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385B1 - 적외선 센서 스위치 - Google Patents

적외선 센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385B1
KR100999385B1 KR1020080116155A KR20080116155A KR100999385B1 KR 100999385 B1 KR100999385 B1 KR 100999385B1 KR 1020080116155 A KR1020080116155 A KR 1020080116155A KR 20080116155 A KR20080116155 A KR 20080116155A KR 100999385 B1 KR100999385 B1 KR 100999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sensor
printed circuit
housing
circuit board
wi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717A (ko
Inventor
이치로 도요다
다쓰야 아베
도시유키 다키이
치-웨이 로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일렉트릭 워크스 (일렉트리컬 컨스트럭션 마테리얼즈) 타이완 컴퍼니 리미티드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30337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566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303381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25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303380A external-priority patent/JP4456629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일렉트릭 워크스 (일렉트리컬 컨스트럭션 마테리얼즈) 타이완 컴퍼니 리미티드,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일렉트릭 워크스 (일렉트리컬 컨스트럭션 마테리얼즈) 타이완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5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12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 G01V8/14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using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창을 가지는 하우징, 스위치 요소,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 적외선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중공 코어 및 매립 단자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 코어는, 상기 스위치 요소, 상기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제어부가 내부에 놓여지고, 상기 창을 자기 자신의 정면부에 가진다. 상기 매립 단자 커버는, 상기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가 내부에 놓여지고, 상기 중공 코어의 후면부의 일부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적외선 센서 스위치{INFRARED SENSOR SWITCH}
본 발명은 적외선 센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2005년 5월 26일 공개된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5-135612는, 천장에 장착되는 적외선 센서 부착 자동 스위치를 개시한다. 이 스위치는, 하우징을 구성하는 보디 및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제1 프린트 회로판, 제2 프린트 회로판 및 렌즈 블록을 포함하고, 이들은, 상기 하우징, 특히 상기 커버 내에 놓여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위치는, 단자부 및 릴레이를 포함하고, 이들은 제1 프린트 회로판에 탑재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적외선 센서[초전 센서(pyroelectric sensor)] 등을 포함하고, 이들은 제2 프린트 회로판에 탑재된다.
상기 적외선 센서 부착 자동 스위치가 천장에 장착될 때, 커버가 천장에 형성된 매립 구멍 내에 삽입되고, 보디의 후면의 외주측이 천장과 접촉한다. 이 스위치에서는, 적외선 센서가 제2 프린트 회로판에 탑재되므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적외선 센서 부착 자동 스위치에서는, 제1 프린트 회로판, 제2 프린트 회로판 및 렌즈 블록이 상기 커버 내에 놓여지므로, 상기 커버의 높이가 더 높아진다. 즉, 천장의 매립 구멍으로의 상기 커버의 삽입 길이가 보다 길어진다. 그러므로, 스위치 박스가 천장의 매립 구멍 내에 고정되어 있으면, 상기 커버의 정상 단부가 스위치 박스에 닿으므로, 상기 스위치를 천장에 장착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일본국 특허 번호 3503669에 기재된 장치도, 그 정상 단부가 스위치 박스에 닿으므로, 상기 장치를 천장에 장착할 수 없다. 2003년 10월 24일 공개된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3-303535는, 박스 커버를 제안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박스 커버에서는, 천장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가 길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 박스가 천장의 매립 구멍 내에 고정되어 있어도, 천장에 매립하여 장착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하우징, 하나 이상의 스위치 요소,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 적외선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창을 가진다.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 요소는 상기 하우징 내에 놓여진다. 상기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는 상기 하우징 내에 놓여진다. 상기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는 상기 하우징 내에 놓여지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 요소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하우징 내에 놓여지고, 상기 창을 통하여 감시 영역으로부터의 적외광을 측정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놓여지고,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 요소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서, 상기 하우징은 중공 코어 및 매립 단자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 코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 요소, 상기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제어부가 내부에 놓여지고, 상기 창을 자기 자신의 정면부에 가진다. 상기 매립 단자 커버는, 상기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가 내부에 놓여지고, 상기 중공 코어의 후면부의 일부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가 천장에 장착될 때, 상기 중공 코어의 후면부의 일부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매립 단자 커버가, 천장에 형성된 매립 구멍 내에 삽입되고, 상기 중공 코어의 후면부의 나머지 부분이, 천장과 접촉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 요소, 상기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중공 코어 내에 놓여지고, 상기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가 상기 매립 단자 커버 내에 놓여진다. 그러므로, 천장의 매립 구멍으로의 상기 매립 단자 커버의 삽입 길이를, 종래의 적외선 센서 부착 자동 스위치에 비해 보다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스위치 박스가 천장의 매립 구멍 내에 고정되어 있어도,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천장에 매립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매립 단자 커버는, 상기 중공 코어의 후면부의 일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매립 단자 커버의 상기 복수의 측면부의 하나는, 상기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에 대응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가 천장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매립 단자 커버의 개구가 수평 방향을 향한다. 그러므로, 먼지 및 물방울 등이 상기 매립 단자 커버의 개구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중공 코어에는, 상기 적외선 센서가 상기 중공 코어 내의 후부로부터 격리되도록, 상기 적외선 센서가 내부에 놓여지는 복수의 방벽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의 매립 구멍으로부터 상기 매립 단자 커버 내로 기류가 발생해도, 상기 기류가 상기 적외선 센서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적외선 센서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류는, 최근의 주택의 고기밀성에 기인하여, 창 또는 도어를 개폐할 때 발생할 수 있고, 또한 공기 조절 기기에 의한 천장 공간과 실내 공간 사이의 온도차에 기인하여 일어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제1 프린트 회로판 및 제2 프린트 회로판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 요소, 상기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는, 상기 제1 프린트 회로판에 탑재된다. 상기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프린트 회로판에 탑재된다. 