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582B1 - 광접속함체 - Google Patents

광접속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582B1
KR101001582B1 KR1020090093379A KR20090093379A KR101001582B1 KR 101001582 B1 KR101001582 B1 KR 101001582B1 KR 1020090093379 A KR1020090093379 A KR 1020090093379A KR 20090093379 A KR20090093379 A KR 20090093379A KR 101001582 B1 KR101001582 B1 KR 101001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optical
support
closure means
enclos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3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2Cap coupling boxes
    • G02B6/4444Se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02B6/44465Se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의 여장을 없애고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외부의 광케이블(170, 171)을 인입하기 위해 광케이블 인입방향 단부에 각각 구비되고서, 내부에 인입구(112, 113)가 각각 형성되고 외주에는 씰 링(150)이 각각 끼워지는 제1수납홈(114)이 형성된 마개수단(110, 111)과, 상기 마개수단(110, 111)의 각 뒷부분을 각각 내부에서 지지하도록 결합되고서, 외주면에 광섬유 접속용 트레이(121, 122)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120)와, 상기 마개수단(110, 111)과 지지대(120)의 외부에는 이들 마개수단(110, 111)과 지지대(120)를 에워싸서 보호하는 외함으로서, 상기 지지대(120)의 중간 지점에서 2쪽으로 구성된 외함(130, 131)을 결합할 때 체결되기 쉽도록 각 외함(130, 131)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의 외주에는 한쪽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요홈부(132, 133)가 형성되는 한편, 한쪽 외함(130)의 상기 요홈부(132)에 인접해서는 기밀용 씰 링(151)이 끼워지는 제2수납홈(136)이 형성된 외함(130)과, 상기 외함(130, 131)을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측으로 돌출된 2개의 플랜지부(142, 143)가 각각 상기 외함(130, 131)의 요홈부(132, 133)에 끼워지는 클램프 형상의 체결수단(140)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광접속함체, 트레이, 지지대, 인입구, 외함, 실링

Description

광접속함체{OPTICAL FIBER CLOSURE}
본 발명은 광접속함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의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광케이블의 접속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광접속함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인터넷이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해지면서 한층 더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망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 때문에 추가로 통신망의 설치 및 재정비가 늘어나게 되어 통신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광접속함체 역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접속함체가 도심에 설치될 경우에는 복잡한 도시환경 및 미관을 고려해서 설치되어야 하는바, 이런 추세에 호응하여 종래의 광접속함체를 사용하게 되면 불필요하게 케이블을 감아두거나 굽혀지게 하는 등의 여장(餘長)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이러한 여장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도 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광접속함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방식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대표적인 종래의 광접속함체로는, 백순덕 외 3인에 의해 발명된 것을 에이엔티에서 출원하여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1-0036595호로 개시된 것과, 송효석에 의해 발명되고 케이엔티정보기술에서 출원하여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7-0101400호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전자인 상기 10-2001-0036595호에 개시된 발명은, 내장물을 보호하면서 양쪽 단부에 광케이블 인입부가 형성된 외함과, 상기 외함의 내부에 설치되어 광섬유의 여장을 위한 여장부와 광섬유의 접속을 위한 광섬유접속자 지지대를 갖는 트레이로 구성되되, 상기 외함과 트레이는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분리·결합될 수 있도록 2쪽으로 형성되고서, 2쪽의 외함이 결합되는 부분 한쪽에 외함이 체결되면서 고정되도록 외함체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외함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외함의 방수를 위해 패킹부재를 설치하여 광접속함 전체가 2쪽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분리형 광접속함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후자인 상기 10-2007-0101400호에는, 광케이블을 연결하는 접속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광케이블이 관통하며 상기 접속부의 