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677B1 -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677B1
KR101218677B1 KR1020060039313A KR20060039313A KR101218677B1 KR 101218677 B1 KR101218677 B1 KR 101218677B1 KR 1020060039313 A KR1020060039313 A KR 1020060039313A KR 20060039313 A KR20060039313 A KR 20060039313A KR 101218677 B1 KR101218677 B1 KR 101218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ember
cam
rotated
movable cam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048A (ko
Inventor
박완규
양지선
송보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RU2006138962/09A priority Critical patent/RU2342801C2/ru
Priority to AT06023074T priority patent/ATE548847T1/de
Priority to US11/593,092 priority patent/US7684822B2/en
Priority to EP06023074A priority patent/EP1783985B1/en
Priority to JP2006301004A priority patent/JP5117032B2/ja
Priority to MXPA06012930A priority patent/MXPA06012930A/es
Priority to CN2006101439469A priority patent/CN1964376B/zh
Priority to TW095141097A priority patent/TWI395450B/zh
Priority to BRPI0604536-7A priority patent/BRPI0604536A/pt
Publication of KR20070049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제1바디와; 제1바디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 및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좌우 어느 한 쪽으로 편심되게 배치되고,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를 수평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제2바디의 회전에 의하여 개방되는 제1바디의 영역이 넓어지고 그에 따라 키패드와 같이 유용한 보조 장치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핸드폰, 휴대폰, 단말기, 힌지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ODE CHANG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2바디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열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힌지 모듈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힌지 모듈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힌지 모듈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3의 힌지 모듈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제2바디가 180도 회전되어 열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휴대 단말기의 힌지 모듈의 평면도,
도 11 내지 도 15는 도 9의 힌지 모듈의 작동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제2바디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열린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블럭도,
도 18은 본 발명에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 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바디 11: 제1키패드
12: 제2키패드 20: 제2바디
21: 디스플레이 23: 제1스피커
24: 제2스피커 30: 힌지 모듈
31: 제1힌지부재 32: 제2힌지부재
33: 샤프트 40: 고정캠
41: 제1만곡부 42: 제2만곡부
50A: 제1가동캠 50B: 제2가동캠
51: 걸림돌기 52: 구름바퀴
60: 스토퍼 장치 70: 가이드부
71: 가이드돌기 72: 가이드홈
80: 스프링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 가능한 어느 한 바디가 다른 바디에 수평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가로 화면 또는 세로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에 관 한 것이다.
모바일 폰이나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이동중에 이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이나 정보를 열람 또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경량화되고 슬림화되어 가는 반면에, 작고 제한된 장치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편리하도록 충분한 기구적인 뒷받침과 함께 다양한 동작에 따른 모드 구현이 자연스럽게 전환될 것을 요한다.
정보통신기술과 메모리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는 단순한 폰의 개념을 확장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각종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 또는 편집하거나 TV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기능까지 보유하기도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일 예로 종래 고정된 세로 화면만을 제공하는 형태에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바디 자체를 회전시킴으로써 가로 화면도 함께 볼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도 설계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플레이 바디를 회전시키는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바디가 회전되어 열리더라도 메인 바디를 가리는 영역이 넓기 때문에, 메인 바디의 가려지는 영역에 대한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회전시 개방되는 영역에 키패드를 설치하고자 하여도 그 면적이 좁기 때문에 많은 키버튼을 두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느 한 바디가 다른 바디에 수평으로 회전될 시 개방 영역이 최대한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개방 영역에 대한 활용성을 높이고, 수평 회전된 바디에 의하여 가로 화면 또는 세로 화면으로 보는 것이 유리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느 바디가 다른 바디에 수평으로 회전될 시 바디의 회전 각도에 따라 특정 모드로 전환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바디와; 제1바디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 및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좌우 어느 한 쪽으로 편심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를 수평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2바디가 제1바디에 대해 닫힌 상태로 되어 통화 대기를 유지하는 제1단계와; 제2바디가 제1바디에 대해 수평 회전이 있는 경우, 제2바디의 수평 회전방향 및 회전 각도를 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2단계; 및 센서에 의해 전송된 신호에 의해 제어부가 단말기를 특정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방법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는 제1바디(10)와, 제1바디(10)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20) 및, 제1바디(10)와 제2바디(20) 사이의 좌측 상단에 편심되게 배치되고 제1바디(10)와 제2바디(20) 사이를 수평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모듈(30)로 구성된다.
