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225B1 -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 - Google Patents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225B1
KR100996225B1 KR1020090029508A KR20090029508A KR100996225B1 KR 100996225 B1 KR100996225 B1 KR 100996225B1 KR 1020090029508 A KR1020090029508 A KR 1020090029508A KR 20090029508 A KR20090029508 A KR 20090029508A KR 100996225 B1 KR100996225 B1 KR 100996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arm
power gate
platform
fix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108A (ko
Inventor
오한복
Original Assignee
오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한복 filed Critical 오한복
Priority to KR1020090029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225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276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by vertical trans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71General 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the loading platform, e.g.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92Design or construction of the moving platform its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6Vehicles with lowerable bed or chassis, e.g. to facilitate 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파워 게이트에 사용되는 유압 실린더의 수를 줄여 파워 게이트의 무게를 줄임으로 화물자동차의 하중을 줄여 화물자동차의 연비 성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운행성을 향상시킨 것으로서, 이와 같은 목적은 상·하 방향으로 수평 회동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파워 게이트에 있어서, 플랫폼을 상·하 방향으로 수평 회동시키는 승강장치; 플랫폼을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전장치 및 양측의 고정 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 1 상부암과 제 2 상부암과 동일하게 회전되게 각각 제 1 상부암과 제 2 상부암의 측면에 고정되는 연결판, 양측의 연결판에 고정되는 연결봉으로 구성된 수평지지장치;로 달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는 종래 사용되던 파워 게이트에 비해 사용되는 실린더의 수가 현저히 줄어들어 파워 게이트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화물자동차의 연비를 증가시키는 효과 및 운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파워 게이트, 승강장치, 회전장치, 수평지지장치, 수평조절장치, 장홈

Description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POWER GATE FOR TRUCK}
본원 발명은 화물자동차에 사용되는 파워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워 게이트에 사용되는 유압 실린더의 수를 줄여 파워 게이트의 무게를 줄임으로 화물자동차의 하중을 줄여 화물자동차의 연비 성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운행성을 향상시킨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화물자동차는 화물은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방에는 운전석과 기관이 구비되고 후방에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재함이 구비된다. 이러한 화물자동차는 화물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고강도의 프레임이 차체 하부에 구비되고 프레임의 상부에는 적재함이 설치된다.
이러한 화물자동차는 다양한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 승용자동차에 비해 적재함이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화물을 다량으로 취급하는 사업장 및 화물 터미널 등에서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과 동일한 높이의 하역장을 설치하여 화물을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에 실거나 내릴 수 있게 되어있다.
그러나 하역장이 없는 곳에서는 사람이 힘으로 화물을 적재함에 올려 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인력으로만 짐을 싣고 내릴 경우에는 사람이 들 수 있을 정도의 화물만을 취급할 수 있으므로 취급할 수 있는 화물에 한계가 있고, 사람이 들기에 무거운 화물은 지게차와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사용해야만 한다.
또한, 지게차나 크레인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하역장비가 있는 곳으로 화물자동차가 이동하거나 하역장비를 화물자동차가 있는 곳으로 이동시켜야 됨으로 작업이 지연될 수 있는 여지가 있고, 화물자동차 이외의 별도의 하역장비를 사용하는데 따른 비용으로 인해 운송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신속한 작업과 운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후방에서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승하강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승하강장치를 통상 파워 게이트라고 한다.
