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929Y1 - 교량 안전점검 통로 - Google Patents

교량 안전점검 통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929Y1
KR200215929Y1 KR2020000027242U KR20000027242U KR200215929Y1 KR 200215929 Y1 KR200215929 Y1 KR 200215929Y1 KR 2020000027242 U KR2020000027242 U KR 2020000027242U KR 20000027242 U KR20000027242 U KR 20000027242U KR 200215929 Y1 KR200215929 Y1 KR 200215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idge
fixed
coupled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석
Original Assignee
지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7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9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92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안전점검 통로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교량 안전점검 시설에서 작업자가 보행하게 되는 교량 안전점검 통로의 조립방법을 단순화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완한 교량 안전점검 통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교량 안전점검 통로는, 교량(10)을 받치는 교각(12)의 상부측에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가설된 프레임(16)과; 상기 프레임(16)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다수의 플레이트(22)들이 병렬로 고정결합되어 이루어진 플레이트 보드(20,21)와; 상기 플레이트 보드(20,21)의 외측에 수직으로 하주되는 핸드레일(18)과; 상기 플레이트 보드(20,21)들의 단부측에 고정,결합되어서 다른 플레이트 보드와 고정,결합되기 위한 수단인 보강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안전점검 통로{PASSAGE FOR SAFETY INSPECTING OF BRIDGE}
본 고안은 교량 안전점검 통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교량 안전점검 시설에서, 작업자가 보행하게 되는 교량 안전점검 통로의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시공성을 개선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완한 교량 안전점검 통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나 국도 등에, 또는 강을 가로지르는 도로를 설치하기 위하여 각종 교량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교량들에는 가설위치, 교차조건, 구조형식, 형하교, 교폭, 하부지지조건 등의 제조건을 감안, 주요 구조부를 교통제한없이 항상 점검가능하도록 출입, 점검, 조명, 환풍 등의 시설을 갖추어 구조물 각 부위의 기능상태, 노후도 결함 등의 확인점검과 유지보수 등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교량 안전점검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교량 안전점검 시설은 교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교량의 하부 즉, 상기 교량을 받치는 교각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작업자가 이동하는 공간인 교량 안전점검 통로와, 이 교량 안전점검 통로로 출입하는 사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교량 안전점검 통로는 교각의 전 둘레에 걸쳐 일벙간격으로 다수의 프레임을 가설하고, 이 프레임들상에 걸쳐서 철망형태의 익스펜디드 메탈을 깔아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상기 교량 안전점검 통로의 외곽에 일정높이의 핸드레일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교량 안전점검 통로는 철망형태의 익스펜디드 메탈이 보행판으로 사용되므로써, 작업자가 고공의 위치에서 아래가 육안으로 확연히 보이게 되는 바, 심적으로 불안하게 되는 등, 공포감 및 현기증을 느껴 안전사고가 발생될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교각의 고공위치에 미리 가설된 프레임에 익스펜디드 메탈을 운반한 후, 설치작업을 해야 하므로써, 시공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고공작업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교량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교량 안전점검 시설에서 작업자가 보행하게 되는 교량 안전점검 통로의 조립방법을 단순화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완한 교량 안전점검 통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교량 안전점검 통로는, 교량을 받치는 교각의 상부측에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가설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다수의 플레이트들이 병렬로 고정결합되어 이루어진 플레이트 보드와; 상기 플레이트 보드의 외측에 수직으로 고정,결합되는 핸드레일과; 상기 플레이트 보드들의 단부측에 고정,결합되어서 다른 플레이트 보드와 고정,결합되기 위한 수단인 보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보드를 이루는 플레이트는 평면부로부터 양단이 절곡된 플랜지를 가지며, 일측의 플랜지 단부는 외향절곡되고, 타측의 플랜지 단부는 내향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레이트 보드를 이루는 플레이트들의 평면부에는 상향천공된 다수의 천공부와, 배수를 위하여 하향천공된 다수의 드레인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안전점검 통로.