양단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고정된 인입부 및,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이거나 또는 내부가 비어있고 단면이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통형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형태로서, 상기 접속부를 내부에 두고 상기 인입부와 결합되거나, 상기 인입부와 분리되어 상기 인입부를 통과한 후 상기 광케이블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광케이블 위에 걸쳐지는 외함을 포함하는 슬리브형 광 접속함체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10-2001-0036595호에 기재된 발명은, 광접속함이 2쪽으로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간단하고 결합작업이 편리하게 되어 있기는 하지만, 복수의 케이블을 접속하는 용도로서는 접합하지가 않고, 또 내부에 여장이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10-2007-0101400호에 기재된 발명은, 통 형상 함체(函體)의 양단부를 클램프를 이용해서 내부의 인입부를 조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접속함체가 방수기능을 할 수 있으면서,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결합 및 분리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함체의 양단부에 각각 클램프를 이용해서 인입부를 결합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광접속함체가 갖고 있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케이블의 여장이 생기지 않게 하면서 광케이블의 조립 및 해체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외함을 2쪽으로 분리되도록 구성하고서, 이들을 1개의 클램프형 체결수단으로 간단히 체결하더라도 내부의 방수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광접속함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된 특징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1 실시예의 광접속함체는; 외부의 광케이블(170, 171)을 내부로 인입하기 위해 광케이블 인입방향으로 복수의 인입구(112, 113)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마개수단(110, 111)과, 상기 마개수단(110, 111)의 각 뒷부분을 각각 내부에서 지지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되는 상기 마개수단(110, 111)과 지지대(120)에 설치된 트레이(121, 122)를 모두 에워싸 보호하는 2쪽으로 형성된 외함으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대(120)의 중간지점에는 2쪽으로 이루어진 외함(130, 131)을 결합하기 위해, 각 외함(130, 131)의 상호 마주보는 안쪽 단부의 외주에는 각각 돌출부(134, 135)에 의한 결합수단을 형성하고, 바깥쪽 단부에는 상기 마개수단(110, 111)을 체결하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원통형상의 외함(130, 131)과, 상기 외함(130, 131)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서, 내측으로 돌출한 한쌍의 플렌지부(142, 143)를 갖는 클램프형식의 체결수단(140)을 갖추어 이루어지고, 외함(130, 131)의 한 쪽 측면이 돌출부(134)에 의하여 경사면을 갖는 요홈부(132)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쪽 측면도 돌출부(135)에 의하여 경사면을 갖는 요홈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부(142, 143)가 상기 요홈부(132, 133)에 각각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한 쪽 외함(130)의 측면은 상기 요홈부(132)에 인접해서 기밀용 씰 링(151)이 끼워지는 제2수납홈(136)이 형성되고, 다른 쪽 외함(131)의 측면은 플렌지부(135‘)를 갖는 돌출부(135)로 형성되고, 상기 마개수단은 몸체 외주면에 걸림턱(110‘)이 형성되고, 상기 외함(130, 131)의 일측에는 플렌지부(130’)를 형성되고, 상기 마개수단은 걸림턱(110‘)이 형성된 몸체의 외주에 씰 링(150)이 끼워지는 제1수납홈(114)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함(130, 131)에는 이들 외함(130, 131)을 밑에서 받쳐주는 받침대(16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씰 링(150)은, 마개수단(110, 111)과 외함(130, 131) 사이의 방수상태(기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오일용 씰 링이고, 상기 지지대(12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이고, 상기 마개수단(110, 111)의 재질은 플라스틱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함(130, 131)과 지지대(120)는, 상기 트레이(121, 122)가 복수로 직렬로 설치되는 데에 맞추어 각각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체에 의하면, 상기 양 외함(130, 131)의 연결측 단부를 접촉상태로 하여 체결수단(140)으로 채워 조여지도록 하면, 2쪽으로 분리된 외함(130, 131)이 안쪽으로 당겨져 각 외함(130, 131)의 바같쪽 단부가 각각 마개수단(110, 111)이 씰링(150)이 압압되어 밀봉상태로 결합됨과 더불어, 양쪽 외함(130, 131)의 접촉부 역시 씰 링(151)이 압압되어 양 외함(130, 131)의 내부가 모두 밀봉상태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마개수단(110, 111) 사이는 지지대(120)가 설치됨으로써, 여기에 광케이블이 배열되는 트레이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가 있어서, 내부를 수리하거나 추가의 광케이블을 접속하려면, 단지 외함(130, 131)의 