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878B1 -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878B1
KR100995878B1 KR1020080097626A KR20080097626A KR100995878B1 KR 100995878 B1 KR100995878 B1 KR 100995878B1 KR 1020080097626 A KR1020080097626 A KR 1020080097626A KR 20080097626 A KR20080097626 A KR 20080097626A KR 100995878 B1 KR100995878 B1 KR 100995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fixing
bar
articulated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592A (ko
Inventor
채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Priority to KR102008009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8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05K13/0069Holde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레일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이동되며 다관절로봇으로부터 전달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전달받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사각의 테두리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레일에 연결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바와 하부바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다관절로봇으로부터 전달되는 인쇄회로 기판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집게가 포함되어, 진공흡착시 빨려들어 울게 되는 문제점과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 또는 갈라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다관절로봇, 프레임

Description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Fixing Board with Arrange Function for MULTI-ARTICULATED ROBOT}
본 발명은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다수의 고정집게를 구비시켜, 다관절 로봇으로부터 전달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상,하단부를 파지하여 진공흡착시 빨려들어 울게 되는 문제점과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 또는 갈라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은 소정의 전자부품을 실장하는데 필요한 배선과 배치공간이 인쇄된 일종의 전자부품 소자로 볼 수가 있는데, 최근에는 둘 이상의 층을 가진 다층기판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회로를 형성하기위해 수조에 반복적으로 담가 코팅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한 인쇄회로기판을 공정단계별로 이동시키기게 되는데, 이때 인쇄회로기판은 다수개의 흡입공이 구비된 레일 또는 벨트에 설치된 흡착고정대에 배치시킨 다음 진공흡착시킨 후 이송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인쇄회로기판은 흡착고정대에 일면 전체가 진공흡착된 상태로 이송되므로, 흡입공 주변과의 마찰에 의해 스크래치 또는 갈라짐이 발생됨과 아울러 인쇄회로기판이 박판으로 이루어지므로 흡착되는 부분이 흡입공에 빨려들어 울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착고정대에 의해 이송된 인쇄회로기판을 분리시킨 후 재차 코팅을 위한 수조로 투입되는 이송대에 고정시켜야 하므로, 공정이 추가되어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에 다수의 고정집게를 구비시켜, 다관절 로봇으로부터 전달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상,하단부를 고정집게로 파지함으로써, 진공흡착시 빨려들어 울게 되는 문제점과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 또는 갈라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인쇄회로 기판이 고정된 프레임을 수조로 이동시킨 후 수조에 담가 코팅시키게 되므로, 작업공정이 빨라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레일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이동되며 다관절로봇으로부터 전달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전달받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사각의 테두리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레일에 연결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바와 하부바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다관절로봇으로부터 전달되는 인쇄회로 기판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집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집게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힌지결합되며, 일단에 절곡된 구조의 경사부가 구비된 회전바와 상기 고정바의 단부 와 상기 회전바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바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는 고정된 인쇄회로기판이 이동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호 대응되게 접점패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는 프레임에 다수의 고정집게를 구비시켜, 다관절 로봇으로부터 전달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상,하단부를 고정집게로 파지함으로써, 진공흡착시 빨려들어 울게 되는 문제점과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 또는 갈라짐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쇄회로 기판이 고정된 프레임을 수조로 이동시킨 후 수조에 담가 코팅시키게 되므로, 작업공정이 빨라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 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에 있어, 고정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1)(이하 고정장치)는 회전레일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이동되며 다관절로봇으로부터 전달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전달받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고정장치(1)는 프레임(2)과 연결부(3)와 고정집게(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2)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파이프를 상호 용접 또는 나사체결하여 사각의 테두리형태로 형성시킨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되도록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는 상기 프레임(2)의 상부, 즉 상부바(21)의 중앙부분에 연장되게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5)에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3)의 단부에는 상기 레일(5)의 안내바(51)에 나사체결되도록 체결공(도시생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집게(4)는 상기 프레임(2)의 상부바(21)와 하부바(22)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다관절로봇으로부터 전달되는 인쇄회로 기판(6)을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집게(4)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바(41)와 상기 고정바(41)에 힌지(H)결합되며, 일단에 절곡된 구조의 경사부(421)가 구비된 회전바(42)와 상기 고정바(41)의 단부와 상기 회전바(42)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스프링(43)으로 구성된다.
즉, 상부에 레일(5)이 구비된 이송장치(7)에 가압실린더(S)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입실린더(S)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고정바(41)와 상기 회전바(42)의 단부를 가압 또는 가압해지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6)을 상기 고정집게(4)에 고정 또는 고정해지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바(42)에는 경사부(421)가 형성되어, 다관절 로봇에서 경사지게 공급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바(41)와 상기 경사부(421)의 단부에는 고정된 인쇄회로기판이 이동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호 대응되게 접점패널(411,421a)이 더 설치된다.
상기 접점패널(411,421a)은 상기 고정바(41)와 상기 경사부(421)의 단부에 접착고정되며, 상기 고정바(41)와 상기 경사부(421)의 단부에 홈(도시생략)을 형성 한 후 상기 접점패널(411,421a)을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상기 홈에 끼움,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에 다관절로봇이 기판을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먼저 공급부(도시생략) 적층된 상기 인쇄 회로기판(6)을 다관절로봇(8)의 홀더(81)로 파지한 다음 일정각도 경사지게 홀더(81)를 배치시킨 후 고정집게(4) 방향으로 홀더(81)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후, 도 5b에서와 같이 홀더(81)에 고정된 상기 인쇄 회로기판(6)의 상부를 상기 프레임(2)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집게(4)에 삽입함과 아울러 홀더(81)를 회동시켜 수직의 형태로 배치시키게 된다.
이후, 도 5c에서와 같이 홀더(81)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인쇄 회로기판(6)의 양단부를 상기 프레임(2)의 상,하부에 설치된 고정집게(4)에 삽입시키게 됨과 아울러 상기 가압실린더(S)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바(42)의 가압을 해제시켜 상기 탄성스프링(43)의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바(41)가 상기 인쇄회로기판(6)의 상,하부를 파지,고정시키게 됨으로서, 일련의 작동공정을 마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에 있어, 고정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에 다관절로봇이 기판을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고정장치 2 : 프레임
3 : 연결부 4 : 고정집게
5 : 레일 6 : 인쇄회로기판
7 : 이송장치 8 : 다관절로봇
21 : 상부바 22 : 하부바
41 : 고정바 42 : 회전바
43 : 탄성스프링 411 : 접점패널
421 : 경사부 421a : 접점패널
51 : 안내바 81 : 홀더
S : 가압실린더

