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596B1 -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596B1
KR100999596B1 KR1020080082144A KR20080082144A KR100999596B1 KR 100999596 B1 KR100999596 B1 KR 100999596B1 KR 1020080082144 A KR1020080082144 A KR 1020080082144A KR 20080082144 A KR20080082144 A KR 20080082144A KR 100999596 B1 KR100999596 B1 KR 100999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stallation
installation step
support fram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403A (ko
Inventor
방성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Priority to KR102008008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5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나 크레인과 같은 설치를 위한 별도의 설치 장비가 필요없이 설치를 자체적으로 시행가능하며, 용접 고정방식의 탈피로 인하여 재료가 절감되는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교각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들에 의해 떠받들어 지는 상판의 하부면을 점검하는 점검자의 이동을 위해 상판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브라켓, 지지부, 지지프레임, 통로부재로 구성되며, 점검통로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설발판과 지지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여; 설치자가 올라서서 작업을 할 비계나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 및 장치가 필요치 않게 되어 장비운용에 따른 부가적인 부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점검통로를 설치하기 위한 메인부재를 일체화된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지지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주부재의 재료비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교량, 교대, 상판, 안전점검, 점검통로, 비계, 가설발판, 턴버클

Description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 및 그 설치방법{Knockdown length direction a bridge inspection passage and the establishment method}
본 발명은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계나 크레인과 같은 설치를 위한 별도의 설치 장비가 필요없이 설치를 자체적으로 시행가능하며, 용접 고정방식의 탈피로 인하여 재료가 절감되는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점검통로는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교각이나 교대 등 구조물의 상단 측면부에 설치되는 경우와,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의 교량의 점검통로 중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점검통로는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을 떠받드는 거더들의 사이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 점검 통로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량 점검 통로는 교량(1)의 교각(2)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3)들에 의해 떠받들어 지는 상판(4)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을 위해 설치되는 고정브라켓(5)과, 고정브라켓(5)에 일단이 체결되는 연결부재(6)와, 연결부재(6)의 타단에 연결되어 지지를 위한 레일 형태의 주부재(7)와, 주부재(7)에 점검자가 통행할 수 있는 발판(8a)의 양측으로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8b)이 형성된 통로부재(8)가 안치,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량 점검 통로는 점검자가 통로부재(8)를 따라 이동하면서 거더(3)나 상판(4)의 하부면에 대하여 육안검사, 시험기기를 이용한 기기검사 등 여러 가지 안전점검을 시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량 점검 통로는 고정브라켓에 연결부재를 연결시 설치자가 설치를 위해 설치되는 비계나 크레인 등에 의지하여 설치를 함으로써 설치를 위한 별도의 설치장비가 반드시 필요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의 교량 점검 통로는 별도의 설치장비를 운용함으로써 공사에 따른 장비사용 및 대여료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교량 점검 통로는 레일 형태로 길이가 긴 주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자체하중의 증가뿐만 아니라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교량 점검 통로는 통로부재를 주부재에 안치시킨 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접방식으로 고정함으로써 작업공정의 복잡화와 재료비의 상승, 숙련자에 의해 설치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주부재의 재료비를 절감하되 안정성이 확보되며, 설치 및 해체 가 간단하고, 설치시 비계나 크레인 등과 같은 별도의 설치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설치를 할 수 있는 개선된 교량 안전 점검 통로 및 간단하게 설치하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설치자가 올라서서 작업을 할 비계나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 및 장치가 필요치 않은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검통로를 설치시 리벳이나 용접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볼트 체결방식을 이용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점검통로를 설치하기 위한 메인부재를 일체화된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지지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흔들림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들에 의해 떠받들어 지는 상판의 하부면을 점검하는 점검자의 이동을 위해 상판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점검통로에 있어서, 거더들의 플랜지 및 상판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여러 개의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체결되어 매달기 기능을 수행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타단에 체결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안치되어 고정되며 점검자가 통행하도록 형성 된 발판의 양측으로 직립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으로 이루어진 통로부재로 이루어지며; 고정브라켓에 