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665B1 - 타발기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타발기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665B1
KR101000665B1 KR1020080067670A KR20080067670A KR101000665B1 KR 101000665 B1 KR101000665 B1 KR 101000665B1 KR 1020080067670 A KR1020080067670 A KR 1020080067670A KR 20080067670 A KR20080067670 A KR 20080067670A KR 101000665 B1 KR101000665 B1 KR 101000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support
cardboar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165A (ko
Inventor
이경택
Original Assignee
영신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신기계(주) filed Critical 영신기계(주)
Priority to KR1020080067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6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4Feeding sheets or blanks involving aligning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90)는 지지 기능을 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판지(P)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공급부(200)와, 상기 공급부(20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적층된 판지(P)의 전방을 정렬하는 전방정렬대(400)와, 상기 공급부(200)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0)에 지지되어 플레이트(530)가 상하운동하는 수평정렬대(500)와,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플레이트(630)가 전후진하는 측방정렬대(600)와,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에 장착되어 적층된 판지(P)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정렬대(700)로 구성됨으로써, 작업자 없이 판지(P)를 한 장씩 자동으로 공급 가능하며,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타발기(M)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생산성이 우수하며, 판지(P)를 공급하는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67670
타발기, 급지장치

Description

타발기 급지장치{An automatic paper feeding apparatus of auto plater die cutter}
본 발명은 타발기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타발기 내부에 자동으로 신속하게 판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발기는 골판지 등의 판지를 박스 제작이 가능하도록 전개도 형상으로 테두리를 커팅할 뿐만 아니라, 접히는 부분을 선형으로 가압하여, 박스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계이다.
이러한 골판지에 판지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여러 장의 판지를 타발기 입구에 적재한 후, 작업자가 한 장씩 타발기 내부로 공급해 주었다. 그러면 타발기 내부에 장착된 스파이크가 상기 판지를 찍어서 각 공정별로 이동시키면서 각 공정에 의해 커팅 및 선형 가압, 탈지, 적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작업자가 일일이 판지를 한 장씩 타발기에 공급해 주어야 함으로써,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판지 공급을 인력에 의지함으로써 타발기 내부에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판지를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타발기 급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는 지지 기능을 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판지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어 적층된 판지의 전방을 정렬하는 전방정렬대와, 상기 공급부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에 지지되어 플레이트가 상하운동하는 수평정렬대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플레이트가 전후진하는 측방정렬대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어 적층된 판지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정렬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급지장치는 작업자 없이 판지를 한 장씩 자동으로 공급 가능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타발기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판지를 공급하는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가 장착된 타발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A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P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구성되는 전방정렬대에서 스크류축과 베벨기어 및 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국부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구성되는 전방정렬대에서 지지판과 이송판 및 에어실린더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2에서 B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2의 상태에서 진공밸브가 프레임 내부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진공밸브에 구성되는 밸브를 표현한 것으로서 도 8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장착되는 공급부의 레버 및 로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장착되는 공급부에 구성되는 흡착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장착되는 공급부에 구성되는 지지블럭과 이송블럭 및 링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장착되는 측방정렬대에서 구동부를 생략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장착되는 측방정렬대의 구동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도 13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장착되는 측방정렬대의 구동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구성되는 수평정렬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구성되는 