힌지 모듈(30)은 제2바디(20)가 제1바디(10)에 대하여 열림시 제1바디(10)의 개방 면적을 크게 하는 것으로서, 도시된 것과 반대로 우측 상단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오른쪽 또는 왼쪽이란 도 1에서 오른쪽 또는 왼쪽과 같은 방향을 말하는 것이며, 상하는 도 1에서 위쪽과 아래쪽과 같은 방향을 말한다.
제2바디(20)는 제1바디(10)에 대하여 닫혀 있는 도 1의 상태일 때 제1바디(10)의 일부가 항상 노출될 수 있도록 제1바디(10)보다 작은 길이를 가짐으로써, 제1바디(10)의 노출되는 영역에 입력이나 제어를 담당하는 키패드(12)를 두는 것이 가능하다.
제1바디(10)의 전면 하단에는 음성 입력을 할 수 있도록 마이크(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바디(20)의 상단과 하단 전면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1스피커(23)와 제2스피커(2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1바디(20)를 열지 않고도 제1스피커(23)와 마이크(15)에 의하여 통화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스피커(23)는 제2바디(20)의 개방시 함께 회전되어 제2스피커(24)와 함께 스테레오 사운드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2바디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열린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바디(10)의 전면에는 제2바디(20)가 90도 회전되어 개방되면 노출되는 제1키패드(11)와, 항상 외부로 노출되는 제2키패드(12)가 설치되어 있다.
제1키패드(11)는 단말기(1)에 문자나 기타 정보를 입력하는 용도로 배정될 수 있도록 숫자/자,모음 및 영문자 등이 할당된 다수개의 키로 구성되며, 제2키패드(12)는 특수 기능이나 메뉴를 선택하는 용도로 배정될 수 있도록 방향키, 통화키,메뉴키, 검색키 등이 할당된 다수개의 키로 구성된다.
특히, 제1키패드(11)는 힌지 모듈(30)이 우측 상단에 편심되어 있으므로 제2바디(20)의 회전시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 힌지 모듈이 가운데에 있었으므로 제2바디가 회전되더라도 제1바디의 개방영역이 좁기 때문에 키패드를 설치하기 어렵고 설치한다 하더라도 작아서 불편한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힌지 모듈(30)의 설치 위치는 우측 상단에 편심되게 설치하되 제1바디(10)와 제2바디(20)가 서로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제1바디(10)의 상부 단부와 제2바디(20)의 상부 단부가 측면에서 볼 때 서로 동일 선상에 놓여져 전체적인 휴대 단말기의 형상이 'bar' 형태가 되고, 제2바디(20)의 회전시 제2바디(20)의 측면 단부가 제1바디(10)의 상부 단부보다 높게 놓여지게 설치되어 전체적인 휴대 단말기의 형상이 'T' 형태가 되도록 하는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21)는 제2바디(20)가 제1바디(10)에 대해 닫혀 있는 도 1의 상태일 때에는 세로화면을 제공하고, 제1바디(10)에 대하여 90도 회전되어 열려 있는 도 2의 상태에서는 가로화면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21)를 통하여 편집을 하거나 동영상 감상 또는 TV 시청이 용이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힌지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힌지 모듈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힌지 모듈의 전체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 모듈(30)은 제1바디(10)의 상면과 제1바디(10)에 대응되는 제2바디(20)의 하면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는 제1힌지부재(31) 및 제2힌지부재(32)와, 제1힌지부재(31)와 제2힌지부재(32)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제1힌지부재(31)가 제2힌지부재(32)에 대해 수평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33)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힌지부재(31)와 제2힌지부재(32) 및 샤프트(33)는 그 내부로 제1바디(10)와 제2바디(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다.
