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454Y1 - 고정식 교량점검대 - Google Patents

고정식 교량점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454Y1
KR200191454Y1 KR2020000005907U KR20000005907U KR200191454Y1 KR 200191454 Y1 KR200191454 Y1 KR 200191454Y1 KR 2020000005907 U KR2020000005907 U KR 2020000005907U KR 20000005907 U KR20000005907 U KR 20000005907U KR 200191454 Y1 KR200191454 Y1 KR 200191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ridge
fixing
assembl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장철
박상일
원창연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용마기술개발주식회사
원창연
김대호
박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0996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24672A/ko
Application filed by 용마기술개발주식회사, 원창연, 김대호, 박상일 filed Critical 용마기술개발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5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4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4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에 작업현장에서 용접작업으로 개개의 부재들을 고정 설치하는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구성을 개량하여, 점검대의 구성요소들을 더욱 단순화하면서도 기능은 향상시키고 원자재비와 조립시공공수는 줄여서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적은 조립형 고정식 교량점검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발판의 구성을 하부가 보이지 않으면서도 배수구와 걸림돌기를 갖는 강판재로 하여 점검로의 폭에 대응하는 유니트로 구성하면서, 교각의 측벽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들에 하단은 직접 조립되고 발판들끼리는 측면 연결부재에 의하여 조립되며, 안전난간 및 낙하방지대를 구비하여, 부품의 수량면에서 감소시키고 그 조립구조도 단순화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정식 교량점검대{A fixed inspection equipment for bridges}
본 고안은 고정식 교량점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점검대의 구성을 조립형으로 구성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하부면이나 교좌장치의 점검을 위한 시설에는 교각의 상단 둘레에 설치되는 고정식 교량점검대가 있다.
이 고정식 교량점검대는 그 구성과 설치(시공)방법에 따라서 고정형과 조립형으로 구분되는 바, 조립형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특징은 교량점검대를 구성하는 요소들인 발판과, 발판 부착용 브라켓, 안전난간, 낙하방지시설 및 기타의 부재들을 보울트나 클램프들을 이용하여 일정 형태의 점검대를 조립하는 구성으로서, 제반 부재들을 용접에 의하여 제작하는 고정형에 비하여 설치 시공상의 경제성이 높고, 설치후에도 일부 부재들을 부분적으로 분해시킬 수 있어서 부재의 교체와 보수가 용이한 특징이 있어서 최근에 여러형태가 제공되고 있다.
지금까지 제공된 조립형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구성중에서 최근에 제공된 것으로는, 교각의 상단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매입식 보울트에 의해 고정되는 수개의 고정브라켓들과, 이 고정브라켓들에 고정되는 여러가지 형태의 받침대들 및 일측 받침대의 중간에 설치되는 모서리받침대들 및 상기 받침대들과 모서리받침대들 간에는 규격품의 플로어데크를 사용한 발판을 사용하여, 상기 부품들을 규격화하고 상호간에 보울트 및 클램프를 이용하여 조립형으로 고정시키며, 받침대들의 외측단에는 규격품의 핸드레일 및 마감재를 조립형으로 고정 설치한 구성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조립형 고정식 교량점검대는, 모든 구성부재들 및 원자재들을 시공현장에서 교각의 형상에 맞추어 그 규격을 재단한 후에, 교각에 미리 매입된 보울트에 고정브라켓을 조립하고, 이 고정브라켓에 모든 부재들을 용접에 의하여 고정형으로 설치하는 종래의 현장 맞춤에 비하여,
구성부재들의 형상을 단순화하면서 그 부재들과 시공작업을 규격화하고 조립형으로 구성하여서, 자재비의 절감과 시공 표준화에 의한 설비비의 절감과 공기단축 및 공사 발,수주의 품질관리 및 시공상의 품질관리, 점검작업상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최근의 조립형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구성도, 교량점검대의 구성을 조립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형태만을 규격화하므로서, 오히려 구성요소들은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인 교량점검대의 구성도 조립공수도 상당히 많이 소요되어 실질적인 시공비의 절감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조립형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구성은 그 기술적구성 및 시공방법에 있어서, 모든 부품들을 하나 하나씩 단계적으로 교각 상단으로 올려가면서 조립하는 순차공정식 구성이므로, 가설재의 임대비 및 가설재의 설치,해체에 따른 단가가 높아지며, 전체적인 시공 인건비와 장비비가 높아지고, 교량의 교각이 높은 경우에 교량점검대의 시공위치도 높아지므로, 높은 가설 작업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능률이 떨어지며,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등의 여러 가지 시공상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형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져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 목적은, 구성요소의 수량이 적고 그 구성요소들의 