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602B1 - 고강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602B1
KR100995602B1 KR1020040017916A KR20040017916A KR100995602B1 KR 100995602 B1 KR100995602 B1 KR 100995602B1 KR 1020040017916 A KR1020040017916 A KR 1020040017916A KR 20040017916 A KR20040017916 A KR 20040017916A KR 100995602 B1 KR100995602 B1 KR 100995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ing
polyethylene naphthalate
ratio
draw ratio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823A (ko
Inventor
박경수
김동윤
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40017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60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유점도 0.60 ~ 0.80 dl/g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고분자를 방사속도 300 ~ 600 m/mim의 저속방사 조건에서 총연신비 6.4 ~ 7.0배로 연신하고, 상기 총연신비의 90% 이상을 연신하는 주연신을 1차에 이은 2차 연신으로 처리하며, 1차 연신과 2차 연신의 비율을 80:20 ~ 91:9로 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는 강도가 9.0g/d 이상이고, 절단신도가 8.5% 이상이며 단면변동률이 11.5% 이하이므로 연사, 제직, 열처리 등의 공정을 거쳐서 타이어코드와 같은 고무보강재용 소재로 사용하기에 매우 유용하다.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 고유점도, 방사속도, 총연신비

Description

고강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High Tenacity Polyethylene Naphthalate Fiber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도 1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의 미연신사 상태에서의 신장-하중 관계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1차 연신 및 2차 연신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은 단면변동률 측정을 위하여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의 단면상태를 촬영한 것이고,
도 4는 단면변동률 측정을 위하여 각 필라멘트의 상대적인 면적을 수치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고강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이하 "PEN"이라 약칭함)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PEN의 분자구조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이하 "PET"이라 약칭함)와 비교하여 방향족성 및 평면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역학 적, 열적, 화학적 성질 등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PEN은 분자사슬에 나프탈렌 고리를 갖는 구조로 강직한 분자쇄로 이루어져 있어 산업용 섬유로 사용될 때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분자쇄의 강직성으로 인해 고강도 원사 제조가 쉽지 않으며, 제사 공정에서의 절사 등으로 조업성이 떨어지고, 연신 장력이 과다하여 단면균일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종래기술은 제안된 바 없지만, 고강도 PEN 섬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제안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1-0063964호는 PEN 중합시에 결정핵제로써 이산화티탄을 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naphthalene dicarboxylate, 이하 "NDC"라 약칭함)의 몰수에 대해 100ppm 이상 첨가하여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PEN 중합물의 결정화속도를 단축시켜 열분해없이 고강도의 PEN사를 제조할 수 있다. 하지만, PEN 중합물의 결정화속도가 단축됨에 따라 원사의 강도발현을 위해 제사과정에서 방사속도가 높아져야 된다. 방사속도가 높아지면 PEN은 분자쇄 강직성으로 인해 절사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 또한, 결정핵제로 사용한 이산화티탄은 고분자와 친화성이 없는 무기입자로 사용량이 많을수록 고강도 PEN 제조시 절사를 발생시키거나 강도를 저하시키는 이물로써 작용하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1-0060491호는 방사구금 직하에 가열구금을 설치하여서 용융방사할 때 구금공 주변에 탄화물이 석출되지 않도록 해서 방사조업성이 우수하도록 하며, 총 연신비의 50 ~ 95%를 1단 연신시에, 5 ~ 50%를 2단 연신시에 적 용하여 연신하며, 이어서 열고정 및 배향 결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N 섬유의 제조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고강도 및 형태안정성을 갖춘 산업용사 제조에 있어서 방사구금 직하의 가열장치나 연신후 열고정은 널리 알려진 기술인데, 상기 특허에서는 PEN의 강직한 분자쇄 특성을 감안하여 고강력 PEN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핵심으로 연신기술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50% 대 50%에 달하는 연신비 배분은 PEN에 특화되었다고 할 수 없으며, 고강도를 발현하기 위한 고연신을 실시하기 위해서도 적절한 조건이 될 수 없다. 실제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1-0060491호의 실시예에서는 총연신비가 6.02 ~ 6.25 수준이며, 이는 상기 특허에서 제시하는 방사속도 100 ~ 1,000 m/min에서 고강도 PEN을 안정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부족한 연신비이다.
