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713B1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713B1
KR100800713B1 KR1020070008853A KR20070008853A KR100800713B1 KR 100800713 B1 KR100800713 B1 KR 100800713B1 KR 1020070008853 A KR1020070008853 A KR 1020070008853A KR 20070008853 A KR20070008853 A KR 20070008853A KR 100800713 B1 KR100800713 B1 KR 100800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point
guide protrusion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재철
김기택
김진수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713B1/ko
Priority to US12/020,194 priority patent/US2008018089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점,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또는 제3 지점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들 중 하나가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제2 하우징의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어 이동통신 모드와 멀티미디어 모드의 상호 전환 및 화면의 전환이 용이하고, 제2 하우징이 정지된 상태에서 제2 하우징의 측면은 안착홈의 측벽에 밀착되어 단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단말기, 하우징, 회전, 구동 부재, 가이드 홈, 가이드 돌기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회전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하우징이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윙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과 플립형(flip type)과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본체 하우징(housing)에 송, 수화부, 키패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장착되는 형태로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keypad)가 항시 노출되어 있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고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확보 문제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플립형 단말기는 본체와, 플립과, 상기 본체와 플립을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hinge module)로 구성된 형태로서, 상기 본체에 송, 수화부, 키패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장착된다. 플립형 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keypad)는 상기 플립에 의해 개폐되므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플립형 단말기 역시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확보 문제로 인하여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폴더형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가 회전함에 따라 개폐되는 형태로서, 통화대기모드에서 상기 폴더는 본체에 밀착되어 키패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 화모드에서 상기 폴더가 펼쳐져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는 초기에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에 한정되었으나, 점차 게임, 만화, 벨 소리 등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로부터, 동영상, 주문형 오디오, 주문형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지상파/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방송 서비스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들을 통해 동영상 감상이나 방송 서비스를 즐기기 위해서는 단말기를 가로방향으로 위치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적합한 형태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방송 등을 시청하기 위해 단말기를 가로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키패드 등을 조작하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영상 감상이나 방송 시청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에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 중에서 단말기의 조작이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방향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전환하기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점,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또는 제3 지점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들 중 하나가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밀착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의 측벽은 평면 형상이고,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하는 때 상기 제2 하우징의 두 측면들이 이루는 모서리들 중 하나가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인접하게 직선 이동하거나 미끄럼 접촉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제2 하우징을 결합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하는 때 그의 모서리들 중 하나가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인접하게 직선 이동하거나 미끄럼 접촉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안착홈의 측벽은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거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일측면이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 하우징(102)을 구비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는 안착홈(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는 때 두 측면들이 이루는 모서리들 중 하나가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에 인접하게 직선 이동하거나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모서리들 중 하나가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에 미끄럼 접촉하는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그의 일면 하부에 설치되는 입력 키패드(111a)와 기능성 키패드(111b)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상기 안착홈(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서 상기 안착홈(115)은 상기 키패드들(111a, 111b)이 설치된 부분보다 낮게 함몰된 형상으로 상기 안착홈(115)과 상기 키패드들(111a, 111b)이 설치된 부분의 경계에는 측벽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하단에는 마이크 장치(113)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시키는데 이용된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100)에 카메라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면, 동영상 등을 촬영하는 때 상기 마이크 장치(113)를 통해 음향을 동시에 녹음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21)와 스피커 장치(1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기지국과의 송수신 감도, 현재 시각, 배터리 잔량 등의 단말기 상태 정보, 메시지의 수신 여부 등의 통신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는 동영상, 방송 화면 등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세로 방향으로 긴 화면을 출력하거나, 가로 방향으로 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지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세로 방향으로 긴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세로 방향으로 긴 화면을 출력하는 때, 상 기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음성 통화나 단문 메시지 작성, 무선 인터넷 접속에 이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제2 지점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제3 지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가로 방향으로 긴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구성이며,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가로 방향으로 긴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회전한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의 상측과 하측이 서로 반대되며, 사용자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을 손에 쥔 상태로 상기 단말기(100)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회전한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상하 반전시켜야 할 것이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정상적인 화면을 표시한다면, 상기 제3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거꾸로 된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회전한 방향에 따라 표시 화면의 상하를 반전시켜야 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한 쌍의 하우징이 대면한 상태로 결합되는 형태의 단말기에 관한 것이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화면 반전을 