상기 복수의 방벽은, 하나 이상의 격벽, 상기 제1 프린트 회로판 및 상기 제2 프린트 회로판을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은, 상기 적외선 센서의 주위의 일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중공 코어의 정면부의 내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상기 제1 프린트 회로판은, 상기 적외선 센서의 주위의 나머지 부분을 에워싸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 프린트 회로판은,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의 단면에 탑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프린트 회로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이, 상기 적외선 센서의 주위 모두를 둘러싸므로, 격벽 만으로 상기 적외선 센서의 주위의 모두를 둘러싸는 구조에 비해, 제1 프린트 회로판 분만큼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렌즈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블록은, 렌즈, 유지 프레임 및 가압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는, 상기 창 의 시야의 일부로부터의 적외광을 상기 적외선 센서의 센서면 상에 집광하여, 상기 감시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렌즈는, 상기 유지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유지 프레임은, 자기 자신의 양쪽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복수의 중심 축을 가진다. 상기 가압 스프링은,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유지 프레임을 상기 창 쪽으로 가압한다. 상기 창은,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 내에서의 상기 중공 코어의 정면부에 형성된다. 상기 중공 코어의 정면부에는, 상기 렌즈 블록이 상기 창의 축 주위에 회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추축 주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유지 프레임의 복수의 추축을 지지하는 창틀이 형성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은, 상기 렌즈 블록이 복수의 간극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렌즈 블록을 둘러싼다. 상기 복수의 간극의 각각의 크기는, 20mm×3mm 이상이며, 상기 제2 프린트 회로판이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을 덮을 수 있는 면적 이하인 범위 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람의 손끝을 각각의 간극에 넣을 수 있으므로, 상기 렌즈 블록을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 내에 용이하게 내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정면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정면 커버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정면부를 덮는다. 상기 중공 코어는, 원형의 정면단과, 원형의 후면단과, 자기 자신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링을 포함하는 주위 측부와 상기 정면단 및 후면단을 관통하는 복수의 나사 삽입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정면 커버는, 상기 창에 대응하는 외창을 가지는 원 모양의 베이스부와 복수의 갈고리부를 가지는 주위 측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갈고리부는, 상기 정면 커버의 주위 측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 코어의 돌출 링과 걸어 맞추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정면부를 상기 정면 커버로 덮을 때, 상기 정면 커버를 상기 하우징의 정면부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로 위치를 맞출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상기 정면 커버를 상기 하우징의 정면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를 덮는다.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매립 단자 커버의 정상 단부가 끼워 넣어지는 구멍을 포함하는 원 모양의 베이스부와, 주위 측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이, 상기 후면 커버에서의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주위 측부 중에서 적어도 상기 주위 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립 구멍이 천장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상기 후면 커버의 베이스부를 천장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천장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기술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 및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제1 프린트 회로 조립 품(printed-circult assembly)(1), 제2 프린트 회로 조립품(printed-circult assembly)(2), 렌즈 블록(3) 및 하우징(4)을 포함한다. 제1 플린트 회로 조림품(1), 제2 프린트 회로 조립품(2) 및 렌즈 블록(3)은, 원형의 창(51)을 가지는 하우징(4) 내에 놓여진다. 또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정면 커버(외장 커버)(7)를 포함하며, 이는 탄성 변형 가능하며, 하우징(1)의 정면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도 3, 도 5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프린트 회로 조립품(1)은, "T"형의 제1 프린트 회로판(10)과 제1 프린트 회로판(10)에 탑재되는 각종 전자 부품을 포함한다. 또한, 제1 프린트 회로 조립품(1)은, 플랫 케이블(FC)을 통하여 제2 프린트 회로 조립품(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프린트 회로 조립품(2)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받는다.
제1 프린트 회로 조립품(1)은, 단자부(1A)와 스위치부(1B)로 크게 나눌 수 있고, 단자부(1A)는 단자 블록(11)만을 포함한다. 제1 프린트 회로판(10)은, 예를 들면 양면 기판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블록(11)은, 제1 단자 세트(12) 및 제2 단자 세트(13)를 포함하고, 이들은, 단자 케이스(14) 내에 놓여진다. 도 6의 예에서는, 제1 단자 세트(12)는, 2개의 단자(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111), 2개의 록 스프링(lock springs)(112) 및 해제 버튼(113)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단자 세트(13)는, 2개의 단자(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111), 2개의 록 스프링(112) 및 해제 버튼(113)을 포함한다. 제1 단자 세트와 제2 단자 세트 중의 한쪽은, 전 선을 통하여 전원(상용 교류 전원)과 접속되는 한편, 다른쪽은 전선을 통하여 부하(예를 들면, 조명기구 또는 환기팬 등)와 접속된다. 한 조의 단자(111) 및 록 스프링(112)은 속결 단자(quick connection terminal)를 구성하고, 이 단자(111)의 리드(111a)는 제1 프린트 회로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해제 버튼(113)은 합성 수지 성형품이다.
도 5의 (A), 도 5의 (B)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케이스(14)는, 직육면체형의 합성 수지 성형품이며, 베이스부(15)와, 4개의 측면부(161∼164)와, 2개의 오목부(171 및 172)를 만드는 격벽(17)과, 2개의 오목부(171 및 172)의 양쪽으로부터 단자 케이스(14)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2개의 플랜지(18)를 포함한다. 제1 단자 세트(12) 및 제2 단자 세트(13)는, 각각 오목부(171 및 172) 내에 놓여진다.
베이스부(15)는, 돌기(150), 4개의 전선 삽입 구멍(151) 및 2개의 해제 구멍(152)을 포함한다. 돌기(150)는, 베이스부(15)에서의 격벽(17)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4개의 전선 삽입 구멍(151)은, 각각 오목부(171 및 172) 중의 제1 단자 세트 및 제2 단자 세트의 4개의 속결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해제 구멍(152)은, 각각 오목부(171 및 172) 중의 2개의 해제 버튼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의 도체를 전선 삽입 구멍(151)에 삽입하면, 상기 도체는, 대응하는 록 스프링(112)의 록단(112a)으로, 대응하는 단자(111)의 내면(접촉면)에 가압된다. 이 경우, 당기는 힘이 상기 전선에 더해지면, 록단(112a)의 에지가 상기 도체에 파고들어, 상기 전선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예를 들 면,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지그의 선단을 해제 구멍(152)에 삽입하면, 대응하는 해제 버튼(113)이, 대응하는 2개의 록 스프링(112)의 록단(112a)을, 각각 대응하는 2개의 단자(111)의 접촉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에 따라, 대응하는 2개의 전선을 뽑아낼 수 있다.
각 플랜지(18)는, 돌기부(181) 및 고정 구멍(182)을 포함하고, 돌기부(181)는 오목부(171 및 172)의 개구 측에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프린트 회로판(10)은, 2개의 플랜지(18)의 돌기부(181)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위치 결정 구멍(100)과, 2개의 플랜지(18)의 고정 구멍(182)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고정 구멍(101)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스위치부(1B)를 조립한 후, 단자부(1A)를 조립할 때, 먼저 2개의 돌기부(181)가 각각 2개의 위치 결정 구멍(100)에 삽입되어, 단자 블록(11)이 제1 프린트 회로판(10)의 소정 위치에 탑재된다. 이 때, 각 리드(111a)는, 제1 프린트 회로판(10)의 구멍에 삽입된다. 이어서, 리벳(183)의 선단을 한 조의 고정 구멍(182 및 101)에 삽입하고, 그 선단을 두드려서 평평하게 하고, 다른 리벳(183)의 선단을 다른 조의 고정 구멍(182 및 101)에 삽입하고, 그 선단을 두드려서 평평하게 한다. 이어서, 단자 블록(11)의 각 리드(111a)를, 예를 들면, 땜납으로 제1 프린트 회로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에 따라, 단자부(1A)의 조립이 완료한다.