이와 같이 화물자동차에 파워 게이트를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최소 인원만으로도 화물을 적재함에 싣거나 적재함으로부터 화물을 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화물의 바닥에 운반용 로울러가 설치된 경우에는 운전자만으로도 별도의 도움 없이도 고중량의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파워 게이트는 초기에 설치하는데 비용이 들어가는 단점은 있으나 설치한 후에는 작업의 편의성과 작업 인원의 절감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는 설치비보다 많은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파워 게이트는 사절링크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것으로서, 화물자동차의 프레임에 설치된 고정 브래킷이 사절링크의 고정된 고정암이 되고, 고정 브래킷의 상부와 하부에 회동암의 일측 단부가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의 회동암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이동 브래킷이 이동암이 된다. 이때, 상부 또는 하부의 회동암에는 고정 브래킷에 고정된 유압 실린더인 회동 실린더가 설치되고 이동 브래킷에는 평판 형상의 플랫폼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파워 게이트는 회동 실린더의 신장 및 수축에 의해 회동암이 고정 브래킷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회동암의 회동에 따라 회동암의 단부에 설치된 이동 브래킷이 상·하 수평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브래킷에 설치된 플랫폼 역시 이동 브래킷과 함께 상·하로 수평이동하게 되며, 플랫폼에 화물을 올려놓고 사용하면 고중량의 화물을 손쉽게 적재함까지 올리거나 적재함으로부터 바닥으로 화물을 내려놓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파워 게이트는 화물자동차가 이동될 때에는 적재함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절링크의 회동암 중 하부에 사용되는 회동암을 복동 실린더인 개폐 실린더를 사용하고, 상기 개폐 실린더를 신장 및 수축시킴으로 상부의 회동암을 기준으로 플랫폼이 회동되어 수직으로 직립되거나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게 한다.
즉, 개폐 실린더는 파워 게이트를 사용할 때에는 수축되어 플랫폼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게 한 뒤 사절링크의 회동암 중 하부에 위치하는 회동암으로 사용되고, 파워 게이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신장되어 플랫폼이 적재함의 후방에 수직 으로 세워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사용되는 파워 게이트는 플랫폼이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는 플랫폼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파워 게이트에는 통상 양측에 회동 실린더와 개폐 실린더가 각각 사용됨으로 최소한 네 개의 실린더가 사용된다.
그러나 파워 게이트에 사용되는 실린더는 모두 금속으로 제조됨으로 네 개의 실린더와 플랫폼 사절링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품을 모두 함한 파워 게이트는 상당한 무게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고중량의 화물을 싣기 위해 제작된 화물자동차라 하여도 이와 같은 파워 게이트가 후미에 부착된 경우에는 그 무게를 간과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화물자동차는 구조상 적재함에 짐을 싣고 운행하는 경우 후미에 관성이 크게 작용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적재함의 후미에 파워 게이트가 설치된 화물자동차의 경우에는 굽은 길을 운행할 때 파워 게이트의 무게로 인해 파워 게이트가 설치되지 않은 화물자동차에 비해 많은 관성이 작용하는 것이 현실이고, 이러한 관성은 화물자동차의 운행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따라서 화물자동차에 설치되는 파워 게이트는 화물자동차의 운행 중 발생되는 관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급적 그 무게를 가볍게 제작하는 바람직하다. 또한, 파워 게이트의 무게가 가벼워지면 화물자동차의 무게를 줄여주는 것과 동일해 지므로 연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화물자동차의 연비개선 및 운전성 향상을 고려하여 파워 게이 트의 무게를 최소화 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이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워 게이트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화물자동차의 연비를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화물자동차의 운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파워 게이트의 구조를 단순화 하여 파워 게이트의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파워 게이트에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줄여 유지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후방 하부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으로부터 지지되는 이동 브래킷 및 상기 이동 브래킷에 일측 저면이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수평 회동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파워 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고정 브래킷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플랫폼의 저면 일측에 구비된 이동 브래킷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 1 상부암, 상기 일측의 고정 브래킷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1 상부암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산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제 1 상부암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동 실린더로 구성된 승강장치; 상기 적재함의 타측 하부에 구비된 고정 브래킷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플랫폼의 저면 타측에 구비된 이동 브래킷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 2 상부 암, 상기 타측의 고정 브래킷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플랫폼의 타측 이동 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신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플랫폼을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개폐 