제어하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피커 장치(123)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피커 장치가 상기 단말기(100) 상에서 상단에 위치되어 음성 통화시 수화부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 또는 제3 지점에서 상기 스피커 장치(123)들은 각각 상기 단말기(100)의 양측에 위치되어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 시 스테레오 또는 3차원 입체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안착홈(115)에 형성되는 제1, 제2, 제3 가이드 홈(117a, 117b, 117c)과,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에 제공되는 제1, 제2, 제3 가이드 돌기(125a, 125b, 125c)를 구비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제2, 제3 가이드 돌기(125a, 125b, 125c)는 각각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에 결합되는 핀으로 제작되며,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내측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 제2, 제3 가이드 홈(117a, 117b, 117c)을 통해 각각 상기 안착홈(115)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에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제2, 제3 가이드 돌기(125a, 125b, 125c)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일직선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 중심에 제공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전축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은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구성이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는 때,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 내에서 직선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는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와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홈(115) 상에서 곡선 궤적을 그리며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3 가이드 돌기(125c)는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와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와 마찬가지로 와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의 이동 궤적과는 다른 곡선 궤적을 그리며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제3 가이드 돌기(125b, 125c)의 이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제3 가이드 홈(117b, 117c)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제3 가이드 홈(117b, 117c)은 상기 제2, 제3 가이드 돌기(125b, 125c)의 이동 궤적을 따라 각각 형성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은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는 형상이다. 아울러, 상기 제3 가이드 홈(117c)은 상기 안착홈(115)의 중앙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좌, 우 대칭인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제3 가이드 홈(117b, 117c)은 서로 교차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제3 가이드 돌기(125b, 125c)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제3 가이드 홈(117b, 117c)의 궤적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교차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10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회전하는 때, 상기 구동 부재(103)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지점 또는 제2 지점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지점과 제3 지점 사이에서 회전하는 때, 상기 구동 부재(103)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지점 또는 제3 지점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구동 부재(103)는 그 양단을 서로 근접하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며, 그 일단은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타단은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 각각 지지된다. 상기 구동 부재(103)로는 코일 형태의 인장 스프링이나 지그재그 형태의 와이어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03)가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임을 고려할 때, 코일 형태의 스프링보다는 그 두께를 줄이기 용이한 지그재그 형태의 와이어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구동 부재(103)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홈(115)에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과 제3 가이드 홈(117c) 사이에 지지 돌기(1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돌기(119)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안착홈(115) 상에 돌출되어 상기 구동 부재(103)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구동 부재(103)의 타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제2, 제3 지점에 위치된 때에는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이 서로 근접하게 위치되어 있지만, 여전히 그 양단을 서로 근접하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이 가장 멀어지는 지점이 존재하며,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3 지점 사이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는 동안에도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이 가장 멀어지는 지점이 존재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이 가장 멀어지는 지점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은 점차 멀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또는 제3 지점에서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이 가장 멀어지는 지점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은 점차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 부재(103)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제2 또는 제3 지점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3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작은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작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3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작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전 방향에 차이가 있을 뿐,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작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제3 지점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지점,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제3 가이드 돌기(125b, 125c)들은 각각 상기 제2, 제3 가이드 홈(117b, 117c)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은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으로부터 연장된 구성이므로,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는 상기 제2 가이드 홈(117b)의 중앙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측면들 중 하나, 구체적으로 하단면은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 부재(103)의 탄성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안착홈(115)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안정적인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제3 가이드 돌기(125b, 125c)는 각각 상기 제2, 제3 가이드 홈(117b, 117c)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이 점차 서로 멀어지면서 상기 구동 부재(103)에 축적되는 탄성력이 증가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두 측면, 구체적으로 하단면과 우측면이 이루는 모서리는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과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과 미끄럼 접촉하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모서리가 일직선에 위치되면, 상기 구동 부재(103)는 최대의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모서리가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과 미끄럼 접촉하다가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 제1 가이드 홈(117a)과 일직선상에 위치된 때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이 가장 멀어지는 것이다.
도 6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이 가장 멀어진 지점 사이에 위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구동 부재(103)는 상기 제1 지점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 하게 된다.