단자부(1A)보다 큰 스위치부(1B)는, 직류 전원 및 릴레이(191) 등을 포함한다. 단자 블록(11)은 제1 프린트 회로판(10)의 한쪽 면에 탑재되고, 릴레이(191) 등은 제1 프린트 회로판(10)의 다른쪽 면에 탑재된다. 상기 직류 전원은, 상기 전원과 접속되어 직류 전력을 각 회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직류 전원은, 정류기, 커패시터 및 스위칭 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릴레이(191)는, 제1 단자 세트(12)와 제2 단자 세트(13)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접점(스위치 요소)을 포함한다. 즉,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접점을 통하여,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일례로서, 릴레이(191)는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접점을 포함해도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프린트 회로 조립품(2)은, 제2 프린트 회로판(20)과 제2 프린트 회로판(20)에 탑재되는 각종 전자 부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2 프린트 회로 조립품(2)은, 제2 프린트 회로판(20)의 한쪽 면(탑재면)에 탑재되는 적외선 센서(22), 볼륨(23) 및 (24) 등과, 제2 프린트 회로판(20)의 탑재면 또는 다른쪽 면(납땜 면)에 탑재되는 제어부(21)를 포함한다. 제2 프린트 회로판(20)은 2개의 "U"형 절결(200) 및 보스 구멍(201)을 가진다.
적외선 센서(22)는, 예를 들면 초전 센서(pyroelectric sensor)이며, 창(51)을 통하여 감시 영역으로부터의 적외광을 측정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적외선 센서(22)는, 외부로부터의 기류 등에 기인하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 커버(221)로 덮히고, 이것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제품이며, 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적외선 센서는, 센서 커버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볼륨(23 및 24) 중의 한쪽은, 지연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다른 쪽은, 적외선 센서(22)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각각의 볼륨(23 및 24)은, 예를 들면, 가변 저항기 또는 다접점 스위치 등이다.
제어부(21)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21)는, 적외선 센서(2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릴레이(191)의 상기 하나 이상의 접점을 온 또는 오프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적외선 센서(22)로부터의 신호가 지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어부(21)는 릴레이(191)를 온한다. 또한, 적외선 센서(22)로부터의 신호가 임계치를 밑돌고, 이어서, 지연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21)는 릴레이(191)를 오프한다.
도 2, 도 3, 도 9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블록(3)은, 렌즈(31), 유지 프레임(32), 가압 스프링(33) 및 후드(34)(도 13을 참조)를 포함한다. 렌즈(31)는, 중공의 반구 형상의 집광 렌즈이며, 창(51)의 시야의 일부로부터의 적외광을 적외선 센서(22)의 센서면 상에 집광하여, 감시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렌즈(31)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등의 다초점 렌즈(multifocal lens)이며, 수지 성형품이다.
유지 프레임(32)은, 렌즈(31)의 주위 측부에 대응하는 통 모양을 가지며, 2개의 추축(321)을 가진다. 렌즈(31)는, 유지 프레임(32)의 내부에 끼워져서, 유지 프레임(32)에 고정된다. 또한, 유지 프레임(32)의 최대 외경은, 창(51)의 내경보다 크다. 2개의 추축(321)은, 유지 프레임(32)의 내부에 고정된 반구 형상의 렌즈(31)의 초점(예를 들면, 중심)이 2개의 추축(321)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유지 프레임(32)의 양쪽으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일례로서, 렌즈(31)는, 요철 걸어맞춤 등의 수단에 의해, 유지 프레임(32)의 내부에 고정되어도 된다.
가압 스프링(33)은 복수의 스프링 편(331)을 포함하고, 각 스프링편(331)이 하우징(4) 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유지 프레임(32)을 창(51) 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가압 스프링(33)은, 금속판의 펀칭 및 벤딩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평링이며, 복수의 슬릿(가늘고 긴 컷)이 주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압 스프링(33)은 자신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프링편(331)은, 가압 스프링(33)의 외주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다. 가압 스프링(33)은 유지 프레임(32)의 주위 측부에 끼워져서 유지 프레임(32)에 고정된다.
후드(34)는, 유지 프레임(32)의 앞쪽 주위에 착탈 가능하며, 적외광을 차단하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13의 예에서는, 후드(34)는, 링형이며, 자기 자신의 양쪽 돌기(341)가 각각 유지 프레임(32)의 앞 에지의 2개의 오목부(322)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유지 프레임(32)에 장착된다. 즉, 후드(34)는, 적외선 센서(22)의 감시 영역의 범위를 좁힐 때 유지 프레임(32)에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4)은 중공 코어 및 매립 단자 커버(60)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 코어는, 스위치부(1B), 제2 프린트 회로 조립품(2) 및 렌즈 블록(3)이 실질적으로 내부에 놓여지고, 창(51)을 자기 자신의 정면부에 가진다. 매립 단자 커버(60)는, 단자부(1A)가 내부에 놓여지고, 상기 중공 코어의 후면부의 일부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하우징(4)은, 평평한 원통 모양이며, 하우징 본체(5) 및 사전에 형성된 베이스부(6)로 구성된다. 사전에 형성된 베이스부(6)는 매립 단자 커버(60) 및 베이스부(원형의 후면단)(61)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 본체(5) 및 사전에 형성된 베이스부(6)의 베이스부(61)가 상기 중공 코어를 구성한다. 하우징 본체(5)는, 합성 수지 성형품이며, 원형의 정면단(front end)(50)과 평평한 원통 모양의 주위 측부(59)를 일체로 가진다.
정면단(50)은, 중심에 형성된 창(51)과, 창(51)의 양측에 형성된 2개의 타원구멍(나사 삽입 구멍)(501)과, 볼륨(23 및 24)의 노브가 각각 돌출된 2개의 원형의 노브 구멍(502 및 503)을 포함한다. 본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예를 들면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장착 나사가 각각 2개의 타원 구멍(501)에 삽입되고, 2개의 장착 나사 헤드부는 각각 2개의 타원 구멍(501)의 오목부에 수용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위 측부(59)는, 자기 자신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링(590)과, 자기 자신의 내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591)와, 3개의 단면(593) 및 3개의 경사면(594)을 자기 자신의 내주면에 형성하는 오목부(592)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링(590)은 전방 측에 형성된 원호형의 경사면을 가진다.
