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174B1 -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174B1
KR100998174B1 KR1020080038138A KR20080038138A KR100998174B1 KR 100998174 B1 KR100998174 B1 KR 100998174B1 KR 1020080038138 A KR1020080038138 A KR 1020080038138A KR 20080038138 A KR20080038138 A KR 20080038138A KR 100998174 B1 KR100998174 B1 KR 100998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hutter
wiring board
positioning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413A (ko
Inventor
미츠아키 야마구치
간지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19952A external-priority patent/JP49667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2221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169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22218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2200B2/ja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카드 삽입구와 카드 커넥터간 위치 맞춤의 정밀도를 높여 카드를 원활하게 카드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는, 상부 케이스(2), 하부 케이스(3) 및 전면 패널(4)을 갖는 기기 본체(1)와, 전면 패널(4)에 설치된 카드 삽입구(5)와, 기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하부 케이스 상면에 위치 결정 고정되는 배선판(20)과, 배선판 상에 탑재된 카드 커넥터(21)와, 하부 케이스에 돌출되어 설치된 제1 위치 결정 보스(31)와, 배선판 및 전면 패널에 각각 형성된 제1 위치 결정 구멍(41, 51)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위치 결정 보스(31)와 제1 위치 결정 구멍(41, 51)이 카드 삽입구(5)로부터 삽입되는 IC 카드(C)의 통과 경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선판(20)에 형성된 제1 위치 결정 구멍(41)의 후방에 카드 커넥터(21)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기기 본체, 카드 삽입구, 배선판, 정보 기억 매체 카드, 카드 커넥터, 위치 결정 보스, 카드 삽입구, 전자 기기

Description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 WITH CARD INSERTION SLO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 등의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운행기록계나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ETC: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차량 탑재기 등의 차량 탑재 전자 기기가 알려져 있다. 이들 차량 탑재 전자 기기 중에는 정보 기억 매체 카드(메모리 카드나 IC 카드 등)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삽입구를 기기 본체의 전면 패널에 가지고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는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디지털 운행기록계가 알려져 있다. 도 15는 상기 문헌에 기재된 종래의 디지털 운행기록계(100)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이 디지털 운행기록계(100)는 각종 스위치류를 장비한 전면 패널(102)을 본체 케이스(101)의 전면에 가지며, 또한 정보 기억 매체 카드(C)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삽입구(103)를 전면 패널(102)에 가지고 있다.
카드 삽입구(103)에 카드(C)가 삽입되면 스프링(도시 생략)의 힘으로 슬라이 딩 버튼(104)이 카드 삽입구(103)의 일부를 덮으므로 꺼냄 버튼(105)을 조작하여도 카드(C)는 꺼내지지 않는다. 카드(C)에의 정보의 기입은 종료 버튼(106)의 조작에 따라 시작된다.
카드(C)를 꺼낼 때에는 먼저, 카드 삽입구(103)의 일부를 덮지 않도록 슬라이딩 버튼(104)을 전면 패널(102)의 좌측으로 옮겨 유지한다. 그 상태에서 꺼냄 버튼(105)이 눌려지면, 카드(C)가 삽입구(103)로부터 배출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103446호 공보
이러한 종류의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는 카드 삽입구(103)에 삽입된 카드(C)가 본체 케이스(101) 내부의 카드 커넥터(도시 생략)에 적정하게 접속됨으로써 카드(C)에의 읽기 쓰기 조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카드 삽입구(103)와 카드 커넥터간 위치 맞춤이 적절하게 행해져 있는 것이 중요하다.
카드 커넥터는 통상은 본체 케이스(101) 내의 배선판(도시 생략) 상에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카드 삽입구(103)와 카드 커넥터간 위치 맞춤에는 배선판과 전면 패널(102)간 위치 맞춤이 정확하게 행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서는 배선판이나 전면 패널의 위치 맞춤이 카드 삽입구나 카드 커넥터에서 먼 위치에서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그들의 위치 맞춤부의 치수 오차의 조합으로 카드 삽입구와 카드 커넥터간 위치 정밀도가 결정되어 버리므로 정밀한 위치 맞춤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카드 삽입구와 카드 커넥터간 위치 맞춤 정밀도를 높여 카드를 원활하게 카드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는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디지털 운행기록계(100)에서는 전면 패널(102)에 설치된 카드 삽입구(103)가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카드 삽입구(103)에서 기기 내부로 먼지 등이 들어가기가 쉽다. 또한 슬라이딩 버튼(104)만으로 카드(C)의 빼냄을 방지하 고 있으므로 운행기록계의 오조작에 대한 방어성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디지털 운행기록계 이외의 기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안을 내어 검토하였다(미공개). 도 16에 도시한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미공개 검토안에서는 카드 삽입구(112)를 개폐하는 슬라이딩식의 셔터(113)가 기기 본체(110)의 전면 패널(111)의 전측에 설치되어 있다. 카드(C)의 삽입이나 꺼냄 이외의 시에는 카드 삽입구(112)가 셔터(113)로 차폐된다.
셔터(113)의 슬라이딩 방향은 화살표 A로 나타낸 좌우 방향이다. 카드(C)의 삽입이나 꺼냄 이외의 시에는,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13)가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카드 삽입구(112)를 덮는다. 카드(C)의 삽입시나 꺼냄시에는,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113)가 우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카드 삽입구(112)가 개방된다.
