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409B1 -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409B1
KR100995409B1 KR1020057000140A KR20057000140A KR100995409B1 KR 100995409 B1 KR100995409 B1 KR 100995409B1 KR 1020057000140 A KR1020057000140 A KR 1020057000140A KR 20057000140 A KR20057000140 A KR 20057000140A KR 100995409 B1 KR100995409 B1 KR 100995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ignal
display device
video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6967A (ko
Inventor
마미 우찌다
다쯔야 요꼬야마
유까 오하시
아유미 미조부찌
진 사또
유시 사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16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1/42227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 H04N21/42228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the reprogrammable keys being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keys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8Transmitter circuitry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4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using alphanumeric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표시 장치와 적어도 한쪽의 표시 장치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고 다른쪽의 표시 장치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베이스 장치로 이루어진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서, 이 영상 표시 시스템(1)은, 가반형 표시 장치(100), 베이스 장치(200) 및 대화면 표시 장치(300)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장치(200)는 표시 장치(100, 300)에 영상 신호를 공급한다.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표시 화면에는, 사용자가 접촉했을 때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이 설치되고, 표시 화면 상에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리모콘 패널 RP를 표시하고, 터치 패널에 의해 검출되는 접촉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리모콘 패널 RP의 표시 항목에 따른 조작 신호를 형성하여, 무선 통신으로서 베이스 장치(200)에 송신하고, 베이스 장치(200)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영상 신호의 공급원인 외부 입력 장치(40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를 선택하여,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공급한다.
Figure R1020057000140
베이스 장치, 증폭기, 영상 신호, 영상 표시 시스템

Description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METHOD AND DISPLAY UNI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표시 장치와 적어도 한쪽의 표시 장치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여 다른쪽의 표시 장치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베이스 장치로 이루어진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영상 표시 방법, 및 이 영상 표시 시스템에 사용되어 베이스 장치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서 2002년 7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2-197683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 출원은 참조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화질의 조정이나 타이머의 설정 등은, 텔레비전 수상기의 원격 제어 장치(이하, 리모콘이라고 약칭함)의 버튼 조작 등에 의해, 텔레비전 수상기의 표시 화면에 실행 가능한 처리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목적으로 하는 처리를 선택하고,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가이던스 표시 등에 따라, 리모콘을 조작함으로써, 화질의 조정이나 타이머의 설정 등의 목적으로 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STB(Set-Top box)나 IRD(Integrated Receiver Decoder) 등이라고 칭하 는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에서는, EPG라고 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등의 데이터 표시를, 모니터 수상기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는, 수신기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모니터 수상기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에 기초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함으로써, 수신기의 선국 채널을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이, 텔레비전 수상기나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에서는, 메뉴나 가이던스, 혹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등의 정보 표시와, 리모콘 조작을 조합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처리를 알기 쉽고 비교적 간단히 실행시킬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상기나 STB나 IRD에 대하여 목적으로 하는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해, 메뉴나 가이던스 등의 필요한 정보를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이 표시 정보를 보면서 리모콘을 조작하는 방식에서는, 리모콘에 대한 조작이 번잡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메뉴 중에서 목적으로 하는 처리를 선택 항목으로서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시키기 위해, 메뉴의 페이지 이송을 복수회 행해야만 하거나, 표시 화면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리모콘에 대하여 빈번하게 조작을 행해야만 하거나, 리모콘을 통하여 결정 조작을 행해야만 하는 등의 경우가 있다.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모니터 장치도,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이용함으로써, 소형화, 경량화가 진행되어, 운반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손이 닿는 위치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증가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텔레비전 수상기 의 리모콘은 불필요하고,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공급하는 수신기 등의 외부 입력 장치의 리모콘의 존재가 번거로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건 출원인은,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2-3402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듯이,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영상 정보를 보거나, 음성 정보를 청취하거나 할 수 있음과 함께, 표시 장치의 표시 소자에 표시되는 조작용 표시 정보와 터치 패널 등의 접촉 위치 검출 수단을 통하여, 베이스 장치나 베이스 장치에 접속되는 외부 입력 장치를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번거로운 조작을 행하지 않고, 원격 조작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보다 사용성이 좋은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한 쌍방향 통신 시스템을 먼저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일본 특개 2002-34023 공보에 기재된 쌍방향 통신 시스템에서는, 표시 장치의 표시 소자에 표시되는 조작용 표시 정보와 터치 패널 등의 접촉 위치 검출 수단을 통하여, 베이스 장치나 베이스 장치에 접속되는 외부 입력 장치를 원격 조작할 수 있어, 원하는 영상을 간단히 선택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쌍방향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신규의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쌍방향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2 이상의 표시 장치에 베이스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공급함에 있어서, 한쪽의 표시 장치로부터 베이스 장치를 원격 조작하여, 다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러한 영상 표시 시스템에서 베이스 장치를 원격 조작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은, 제1 및 제2 표시 장치와 적어도 제1 표시 장치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베이스 장치로 이루어진 영상 표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표시 장치는, 베이스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구비한다. 제2 표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조작용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 접수 수단과, 상기 조작 입력 접수 수단에 의해 특정된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항목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 신호 생성 수단과, 해당 조작 신호를 상기 베이스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베이스 장치는, 적어도 제1 표시 장치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신호 출력 수단과, 적어도 제2 표시 장치로부터의 상기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영상 신호의 공급원인 외부 입력 장치를 접속하는 외부 입력 장치 접속 수단과, 상기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외부 입력 장치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입력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 신호 송신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은, 제2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여 베이스 장치에 송신하고,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베이스 장치에 접속된 영상 신호의 공급원으로 되는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여 원하는 영상을 제1 표시 장치에 공급하여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제2 표시 장치를 제1 표시 장치의 원격 조작 장치로서 기능시킬 수 있 다.