도 2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또한 하우징 본체(5)는, "C"형의 복수의 격벽(52), 유지 기둥(53), 창틀(54), 2개의 타원통(55), 보스(56), 복수의 끼움 돌출편(571), 복수의 맞댐 돌출편(572), 맞댐 돌출편(573), 복수의 맞댐 돌출편(574) 및 3개의 유지 스프링 편(58)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격벽은, 예를 들면, 원호형의 단면을 가지는 하나의 주위벽일 수도 있다. 3개의 유지 스프링 편(58)은, 각각 주위 측부(59)의 3개의 경사면(594)의 내측에 형성되고, 120° 간격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격벽(52)은, 적외선 센서(22)의 주위의 일부를 둘러싸고, 렌즈 블록(3)이 2개의 간극(504) 사이에 배치되도록, 정면단(50)의 내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렌즈 블록(3)은, 렌즈(31) 측이 창(51)을 막도록 복수의 격벽(52) 내에 내장된다.
또한, 복수의 격벽(52), 제1 프린트 회로판(10) 및 제2 프린트 회로판(20)은 복수의 방벽을 구성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프린트 회로판(20)의 탑재면을 전방으로 향하게 하여 제2 프린트 회로판(20)을 복수의 격벽(52)의 단면에 탑재할 때, 적외선 센서(22)는, 복수의 격벽(52) 내에 놓여지고, 하우징(4) 내의 후부(상부)로부터 격리된다.
또한, 복수의 격벽(52)이 적외선 센서(22)의 주위의 일부를 둘러싸는 한편, 제1 프린트 회로판(10)이 적외선 센서(22)의 주위의 나머지 부분을 에워싸도록 복수의 격벽(52)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2 프린트 회로판(20)의 하나의 둘레부는 제1 프린트 회로판(10)의 면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적외선 센서(22)를 하우징(4) 내의 후부로부터 완전히 격리할 수 있으므로, 천장의 매립 구멍으로부터 매립 단자 커버(60) 내로 기류가 발생해도, 상기 기류가 적외선 센서(2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외선 센서(22)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린트 회로판(10) 및 복수의 격벽(52)이, 적외선 센서(22)의 모든 주위를 둘러싸므로, 복수의 격벽 만으로 적외선 센서(22)의 모든 주위를 둘러싸는 구조 에 비해, 제1 프린트 회로판(10) 분만큼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22)의 주위의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는 부품이 불필요하므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제1 프린트 회로판(10)을 정면단(50)과 평행하게 배치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먼지 및 물 물방울 등이 제1 프린트 회로판(10)의 면에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프린트 회로판에 모든 전자 부품을 탑재하는 구조에 비해,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하우징(4)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린트 회로판(20)의 상기 둘레부는, 제1 프린트 회로 조립품(1)에서의 스위치부(1B)의 납땜면과 접촉하므로, 스위치부(1B)의 탑재면과 접촉하는 구조에 비해, 스위치부(1B)의 각 부품을 제2 프린트 회로 조립품(2)의 각 부품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부(1B)로부터 제2 프린트 회로 조립품(2)의 각 부품에 대한 전자기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격벽(52)은 가압 스프링(33)의 3개의 스프링편(331)으로 각각 걸어 맞추어지는 3개의 오목부(520)를 가지는 한편, 유지 기둥(53)은 가압 스프링(33)의 나머지 스프링 편(331)으로 걸어 맞추어지는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이와 같이, 가압 스프링(33)의 복수의 스프링편(331)이, 각각 가압 스프링(33) 및 유지 기둥(53)의 복수의 오목부 내의 후단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렌즈 블록(3)[유지 프레임(32)]이 창(51) 측으로 가압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54)은, 창(51)의 주위에서의 정면단(50)의 내면에 형성되고, 렌즈 블록(3)이 창(51)의 축 주위에 회전할 수 있고(도 2의 "A"), 또한 2개의 추축(321) 주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도 2의 "B"), 유지 프레 임(32)의 2개의 추축(321)을 지지한다. 특히, 창틀(54)의 링형의 지지면이 모두 평면이므로, 렌즈 블록(3)은 창(51)의 축 주위에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창(51)의 내경보다 큰 유지 프레임(32)이 가압 스프링(33)으로 창(51) 측으로 가압되므로, 마찰력이 유지 프레임(32)의 외주면과 창틀(54) 사이에 생긴다. 이에 따라, 렌즈 블록(3)은 창(51)의 시야의 일부로부터의 적외광을 적외선 센서(22)의 센서면 상에 집광하여, 임의의 감시 영역을 결정하도록 유지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타원통(55)은 각각 정면단(50)의 2개의 타원 구멍(501)을 형성한다. 각각의 타원통(55)은, 복수의 격벽(52)과 함께 제2 프린트 회로판(20)을 지지하는 시트(551)와, 이 시트(55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제2 프린트 회로판(20)의 대응하는 절결(200)에 끼워 넣어지는 결합통(552)을 일체로 가진다. 2개의 결합통(552)은, 하우징 본체(5) 및 사전에 형성된 베이스부(6)의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또한 제2 프린트 회로판(20)의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보스(56)는, 정면단(50)의 내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나사 구멍(560)을 포함한다. 보스(56)는, 제2 프린트 회로판(20)의 보스 구멍(201)에 삽입된다. 복수의 끼움 돌출편(571)은, 정면단(50)의 내면으로부터 후방에 돌출되어, 적외선 센서(22) 주위의 상기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는 제1 프린트 회로판(10)의 앞쪽 주위의 양단을 각각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프린트 회로판(10)의 앞 에지의 각 일단은, 2개의 끼움 돌출편(571)으로 유지된다. 각 조의 2개의 끼움 돌출편(571)은, 제각기 내부 선단에 경사면을 가지고, 이에 따라, 제1 프린트 회로판(10)의 앞 에지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 1,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맞댐 돌출편(572)은, 적외선 센서(22)의 주위의 상기 나머지 부분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고, 또한 정면단(50)의 내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맞댐 돌출편(573)은, 적외선 센서(22)의 상기 주위의 일부와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고, 또한 정면단(50)의 내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맞댐 돌출편(574)은, 적외선 센서(22)의 상기 주위의 일부와 맞댐 돌출편(573)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정면단(50)의 내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맞댐 돌출편(574)은, 2개의 노브 구멍(502 및 503)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이 2개의 맞댐 돌출편(574)은, 복수의 격벽(52), 유지 기둥(53) 및 2개의 타원통(55)의 시트(551)와 함께 제2 프린트 회로판(20)을 지지한다.