형태는 단순화되면서도 기능은 향상되고 원자재비와 조립공수는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조립형 고정식 교량점검대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시공공수가 대폭 감소되어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시공상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양중식 시공방법을 시행할 수 있는 조립형 고정식 교량점검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용 고정브라켓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용 발판의 조립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용 발판의 조립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용 발판의 조립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용 발판의 구성중 상판부재의 일부분 확대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용 발판의 구성중 상판부재의 일부분 확대 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용 발판의 조립상태 좌측면도
도1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용 발판의 구성중 보강판의 측면도
도12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용 발판의 일부 부재 단면도
도13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발판과 받침부재의 조립구조 단면도
도14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발판과 받침부재의 조립구조 다른 단면도 및 안전난간과 낙하방지대의 조립구조 단면도
도15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낙하방지대 단면도
도16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시공방법을 위한 조립작업대의 평면도
도17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일 예 시공방법 일 공정도
도18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용 발판의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19는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용 발판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20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조립구조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일실시예 조립식 교량점검대 20:고정브라켓 21:고정부재
21a,,21c:보강판 22:받침부재 23:고정판재 24:고정판
26:보강판 30:발판 30x,30r: 다른 실시예 발판
31:상판부재 32:수직부재 31a,31b:다른 실시예의 상판부재
32b:다른 실시예 상판의 하향절곡단 33:하단수평부재
34:미끄럼방지돌기 35:배수공 36,36a:보강판
36c:연결공 36d:다른 예의 보강판 36e:다른 예 보강판의 요입부
37:측면연결부재 38:고정클램프 38b:고정홀 38a:고정단
38b:압박편 40:안전난간 41:세로대 42:가로대
43:고정플랜지 50:낙하방지대 51:수평판 52:수직판
N1,N2,N3,N4:보울트 CR:크레인 P:교각 PM:조립작업대
Pr: 다른 예 교각의 원호면
상기 일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교각의 상단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매입보울트에 의해 고정되는 수개의 고정브라켓들과, 하부가 보이지 않으면서도 배수구와 걸림돌기를 갖는 강판재로 되어 점검로의 폭에 대응하여 유니트화되며 상기 고정브라켓들에 받쳐져 교각 상단의 둘레를 따라서 고정클램프들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고정되는 단판형태의 발판들과, 상기 발판들을 서로 간에 결합하는 측면연결부재들과, 규격품으로 단품화되어 상기 발판의 외측단에 조립식으로 고정되는 안전난간들과, 상기 발판의 내,외측단 상면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낙하방지대를 구비하여 조립형으로 설치되는 고정식 교량점검대로 구성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일 실시예의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17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조립형 고정식 교량점검대(1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구성은 교각(P)의 상단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매입식 보울트에 의해 고정되는 수개의 고정브라켓(20)들과, 상기 수개의 고정브라켓(20)들 간에서 받침부재(22)의 상단에 조립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발판(30)들과, 상기 발판(30)들을 서로 간에 결합하는 측면연결부재(37)들과, 상기 수개의 발판(30)들을 고정브라켓(20)의 받침부재(22)에 고정하는 고정클램프(38)들과, 상기 발판(30)의 외측단에 직립되게 조립식으로 고정되는 안전난간(40) 및 낙하방지대(50)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고정브라켓(20)은 교각(P)의 상단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매입보울트 (Ba)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교량점검대 전체를 교각에 지지시키는 수단으로서, 일정길이의 H 형강재를 사용하는 고정부재(21) 및 받침부재(22)와, 상기 고정부재(21)의 상단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교각(P)의 외측면에 부착되어서 매입보울트(Ba)에 끼워지는 수개의 고정홀(23a)들을 갖는 고정판재(23)와, 상기 고정부재(21)에 받침부재(22)를 조립하는 부재인 고정판(24)과, 상기 고정부재(21)와 받침부재(22)들에 각각 설치되는 수개의 보강판(21a)과 보강판(21c) 및 보강판(26)을 구비하여,
고정부재(21)의 하단에 보강판(24)을 맞대어 보울트(N1)를 끼우고 너트(Na)로 조여서 받침부재(22)를 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조립한 구성이다.