도 7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지점과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이 가장 멀어진 지점 사이에 위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 부재(103)는 상기 제2 지점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모서리가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 제1 가이드 홈(117a)과 일직선상에 위치된 지점을 지나면, 상기 구동 부재(103)의 구동력은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 회전시키고자 하는 때, 사용자는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이 가장 멀어지는 지점을 지날 때까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직접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이 가장 멀어지는 지점을 지나는 시점부터 상기 구동 부재(103)의 구동력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2 지점까지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지점에 위치되면, 상기 제2, 제3 가이드 돌기(125b, 125c)는 각각 상기 제2, 제3 가이드 홈(117b, 117c)의 단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 부재(103)의 탄성력은 도 8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를 우, 하향으로 이동시키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제2, 제3 가이드 돌기(125a, 125b, 125c)들이 상기 제1, 제2, 제3 가이드 홈(117a, 117b, 117c)의 단부에 각각 위치되면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측면이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정지 상태는 안정 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2 또는 제3 지점에 위치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가로 방향으로 더 긴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2 또는 제3 지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동영상 감상이나 방송 시청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선행 실시 예의 구성에서 제2 가이드 홈을 형성하지 않고,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구동 부재(103)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돌기(125b)의 기능을 수행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결합시킴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 가이드 돌기(125a, 125c)는 각각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안착홈(115)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안착홈(115)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217a) 내에서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가이드 돌기(125c)는 상기 안착홈(115) 상에 형성된 제3 가이드 홈(217c)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면 상기 제3 가이드 돌기(125c)는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의 주변을 선회함과 아울러, 상기 안착홈(115) 상에서 도 10에 도시된 제3 가이드 홈(217c)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 부재(103)는 그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형성된 지지 돌기(119)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지지 돌기(125b)에 지지되면서 그 양단을 서로 근접하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점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두 측면이 이루는 모서리들 중 하나가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을 따라 직선 이동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는 상기 제1 가이드 홈(217a)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가이드 돌기(125c)는 상기 제3 가이드 홈(217c)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모서리가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 제1 가이드 홈(217a)과 일직선에 이르면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이 가장 멀어지게 된다.
상기 구동 부재(103)의 양단이 멀어지는 지점을 지나면, 상기 구동 부재(103)의 탄성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 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측면을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한 제2 지점으로 회전하고, 그 일측면이 상 기 안착홈(115)의 측벽에 밀착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기 제1, 제2, 제3 가이드 돌기(125a, 125b, 125c) 및 그에 상응하는 가이드 홈들을 형성한 예 또는 상기 제1, 제3 가이드 돌기(125a, 125c)와 그에 상응하는 가이드 홈들을 개시하고 있으나, 제3 가이드 돌기(125c) 및 그에 상응하는 가이드 홈 또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전 동작을 안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상기 제3 가이드 돌기(125c)가 없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125a)만을 형성한 구성이더라도, 제2 하우징(102)의 후면에는 상기 구동 부재(103)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한 돌기가 제공되어야 함에 유의한다. 상기 구동 부재(103)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한 돌기는 제1 실시 예의 제2 가이드 돌기(125b)가 형성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의 구성에서 상기 제2, 제3 가이드 돌기(125b, 125c)가 형성되지 않은 구성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또는 제3 지점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모서리들 중 하나는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에 미끄럼 접촉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멘트(moment) 힘을 제공받게 된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모서리 부분, 제1 가이드 돌기(125a)의 위치와 상기 구동 부재(103)의 구동력에 의해 모멘트 힘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작용하는 모멘트 힘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또는 제2 지점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제3 지점 사이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작용하는 모멘트 힘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또는 제3 지점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에 상기 제1, 제2 가이드 돌기(125a, 125b)만 형성된 구성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개시되는 상기 제3 가이드 홈(117c)은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구동 부재(103)의 타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돌기(125b)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모서리들 중 하나가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에 미끄럼 접촉하는 구성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모서리는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과 미끄럼 접촉하지 않더라도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에 인접한 상태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제3 가이드 홈(117b, 117c)의 궤적을 형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실시 예에 개시되는 궤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상기 안착홈(115)의 측벽으로부터 더 멀어진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제2, 제3 가이드 홈(117b, 117c)의 궤적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모서리와 상기 안착홈(115) 측벽이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전시키는 구성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 부재(103)는 지지 돌기(119)와 제2 가이드 돌기(125b)에 양단이 지지되는 형태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 가이드 홈(117a)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코일 형상의 압축 스프링이나 지그재그형 와이어 스프링과 같이 그 양단을 멀어지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103)를 설치하되, 도 8에서 구동 부재(103)의 일단은 제1 가이드 홈(117a)의 상단에, 타단은 제1 가이드 돌기(125a)에 지지하게 함으로써 제2 하우징(10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제1, 제2 하우징을 대면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에 있어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2 하우징을 회전시키기 용이하고, 이동통신 모드와 멀티미디어 모드의 상호 전환 및 화면의 전환이 용이하여 단말기의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 중에도 단말기의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키패드들은 이동통신 모드에서와 동일하게 조작이 가능하므로 단말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제2 하우징을 회전시킴에 있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를 사 용할 경우, 제2 하우징의 회전은 반자동으로 구현되므로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안착홈의 측벽이 평면 형상으로 구성되면서 제2 하우징의 모서리들 중 하나가 안착홈의 측벽에 인접하게 직선이동하거나 미끄럼 접촉함과 아울러,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때뿐만 아니라, 90도 회전하여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도 제2 하우징의 측면은 안착홈의 측벽에 밀착된다. 