따라서, 고강도 PEN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PEN 고분자의 중합도, 방사속도가 제한되어야 하며, 이러한 조건하에서 고강도를 발현하기 위해 최소한으로 달성해야 할 총연신비 및 총연신비의 90% 이상을 1차 연신에 이은 2차 연신으로 처리하되 1차 연신과 2차 연신의 비율을 한정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강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원료인 고분자의 중합도, 방사속도 범위 및 이러한 조건하에서 고강도를 발현하기 위해 최소한으로 달성해야 할 총연신비와 총연신비의 90% 이상을 1차 연신에 이은 2차 연신으로 처리하되 1차 연신과 2차 연신의 비율을 한정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강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유점도 0.60 ~ 0.80 dl/g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고분자를 방사속도 300 ~ 600 m/mim의 저속방사 조건에서 총연신비 6.4 ~ 7.0배로 연신하고, 상기 총연신비의 90% 이상을 연신하는 주연신을 1차에 이은 2차 연신으로 처리하며, 1차 연신과 2차 연신의 비율을 80:20 ~ 91:9로 하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 강도가 9.0g/d 이상이고, 절단신도가 8.5% 이상이며 단면변동률이 11.5% 이하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는 연사, 제직, 열처리 등의 공정을 거쳐서 타이어코드와 같은 고무보강재용 소재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명한다.
본 발명은 고유점도 0.60 ~ 0.80 dl/g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고분자를 원료로 하여 방사속도 300 ~ 600 m/min의 저속방사 조건에서 총연신비 6.4 ~ 7.0배로 연신하여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이하, "PEN"라 약칭함)를 제조한다. 이때, 총연신비의 90% 이상을 연신하는 주연신은 1차 연신에 이은 2차 연신으로 처리하며, 1차 연신과 2차 연신의 비율을 80:20 ~ 91:9로 적용한다.
고강도 산업용사 제조에 있어서, 가장 필수적인 요인은 원료 고분자의 중합도이므로, PEN에 있어서도 고강도 발현을 위해 기본적으로 고중합도의 원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유점도 0.60 ~ 0.80 dl/g인 PEN 고분자를 원료로 한다. 상기 고유점도가 0.60 dl/g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조조건에 의해 고강도 발현이 불가능하며, 상기 고유점도가 0.80 dl/g을 넘는 경우에는 고중합도를 얻기 위한 고상중합 단계에서 럼핑(Lumping, 칩이 붙어서 덩어리지는 현상), 칩 황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럼핑된 칩을 제사 공정에 투입할 경우에는 칩 투입관이 막히거나 익스트루러(Extruder)에 들어간 칩이 스크류(Screw)를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럼핑된 칩을 분류하여 제거할 경우 제조비용 및 시간이 증가되며, 칩의 품질이 저하된다.
원료 고분자의 중합도를 나타내는 고유점도와 관련하여 PEN의 고유점도가 고강도 원사를 얻기 위한 주요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종래기술로써는 이를 제대로 평가하기 곤란하였다. 즉, PEN의 고유점도가 0.70 dl/g 이상에 달할 경우, 고유점도를 측정하기 위한 용해조건에서 고분자가 녹지 않을 수 있고, PEN을 분쇄하여 용해시킴에도 불구하고 고분자가 일부라도 녹지 않는다면 고유점도 측정을 위한 "참"용액이 아니므로 결과를 신뢰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고분자의 결정화 현상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원료 고분자의 열분해를 최소화하고 결정화 이력을 없앰으로써 신뢰성있는 PEN의 고유점도 측정이 가능할 뿐 아니라, 고강도 섬유제조에 필요한 고유점도 조건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고강도 PEN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방사속도 300 ~ 600 m/min의 저속방사를 해야 한다. 상기 방사속도가 300 m/min 미만이면 고강도 발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낮은 방사장력으로 인해 필라멘트들의 퍼짐이 많아진다. 필라멘트들의 퍼짐이 많을 경우 방사통을 빠져나오기 전까지의 사(絲)유동이 심하며 방사통 이후 사가 지나가게 되는 가이드 및 롤러에서도 유동 및 떨림이 심하다. 이에 따라, 최종 원사의 물성 불균일 및 모우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방사속도가 600 m/min를 초과하면 고속방사 분야로 접어드는 중간 속도구간에 해당되므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총연신비와 같은 고배율 연신이 불가능하며 더욱이 연신비 배율을 80:20 ~ 91:9로 배분하여 2차로 연신하는 기술도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총연신비란 1단 고뎃롤러 속도에 대한 최고 롤러 속도의 비이다. 