제2 표시 장치의 조작 입력 접수 수단은,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접촉하도록 한 상기 표시 화면 상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접촉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조작 신호 생성 수단은, 접촉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표시 화면 상의 접촉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항목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 장치의 통신 수단은, 또한 적어도 조작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표시 장치에 송신하고, 제2 표시 장치의 통신 수단은, 또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 장치는, 튜너 수단을 구비하고,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튜너 수단에 의해 선국된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신호 출력 수단을 통하여 제1 표시 장치에 공급해도 된다.
또한, 제1 표시 장치는, 튜너 수단을 구비하고, 베이스 장치로부터 조작 신호가 입력되어 이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튜너 수단에 의해 선국된 영상 신호를 영상 표시부에 의해 표시해도 된다.
또한, 베이스 장치의 제어 신호 송신 수단은,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외부 입력 장치 제어 신호를 적외선 신호에 의해 무선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베이스 장치는, 통신 회선에 접속되고, 이 통신 회선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쌍방향 통신 수단을 통하여 수신한 조작 신호가 제1 표시 장치 및/또는 제2 표 시 장치에의 정보 신호의 송신 지시인 경우에, 정보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송신 제어 수단과, 쌍방향 통신 수단을 통하여 수신한 조작 신호가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상대편으로 송신하는 송신 정보인 경우에, 송신 정보를 통신 회선을 통하여 목적으로 하는 상대편에게 송신하는 송신 정보 송신 수단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조작용 표시 정보는, 표시 화면 상에 투과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입력 장치 접속 수단은, 증폭기를 통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공급원인 상기 외부 입력 장치를 접속할 수 있다.
제2 표시 장치는,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내용에 연동하여 제1 표시 장치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를 전환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연동/비연동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연동의 경우에는, 조작용 표시 정보의 전환에 연동하여 제1 표시 장치의 입력도 전환되고, 비연동의 경우에는, 제1 표시 장치의 입력을 전환하지 않고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내용을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제1 및 제2 표시 장치와 적어도 제1 표시 장치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베이스 장치로 이루어진 영상 표시 시스템의 영상 표시 방법으로서, 제2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조작용 표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 공정과, 이 접수 공정에 의해 특정된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항목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 신호 생성 공정과, 제2 표시 장치의 베이스 사이에서 신호의 수수를 행하는 쌍방향 통신 수단을 통하여 조작 신호를 베이스 장치에 송신하는 조작 신호 송신 공정과,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공급원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외부 입력 장치 제어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영상 신호의 공급원인 외부 입력 장치에 접속되어 적어도 하나의 영상 표시 장치에 소정의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베이스 장치 사이에서 신호의 수수를 행하는 통신 수단과,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조작용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 접수 수단과, 조작 입력 접수 수단에 의해 특정된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항목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 신호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조작 신호가, 통신 수단을 통하여 베이스 장치에 송신되고, 베이스 장치가,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소정의 영상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에 공급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반형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베이스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가반형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텔레비전용 리모콘 패널을 도시하는 모 식도.
도 5는 가반형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비디오용 리모콘 패널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6은 가반형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7은 가반형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리모콘 상세 설정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8은 가반형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인덱스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9는 가반형 표시 장치로써 리모콘 패널 RP를 표시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리모콘 패널 RP에 의해, 리모콘 조작할 때의 가반형 표시 장치 및 베이스 장치, 및 대화면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리모콘 패널 RP에 의해, 리모콘 패널 RP 및 대화면 표시 장치의 입력 전환 조작을 할 때의 가반형 표시 장치 및 베이스 장치, 및 대화면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베이스 장치의 외부 입력 단자에 증폭기를 통하여 복수의 외부 입력 기기가 접속되는 경우의 영상 표시 시스템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3은 가반형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증폭기용 리모콘 패널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4는 입력 전환 비연동의 경우의 가반형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텔레비전 용 리모콘 패널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5는 입력 전환 비연동의 경우의 가반형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비디오용 리모콘 패널을 도시하는 모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 이 영상 표시 시스템에 이용되는 영상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예는, 본 발명을, 대화면 표시 장치(제1 표시 장치)와, 가반형(可搬型) 표시 장치(제2 표시 장치)와, 적어도 이 대화면 표시 장치에 영상을 공급하는 베이스 장치(베이스 스테이션)로 이루어지고, 가반형 표시 장치에 의해, 무선 통신으로써 베이스 장치를 원격 조작하여, 베이스 장치를 통하여 대화면 표시 장치에 영상을 공급하는 외부 입력 기기를 제어하여 대화면 표시 장치에 영상을 표시시키는 가반형 표시 장치와 베이스 장치 사이에서 무선 쌍방향 통신 가능한 영상 표시 시스템에 적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영상 표시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소자로서 LCD(107)를 구비하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가반형 표시 장치(제2 표시 장치)(100)와, 베이스 장치(베이스 스테이션)(200)와, 이 베이스 장치(200)와 전용 접속 케이블(350)에 의해 접속된, 예를 들면 대화면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대화면 표시 장치(제1 표시 장치)(300)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장치(200)에는, 영상 신호의 공급원인 복수의 외부 입력 기기(외부 입력 장치)(400)가 접속되고, 이 외부 입력 기기(40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가, 베이스 장치(200)를 통하여 가반형 표시 장치(100) 및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공급되어 표시된다. 가반형 표시 장치(300)는, 무선 통신에 의해 베이스 장치(200)와 통신 가능하고, 베이스 장치(2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음과 함께, 베이스 장치(200)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베이스 장치(200)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 입력 단자(외부 입력 장치 접속 수단)를 구비하고, 예를 들면 VTR(Videotape Recoder), STB(Set Top Box), IRD(Integrated Receiver Decoder), DVD(Digital Versatile Disk) 장치 등의 각종 외부 입력 기기(400)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부 입력 기기(400)는, 예를 들면 비디오데크(401), DVD(402), BS(Broadcast Satelite) 디지털 튜너 등의 STB(403) 등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장치(200)에는 7개의 외부 입력 기기 접속용 외부 입력 단자가 설치되고, 7개의 외부 입력 기기와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하지만, 외부 입력 단자는, 필요에 따라 임의의 수만큼 설치할 수 있다.