발판(30)의 구성은, 상기 구성의 고정브라켓(20)들에 대하여 받침부재(22)의 상단에 조립식으로 고정되어 점검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교량점검대의 점검로를 형성하게 대략 1m 내외의 폭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방형의 단판으로 형성된 상판부재(31)와, 이 상판부재(31)의 내,외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일정 폭을 갖고 연장 절곡된 수직부재(32)와, 이 수직부재(32)에서 다시 수평으로 짧게 연장되어 절곡된 하단수평부재(33)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재(31)의 좌우측단과 하면에는 폭방향에 걸쳐서 일정간격으로 수개의 L 형 단면상의 보강판(36)(36a)들이 상단은 상판부재(31)의 하면에 접하고 양단은 상기 수직부재(32)와 하단수평부재(33)에 접하게 용접으로 고정설치되고, 좌우측단에 고정되는 보강판(36)들에는 전후방측에 수개의 연결공(36c)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부재(31)에는 전면적에 걸쳐서 일정 간격으로 사방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테두리가 상향으로 다소 돌출되게 원형으로 펀칭된 수십개의 미끄럼방지돌기(34)와, 이 미끄럼방지돌기(34)들 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테두리가 하향으로 다소 돌출되게 원형으로 펀칭되는 수십개의 배수공(35)이 형성된다.
측면연결부재(37)는 상기 수개의 발판(30)들을 교각(P)의 형태에 따라서 길이방향이나 직각방향으로 맞대어 그 결합부의 수직부재(32)들 간을 보울트(N5)로 고정하는 부재로써, 상기 발판(30)의 수직부재(32)의 폭과 동일한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강판부재이고, 맞대어진 양측 발판(30) 간에는 보울트(N2)를 끼우고 너트로 조여서 고정된다.
고정클램프(38)는 상기 수개의 발판(30)들을 고정브라켓(20)의 받침부재(22)에 고정하는 부재로써, 일측단은 받침부재(22)의 상단에 보울트(N3)를 끼우고 너트로 조여서 고정하는 고정홀(38b)이 형성된 고정단(38a)으로 형성되고 타측단은 발판(30)의 하단수평부재(33)를 받침부재(22)의 상면에 압박할 수 있도록 다소의 상향 단차를 갖고 형성된 압박편(38b)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전난간(40)은 일정길이를 갖는 파이프재의 세로대(41)와 가로대(42)로 형성되어, 세로대(41)의 하단에는 일정넓이의 고정플랜지(43)를 고정부착하여, 점검로로 조립된 발판(30)의 외측단 상면에 세로대(41)들을 직립되게 세워서 세로대(41)들의 하단에 고정부착된 고정플랜지(43)들을 보울트(N4)를 끼우고 너트로 조여서 상판(31)의 끝단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낙하방지대(50)는 일정 길이를 갖고 L 형 단면의 수평판(51)와 수직판(52)이 일정 폭으로 형성된 구성으로서, 상기 발판(30)의 상판(31)의 내측단과 외측단에서 수직부재(32)의 면과 동일면으로 위치되게 수평판(51)을 내측으로 위치시켜서, 외측단에서는 안전난간(40)을 고정할 때에 하단에 함께 고정하고, 내측단에서는 단독으로 고정피스등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PM은 상기 일 실시예의 교량점검대(10)를 설치하는 일 에의 양중식 시공방법에 사용하는 조립작업대이고, 부호CR은 크레인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일 실시예 조립식 교량점검대(10)는 다음과 같은 시공방법에 의하여 조립되고 교각(P)에 설치된다.
상기 일 실시예의 조립식 교량점검대(10)의 구성은 설치할 교각(P)의 형태에 따라서 적정의 강도계산에 의하여, 고정브라켓(20)의 설치위치와 수량 및 발판(30)의 수량 및 조립구성과 안전난간(40)의 형태와 조립구성들이 설계된다.
설계된 구조에 의하여 교각(P)의 상단 둘레에 고정브라켓(20)들을 설치하는 위치가 확정되면, 일차적으로 교각(P)의 외벽에 고정브라켓(20)들의 고정부재인 고정판재(23)의 고정홀(23a)에 맞추어 매입보울트(Ba)를 설치한다.
한편 각 부품들은 설계구조에 의하여 공장에서 미리 단품으로 제작되어 설치현장으로 공급되므로, 현장에서는 조립식 교량점검대(10)가 설치될 해당 교각(P)의 하방에 조립될 조립식 교량점검대(10)의 평면형상을 수용할 수 있는 조립작업대 (PM)를 지면에서 일정높이를 두고 교각의 둘레에 수평으로 설치한다.