중간에 설치된 체결수단(140)을 해제시켜 작업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케이블을 직선상태로 해서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여장이 생기지 않게 케이블의 연결작업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통상적인 기술을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이나 구조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발명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가 있을 것이나, 그러한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도면에서 같은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구성 부재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100)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접속함체(100)는, 중앙에서 양쪽으로 분리되고서, 그들 각각의 바깥쪽 단부(端部)에는 내부로 인입(引入)되는 광케이블(170, 171)을 수용하는 인입구(112, 113)를 갖는 마개수단(110, 111)과, 상기 마개수단(110, 111)과 각각 마주하는 양 단부에서 상호 결합되어 마개수단(110, 111)을 지지하는 한편 각 광케이블(170, 171) 내부에 배치된 여러 가닥의 광케이블을 접속하는 트레이(121, 122)를 지지하는 지지대(120)를 갖추고 있다. 또, 상기 지지대(120)와 상기 인입구(112, 113)를 제외한 마개수단(110, 111)의 몸체를 내부에 수납하여 내부를 관통되는 광케이블(170, 171)을 보호하는 2쪽으로 분할되어 구성된 외함(130, 131)을 갖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2쪽의 외함(130, 131)을 결합시킬 때 상호 접촉하는 양 외함(130, 131)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를 결합상태로 고정하도로 하는 클램프 형식의 체결수단(140)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광접속함체(100)에는, 작업시에 각 외함(130, 131)을 각각 지지하도록 하는 받침대(160)를 갖도록 한다. 여기서, 도 1b에 참조부호 A로 나타낸 부분은, 외함(130, 131)의 각 외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각 단부를 지지하는 마개수단(110, 111)과 지지대(120) 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 1b에 참조 부호 B로 나타낸 부분은, 외함(130, 131)과 체결수단(140)과의 관계를 나타내는바,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음에 그 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 상기 외함(130, 131)과 지지대(120)의 각 길이를 길게 형성시켜, 외함(130, 131)의 내부에 수납되는 광케이블 접속용 트레이가 직렬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마개수단(110, 111)과 외함(130, 131) 및 지지대(120)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1b에서 A로 지시한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1 실시예에서는, 지지대(120)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외측 단부가 마개수단(110)의 내측 단부와 결합되어 마개수단(110)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로써 마개수단(110)의 인입구(112)를 통해 인입되어 외함(13)의 내부에 수용되는 광케이블(170)이 지지대(120)의 외주면 상에 설치되는 트레이(121, 122) 상에 확실하게 배열되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개수단(110)의 몸체 외주에는 제1수납홈(1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마개수단(110)의 외함(130)의 내주면과 제1수납홈(114) 사이에 탄성을 가진 씰 링(seal ring; 150)이 수용되게 함으로써, 외함(130) 및 마개수단(110)이 2쪽의 외함(130, 131)이 결합될 때 함께 조여져, 양자 사이가 외부와의 기밀(방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씰 링(150)은 밀봉처리에 적합한 오일용 씰 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1b에 B로 지시된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으로, 여기에는 외함(130, 131)과 체결수단(140)과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함(130, 131)은, 같은 길이를 가진 2쪽의 외함으로 이루어지고서, 서로 마주하는 안쪽 단부 중 한쪽(왼편) 외함(130)의 단부 외주에는 씰 링(151)이 끼워지는 제2수납홈(136)이 형성되는 한편, 이 제2수납홈(136)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뒤쪽에는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면서 한쪽 면이 경사면으로 된 돌출부(13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34)에 연속해서는 상기 경사진 한쪽 면을 공유하는 요홈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수납홈(136)이 형성되는 외함(130)의 단부의 외주면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함(130)의 외주면보다 높이가 낮고 또한 끝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다른쪽(오른쪽) 외함(131)의 안쪽 단부에는, 상기 한쪽 외함(130)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34)와 마찬가지로 한쪽 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한편 반대쪽 면에는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뻗은 