후방정렬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의해 판지가 타발기 내부로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타발기(M)는 골판지 등의 판지(P)를 다양한 형태의 박스 제작이 가능하도록, 전개도 형상으로 테두리를 커팅할 뿐만 아니라, 접히는 부분을 선형으로 가압하여, 다양한 형태의 박스 제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발기(M)에 판지(P)를 작업자 없이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지지 기능을 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 상부 및 내부에 장착되어 판지(P)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공급부(200)와, 상기 공급부(20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적층된 판지(P)의 전방을 정렬하고 한 장씩만 배출되도록 제한하는 전방정렬대(400)와, 상기 공급부(200)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0)에 지지되어 판지(P)의 수평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정렬대(500)와,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공급부(200)의 좌우측에서 플레이트(630)가 판지(P) 공급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전후진하도록 함으로써 적층된 판지(P)의 측면을 가지런하게 하는 측방정렬대(600)와,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에 장착되어 적층된 판지(P)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정렬대(70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좌우측으로 대향하여 구성되는 측판(110)과, 상기 대향하는 측판(110)의 이격상태가 유지되도록 측판(110)의 일측 측판(110)에서 상대측 측판(110)으로 가로질러 부착되는 바 형상의 지지대(120)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20)는 측판(110)에 있어서 상부의 전방과 후방에 구성되고 하방에도 구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00)의 전방 상부에는 전방정렬대(400)를 지지하기 위한 전방플레이트(130)가 수직으로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방플레이트(130)는 하방으로 판지(P)가 통과하도록 프레임(100)의 상면에서 이격되어 구성되는 데, 프레임(100)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지지된 바(미도시)에 고정됨으로써, 프레임(100)의 상면에서 이격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의 전방과 후방에 고정된 지지대(120)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블럭(210)과 상기 지지블럭(210)에 장착되어 슬라이딩되는 이송블럭(220)과 상기 이송블럭(220)의 상면에 부착되어 판지(P)를 흡착 및 흡착해제하는 흡착판(230)과, 상기 이송블럭(220)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링크(229)와 상기 링크(229)에 핀이음된 아암(240)과 상기 아암(240)에 고정되어 하방에서 회전하도록 프레임(100)에 장착된 회전축(250)과 상기 회전축(250)에 핀이음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로드(260)와 상기 로드(260)의 종단부에 핀이음되고, 상기 타발기(M)에 구성되는 타발기베드(미도시)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레버(270)와 상기 레버(270)를 일정 각도 내에서 정역회전하도록 하며 프레임(100)에 지지된 크랭크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캠(280)과, 상기 흡착판(230)에 호스로 연결되어 진공압이 연통되도록 하고 다시 해제하는 진공밸브(300)와 상기 진공밸브(300)에 호스 (미도시)로 연결된 진공펌프(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블럭(210)은 중앙부가 상하로 개방된 사각틀 형상인 바디(211)와 상기 바디(211)의 좌우측 상면에 길이를 따라 부착된 판상으로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된 레일(213)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블럭(220)은 판상의 바디(223)와 상기 바디(223)의 좌우 측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롤러(227)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227)는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 장착됨으로써 상기 롤러(227) 사이로 레일(213)이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송블럭(220)이 지지블럭(21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 없이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레버(270)는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로드(260)가 핀이음 되는 상부아암(271)과 상기 상부아암(271)의 하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종단부에 롤러(R)가 장착되는 하부아암(272)으로 구성된 바디(273)와, 상기 상부아암(271)의 전방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가압레버(274)와 상기 가압레버(274)가 캠(280)을 압박하도록 상부아암(271)을 관통하여 가압레버(274)의 하방에 핀이음된 가압바(277)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레버(274)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블럭 형상의 바디(275)와 상기 바디(275)의 상부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롤러(276)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바(277)는 상부아암(271)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끼워지는 압축스프링(278)과 상기 압축스프링(278)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압바(277)의 후방에 형성된 헤드(279)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270)는 가압바(277)의 압축력에 의해 항상 캠(280)에 압박을 가한 상태가 되어 레버(270)의 하부아암(27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로드(260)가 전진하게 되어 이송블럭(220)을 전진시키고, 상기 하부아암(272)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로드(260)가 후진하게 되어 이송블럭(220)이 후진하게 된다.
상기 흡착판(230)은 플레이트(231)에 다수의 통공(233)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33)을 통해 셕션(235)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셕션(235)은 대형과 소형으로 나누어 다수개 구성된다.
