 라디오 기능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24, 도 33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의 제 5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33은 소정의 부가기능으로서 휴대전화(51)에 텔레비젼 기능을 부가하고, 제 2 케이싱(53)의 배면에 텔레비젼을 조작하는 부조작부(57)를 설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부조작부(57)는 선국용 키(57a), 음량을 크게 하는 키(57b), 음량을 작게 하는 키(57c)를 구비하고 있다.
도 24는 휴대전화(51)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4에서, 부가기능(61)으로서 오디오 플레이어 기능이 부가되어 있고, 제 1 케이싱(52)을 회전시키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각도검출수단(35)에 의해 제 1 케이싱(52)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게 되고 있다.
다음에 도 34의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텔레비젼 기능을 설명한다. 도 34에 있어서, 우선,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 S161),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 경우에는 전화 모드로 이행하여(스텝S162), 수화 또는 대화를 할 수 있다. 이때에, 텔레비젼 모드는 로킹 된다.
또,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 경우에는, 부조작부(57)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이므로, 텔레비젼 모드로 이행한다(스텝S163). 이 텔레비젼 모드는,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텔레비젼 방송을 수상하여 액정표시화면(5)에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음성을 스피커(7)로 출력한다.
또, 제 1 케이싱(52)을 360° 더 회전시켰을 때에, 시스템 제어부(21)가 각도검출수단(35)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텔레비젼 방송을 녹음하거나, 자동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버에 텔레비젼 방송을 녹음한다.
또, 음량을 조절하는 키(57b, 57c)를 폐지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선국을 행하는 키(57a)가 남기 때문에, 키(57a)를 누른 후, 액정표시화면(5)을 우측방향으로 45°씩 회전시킬 때마다 음량을 크게 하고, 액정표시화면(5)을 좌측방향으로 45°씩 회전시킬 때마다 음량을 작게 한다.
또, 선국을 행하는 회동키(57a)를 폐지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음량을 조절하는 키(57b, 57c)가 남기 때문에, 키(57a 또는 57b)를 1초간 이상 누른 후, 액정표시화면(5)을 우측방향으로 45°씩 회전시킬 때마다 숫자가 커지는 방송국을 선택하고, 액정표시화면(5)을 좌측방향으로 45°씩 회전시킬 때마다 숫자가 작아지는 방송국을 선택한다.
또, 텔레비젼 모드시에 착신이 있었는지 아닌가를 판별하고(스텝S164), 착신 이 있는 경우에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165). 유저가 착신을 받아서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을 정체로 되돌려 전화 모드로 전환하면, 텔레비젼 모드를 로킹하여 수화를 행한다(스텝S166).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터치로 휴대전화(51)와 텔레비젼 기능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도 24, 도 36 내지 도 38은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의 제 6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36은 소정의 부가기능으로서 휴대전화(51)에 비디오데크 기능을 부가하고, 제 2 케이싱(53)의 배면에 비디오데크를 조작하는 부조작부(58)를 설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부조작부(58)는 재생/정지/빨리감기/되감기를 지시하는 키(58a), 녹음을 행하는 키(58b), 음량을 크게 하는 키(58c), 음량을 소로 하는 키(58d)를 구비하고 있다.
도 24는 휴대전화(51)의 시스템 구성도로, 도 24에 있어서, 부가기능(61)으로서 비디오데크 기능이 부가되어 있고, 제 1 케이싱(52)을 회전시키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각도검출수단(35)에 의해 제 1 케이싱(52)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37의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텔레비젼 기능을 설명한다. 도 37에서, 먼저,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71),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 경우에는, 전화 모드로 이행하여(스텝S172), 수화 또는 대화를 행할 수 있다. 이때에, 텔레비젼 모드는 로킹 된다.
또,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가 역체인 경우에는, 부조작부(58)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이므로, 비디오데크 모드로 이행한다(스텝S173). 이 비디오데크 모드는,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버로부터 영화나 음악 등의 영상을 재생하거나,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에 녹화되어 있는 영상을 재생하여 액정표시화면(5)에 표시하는 동시에 스피커(7)로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다.
또, 부조작부(58)의 키 조작에 의해 음량조절이나 비디오의 정지/재생을 행할 수 있는데, 키(58a)를 제거하고 축회전에 의해 음량조절이나 정지/재생을 행하게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키(58c) 또는 키(58d)를 1초간 이상 누른 후, 액정표시화면(5)을 우측방향으로 180° 회전시켰을 때에 비디오 영상의 정지를 행하고, 액정표시화면(5)을 좌측방향으로 180° 회전시킬 때마다 비디오 영상의 재생을 행한다.