제1힌지부재(31)가 제2힌지부재(32)에 대해 회전될 때 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1힌지부재(31)와 제2힌지부재(32) 사이에는 탄성력 제공부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력 제공부를 상세히 설명하면, 탄성력 제공부는 제1힌지부재(31)에 고정되고 그 외주면에 캠프로파일(cam profile)이 형성된 고정캠(40)과, 제2힌지부재(31)에 반경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캠(40)의 회전각에 따라 제2바디(20)가 닫힘 상태일 때와 열림 상태일 때 각각 고정캠(40)의 회전을 스토핑시키는 가동캠(50A)(50B) 및, 가동캠(50A)(50B)의 주위에 설치되어 가동 캠(50A)(50B)을 고정캠(4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스프링(80)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캠(40)의 캠프로파일은 제2바디(20)가 닫힘위치와 90도 회전되어 열림된 위치에서 각각 정지되도록 닫힘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도 각도만큼 형성되어 있다. 다만, 후술하는 제2, 제3실시예와 같이, 제2바디(20)의 회전각은 90도에 제한되지 않고 180도에 이를 수 있으며, 반시계 방향 회전도 가능하도록 그 길이가 90도보다 크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된 캠프로파일도 가능하다.
고정캠(40)의 외주면에는 제2바디(20)가 닫힘위치에서 가동캠(50)에 걸려 정지될 수 있게 만곡되게 형성되는 제1만곡부(41)와 제2바디(20)가 90도 회전되어 열린 위치에서 가동캠(50A)에 걸려 정지될 수 있게 제2만곡부(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동캠(50A)(50B)은 샤프트(33)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가동캠(50A)과 제2가동캠(50B)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가동캠(50A)(50B) 모두가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필요는 없으며,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가동캠(50A)만이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고정캠(40)의 캠프로파일이 샤프트(33)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이중으로 되는 경우라면 제2가동캠(50B)도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동캠(50A)은 고정캠(40)의 캠프로파일에 접촉하며 그 접촉점이 이동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51)가 구비되어 있으며, 걸림돌기(51)에는 고정캠(40)의 캠프로파일과 구름 접촉할 수 있도록 구름바퀴(52)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름바퀴(52)는 고정캠(40)이 회전하면 고정캠(40)의 캠프로파일과 접촉하며 샤프트(33)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구름바퀴(52)의 구름에 의하여 마찰력이 저감되어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제2힌지부재(32)와 제1가동캠(50A)의 사이에는 제1가동캠(50A)이 샤프트(33)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70)는 제2힌지부재(32)에 슬롯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홈(72)과, 제1가동캠(50A)에 형성되고 가이드홈(72)에 걸려 안내되는 가이드돌기(71)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부(70)는 제1가동캠(50A)이 이동시 흔들리지 않도록 제1가동캠(50A)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스프링(80)은 제1가동캠(50A)과 제2가동캠(50B)을 폐곡선 형태로 감싸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용이한 조립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스프링(80)은 제1가동캠(50A)과 제2가동캠(50B)이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면 되므로, 제1가동캠(50A)과 제2가동캠(50B)의 양단에 각각 지지되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힌지부재(32)와 고정캠(40) 사이에는 제1힌지부재가 제2힌지부재에 대하여 정확한 정지지점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스토퍼 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 장치(60)는 제2힌지부재(32)에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66)과 고정캠(40)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토퍼 돌기(61)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홈(66)의 길이는 제2바디(20)의 회전 가능 각도를 의미하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의 힌지 모듈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3의 힌지 모듈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휴대 단말기(1)의 제2바디(20)가 제1바디(10)에 대해 닫혀 있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때 제1가동캠(50A)의 걸림돌기(51)와 구름바퀴(52)는 고정캠(40)의 제1만곡부(41)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7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바디(20)를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제1바디(10)에 고정되는 고정캠(40)은 반대로 회전되고, 제1가동캠(50A)은 제2가동캠(50B)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고정캠(40)이 회전되는 동안 제1가동캠(50A)의 걸림돌기(51)와 구름바퀴(52)는 고정캠(40)에 형성된 제1만곡부(41)와 제2만곡부(42)의 사이에 있는 사점(死點)을 지나치게 된다. 그 순간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가동캠(50A)은 제2가동캠(50B)에 대하여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바디(20)는 회전하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된다.