실린더로 구성된 회전장치; 및 상기 양측의 고정 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 1 상부암과 제 2 상부암과 동일하게 회전되게 각각 상기 제 1 상부암과 제 2 상부암의 측면에 고정되는 연결판, 상기 양측의 연결판에 고정되는 연결봉으로 구성된 수평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장치의 제 2 상부암 측면에 고정되는 연결판에는 상기 플랫폼이 상기 회전장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조절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상기 연결판의 측면에 상기 제 2 상부암의 회전방향을 따라 구비된 장홈, 상기 장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상부암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 상기 장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상부암에 상기 지지 브래킷을 결합시키는 고정핀 및 상기 연결판을 상기 장홈의 길이방향으로 압박하도록 상기 지지 브래킷에 설치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판에 구비된 상기 장홈은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제 2 상부암이 결합되는 지점과 동일한 중심을 갖는 호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는 종래 사용되던 파워 게이트에 비해 사용되는 실린더의 수가 현저히 줄어들어 파워 게이트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화물자동차의 연비를 증가시키는 효과 및 운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워 게이트의 부속품 중 고가이면서도 누유 및 마모 등에 의해 고장이 발생할 여지가 많은 실린더의 사용을 줄임으로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게이트가 화물자동차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화물자동차의 적재함과 파워 게이트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파워 게이트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 브래킷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브래킷과 플랫폼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게이트의 승강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승강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게이트의 회전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회전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게이트의 수평조절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수평조절장치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수평조절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1: 이하, 파워 게이트라 함)는 고정 브래킷(10), 이동 브래킷(30), 플랫폼(20), 승강장치(200), 회전장치(300) 및 수평지지장치(400)로 구성된다.
먼저, 고정 브래킷(10)은 화물자동차(2)의 적재함(3) 하부에 구비된 프레임(4)의 후방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술될 승강장치(200)와 회전장치(300)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게 각각의 장치들이 연결되는 체결부(11,12)들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 브래킷(30)과 플랫폼(20)을 설명하면, 상기 플랫폼(20)은 사각형 형상으로 상부가 평탄한 판이고, 이동 브래킷(30)은 적재함(3)과 접하는 플랫폼(20)의 저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이동 브래킷(30)은 후술될 승강장치(200)와 회전장치(300)가 연결되는 곳으로서, 상기 장치들이 연결되는 각각의 체결공(31,32)들이 구비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장치(200)는 일측의 고정 브래킷(10)과 이동 브래킷(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 1 상부암(210)과 회동 실린더(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상부암(210)은 상기 고정 브래킷(10)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이동 브래킷(3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회동 실린더(220)는 일측이 상기 고정 브래킷(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 브래킷(30)과 인접한 상기 제 1 상부암(21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 실린더(220)가 신장되면 제 1 상부암(210)은 상기 고정 브래킷(10)을 중심으로부터 회동되어 타측이 상부로 회전되고, 상기 회동 실린더(220)가 수축되면 제 1 상부암(210)은 상기 고정 브래킷(1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타측이 하부로 회전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장치(300)는 화물자동차의 프레임(4) 중 타측에 설치된 고정 브래킷(10)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장치(200)와 같이 회전되어 상기 플랫폼(20)을 수평으로 승·하강 시키는 한편, 상기 플랫폼(20)을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 2 상부암(310)과 개폐 실린더(320)로 구성된다.
먼저, 제 2 상부암(310)은 일측이 상기 고정 브래킷(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플랫폼(20)의 타측에 구비된 이동 브래킷(3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개폐 실린더(320)는 상기 고정 브래킷(10)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타측의 이동 브래킷(30)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제 2 상부암(310)과 개폐 실런더는 서로 평행 또는 평행에 가깝게 설치되고 제 2 상부암(310)이 상부에 설치되며 개폐 실린더(320)는 제 2 상부암(310)의 하부에 설치된다.
도 3,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지지장치(400)는 상기 승강장치(200)의 작동에 따라 회전장치(300)가 연동되어 움직이게 하는 한편, 플랫폼(20)을 승·하강 시키는 승강장치(200)가 플랫폼(20)의 일측만을 지지함으로 인해 플랫폼(20)의 타측이 지면을 향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평지 지장치(400)는 승강장치(200)와 회전장치(300)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판(410)과 상기 양측의 연결판(410)을 연결하는 연결봉(420)으로 구성된다.