이 경우, 셔터(113)가 탈락하거나 부정하게 꺼내지거나 하지 않도록 셔터(113)의 상하단 가장자리가 기기 본체(110) 측에 설치한 레일(도시 생략)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셔터(11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 장착되는 것을 검토하였다.
그런데, 검토 과정에서 특히 셔터(113)의 상측의 걸어맞춤 부분이 약점이 되기 쉽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드라이버 등으로 본체 케이스(101)가 흔적을 남기지 않고 억지로 열려져서 셔터(113)가 꺼내지게 되면, 카드(C)가 부정하게 위변조되어 버릴지도 모른다.
더욱이, 셔터(113)의 개방 동력원으로서 스프링을 이용하여 닫힘 위치에서 잠금이 해제됨으로써 스프링의 힘으로 셔터(113)를 열림측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검토하였다. 개방된 셔터(113)는 스토퍼에 부딪쳐서 정지한다.
그러나, 검토 과정에서 셔터(113)나 스토퍼는 경질의 수지로 성형되므로 경질 수지제의 셔터(113)와 스토퍼를 충돌시키면 충돌음이 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미공개 검토안에서의 현안 사항의 개선책도 본 발명의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는,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양 케이스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전면 개구를 막는 전면 패널을 갖는 기기 본체와, 전면 패널에 설치되며, 기기 본체의 내부에 정보 기억 매체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삽입구와, 기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위치 결정 고정되는 배선판과, 배선판 상에 탑재되며, 카드 삽입구에 삽입되는 정보 기억 매체 카드와 접속하는 카드 커넥터와, 하부 케이스에 돌출되어 설치된 제1 위치 결정 보스와, 배선판 및 전면 패널에 각각 형성되며, 제1 위치 결정 보스에 걸어맞춤되어 배선판과 전면 패널을 위치 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 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1 위치 결정 보스와 제1 위치 결정 구멍이 카드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정보 기억 매체 카드의 통과 경로 아래에 배치됨과 아울러 배선판에 형성된 제1 위치 결정 구멍의 후방에 카드 커넥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따르면, 하부 케이스에 돌출되 어 설치된 제1 위치 결정 보스와 배선판 및 전면 패널에 각각 형성된 제1 위치 결정 구멍을 걸어맞춤시킴으로써 배선판과 전면 패널을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위치 결정 보스와 제1 위치 결정 구멍을 정보 기억 매체 카드의 통과 경로 아래에 배치함과 아울러 배선판 상의 제1 위치 결정 구멍의 후방에 카드 커넥터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카드 삽입구와 카드 커넥터간 위치 맞춤을 일의적으로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기억 매체 카드를 카드 커넥터에 원활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의 앞 가장자리측 상면의 제1 위치 결정 보스를 지나는 직선 상에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가 설치됨과 아울러 배선판 및 전면 패널의 제1 위치 결정 구멍을 지나는 직선 상에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와 각각 걸어맞춤되는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이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위치 결정 보스 및 제1 위치 결정 구멍에 더하여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 및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을 각각 걸어맞춤시키고 있으므로 배선판과 전면 패널을 보다 정밀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이 횡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횡방향의 위치 결정은 제1 위치 결정 보스 및 제1 위치 결정 구멍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정면 의장을 결정짓는 전면 패널의 위치 맞춤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양호한 의장 품질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위치 결정 구멍이 배선판의 앞 가장자리측에 집약되 므로 배선판의 뒷 가장자리측의 스페이스가 제약되지 않는다. 이 결과, 배선판의 뒷 가장자리측의 스페이스에의 부품 실장 자유도를 확대시킬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배선판의 접지부와 전기 접속되며, 또한 카드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정보 기억 매체 카드가 카드 커넥터에 접속되기 전에 정보 기억 매체 카드의 접지 전극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이 제1 위치 결정 보스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정보 기억 매체 카드가 카드 커넥터에 도달하기 전에 카드측 접지 전극이 탄성 접촉편에 슬라이딩 접촉하므로 비록 정보 기억 매체 카드가 대전되어 있다 해도 카드가 카드 커넥터에 접속되기 전에 재빨리 제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에 기인하는 카드 삽입구의 주변 회로에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여기서, 탄성 접촉편이 배선판의 접지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스프링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탄성 접촉편의 스프링부에 배선판의 접지부가 접촉하므로 탄성 접촉편을 제1 위치 결정 보스에 장착한 후에 배선판을 조립 장착하는 것만으로 배선판의 접지부와 탄성 접촉편을 확실하게 도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접지 배선이 불필요해져 조립 장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더욱이 여기서, 탄성 접촉편이 배선판과 하부 케이스 사이에 협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탄성 접촉편이 배선판과 하부 케이스 사이에 협지 고정되므 로 탄성 접촉편과 배선판간 접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혹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전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며, 전면 패널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카드 삽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부 케이스의 전단에 연장되어 설치되며, 셔터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와, 덮개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셔터의 상단 걸어맞춤 가장자리부가 걸어맞춤되어 셔터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하는 레일홈과, 덮개부의 하면에 돌출되어 설치되며, 덮개부에 상향력이 가해졌을 때 전면 패널의 뒷면에 부딪치는 보강 리브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덮개부 하면에 셔터의 상단 걸어맞춤 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춤되는 레일홈이 설치되므로 셔터의 부정한 꺼냄에 대한 방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덮개부에 상향력이 가해졌을 때 덮개부 하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보강 리브가 전면 패널 뒷면에 부딪치므로 덮개부가 상방으로 들려져올라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힘에 대하여 덮개부가 잘 변형되지 않게 되어 덮개부의 억지 열림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셔터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셔터가 닫혀져 있어야 하는 상태에서의 카드의 부정 빼냄이 확실하게 방어된다. 즉, 카드를 빼내어 위변조하려면 간단한 억지 열림으로는 되지 않게 되어 부득이하게 기기 본체에 큰 흔적을 남길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위변조가 있었던 경우에는 그 발견이 용이해진다. 또한, 억지 열림 도중에 보강 리브가 보이므로 억지 열림의 단념이 기대되어 위변조의 방지가 도모된다.