요컨대, 복수의 격벽(52), 유지 기둥(53), 2개의 시트(551) 및 2개의 맞댐 돌출편(574)은, 동일한 높이로 제2 프린트 회로판(20)을 지지하여, 적외선 센서(22)의 센서 면이 렌즈 블록의 초점에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2개의 결합통(552) 및 보스(56)는, 제2 프린트 회로판(20)을 지지하여, 적외선 센서(22)의 센서 면의 중심을 렌즈 블록(3)의 초점의 위치에 맞추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렌즈 블록(3)이 회전되어도, 렌즈 블록(3)의 초점은, 적외선 센서(22)의 센서 면의 중심에 일치한다.
3개의 유지 스프링편(58)은, 하우징 본체(5)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 능하며, 120° 간격으로, 정면단(50)의 내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유지 스프링편(58)은, 자기 자신의 선단에, 하우징 본체(5)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갈고리부(예를 들면, 훅)(581)를 가진다. 3개의 유지 스프링 편(58) 중에서 하나는, 복수의 맞댐 돌출편(572) 및 주위 측부(59)로 둘러싸인다. 한편, 나머지 2개의 유지 스프링 편(58) 각각은, 3개의 맞댐 돌출편(575) 및 주위 측부(59)로 둘러싸인다. 각각의 걸림 갈고리부는, 단면이 삼각형이며, 선단에 경사면을 가진다.
도 1, 도 2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에 형성된 베이스부(6)는, 합성 수지 성형품이며, 매립 단자 커버(60)와, 하우징 본체(5)의 개구에 끼워 넣어지는 베이스부(61)를 일체로 가진다. 예를 들면, 매립 단자 커버(60)는,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공 코어의 후면부, 즉 베이스부(61)의 후면부의 일부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4개의 측면부(601)와, 직사각형의 정상 단부(602)를 포함한다. 4개의 측면부(601) 중에서 하나는, 단자부(1A)에서의 단자 케이스(14)의 베이스부(15) 측을 개방하는 개구(600)를 가진다. 이에 따라, 적외선 센서 스위치가, 예를 들면 천장에 장착되었을 때, 4개의 전선 삽입 구멍(151)을 개방하는 개구(600)가 수평 방향으로 향한다. 그러므로, 4개의 전선 삽입 구멍을 개방하는 개구가 위를 향하는 구조에 비해, 먼지 및 물방울 등이 전선 삽입 구멍(151)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길이 방향의 2개의 측면부(601) 중에서 개구(600)를 가지지 않는 측면부(601)의 양단은, 각각 절결을 가진다.
베이스부(61)는, 베이스부(61)의 정면으로부터 전방에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외주부(62)를 가지는 원 모양이며, 3개의 분리 구멍(610) 및 절결(611 및 612)을 가진다.
절결(611)은 개구(600)의 앞쪽 주위 중앙에 대응하는 베이스부(61)의 위치에 형성되고, 절결(612)은 절결(611)과 대향하는 베이스부(61)의 외주 주위에 형성된다. 절결(611)은 단자 케이스(14)의 돌기(150)와 걸어 맞추어지는 한편, 절결(612)은 하우징 본체(5)의 돌출편(591)과 걸어 맞추어진다. 이에 따라, 사전에 형성된 베이스부(6)가, 하우징 본체(5)의 지정 위치에 임시 고정된다. 또한, 4개의 전선 삽입 구멍(151)이 개구(600)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제1 프린트 회로 조립품(1)이 하우징(4) 내에 유지된다. 도 1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61)의 외주부(62)의 단면이, 주위 측부(59)의 내주면에서의 3개의 단면(593)과 맞닿음으로써, 베이스부(61)의 후면은 하우징 본체(5)의 개구 주위와 면일치로 된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61)는, 2개의 타원통(63), 맞댐 돌출편(641), 복수의 끼움 돌출편(642), 복수의 맞댐 돌출편(65), 복수의 맞댄 돌출편(66) 및 보스(67)를 가진다. 그리고, 복수의 끼움 돌출편(642)은 없어도 된다. 또한, 베이스부(61)는 복수의 보강 리브를 가진다.
도 1, 도 3,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타원통(63)은 타원구멍(630)(나사 삽입 구멍)을 가지고, 2개의 타원통(63)은, 하우징 본체(5)의 2개의 타원통(55)의 결합통(552)이 각각 2개의 타원통(63) 내에 삽입되도록, 베이스부(61)의 정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프린트 회로판(20)은 2개의 타원 통(55)의 시트(551)와 2개의 타원통(63)의 단면 사이에 고정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댐 돌출편(641)은, 베이스부(61)의 정면으로부터 전방에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 본체(5)의 맞댐 돌출편(573)과 맞대어진다. 복수의 끼움 돌출편(642)은, 베이스부(61)의 정면으로부터 전방에 돌출되어, 제1 프린트 회로판(10)의 뒤쪽 주위의 양단을 각각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프린트 회로판(10)의 뒤쪽 주위의 각 일단은 2개의 끼움 돌출편(642)으로 유지된다. 각각의 끼움 돌출편(642)은 외주부(62)보다 전방으로 돌출한다. 각 조의 2개의 끼움 돌출편(642)은, 제각기 내부 선단에 경사면을 가지고, 이에 따라, 제1 프린트 회로판(10)의 뒤쪽 주위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1 프린트 회로판(10)은, 하우징 본체(5)의 정면단(50), 매립 단자 커버(60)의 정상 단부(602), 복수의 끼움 돌기(642), 하우징 본체(5)의 주위 측부(59) 및 매립 단자 커버(60)의 외주부(62)에서 고정된다.