또, 상기 핸드레일은 그 일단이 고정용 클램프에 의해 플랫 바와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안전점검 통로가 교량에 설치된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교량 안전점검 통로만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플레이트 보드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로서, 각각의 플레이트 보드들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보드를 확대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D-D선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확대도시된 부분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교량, 12 : 교각
14 : 교량 안전점검 통로, 16 : 프레임
18 : 핸드레일, 20 : 플레이트 보드
22 : 플레이트, 28 : 천공부
30 : 드레인 홀, 32a,32b : 플랫 바(Flat Bar)
34a,34b : 클램프, 36 : 브라켓
38 : 핸드레일 클램프, 40 : 보강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 안전점검 통로가 교량에 설치된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교량 안전점검 통로만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10)을 받치는 교각(12)의 둘레에 걸쳐서 일정간격으로 프레임(16)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6)들에는 플레이트 보드(20,21)가 고정,설치되는데, 상기 플레이트 보드(20,21)는 그 단면형상이 대략 '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플레이트(22)가 병렬로 고정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상기 플레이트(22)는 평면부(24)로부터 양단이 절곡형성된 플랜지(26a,26b)를 가지며, 일측의 플랜지(26a)는 다른 플레이트(22)의 대향되는 플랜지(26b)와 결합수단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되, 일측 플랜지(26a)의 단부는 외향절곡되고, 타측 플랜지(26b) 단부는 내향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절곡된 단부의 플랜지(26a)에 다른 플레이트(22)의 내향절곡된 단부의 플랜지(26b)가 안치된 후,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이와 같이 병렬로 고정,결합된 복수개의 플레이트(22)는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임의로 정할 수 있게 되며,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22)가 임의의 수로 병렬결합된 플레이트 보드(20)에서 일측단의 플레이트(22)는 브라켓(36)과 클램프(34a)를 사이에 두고 플랫 바(32a)가 체결되고, 프레임(16)에 고정설치되며, 타측단의 플레이트(22)는 클램프(34b)만을 사이에 두고 플랫 바(32b)가 체결되고, 프레임(16)에 고정설치되므로써, 플레이트 보드(20)가 프레임(16)에 대하여 고정,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보드(20)에서 외측의 플레이트(22)에 고정,결합된 플랫 바(32b)에는 고정용 클램프(38)에 의해 핸드레일(18)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5는 동일방향으로 결합되는 플레이트 보드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로서, 각각의 플레이트 보드들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플레이트(22)가 병렬결합되어 이루어진 플레이트 보드(20)의 양단측에는 그 단면형상이 대략 'ㄷ'형상의 보강판(40)이 고정,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바에서 동일방향으로 결합되는 플레이트 보드(20)를 모두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다른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보강판(40)의 상,하 플랜지부는 플레이트 보드(20)의 상,하 양단측에 각각 고정,결합되며, 평면부는 다른 플레이트 보드(20')의 일단측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결합된 다른 보강판(30')의 평면부와 밀착되어 체결수단으로 고정,결합되므로써, 각각 다른 플레이트 보드(20,20')가 동일방향으로 고정,결합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보드를 확대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D-D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확대도시된 부분의 평면도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보드의 플레이트 평면부에 일정높이로 상향천공된 다수의 천공부(28)를 형성하고, 빗물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역시 일정높이로 하향천공된 다수의 드레인 홀(30)을 형성하였다.
상기 천공부(28)는 작업자의 보행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드레인 홀(30)은 빗물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바, 이 역시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교량 안전점검 통로의 조립관계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각(12)의 상측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방향으로 프레임(16)을 가설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플레이트(22)들을 각각 병렬방향으로 고정,결합시킨 후, 각 단부측에 고정판(40)을 고정,결합시켜서 단품의 플레이트 보드(20,21)를 완성시킨다.
이와 같은 작업은 고공의 프레임(16)상에서 하지 않고, 지상에서 별도로 조립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플레이트 보드(20)의 양단측 플레이트(22)에는 각각 플랫 바(32a,32b)를 고정,결합시키고, 외측의 플랫 바(32b)에는 고정용 클램프(38)를 이용하여 핸드레일(18)을 고정,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개의 플레이트 보드(20)가 조립,완성되면, 각각의 플레이트 보드(20)를 고공의 프레임(16)상으로 이송하여 세팅된 위치의 프레임(16)상에 안치시킨 후, 클램프(34a,34b) 및 브라켓(36) 등을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16)에 대하여 고정,결합시킨다.
이때, 서로 동일방향으로 위치되는 플레이트 보드(20)들은 각각의 단부에 고정,결합된 고정판(40)의 평면부를 맞대어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결합시키되, 상기와 같이 서로 동일방향으로 위치하는 플레이트 보드(20)들은 지상에서 미리 결합시킨 후, 프레임(16)상으로 이송하여 상기 프레임(16)에 대하여 고정,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로 일방향으로 위치하는 플레이트 보드(20)와 직각방향으로 교차하여 결합되는 다른 플레이트 보드(21)의 결합은 플레이트 보드(20)의 일측단에 고정,결합된 보강판(40)과, 다른 플레이트 보드(21)의 일측 플레이트 플랜지와 고정,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을 완성시킨다.
또한, 동일방향으로 연속된 플레이트 보드(20)들과 교차결합되는 플레이트 보드(21)의 단부측에는(도 2에서 'E'부분) 이 단부측에 고정,결합된 보강판에 별도의 플랫 바를 고정결합시킨 후, 이 플랫 바에 고정용 클램프를 이용하여 핸드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전 둘레에 걸쳐 핸드레일이 설치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순서 및 방법에 의해 조립,완성된 교량 안전점검 통로는 프레임만을 고공에서 가설하고, 플레이트 보드들 및 핸드레일은 지상에서 선조립 후, 고공의 프레임상으로 이송하여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결합시킴으로써, 고공에서의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시공성이 향상될 뿐 만 아니라, 고공작업에 대한 위험부담이 줄어들어 안전사고가 예방된다.