따라서, 제2 하우징의 회전 여부와 관계없이 단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면서, 제2 하우징의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0)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하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점,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또는 제3 지점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들 중 하나가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그의 일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피커 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긴 화면을 선택적으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그의 일면에 설치되는 키패드; 및
    상기 키패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마이크 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측벽은 평면 형상이고,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그의 두 측면들이 이루는 모서리들 중 하나가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인접하게 직선 이동하거나 미끄럼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지점 사이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제1 지점 또는 제2 지점으로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구동 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제3 지점 사이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제1 지점 또는 제3 지점으로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그 양단을 서로 근접하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회전하는 동안 상기 구동 부재의 양단이 가장 멀어지는 지점이 존재함과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지점과 제3 지점 사이에서 회전하는 동안 상기 구동 부재의 양단이 가장 멀어지는 지점이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는 제1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 중심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는 제2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곡선 궤적을 따라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 및
    상기 안착홈에 형성되는 지지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이 상기 지지 돌기에, 타단이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에 각각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 가이드 돌기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의 이동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하여 대칭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가이드 홈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1,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제3 지점에서 각각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단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는 제1 가이드 돌기;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는 제2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는 제3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제3 가이드 돌기는 일직선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 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 및
    상기 안착홈에 형성되는 지지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이 상기 지지 돌기에, 타단이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에 각각 지지됨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제3 가이드 돌기는 각각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서로 다른 곡선 궤적을 따라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 가이드 돌기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가이드 홈;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의 이동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제3 가이드 돌기의 이동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제3 가이드 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에 대하여 대칭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가이드 돌기는 일직선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1,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 홈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제3 지점에서 각각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단부에, 상기 제3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3 가이드 홈의 단부에 각각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는 제1 가이드 돌기;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는 제2 가이드 돌기;
    상기 안착홈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가이드 홈;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의 이동 궤적을 따라 상기 안착홈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홈; 및
    일단이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일단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에 지지된 상태로 그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 홈 내에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일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제1 하우징;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회전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을 회전시키 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의 측벽은 평면 형상이고,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하는 때 상기 제2 하우징의 두 측면들이 이루는 모서리들 중 하나가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인접하게 직선 이동하거나 미끄럼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점,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또는 제3 지점에서 정지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제2 또는 제3 지점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그 양단을 서로 근접하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에서 회전하는 동안 상기 구동 부재의 양단이 가장 멀어지는 지점이 존재함과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지점과 제3 지점 사이에서 회전하는 동안 상기 구동 부재의 양단이 가장 멀어지는 지점이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가이드 돌기;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는 제2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안착홈 상에 제공되는 지지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은 상기 지지 돌기에, 타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돌기에 각각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 중심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6.