상기 진공밸브(300)는 박스형의 케이싱(310)과 상기 케이싱(310) 속에 장착되는 푸셔(320)와 상기 케이싱(310)의 상면에 장착되어 푸셔(320)에 외력을 가하는 탄성부(330)와 상기 푸셔(320)를 하방에서 가압 및 해제하도록 회동하는 레버(336)와 상기 레버(336)에 연동되는 캠(338)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310)은 내부를 상하로 구분하는 수평막(313)과, 수직으로 구분짓는 수직막(316)과, 상기 수평막(313)에 형성된 관통구(314)와 상기 푸셔(320)의 관통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관통구(314)와 중심이 일치하는 샤프트홀(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싱(310)의 측면(317)에 호스(미도시)가 연결되는 유출공(318)이 수평막(313)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푸셔(320)는 상기 샤프트홀(311)을 통해 상하로 관통하는 로드(321)와 상기 로드(321)에 부착되어 상기 관통구(314)를 폐색하는 플랜지 형상의 마개(323)와 케이싱(310)의 상부로 노출된 로드(321)에 부착된 플랜지(325)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330)는 상기 플랜지(325) 상면에 로딩되는 스프링(331)과 상기 스프링(331)을 상방으로 커버하여 케이싱(310)의 상면에 고정되는 ∩형의 커버(335)로 구성된다.
상기 마개(323)는 패킹이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관통구(314)를 상부에서 개폐할 경우, 압축스프링으로 구성하고, 상기 마개(323)가 상기 관통구(314)의 하부에서 개폐할 경우, 인장스프링으로 구성하며, 인장이 가능하도록 플랜지(325)와 커버(335)의 내측 상면에 고정됨은 물론이다.
상기 전방정렬대(400)는 상기 전방 플레이트(130)에 상하로 슬라이딩 되도록 장착되는 지지판(410)과 상기 지지판(410)의 상단에 장착되어 로드(425)가 하방을 향하는 에어실린더(420)와 상기 에어실린더(420)의 로드(425)의 종단에 장착된 이송판(430)과 상기 이송판(430)의 하단측면에 장착되어 회동하는 롤러(435)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435)는 하방으로 튀어나오도록 함으로써 판지(P)에 접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지지판(410)이 전방 플레이트(130)에 슬라이딩 되도록 각 접촉면 중 일측에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돌출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상대측에는 상기 돌출부(미도시)가 끼워지는 수직홈(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이송판(430)의 상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판(410)의 양측에 세로로 부착되어 이송판(430) 후방의 측면에 접하는 안내바(440)가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410)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일례로 상기 지지판(410)에 있어서 전방플레이트(130) 상부로 노출되는 전방면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판(463)과 상기 수평판(463)을 관통하여 전방 플레이트(130) 에 회전하도록 수직으로 지지되는 스크류축(460)과 상기 수평판(463)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수직판(465)과 상기 수직판(465)에 장착되는 모터(470)와 상기 수평판(463)을 관통한 스크류축(460)에 체결되는 베벨기어(480)와 상기 수직판(465)에 관통된 모터축에 고정된 베벨기어(490)로 구성된다. 따라서, 모터(470)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축(460)은 상하이송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지지판(410)이 왕복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축(460)에 체결된 베벨기어(480)는 스크류축(460)이 관통되는 홀(미도시)이 탭홀로 구성되어 정역회전에 따라 스크류축(460)의 상하 이송이 가능하도록 작동한다.
상기에서 지지판(410)의 하단이 이송판(430)의 하단보다 상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스파이크(미도시)가 판지(P)를 놓친 경우, 상기 이송판(430)을 상향시켜서 다시 배출시키게 된다.
즉, 모터(470)에 의해 전방정렬대(400) 전체가 판지(P)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높이가 조절된 후, 판지(P)가 공급된 후, 더 이상 이송하지 않게 되면, 에어실린더(420)에 의해 이송판(430)을 상향시켜 용이하게 판지(P)를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평정렬대(5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지지대(120)에 고정되어 상하로 왕복하는 링크조립체(510)와 상기 링크조립체(510)에 장착되는 회동축(520)과 상기 링크조립체(510)의 상부에 부착되는 플레이트(530)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축(520)은 이송블럭(22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이송블럭(220)의 진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조립체(510)는 상기 프레임(100)의 지지대(120)에 고정되는 고정바(511)와 상기 고정바(511)의 상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바(512)와 상기 수직바(512)에 핀이음된 다수개의 링크(513)와 상기 링크(513) 중 맨 상부의 링크(513)에 핀이음된 후 상기 회동축(520)에 고정되는 레버(514)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513)의 핀이음부는 연결바(515)에 의해 동일한 구조가 측방으로 연결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구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회동축(520)을 돌려서 레버(514)가 수직이 되면 플레이트(530)는 가장 높게 올라가고 상기 레버(514)를 낮출수록 플레이트(532)는 하향하게 된다.