지지부, 지지부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가 완료된 지지프레임에 임시로 안치, 이동시킬 수 있는 가설발판을 이용하여 설치자가 설치하며, 설치자가 가설발판의 일측으로 편중 지지시 가설발판이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설발판과 상판의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는, 상기 지지부는 수직방향으로의 힘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부와, 수직지지부의 외측으로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의 힘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를 설치하는 방법으로는 거더들의 플랜지 및 상판의 하부면에 가로방향으로 열을 이루며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고정브라켓을 설치하는 브라켓설치단계와, 브라켓설치단계를 거친 후, 플랜지나 상판의 길이 방향으로 4개씩 설치하며 가로방향으로 2열이 되도록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우선적으로 지지부를 설치하는 지지부설치단계와, 지지부설치단계를 거친 후, 지지부의 타단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는 프레임설치단계와, 프레임설치단계를 거친 후, 가설발판을 지지프레임에 설치하는 가설발판설치단계와, 가설발판설치단계를 거친 후, 이웃되어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지지부, 지지부에 지지프레임의 설치시 편심 지지로 인하여 가설발판이 들여 올려지는 것을 방지되도록 상판과 가설발판의 사이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지지대설치단계와, 지지대설치단계를 거친 후, 가설발판 에 지지된 상태로 이웃하는 고정브라켓에 지지부, 지지부에 지지프레임을 체결하고, 가설발판을 이동 지지시키며 별도의 설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연속설치단계와, 연속설치단계를 거친 후, 가설발판 및 지지대를 철거하고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통로부재를 연속적으로 안치시키고 볼트방식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통로부재설치단계로 설치장비 비사용 타입의 교량 안전 점검 통로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설치자가 올라서서 작업을 할 비계나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 및 장치가 필요치 않게 되어 장비운용에 따른 부가적인 부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점검통로를 설치시 리벳이나 용접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볼트 체결방식을 이용하여 작업속도가 빠르며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점검통로를 설치하기 위한 메인부재를 일체화된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지지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주부재의 재료비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는 교량(1)의 교각(2)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3)들에 의해 떠받들어 지는 상판(4)의 하부면을 점검하는 점검자의 이동을 위해 상판(4)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브라켓(10), 지지부(20), 지지프레임(30), 통로부재(40)로 점검통로(100)가 구성되며, 점검통로(100)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설발판(50)과 지지대(6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브라켓(10)은 거더(3)들의 플랜지(3a)나 상판(4)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여러 개가 설치되며, 본 발명에서는 거더(3)들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판(4)의 가로방향으로 4개로 설치하는 구조를 일 실시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0)은 '⊥'형상으로 플랜지(3a)나 상판(4)에 밀착되어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설치판(11)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지지부(20)가 체결되는 체결홀(12a)이 형성된 체결판(12)으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는 고정브라켓(10)에 일단이 체결되어 매달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수직방향으로의 힘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부(21)와, 수직지지부(21)의 외측으로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의 힘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수직지지부(21)와 수평지지부(22)는 고정브라켓(10)의 체결홀(12a)에 결합되도록 셔클방식의 끝단으로 형성된 제1연결봉(21a,22a)과, 지지프레임(30)에 결합되도록 고리형태의 끝단으로 형성된 제2연결봉(21b,22b)이 장력조절을 가능한 턴버클(21c,22c)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더불어, 수직지지부(21)의 제1연결봉(21a)은 중앙측에 위치된 고정브라켓(10)에 연결되어 거더(3)의 플랜지(3a)나 상판(4)과 직교되도록 위치되며, 수평지지부(22)는 제1연결봉(22a)은 제1연결봉(21a)이 체결된 고정브라켓(10)의 외측에 위치된 다른 고정브라켓(10)에 연결되어 경사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수평지지부(22)가 수직지지부(21)와 이루는 각도는 거더(3)들 간의 이격거리 및 고정브라켓(10)들의 설치 간격에 따라 변화된다.
그리고, 제2연결봉(21b,22b)은 지지프레임(30)의 측면에 순차적으로 함께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은 지지부(20)의 타단에 체결되는 것으로, 수직지지부(21)와 수평지지부(22)의 제2연결봉(21b,22b)에 연결되어 매달리게 되는 것이다.
즉, 지지프레임(30)은 통로부재(40)가 안치되는 것으로, 형태는 대표적으로 사각형 각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판(4)의 가로방향으로 위치되어 동일한 간격으로 지지부(2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통로부재(40)는 지지프레임(30)에 안치되어 고정되며 점검자가 통행하도록 형성된 발판(41)의 양측으로 직립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42)으로 이루어 진 것으로, 점검자가 통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발판(41)은 점검자의 미끄럼 현상의 방지 및 자체 중량의 경량화를 위하여 미끄럼방지홀(4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난간(42)은 점검자가 통로부재(40)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정브라켓(10)에 지지부(20), 지지부(20)에 지지프레임(30)을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자는 비계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플랜지(3a)나 상판(4)의 길이 방향으로 4개씩 설치하며 가로방향으로 2열이 되도록 설치된 고정브라켓(10)에 지지부(20)를 연결 설치한 후, 지지부(20)에 지지프레임(30)을 설치한다.