도 1, 도 3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맞댐 돌출편(65)은, 베이스부(61)의 정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각각 하우징 본체(5)의 복수의 맞댐 돌출편(572)과 맞대어진다. 복수의 맞댐 돌출편(65) 중에서 하나의 맞댐 돌출편(65)(65A)은, 걸림 플랜지(651)를 가지고, 이것은, 복수의 맞댐 돌출편(572) 내의 유지 스프링편(58)의 걸림 갈고리부(581)로 걸어 맞추어진다. 걸림 갈고리부(581)와 걸림 플랜지(651)의 걸어맞춤은, 베이스부(61)의 대응하는 구멍(610)에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지그의 선단을 삽입하여, 맞댐 돌출편(65)의 선단을 내측으로 굽힘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면(594)이 유지 스프링 편(58)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응하는 외주부(62)가 하우징 본체(5) 내에 침입할 수 있고, 걸림 플랜지(651)를 걸림 갈고리부(581)로부터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6개)의 맞댐 돌출편(66)도, 나머지 2개의 유지 스프링편(58)을 둘러싸는 6개의 맞댐 돌출편(575)과 각각 맞닿도록 베이스부(61)의 정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한쪽의 3개의 맞댐 돌출편(66) 중에서 하나의 맞댐 돌출편(66)(66A)은 걸림 플랜지(661)를 가지고, 이것은, 나머지 2개의 유지 스프링편(58)의 한쪽 걸림 갈고리부(581)로 걸어 맞추어진다. 또한, 다른 쪽의 3개의 맞댐 돌출편(66) 중에서 하나의 맞댐 돌출편(66)(66A)도 걸림 플랜지(661)를 가지고, 이것은, 나머지 2개의 유지 스프링편(58)의 다른 쪽 걸림 갈고리부(581)로 걸어 맞추어진다. 따라서, 걸림 플랜지(651)를 걸림 갈고리부(581)에 걸어 맞추고, 또한 2개의 걸림 플랜지(661)를 각각 나머지 걸림 갈고리부(581)에 걸어맞춤으로써, 사전에 형성된 베이스부(6)를 하우징 본체(5)에 가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걸림 플랜지[예를 들면(651)]에는, 대응하는 유지 스프링편(58) 및 맞댐 돌출편(예를 들면, 572) 사이에 들어가는 위치 결정편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67)는, 관통 구멍(670)을 가지고, 베이스부(61)의 정면으로부터 전방에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보스(68)는 보스(56)에 대응하고, 관통 구멍(670)은 나사(400)의 헤드부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한부(671)를 가진다. 따라서, 나사(400)를 하우징 본체(5)에 가고정된 사전에 형 성된 베이스부(6)의 관통 구멍(670)에 삽입하고, 나사(400)를 체결하면, 사전에 형성된 베이스부(6)를 하우징 본체(5)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 커버(7)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성형품이며,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정면 커버(7)는, 창(51)에 대응하는 외창(701)을 가지는 원 모양의 베이스부(70)와, 복수(예를 들면, 3개)의 갈고리부(711)를 가지는 주위 측부(71)를 포함하고, 하우징(4)의 정면부를 덮는다. 복수의 갈고리부(711)는, 주위 측부(71)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하우징 본체(5)의 돌출 링(590)과 걸어 맞추어진다. 각 갈고리부(711)는, 예를 들면 반원형으로 형성된다[후술하는 도 25의 (B)를 참조]. 그리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갈고리부(711)는, 후방 측에 형성된 경사면(예를 들면, 원호형의 경사면)을 가져도 된다. 즉, 각 갈고리부(711)는, 전방 측에 형성된 원호형의 경사면을 가지는 돌출 링(590)을 용이하게 넘을 수 있는 한편, 돌출 링(590)을 타고 넘은 후의 각 갈고리부(711)는 돌출 링(590)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복수의 갈고리부(711)를 하우징 본체(5)의 돌출 링(590)에 걸어맞춤으로써, 정면 커버(7)를 하우징(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정면 커버(7)를 하우징(4)의 정면부에 대하여 지정된 각도로 위치를 맞출 필요가 없다. 또한, 하우징(4)의 정면부가 정면 커버(7)로 덮히므로, 볼륨(23 및 24)의 노브 및 2개의 타원 구멍(501) 등을 은폐할 수 있어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정면 커버(7)를 탄성 변형함으로써, 정면 커버(7)를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70)는, 외주부와 내주부가 전방에 돌출하는 경사를 가지고, 이에 따라, 볼륨(23 및 24)의 노브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부(70)의 내주부의 내부 에지가, 하우징 본체(5)의 창(51)에 가까워지므로, 외창(701)이 창(51)의 시야[열선 센서(22)의 감시 영역]를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예를 들면, 천장으로의 장착 스텝을 설명한다. 먼저, 2개의 전선(W) 중에서 한쪽의 2개의 도체를 각각 한 조의 전선 삽입 구멍(151)에 삽입하고, 다른 쪽의 2개의 도체를 각각 다른 조의 전선 삽입 구멍(151)에 삽입한다. 이어서, 매립 단자 커버(60)를 천장(C)의 매립 구멍(H)에 삽입하면서, 하우징(4)의 사전에 형성된 베이스부(6)를 천장에 접촉시키고, 2개의 장착 나사(401)를 각각 2개의 타원 구멍(501)에 삽입하여 체결한다. 그 후, 필요하다면, 후드(34)를 유지 프레임(32)에 장착하고, 이어서, 정면 커버(7)를 하우징 본체(5)에 장착한다. 이에 따라, 천장으로의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장착이 완료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프린트 회로 조립품(1)의 스위치부(1B), 제2 프린트 회로 조립품(2) 및 렌즈 블록(3)이, 상기 중공 코어[하우징 본체(5) 및 베이스부(61)] 내에 놓여지고, 천장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한편, 단자 블록(11)만을 포함하는 단자부(1A)는, 사전에 형성된 베이스부(6)의 매립 단자 커버(60) 내에 놓여지고, 천장의 매립 구멍 내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제1 프린트 회로 조립품 및 제2 프린트 회로 조립품이 천장의 매립 구멍 내에 삽입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소형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매립 단자 커버(60)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 과,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박스(90)가 매립 구멍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어도, 매립 단자 커버(60)를 스위치 박스(90) 내에 둘 수 있고, 2개의 장착 나사(401)를 각각 스위치 박스(90)의 2개의 고정편(900)의 나사 구멍(901)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3-303535의 장치에서는, 외장 플레이트가 사람 감지 센서의 플랜지부에 장착되므로, 외장 플레이트를 센서의 플랜지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외장 플레이트를 플랜지부에 장착하는 구조에서는, 외장 플레이트가, 불균일 등으로 플랜지부로부터 쉽게 벗겨진다. 또한, 만일 큰 진동 또는 충격이 천장 또는 장치 자체에 가해졌을 때, 외장 플레이트가 플랜지부로부터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종래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 구조에서는, 복수의 걸어맞춤 구멍(D)이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본체에 형성되고, 복수의 걸어맞춤 구멍(D)과 각각 걸어 맞추어지는 복수의 걸어맞춤 돌기(E)가 외장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16 및 도 17의 구조에서는, 외장 플레이트를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본체에 장착할 때, 외장 플레이트의 복수의 걸어맞춤 돌기(E)를 각각 본체의 복수의 걸어맞춤 구멍(D)의 위치에 맞추어야만 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정면 커버(7)의 복수의 갈고리부(711)가 하우징 본체(5)의 돌출 링(590)으로 걸어 맞추어지므로, 정면 커버(7)를 하우징 본체(5)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정면 커버(7)를 하우징 본체(5)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복수의 격벽(52) 내의 2개의 간극(504) 각각의 크기는 20mm× 3mm 이상이며, 제2 프린트 회로판(20)이 복수의 격벽(52)을 덮을 수 있는 면적 이하인 범위 내이다(도 18을 참조). 이와 같이, 2개의 간극(504)이 복수의 격벽(52) 내에 형성되므로, 적어도 사람의 손끝(예를 들면, 엄지 및 집게 손가락의 선단)을 각각 2개의 간극(504)에 넣을 수 있으므로, 렌즈 블록(3)을 복수의 격벽(52) 내에 용이하게 내장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적외선 센서 스위치를 나타낸다. 이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동일한 요소에는, 제1 실시예에 의해 나타낸 것과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제2 실시예의 특징에 따라,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예를 들면 매립 구멍이 없는 천장에 상기 스위치를 장착하기 위한 후면 커버(8)를 더 포함한다.