이와 같이 정의한 이유는 통상의 제사 기술에서는 4단 고뎃롤러에서 최고 속도에 달한 사속이 이후, 단계적으로 감속하며 완화(relaxation)되는 과정을 거치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고뎃롤러 간의 속도비(연신비 비율), 총연신비 등을 고려하여 사유동 및 떨림이 있는 경우 최종 권취롤러까지 완화 단계없이 사속을 설정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PEN의 분자쇄 강직성에 기인한다. PEN은 분자쇄가 강직함으로 인해 기본적으로 PET 대비 완화율을 많이 설정할 수 없다. 분자쇄의 강직한 특성은 인장에는 저항력이 크나 압축에는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총연신비가 높은 경우 완화율이 높아지면 공정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총연신비는 6.4 ~ 7.0배이다. 상기 총연신비가 6.4배 미만인 경우에는 9.0 g/d 이상의 원사강도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총연신비가 7.0배를 초과하면 연신사절이 다발하며 그에 따라 조업성이 극히 나쁘다. 즉, 고유점도 0.80 이하의 PEN 고분자에 대해서는 7.0 배를 넘는 연신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조건에서 총연신비 6.4 ~ 7.0배의 고연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총연신비의 90% 이상을 연신하는 주연신을 1차 연신에 이은 2차 연신으로 처리하며, 1차 연신과 2차 연신의 비율을 80:20 ~ 91:9로 적용해야 한다. 1차 연신과 2차 연신 이외 연신으로는 1차 연신에 앞서 사에 일정 장력을 부여하는 예비 연신(Pre-stretch)이 있을 수 있으며, 2차 연신 이후 권취롤러까지 속도구배를 주어 사의 떨림 등을 이완 또는 긴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PEN 섬유에 고강도를 부여하는 주요 공정은 1차 연신에 이은 2차 연신 즉, 주연신이다.
주연신 공정에서 1차 연신 및 2차 연신의 비율이 80:20보다 떨어질 경우, 예를 들어 65:35라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우선, 2차 연신과정에서 사절이 빈번히 발생되며, 2차 연신 사절 후 고뎃롤러에 감긴 잔사가 롤러표면에 융착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1차 연신이 PEN 미연신사 상태에서의 자연연신비(natural draw ratio, 도 1 참조)에 크게 못미침으로써 2차 연신이 나머지 자연연신비의 상당 구간과 스트레인 하드닝(strain hardening) 구간에서의 연신을 담당하게 되어 연신 분담율이 너무 과도하기 때문이다. 또한 1차 연신보다 더 빨라진 고뎃롤러 속도 즉, 연신속도가 빨라진 상태에서 자연연신 구간과 스트레인 하드닝 구간이 교차되면서 연신 불안정성이 증가되는 것이다. 1차 연신에서 자연연신을 끝마치지 못한 상태이므로 미연신 특성이 남아있는 가운데 절사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고뎃롤러에 감기게 되면 열에 의해 융착이 발생하기 쉽다.
반면, 1차 연신 및 2차 연신의 비율이 91:9를 초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95:5로 1차 연신과 2차 연신을 실시한다면 1차의 과도한 연신으로 인해 1차 연신 사절 또는 2차 연신 사절이 발생한다. 이는 연신공정상 1단 연신에 준하는 조건으로 자연연신 구간과 스트레인 하드닝 구간을 1차에서 동시에 연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1차 연신시 절사가 발생하거나 절사없이 1차 연신 공정을 거쳤다하더라도 불안정성에 의해 다음 공정에서 문제가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8>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유점도 0.60 ~ 0.80 dl/g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고분자로 방사속도 600 m/min 이하의 저속방사 조건에서 총연신비 6.4 ~ 7.0배로 연신하여 수행하고, 이때 1차 연신과 2차 연신의 비율을 80:20 ~ 91:9로 적용하여 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강도 9.0g/d 이상, 절단신도 8.5% 이상, 단면변동률 11.5% 이하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를 얻었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고분자의 고유점도를 0.56 dl/g으로 하고, 총연신비를 5.5배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전체적으로 강도 물성이 실시예에 비해 미달되었다.
<비교예 2 내지 3>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고분자의 고유점도를 0.56 dl/g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에서는 전체적으로 강도 물성이 미달되었고, 비교예 3에서는 강도 발현을 위해 연신비를 높일 경우 2차 연신 사절 또는 2차 연신후 사절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4>
총연신비를 5.8배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4의 경우, 강도 발현에 부족하고, 완전 연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단면변동률도 불량하였다.