또, 음량조절용의 키(58c, 58d)를 제거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키(58a)를 1초간 이상 누른 후, 액정표시화면(5)을 우측방향으로 45°씩 회전시킬 때마다 음량을 크게 하고, 액정표시화면(5)을 좌측방향으로 45°씩 회전시킬 때마다 음량을 작게 한다.
또, 비디오데크 모드시에 착신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74),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스텝S175). 유저가 착신을 받아서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을 정체로 되돌려 전화 모드로 전환하면, 비디오데크 모드를 로킹하고 수화를 행한다(스텝S176).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터치로 휴대전화(51)와 비디오데크 기능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도 24, 도 39 내지 도 41은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의 제 7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39는 소정의 부가기능으로서 휴대전화(51)에 내비게이션 기능을 부가하고, 제 2 케이싱(53)의 배면에 내비게이션 기능을 조작하는 부조작부(59)를 설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부조작부(59)는 콘트롤 키(59a), 결정 키(59b), 방향의 지시나 지도의 확대/축소를 설정하는 각종 키 세트(59c)를 구비하고 있다.
도 24는 휴대전화(51)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4에서, 부가기능(61)으로서 내비게이션 기능이 부가되어 있고, 제 1 케이싱(52)을 회전시키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각도검출수단(35)에 의해 제 1 케이싱(52)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게 되고 있다.
다음에, 도 40의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텔레비젼 기능을 설명한다. 도 40에서, 먼저,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81),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 경우에는, 전화 모드로 이행하여(스텝S182), 수화 또는 대화를 행할 수 있다. 이때에, 내비게이션 모드는 로킹 된다.
또,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 경우에는, 부조작부(59)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이므로, 내비게이션 모드로 이행한다(스텝S183).
이 내비게이션 모드는,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조작부(59)를 조작하여 행선지를 지시하고, 부조작부(59)의 검색 스위치를 누른 후, 액정표시화면(5)과 부조작부(59)가 정체인 상태로부터 액정표시화면(5)을 360° 회전시키면, 인터넷에 자동적으로 접속하여 인터넷으로부터 송신되는 지도와 GPS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현재위치를 비교하면서 안내경로를 액정표시화면(5)에 표시하거나, 메모리(25)나 메모리 카드(34)로부터 지도를 읽어 내고, 이 지도와 GPS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현재위치를 비교하면서 안내경로를 액정표시화면(5)을 표시한다.
또, 방향지시용의 키를 폐지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액정표시화면(5)과 부조작부(59)가 정체인 상태로부터 액정표시화면(5)을 우측으로 360° 회전시켰을 때에, 우측방향을 지시하거나, 액정표시화면(5)을 좌측으로 360° 회전시켰을 때에, 좌측방향을 지시해도 좋다. 또, 지도의 확대/축소를 지시하는 키를 폐지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액정표시화면(5)과 부조작부(59)가 정체인 상태로부터 액정표시화면(5)을 우측으로 45° 간격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지도를 축소하고, 액정표시화면(5)을 좌측으로 45° 간격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지도를 확대한다.
또, 내비게이션 모드시에 착신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84),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185). 유저가 착신을 받고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을 정체로 되돌려 전화 모드로 전환하면, 내비게이션 모드를 로킹하고 수화를 행한다(스텝S186).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터치로 휴대전화(51)와 내비게이션 기능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부조작부(59)와 액정표시화면(5)을 정체로 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실행중에 착신이 있는 경우에, 오프 훅 하면 인터넷과의 통신이 절단되어버리므로, 착신이 있는 경우에 받아들이지 않도록 해도 좋다.
(제 8 실시형태)
도 24, 도 42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의 제 8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4에 도시하는 부가기능(61)으로서 개인인증 기능을 휴대전화(51)에 부가하고,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싱(53)의 배면에 개인인증 기능을 조작하는 부조작부(60)를 설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부조작부(60)는 인증키(60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도검출수단(35)으로부터의 검출수단에 기초하여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로 되었을 때, 시스템 제어부(21)는 카메라(26)에 의해 촬상된 아이리스(홍채)와 메모리(25) 또는 메모리 카드(34), 혹은 인터넷 서버에 기억된 휴대전화(51)의 소유자의 생체적 특징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가 일치하면,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여 개인정보의 취득을 허가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43의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개인인증기능을 설명한다.
도 43에 있어서, 먼저,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91),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 경우에는, 전화 모드 로 이행하여(스텝S192), 수화 또는 대화를 행할 수 있다. 이때에, 개인인증 모드는 로킹된다.