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 중심부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7.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돌기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제공되는 제3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제3 가이드 돌기는 일직선 상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 가이드 돌기가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제3 가이드 돌기의 이동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제3 가이드 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점,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또는 제3 지점에서 정지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제2 또는 제3 지점에 위치된 때, 그의 측면들 중 하나가 상기 안착홈의 측벽에 밀착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제2 및 제3 지점을 벗어나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3 가이드 돌기가 상기 제3 가이드 홈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의 모서리들 중 하나가 상기 안착홈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직선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0.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이드 홈은 상기 안착홈의 중앙부로부터 양 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좌, 우 대칭인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70008853A 2007-01-29 2007-01-29 휴대용 단말기 KR100800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853A KR100800713B1 (ko) 2007-01-29 2007-01-29 휴대용 단말기
US12/020,194 US20080180895A1 (en) 2007-01-29 2008-01-25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853A KR100800713B1 (ko) 2007-01-29 2007-01-29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713B1 true KR100800713B1 (ko) 2008-02-01

Family

ID=3934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853A KR100800713B1 (ko) 2007-01-29 2007-01-29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180895A1 (ko)
KR (1) KR100800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9415B2 (en) * 2008-09-08 2010-10-05 Chin-Fu Horng Coupl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CN201774779U (zh) * 2010-07-21 2011-03-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防护结构及具有该防护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RU2759334C2 (ru) 2016-09-21 2021-11-12 Нексткьюр, Инк. Антитела против siglec-15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US10053533B1 (en) 2017-04-13 2018-08-21 Presidium Usa, Inc. Oligomeric polyol compositions
CN109323096A (zh) * 2018-09-30 2019-02-12 联想(北京)有限公司 辅助设备及电子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097A (ko) * 2003-08-26 2005-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평 회전형 휴대용 단말기
KR100554801B1 (ko) 2002-11-28 200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패널 회전 휴대폰
KR20060034087A (ko) * 2004-10-18 2006-04-21 이근주 휴대용단말기의 회전장치
KR20060088044A (ko) * 2005-01-31 2006-08-0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폴더식 휴대전화
KR20060095310A (ko) * 2005-02-28 2006-08-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반자동 스윙모듈 및 이 스윙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336A (en) * 1996-07-10 1999-12-28 Motorola, Inc. Hand-held radiotelephone having a detachable display
JP4243344B2 (ja) * 1997-05-23 2009-03-25 株式会社Access 移動通信機器
US6011699A (en) * 1997-10-15 2000-01-04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flexible circuit conductors
CN1462538A (zh) * 2001-04-27 2003-12-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便携式信息终端装置
JP2003174495A (ja) * 2001-09-28 2003-06-20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20050125570A1 (en) * 2003-10-23 2005-06-09 Robert Olodor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7212844B2 (en) * 2003-10-24 2007-05-01 Motorola Inc. Cellular telephone with improved mechanical design
KR100663542B1 (ko) * 2004-07-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용 슬라이딩 스윙 장치
JP4781988B2 (ja) * 2006-12-15 2011-09-2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用筐体アセンブリ
JP4112596B1 (ja) * 2006-12-18 2008-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携帯型情報端末装置、視野角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912969B2 (ja) * 2007-06-29 2012-04-1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801B1 (ko) 2002-11-28 200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패널 회전 휴대폰
KR20050021097A (ko) * 2003-08-26 2005-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평 회전형 휴대용 단말기
KR20060034087A (ko) * 2004-10-18 2006-04-21 이근주 휴대용단말기의 회전장치
KR20060088044A (ko) * 2005-01-31 2006-08-0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폴더식 휴대전화
KR20060095310A (ko) * 2005-02-28 2006-08-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반자동 스윙모듈 및 이 스윙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80895A1 (en)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5359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ransversely sliding housing carrying a display unit
US7567830B2 (en) Rotating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US8634884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JP5117032B2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モード切替方法
KR100866232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86535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800713B1 (ko) 휴대용 단말기
US7930008B2 (en) Mobile terminal and swivel assembly coupled thereto
KR20110033694A (ko) 이동 단말기
EP1871079B1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KR101629262B1 (ko) 이동 단말기
KR100810229B1 (ko)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가이드 장치
KR20080018022A (ko) 휴대용단말기의 거치대
KR10121867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 방법
KR100572105B1 (ko) 수평회전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드형이동통신단말기
KR100595674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0639506B1 (ko) 회전 가능한 액정화면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0717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 가능한 슬라이딩 장치
KR100641324B1 (ko) 오픈 슬라이드 방식의 이동 단말기
KR100856252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31021B1 (ko) 다방향 슬라이드폰
CN100452806C (zh) 一种天线露出型滑盖手机开关装置
CN101150613A (zh) 用于双滑动型便携式通信终端的滑动模块
US20090131128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