그러다가 제1가동캠(50A)의 걸림돌기(51)와 구름바퀴(52)가 고정캠(40)의 제2만곡부(42)에 이르게 되면 제2바디(20)의 회전은 정지된다(도 8).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제2바디가 180도 회전되어 열린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제1바디(110)와, 제1바디(110)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120) 및,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사이의 좌측 상단에 편심되게 배치되고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사이를 수평으로 90도 및 18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모듈(130)로 구성된다.
제1바디(120)의 전면에는 제2바디(120)가 90도 회전되어 개방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제1키패드(111), 항상 외부로 노출되는 제2키패드(112) 및, 제2바디(120)가 180도 회전되어 개방되면 추가적으로 노출되는 제3키패드(113)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1키패드(111)와 제2키패드(112)는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제1키패드(11)와 제2키패드(12)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키패드가 될 수 있으며, 제3키패드(113)는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 키패드가 바람직하다.
특히, 디스플레이(121)가 구비된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에 대해 180도 회전되어 열릴 때는 가로 화면이나 세로 화면을 모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121)를 세로화면으로 볼 때는 일반적인 편집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로화면으로 볼 때는 제3키패드(113)를 이용하여 게임이나 탐색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도 9의 휴대 단말기의 힌지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힌지 모듈(130)은 고정캠(도시되지 않음)에 대하여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가동캠(150A)을 구비하고 있다.
제2힌지부재(132)가 제1힌지부재(131)에 대하여 정확하게 180도 회전 지점에서 정지할 수 있게 180도 길이를 갖는 가이드홈(162)과 스토퍼 돌기(161)로 이루어진 스토퍼 장치(160)가 구비되어 있다.
도 1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캠(140)의 외주면에는 제2바디(120)가 닫힘위치에서 가동캠(150)에 걸려 정지될 수 있게 만곡되게 형성되는 제1만곡부(141)와 제2바디(120)가 90도 회전되어 열린 위치에서 제1가동캠(150A)에 걸려 정지될 수 있게 제2만곡부(14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2바디(120)가 180도 회전되어 열린 위치에서 제1가동캠(150A)에 걸려 정지될 수 있게 제3만곡부(14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힌지 모듈(130)에 대한 여타의 구성이나 작용은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며, 대응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유사한 번호를 부여하였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도 9의 힌지 모듈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바디(120)가 제1바디(110)에 대하여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제1가동캠(150A)의 걸림돌기(151)와 구름바퀴(152)는 고정캠(140)의 제1만곡부(141)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바디(120)를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제1바디(110)에 고정되는 고정캠(140)은 반대로 회전되고, 제1가동캠(150A)은 제2가동캠(150B)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고정캠(140)이 회전되는 동안 제1가동캠(150A)의 걸림돌기(151)와 구름바퀴(152)는 고정캠(140)에 형성된 제1만곡부(141)와 제2만곡부(142)의 사이에 있는 사점을 지나치게 된다. 그 순간 스프링(1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가동캠(150A)은 제2가동캠(150B)에 대하여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바디(120)는 회전하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된다.
그러다가 제1가동캠(150A)의 걸림돌기(151)와 구름바퀴(152)가 고정캠(140)의 제2만곡부(142)에 이르게 되면 제2바디(120)의 회전은 정지된다(도 13)
도 13의 상태에서 다시 제2바디(120)를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면 제1가동캠(150A)의 걸림돌기(151)와 구름바퀴(152)는 고정캠(140)에 형성된 제2만곡부(142)와 제3만곡부(143)의 사이에 있는 사점을 지나치게 된다(도 14).