반면, 2열의 지지부(20)와 지지프레임(30)이 설치되면 설치자는 비계나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이웃하는 고정브라켓(10)에 지지부(20)를 설치하여 지지프레임(30)의 설치를 마무리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시행하게 된다.
즉, 가설발판(50)과 지지대(60)는 비계나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설치자가 설치가능하도록 가교 역할 및 안정성을 확보하는 지지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가설발판(50)은 고정브라켓(10)에 지지부(20), 지지부(20)에 지지프레임(30)을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가 완료된 지지프레임(30)에 임시로 안치, 이동시킬 수 있는 가설발판(50)을 이용하여 설치자가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설발판(50)은 2열로 설치된 지지프레임(3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는 지지프레임(30)들이 이격된 거리에 비해 2 배로 길게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지지대(60)는 설치자가 가설발판(50)의 일측으로 편중 지지시 가설발판(50)이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설발판(50)과 상판(4)의 사이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황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부기둥과 상부기둥을 나선체결 시켜 신장 및 복원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부연 설명하자면, 지지대(60)는 2열로 설치된 지지프레임(30)의 이격거리 보다 길게 형성되고, 이웃하는 고정프레임(10)에 지지부(20)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자가 일측으로 편중이동하여 설치작업을 할 때 가설발판(50)이 기울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설발판(50)과 상판(4)의 사이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통로(100)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은 브라켓설치단계(S1)와, 지지부설치단계(S2)와, 프레임설치단계(S3)와, 가설발판설치단계(S4)와, 지지대설치단계(S5)와, 연속설치단계(S6)와, 통로부재설치단계(S7)로 구성되며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브라켓설치단계(S1)는 거더(3)들의 플랜지(3a)나 상판(4)의 하부면에 가로방향으로 열을 이루며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고정브라켓(10)을 설치하는 단계로써, 교량(1)의 가로방향으로 4개를 설치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고정브라켓(10)은 교량(1)의 거더(3)나 상판(4)을 제작시 미리 설치 하여 제작할 경우 브라켓설치단계(S1)를 생략해도 무방할 것이다.
2. 지지부설치단계(S2)는 브라켓설치단계(S1)를 거친 후, 플랜지(3a)나 상판(4)의 길이 방향으로 4개씩 설치하며 가로방향으로 2열이 되도록 설치된 고정브라켓(10)에 우선적으로 지지부(20)를 설치하는 단계로써, 점검통로(100)를 설치할 시작부분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0)에 수직지지부(21)와 수평지지부(22)를 각각 설치하는 단계이다.
3. 프레임설치단계(S3)는 지지부설치단계(S2)를 거친 후, 지지부(20)의 타단에 지지프레임(30)을 설치하는 단계로써, 고정브라켓(10)에 체결된 수직지지부(21)와 수평지지부(22)를 지지프레임(30)의 양측면에 연결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지지부설치단계(S2)와 프레임설치단계(S3)를 시행할 때에 설치자는 비계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최초 설치작업을 수행한다.
4. 가설발판설치단계(S4)는 프레임설치단계(S3)를 거친 후, 가설발판(50)을 지지프레임(30)에 설치하는 단계로써, 고정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임시적으로 안치시키는 방식으로 가설발판(5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5. 지지대설치단계(S5)는 가설발판설치단계(S4)를 거친 후, 이웃되어 설치된 고정브라켓(10)에 지지부(20), 지지부(20)에 지지프레임(30)의 설치시 편심 지지로 인하여 가설발판(50)의 반대측이 들여 올려지는 것을 방지되도록 상판(4)과 가설발판(50)의 사이에 지지대(6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즉, 설치자가 이웃하는 고정브라켓(10)의 설치나 설치되어진 고정브라켓(10)에 지지부(20)를 체결하기 위하여 가설발판(50)의 일측으로 편중 이동하여 지지할 경우 설치자의 하중으로 인하여 가설발판(50)이 들어 올려져 설치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지지대(60)를 설치하는 것이다.