<비교예 5>
방사속도를 680 m/min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6의 경우, 전체적인 제사 조건 불균형으로 원사 물성이 미달되고, 특히 절신이 부족하며 조업성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비교예 6>
1차 연신이 75.6%이고 2차 연신이 24.4%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6의 경우, 1차 연신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강도 발현이 어렵고, 또한 2차 연신 사절이 발생하는 경우 1차 연신에서 충분한 연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가 미연신사 특성을 많이 갖고 있으며 이로인해 사절후 방사롤러에 감겨 융착되었다. 더불어, 사절 발생시 이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많이 걸렸다.
<비교예 7>
1차 연신이 94.9%이고 2차 연신이 5.1%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7의 경우, 1차 연신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1차 연신 사절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비교예 8>
총연신비를 7.2배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8의 경우, 방사 사절 발생으로 원사 제조가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9>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를 0.84 dl/g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9의 경우, 고중합도를 얻기 위한 고상중합 단계에서 럼핑(Lumping) 발생, 칩 황변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럼핑이 발생하면 칩을 곧바로 익스트루더(Extruder)에 투입할 수 없기 때문에 럼핑된 칩을 골라내는 등의 추가 공정이 발생하여 비용 및 시간이 증가되며, 칩의 품질이 저하된다
극한점도
(dl/g)
방사속도
(m/min)
총연신비
(배)
1차연신
(%)
2차연신
(%)
강도
(g/d)
신도
(%)
CV(%)
실시예1 0.66 560 6.4 80.8 19.2 9.0 9.3 9.3
실시예2 0.66 415 6.4 85.4 14.6 9.1 10.5 8.5
실시예3 0.66 402 6.6 82.3 17.7 9.1 10.1 10.3
실시예4 0.66 402 6.6 88.2 11.8 9.2 9.9 10.1
실시예5 0.66 390 6.8 90.3 9.7 9.4 9.2 10.5
실시예6 0.66 380 7.0 90.4 9.6 9.5 8.9 11.1
실시예7 0.76 415 6.6 85.4 14.6 9.4 9.9 9.1
실시예8 0.76 390 6.8 90.3 9.7 9.6 9.0 9.9
비교예1 0.56 560 5.5 80.8 19.2 5.6 14.0 14.8
비교예2 0.56 481 6.4 81.4 18.6 6.3 12.8 10.4
비교예3 0.56 405 6.6 88.3 11.7 - - - 사절
비교예4 0.66 457 5.8 90.8 9.2 7.8 11.1 12.9
비교예5 0.66 680 6.4 80.8 19.2 8.9 7.6 10.1 조업성 나쁨
비교예6 0.66 402 6.6 75.6 24.4 8.7 9.8 10.8 사절후롤러융착
비교예7 0.66 402 6.6 94.9 5.1 - - - 사절
비교예8 0.66 370 7.2 90.4 9.6 - - - 사절
비교예9 0.84 - - - - - - - 방사불가

<실험예 1> 측정방법
1. 고유점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 측정은 일반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KS규격(KSMISO1628-1, 플라스틱 - 모세관 점도계를 이용한 희박 고분자 용액의 점도 측정)의 통칙을 따랐다. 단, 용제에 고분자 시료를 용해한 용액이 마이크로 겔과 그와 관련된 거대분자가 없는 "참" 용액이 되도록 다음과 같은 시료 전처리와 용제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즉, 280℃의 N2 분위기의 오븐(Inert Oven)에서 10분간 시료를 전처리하고,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시료 0.4g에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60:40) 100ml의 용액을 가하고, 13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고유점도의 측정은 Ubbelodhe 점도계를 사용하여 30℃에서 실시하였다.
2. 방사속도
본 발명에서 방사속도는 1단 고뎃롤러의 속도를 의미한다.
3. 총연신비
본 발명에서 총연신비는 다음을 의미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04010970432-pat00001
4. 1차 연신
본 발명에서 1차 연신은 1단 고뎃롤러에서 권취롤러까지의 롤러와 롤러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구간 연신 중 연신비가 가장 큰 것을 의미한다. 1차 연신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도 2 참조)
[수학식 2]
Figure 112004010970432-pat00002
5. 2차 연신
본 발명에서 2차 연신은 1차 연신 구간에 연이어서 처리되는 연신을 의미하며, 2차 연신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도 2 참조).