베이스 장치(200)에는, 외부 입력 기기(400)의 예를 들면 STB(403)로부터의 위성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 등이 공급되고, 이들 정보 신호를 접속 케이블(350)을 통하여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공급함과 함께, 무선 신호에 의해,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 공급할 수 있다.
가반형 표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기기(400)를 제어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알파브랜드(투과) 표시 기능을 갖는 원격 조작(remote control)용 패널(조작용 표시 정보)(이하, 리모콘 패널이라고 함) RP를 LCD(107)에 필요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리모콘 패널 RP를 통하여 베이스 장치(200)를 원격 조작하여, 외부 입력 기기(40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를 선택하여, 가반형 표시 장치(100) 및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는, 리모콘 버튼(123)이 설치되고, 이에 의해, 리모콘 패널 RP를 표시시킬 수 있다.
리모콘 패널 RP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에 의해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표시되는 소위 소프트웨어 키이다. 또한, LCD(107)에는, 사용자가 접촉하도록 한 LCD(107)의 표시 화면 상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접촉 위치 검출 수단)이 부착되어 있고, 리모콘 패널 RP의 표시와, 터치 패널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할 수 있다.
리모콘 패널 RP는, 예를 들면 전원의 온/오프 키, 채널 선국을 위한 숫자 키, 채널의 업/다운 키, 음량의 업/다운 키 등을 구비한 것이다.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한 경우, 이 접촉 위치(좌표 위치)를 검출하고, 그 접촉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리모콘 패널 RP를 구성하는 조작 키(조작 항목)를 판별한다. 그리고, 가반형 표시 장치(100)는, 이 조작 키에 따른 조작 신호를 형성하고, 이것을 베이스 장치(200)에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LCD(107)에 표시되는 리모콘 패널 RP와 터치 패널을 통하여, 소위 원터치로 외부 입력 기기(400)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고, 베이스 장치(200)를 통하여 외부 입력 기기(400)를 원격 조작하여 원하는 영상 을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반형 표시 장치(100)와 베이스 장치(200) 사이에는, 쌍방향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베이스 장치(200)에는, 적외선의 리모콘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콘 신호 송신부(리모콘 마우스)(250)가 접속되어 있고,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른 리모콘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을 외부 입력 기기(400)에 송신한다. 외부 입력 기기(400)는, 적외선 리모콘 신호를 수광하는 광 검출기 등으로 이루어진 리모콘 신호 수광부(251)를 갖고, 베이스 장치(200)의 리모콘 마우스(250)로부터의 리모콘 신호를 수광하고, 이 리모콘 신호에 따라서, 예를 들면 외부 입력 기기(400)의 전원의 온·오프 등을 행하도록 원격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장치(200)는, 튜너 수단을 구비하고,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공급할 수 있다.
가반형 표시 장치(100)는, 소형 및 경량이고, 또한 베이스 장치(200)와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기 때문에, 운반 가능하고, 사용자는, 베이스 장치(200)와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이면 어디든 가반형 표시 장치(100)를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가반형 표시 장치(100)를 사용하여, 베이스 장치(200)의 튜너에 의해 선국되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베이스 장치(200)에 외부 입력 기기로서 접속되는 예를 들면 STB(403) 등에 의해 선국된 위성 방송 신호에 의해 제공되는 위성 방송 프로그램, 및 VTR이나 DVD 장치에 의해, 이들 VTR이나 DVD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영화 등을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공급하여 시청할 수 있다.
