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584B1 - 광케이블 접속함체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접속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584B1
KR101218584B1 KR1020110118085A KR20110118085A KR101218584B1 KR 101218584 B1 KR101218584 B1 KR 101218584B1 KR 1020110118085 A KR1020110118085 A KR 1020110118085A KR 20110118085 A KR20110118085 A KR 20110118085A KR 101218584 B1 KR101218584 B1 KR 101218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ptical cable
stopper
cable connec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주)포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텍 filed Critical (주)포스텍
Priority to KR1020110118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의 단면을 사각의 각체로 형성하고, 마개와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설치와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 광케이블 접속함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광케이블의 접속기능을 갖는 광분배 장치가 내장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개폐시키는 마개부를 구비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마개부는 그 단면이 사각형태로 되어 있으면서 상호간 끼워맞춤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비어있는 내측의 내주면 한 부위에 걸림홈부가 형성된 체결노브가 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각각 축결합되며, 상기 마개부의 양측에 각각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각 체결노브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체결노브의 회전에 의해 걸림홈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이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접속함체{Fiber optical splice closure}
본 발명은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옥외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의 접속점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접속함체에 있어서, 설치가 편리하고, 쉽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광 케이블 접속함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통신선로는 일정한 길이마다 광케이블의 단부를 연결하는 접속점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접속점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광 케이블 접속함체가 사용된다.
이러한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주로 전신주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의 접속부위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해 주는데, 특히 비나 눈 등의 수분으로부터 내부에 설치된 광소자 등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도1은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함체(50)의 외관을 보인 도로서, 내부에 광섬유의 접속이 이뤄지는 원통 형상의 외함 본체부(30)와, 상기 외함 본체부(30)의 일측에 구비되는 마개(10)와, 상기 외함 본체부(30)와 상기 마개(10)를 몸체로 체결해 주는 체결밴드(40)로 구성된다.
상기 마개(10)의 외측 단부면상에는 다수개의 광케이블(1)이 인출입 됨에 따른 인출입부의 밀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수단인 수용관(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전신주나 벽체에 철 밴드로 고정시에 원통체의 외함 본체부(30)가 원기둥체로 된 전신주 또는 벽체와 점으로 접촉하므로 안정적인 고정이 될 수 없어 바람에 쉽게 흔들려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함 본체부(30)와 마개(10)를 체결밴드(40)로 고정하게 되지만, 체결밴드(40)의 잠금부위가 볼트와 너트 구조로 되어 있어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며, 또한 체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본체부의 단면을 사각의 각체로 형성하고, 마개와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설치와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 광케이블 접속함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광케이블의 접속기능을 갖는 광분배 장치가 내장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개폐시키는 마개부를 구비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마개부는 그 단면이 사각형태로 되어 있으면서 상호간 끼워맞춤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비어있는 내측의 내주면 한 부위에 걸림홈부가 형성된 체결노브가 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각각 축결합되며, 상기 마개부의 양측에 각각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각 체결노브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체결노브의 회전에 의해 걸림홈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이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그 외관이 6면체 형태로서 전신주나 벽체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활용 측면에서도 원통체보다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체부로부터 마개부를 체결노브에 의해 별도의 도구없이도 원터치 방식으로 빠르고 쉽게 개폐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관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관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도2의 측면 및 평면도.
도4는 본체부와 마개부를 분리시켜 보인 도.
도5는 체결노브의 구조를 보인 도.
