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073Y1 -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 - Google Patents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073Y1
KR200367073Y1 KR20-2004-0024066U KR20040024066U KR200367073Y1 KR 200367073 Y1 KR200367073 Y1 KR 200367073Y1 KR 20040024066 U KR20040024066 U KR 20040024066U KR 200367073 Y1 KR200367073 Y1 KR 200367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scaffold
bridge
bridge insp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문식
하동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to KR20-2004-0024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0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0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점검로상에서 교량하부의 상태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발판을 통해 하부 전경이 노출됨으로 인한 기존의 심리적 불안감을 감소시킴과 함께 별도의 구조물을 추가하지 않고도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도록 하여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대(100)에 고정되어지는 플렌지부(1)와 난간을 이루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포스트부(2) 그리고 상기 플렌지부(1)와 포스트부(2)를 연결하는 연결대(3)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난간프레임(4)이 교대(10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지고, 상기 난간프레임(4)의 연결대(3)상에는 이동 통로를 이루기 위한 바닥 발판이 안착 지지되어지는 교량 점검로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발판은 다수의 타공구멍(11)이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진 타공발판(10)으로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타공구멍(11)의 주변부는 상하방향으로 교번하며 돌출 형성됨으로서 상향의 미끄럼 방지공(11a)과 하향의 드레인공(11b)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A STEPPING PUNCHING BOARD FOR BRIDGE INSPECT WAY}
본 고안은 교량 점검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교량의 하부 교각이나 교대(이하 "교대"라 통칭함)에 설치되는 점검통로용 바닥 발판을 시공성 및 작업성 개선을 위한 타공판으로 이루기 위한 타공발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에는 차도 또는 인도가 부설되며, 그 하부에는 스틸박스거더 또는 PC빔 등이 설치되어지며, 교량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위한 점검로가 교대에 설치되어 교량하부의 교좌장치나 신축이음장치 등의 주요부분을 일정 주기로 점검함으로서 필요에 따른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교량점검로는 교대 주위를 따라 통로를 이루기 위한 바닥 발판이 설치되며, 상기 발판을 지지하기 위한 난간포스트가 일정 간격으로 하여 교대에 고정 설치됨으로서 점검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가운데 안전한 점검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교량점검로의 경우 하중을 최소화 하기 위한 방안으로 바닥 발판의 재료를 메쉬형태를 이루는 익스펜디드 메탈(Expended metal)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발판구조에서는 고공에서 교량의 점검시 아래의 전경이 그대로 노출되어 작업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됨으로 고소공포증에 따른 불안감을 갖게되어 교량점검을 제대로 수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 발판이 미끄럽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미끄럼방지장치를 적용하게 됨으로 인한 시공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교량점검로에서의 바닥 발판재료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교량점검로에서 작업자로 하여금 고소공포감 발생을 방지하고 이에따른 작업안전성을 확보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바닥 발판이 자체적인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는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안전사고 발생 및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타공발판이 설치되어진 난간프레임 설치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 타공발판이 설치되어진 교량 점검로 평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B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렌지부 2 : 포스트부
3 : 연결대 4 : 난간프레임
5 : 추락방지봉 10 : 타공발판
11 : 타공구멍 12 : 절곡부
13 : 볼트 14 : 너트
상기 목적은, 교량 하부의 점검을 위해 교대 둘레를 따라 다수의 난간프레임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지고, 상기 난간프레임상에는 이동 통로를 이루기 위한 바닥 발판이 안착 지지되어지는 교량 점검로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발판에는 다수의 타공구멍이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되, 각각의 타공구멍의 주변부는 상하방향으로 교번하며 반복 형성됨으로서 미끄럼 방지공과 드레인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 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로의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교각이나 교대(100)에 고정되어지는 플렌지부(1)와 난간을 이루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포스트부(2) 그리고 상기 플렌지부(1)와 포스트부(2)를 연결하는 연결대(3)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난간프레임(4)이 교대(10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지고, 상기 난간프레임(4)의 연결대(3)상에는 이동 통로를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타공발판(10)이 안착 지지되어지는 구성을 이루게 된다.
특히 상기 타공발판(10)은 알루미늄 재질로서 펀칭작업을 통해 타공이 이루어진 다수의 타공구멍(11)이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져 있는데, 각각의 타공구멍(11)은 제작시 타공방향을 달리 함으로서 상하방향으로 돌출이 이루어진 형태가 교번하며 반복 형성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타공구멍(11)의 주변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진 것은 넌슬립을 목적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공(11a)으로 구성하였으며, 주변부가 하방향으로 돌출되어진 것은 물빠짐을 목적으로 하는 드레인공(11b)을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타공발판(10)의 단부를 절곡 가공함으로서 수직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진 절곡부(12)를 형성하고 있으며, 각각의 절곡부(12)간에는 볼트(13)와 너트(14)에 의해 상호간에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는 난간 포스트부(2)의 통공에 삽입 설치되어지는 추락방지봉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교량점검로의 설치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교각이나 교대(100)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난간프레임(4)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한 후, 난간프레임(4)의 연결대(3)상에 본 고안의 타공발판(10)을 순서대로 안착시키면 각각의 발판은 절곡부(12)가 상호 면접되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볼트(13)와 너트(14)를 이용하여 각각의 타공발판(10)을 연결 고정시킴과 함께 타공발판(10)을 난간프레임(4)에 고정설치함으로서 현장에서별도의 용접작업이 없이도 간단하게 설치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종래 철망형태의 발판의 경우에는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 다수의 L형채널과 발판 지지플레이트 등의 보조 구조물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원고안의 타공발판(10)의 경우에는 별도의 구조물 없이도 고정설치가 가능하게 됨으로 시공성이 향상되어짐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설치되어진 교량점검로는 작업자가 타공발판(10)위에 올라가더라도 타공구멍(11)의 크기보다 발판면의 면적이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진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하부 전경이 시야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작업자로 하여금 고소공포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게되는 것이다.
이와함께 타공발판(10)상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져 있는 미끄럼방지공(11a)에 의하여 바닥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 작업 안전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되며, 바닥 발판(10)상에는 드레인공(11b)이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바닥을 가리고 있는 면적의 상대적 증가에 따른 물고임현상을 신속하게 해결해줄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타공발판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설명에서 발판상에 형성되어진 타공구멍이 원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구멍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타공발판은, 교량점검로상에서 교량의 상태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하부 전경이 노출됨으로 인한 기존의 심리적 불안감을 감소시킴과 함께 별도의 구조물을 추가하지 않고도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게되어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타공발판은 설치를 위한 별도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판재를 절곡 가공한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용이한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Claims (2)