혹은, 본 발명에 있어서, 기기 본체와 셔터 사이에 설치되며, 셔터를 열림측 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 바이어스 부재와, 기기 본체에 설치되며, 셔터가 탄성 바이어스 부재의 힘으로 개방되었을 때 셔터와 충돌하는 스토퍼와, 스토퍼 또는 셔터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며, 스토퍼와 셔터가 충돌하기보다 이전에 스토퍼 또는 셔터와 접촉하여 탄성 변형하는 쿠션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쿠션재가 충돌을 완화시키므로 탄성 바이어스 부재의 힘으로 셔터가 열렸을 때의 스토퍼와 셔터간의 충돌음(이음)이 저감된다.
본 발명의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따르면, 하부 케이스에 돌출되어 설치된 제1 위치 결정 보스와 배선판 및 전면 패널에 각각 형성된 제1 위치 결정 구멍을 걸어맞춤시킴으로써 배선판과 전면 패널을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위치 결정 보스와 제1 위치 결정 구멍을 정보 기억 매체 카드의 통과 경로 아래에 배치함과 아울러 배선판 상의 제1 위치 결정 구멍의 후방에 카드 커넥터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카드 삽입구와 카드 커넥터간 위치 맞춤을 일의적으로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기억 매체 카드를 카드 커넥터에 원활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위치 결정 보스 및 제1 위치 결정 구멍에 더하여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 및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을 각각 걸어맞춤시키고 있으므로 배선판과 전면 패널을 보다 정밀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이 횡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횡방향의 위치 결정은 제1 위치 결정 보스 및 제1 위치 결정 구멍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정면 의장을 결정짓는 전면 패널의 위치 맞춤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양호한 의장 품질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위치 결정 구멍이 배선판의 앞 가장자리측에 집약되므로 배선판의 뒷 가장자리측의 스페이스가 제약되지 않는다. 이 결과, 배선판의 뒷 가장자리측의 스페이스에의 부품 실장 자유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 기억 매체 카드가 카드 커넥터에 도달하기 전에 카드측 접지 전극이 탄성 접촉편에 슬라이딩 접촉하므로 비록 정보 기억 매체 카드가 대전되어 있다 해도 카드가 카드 커넥터에 접속되기 전에 재빨리 제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에 기인하는 카드 삽입구의 주변 회로에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접촉편의 스프링부에 배선판의 접지부가 접촉하므로 탄성 접촉편을 제1 위치 결정 보스에 장착한 후에 배선판을 조립 장착하는 것만으로 배선판의 접지부와 탄성 접촉편을 확실하게 도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접지 배선이 불필요해져 조립 장착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접촉편이 배선판과 하부 케이스 사이에 협지 고정되므로 탄성 접촉편과 배선판간 접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덮개부 하면에 셔터의 상단 걸어맞춤 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춤되는 레일홈이 설치되므로 셔터의 부정한 꺼냄에 대한 방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덮개부에 상향력이 가해졌을 때 덮개부 하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보강 리브가 전면 패널 뒷면에 부딪치므로 덮개부가 상방으로 들려져올라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힘에 대하여 덮개부가 잘 변형되지 않게 되어 덮개부의 억지 열림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셔터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셔터가 닫혀져 있어야 하는 상태에서의 카드의 부정 빼냄이 확실하게 방어된다. 즉, 카드를 빼내어 위변조하려면 간단한 억지 열림으로는 되지 않게 되어 부득이하게 기기 본체에 큰 흔적을 남길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위변조가 있었던 경우에는 그 발견이 용이해진다. 또한, 억지 열림 도중에 보강 리브가 보이므로 억지 열림의 단념이 기대되어 위변조의 방지가 도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재가 충돌을 완화시키므로 탄성 바이어스 부재의 힘으로 셔터가 열렸을 때의 스토퍼와 셔터간의 충돌음(이음)이 저감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디지털 운행기록계(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기기 본체(1)는 수지제의 상부 케이스(2) 및 하부 케이스(3)와, 상부 케이스(2) 및 하부 케이스(3)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전면 개구를 덮는 수지제의 전면 패널(4)과, 후면 개구를 막는 후면 패널(9)을 구비하고 있다.