[수학식 3]
Figure 112004010970432-pat00003
6. 1차 연신과 2차 연신의 비율
본 발명에서 1차 연신과 2차 연신의 비율은 "1차 연신율 : 2차 연신율"을 의미한다.
7. 강도 및 신도
본 발명에서 인장 성질은 인스트론(Instron) 재료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속도 300 mm/min, 시료길이 250 mm, 분위기 20℃×65%RH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데니어크릴을 이용하여 시료의 데니어를 측정하고 강도 계산에 적용하였다.
8. 단면변동률, CV%
단면절단용 동판과 현미경을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의 단면 상태를 촬영한 후(도 3 참조), 전체 필라멘트 중 90% 이상에 해당하는 필라멘트들의 상대적인 면적을 수치화하였다(도 4 참조). 이때, 각 필라멘트의 면적은 절대면적일 필요는 없으며,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에서 얻어지는 픽셀(pixel) 등의 상대적 단위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원형 필라멘트의 계면에 세 개의 점을 지정하고 이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외접원을 이용하여 해당 필라멘트의 상대면적을 계산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계면지점 선택 등에서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가능한 큰 배율 및 이미지 확대 기능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면변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수학식 4]
Figure 112004010970432-pat00004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고강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는 강도가 9.0 g/d 이상이고, 절단신도가 8.5% 이상이며 단면변동률이 11.5% 이하이므로 연사, 제직, 열처리 등의 공정을 거쳐서 타이어코드와 같은 고무보강재용 소재로 사용하기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3)

  1. 고유점도 0.60 ~ 0.80 dl/g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고분자를 방사속도 300 ~ 600 m/mim의 저속방사 조건에서 총연신비 6.4 ~ 7.0배로 연신하고, 상기 총연신비의 90% 이상을 연신하는 주연신을 1차에 이은 2차 연신으로 처리하며, 1차 연신과 2차 연신의 비율을 80:20 ~ 91:9로 하며,
    상기 1차 연신에 앞서 예비 연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조 되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가 9.0 g/d 이상의 강도, 8.5% 이상의 절단 신도 및 단면변동률 11.5% 이하의 단면변동률을 갖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40017916A 2004-03-17 2004-03-17 고강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5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916A KR100995602B1 (ko) 2004-03-17 2004-03-17 고강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916A KR100995602B1 (ko) 2004-03-17 2004-03-17 고강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823A KR20050092823A (ko) 2005-09-23
KR100995602B1 true KR100995602B1 (ko) 2010-11-19

Family

ID=3727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916A KR100995602B1 (ko) 2004-03-17 2004-03-17 고강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6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823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843B1 (ko) 탄소 섬유 전구체 섬유 및 탄소 섬유와 그 제조 방법
CN109154109B (zh) 碳纤维束及其制造方法
KR100909559B1 (ko) 고강도 폴리에틸렌 섬유
KR102142368B1 (ko) 탄소섬유 다발 및 이의 제조방법
JP4337539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の製造方法、及び溶融紡糸用紡糸口金
KR100995602B1 (ko) 고강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4791844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
KR101384670B1 (ko) 고강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코드용 원사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타이어코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강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코드
JP2002309442A (ja) ポリケトン繊維、コ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299513A (ja) ポリフエニレンサルフアイドモノフイラメントの製造方法
KR20070072032A (ko) 영구 변형율이 적은 산업용 고강력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그 제조방법
KR101143721B1 (ko) 고비중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21142B1 (ko) 평활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제조방법
KR100880870B1 (ko)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77095B1 (ko) 고속방사에 의한 고강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섬유 및이의 제조방법
KR101470250B1 (ko) 탄소섬유 전구체 섬유의 제조방법
KR100429949B1 (ko) 고강력, 고형태안정성 딥코드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수득된pet 섬유
US20230235485A1 (en) Polyacrylonitrile-based stabilized fiber, carbon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Van Der Zwaag Structure and properties of aramid fibres
KR100736887B1 (ko) 평면단면을 갖는 고강력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드프코오드제조방법
KR100616809B1 (ko) 고강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960002889B1 (ko) 고강력, 저수축 폴리에스테르섬유
KR101535817B1 (ko) 고강력 폴리케톤 섬유의 제조 방법
JPH05163627A (ja) ポリエステルタイヤコードの製造方法
KR20110073778A (ko) 폴리케톤 섬유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