6. 연속설치단계(S6)는 지지대설치단계(S5)를 거친 후, 가설발판(50)에 지지된 상태로 이웃하는 고정브라켓(10)에 지지부(20), 지지부(20)에 지지프레임(30)을 체결하고, 가설발판(50)을 이동 지지시키며 별도의 설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설치자는 별도의 설치장치인 비계나 크레인에 지지하지 않은 상태로 가설발판(50)을 이용하여 이웃되는 고정브라켓(10)에 지지부(20)를 설치한 후 지지프레임(30)을 설치한다.
이렇게, 이웃되는 고정브라켓(10)에 체결된 지지부(20)에 지지프레임(30)을 설치한 후 설치자는 가설발판(50)의 중앙측으로 이동하여 지지대(60)를 해체하고, 가설발판(50)을 이웃 설치된 지지프레임(30)으로 이동시키는데, 최초의 1열에 설치된 지지프레임(30)으로부터 가설발판(50)이 완전히 벗어나도록 이동시킨 후, 지지대(60)를 재 설치하고 이웃하는 고정브라켓(10)이나 고정브라켓(10)에 지지부(20), 지지프레임(30)을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반복 설치하는 것이다.
7. 통로부재설치단계(S7)로 연속설치단계(S6)를 거친 후, 가설발판(50) 및 지지대(60)를 철거하고 지지프레임(30)의 상부로 통로부재(40)를 연속적으로 안치시키고 볼트방식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로써, 설치자에 의해 고정브라켓(10)에 지지부(20), 지지프레임(30)을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미리 제작 통로부재(40)를 간단하게 안치시켜 설치시켜 점검통로(100)를 완성하는 최종 단계이다.
이로 인하여, 최초 2열을 설치할 경우에만 설치를 위한 비계나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제한적으로 이용한 후, 가설발판(50)과 지지대(60)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비계나 크레인의 이용 없이 설치가능한 이점이 있다.
더불어, 지지프레임(30)을 동일 간격으로 통로부재(40)가 안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지지를 위한 주부재의 자재비가 현저히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수직방향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점검자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볼트체결방식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설치 및 작업이 간단하며, 자재비의 절감과 재료의 물리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교량 점검 통로를 교량에 설치한 설치 단면도,
도 1b는 종래의 교량 점검 통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 통로를 교량에 설치한 설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점검 통로의 분해사시도 및 설치되는 상태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설치가 완료된 점검통로의 조립사시도,
도 5는 고정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지지부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교량 점검 통로를 설치하는 순서를 나타낸 시공순서도,
도 8은 도 7의 설치 순서를 나열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교량 2 : 교각
3 : 거더 3a : 플랜지
4 : 상판 10 : 고정브라켓
11 : 설치판 12 : 체결판
12a : 체결홀 20 : 지지부
21 : 수직지지부 21a : 제1연결봉
21b : 제연결봉 21c : 턴버클
22 : 수평지지부 22a : 제1연결봉
22b : 제연결봉 22c : 턴버클
30 : 지지프레임 40 : 통로부재
41 : 발판 42 : 난간
50 : 가설발판 60 : 지지대
100 : 점검통로 S1 : 브라켓설치단계
S2 : 지지부설치단계 S3 : 프레임설치단계
S4 : 가설발판설치단계 S5 : 지지대설치단계
S6 : 연속설치단계 S7 : 통로부재설치단계

Claims (3)

  1. 교량(1)의 교각(2) 상부에 설치되는 거더(3)들에 의해 떠받들어 지는 상판(4)의 하부면을 점검하는 점검자의 이동을 위해 상판(4)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점검통로에 있어서,
    거더(3)들의 플랜지(3a)나 상판(4)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여러 개의 고정브라켓(10)과,
    고정브라켓(10)에 일단이 체결되어 매달기 기능을 수행하는 지지부(20)와,
    지지부(20)의 타단에 체결되는 지지프레임(30)과,
    지지프레임(30)에 안치되어 고정되며 점검자가 통행하도록 형성된 발판(41)의 양측으로 직립되어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42)으로 이루어진 통로부재(40)로 이루어지며; 고정브라켓(10)에 지지부(20), 지지부(20)에 지지프레임(30)을 설치하기 위하여 설치가 완료된 지지프레임(30)에 임시로 안치, 이동시킬 수 있는 가설발판(50)을 이용하여 설치자가 설치하며, 설치자가 가설발판(50)의 일측으로 편중 지지시 가설발판(50)이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설발판(50)과 상판(4)의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는 수직방향으로의 힘을 지지하는 수직지 지부(21)와,
    수직지지부(21)의 외측으로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의 힘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