또한,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 베이스 장치(200)의 모뎀을 통하여, 통 신 네트워크, 예를 들면 인터넷 상에 제공되고 있는 소위 홈페이지의 정보를 취득하고, 그 홈페이지의 정보를 시청하거나, 자신 앞으로의 전자 메일을 수신하여, 그 전자 메일을 LCD(107)에 표시하여 보거나, 또한 목적으로 하는 상대편에게 전자 메일을 작성하여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메일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알파벳 키나 50음키 등으로 이루어진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LCD(107)에 표시하고, 이 소프트웨어 키보드와 터치 패널을 통하여, 전자 메일을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 키를 조작하는 등의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작성한 전자 메일을 베이스 장치(200)에 송신하고, 베이스 장치(200)를 통하여 상대편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장치(200)는, STB(403) 등의 외부 입력 장치,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 등의 각종 정보 전송 매체와 표시 장치(100)를 연결시키는 베이스가 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 의해, 베이스 장치(200)를 원격 조작함으로써,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베이스 장치(200)로부터 정보 신호를 공급하고, 이것을 재생하여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음과 함께, 가반형 표시 장치(100)는, 전자 메일 등의 송신 정보를 형성하여, 베이스 장치(200)를 통하여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영상 표시 시스템(1)에서의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반형 표시 장치(100)는, 송수신 안테나(101), 안테나 공용기(102), 수신 처리부(103), 디코드부(104), OSD(On Screen Display) 처리부(105), 영상 신호 처리부(106), LCD(107), 음성 신호 증폭부(108), 스피커(109), 송신 신호 형성부(111), 송신 처리부(112), 터치 패널(121), 및 좌표 검출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각부는, 제어부(130)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어부(1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31), ROM(Read Only Memory)(132), RAM(Random Access Memory)(133),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134)이 CPU 버스(135)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된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진다.
ROM(132)은, 이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서 실행하는 각종 처리 프로그램이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등이 기록된 것이다. RAM(133)은, 각종 처리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 유지하는 등과 같이, 주로 각종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EEPROM(134)은, 소위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전원이 차단되어도, 기억 유지한 정보가 없어지지 않고, 예를 들면 각종 설정 파라미터나, 베이스 장치(200)를 통하여, 취득하도록 한 인터넷 상의 홈페이지나, 베이스 장치(200)를 통하여 송신하는 작성한 전자 메일이나 수신한 전자 메일 등을 기억 유지한다.
여기서, 베이스 장치(200)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가반형 표시 장치(100)와 베이스 장치(200) 사이에는, 예를 들면 IEEE(Institute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802.11 방식의 프로토콜, 혹은 그 발전 프로토콜 등의 소정의 프로토콜이 이용되어 무선 통신이 행해진다.
베이스 장치(200)로부터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한 무선 신호는, 모니터 장치(100)의 송수신 안테나(101)에 의해 수신되고, 안테나 공용기(이하, 단순히 공용기라고 함)(102)를 통하여 수신 처리부(103)에 공급된다. 공용기(102)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모니터 장치(100)는, 베이스 장치(200)로부터의 신호를 송수신 안테나(101)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음과 함께, 자신의 기기로부터의 조작 신호 등을 송수신 안테나(101)를 통하여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공용기(102)는, 송신 처리부(112)로부터의 송신 신호가, 송수신 안테나(102)를 통하여 수신되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수신 처리부(103)는, 이것에 공급된 신호를 복조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 복조후의 신호를 디코드부(신장 처리부)(104)에 공급한다. 베이스 장치(200)는, 내장된 제1 혹은 제2 튜너(201, 202)에 의해 선국한 지상파의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 자신의 모뎀을 통하여 수신한 텍스트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 등의 표시용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혹은 STB로부터의 위성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 등의 정보 신호를 데이터 압축하여 송신한다.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디코드부(104)는, 수신 처리부(103)로부터의 복조된 데이터 압축되어 있는 신호의 공급을 받아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분리하 고, 분리한 신호를 신장(압축 복원)함으로써, 데이터 압축 전의 원래의 신호를 복원한다.
디코드부(104)는, 복원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형성한다. 그리고, 디코드부(104)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OSD 처리부(105)에 공급하고,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 증폭부(108)에 공급한다.
OSD 처리부(105)는, 제어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따라서, 전술한 리모콘 패널 RP나 메뉴 표시, 각종 메시지 등을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외의 문자, 그림, 기호 등의 표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소위 텍스트/그래픽 처리 회로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리모콘 버튼(123)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리모콘 패널 RP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이것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가, 제어부(130)로부터 OSD 처리부(105)에 공급된다. 디코드부(104)로부터의 영상 신호와, 제어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리모콘 패널 RP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가 합성되고, 이것이 영상 신호 처리부(106)에 공급된다.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선택하도록 되어 있는 채널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나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음량 바 등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가, 제어부(130)로부터 OSD 처리부(105)에 공급된다. 디코드부(104)로부터의 영상 신호와, 제어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채널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나 음량 레벨을 나타내는 음량 바 등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가 합성되고, 이것이 영상 신호 처리부(106)에 공급된다.
영상 신호에 리모콘 패널 RP 등의 표시 정보를 합성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OSD 처리부(105)에는 표시 정보는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디코드부(104)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그대로 영상 신호 처리부(106)에 공급된다. 영상 신호 처리부(106)는, OSD 처리부(105)를 통하여 공급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표시용 신호를 형성하여, 이것을 LCD(107)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LCD(107)의 표시 화면에는, 베이스 장치(200)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온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이 표시된다. 이 경우, OSD 처리부(105)에서, 영상 신호에 리모콘 패널 RP 등의 표시 정보가 합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모콘 패널 RP 등의 표시 정보가, 디코드부(104)로부터의 영상 신호에 의한 영상과 함께 표시된다.
한편, 음성 신호 증폭부(108)는, 이것에 공급된 음성 신호를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하고, 이것을 스피커(109)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스피커(109)로부터는, 베이스 장치(200)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온 음성 신호에 따른 음성이 방음된다.