그 순간 스프링(1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가동캠(150A)은 제2가동캠(150B)에 대하여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바디(120)는 회전하던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회전되고, 제1가동캠(150A)의 걸림돌기(151)와 구름바퀴(152)가 고정캠(140)의 제3만곡부(143)에 이르게 되면 제2바디(120)의 회전은 정지된다(도 15).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제2바디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열린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바디(220)는 제1바디(2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열리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221)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상하가 뒤바뀌지 않도록 정치(定置)된 가로 화면을 제공한다.
다만, 여기의 힌지 모듈(230)은 제2바디(220)가 반시계 방향으로 될 수 있도록, 고정캠의 캠프로파일은 양방향으로 형성되며, 다른 부품에 대한 상세한 구성이나 작용은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는 제2바디(20)의 회전 방향 및 각도에 따라 단말기를 특정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91)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바디(10)와 제2바디(20) 사이에는 제2바디(2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91)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92)가 구비된다.
센서(92)는 제1바디(10) 또는 제2바디(20) 중 어느 하나에 자석(미도시)을 감지할 수 있는 홀센서(hall effect switch)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바디(20)의 회전 방향이나 그 회전 각도를 센서(92)가 감지하면 제어부(91)로 신호를 주게 되고, 제어부(91)는 그에 따른 모드로 전환시킨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1)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가로에서 세로화면으로 전환하거나 상하 반전된 화면을 출력시킨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제2바디가 제1바디에 닫혀 있을 때에는 통화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TV 수신 또는 사진을 보기 위해 제2바디를 회전시키면 센서(92)가 제2바디(120)의 회전방향 및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91)에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91)는 센서(92)에 의해 전송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특정 모드로 전환시킨다. 이때, 제어부(91)는 제2바디의 회전 방향에 따라 단말기를 해당하는 특정 모드로 전환시킨다.
예를 들면, 제2바디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된 경우 단말기는 TV수신 모드로 자동전환되거나, 제2바디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경우 단말기는 게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2바디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할 경우, 제어부는 단말기를 통화 대기 상태로 자동전환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91)에 의해 자동전환되는 특정 모드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키조작은 필요 없다. 그리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모드를 변경하여 제2바디의 회전에 따라 단말기가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모드로 자동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좌우 어느 한 쪽으로 편심되게 배치되는 힌지 모듈에 의하여 제2바디의 회전에 의하여 개방되는 제1바디의 영역이 넓어지고 그에 따라 키패드와 같이 유용한 보조 장치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방법에 의하면, 제2바디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방향을 변환할 수 있으므로 동영상 감상이나 TV시청을 위한 최적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모드 전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9)

  1.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닫혀진 상태일 때 상기 제1 바디의 일부가 노출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디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바디에 대해 90도 및 180도 회전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좌우 어느 한 쪽으로 편심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를 수평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제2바디가 90도 회전되어 개방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제1키패드와, 항상 외부로 노출되는 제2키패드 및, 상기 제2바디가 180도 회전되어 개방되면 추가적으로 노출되는 제3키패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에 대해 닫혀 있을 때에는 세로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90도 회전되어 열릴 때에는 가로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키패드는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 키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바디에 대해 닫혀 있을 때에는 세로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90도 회전되어 열릴 때에는 가로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제1바디에 대해 180도 회전되어 열릴 때는 가로 화면 및 세로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의 우측 상단 또는 좌측 상단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상단과 하단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1스피커 및 제2스피커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1바디의 상면과 상기 제1바디에 대응되는 제2바디의 하면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는 제1힌지부재 및 제2힌지부재와;