먼저, 연결판(410)은 상기 승강장치(200)의 제 상부암(210)과 회전장치(300)의 제 2 상부암(310)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 1 상부암(210) 및 제 2 상부암(310)과 동일하게 고정 브래킷(10)의 체결공(1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양측의 연결판(410)과 연결봉(420)은 용접과 같은 견고한 결합에 의해 유격이 발생되지 않게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평지지장치(400)는 상기 설명된 승강장치(200)와 회전장치(300)를 견고하게 연결하여 승강장치(200)의 작동 시 승강장치(200)와 회전장치(300)가 트러스 구조를 이루면서 작동되게 하여 별도의 동력원이 없는 회전장치(300) 방향으로 플랫폼(2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1)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화물자동차(2)의 프레임(4) 후미 양측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동방법은 네 개의 암으로 구성된 사절링크의 작동원리와 동일하게 작동된다.
즉, 화물자동차의 프레임(4)에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10)이 사절링크의 고정암이 되고 플랫폼(20)에 설치되는 이동 브래킷(30)은 사절링크의 이동암이 되며, 고정 브래킷(10)과 이동 브래킷(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상부암(210)과 제 2 상부암(310)은 사절링크의 회동암 중 상부에 설치되는 회동암이 되고, 회전장치(300)에 사용되는 개폐 실린더(320)는 수축된 상태에서 사절링크의 회동암 중 하 부에 설치되는 회동암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게이트(1)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화물자동차가 이동할 때에는 파워 게이트(1)의 플랫폼(20)은 적재함(3)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파워 게이트(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회전장치(300)의 개폐 실린더(320)를 수축시킨다. 개폐 실린더(320)가 수축되면 플랫폼(20)과 이동 브래킷(30)은 제 1 상부암(210)과 제 2 상부암(310)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되고, 수직으로 세워졌던 플랫폼(20)은 수평으로 펼쳐진다. 이것으로 플랫폼(20)은 수평을 유지하게 되고 적재함(3)의 바닥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플랫폼(20)을 지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승강장치(200)의 회동 실린더(220)를 수축시킨다. 회동 실린더(220)가 수축되면 회동 실린더(220)에 의해 지지되던 제 1 상부암(210)이 지면을 향해 회전된다.
제 1 상부암(210)이 지면을 향해 회동하면 수평지지장치(400)는 제 1 상부암(210)과 측면이 일측의 연결판(41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1 상부암(210)의 하강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수평지지장치(400)가 하강하면 수평지지장치(400)의 타측에 결합된 제 2 상부암(310)도 제 1 상부암(210)과 같이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평지지장치(400)에 의해 승강장치(200)와 회전장치(300)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1 상부암(210)만을 회동시켜도 제 2 상부암(310)이 상기 제 1 상부암(210)과 함께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그럼으로 플랫폼(20)은 회전장치(300)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게이트(1)에는 수평조절장치(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파워 게이트(1)의 유격을 고려한 것으로서, 파워 게이트(1)는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일정 유격을 갖게 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격으로 인해 플랫폼(20)이 회전장치(300) 방향으로 미세하게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수평조절장치(500)는 이러한 기울어짐을 보상하여 플랫폼(2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게이트(1)는 일측에는 플랫폼(20)을 승·하강 시키는 승강장치(200)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플랫폼(20)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300)를 구비시키고 승강장치(200)와 회전장치(300)의 사이에 수평지지장치(400)를 설치하여 플랫폼(20)이 회전장치(300)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 것이지만, 다량의 파워 게이트(1)를 생산하다 보면 일부 파워 게이트(1)에서는 각 구성품의 조립공차와 파워 게이트(1)의 원활한 작동을 고려해 설정한 유격으로 인해 회전장치(300) 방향으로 미세한 처지는 기울어짐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미세함 기울어짐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구비되는 수평조절장치(500)는 회전장치(300)와 수평지지장치(40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 2 상부암(310)과 결합되는 수평지지장치(400)의 연결판(410)에 구비되는 장홈(510), 상기 제 2 상부암(310)에 고정되고 상기 장홈(510)에 설치되는 지지 브래킷(520), 상기 장홈(510)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상부암(310)에 상기 지지 브래킷(520)을 결합시키는 고정핀(540) 및 상기 지지 브래킷(520)에 설치되는 조절나사(5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장홈(510)은 상기 제 2 