도 19 내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 커버(8)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성형품이며, 하우징(4)의 후면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후면 커버(8)는, 원 모양의 베이스부(81)와, 자기 자신의 내주면에 링형의 단면(860)을 형성하는 오목부(86)를 가지는 원통형의 주위 측부(85)를 포함하고, 매립 단자 커버(60)의 개구(600)에 접하는 관통 구멍(80)[도 25의 (A)를 참조]을, 베이스부(81)와 주위 측부(85) 사이의 모서리에 가진다. 그리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후면 커버의 관통 구멍은, 후면 커버의 주위 측부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후면 커버(8)가 관통공(80)을 주위 측부(85) 측에 가지므로, 천장의 매립 구멍의 유무에 관계없이, 전선을 관통공(80)에 삽입하여, 전선의 각 도체를 전선 삽입 구 멍(151)에 삽입할 수 있다.
베이스부(81)는, 매립 단자 커버(60)의 정상 단부(602)가 끼워 넣어지는 끼움구멍(810)과, 후면 커버(8)를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멍(811 및 812)과, 2개의 나사(800)로 후면 커버(8)를 하우징(4)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고정 보스(82)와, 2개의 나사(800)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83)를 가진다.
도 23, 도 24의 (A) 및 도 2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움 구멍(810)은, 매립 단자 커버(60)의 정상 단부(60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정상 단부(602)의 2개의 절결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절결을 가진다. 후면 커버(8)가 하우징(4)의 후면부를 덮을 때, 매립 단자 커버(60)의 정상 단부(602)는, 후면 커버(8)의 후면과 면일치로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4)의 후면부를 후면 커버(8)로 덮어도, 그 전체의 높이 치수는, 하우징(4)의 높이 치수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높이 치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구멍(811)은, 베이스부(8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원 구멍이며, 매립 단자 커버(60)의 개구(600) 측에 형성된다. 고정 구멍(812)은 원형 구멍이며, 끼움 구멍(810)의 2개의 절결의 일 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2개의 장착 나사(401)를 각각 고정 구멍(811 및 812)에 삽입하고, 2개의 장착 나사(401)를 체결하면, 후면 커버(8)를, 예를 들면 천장에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고정 구멍(811)이 타원 구멍이므로, 천장 등의 고정면에 대한 나사(401)의 체결 위치를, 고정 구멍(811)의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즉, 2개의 장착 나사(401)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0, 도 22, 도 25의 (A) 및 도 2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고정 보스(82)는, 베이스부(8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원통 모양을 가지며, 나사 구멍(820)을 가진다. 2개의 고정 보스(82)는, 각각 끼움 구멍(810)의 내측의 양단 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사전에 형성된 베이스부(6)의 베이스부(61)의 배면측에서, 각각의 타원 구멍(630)에는 고정 보스(82)에 한층 폭 넓게 대응하는 원형 오목부(631)가 형성되고, 각각의 원형 오목부(631)는 베이스부(61)의 중심 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4)의 후면부를 후면 커버(8)로 덮으면, 2개의 고정 보스(82)가 각각 하우징 본체(5)의 2개의 원형 오목부(631)에 삽입되고, 또한 하우징 본체(5)의 후부가 후면 커버(8) 내에 삽입되어, 주위 측부(59)의 단면이 후면 커버(8) 내의 단면(860)과 접촉한다[특히 도 20 및 도 25의 (B)를 참조]. 이에 따라, 후면 커버(8)가 하우징(4)의 지정 위치에 배치된다. 이어서, 2개의 나사(800)를 각각 2개의 타원 구멍(501)에 삽입하고, 2개의 나사(800)을 체결하면, 하우징(4)을 후면 커버(8)에 고정할 수 있다. 주위 측부(59)의 단면이 후면 커버(8) 내의 단면(860)과 접촉함으로써, 하우징(4)을 후면 커버(8)에 덜거덕거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 후, 정면 커버(7)를 하우징(4)에 장착하면,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일식을, 예를 들면 천장에 고정할 수 있다.
유지부(83)는, 베이스부(81)의 내면에 형성되고, 고정 구멍(812)의 근방이면서, 결합 구멍(810)과 주위 측부(8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지부(83)가 단자 블록(11)에 접속되는 각 전선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2의 예에서는, 유지부(83)는, 2개의 헤드부 유지 리브(831 및 832), 중앙 유지 리브(833) 및 각부 유지 리브(834)를 포함하고, 이들은 베이스부(8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다.
헤드부 유지 리브(831 및 832)는 결합 구멍(810)과 주위 측부(85) 사이에 형성되고, 헤드부 유지 리브(831 및 832)의 간격은, 나사(800)의 헤드부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정된다. 따라서, 2개의 나사(800)의 헤드부를 헤드부 유지 리브(831 및 832) 사이에 협지할 수 있다.
중앙 유지 리브(833)는, 결합 구멍(810)과 주위 측부(85) 사이에 형성되고, 헤드부 유지 리브(831 및 832)의 중간 위치와 중앙 유지 리브(833) 사이의 길이는, 나사(800)의 약 절반의 길이로 설정된다. 또한, 중앙 유지 리브(833)는, 자기 자신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유지 홈을 포함한다. 따라서, 2개의 나사(800)의 중앙부를 각각 2개의 유지 홈에 끼워넣음으로써, 2개의 나사(800)의 중앙부가 각각 2개의 유지 홈에 유지된다.
각부 유지 리브(834)는, 결합 구멍(810)과 주위 측부(85) 사이에 형성되고, 중앙 유지 리브(833)와 각부 유지 리브(834) 사이의 길이는, 나사(800)의 약 절반의 길이로 설정된다. 또한, 족부 유지 리브(834)는, 자기 자신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오목홈을 포함한다. 따라서, 2개의 나사(800)의 각부 선단측을 각각 2개의 오목홈 내에 두면, 2개의 유지 홈에 유지된 2개의 나사(800)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유지 홈은 나사(800)의 각부와 같거나 약간 작은 내경을 가지는데 비해, 각각의 오목홈은 나사(800)의 각부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가진다.