상기 측방정렬대(600)는 양쪽을 대향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방플레이트(130)의 상단에 장착되는 구동부(650)와 상기 구동부(650)에 고정되되, 전방플레이트(130)에 수직이 되도록 고정되며, 수평정렬대(50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지지판(610)과 상기 지지판(610)에 관통되는 안내로드(620)와 상기 안내로드(620)의 종단에 부착되어 지지판(610)의 내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630)와 상기 지지판(610)의 외측에 장착되어 로드(645)가 상기 플레이트(630)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64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650)는 전방플레이트(130)를 따라 길게 형성된 레일(651)과 상기 레일(651)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스크류축(653)과 상기 스크류축(653)을 회전회전시키는 모터(655)가 상기 레일(651)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상기 레일(651)은 후방으로 개방되는 홈(652)이 형성되어 상기 홈(652)에 스 크류축(653)이 내장되어 레일(651)의 양측에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럭(656)은 상기 레일(651)이 통과되도록 홈(652)이 형성되고 상기 홈(652)에는 상기 스크류축(653)에 체결되어 이송하는 너트(659)가 상기 홈(657)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655)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축(653)이 회전하면, 상기 블럭(656)은 레일(651)을 따라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판지(P)가 적층되면, 지지판(610)을 이송시켜 적층된 판지(P)에 이송되도록 한 후, 상기 에어실린더(640)에 의해 미세 조정으로 플레이트(630)가 적층된 판지(P)에 근접하도록 하여, 판지(P)의 측방을 가지런하게 정돈하고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후방정렬대(700)는 프레임(100)의 후방에 형성된 지지대(120)의 중앙에 고정되어 적층된 판지(P)의 후면을 받치는 블럭 형상의 후면받침대(710)와 상기 후면받침대(710) 좌우에 형성되어 적층된 판지(P)를 지지하는 롤러(730)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정렬대(700)는 상기 후면받침대(710) 전후방으로 판지(P)를 지지하는 롤러(720)를 더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지지대(120)에 적층된 판지(P)의 후방 측면을 받치는 L형의 브래킷(730)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브래킷(730)은 상기 지지대(120)에 볼팅되어 고정됨으로써 지지대(120)를 따라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 매의 판지(P)를 상기 롤러(720)와 흡착판(230)에 위에 로딩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520)을 회전시켜 수평정렬대(500)의 플레이트(530)가 상하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적층된 판지(P)가 모두 수평이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측방정렬대(600)의 모터(655)를 구동하여 플레이트(630)가 적층된 판지(P)를 향해 신속하게 이송하도록 한 후, 에어실린더(640)를 작동시켜 플레이트(630)가 판지(P)에 접근하도록 하여 판지(P)가 가지런하게 정돈되도록 한다.
상기 전방정렬대(400)는 적층된 판지(P)의 전면을 가지런하게 할 뿐만 아니라, 모터(450)에 의해 이송판(430)의 하단이 한 장의 판지만 통과하도록 높이가 조정되도록 하며, 하단측면에 장착된 롤러(435)에 의해, 판지(P)가 이송판(430)의 하단에 스크래치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만약, 판지(P)가 타발기(M) 내부로 공급이 되지 않으면, 상기 에어실린더(420)를 작동시켜 이송판(430)을 상향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판지(P)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흡착판(230)은 판지(P)를 흡입하게 되고, 상기 캠(280)의 회전에 의해 레버(27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로드(260)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고 따라서, 아암(240)은 전방으로 회동함으로써 흡착판(230)의 하방에 고정된 이송블럭(220)은 지지블럭(210)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아암(240)은 이송블럭(220)에 링크(229)로 연결됨으로써, 아암(240)이 호의 궤적을 그리며 운동하더라도 용이하게 이송블럭(220)을 직선운동시킬 수 있다.