상부암(310)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연결판(410)의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 브래킷(520)은 상기 장홈(5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개방된 하부에는 상기 장홈(510)이 삽입되어 장홈(510)이 내부에 감싸지고 닫힌 상부에는 조절나사(53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 브래킷(520)은 고정핀(540)에 의해 제 2 상부암(310)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핀(540)은 상기 장홈(510)에 삽입되어 상기 장홈(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조절나사(530)는 상기 연결판(410)을 상기 장홈(510)의 길이방향으로 압박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판(410)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브래킷(5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평조절장치(500)는 파워 게이트(1)에 발생되는 유격으로 인해 플랫폼(20)이 회전장치(300) 쪽으로 미세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서, 지지 브래킷(520)에 구비된 조절나사(530)를 조이면 조절나사(530)의 단부가 연결판(410)의 상부를 가압하여 제 2 상부암(310)이 조절나사(530)가 조여진 만큼 상승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제 2 상부암(310)이 수평조절장치(500)의 조절나사(530)에 의해 상부로 상승함으로 플랫폼(20) 역시 회전장치(300)의 상부로 일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파워 게이트(1)의 유격으로 인해 플랫폼(20)이 미세하게 회전장치(300)로 기울어지더라도 이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연결판(410)에 형성된 장홈(510)은 상기 고정 브래킷(10)과 상기 제 2 상부암(310)이 결합된는 지점과 동일한 중심을 갖는 호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이는 플랫폼(20)에 기울어짐이 심할 경우를 고려한 것으로서, 조절나사(530)를 조여 제 2 상부암(310)을 상승시킬 경우, 고정 브래킷(10)의 동일한 지점에 고정된 제 2 상부암(310)과 연결판(410)이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 2 상부암(310)과 연결판(410)이 고정 브래킷(10)과 연결된 지점과 동일한 호를 갖는 호로 장홈(510)을 형성하는 것이 연결판(410)을 최소한으로 절개하면서 장홈(510)을 형성하는 것이고, 이와 같이 장홈(510)을 최소한으로 형성시켜야만 장홈(510)으로 인해 연결판(410)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원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원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게이트가 화물자동차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화물자동차의 적재함과 파워 게이트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파워 게이트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 브래킷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브래킷과 플랫폼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게이트의 승강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승강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게이트의 회전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회전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게이트의 수평조절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수평조절장치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수평조절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파워 게이트 3: 적재함
4: 프레임 10: 고정 브래킷
20: 플랫폼 30: 이동 브래킷
200: 승강장치 210: 제 1 상부암
220: 회동 실린더 300: 회전장치
310: 제 2 상부암 320: 개폐 실린더
400: 수평지지장치 410: 연결판
420: 연결봉 500: 수평조절장치
510: 장홈 520: 지지 브래킷
530: 조절나사 540: 고정핀

Claims (4)

  1.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후방 하부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고정 브래킷으로부터 지지되는 이동 브래킷 및 상기 이동 브래킷에 일측 저면이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수평 회동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파워 게이트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고정 브래킷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플랫폼의 저면 일측에 구비된 이동 브래킷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 1 상부암, 상기 일측의 고정 브래킷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1 상부암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산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제 1 상부암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동 실린더로 구성된 승강장치;