또,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 경우에는, 부조작부(60) 및 카메라(2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이므로, 개인인증 모드로 이행한다(스텝S193).
이 개인인증 모드로 이행하면, 카메라(26)에 의해 아이리스가 촬상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194), 아이리스가 촬상된 경우에는,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상된 아이리스(홍채)와 메모리(25) 또는 메모리 카드(34) 혹은 인터넷 서버에 기억된 휴대전화(51)의 소유자의 생체적 특징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결과가 일치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195).
스텝S195에서 비교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증 불허가로 하고(스텝S196), 비교결과가 일치한 경우에는 인증을 허가한다(스텝S197). 이어서, 인증키(60a)를 누르면,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여 개인정보의 취득이 허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터치로 휴대전화(51)와 개인인증 기능과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제 9 실시형태)
도 24, 도 42, 도 45, 도 46은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의 제 9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4는 부가기능(61)으로서 개인인증 기능을 휴대전화(51)에 부가한 것으로, 축회전에 의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도검출수단(35)으로부터의 검출수단에 기초하여 축회전의 방향과 회전각도에 기초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시스템 제어부(21)가 메모리(25) 또는 메모리 카드(34)에 이 비밀번호를 기억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인터넷 접속을 허가를 받을 때에, 다시, 축회전에 의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인터넷에 접속을 행한다. 즉, 휴대전화(51)를 IC카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도 45의 플로우 차트에 기초하여 개인인증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비밀번호의 입력을 행한다. 이 비밀번호의 입력시에는,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45)이 역체인 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n회전, 좌측방향으로 n회전과 같이 회전 회수와 회전방향을 임의로 설정하고 콘트롤 키(6b)를 눌러 결정하는 방법과,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45)이 역체인 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n° 좌측방향으로 n°와 같이 회전각도와 회전방향을 임의로 설정하고 콘트롤 키(6b)를 눌러 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시스템 제어부(21)는 각도검출수단(35)으로부터의 검출정보에 기초하여 회전 회수와 회전방향 또는 회전각도와 회전방향을 판단하여 메모리(25) 또는 메모리 카드(34)에 기억한다.
이와 같이 비밀번호가 설정된 휴대전화(51)를 사용하여 개인인증을 행하기 위해서는, 도 45에서, 먼저,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201),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 경우에는, 전화 모드로 이행하여(스텝S202), 수화 또는 대화를 행할 수 있다.
또,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 경우에는, 조작부(6)와 부조작부(60)가 정체로 되고, 개인인증 모드로 이행한다(스텝S203). 즉, 이 역체의 위치가 영점으로 되는 동시에, 비밀번호 입력시의 대기상태가 된다.
이어서, 액정표시화면(5)을 임의의 회전 회수와 회전방향 또는 회전각도와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이 회전 회수와 회전방향 또는 회전각도와 회전방향과 메모리(25) 또는 메모리 카드(34)에 기억된 회전 회수와 회전방향 또는 회전각도와 회전방향을 비교하고, 축회전이 정상적으로 행해졌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204).
스텝S204에서 축회전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인증 불허가로 하고(스텝S205), 축회전이 정상적으로 행해진 경우에는 인증을 허가한다(스텝S205). 이어서, 인증키(60a)를 누르면,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여 개인정보의 취득을 허가한다. 또, 인터넷 접속 이외에도, 은행의 자동 현금지급기의 인증이나 자동 잠김의 인증 등에 사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터치로 휴대전화(51)와 개인인증 기능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제 10 실시형태)
도 24, 도 47 내지 도 49는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의 제 10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47은 소정의 부가기능으로서 휴대전화(51)에 백업 기능을 부가하고, 제 2 케이싱(53)의 배면에 백업 기능을 조작하는 부조작부(62)를 설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부조작부(62)는 콘트롤 키(62a) 및 보존 키(62b)를 구비하고 있다.
도 24는 휴대전화(51)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4에서, 부가기능(61)으로서 내비게이션 기능이 부가되어 있고, 제 1 케이싱(52)을 회전시키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각도검출수단(35)에 의해 제 1 케이싱(52)의 회전각도를 검출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48의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백업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211),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인 경우에는, 전화 모드로 이행하여(스텝S212), 수화 또는 대화를 행할 수 있다. 이 때에, 백업 모드는 로킹된다.
또,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이 역체인 경우에는, 부조작부(62) 및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이므로, 백업 모드로 이행한다(스텝S213).