IC 카드(정보 기억 매체 카드)(C)를 기기 본체(1)의 내부에 삽입하기 위한 카드 삽입구(5)가 전면 패널(4)에 설치되어 있다. 카드 삽입구(5)를 개폐하는 셔터(6)가 전면 패널(4)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셔터(6)는 전면 패널(4)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또한, 액정 표시부나 스위치류를 탑재한 내부 패 널(8)이 전면 패널(4)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배선판(20)이 기기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되며, 하부 케이스(3)에 고정되어 있다.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주요 회로나 카드 삽입구(5)에 삽입되는 IC 카드(C)와 접속하는 카드 커넥터(21)가 배선판(20) 상에 탑재되어 있다.
배선판(20)이나 전면 패널(4)의 위치 맞춤용의 3개의 제1,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31, 32, 33)가 하부 케이스(3)의 앞 가장자리부 근방의 상면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31, 32, 33)에 각각 걸어맞춤되어 배선판(20)을 위치 결정하는 3개의 제1,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41, 42, 43)이 배선판(20)의 앞 가장자리부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31, 32, 33)에 각각 걸어맞춤되어 전면 패널(4)을 위치 결정하는 3개의 제1,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51, 52, 53)이 전면 패널(4)의 뒷면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브래킷(71, 72, 73)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위치 결정 보스(31)는 원기둥 보스로서 형성되며, 제1 위치 결정 구멍(41, 51)은 원기둥 보스와 거의 유격 없이 끼워맞춤되는 둥근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정확한 위치 결정이 필요한 카드 삽입구(5)에 삽입되는 IC 카드(C)의 통과 경로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카드 커넥터(21)가 배선판(20) 상의 제1 위치 결정 구멍(3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32, 33)는 하부 케이스(3)의 앞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31, 32, 33)는 일직선상에 나란히 나열되어 있다. 또한,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42, 43, 52, 53)은 하부 케이 스(3)에 설치된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32, 33)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32, 33)는 원기둥 보스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부차적인 위치 정밀도이어도 좋은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42, 43, 52, 53)은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32, 33)에 대하여 안길이 방향으로는 필요한 치수 오차 내의 유격을 가짐과 아울러 횡방향으로 자유도를 갖는 장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단, 도 3에는 전면 패널(4)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
그 이외에, 배선판(20)을 하부 케이스(3)에 나사 멈춤하기 위한 나사 멈춤 구멍(44)이 사각형상의 배선판(20)의 네 귀퉁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외부 접속 커넥터(22)가 배선판(20)의 후단부에 탑재되어 있다.
이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조립하는 경우, 먼저 전면 패널(4)의 각 브래킷(71, 72, 73)에 형성된 제1,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51, 52, 53)이 하부 케이스(3)에 돌출되어 설치된 제1,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31, 32, 33)에 각각 걸어맞춤된다. 이어서, 배선판(20)에 형성된 제1,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41, 42, 43)이 각 브래킷(71, 72, 73)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31, 32, 33)에 걸어맞춤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배선판(20)이 하부 케이스(3)에 나사 멈춤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선판(20)과 전면 패널(4)이 정밀하게 위치 결정 고정된다. 계속하여, 상부 케이스(2)가 하부 케이스(3) 및 전면 패널(4)에 고정되어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비교예와 비교하면서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비교예에서는 하부 케이스(3)에 대한 사각형상의 배선판(20)의 위치 결정이 배선판(20)의 3개의 귀퉁이부 가까이에서 행해져 있다(도 9 참조). 즉, 앞 가장자리측에 2점의 위치 결정 포인트가 마련되고, 그 중 1점과 대각 위치에 있는 귀퉁이부에 나머지 1점의 위치 결정 포인트가 마련되어 있다. 카드 커넥터(21)는 3개의 위치 결정 포인트로부터 다소 떨어져 있다. 3개의 위치 결정 포인트는 하부 케이스(3)에 설치된 위치 결정 보스(231, 232, 233)와, 배선판(20)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241, 242, 2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구멍(241, 242, 243)이 각 위치 결정 보스(231, 232, 233)에 각각 걸어맞춤됨으로써 배선판(20)이 하부 케이스(3)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전면 패널(4)의 브래킷(271, 272)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251, 252)이 배선판(20)의 하측에서 전측의 2개의 위치 결정 보스(231, 232)와 걸어맞춤됨으로써 전면 패널(4)과 하부 케이스(3)가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전면 패널(4)의 카드 삽입구(5)와 배선판(20) 상의 카드 커넥터(21)간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이 비교예의 경우, 전면 패널(4)과 배선판(20)간 위치 관계가 전측의 2개의 위치 결정 포인트에서 결정되어 있고, 그들 위치 결정 포인트가 카드 커넥터(21)의 위치로부터 떨어진 곳에 있다. 