도6는 체결노브에 의해 본체부와 마개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7은 체결노브의 돌기부가 걸려서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보인 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외관 구조를 보인 도로서, 본체부(100)와 마개부(200)가 서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서, 본체부(100)와 마개부(200)가 결합되었을 때 그 단면이 직사각형태인 육면체 형태이다.
이러한 육면체 형태의 본 발명은 내부의 공간 활용성이 뛰어난데, 보통 접속함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광 케이블을 고정시키면서 접속하기 위한 여장판(Remainder board)이 판 형태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원통체로 된 접속함체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빈 공간이 많이 생겨 공간 활용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육면체의 함체로 된 경우에는 여장판을 차곡차곡 적층하여 많은 수의 여장판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이 그만큼 뛰어난 것이다.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부 상하측에는 철 밴드에 의해 전신주나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 체결구멍(110,121)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100)의 하단에는 마개부(200)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120)가 구비된다.
따라서, 마개부(200)에 구비된 체결부(210)와 체결되어 개폐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3(a)는 본체부(100)와 마개부(200)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b)는 평면도로서, 마개부(200)의 하측에는 광케이블(300)을 내측으로 인입시키기 위한 광케이블 인입부(220)가 구비되고, 또한 본체부(100)의 내측에서 여장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접속된 광케이블(300)을 인출하기 위한 광케이블 인출부(230)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부(100)와 마개부(200)의 측부는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하측은 개방된 상태로서, 그 개방된 부위에 마개부(200)가 도4에서와 같이 끼워맞춤구조로서 결합되며, 본체부(100)에는 마개부(20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노브(130)가 형성되어 있고, 마개부(200)에는 체결노브(130)에 걸리거나 풀리게 되어 본체부(100)를 개폐시키도록 한 돌기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노브(130)와 돌기부(211)의 체결구조를 도5 내지 도7까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체결노브(130)는 도5에서와 같이 반구 형태로서 내부가 비어 있으며, 가운데 부분에는 축삽입구멍(132)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에 회전축(133)이 삽입되어 본체부(100)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내측 내주면으로는 어느 한 부위가 내측으로 호 형태를 가지며 돌출되어진 걸림턱부(134)가 형성되며, 그 호 형태의 걸림턱부(134)의 첨단부에는 걸림홈부(135)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체결노브(130)는 본체부(100)의 개방된 부위의 끝쪽에서 회전축(133)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마개부(200)의 개방된 부위 끝단에도 체결노브(130)가 설치되는 곳과 대응된 위치에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부(211)가 설치되어 있어서, 본체부(100)와 마개부(200)가 결합될 때 돌기부(211)가 체결노브(13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본체부(100)와 마개부(200)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결합노브(130)의 걸림턱부(134)가 마개부(200)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결합노브(130)를 돌린 다음 마개부(200)의 돌기부(211)가 결합노브(13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마개부(200)를 본체부(100)와 결합한다.
이때 본체부(100)와 마개부(200)를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어서, 약간의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마개부(200)을 약간 누르면서 돌기부(211)를 결합노브(130)의 내측으로 삽입시킨 다음 마개부(200)를 본체부(100)를 밀게 되면 끼워맞춤 구조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후, 체결노브(130)의 걸림턱부(134)가 돌기부(211)쪽으로 이동하도록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걸림턱부(134)가 돌기부(211)와 접촉하면서 당기게 되어 마개부(200)가 본체부(100)와 더욱 기밀하게 결합되며, 도7에서와 같이 돌기부(211)가 걸림홈부(135)에 걸리게 되면 체결노브(130)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됨으로써 본체부(100)와 마개부(20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체결노브(130)의 회전을 더욱 쉽게 하기 위하여 체결노브(130)에는 수평으로 관통된 삽입구멍(131)이 형성되어 있어서, 드라이버나 기타 바 형태로 된 도구를 삽입하여 돌릴 수 있어 더욱 편리하다.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체결노브(130)를 돌려서 걸림홈부(135)가 돌기부(211)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부(100)로부터 마개부(200)가 쉽게 분리하도록 한다.
결국, 체결노브(130)를 반회전시킴으로써 원터치 방식으로 본체부(100)와 마개부(200)를 결합시키며, 아울러 또다시 반회전시킴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체결노브(130)는 도3(a)에서와 같이 본체부(100)의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있어서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국가연구사업개발지원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D10102410
[부처명] 경기도
[연구사업명] 기업개방형 기술개발
[연구과제명] 도심미관을 고려한 복합기능형 광접속함체 개발
[주관기관] (주) 포스텍
[연구기간] 2010.11.1. ~ 2011.10.31
100 : 본체부 110,121 : 밴드 체결구멍
120 : 체결부 130 : 체결노브
131 : 삽입구멍 132 : 축삽입구멍
133 : 회전축 134 : 걸림턱부
135 : 걸림홈부 200 : 마개부
210 : 체결부 211 : 돌기부
220 : 광케이블 인입부 230 : 광케이블 인출부
300 : 광케이블