이와 같이, 가반형 표시 장치(100)는, 베이스 장치(200)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오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등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반형 표시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LCD(107)에 표시되는 리모콘 패널 RP와, LCD(107)의 표면에 부착된 터치 패널(121)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고, 이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신호를 베이스 장치(200)에 송신하는 원격 조작 장치(리모콘)로서 기능한다.
이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한 터치 패널(121) 위의 접촉 위치(좌표 위치)를 좌표 검출부(122)에 의해 검출하고, 이 좌표 검출부(122)에 의한 검출 출력에 기초하여 제어부(130)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판별하여, 그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신호를 형성한다. 제어부(130)는,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신호를 송신 신호 형성부(111)에 공급한다. 송신 신호 형성부(111)는, 제어부(130)로부터의 조작 신호로부터 베이스 장치(200)에 송신하는 송신 신호를 형성하고, 이것을 송신 처리부(112)에 공급한다. 송신 처리부(112)는, 공급된 송신 신호를 변조하거나 증폭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 실제로 송신하는 형식의 송신 신호를 형성하고, 이것을 공용기(102), 송수신 안테나(101)를 통하여 베이스 장치(200)에 대하여 무선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조작 신호는, 베이스 장치(200)에 의해 수신된다.
이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는, 인터페이스(I/F)(140)를 통하여, 키 입력부(141)가 접속되어 있다. 키 입력부(141)는, 예를 들면 전원의 온/오프 스위치 등을 구비한 것이고, 이 키 입력부(141)를 통하여 접수한 조작 입력은, I/F(140)를 통하여 제어부(130)에 공급되어, 전원의 투입 등 조작 키에 따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 장치(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1)에서의 베이스 장치(2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베이스 장치(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선국하는 제1 및 제2 튜너(202A, 202B)를 구비함과 함께, 전화망이나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변조 복조기인 소위 모뎀을 구비하고, 전화선 L을 통하여 전화망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서, 단자 MJ는,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화선 L과의 접속 단자(모듈러 잭)이다. 또한, 베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204, 205) 등(도 3에서는 2개만 도시)을 구비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VTR, STB, IRD, DVD 장치 등의 각종 외부 입력 기기(4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 베이스 장치(200)는, 자신의 튜너(202A, 202B)에 의해 선국하여, 복조함으로써 얻은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 혹은 자신의 모뎀을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얻은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혹은 STB로부터의 위성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 등의 정보 신호를 가반형 표시 장치(100) 및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베이스 장치(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안테나(201A, 201B)에 접속되는 각각 튜너(202A, 202B), 복조부(203A, 203B), 영상 신호 입력 단자(204), 음성 신호 입력 단자(205), 셀렉터(206), 압축 처리부(207), 송신 신호 형성부(208), 송신 처리부(209), 안테나 공용기(이하, 단순히 공용기라고 함)(210), 송수신 안테나(211), 수신 처리부(21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베이스 장치(200)의 각부는, CPU(231), ROM(232), RAM(233), EEPROM(234)이 CPU 버스(235)를 통하여 접속되어 구성된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진 제어부(230)에 의해서 제어되고 있다.
송수신 안테나(211)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와의 쌍방향 통신 수단으로서, 상술한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라서 생성된 조작 신호가, 송수신 안테나(211)를 통하여 수신 처리부(212)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 처리부(212)에 의해 수신된 조작 신호는, 제어부(230)로 보내진다. 이렇게 해서 베이스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이 조작 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정보 신호(영상 신호)를 출력 단자(215)로부터 도 1에 도시한 접속 케이블(350)을 통하여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ROM(232)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장치(200)에서 실행하는 각종 처리 프로그램이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등이 기록된 것이다. RAM(233)은, 각종 처리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 유지하는 등과 같이, 주로 각종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EEPROM(234)은, 소위 불휘발성의 메모리로서, 전원이 차단되어도, 기억 유지한 정보가 없어지지 않고, 예를 들면 베이스 장치(200)의 주전원이 차단되기 직전까지 선국하고 있었던 방송 채널의 정보를 기억 유지하고, 전원 투입 후에는, 전회 전원이 차단되기 직전까지 선국하고 있었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국하도록 하는 소위 라스트 채널 메모리 기능을 실현하는 것 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CPU 버스(235)에는, 모뎀부(220)가 접속되어 있다. 모뎀부(220)는, 인터페이스(이하, I/F라고 약칭함)부(221)와, 통신부(222)로 이루어져 있다. I/F부(221)는, 통신 회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화 회선과, 이 베이스 장치(20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 보내지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전화 회선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베이스 장치(200)로부터의 신호를 전화 회선에 송신하기도 한다.
통신부(222)는, I/F부(221)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복조하여, 이것을 제어부(230)에 공급하거나, 제어부(230)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변조하여, 이것을 I/F부(221)에 공급하기도 한다. 이에 의해, 전화 회선이 접속된 상대편과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의 송신, 수신을 행할 수 있다.
이 베이스 장치(200)는, 모뎀부(220), 전화선 L, 및 소정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의 제공을 받거나, 전자 메일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어부(230)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 보내지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모뎀부(220)를 제어하여, 오프 훅하거나 온 훅할 수 있음과 함께, 오프 훅하도록 모뎀부(220)를 제어했을 때에는, 다이얼 신호를 전화 회선에 송출하도록 하는 소위 다이얼로서의 기능 등을 구비한 것이다.