    상기 적재함의 타측 하부에 구비된 고정 브래킷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플랫폼의 저면 타측에 구비된 이동 브래킷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 2 상부암, 상기 타측의 고정 브래킷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플랫폼의 타측 이동 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신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플랫폼을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개폐 실린더로 구성된 회전장치; 및
    상기 양측의 고정 브래킷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 1 상부암과 제 2 상부암과 동일하게 회전되게 각각 상기 제 1 상부암과 제 2 상부암의 측면에 고정되는 연결판, 상기 양측의 연결판에 고정되는 연결봉으로 구성된 수평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의 제 2 상부암 측면에 고정되는 연결판에는 상기 플랫폼이 상기 회전장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평조절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상기 연결판의 측면에 상기 제 2 상부암의 회전방향을 따라 구비된 장홈, 상기 장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상부암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 상기 장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상부암에 상기 지지 브래킷을 결합시키는 고정핀 및 상기 연결판을 상기 장홈의 길이방향으로 압박하도록 상기 지지 브래킷에 설치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 구비된 상기 장홈은 상기 고정 브래킷과 상기 제 2 상부암이 결합되는 지점과 동일한 중심을 갖는 호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
KR1020090029508A 2009-04-06 2009-04-06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 KR100996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508A KR100996225B1 (ko) 2009-04-06 2009-04-06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508A KR100996225B1 (ko) 2009-04-06 2009-04-06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108A KR20100111108A (ko) 2010-10-14
KR100996225B1 true KR100996225B1 (ko) 2010-11-23

Family

ID=4313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508A KR100996225B1 (ko) 2009-04-06 2009-04-06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2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41A (ja) 1996-06-20 1998-01-13 Kitamura Seisakusho:Kk 車両用リフター
KR200231145Y1 (ko) 2001-01-17 2001-07-19 정명술 차량용 리프트 게이트
JP2003137016A (ja) 2001-11-05 2003-05-14 Eishin Body Kogyo:Kk 貨物自動車におけるテールゲートリフト
JP2005231425A (ja) 2004-02-17 2005-09-02 Shimadzu Corp 荷役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41A (ja) 1996-06-20 1998-01-13 Kitamura Seisakusho:Kk 車両用リフター
KR200231145Y1 (ko) 2001-01-17 2001-07-19 정명술 차량용 리프트 게이트
JP2003137016A (ja) 2001-11-05 2003-05-14 Eishin Body Kogyo:Kk 貨物自動車におけるテールゲートリフト
JP2005231425A (ja) 2004-02-17 2005-09-02 Shimadzu Corp 荷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108A (ko)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739B2 (en) Topper lift system and method
KR101495261B1 (ko) 수직식 리프트 게이트
CA2446230A1 (en) Combination pickup truck liftgate/tailgate
MX2008015068A (es) Aparato de inclinacion con una conexion desviada entre la base y el brazo de inclinacion.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KR101313077B1 (ko)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KR100996225B1 (ko) 화물자동차용 파워 게이트
EP2619023B1 (en) Construction for a sliding roof, sliding roof system, truck with sliding roof system, sliding canvas trailer with a sliding roof system, top cover construction
KR101590859B1 (ko)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
CN101143690B (zh) 手调式装卸平台
CA2661076C (en) Mechanical tailgate
KR20190032869A (ko) 트럭용 적재함 덤프 장치
KR102044089B1 (ko) 일반트럭 탑재용 덤프 적재함 모듈
CN207234253U (zh) 一种配电柜运输装置
KR20210083910A (ko) 차량 실내 장착형 파워리프트
KR200483239Y1 (ko) 수직형 리프트 게이트
JPH0139613Y2 (ko)
KR200322583Y1 (ko) 리프트장치가 구비된 덤프차량
CN220720913U (zh) 单根关门推杆的汽车尾板
KR101313076B1 (ko) 격납식 리프트 게이트
JP4121023B2 (ja) ステップ一体型荷受台昇降装置
KR102576976B1 (ko) 후크 암에 다단 언로딩 실린더가 적용된 pls트럭 시스템
JP4651589B2 (ja) ルーフリフト車の屋根昇降装置
KR200295494Y1 (ko) 화물자동차의 윙바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