조립작업대(PM)가 교각의 하방 둘레에 설치되면, 일차적으로 받침부재(22)가 일체로 조립되어 공급된 고정브라켓(20)들을 교각 설치위치로 맞추어 조립작업대 (PM)의 상면에 올려 놓는다.
이어서 고정브라켓(20)들의 상면에 단품으로 제작된 수개의 발판(30)들을 교각에의 설치위치에 맞추어 올려놓고, 맞대어진 발판(30)들의 좌우측단 결합부들에서는 맞대어진 양측 보강판(36)들을 전후방측에 형성된 수개의 연결공(36c)들에 보울트,너트를 끼워 조립하고, 맞대어진 전후 측단들은 측면연결부재(37)를 대고 보울트,너트로 밀접하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발판(30)들 끼리 길이방향으로 결합한 발판들은 고정브라켓(20)의 받침부재(22)와 고정클램프(38)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 고정작업은 받침부재(22)와 접하는 발판(30)의 하단수평부재(33)에 대하여 고정클램프(38)의 고정단(38a)은 받침부재(22)의 상단 플랜지에 올려놓고 압박편(38b)은 발판(30)의 일측 하단수평부재(33)의 상단에 걸쳐 놓은 상태에서 고정단(38a)을 고정홀(38a)에서 보울트,너트로 받침부재(22)의 상단 플랜지에 조여 고정한다.
이어서 설치 규격으로 재단되어 공급된 낙하방지대(50)를 조립된 발판(30)들의 상판(31)의 외측단에서 수직부재(32)의 면과 동일면으로 위치되게 수평판(51)을 내측으로 위치시켜 수직판(52)을 맞춘 후, 그 수평판(51)의 상면에 안전난간(40)을 설치위치로 올려 놓고 안전난간의 세로대(41) 하단부재인 고정플랜지(43)들을 보울트,너트들에 의하여 고정시켜 조립하고, 상판(31)의 내측단에도 내측 수직부재(32)의 면과 동일면으로 위치되게 수평판(51)을 내측으로 위치시켜 수직판(52)을 맞춘후 고정피스들에 의하여 수평판(51)을 고정시켜 조립한다.
상기와 같은 조립작업에 의하면, 조립작업대(PM)의 상면에는 교각의 상단둘레에 설치될 형태과 동일한 형태로 교량점검대(10)가 평면적으로 교각(P)의 하방 둘레에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교각의 하방 둘레에서 조립작업대(PM)의 상면에 평면적으로 조립된 교량점검대(10)는 크레인(CR)등과 같은 양중장치를 여러대 사용하여 수평을 유지하면서 교각 상단의 설치위치까지 양중시킨다.
평면적으로 조립된 교량점검대(10)가 양중장치에 의하여 교각 상단의 설치위치까지 수평상으로 양중되면, 별도의 작업자 양중장치에 의하여 수명의 작업자들이 양중된 교량점검대(10)의 발판(30)에 올라가서 교각의 둘레를 돌아가면서 각개의 고정브라켓(20)들을 교각의 외벽에 고정시키는 공정을 실시한다.