베이스 장치(200)는, 외부 입력 단자(204, 205) 등을 통하여 외부 입력 기기(40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 보내지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외부 입력 장치(40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 단자(215)를 통하여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어부(230)에는, 전원의 온/오프 키나 각종 설정 키가 설치된 키 입력부가 접속되어 있고, 베이스 장치(200)의 주 전원의 온/오프나, 각종 설정 입력을, 키 입력부를 통하여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장치(200)의 튜너(202A, 202B)는, 각각 수신 안테나(201A, 201B)를 통하여 입력되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부터, 제어부(230)로부터의 선국 지시 신호에 따른 채널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선국하고, 이 선국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각각 복조부(203A, 203B)에 공급한다. 복조부(203A, 203B)는, 이것에 공급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 후의 신호(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신호)를 셀렉터(206)에 공급한다.
이 셀렉터(206)에는, 영상 신호의 외부 입력 단자(204)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 음성 신호의 외부 입력 단자(205)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신호 외에, 제어부(230)로부터의 정보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230)로부터 셀렉터(206)에 공급되는 정보로서는, 모뎀부(220)를 통하여, 취득한, 예를 들면 인터넷 상에 공개되어 있는 소위 홈페이지의 정보나, 전자 메일 등의 정보이다.
셀렉터(206)는, 제어부(230)로부터의 전환 제어 신호에 따라, 복조부(203)로부터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출력할지, 외부 입력 단자(204, 205)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출력할지, 제어부(230)로부터 모뎀부(220)를 통하여 취득한 각종 정보 신호를 출력할지를 전환한다. 이 제어부(230)로부터 셀렉터(206)에 공급되는 전환 제어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오는 조작 신호에 의해서 제어부(230)에서 형성된다.
셀렉터(206)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압축 처리부(207)에 공급된다. 압축 처리부(207)는, 이것에 공급된 신호를 소정의 압축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압축한다. 이 압축 처리부(207)에서는, 예를 들면 MPEG 방식이나 Wavelet 방식 등의 데이터 압축 방식을 이용하여, 셀렉터(206)로부터의 신호를 데이터 압축한다.
압축 처리부(207)에서 데이터 압축된 신호는, 송신 신호 형성부(208)에 공급된다. 송신 신호 형성부(208)는, 미리 결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준거한 송신 신호를 형성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베이스 장치(200)는, 예를 들면 IEEE(Institute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방식의 프로토콜, 혹은 그 충전 프로토콜에 준거한 송신 신호를 형성한다.
송신 신호 형성부(208)에서 형성된 송신 신호는, 송신 처리부(209)에 공급된다. 송신 처리부(209)는, 제어부(2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송신 신호의 변조 처리나 증폭 처리를 행한다. 송신 처리부(209)에서 처리된 송신 신호는, 공용기(210), 송수신 안테나(211)를 통하여 가반형 표시 장치(300)로 무선 송신된다. 공용기(210)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공용기(102)와 마찬가지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베이스 장치(200)는, 튜너(202A, 202B)에 의해 선국된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 혹은 외부 입력 단자(204, 205)를 통하여, 접수한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 혹은 모뎀(220)을 통하여 취득한 정보의 텍스트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셀렉터(205)로 선택하고, 출력 단자(215)로부터 상기 도 1의 접속 케이블(350)을 통하여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데이터 압축하여,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로 무선 송신함으로써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1)에서의 가반형 표시 장치 (100)의 LCD(107)에 설치되는 터치 패널(121) 및 LCD(107)에 표시되는 리모콘 패널 RP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LCD(107)에 표시되는 리모콘 패널 RP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각각 TV용 및 비디오용 리모콘 패널 RP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는, LCD(107)에는, 리모콘 패널 RP만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지만, 리모콘 패널 RP가 표시되어 있는 이외의 영역에, 대화면 표시 장치(300)와 마찬가지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4에 도시한 TV용 리모콘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리모콘 버튼(123), 또는 TV용 리모콘 패널 RP를 표시시키는 전용 리모콘 버튼을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 설치하는 등을 행하여, 이들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TV용 리모콘 이외의 리모콘 패널, 즉,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비디오용 리모콘 패널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인덱스 화면에 설치한 버튼 또는 TV용 리모콘 패널에 설치한 기기 선택 버튼 등을 조작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 패널 RP의 우측에는, 베이스 장치(200)를 선택하고, 베이스 장치(200)로부터의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기기 선택 버튼(5101), 베이스 장치(200)에 접속된 복수의 외부 입력 기기(400)를 선택하여, 각 외부 입력 기기(400)로부터의 각종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기기 선택 버튼(5102, 5103, …)이 표시되어 있다.