제2수납홈(136)에 대하여 경사진 플랜지부(135')를 가진 돌출부(135)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135)에 뒤쪽에는 상기 돌출부(135)의 경사면을 공유하는 요홈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135')의 내주면으로서 상기 왼쪽 외함(130)의 제2수납홈(136)이 형성된 외주면과 마주보는 면은 끝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여지는 경사면을 이루어, 양쪽 외함(130, 131)이 결합될 때 상기 제2수납홈(136) 내에 수용된 씰 링(151)을 압착하여 양쪽 외함(130, 131)이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체결수단(140)은, 양쪽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부(142, 143)가 외함(130, 131)의 요홈부(132, 133)에 맞춰 끼워지도록 하고서 조임쇠(141)를 이용해서 조여주면, 양쪽의 외함(130, 131)이 더욱 가깝게 당겨져 제2수납홈(136)에 수용되어 있는 씰 링(151)을 압착한 상태로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광접속함체(100)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기밀상태를 이루도록 밀봉될 수 있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지지대(120)에 구성되는 트레이(121, 122)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도 4a에 도시된 트레이는, 1조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트레이(121)를 나타내고, 도 4b에 도시된 트레이는 직렬로 2조의 트레이가 배열된 구조의 트레이(121, 122)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1조의 트레이는 광케이블이 복수의 층으로 배열되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직렬로 2조가 배열된 트레이(121, 122)에는 이들 트레이(121, 122) 사이에 예컨대 내부에 2조의 트레이(121, 122)가 수용될 때 길이가 긴 외함(130, 131)을 결합시키기가 용이하도록 상기 외함(130, 131)의 외주연 상부에 표시수단(미도시)를 형성하여 원통형인 외함의 상부 위치를 잘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도 4c는, 도 4a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그 상반부에는 지지대(120)에 1조의 트레이가 설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고, 그 하반부에는 트레이(121)를 조립해서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161)가 나타나 있다. 한편, 도 4d는 도 4b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그 상반부는 지지대(120)에 2조의 트레이(121, 122)가 직렬로 2조가 배치되어 설치된 상태가 나타나 있고, 하반부에는 지지대(120)에 2조의 트레이(121, 122)를 조립해서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162)가 나타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서 상기 2쪽의 외함(130, 131)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140)을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으로, 이 체결수단(140)은 양쪽 외함(130, 131)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를 체결해서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램프 형식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 체결수단(140)에는 결합용 조임쇠(141)가 갖춰져 있어서, 이를 이용해서 양쪽 외함(130, 131)이 접촉한 상태가 되도록 체결수단(140)을 작용시켜 양쪽 외함(130, 131)의 마주보는 단부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즉, 도 1b, 도 2도 및 도 3을 참고해서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체(100)를 조립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양쪽으로 분리되어 각각 후방으로 이동해 있는 상태에서, 내부에 수납된 트레이(121)에서 광케이블(171)을 연결 또는 분리하는 작업을 끝낸 다음, 양쪽의 외함(130, 131)의 마주보는 단부가 접촉하도록 이동시키면, 각 외함(130, 131)의 각 바깥쪽 단부에 안쪽 방향으로 형성된 마개수단(130, 131)을 체결하는 결합수단인 플랜지부(130')에 지지대(10)에 의해 저지되기까지 이동해서 양자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가까워진 상태가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쪽 외함(130, 131)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132, 133)에 체결수단(140)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42, 143)가 들어가 끼워지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서 조임쇠(141)를 이용해서 체결수단(104)을 조임상태가 되도록 하면, 체결수단(140)에 의해 양쪽 외함(130, 131)이 조여지는 과정에서, 외함(130, 131)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형성의 요홈부(132, 133)의 한쪽 경사면과, 체결수단(140)의 양쪽 플랜지부(142, 143)의 각 안쪽의 경사면이 접촉해서 슬라이드하게 되면, 양쪽 외함(130, 131)이 상호 안쪽으로 당겨져, 한쪽 외함(130)의 단부에 형성된 제2수납홈(136) 내에 수용된 씰 링(151)이 다른쪽 외함(1310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35)의 경사진 플랜지(135')에 의해 압압되는 상태로 양쪽 외함(130, 131)의 결합부를 수밀(기밀)상태로 밀봉하게 되고, 