Claims (4)

  1. 광케이블의 접속기능을 갖는 광분배 장치가 내장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개폐시키는 마개부를 구비한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마개부는 그 단면이 사각형태로 되어 있으면서 상호간 끼워맞춤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비어있는 내측의 내주면 한 부위에 걸림홈부가 형성된 체결노브가 축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각각 축결합되며, 상기 마개부의 양측에 각각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각 체결노브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체결노브의 회전에 의해 걸림홈부에 수용되거나 또는 이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노브의 내주면은 어느 한 부위가 내측으로 돌출된 호 형태의 걸림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부에 걸림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
  3.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체결노브의 상측은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삽입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밴드 체결을 위한 밴드 체결구멍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


KR1020110118085A 2011-11-14 2011-11-14 광케이블 접속함체 KR101218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085A KR101218584B1 (ko) 2011-11-14 2011-11-14 광케이블 접속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085A KR101218584B1 (ko) 2011-11-14 2011-11-14 광케이블 접속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584B1 true KR101218584B1 (ko) 2013-01-04

Family

ID=4784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085A KR101218584B1 (ko) 2011-11-14 2011-11-14 광케이블 접속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756B1 (ko) 2018-08-29 2020-02-11 최형길 5g 사각돔 광접속함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913Y1 (ko) 2000-02-22 2000-08-01 변문철 잠금장치를 가진 옥외용 전화선 단자함
JP2006174623A (ja) 2004-12-16 2006-06-29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のロック構造
JP2010527463A (ja) 2007-05-15 2010-08-12 コムスコ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ブ ノースキャロライナ 光ファイバの接続及び配線のための筐体
KR101001582B1 (ko) 2009-09-30 2010-12-17 제룡산업 주식회사 광접속함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913Y1 (ko) 2000-02-22 2000-08-01 변문철 잠금장치를 가진 옥외용 전화선 단자함
JP2006174623A (ja) 2004-12-16 2006-06-29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のロック構造
JP2010527463A (ja) 2007-05-15 2010-08-12 コムスコ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ブ ノースキャロライナ 光ファイバの接続及び配線のための筐体
KR101001582B1 (ko) 2009-09-30 2010-12-17 제룡산업 주식회사 광접속함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756B1 (ko) 2018-08-29 2020-02-11 최형길 5g 사각돔 광접속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3895B2 (en) Weatherproof while-in-use electrical box cover with insertable hinge pin
US10096959B2 (en) Female electrical connector, corresponding male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ion assembly comprising male and female connectors
KR101301250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101218584B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
KR10201718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콘센트함
CN206004055U (zh) 用于提供密封贯穿的装置和逆变器
KR100960653B1 (ko) 공동주택의 전기안전사고 방지용 배전함체
KR20130002220U (ko) 방수용 전선 와이어 컨넥터
KR101077532B1 (ko) 옥외형 무선 액세스포인트 장치
CN203551852U (zh) 一种光缆布线固定装置
CN201690038U (zh) 电子设备仓门结构
JP2012182983A (ja) 機器収容ボックスの蓋体回動規制装置
AU2007233551A1 (en) Cable storage device
CN203117478U (zh) 接续盒
CN201926790U (zh) 盒子的锁扣装置及光纤分纤盒
JP2011103711A (ja) 配電函
KR101020575B1 (ko) 벽면매설용 공동주택용 콘센트박스
KR102210781B1 (ko) 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200497796Y1 (ko) 전원 콘센트에 설치되는 셋톱박스 및 주변기기용 보호커버 고정구
CN212258322U (zh) 一种电缆接线绝缘保护盒
KR101203180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CN113267861B (zh) 适配器的面板组件
JP6210625B2 (ja) 光フロアコンセント
KR101261330B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
KR100852674B1 (ko) 가변벽체에 탈부착이 가능한 회전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