  3. 거더(3)들의 플랜지(3a)나 상판(4)의 하부면에 가로방향으로 열을 이루며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고정브라켓(10)을 설치하는 브라켓설치단계(S1)와,
    브라켓설치단계(S1)를 거친 후, 플랜지(3a)나 상판(4)의 길이 방향으로 4개씩 설치하며 가로방향으로 2열이 되도록 설치된 고정브라켓(10)에 우선적으로 지지부(20)를 설치하는 지지부설치단계(S2)와,
    지지부설치단계(S2)를 거친 후, 지지부(20)의 타단에 지지프레임(30)을 설치하는 프레임설치단계(S3)와,
    프레임설치단계(S3)를 거친 후, 가설발판(50)을 지지프레임(30)에 설치하는 가설발판설치단계(S4)와,
    가설발판설치단계(S4)를 거친 후, 이웃되어 설치된 고정브라켓(10)에 지지부(20), 지지부(20)에 지지프레임(30)의 설치시 편심 지지로 인하여 가설발판(50)이 들여 올려지는 것을 방지되도록 상판(4)과 가설발판(50)의 사이에 지지대(60)를 설치하는 지지대설치단계(S5)와,
    지지대설치단계(S5)를 거친 후, 가설발판(50)에 지지된 상태로 이웃하는 고정브라켓(10)에 지지부(20), 지지부(20)에 지지프레임(30)을 체결하고, 가설발 판(50)을 이동 지지시키며 별도의 설치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연속설치단계(S6)와,
    연속설치단계(S6)를 거친 후, 가설발판(50) 및 지지대(60)를 철거하고 지지프레임(30)의 상부로 통로부재(40)를 연속적으로 안치시키고 볼트방식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통로부재설치단계(S7)로 설치장비 비사용 타입의 교량 안전 점검 통로를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설치방법.
KR1020080082144A 2008-08-22 2008-08-22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 및 그 설치방법 KR100999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144A KR100999596B1 (ko) 2008-08-22 2008-08-22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144A KR100999596B1 (ko) 2008-08-22 2008-08-22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403A KR20100023403A (ko) 2010-03-04
KR100999596B1 true KR100999596B1 (ko) 2010-12-08

Family

ID=4217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144A KR100999596B1 (ko) 2008-08-22 2008-08-22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5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270B1 (ko) * 2021-02-19 2022-03-08 (주)에이티오 교량 교각 안전 점검 통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119B1 (ko) * 2013-03-25 2013-09-17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피 교량용 관로 설치장치 및 그 관로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270B1 (ko) * 2021-02-19 2022-03-08 (주)에이티오 교량 교각 안전 점검 통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403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7313B2 (ja) 吊り足場及びその架設方法
KR101539203B1 (ko) 플랫폼 지지방식의 노내비계와 인양시스템 설치 및 해체 공법
JP6798082B2 (ja) 吊り橋の主ケーブルの取替方法
CN109184190A (zh) 爬升与承载一体化的梁式液压爬升平台及其安装方法
CN206591432U (zh) 管道安装作业平台
KR100999596B1 (ko)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 및 그 설치방법
KR20150127559A (ko) 접이식 매단 비계
KR102590046B1 (ko) 바닥판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닥판 시공방법
FI126773B (fi) Kattotyöskentelyn kaiderakenteen pystytukirakenne
JP6590512B2 (ja) 階段仮設足場
EP1691007A2 (en) Detachable cross-piece for supporting platforms in scaffolds
CN110983978A (zh) 一种拱桥的系杆的安装方法
JP4516800B2 (ja) 吊足場の構築方法
JP6431652B2 (ja) 高欄用足場装置
KR100526996B1 (ko) 강봉을 이용하여 조립한 조립식 교량 점검대 및 이를이용한 설치방법
KR200340325Y1 (ko) 교량점검대
JP2015048634A (ja) 中間作業床形成装置及び中間作業床形成方法
KR200367073Y1 (ko)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
CN110886225A (zh) 索塔斜拉索安装体系的施工方法
JP6514677B2 (ja) ボイラー整備用炉内足場システム及びその施工方法
JPH1088786A (ja) 柱状構造物用足場
JP5972113B2 (ja) 立体駐車場の施工方法
JP3111854B2 (ja) 建築物構築用ジャンピング足場の昇降ガイド機構
JP3532161B2 (ja) 鉄塔構築機および鉄塔構築方法
CN116181041B (zh) 一种多层快速施工的造楼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