한편으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쪽 외함(130, 131)이 안쪽으로 당겨짐으로써, 양쪽 외함(130, 131)의 각 바깥쪽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30')에 마개수단(110)의 걸림턱(110')이 걸려져, 지지대(120)에 의해 지지된 마개수단(110)이 안쪽으로 조여짐과 더불어, 마개수단(110)의 외주에 형성된 제1수납홈(114)에 수용되어 있는 씰 링(150)이 외함(130, 131)의 내주면에 의해 압착되어, 양쪽 외함(130, 131)의 단부도 각각 밀봉상태를 이루면서 마개수단(110)과 외함(130, 131) 사이가 확실하게 밀봉되어 고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외함 내부에서 광케이블을 접속시키는 등의 수리작업을 하려면, 상기 체결수단(140)의 조임쇠(141)를 해제시켜 체결수단(140)을 외함(130, 131)을 분리상태로 해서 각각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내부에 수용되고서 지지대(120)에 지지되어 있는 트레이(121)를 노출시킨 상태가 되도록 해서 작업을 하면 된다. 그리고 수리가 끝나게 되면, 앞에서 설명한 결합하는 방법에 따라 양쪽 외함(130, 131)을 결합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인입구(112, 113), 마개수단(110, 111), 외함수단(130, 131) 및 결합수단(140)이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는, 도 1a에도시된 광접속함체(100)를 좌,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인입구(112, 113)는 복수 개로서, 예컨대 6개의 삽입 구멍(115)을 갖고서 마개수단(110)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 구멍(115)에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광케이블(171)이 내벽에 밀착되도록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체(100)는, 양쪽으로 분리되어 구성된 함체(130, 131)를 그들이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접속되는 부위를 1개의 클램프 형식의 체결수단(140)을 이용해서 결합시키면, 케이블의 여장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서 광케이블의 접속작업과 같은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100)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반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마개수단(110, 111), 외함(130, 131) 및 지지대(120)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외함(130, 131)과 체결수단(140)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각각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지지대(120)에 형성되는 트레이 구조(121, 122)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14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인입구(112, 113), 마개수단(110, 111), 외함수단(130, 131) 및 결합수단(140)의 관계를 나타낸 좌,우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접속함체 110, 111 : 마개수단
112, 113 : 인입구 120 : 지지대
130, 131 : 외함 140 : 체결수단
141 : 조임쇠 150 : 씰 링
160 : 받침대

Claims (5)

  1. 외부의 광케이블(170, 171)을 내부로 인입하기 위해 광케이블 인입방향으로 복수의 인입구(112, 113)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마개수단(110, 111)과, 상기 마개수단(110, 111)의 각 뒷부분을 각각 내부에서 지지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되는 상기 마개수단(110, 111)과 지지대(120)에 설치된 트레이(121, 122)를 모두 에워싸 보호하는 2쪽으로 형성된 외함으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대(120)의 중간지점에는 2쪽으로 이루어진 외함(130, 131)을 결합하기 위해, 각 외함(130, 131)의 상호 마주보는 안쪽 단부의 외주에는 각각 돌출부(134, 135)에 의한 결합수단을 형성하고, 바깥쪽 단부에는 상기 마개수단(110, 111)을 체결하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원통형상의 외함(130, 131)과, 상기 외함(130, 131)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서, 내측으로 돌출한 한쌍의 플렌지부(142, 143)를 갖는 클램프형식의 체결수단(140)을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2. 제1항에 있어서, 외함(130, 131)의 한 쪽 측면이 돌출부(134)에 의하여 경사면을 갖는 요홈부(132)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쪽 측면도 돌출부(135)에 의하여 경사면을 갖는 요홈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플렌지부(142, 143)가 상기 요홈부(132, 133)에 각각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3. 제2항에 있어서, 한 쪽 외함(130)의 측면은 상기 요홈부(132)에 인접해서 기밀용 씰 링(151)이 끼워지는 제2수납홈(136)이 형성되고, 다른 쪽 외함(131)의 측면은 플렌지부(135‘)를 갖는 돌출부(13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4. 제1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수단은 몸체 외주면에 걸림턱(110‘)이 형성되고, 상기 외함(130, 131)의 일측에는 플렌지부(13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수단은 걸림턱(110‘)이 형성된 몸체의 외주에 씰 링(150)이 끼워지는 제1수납홈(114)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함체