일단, 이렇게 흡착된 판지(P)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타발기(M) 내부로 공급하게 되면, 흡착판(230)의 진공압은 다시 해제되고, 상기 레버(270)는 캠(280)의 회전에 의해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흡착판(230)은 다시 후진하게 된 다.
이러한 과정은 도 19를 통해서 보다 극명하게 알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흡착판(230)의 흡착 및 흡착해제는 진공밸브(30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도 9를 통해서 살펴보면, 상기 캠(338)의 회전에 의해 레버(336)가 일정 각도로 정역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상기 푸셔(320)는 상하 운동하면서 마개가 수평막(313)에 형성된 관통구(314)를 폐색 내지는 개방하게 되면서, 상기 수평막(313) 상하부에 위치한 유출공(318)은 서로 연통 내지는 단절됨으로써 흡착판(230)의 셕션(235)에 흡착 및 흡착 해제가 가능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가 장착된 타발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A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P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구성되는 전방정렬대에서 스크류축과 베벨기어 및 모터의 구성을 도시한 국부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구성되는 전방정렬대에서 지지판과 이송판 및 에어실린더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2에서 B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2의 상태에서 진공밸브가 프레임 내부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진공밸브에 구성되는 밸브를 표현한 것으로서 도 8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장착되는 공급부의 레버 및 로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장착되는 공급부에 구성되는 흡착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장착되는 공급부에 구성되는 지지블럭과 이송블럭 및 링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장착되는 측방정렬대에서 구동부를 생략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장착되는 측방정렬대의 구동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도 13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장착되는 측방정렬대의 구동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구성되는 수평정렬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구성되는 후방정렬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타발기 급지장치에 의해 판지가 타발기 내부로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프레임 200: 공급부
210: 지지블럭 220: 이송블럭
230: 흡착판 300: 진공밸브
310: 케이싱 320: 푸셔
330: 탄성부 400: 전방정렬대
500: 수평정렬대 510: 링크조립체
600: 측방정렬대 700: 후방정렬대

Claims (3)

  1. 타발기 급지장치(90)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지 기능을 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판지(P)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공급부(200)와,
    상기 공급부(20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한 장의 판지(P)만 들어가도록 하는 전방정렬대(400)와,
    상기 공급부(200)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0)에 지지되어 플레이트(530)가 상하운동하는 수평정렬대(500)와,
    상기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공급부(200)의 좌우측에서, 플레이트(630)가 판지(P) 공급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전후진하도록 함으로써 적층된, 판지(P)의 측면을 가지런하게 하는 측방정렬대(600)와,
    상기 프레임(100)의 후방에 장착되어 적층된 판지(P)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정렬대(700)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0)은 좌우측으로 대향하여 구성되는 측판(110)과,
    상기 대향하는 측판(110)의 사이에 가로질러 부착되는 바 형상의 지지대(120)와,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 상부에는 수직으로 부착된 전방플레이트(130)가 구성되고,
    상기 공급부(200)는 캠(280)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하고 셕션(235)이 형성된 흡착판(230)이 구성되고,
    상기 전방정렬대(400)는 상기 전방플레이트(130)에 장착되어 모터(450)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지지판(410)과,
    상기 지지판(410)의 상단에 장착된 에어실린더(420)와,
    상기 에어실린더(420)의 로드(425)의 종단에 장착된 이송판(430)이 구성되고,
    상기 후방절렬대(700)는 상기 지지대(120)에 장착되는 후면받침대(710)와,
    상기 지지대(120)에 고정되는 롤러(72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기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정렬대(5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지지대(120)에 고정되어 상하로 왕복하는 링크조립체(510)와,
    상기 링크조립체(510)에 장착되는 회동축(520)과,
    상기 링크조립체(510)의 상부에 부착되는 플레이트(530)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조립체(510)는 상기 지지대(120)에 고정되는 고정바(511)와,
    상기 고정바(511)의 상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바(512)와,
    상기 수직바(512)에 핀이음된 다수개의 링크(513)와,
    상기 링크(513) 중 맨 상부의 링크(513)에 핀이음된 후 상기 회동축(520)에 고정되는 레버(5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기 급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정렬대(600)는 상기 전방플레이트(130)의 상단에 장착되는 구동부(650)와,
    상기 구동부(650)에 고정되되, 전방플레이트(130)에 수직이 되도록 고정되며, 수평정렬대(50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지지판(610)과,
    상기 지지판(610)에 관통되는 안내로드(620)와,
    상기 안내로드(620)의 종단에 부착되어 지지판(610)의 내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630)와,
    상기 지지판(610)의 외측에 장착되어 로드(645)가 상기 플레이트(630)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640)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650)는 전방플레이트(130)를 따라 길게 형성된 레일(651)과,
    상기 레일(651)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스크류축(653)과,
    상기 스크류축(653)을 회전회전시키도록 레일(651)에 지지된 모터(65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발기 급지장치.