도 4는 기기 선택 버튼(5101)이 선택되어, TV용 리모콘 패널 RP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이고, 도 5는 외부 입력 기기(400)로서, 비디오 장치가 접속되어 있으며, 그 비디오 장치를 지정하는 기기 선택 버튼(5103)이 선택되어, 비디오용 리모콘 패널 RP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들의 리모콘 패널 RP에는, 기기 선택 버튼(5101, 5102…)과는 별도로, 대화면 표시 장치(300) 및 LCD(107)에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 모드, 화면 표시, 와이드 표시, 서라운드 등을 전환하는 버튼(501a∼501d),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전원용 버튼(502), 음량 조절용 음량 업 버튼(503a), 음량 다운 버튼(503b), 소음 버튼(504), 및 리모콘 패널의 표시를 오프 상태로 하는 표시 오프 버튼(505)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TV용 리모콘 패널 RP에는, 또한 TV 채널을 선택하는 버튼, 및 TV 채널 업/다운 버튼 등의 각종 텔레비전 조작용 버튼이 표시된 표시부(520)가 구비되어 있고, 도 5에 도시한 비디오용의 리모콘 패널 RP에는, 비디오의 전원 버튼, 채널 업/다운 버튼, 녹화, 재생, 되감기, 빨리 감기, 일시정지, 및 정지 등의 조작 버튼 등, 각종 비디오 조작용 버튼이 표시된 표시부(530)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의 버튼을 조작(터치)함으로써, LCD(107)의 표면에 설치된 터치 패널(121)이 조작 위치를 검출하고,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30)가 검출한 조작 위치에 따라서, 예를 들면 음량 업 또는 음량 다운의 음량 조절 커맨드, 채널 업, 또는 채널 다운의 선국 커맨드 등을 나타내는 조작 신호를 형성하여 송신 처리부(112)로부터 베이스 장치(200)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베이스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조작 신호에 따른 음량 조절 처리, 선국 처리 등을 행한다.
여기서, 외부 입력 기기(400)의 기기를 선택하는 기기 선택 버튼(5102, 5103 …)의 선택에 따라서 리모콘 패널 RP의 표시도 전환되지만, 이 기기 선택 버튼(5102, 5103…)의 상세한 설정은, 설정 화면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도 6은,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 설정 화면은, 예를 들면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 전용 버튼을 설치하여 이 버튼을 조작하거나, 후술하는 인덱스 화면에 전용 버튼을 설치하여 이 버튼을 조작하거나, 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의 하방에 설치된 조작 바(541)의 리모콘 설정 버튼을 조작하는 등을 행함으로써 LCD(107)의 윈도우(540) 위에 도 6에 도시한 설정 화면(55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 화면(550)에는, 입력 단자, 인덱스 및 리모콘 설정을 나타내는 표시란(551∼553)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설정 화면(550)의 하방의 윈도우(540) 위에는, 각종 조작 버튼을 갖는 조작 바(541)가 설치되어 있다.
입력 단자의 표시란(551)은, 베이스 장치(200)에 설치된 외부 입력 단자에 접속하는 외부 입력 기기(400)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7개의 접속 단자가 설치되고, 7개의 외부 입력주기(400)와 접속 가능해져 있고, 7개의 외부 입력 기기(400)가 각각 「비디오 1」∼「비디오 7」의 란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인덱스 표시란(552)은, 후술하는 인덱스 화면에서 표시할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것으로, 도 6에서는 2번째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 하드디스크인 외부 입력 기기(「비디오 2」)만, 인덱스 화면에서 표시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인덱스 화면에서의 표시/비표시의 전환은, 예를 들면 설정 화면(550)의 각 입력 단자마다 설치된 체크 박스(554)를 체크하여, 조작 바(541)에 설치된 조작 버튼(표시 버튼(542)/표시 취소 버튼(543))을 조작(터치)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리모콘 설정을 나타내는 표시란(553)은, 예를 들면 각 외부 입력 기기(400)의 종류를 설정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이 리모콘 설정은, 설정 화면(550)의 각 입력 단자마다 설치된 체크 박스(554)를 체크하여, 조작 바(541)에 설치된 조작 버튼(리모콘 설정 버튼)(544)을 조작(터치)함으로써 더 상세한 설정을 할 수 있다.
도 7은 리모콘 상세 설정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 상세 설정의 화면(560)에서는, 외부 입력 기기(400)의 기기를 식별하는 이름(리모콘명)을 입력하는 리모콘명 입력란(561), 리모콘명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기기(400)의 메이커 및 기종명을 선택하는 메이커 선택란(562) 및 기종명 선택란(563) 등이 설치되어 있고, 각 외부 입력 기기(400)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정 화면(550) 등에 의해 설정한 외부 입력 기기(400)의 정보 등을 인덱스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인덱스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인덱스 화면(570)은,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 설치된 도 1의 리모콘 버튼(123) 또는 인덱스 화면(570)을 표시시키는 전용 버튼을 설치하고, 이 버튼을 조작하는 것 등에 의해 윈도우(5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인덱스 화면(570)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설정을 행한 후의 인덱스 화면(570)을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인덱스 화면(570)에는, 텔레비전 채널을 전환하여 선택하기 위한 채널 선국 버튼(571)과, 도 5에서, 입력 단자에 접속된 외부 입력 기기(400)(「비디오 1」∼「비디오 7」) 중, 인덱스 표시를 지정한 것에 대응하는 표시 버튼(572)이 표시된다. 여기서, 도 6에서, 2번째의 입력 단자(「비디오 2」)에 접속한 외부 입력 기기인 하드디스크의 인덱스 표시를 비표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비디오 2에 대응하는 버튼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들의 외부 입력 기기에 대응하는 버튼(572) 외, 인터넷에 접속하는 인터넷 접속용 버튼(573), 메일의 송수신을 행하는 메일 버튼(574), 베이스 장치(200) 또는 외부 입력 기기 등의 메모리에 보존된 사진 등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앨범 버튼(575)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콘텐츠의 서비스를 받기 위한 콘텐츠 서비스 버튼(576) 등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덱스 화면(570)의 예를 들면, 텔레비전의 채널 선국 버튼(571)을 조작(터치)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텔레비전용 리모콘 표시로 전환하고, 비디오 표시 버튼(572)를 조작(터치)하면, 도 5에 도시한 비디오용 리모콘 표시로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한 텔레비전용 리모콘 패널 및 도 5에 도시한 비디오용 리모콘 패널에는, 외부 입력 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버튼(510n)이 표시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상술한 설정 화면에서 「비디오 2」에 대한 인덱스 표시를 비표시로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비디오 2」에 대응하는 버튼은 누를 수 없는(Disable)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현재 표시하고 있는 리모콘 패널 RP에 대응하는 버튼,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비디오용 리모콘 패널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디오 1」이, 도 4에 도시한 텔레비전용 리모콘 패널로 되어 있는 경우에 는, 「플라즈마」버튼이 선택된 상태(다른 것과는 서로 다른 색 등)로 표시된다.