    상기 제1힌지부재와 제2힌지부재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힌지부재가 제2힌지부재에 대해 수평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재와 제2힌지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힌지부재가 제2힌지부재에 대해 회전될 때 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제1바디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제공부는,
    상기 제1힌지부재 또는 제2힌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그 외주면에 닫힘 위치로부터 일 방향으로 캠프로파일이 형성된 고정캠과;
    상기 제1힌지부재 또는 제2힌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 반경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캠의 회전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고정캠의 회전을 스토핑시키는 가동캠; 및
    상기 가동캠의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캠을 고정캠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제1바디에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방향으로 회전되어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제공부는,
    상기 제1힌지부재 또는 제2힌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그 외주면에 닫힘 위치로부터 양 방향으로 캠프로파일이 형성된 고정캠과;
    상기 제1힌지부재 또는 제2힌지부재 중 다른 하나에 반경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캠의 회전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고정캠의 회전을 스토핑시키는 가동캠; 및
    상기 가동캠의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캠을 고정캠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의 캠프로파일에는 상기 제2바디가 닫힘위치와 90도 회전되어 열림된 위치에서 각각 정지되도록 상기 가동캠에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걸려지는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캠에는 상기 제2바디가 180도 회전되어 열림된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상기 가동캠의 걸림돌기가 걸려지는 제3만곡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캠은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1가동캠과 제2가동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캠에는 상기 고정캠의 캠프로파일과 구름 접촉하도록 구름바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가동캠과 제2가동캠을 폐곡선 형태로 감싸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3.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재 또는 제2힌지부재와 가동캠의 사이에는 상기 가동캠이 상기 샤프트를 향하여 직선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힌지부재 또는 제2힌지부재 중 어느 하나에 슬롯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동캠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걸려 안내되는 가이드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에는 상기 제2바디의 회전 방향 및 각도에 따라 단말기를 특정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는 상기 제2바디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7. 제2바디가 제1바디에 대해 닫힌 상태로 되어 통화 대기를 유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2바디가 제1바디에 대해 수평 회전이 있는 경우, 상기 제2바디의 수 평 회전방향 및 회전 각도를 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전송된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단말기를 특정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제3단계는,
    (a) 상기 제2바디의 회전방향에 따라 단말기를 서로 다른 특정 모드로 자동전환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2바디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할 경우 단말기를 통화 대기 상태로 자동 전환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제2바디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될 경우 TV 수신 모드로 자동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바디가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될 경우 게임 모드로 자동전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모드 전환방법.
KR1020060039313A 2005-11-07 2006-05-0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KR101218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06138962/09A RU2342801C2 (ru) 2005-11-07 2006-11-03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изменения его режима
US11/593,092 US7684822B2 (en) 2005-11-07 2006-11-06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hanging mode thereof
EP06023074A EP1783985B1 (en) 2005-11-07 2006-11-06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hanging screen mode thereof
JP2006301004A JP5117032B2 (ja) 2005-11-07 2006-11-06 携帯端末機及びそのモード切替方法
AT06023074T ATE548847T1 (de) 2005-11-07 2006-11-06 Mobiles endgerät und verfahren zum ändern des anzeigemodus dafür
MXPA06012930A MXPA06012930A (es) 2005-11-07 2006-11-07 Terminal movil y metodo para cambiar el modo de la misma.