KR1020080067670A 2008-07-11 2008-07-11 타발기 급지장치 KR101000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670A KR101000665B1 (ko) 2008-07-11 2008-07-11 타발기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670A KR101000665B1 (ko) 2008-07-11 2008-07-11 타발기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65A KR20100007165A (ko) 2010-01-22
KR101000665B1 true KR101000665B1 (ko) 2010-12-10

Family

ID=4181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670A KR101000665B1 (ko) 2008-07-11 2008-07-11 타발기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6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080A (ko) 2017-12-29 2019-07-09 영신기계(주) 두께 가변 타발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타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74212A (zh) * 2014-12-19 2016-07-20 上海耀科印刷机械有限公司 横向输纸无刀版数字化模切压痕设备
CN104890295A (zh) * 2015-04-30 2015-09-09 温州贸隆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纺布立体袋成型机的机械手
CN104979117B (zh) * 2015-06-23 2017-01-25 东莞侨亨精密设备有限公司 按键装联设备
KR102371490B1 (ko) 2020-11-13 2022-03-07 주식회사 오성전자 제어 신호 변경이 가능한 리모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080A (ko) 2017-12-29 2019-07-09 영신기계(주) 두께 가변 타발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타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165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665B1 (ko) 타발기 급지장치
JP2007261726A (ja) 紙折装置
KR101653598B1 (ko) 박스 판지 인쇄용 플렉서의 자동공급장치
CN111792408B (zh) 一种不干胶模切机进纸机构
WO2015072215A1 (ja) スケアリング装置及びカウンタエゼクタ並びに製函機
CN109551916A (zh) 一种印刷品生产装置
KR101056597B1 (ko) 타발기용 자동급지장치
KR101237004B1 (ko) 하급지형 골판지 자동급지기계
KR102152563B1 (ko) 포장용 박스 제함기
JP4122146B2 (ja) シート折曲げ装置とその方法
JP3507066B1 (ja) シート状ワークのダイカッタユニット及びフォールディングユニット
WO2020124906A1 (zh) 图文送纸切割机
CN113802358B (zh) 自动折叠装置及自动折叠方法
CN214566524U (zh) 一种自适应物料规格的送盒机构
US2648445A (en) Book feed mechanism for trimming machines
CN208292333U (zh) 图文送纸切割机
CN209905198U (zh) 一种装袋机构
KR20130136273A (ko) 자동급지를 위한 급지조절기구
US3504584A (en) Apparatus for die cutting and scoring paper sheets
US3443488A (en) Apparatus for die cutting and scoring paper sheets
CN106113583B (zh) 一种烟盒折瓣机
CN220313482U (zh) 一种防粘卷纸的冲切装置
CN215207500U (zh) 一种用于印刷机的送纸装置
CN211763792U (zh) 一种纸箱加工续纸纸板大小调节装置
USRE27768E (en) Apparatus for die cutting and sc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