본 발명의 복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본래의 정신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정면도이며, 도 4의 (B) 및 도 4의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측면도이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제1 프린트 회로 조립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단자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제1 프린트 회로 조립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제1 프린트 회로 조립품의 사시도이다.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렌즈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하우징 본체의 사시도이며, 상기 렌즈 블록이 내장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하우징 본체의 사시도이며, 제1 프린트 회로 조립품 및 제2 프린트 회로 조립품 등이 내장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 및 정면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천장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가 장착되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4는 스위치 박스에 대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위치 관계를 예시한다.
도 15는 상기 스위치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적외선 센서 스위치에 장착되는 외장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일실시예에서의 하우징 본체의 사시도이며, 렌즈 블록이 내장되어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후면 커버의 사시도이며, 2개의 나사를 유지하고 있다.
도 23은 정면 및 후면 커버가 장착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4의 (A)는 도 23의 측면도이며, 도 24의 (B)는 그 단면도이다.
도 25의 (A)는 도 23의 측면도이며, 도 25의 (B)는 그 단면도이다.

Claims (7)

  1. 창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 요소;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한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 요소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창을 통하여 감시 영역으로부터의 적외광을 측정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 요소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 요소, 상기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제어부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창을 자기 자신의 정면부에 가지는 중공 코어와,
    상기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공 코어의 후면부의 일부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매립 단자 커버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 단자 커버는, 상기 중공 코어의 후면부의 상기 일부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립 단자 커버의 상기 복수의 측면부 중의 하나는, 상기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에 대응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코어에는, 복수의 방벽(52, 10, 20)이 배치되고, 상기 적외선 센서(22)가 상기 복수의 방벽(52, 10, 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중공 코어 내의 후부로부터 상기 적외선 센서(22)가 격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위치 요소, 상기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가 탑재된 제1 프린트 회로판과, 상기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제어부가 탑재되는 제2 프린트 회로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방벽은, 하나 이상의 격벽, 상기 제1 프린트 회로판 및 상기 제2 프린트 회로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은, 상기 적외선 센서의 주위의 일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중공 코어의 정면부의 내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제1 프린트 회로판은, 상기 적외선 센서의 주위의 나머지 부분을 에워싸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린트 회로판은,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의 단면에 탑재된, 적외선 센서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상기 창의 시야의 일부로부터의 적외광을 상기 적외선 센서의 센서면 상에 집광하여, 상기 감시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렌즈;
    상기 렌즈가 내부에 고정되고 자기 자신의 양쪽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복수의 추축을 포함하는 유지 프레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유지 프레임을 상기 창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구비하는 렌즈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창은,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 내에서의 상기 중공 코어의 정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 코어의 정면부에는, 상기 렌즈 블록이 상기 창의 축 주위에 회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복수의 추축 주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유지 프레임의 복수의 추축을 지지하는 창틀이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은, 상기 렌즈 블록이 복수의 간극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렌즈 블록을 에워싸고,
    상기 복수의 간극의 각각의 크기는 20mm×3mm 이상이며, 상기 제2 프린트 회로판이 상기 하나 이상의 격벽을 덮을 수 있는 면적 이하인 범위 내인, 적외선 센서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 스위치는 탄성 변형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정면부를 덮는 정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코어는,
    원형의 정면단;
    원형의 후면단;
    자기 자신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링을 포함하는 주위 측부; 및
    상기 정면단 및 상기 후면단을 관통하는 복수의 나사 삽입 구멍
    을 포함하고,
    상기 정면 커버는, 상기 창에 대응하는 외창을 가지는 원 모양의 베이스부와, 복수의 갈고리부를 가지는 주위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갈고리부는, 상기 정면 커버의 주위 측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 코어의 돌출 링과 걸어 맞추어지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를 덮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매립 단자 커버의 정상 단부가 끼워 넣어지는 결합 구멍을 가지는 원 모양의 베이스부와, 주위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전선 접속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제2 전선 접속 단자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이, 상기 후면 커버에서의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주위 측부 중에서 적어도 상기 주위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적외선 센서 스위치.
KR1020080116155A 2007-11-22 2008-11-21 적외선 센서 스위치 KR100999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03381 2007-11-22
JP2007303379A JP4456628B2 (ja) 2007-11-22 2007-11-22 熱線センサ付き自動スイッチ
JPJP-P-2007-303379 2007-11-22
JPJP-P-2007-303380 2007-11-22
JP2007303381A JP4482583B2 (ja) 2007-11-22 2007-11-22 熱線センサ付き自動スイッチ
JP2007303380A JP4456629B2 (ja) 2007-11-22 2007-11-22 熱線センサ付き自動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717A KR20090053717A (ko) 2009-05-27
KR100999385B1 true KR100999385B1 (ko) 2010-12-09

Family

ID=4086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155A KR100999385B1 (ko) 2007-11-22 2008-11-21 적외선 센서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99385B1 (ko)
TW (1) TWI3608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2454A (ja) * 2014-02-28 2015-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TWI811664B (zh) * 2020-09-14 2023-08-11 皓博科技股份有限公司 振動採集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5631A (ja) 2003-10-28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熱線センサ付き自動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5631A (ja) 2003-10-28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熱線センサ付き自動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717A (ko) 2009-05-27
TWI360827B (en) 2012-03-21
TW200937477A (en) 200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385B1 (ko) 적외선 센서 스위치
JP4456628B2 (ja) 熱線センサ付き自動スイッチ
JP4456629B2 (ja) 熱線センサ付き自動スイッチ
JPH09231484A (ja) 光電式煙感知器
CN111292988A (zh) 功能组件、组合件、安装组件及电子设备
JPH1173581A (ja) 火災感知器
JP4482583B2 (ja) 熱線センサ付き自動スイッチ
CN210040300U (zh) 遥控器
JP3921656B2 (ja) 火災感知器
CN217787578U (zh) 顶盖组件及投影仪
KR970000421Y1 (ko) 차동식 화재 감지기
JP2004259558A (ja) レンズブロック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熱線センサ付自動スイッチ
JP2577762Y2 (ja) 室内取付型検出器
JP2004145757A (ja) 検知器
JPH02292695A (ja) 光電式煙感知器
JP3899529B2 (ja) 照明器具
JP3817100B2 (ja) 火災感知器
JP2591374Y2 (ja) 室内取付型検出器
JPH11185179A (ja) 熱煙複合型火災感知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675796B2 (ja) 人体検知スイッチ
JP2675795B2 (ja) 人体検知器
JP2793199B2 (ja) 人体検知スイッチ
JP2526368Y2 (ja) 火災感知器
CN114241708A (zh) 感烟探测器
JP2521089Y2 (ja) 感熱自動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