  1. 교대(100)에 고정되어지는 플렌지부(1)와 난간을 이루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포스트부(2) 그리고 상기 플렌지부(1)와 포스트부(2)를 연결하는 연결대(3)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난간프레임(4)이 교대(10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지고, 상기 난간프레임(4)의 연결대(3)상에는 이동 통로를 이루기 위한 바닥 발판이 안착 지지되어지는 교량 점검로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발판은 다수의 타공구멍(11)이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진 타공발판(10)으로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타공구멍(11)의 주변부는 상하방향으로 교번하며 돌출 형성됨으로서 상향의 미끄럼 방지공(11a)과 하향의 드레인공(11b)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용 타공 발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공발판(10)은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진 절곡부(12)를 형성하고 있으며, 각각의 절곡부(12)간에는 볼트(13)와 너트(14)에 의해 상호간에 고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 구조.
KR20-2004-0024066U 2004-08-23 2004-08-23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 KR200367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066U KR200367073Y1 (ko) 2004-08-23 2004-08-23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066U KR200367073Y1 (ko) 2004-08-23 2004-08-23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073Y1 true KR200367073Y1 (ko) 2004-11-08

Family

ID=4944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066U KR200367073Y1 (ko) 2004-08-23 2004-08-23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07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912A2 (ko) * 2010-04-19 2011-10-27 주식회사국제기계금속 교량용 가설인도
KR101127204B1 (ko) 2011-07-06 2012-03-30 도아기업주식회사 교량 점검용 구조물
KR101213963B1 (ko) * 2010-08-04 2012-12-20 주식회사 무한건설 보강형 교량점검시설
KR20200130910A (ko) * 2019-05-13 2020-11-23 (주)마이즈텍 강재 데크
KR20220131772A (ko) *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시공작업이 용이한 교량 점검시설용 점검발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912A2 (ko) * 2010-04-19 2011-10-27 주식회사국제기계금속 교량용 가설인도
WO2011132912A3 (ko) * 2010-04-19 2012-01-26 주식회사국제기계금속 교량용 가설인도
CN102844498A (zh) * 2010-04-19 2012-12-26 国际机械金属公司 桥梁用架设人行道
KR101213963B1 (ko) * 2010-08-04 2012-12-20 주식회사 무한건설 보강형 교량점검시설
KR101127204B1 (ko) 2011-07-06 2012-03-30 도아기업주식회사 교량 점검용 구조물
KR20200130910A (ko) * 2019-05-13 2020-11-23 (주)마이즈텍 강재 데크
KR102294947B1 (ko) * 2019-05-13 2021-08-27 (주)마이즈텍 강재 데크
KR20220131772A (ko) *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시공작업이 용이한 교량 점검시설용 점검발판
KR102466281B1 (ko) 2021-03-22 2022-11-11 (주)이알코리아 시공작업이 용이한 교량 점검시설용 점검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204B1 (ko) 강재 영구받침대를 이용한 스틸박스 교량 슬래브의 캔틸레버부 및 그 시공방법
CN109208915B (zh) 一种冷却塔系统与钢连廊整体提升施工方法
KR100592505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의 낙교방지와 전도방지용크로스빔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67073Y1 (ko)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
KR100336997B1 (ko) 교량 점검로
KR100547484B1 (ko) H빔을 다층으로 연결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교량거더와 낙교방지장치 및 다중 지점 지지장치로 이루어진 가설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90032478A (ko) 건축공사용 케이지의 이탈방지 장치
KR101168205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KR20080099061A (ko) Psc 교량의 psc 빔 연결용 강가로보
KR100526996B1 (ko) 강봉을 이용하여 조립한 조립식 교량 점검대 및 이를이용한 설치방법
KR200215929Y1 (ko) 교량 안전점검 통로
KR20140099579A (ko) 조립형 바닥판
KR20070099375A (ko) 돌출 리브를 이용한 교량 점검통로 결합구조
KR100999596B1 (ko) 조립식 종방향 교량점검통로 및 그 설치방법
KR20060016371A (ko) 교량 점검시설을 고정하기 위한 매설형 너트
KR20100049343A (ko) 교량점검통로
KR100469638B1 (ko) 피.에스.씨-빔 교량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
KR200290770Y1 (ko) 교량 점검용 통로
KR200313636Y1 (ko) 교량 하부 점검용 난간
JP5409955B1 (ja) 鋼橋構造
CN110593139A (zh) 轻质高强高耐久复合材料安全平台及其施工方法
CN218893979U (zh) 一种贝雷梁栈桥检修操作平台
CN219342890U (zh) 一种桥梁高墩柱预应力张拉施工平台
JP6099377B2 (ja) 建物養生枠
KR100430600B1 (ko)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