CN2006101439469A CN1964376B (zh) 2005-11-07 2006-11-07 移动终端和改变其模式的方法
TW095141097A TWI395450B (zh) 2005-11-07 2006-11-07 行動終端裝置及用於改變其模式的方法
BRPI0604536-7A BRPI0604536A (pt) 2005-11-07 2006-11-07 terminal móvel e método para mudar o modo do mesm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927 2005-11-07
KR20050105927 2005-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048A KR20070049048A (ko) 2007-05-10
KR101218677B1 true KR101218677B1 (ko) 2013-01-18

Family

ID=3808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313A KR101218677B1 (ko) 2005-11-07 2006-05-0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101218677B1 (ko)
CN (1) CN1964376B (ko)
AT (1) ATE548847T1 (ko)
MX (1) MXPA06012930A (ko)
RU (1) RU2342801C2 (ko)
TW (1) TWI3954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012B1 (ko) * 2007-12-05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힌지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5313802B2 (ja) * 2009-07-31 2013-10-09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この開閉装置を用いた携帯機器
TWI594609B (zh) * 2013-04-16 2017-08-0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受話器控制電路及具有該控制電路的可攜帶型電子裝置
CN103500007A (zh) * 2013-09-27 2014-01-08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确定终端旋转部件旋转角度的方法及终端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596A (ja) * 2001-05-21 2002-11-29 Kddi Corp 携帯端末装置
JP2003069676A (ja) * 2001-08-24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通信装置
JP2003174495A (ja) * 2001-09-28 2003-06-20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KR20030070978A (ko) * 2002-02-27 2003-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디에이 겸용 휴대용 통신장치
JP2004120513A (ja) * 2002-09-27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携帯端末装置
JP2005051726A (ja) * 2003-07-30 2005-02-24 Masami Yokoyama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KR20050065350A (ko) * 2003-12-23 2005-06-29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스프링 바이어스된 힌지 및 그를 위한 방법
KR20050083920A (ko) * 2002-11-20 2005-08-2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통신단말
US20050237703A1 (en) * 2004-04-21 2005-10-2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telephone handset with multipositional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6893A (ja) * 1999-11-29 2001-06-08 Nec Saitama Ltd 通信機器の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JP4402355B2 (ja) * 2003-01-21 2010-01-20 京セラ株式会社 重ね型携帯端末装置
JP3708945B2 (ja) * 2003-09-12 2005-10-19 オムロン株式会社 回転支持機構および携帯端末
TWM242945U (en) * 2003-09-18 2004-09-01 Quanta Comp Inc Mobile phone with twin rotational shafts
JP3904086B2 (ja) * 2004-02-17 2007-04-1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4596A (ja) * 2001-05-21 2002-11-29 Kddi Corp 携帯端末装置
JP2003069676A (ja) * 2001-08-24 2003-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通信装置
JP2003174495A (ja) * 2001-09-28 2003-06-20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KR20030070978A (ko) * 2002-02-27 2003-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디에이 겸용 휴대용 통신장치
JP2004120513A (ja) * 2002-09-27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携帯端末装置
KR20050083920A (ko) * 2002-11-20 2005-08-2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통신단말
JP2005051726A (ja) * 2003-07-30 2005-02-24 Masami Yokoyama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KR20050065350A (ko) * 2003-12-23 2005-06-29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스프링 바이어스된 힌지 및 그를 위한 방법
US20050237703A1 (en) * 2004-04-21 2005-10-2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telephone handset with multipositional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48847T1 (de) 2012-03-15
TW200729904A (en) 2007-08-01
KR20070049048A (ko) 2007-05-10
MXPA06012930A (es) 2008-10-15
CN1964376A (zh) 2007-05-16
RU2342801C2 (ru) 2008-12-27
RU2006138962A (ru) 2008-05-10
TWI395450B (zh) 2013-05-01
CN1964376B (zh)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7032B2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モード切替方法
EP224223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50215296A1 (en) Portable device
FI118621B (fi) Kannettava, avatun ja suljetun käyttöasennon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en kahvajärjestely
US7532459B2 (en)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70348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수행 방법
JP2009284018A (ja) 情報端末
KR1012186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KR200345703Y1 (ko) 수평회전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US7873396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KR100800711B1 (ko)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US7759587B2 (en) Two-way key of portable terminal
KR100800713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8425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508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68684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KR100572105B1 (ko) 수평회전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드형이동통신단말기
JP4618764B2 (ja) 携帯端末
KR20100007624A (ko) 휴대 단말기
KR100630136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4667227B2 (ja) 携帯電話機
KR100711755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KR100639506B1 (ko) 회전 가능한 액정화면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2885Y1 (ko) 슬라이드 형의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83451B1 (ko) 멀티 모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