고정브라켓(20)들을 교각의 외벽에 고정시키는 공정은, 고정브라켓(20)의 고정부재(21) 상단 후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고정판재(23)를 교각(P)의 외측면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매입보울트(Ba)들에 고정홀(23a)들을 맞추어 끼우고, 각각의 고정브라켓(20)들이 전체적으로 수평상으로 위치되게 그 고정위치를 조정한 후에 고정판재(23)의 외측면에서 너트를 조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교각(P)의 외측면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매입보울트(Ba)들에 고정홀(23a)들을 맞추어 끼워서 고정판재(23)를 고정하는 작업에 의하면 각각의 고정브라켓(20)들을 교각의 상단 외벽면에 고정하게되어, 이 고정브라켓(20)들과 일체로 조립된 받침부재(22)들의 상면에 조립되어 있는 발판(30)들과 안전난간(40)들도 함께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일 교각에 대한 고정식 교량점검대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구성과 시공방법은, 일 형태의 교각에 적용하는 구성인 바, 교각의 단면형태나 설계기준에 따라서는 또는 시공방법에 따라서 발판, 고정브라켓의 구성들을 여러 가지로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조립형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구성에서 고정브라켓의 구성은 예시된 구성외에도 종래의 고정브라켓을 사용하여서도 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발판의 구성은, 종래에 메탈망(expended metal)에 의하여 점검로를 형성하는 구성에 비하여 작업자가 하부를 볼 수 없도록 하면서 미끄럼을 방지하고 배수효과를 높이며 조립시공을 용이하게함이 특징인 바, 예시된 단판형외에도 도18,19와 같이 폭방향에 대하여 2장의 상판부재(31a)(31b)로 구성하여, 이들을 2장의 상판부재(31a)(31b)들이 맞대어지는 부분은 짧은 폭의 하향절곡단(32b)들을 형성하고, 각각의 외측단은 상기 일 실시예의 수직부재(32)와 하단수평부재(33)를 동일하게 구비하면서, 상기 2장의 상판부재(31a)(31b)들의 하면에는, 상단 중간에 상기 하향절곡단(32b)들이 맞대어 결합된 형상을 수용하는 요입부(36e)를 구비한 보강판(36d)들을 폭 방향에 걸쳐서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는 발판(30x)으로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발판의 평면적 형태에 있어서도 도20에 도시한 바와같이 교량점검대가 설치될 교각(P) 상단부의 단면형태에 원형 교각의 기둥형상이 상방으로 연장되어서, 중앙부에 일정길이의 원호면(Pr)이 있는 경우에는 이 원호면과 접하는 발판(30r)의 평면형태는 내외측단의 형상이 부분적으로 교각의 원호면(Pr)과 동심원호상으로 형성시켜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여 개시되는 고정브라켓의 구성은 종래의 고정브라켓들과 비교할 때 수직의 고정부재에 매입보울트(Ba)와의 고정판재와 발판을 받쳐주는 수평의 받침부재들을 구비하는 구성요소면에서는 거의 동일하나, 고정판재가 발판을 받쳐주는 받침부재보다 상방에 위치시키는 구성이 특징인 바, 이러한 고정판재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의 고정판재(23)와 같이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는 구성이나 형상외에도 고정부재나 받침부재의 형태에 따라서는 수직의 고정부재에 매입보울트(Ba)와의 고정부를 직접 형성하거나, 2개의 수직 고정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들간을 연결하는 부재에 고정부를 형성하여서도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형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구성은 반드시 상기 설명한 일 에의 양중식 시공방법에 의해서만 시공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종래의 순차공정식에 의한 시공 및 교각의 시공방법 및 매입보울트의 설치방법에 따라서는 일부 공정이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교각의 설계,시공단계부터 본 고안에 의한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구성으로 시설설계가 반영될 때에는, 설계된 교량점검대의 고정브라켓들이 고정될 소정의 위치에 맞추어 교각을 콘크리트 타설할 때 거푸집에 미리 매입보울트들을 설치하여 교각과 일체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교각의 시공완료 후에 조립식 교량점검대의 시설설계가 결정되었거나, 기 설치된 교각에 신규로 점검대를 설치할 때나 교체설치시에는 종래의 순차공정식 시공방법으로 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식 교량점검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그 구성요소가 고정브라켓, 미끄럼방지돌기와 배수구를 갖는 단판으로 되어 고정브라켓에 조립되는 조립형 발판 및 조립형 발판들의 외측상단에 낙하방지대와 안전난간을 조립하는 구성으로 형성되므로서,
종래의 다른 종류의 조립형 고정식 교량점검대와 비교하여, 구성요소 수량면에서 대폭 감소되고,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조립공수도 대폭 감소되고 용이하므로, 부품과 시공사양의 규격화 및 표준화를 더욱 용이하고 간편하게 하며, 현장 조립 시공공수를 대폭 감소시켜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아울러 유지보수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는 종래의 고정식 교량점검대들에서 전혀 개시되지 않았던 낙하방지대의 구성과, 발판에 미끄럼방지돌기와 배수구를 포함한 강판재 플레이트로 구성하므로서, 작업자가 점검대에서 점검,보수 작업할 때에 작업도구나 부자재의 낙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점검대 하방을 볼수 없어서 공포감을 줄여주면서도 미끄럼방지돌기들에 의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이고 배수구에 의하여서는 빗물이나 눈등의 고임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발판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3)