KR1020090093379A 2009-09-30 2009-09-30 광접속함체 KR10100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379A KR101001582B1 (ko) 2009-09-30 2009-09-30 광접속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379A KR101001582B1 (ko) 2009-09-30 2009-09-30 광접속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582B1 true KR101001582B1 (ko) 2010-12-17

Family

ID=4351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379A KR101001582B1 (ko) 2009-09-30 2009-09-30 광접속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5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379B1 (ko) 2010-12-27 2012-08-23 제룡산업 주식회사 광접속함체의 기밀 유지구조
KR101218584B1 (ko) 2011-11-14 2013-01-04 (주)포스텍 광케이블 접속함체
RU2683815C1 (ru) * 2018-03-01 2019-04-02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вязьстройдеталь" Муфта оптическая и узел герметизации муфты
FR3120139A1 (fr) * 2021-02-23 2022-08-26 Omelcom Boitier de raccordement avec un dispositif d’étanchéité pourvu d’une partie longitudina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114Y1 (ko) 1995-05-18 1999-08-16 이계철 케이블 접속부 보호용 함체
KR200177498Y1 (ko) 1998-04-13 2000-04-15 최안준 통신케이블 접속부의 조립식 보호함체의 구조
KR100255054B1 (ko) 1998-02-25 2000-05-01 이국헌 광통신 케이블 접속분기함의 밀봉장치
JP2001100050A (ja) 1999-09-29 2001-04-13 Shoden Corp 通過心線収納型の光通信ケーブル用クロージャ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114Y1 (ko) 1995-05-18 1999-08-16 이계철 케이블 접속부 보호용 함체
KR100255054B1 (ko) 1998-02-25 2000-05-01 이국헌 광통신 케이블 접속분기함의 밀봉장치
KR200177498Y1 (ko) 1998-04-13 2000-04-15 최안준 통신케이블 접속부의 조립식 보호함체의 구조
JP2001100050A (ja) 1999-09-29 2001-04-13 Shoden Corp 通過心線収納型の光通信ケーブル用クロージャ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379B1 (ko) 2010-12-27 2012-08-23 제룡산업 주식회사 광접속함체의 기밀 유지구조
KR101218584B1 (ko) 2011-11-14 2013-01-04 (주)포스텍 광케이블 접속함체
RU2683815C1 (ru) * 2018-03-01 2019-04-02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вязьстройдеталь" Муфта оптическая и узел герметизации муфты
FR3120139A1 (fr) * 2021-02-23 2022-08-26 Omelcom Boitier de raccordement avec un dispositif d’étanchéité pourvu d’une partie longitudina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582B1 (ko) 광접속함체
RU2608084C2 (ru)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ая коробка с блоком сплайс-пластин
KR100684024B1 (ko) 케이블 클로저 및 케이블의 밀폐 방법
JP6612535B2 (ja) ケーブルを保護するためのコルゲートチューブ、ハウジングをコルゲートチューブ上に結合するためのファスナ、およびコルゲートチューブをハウジングに封止するための封止要素
US20230037796A1 (en) Butt closures and bases therefor
JP2012089640A (ja) ケーブル挿通部の密閉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クロージャ
JP5872542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KR101929586B1 (ko) 광접속함
US20230036946A1 (en) Butt closures and bases therefor
US8774586B2 (en) Fiber optics connection box
KR200256956Y1 (ko) 파형관용 접속장치
US8845207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nd adapter capable of preventing dust
CN215932218U (zh) 一种架空光缆接头盒盒体密封结构
KR101378166B1 (ko) 중간 분기용 광접속함체
JP2012088482A (ja) ケーブル挿通部の密閉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クロージャ
KR101176379B1 (ko) 광접속함체의 기밀 유지구조
JP2005065406A (ja) ケーブル用導管の継手装置
KR101740723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전신주용 송배전 케이블 연결장치
KR20160140081A (ko) 중간분기형 광접속함체
KR200466485Y1 (ko) 광접속함체용 외피 개스킷
US20220329058A1 (en)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including containment structures for o-rings
US20220171136A1 (en) Butt closures and bases therefor
US20200400898A1 (en) Cable arrangement device
KR20180063009A (ko) 광케이블 통신관 조립체
JP2018119617A (ja) 管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