따라서, 아무래도 각 위치 결정 포인트의 치수 오차의 조합으로 카드 삽입구(5)와 카드 커넥터(21)간 위치 정밀도가 결정되어 버리므로 정밀한 위치 맞춤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 3개의 위치 결정 포인트 중 1개의 위치 결정 포인트를 구성하는 제1 위치 결정 보스(31) 및 제1 위 치 결정 구멍(41, 51)이 IC 카드(C)의 통과 경로 바로 아래에 배치되며, 또한 배선판(20) 상의 제1 위치 결정 구멍(41)의 후방에 카드 커넥터(21)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면 패널(4)에 형성된 카드 삽입구(5)와 배선판(20) 상에 탑재된 카드 커넥터(21)간 위치 맞춤이 일의적으로 정밀하게 행해지므로 IC 카드(C)가 카드 커넥터(21)에 원활하게 접속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3)와 배선판(20)의 앞 가장자리측과 전면 패널(4)이 직선상에 나란한 3개의 위치 결정 포인트에서 위치 결정되므로, 배선판(20)과 전면 패널(4)을 보다 정밀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단,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42, 43, 52, 53)은 횡방향으로 유격을 갖는 장공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디까지나 횡방향의 위치 결정은 중심인 제1 위치 결정 보스(31)와 제1 위치 결정 구멍(41, 51)으로 행해진다. 또한, 전측의 3점에서 위치 맞춤함으로써 정면 의장을 결정짓는 전면 패널(4)의 위치 맞춤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양호한 의장 품질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위치 결정 구멍(41, 42, 43)이 배선판(20)의 앞 가장자리측에 집약되어 있으므로 배선판(20)의 뒷 가장자리측의 스페이스가 제약되지 않는다. 이 결과, 배선판(20)의 뒷 가장자리측에 배치되는 외부 접속 커넥터(22)의 실장 스페이스가 여유를 가지고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카드 커넥터 위치 결정 정밀도가 안길이 방향으로 허용될 수 있는 경우, 제1 위치 결정 구멍(41, 51)이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42, 43, 52, 53)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긴 횡방향의 장공이 되어도 좋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전부(前部) 구성을 후방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위치 결정 보스(31)에 탄성 접촉편(8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점만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따라서, 다른 구성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탄성 접촉편(80)은 배선판(20)의 하면의 접지부와 전기 접속되어 있다. 탄성 접촉편(80)의 베이스부는 배선판(20)과 브래킷(71) 사이에 개재된다(도 6 참조). 탄성 접촉편(80)은 카드 삽입구(5)에 삽입된 IC 카드(C)가 카드 커넥터(21)에 접속되기 전에 IC 카드(C) 하면의 접지 전극(도시 생략)과 슬라이딩 접촉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접촉편(80)은 베이스단 스프링부(81)와 탄성 암(83)을 갖는다. 베이스단 스프링부(81)는 띠형 금속 스프링을 U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위치 결정 보스(31)와 걸어맞춤되는 끼워맞춤 구멍(82)이 베이스단 스프링부(81)에 형성되어 있다. 탄성 암(83)은 베이스단 스프링부(81)으로부터 뻗어나와 있다. 하부 케이스(3)의 제1 위치 결정 보스(31)에 전면 패널(4)의 브래킷(71)의 제1 위치 결정 구멍(51)을 걸어맞춤시킨 후에 제1 위치 결정 보스(31)에 끼워맞춤 구멍(82)이 걸어맞춤됨으로써 탄성 접촉편(80)은 브래킷(71)의 상면 오목부에 회전하지 않도록 끼워져 있다.
그리고, 그 위에 배선판(20)이 올려져서 배선판(20)의 제1 위치 결정 구멍(41)이 제1 위치 결정 보스(31)에 걸어맞춤됨으로써 탄성 접촉편(80)의 베이스단 스프링부(81)의 상면과 배선판(20) 하면의 접지부(도시 생략)가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탄성 접촉편(80)은 배선판(20)과 하부 케이스(3) 사이에 협지 고정되어 있다. 이 조립 상태에 있어서 탄성 접촉편(80)의 탄성 암(83)의 선단 만곡부 상면은 전면 패널(4)의 카드 삽입구(5) 내측의 하방에 대기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IC 카드(C)가 카드 삽입구(5)로부터 삽입되면, IC 카드(C) 하면이 탄성 접촉편(80)의 탄성 암(83)의 선단 만곡부 상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IC 카드(C)가 속으로 들어간다. 그 후, IC 카드(C)의 선단이 카드 커넥터(21)에 도달한다. 즉, IC 카드(C)가 카드 커넥터(21)에 도달하기 전에 카드(C) 하면의 접지 전극과 탄성 접촉편(80)을 슬라이딩 접촉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비록 IC 카드(C)가 대전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카드(C)가 카드 커넥터(21)에 접속되기 전에 재빨리 제전될 수 있다. 따라서, 카드 삽입구(5) 주변에 회로 부품 등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정전기에 기인하는 회로 부품에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접촉편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IC 카드(C)가 카드 커넥터(21)에 도달하기 이전의 카드 삽입구(5) 주변 회로 근방 통과 단계에서 정전기에 기인하는 악영향을 주변 회로에 미칠 우려가 있다. 탄성 접촉편(80)이 카드 삽입구(5)의 내측에 대기해 있으면 이러한 우려는 불식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탄성 접촉편(80)의 베이스단 스프링부(81)과 배선판(20)의 접지부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탄성 접촉편(80)을 제1 위치 결정 보스(31)에 장착한 후에 배선판(20)을 조립 장착하는 것만으로 배선 판(20)의 접지부와 탄성 접촉편(80)을 확실하게 도통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불필요한 접지 배선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조립 장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탄성 접촉편(80)이 배선판(20)과 하부 케이스(3) 사이에 협지 고정되어 있으므로 탄성 접촉편(80)과 배선판(20)간 접촉 안정성이 향상되어 높은 신뢰성이 발휘된다.