이 백업 모드로 이행하면, 콘트롤 키(62a)를 조작하여 백업한 데이터를 지정하고, 보존 키(62b)가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214), 보존 키(62b)가 눌렸으면,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업 데이터를 인터넷 서버나 메모리(25) 또는 메모리 카드(34)에 기억한다.
또한, 부조작부(62)를, 액정표시화면(5)이 정체로 된 상태에서 착신이 있는 경우에, 제 1 케이싱(52)을 180° 회전시켜서 조작부(6)와 액정표시화면(5)을 정체로 했을 때에, 백업 기능을 일단 정지하고, 오프 훅 할 수 있게 해도 되고, 또, 착신이 없더라도 발신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할 수 있게 해도 좋다. 또, 백업중에 착 신이 있는 경우에는 백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착신을 받아들이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터치로 휴대전화(51)와 백업 기능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전화(1, 51)의 본체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축을 따라서 2개의 케이싱으로 분할되어 있는데, 3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회전수단을 통하여 연결하고, 각 케이싱의 회전에 따라 휴대전화(1, 51)의 소정의 기능을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을 회전수단을 통하여 회전함으로써, 조작수단을 조작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소정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통신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화상 데이터 또는 문자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과,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수단과,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의 길이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을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는 회전수단과,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이 상기 회전수단을 통하여 회전될 때마다 그 회전위치에 따라 소정의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기능설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조작수단을 구비한 본체를,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축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케이싱으로 분할하고, 상기 회전수단이 상기 케이싱을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표시수단을 구비한 표시측 케이싱 및 상기 조작수단을 구비한 조작측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연결되는 일방의 케이싱에 설치된 회전축과, 타방의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 는, 또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수단을 갖고, 상기 기능설정수단은 상기 회전각도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6. 삭제
  7. 삭제
KR1020057009086A 2002-11-20 2003-11-13 휴대통신단말 KR101004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6563 2002-11-20
JPJP-P-2002-00336563 2002-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920A KR20050083920A (ko) 2005-08-26
KR101004300B1 true KR101004300B1 (ko) 2010-12-28

Family

ID=3232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086A KR101004300B1 (ko) 2002-11-20 2003-11-13 휴대통신단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551945B2 (ko)
EP (2) EP1564968B1 (ko)
JP (1) JP4469282B2 (ko)
KR (1) KR101004300B1 (ko)
CN (1) CN1736084B (ko)
AU (1) AU2003280794A1 (ko)
DE (1) DE60321592D1 (ko)
TW (1) TW200420078A (ko)
WO (1) WO2004047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4404B2 (ja) 2003-10-01 2008-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20050066305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몰식 영상촬상장치
US7330547B2 (en) 2004-02-26 2008-02-12 Nokia Corporation Dual keypad phone
US20060015822A1 (en) * 2004-07-15 2006-01-19 Imran Baig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a user interface display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42507B1 (ko) * 2004-10-21 2006-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CN101049001A (zh) * 2004-10-25 2007-10-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移动电话装置
KR101128075B1 (ko) * 2005-03-15 2012-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두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그제어 방법
US20090048002A1 (en) * 2005-09-14 2009-02-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rtable terminal
JP4859438B2 (ja) 2005-10-25 2012-01-25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実行可能処理制限方法および実行可能処理制限プログラム
KR101218677B1 (ko) * 2005-11-07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EP1783985B1 (en) * 2005-11-07 2012-03-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hanging screen mode thereof
KR100757167B1 (ko) * 2006-06-09 2007-09-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생체인식 촬상을 위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영상처리 방법
KR101122087B1 (ko) * 2006-07-20 201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모드 변경 방법
KR20080014541A (ko) * 2006-08-11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단말기
US20080057949A1 (en) * 2006-08-31 2008-03-06 Martin Wraber Christensen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800801B1 (ko) * 2006-11-16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키 제어 장치
KR100782509B1 (ko) 2006-11-23 2007-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모드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표시부의 화면전환 방법
KR100819880B1 (ko) 2006-12-01 2008-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 방법
KR100810347B1 (ko) * 2006-12-27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US8311530B2 (en) * 2007-01-26 2012-11-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 entry of password on a mobile device
US8326636B2 (en) * 2008-01-16 2012-12-04 Canyon Ip Holdings Llc Using a physical phenomenon detector to control operation of a speech recognition engine