Claims (3)

  1. 회전레일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이동되며 이송장치에 구비된 가압실린더에 의해 다관절로봇으로부터 전달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전달받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사각의 테두리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레일에 연결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부바와 하부바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다관절로봇으로부터 전달되는 인쇄회로 기판을 상기 가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고정 또는 고정해지시키는 다수의 고정집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집게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힌지결합되며, 일단에 절곡된 구조의 경사부가 구비된 회전바; 및
    상기 고정바의 단부와 상기 회전바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3. 삭제
KR1020080097626A 2008-10-06 2008-10-06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100995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626A KR100995878B1 (ko) 2008-10-06 2008-10-06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626A KR100995878B1 (ko) 2008-10-06 2008-10-06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592A KR20100038592A (ko) 2010-04-15
KR100995878B1 true KR100995878B1 (ko) 2010-11-22

Family

ID=42215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626A KR100995878B1 (ko) 2008-10-06 2008-10-06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8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7273A (ko) * 2021-04-02 2022-10-12 박태인 기판 클램핑 장치
KR20230084884A (ko) 2021-12-06 2023-06-13 민계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327B1 (ko) * 2012-01-30 2014-03-28 (주)삼현엔지니어링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한 캐리어 프레임용 클램프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9899A (ja) * 1998-10-13 2000-04-25 Sumitomo Metal Electronics Devices Inc メッキ用薄板装着治具及び薄板着脱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9899A (ja) * 1998-10-13 2000-04-25 Sumitomo Metal Electronics Devices Inc メッキ用薄板装着治具及び薄板着脱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7273A (ko) * 2021-04-02 2022-10-12 박태인 기판 클램핑 장치
KR102456505B1 (ko) 2021-04-02 2022-10-18 박태인 기판 클램핑 장치
KR20230084884A (ko) 2021-12-06 2023-06-13 민계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592A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9790B2 (ja) 基板搬送用ハンドおよび基板搬送ロボット
KR101619782B1 (ko) 반도체 기판의 초음파 웰딩 접합 장치
CN103771113A (zh) 送料装置
KR100995878B1 (ko) 다관절로봇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JP2017163121A (ja) ダイ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214520187U (zh) 抓取装置及转运系统
CN203846132U (zh) 一种电镀用电路板夹具
JP5978937B2 (ja) 基板搬送用ハンド及び基板搬送方法
WO2015181977A1 (ja) 部品吸着用ノズル、部品搬送装置および部品実装装置
CN211491825U (zh) 一种装夹让位的冲孔工作台及冲孔机
US11396131B2 (en) Screen unit for a printing device and a printing system
CN112296667A (zh) 丝印组装设备
JP2003224395A (ja) 電子部品実装用装置における基板の下受け装置
JP2014053613A (ja) 基板移送のためのキャリア治具
KR101741080B1 (ko) 디본딩 워크의 이송 기구용 로봇 핸드
KR100381631B1 (ko) 기판 반전 장치
TW202043120A (zh) 擷取垂立式薄板至水平輸送台面的載運方法及其裝置
JP2008230756A (ja) 板状体の反転機構
JP2008263039A5 (ko)
JP2019106418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20230172358A (ko) 듀얼 다관절 로봇암을 구비한 수직방식의 기판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
TWI430721B (zh) 電路板固定裝置
KR102535517B1 (ko) 기판 분리 장치
JP2014160787A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JP4337622B2 (ja) 基板の下受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