다음, 셔터(6)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셔터(6)는 정면판(6a)의 상단과 하단에 걸어맞춤 가장자리부(6b, 6c)(상하단 가장자리부, 하측 걸어맞춤 가장자리부(6c)는 도 12 참조)를 가지고 있다. 상측 걸어맞춤 가장자리부(6b)는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의 덮개부(2a)의 전단 하면에 설치된 레일홈(2c)에 걸어맞춤된다. 하측 걸어맞춤 가장자리부(6c)는 하부 케이스(3)의 전단 하면에 설치된 레일홈(3c)에 걸어맞춤된다(도 12 참조). 따라서, 셔터(6)는 레일홈(2c, 3c)에 안내되면서 횡방향(도 12 내의 화살표(A)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셔터(6)는 조립 상태에서 레일홈(2c, 3c)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간단한 구조로 부착된 셔터(6)는 안정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덮개부(2a)는 셔터(6)의 상부를 덮도록 상부 케이스(2)의 전단에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홈(2c)이 덮개부(2a)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레일홈(2c)은 전단 하수벽(2b)과 깊숙이 안쪽의 볼록부(2d)를 양측벽부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4개의 판형상의 보강 리브(2e)가 볼록부(2d)의 바로 후측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보강 리브(2e)는 상부 케이스(2)의 안길이 방향으로 긴 수평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보강 리브(2e)는 덮개부(2a)에 상향력이 가해졌을 때 전면 패널(4)의 뒷면과 맞닿아 덮개부(2a)가 상방으로 들려져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보강 리브(2e)는 상부 케이스(2)의 횡방향의 적당한 위치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된다. 각 보강 리브(2e)는 전면 패널(4)의 상단(4b)의 상판(4c)에 형성된 삽입 구멍(4e)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셔터(6)의 상단 걸어맞춤 가장자리부(6b)와 전면 패널(4)의 상단(4b)은 레일홈(2c)의 일측의 측벽부를 구성하는 전단 하수벽(2b)과 보강 리브(2e)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도 11의 비교예와 비교하면서 상기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1의 비교예에서는 보강 리브(2e)와 삽입 구멍(4e)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비교예의 경우에도,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2a)가 셔터(6)의 상부를 덮고 덮개부(2a)의 하면에 셔터(6)의 상단 걸어맞춤 가장자리부(6b)와 걸어맞춤되는 레일홈(2c)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6)의 부정한 꺼냄에 대한 방어성이 어느 정도는 확보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2a)의 전단에 드라이버(50)의 선단이 집어넣어져서 덮개부(2a)가 위로 억지로 열리는 경우, 비교적 간단하게 덮개부(2a)가 휘어 버려 셔터(6)가 빠져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0에 도시한 구조의 경우, 덮개부(2a)의 하면에 세로로 긴 단면(상부 케이스(2)의 안길이 방향으로 긴 수평 단면 형상)의 판형상의 보강 리브(2e)가 덮개부(2a)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부(2a)에 상향력이 가해졌을 때 보강 리브(2e)가 전면 패널(4)의 뒷면과 맞닿음으 로써 덮개부(2a)가 상방으로 들려져올라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힘에 대하여 덮개부(2a)가 잘 변형되지 않아 덮개부(2a)의 억지 열림이 유효하게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6)의 빠짐이 유효하게 방지되어 셔터(6)가 닫혀져 있어야 할 상태에서의 카드의 부정 빼냄이 확실하게 방어될 수 있다.
즉, 카드를 빼내어 위변조하려면 간단한 억지 개방으로는 안되게 되어 있어, 기기 본체(1)에 부득이하게 큰 흔적을 남길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위변조가 있었던 경우에는 그 발견이 용이해진다. 또한, 억지 개방 도중에 보강 리브(2e)가 보이므로 억지 개방의 단념이 기대되어 위변조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셔터(6)의 상단 걸어맞춤 가장자리부(6b)와 전면 패널(4)의 상단(4b)이 보강 리브(2e)와 덮개부(2a)의 전단 하수벽(2b)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므로 덮개부(2a)에 억지 개방력이 가해져서 보강 리브(2e)가 전면 패널(4) 뒷면과 맞닿았을 때에는 전면 패널(4)과 셔터(6)의 2장의 벽이 보강 리브(2e)로부터의 힘을 받아내게 된다. 이 결과, 보강 리브(2e)는 확실하게 제지된다. 따라서, 간단한 조립 장착 구조로 덮개부(2a)가 들려져올라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보강 리브(2e)는 전면 패널(4)의 상단(4b)에 형성된 삽입 구멍(4e)에 각각 끼워져 있으므로 상부 케이스(2) 전단과 전면 패널(4)의 상단(4b)간 걸어맞춤이 강화된다. 이 결과, 전면 패널(4)과 상부 케이스(2)간 빠짐이 방지되어 셔터(6)가 보다 잘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6)를 개방측(도 12의 우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코일 스프링(탄성 바이어스 부재)(7)이 기기 본체(1)와 셔터(6) 사이 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7)의 양단은 하부 케이스(3)에 설치된 후크(3d)와, 셔터(6)의 하단에 설치된 후크(6d)에 각각 걸려 있다. 코일 스프링(7)은 닫힘 위치에서의 잠금이 해제되면 셔터(6)를 카드 삽입구(5)를 개방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코일 스프링(7)은 셔터(6)의 뒷면측에 가려지도록 배치되어 있어 외관은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도 12 및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3s)가 기기 본체(1)(전면 패널(4)일 수도 하부 케이스(3)일 수도 있음)에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3s)는 코일 스프링(7)의 힘으로 셔터(6)가 개방측(도면의 우방향: 화살표(A1)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셔터(6)의 우단면(맞닿음면)(6s)에 충돌하여 셔터(6)를 정위치에 멈춘다. 특히 이 경우, 쿠션재(10)가 스토퍼(3s) 근방(도시한 예에서는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쿠션재(10)는 스토퍼(3s)와 셔터(6)가 충돌하기보다 이전에 셔터(6)와 접촉하여 탄성 변형한다. 즉, 쿠션재(10)는 스토퍼(3s)보다 셔터(6)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13(a) 참조). 또한, 쿠션재(10)는 탄성 부재이면 어느 것이어도 좋으며, 고무, 엘라스토머, 발포 우레탄, 스프링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된 판스프링(스프링 부재)(11)이 셔터(6)의 뒷면에 설치되어 있다. 판스프링(11)은 전면 패널(4)의 외표면에 만곡부를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셔터(6)의 슬라이딩 동작에 마찰 저항을 이용한 완충 작용을 부여한다. 판스프링(11)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6)와 전면 패널(4) 사이에는 틈(d)이 형성되므로 셔터(6)는 거의 저항 없이 재빨리 이동해 버린다. 판스프링(11)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저항을 부여 함으로써 셔터(6)의 이동에 완충 작용이 부여되므로 셔터(6)의 이동 속도가 제한된다.