또한, 플레이트 보드에 상향천공된 천공부에 의해 작업자가 보행시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하향천공된 드레인 홀로 빗물 등이 배수되어 이 역시 물기에 의한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되는 등, 그 안전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상기 천공부 및 드레인 홀이 플레이트상에 미세하게 형성되는 바, 작업자가 아래를 보더라도 육안으로 확연히 드러나지 않게 되어 심적으로 불안감을 느끼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교량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교량 안전점검 시설에서, 작업자가 보행가능하게 설치된 교량 안전점검 통로에 있어서,
    교량을 받치는 교각의 상부측에 둘레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가설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다수의 플레이트들이 병렬로 고정결합되어 이루어진 플레이트 보드와; 상기 플레이트 보드의 외측에 수직으로 고정,결합되는 핸드레일과; 상기 플레이트 보드들의 단부측에 고정,결합되어서 다른 플레이트 보드와 고정,결합되기 위한 수단인 보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안전점검 통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드를 이루는 플레이트는 평면부로부터 양단이 절곡된 플랜지를 가지며, 일측의 플랜지 단부는 외향절곡되고, 타측의 플랜지 단부는 내향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안전점검 통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보드를 이루는 플레이트들의 평면부에는 상향천공된 다수의 천공부와, 배수를 위하여 하향천공된 다수의 드레인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안전점검 통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은 플레이트 보드의 외측에 고정,결합된 플랫 바와, 플레이트 보드의 보강판에 고정,결합되는 플랫 바에 그 일단이 고정용 클램프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안전점검 통로.
KR2020000027242U 2000-09-28 2000-09-28 교량 안전점검 통로 KR200215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242U KR200215929Y1 (ko) 2000-09-28 2000-09-28 교량 안전점검 통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242U KR200215929Y1 (ko) 2000-09-28 2000-09-28 교량 안전점검 통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929Y1 true KR200215929Y1 (ko) 2001-03-15

Family

ID=7308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242U KR200215929Y1 (ko) 2000-09-28 2000-09-28 교량 안전점검 통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92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204B1 (ko) 2011-07-06 2012-03-30 도아기업주식회사 교량 점검용 구조물
KR101293853B1 (ko) 2012-02-08 2013-08-07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점검통로
KR102379541B1 (ko) 2021-03-22 2022-03-28 (주)이알코리아 매립 앵커의 위치에 따라 가변 설치되는 교량 점검시설 결속 시스템
KR20220131867A (ko)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용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을 통한 시공방법
KR20220131772A (ko)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시공작업이 용이한 교량 점검시설용 점검발판
KR102490120B1 (ko) 2022-07-29 2023-01-18 (주)이알코리아 교량 점검시설의 인서트 보강형 점검계단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204B1 (ko) 2011-07-06 2012-03-30 도아기업주식회사 교량 점검용 구조물
KR101293853B1 (ko) 2012-02-08 2013-08-07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점검통로
KR102379541B1 (ko) 2021-03-22 2022-03-28 (주)이알코리아 매립 앵커의 위치에 따라 가변 설치되는 교량 점검시설 결속 시스템
KR20220131867A (ko)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용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을 통한 시공방법
KR20220131866A (ko)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용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
KR20220131772A (ko)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시공작업이 용이한 교량 점검시설용 점검발판
KR102490120B1 (ko) 2022-07-29 2023-01-18 (주)이알코리아 교량 점검시설의 인서트 보강형 점검계단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5929Y1 (ko) 교량 안전점검 통로
KR101776805B1 (ko)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KR102094526B1 (ko) L형 패널에 적용하는 교량 배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28216A (ko) 절곡빔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KR100336997B1 (ko) 교량 점검로
KR101326928B1 (ko) 복합 고가교량의 스틸그레이팅 설치 구조
KR101770155B1 (ko) 현장 조립형 배수 그레이팅
JPH0544202A (ja) 橋梁高欄補修用足場構造及び橋梁高欄補修用足場の吊り金具構造
KR200367073Y1 (ko)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
JP2002038419A (ja) 鋼製壁高欄及び鋼製壁高欄の設置方法
KR200371107Y1 (ko) 리브 결합형 교량 점검통로
KR200191454Y1 (ko) 고정식 교량점검대
CN218562790U (zh) 一种钢结构排水沟
CN217232740U (zh) 一种楼梯混凝土浇筑固定装置
KR102310576B1 (ko) 강상판형 복공부와 거더부가 볼트 합성된 가설구조물의 배수시스템
KR200290770Y1 (ko) 교량 점검용 통로
KR200148809Y1 (ko) 교각 점검대용 난간
KR200238745Y1 (ko)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보호망
KR100579711B1 (ko) 개착 공법의 상부면 방수처리를 위한 상판지지 방법
CN219342890U (zh) 一种桥梁高墩柱预应力张拉施工平台
KR100260674B1 (ko) 사장교식 낙하물 방지망
JP3068782U (ja) 門型クレ―ン
KR102466281B1 (ko) 시공작업이 용이한 교량 점검시설용 점검발판
KR101491405B1 (ko) 단계별 신설 시공 또는 확장되는 고가교량의 배수로 설치구조
CN219118780U (zh) 一种用于固定后浇带模板的支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