US20100169830A1 (en) * 2007-04-26 2010-07-01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Command
JP4907451B2 (ja) * 2007-06-28 2012-03-2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DE102007031559A1 (de) * 2007-07-06 2009-01-08 Robert Bosch Gmbh Tragbares elektronisches Gerät
US20100216516A1 (en) * 2007-10-05 2010-08-26 Mikio Fujiwara Terminal having display section
KR101455983B1 (ko) * 2007-10-19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101366859B1 (ko) 2007-10-31 201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460609B1 (ko) * 2008-05-23 2014-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 수신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JP4517253B2 (ja) 2008-09-30 2010-08-0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886541B2 (en) * 2010-02-04 2014-11-11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ler with position actuatated voice transmission
EP3203713A1 (en) * 2010-12-30 2017-08-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CN102118506A (zh) * 2011-03-03 2011-07-06 北京百纳威尔科技有限公司 显示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3425399A (zh) * 2012-05-25 2013-12-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解锁系统及其解锁方式设置方法
CN109101165A (zh) * 2012-06-28 2018-12-28 汉阳大学校产学协力团 用户界面调节方法
KR101397084B1 (ko) 2012-07-0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398141B1 (ko) 2013-02-08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5988571A (zh) * 2015-02-16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信息处理方法
CN105208274A (zh) * 2015-09-24 2015-12-3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JP6219426B2 (ja) * 2016-03-06 2017-10-2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式電子機器が使用モードを変更する方法、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166A (ja) * 1999-12-14 2001-06-22 Nec Corp 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6655U (ko) * 1989-12-22 1991-09-02
JPH0750711A (ja) 1993-08-05 1995-02-21 Casio Comput Co Ltd 携帯端末装置
JPH08107375A (ja) 1994-10-06 1996-04-23 Hitachi Ltd 音響信号記録再生装置
JPH1070597A (ja) 1996-08-28 1998-03-10 Kyocera Corp 携帯機器の項目選択装置
US6073033A (en) * 1996-11-01 2000-06-06 Telxon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with integrated heads-up display and data terminal functions
GB2330981B (en) * 1997-10-31 2002-07-03 Nokia Mobile Phones Ltd A radiotelephone handset
US6549789B1 (en) * 2000-04-28 2003-04-15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 adaptable user interface
US6658272B1 (en) * 2000-04-28 2003-12-02 Motorola, Inc.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385490B2 (ja) * 2000-05-12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2002185589A (ja) * 2000-12-14 2002-06-28 Nec Access Technica Ltd 折畳式携帯電話機
JP3574084B2 (ja) * 2001-04-03 2004-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US6768899B2 (en) * 2001-04-04 2004-07-27 Motorola, Inc. Rotational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470172B1 (ko) * 2001-06-22 2005-02-04 주식회사 임팩트라 디스플레이부를 수직 및 수평으로 변환가능한 이동단말기
JP2003008695A (ja) 2001-06-25 2003-01-10 Pioneer Electronic Corp 携帯情報端末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166A (ja) * 1999-12-14 2001-06-22 Nec Corp 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21592D1 (de) 2008-07-24
AU2003280794A1 (en) 2004-06-15
CN1736084A (zh) 2006-02-15
JP4469282B2 (ja) 2010-05-26
WO2004047413A1 (ja) 2004-06-03
EP1928159A3 (en) 2008-06-25
US7551945B2 (en) 2009-06-23
TW200420078A (en) 2004-10-01
TWI347770B (ko) 2011-08-21
CN1736084B (zh) 2011-08-24
EP1564968B1 (en) 2008-06-11
JPWO2004047413A1 (ja) 2006-03-23
KR20050083920A (ko) 2005-08-26
EP1564968A1 (en) 2005-08-17
EP1928159A2 (en) 2008-06-04
US20060050168A1 (en) 2006-03-09
EP1564968A4 (en)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300B1 (ko) 휴대통신단말
KR100361796B1 (ko) 정보 단말 장치
JP4593492B2 (ja) 携帯端末、動作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JP4565002B2 (ja) 携帯通信端末
US7706831B2 (en) Simplified intuitive cell phone user interface
JP2003008695A (ja) 携帯情報端末機
JP4442385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359717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403931B2 (ja) 電子機器、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4618356B2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2008005106A (ja) 情報処理装置
JP4869574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情報提示方法および情報提示プログラム
JP4476198B2 (ja) 端末装置
KR20050042852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JP2003258955A (ja) 情報端末装置
JP2006074538A (ja) 無線通信端末
JP2005151108A (ja)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携帯型電話機
JP3949561B2 (ja) 携帯端末装置
JP4173827B2 (ja) 携帯情報端末、スケジュール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
JP4103486B2 (ja) 折畳み型携帯無線端末
JP4261302B2 (ja) 携帯電話端末
KR100678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JP4757468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新着情報提示方法および新着情報提示プログラム
JP5534397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4543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진과 음성을 함께 저장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