셔터(6)는 도시하지 않은 잠금이 해제되면 코일 스프링(7)의 힘으로 도 12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스토퍼(3s)에 부딪쳐 멈춘다. 그러나, 그 전에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6)는 쿠션재(10)에 먼저 부딪침으로써 충격이 흡수되면서 최종 위치에 이른다. 따라서, 스토퍼(3s)와 셔터(6)간 충돌음(이음)을 저감할 수 있다. 덧붙여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재(10)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경질 수지 재료제의 셔터(6)와 스토퍼(3s)가 충돌하게 되어 큰 충돌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재(10)가 설치됨으로써 충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 향상이 도모된다.
이 경우, 스토퍼(3s)의 셔터(6)와의 맞닿음면에 쿠션재를 직접 붙일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굳이 그렇게 하지 않았다. 여기서는 쿠션재(10)가 스토퍼(3s)에 인접하여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셔터(6)는 쿠션재(10)를 탄성 변형시킨 후에 최종적으로는 스토퍼(3s)에 부딪쳐 멈추므로 충돌음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정지 위치 정밀도를 낼 수 있다.
또한, 셔터(6)의 슬라이딩시에 판스프링(11)의 완충 작용으로 셔터(6)의 이동 속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셔터(6) 개방시의 충돌음을 더 줄일 수 있다. 또한, 셔터(6)를 천천히 움직일 수 있으므로 중후감이나 고급감을 갖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쿠션재(10)가 스토퍼(3s)측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쿠 션재(10)는 셔터(6)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양쪽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디지털 운행기록계(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방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전부 구성을 후방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하부 케이스에 배선판을 조립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전부 구성을 후방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제1 위치 결정 보스에 탄성 접촉편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탄성 접촉편을 장착한 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비교예를 도시한 도 6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로서 도시한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전부 구성을 후방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하부 케이스에 배선판을 조립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a)는 전부를 전상방측에서 본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b)는 (a) 중의 Xb-Xb선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a) 및 (b)는 비교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 10(a) 및 (b)에 대응하는 도 면이고, 도 11(c)는 드라이버로 덮개부가 억지로 열려져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 10(b)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전부의 전하방측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a)는 도 12 중의 XIII 부분 정면도이고, 도 13(b)는 비교예의 도 13(a)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4(a)는 도 12 중의 XIV 부분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14(b)는 비교예 도 14(a)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종래의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일례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16은 슬라이딩식 셔터를 갖는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미공개 검토예의 외관 사시도로서, 도 16(a)는 셔터를 닫은 상태, 도 16(b)는 셔터를 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부호의 설명>
1…기기 본체, 2…상부 케이스,
2a…덮개부, 2b…전단 하수벽,
2c…레일홈(레일), 2e…리브,
3…하부 케이스, 3c…레일홈(레일),
3s…스토퍼, 4…전면 패널,
4b…상단부, 4e…삽입 구멍,
5…카드 삽입구, 6…셔터,
6b, 6c…걸어맞춤 가장자리부(상하단 가장자리부),
6s…우단면(셔터측의 맞닿음부),
7…코일 스프링(탄성 바이어스 부재),
8…안 패널, 9…후면 패널,
10…쿠션재, 11…판스프링(스프링 부재),
20…배선판, 21…카드 커넥터,
31…제1 위치 결정 보스, 32…제2 위치 결정 보스,
33…제3 위치 결정 보스, 41, 51…제1 위치 결정 구멍,
42, 52…제2 위치 결정 구멍, 43, 53…제3 위치 결정 구멍,
80…탄성 접촉편, 81…베이스단 스프링부,
C…IC 카드(정보 기억 매체 카드)

Claims (7)

  1.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상기 양 케이스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전면 개구를 막는 전면 패널을 갖는 기기 본체와,
    상기 전면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기기 본체의 내부에 정보 기억 매체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삽입구와,
    상기 기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위치 결정 고정되는 배선판과,
    상기 배선판 상에 탑재되며, 상기 카드 삽입구에 삽입되는 정보 기억 매체 카드와 접속하는 카드 커넥터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돌출되어 설치된 제1 위치 결정 보스와,
    상기 배선판 및 상기 전면 패널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위치 결정 보스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배선판과 상기 전면 패널을 위치 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 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위치 결정 보스와 제1 위치 결정 구멍이 상기 카드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정보 기억 매체 카드의 통과 경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배선판에 형성된 상기 제1 위치 결정 구멍의 후방에 상기 카드 커넥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앞 가장자리측 상면의 상기 제1 위치 결정 보스를 지나는 직선 상에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가 설치되고,