  1. 교각의 상단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매입보울트에 의해 고정되는 수개의 고정브라켓들과, 이 수개의 고정브라켓들에 받쳐져 교각 상단의 둘레를 따라서 고정클램프들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고정되는 대형 규격화된 단판형태의 발판들과, 상기 발판들을 서로 간에 결합하는 측면연결부재들과, 규격품으로 단품화되어 상기 발판의 상면 외측단에 조립식으로 고정되는 안전난간들과, 상기 발판의 내,외측단 상면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낙하방지대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교량점검대.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식 교량점검대의 구성은, 교각(P)의 상단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매입식 보울트에 의해 고정되는 수개의 고정브라켓(20)들과, 상기 수개의 고정브라켓(20)들 간에서 받침부재(22)의 상단에 하단이 고정클램프(38)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발판(30)들과, 상기 발판(30)들의 전후방 측단에서 서로 간에 결합하는 측면연결부재(37)들과, 상기 발판(30)의 외측단에 직립되게 조립식으로 고정되는 안전난간(40)과 낙하방지대(50)를 구비한 고정식 교량점검대 (1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고정식 교량점검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낙하방지대의 구성은, 일정 길이를 갖고 L 형 단면의 수평판(51)와 수직판(52)이 일정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판(30)의 상판(31)의 내측단과 외측단에서 수직부재(32)의 외면과 동일면으로 위치되게 수평판(51)을 내측으로 위치시켜서 고정되는 낙하방지대(5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고정식 교량점검대.
KR2020000005907U 2000-02-29 2000-03-03 고정식 교량점검대 KR200191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907U KR200191454Y1 (ko) 2000-02-29 2000-03-03 고정식 교량점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967A KR20000024672A (ko) 2000-02-29 2000-02-29 고정식 교량점검대
KR2020000005907U KR200191454Y1 (ko) 2000-02-29 2000-03-03 고정식 교량점검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967A Division KR20000024672A (ko) 2000-02-29 2000-02-29 고정식 교량점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454Y1 true KR200191454Y1 (ko) 2000-08-16

Family

ID=2663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907U KR200191454Y1 (ko) 2000-02-29 2000-03-03 고정식 교량점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45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501B1 (ko) 2009-07-10 2010-03-23 (주) 태평양지질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52610B1 (ko) 2009-07-10 2010-04-15 (주) 태평양지질 교량용 확장 인도
KR102210981B1 (ko) 2020-08-24 2021-02-03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교량용 점검로
KR102417022B1 (ko) 2021-10-01 2022-07-05 신준철 교량 점검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501B1 (ko) 2009-07-10 2010-03-23 (주) 태평양지질 옹벽용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52610B1 (ko) 2009-07-10 2010-04-15 (주) 태평양지질 교량용 확장 인도
KR102210981B1 (ko) 2020-08-24 2021-02-03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교량용 점검로
KR102271570B1 (ko) 2020-08-24 2021-07-01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교량용 점검로
KR102417022B1 (ko) 2021-10-01 2022-07-05 신준철 교량 점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47471B1 (en) Bridge platform
US6715729B2 (en) Overhanging form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200191454Y1 (ko) 고정식 교량점검대
KR101168205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및 그 시공 방법
US20080250579A1 (en) Modular Support Catch System
KR100381724B1 (ko) 교각 점검대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20000024672A (ko) 고정식 교량점검대
KR20000036274A (ko) 조립식 교량점검대 및 그 시공방법
KR102210981B1 (ko) 교량용 점검로
KR200404035Y1 (ko) 고정식 교량 점검대와 이에 사용되는 발판 고정틀
KR200191453Y1 (ko) 교량점검대용 점검발판
KR100469638B1 (ko) 피.에스.씨-빔 교량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
KR200340325Y1 (ko) 교량점검대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20060116405A (ko) 레일방식 교량 슬라브 매달림 비계설치및 해체방법
KR20070099375A (ko) 돌출 리브를 이용한 교량 점검통로 결합구조
KR100526996B1 (ko) 강봉을 이용하여 조립한 조립식 교량 점검대 및 이를이용한 설치방법
US20080017840A1 (en) Safety rail
KR20000024671A (ko) 교량점검대용 점검발판
KR200298061Y1 (ko)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KR200397402Y1 (ko) 교량시설물 점검용 지주대
KR20060128805A (ko) 교량 상판용 피씨구조체 및 교량 상판용 피씨구조체를이용한 교량 상판의 시공방법
KR102316060B1 (ko) 교각에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구조를 갖는 교량점검대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