    상기 배선판 및 상기 전면 패널의 상기 제1 위치 결정 구멍을 지나는 직선 상에 상기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와 각각 걸어맞춤되는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제3 위치 결정 구멍이 상기 제2, 제3 위치 결정 보스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판의 접지부와 전기 접속되며 또한 상기 카드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정보 기억 매체 카드가 상기 카드 커넥터에 접속되기 전에 정보 기억 매체 카드의 접지 전극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탄성 접촉편이 상기 제1 위치 결정 보스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편이 상기 배선판의 접지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스프링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편이 상기 배선판과 하부 케이스 사이에 협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면 패널을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카드 삽입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전단에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셔터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셔터의 상단 걸어맞춤 가장자리부가 걸어맞춤되어 상기 셔터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하는 레일홈과,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덮개부에 상향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전면 패널의 뒷면에 부딪치는 보강 리브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본체와 셔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셔터를 열림 측으로 탄성 바이어스하는 탄성 바이어스 부재와,
    상기 기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셔터가 상기 탄성 바이어스 부재의 힘으로 개방되었을 때 상기 셔터와 충돌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 또는 상기 셔터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와 상기 셔터가 충돌하기 이전에 상기 스토퍼 또는 상기 셔터와 접촉하여 탄성 변형하는 쿠션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20080038138A 2007-04-27 2008-04-24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0998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19952 2007-04-27
JP2007119952A JP4966729B2 (ja) 2007-04-27 2007-04-27 カード挿入口付き電子機器
JP2007122216A JP5016970B2 (ja) 2007-05-07 2007-05-07 カード挿入口付き電子機器
JPJP-P-2007-00122216 2007-05-07
JPJP-P-2007-00122218 2007-05-07
JP2007122218A JP5052200B2 (ja) 2007-05-07 2007-05-07 カード挿入口付き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413A KR20080096413A (ko) 2008-10-30
KR100998174B1 true KR100998174B1 (ko) 2010-12-03

Family

ID=4015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138A KR100998174B1 (ko) 2007-04-27 2008-04-24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98174B1 (ko)
TW (1) TWI478066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503Y1 (ko) 1994-04-12 1999-06-15 루이스 에이. 헥트 Ic 카드용 접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476B2 (ja) * 1987-03-27 1994-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Icカ−ドの外部機器用コネクタ
JP2004206632A (ja) * 2002-12-26 2004-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cカード
JP3536212B1 (ja) * 2002-12-27 2004-06-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ダ付きカードコネクタ
JP4156429B2 (ja) * 2003-04-23 2008-09-24 株式会社ニフコ 携帯端末機用スライドユニット
TWI257585B (en) * 2003-10-28 2006-07-01 Alps Electric Co Ltd Connector device for card
JP2006210274A (ja) * 2005-01-31 2006-08-10 Yamaichi Electronics Co Ltd Icカードコネクタ
JP4231023B2 (ja) * 2005-04-01 2009-02-25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用コネクタ
TWM300420U (en) * 2006-06-07 2006-11-01 Inventec Corp Fixing component for circuit bo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503Y1 (ko) 1994-04-12 1999-06-15 루이스 에이. 헥트 Ic 카드용 접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07818A (en) 2009-02-16
TWI478066B (zh) 2015-03-21
KR20080096413A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522B2 (en) Card connector
EP1229611B1 (en) Connector for memory card
EP1229606B1 (en) Connector for memory card
JP5501316B2 (ja) カードコネクタ
KR100998174B1 (ko)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자 기기
US6869017B2 (en) Card connector
CN101295346B (zh) 带卡插入口的电子设备
JP3584021B2 (ja) 外部記憶装置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ている情報処理装置
EP1229614B1 (en) Connector for memory card
JP6897283B2 (ja) 車両用媒体読み取り装置
JP2008186072A (ja) 半導体メモリーカード読み書き装置
JP511898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5100836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08276676A (ja) カード挿入口付き電子機器
JPH08510583A (ja) 情報を電気的メモリカードとやり取りするための装置及びこのような装置を具備するカーラジオ
JP5215214B2 (ja) カードコネクタ装置及び車載装置
JP3797957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3317858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3142207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0308629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3142204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02252060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2252047A (ja) カード用コネクタのガイド金具
JP2003142201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011044119A (ja) カードストッパ付カードスロット及び情報処理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