또한, 인덱스 화면(570)의 표시 윈도우(540)의 하방에는, 조작 바(541)가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상술한 도 6에 도시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버튼, 화면메모, 화면 보존, 2중 음성, 화음 슬립, 스와프, 슬로우, 캐치 등의 각종 조작 버튼(581n)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슬로우, 캐치 또는 스와프 버튼(5811∼5813)을 조작(터치)하면, 터치 패널에 의해, 그 조작 위치를 검출하고,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터치 패널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따라서 슬로우 커맨드, 캐치 커맨드 또는 스와프 커맨드를 나타내는 조작 신호를 형성하여 송신 처리부(112)로부터 베이스 장치(200)에 송신한다.
여기서, 베이스 장치(200)는, 상술한 튜너(202A)에 의해 선국된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데이터 압축하여,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로 무선 송신함으로써, 가반형 표시 장치(300)에 공급하고, 튜너(202B)에 의해 선국된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를 상기 베이스 장치(200)의 출력 단자(215)로부터 접속 케이블(350)을 통하여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공급할 수 있다. 즉, 대화면 표시 장치(300)와 가반형 표시 장치(100)는 서로 다른 영상 등의 정보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스와프, 슬로우, 캐치 버튼의 조작에 의해, 대화면 표시 장치(300)로 표시되어 있는 영상 등의 표시 내용과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 표시되어 있는 영상 등의 표시 내용을 교체하여, 대화면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어 있던 표시 내용을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써 표시하고, 반대로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서 표시되어 있던 표시 내용을 대화면 표시 장치 (300)로써 표시(이하, 스와프라고 함)하거나, 또한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서 표시되어 있던 표시 내용을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서도 표시(이하, 슬로우라고 함)하거나, 대화면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어 있던 표시 내용을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서도 표시(이하, 캐치라고 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장치(200)의 제어부(230)가 슬로우 커맨드를 수신하면, 가반형 표시 장치(100)측 및 대화면 표시 장치(300)측의 슬로우 조작 제어를 병행 처리에 의해 행한다. 즉, 슬로우 조작 제어에서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 의해, 슬로우 조작이 가능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무선 권외 등에서 통신 불능인 상태나, 베이스 장치(200)측에서 조작 로크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 등 슬로우 조작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에러 표시를 행하여, 슬로우 조작 제어의 종료로 된다.
슬로우 조작이 가능한 경우에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 상기 슬로우 커맨드를 나타내는 조작 신호를 베이스 장치(200)에 송신하고,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수신 채널을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수신 채널로 전환하는 처리를 호출하여 실행하여, 슬로우 조작 제어의 종료로 된다.
대화면 표시 장치(300)는, 상기 수신 채널을 전환하는 처리의 호출을 수리하면, 화면의 페이드아웃 및 음성의 뮤트 제어를 행하여, 스캔 레이트의 변경 등의 신호 전환 처리를 행하여, 화면의 페이드 아웃 및 음성의 뮤트 제어를 해제하여, 슬로우 조작 제어의 종료로 된다.
이러한 슬로우 조작 제어에 의해,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표시 내용이, 가반형 표시 장치(300)의 표시 내용으로 전환된다. 이 슬로우 조작에서는, 예를 들 면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표시 내용은 전환되지 않고, 이 슬로우 조작을 행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캐치 커맨드를 수신하면, 가반형 표시 장치(100)측 및 대화면 표시 장치(300)측의 캐치 조작 제어를 병행 처리에 의해 행한다. 즉, 캐치 조작 제어에서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 의해, 캐치 조작이 가능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무선 권외 등에서 통신 불능인 상태나, 베이스 장치(200)측에서 조작 로크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 등 캐치 조작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에러 표시를 행하여, 캐치 조작 제어의 종료로 된다.
한편, 캐치 조작이 가능한 경우에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측에서 대화면 표시 장치(300)측의 수신 채널을 취득하고,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 상기 캐치 커맨드를 나타내는 조작 신호를 베이스 장치(200)에 송신하고,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수신 채널을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수신 채널로 전환하는 처리를 호출하여 실행하고, 캐치 조작 제어의 종료로 된다. 또한,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수신 채널을 전환하는 처리의 실행 중에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측의 영상과 음성을 뮤트한다.
대화면 표시 장치(300)측에서는, 수신 채널을 전환하는 처리의 호출을 수신하면, 채널을 전환하지 않고, 가반형 표시 장치(100)측에 수신 채널이 캐치된 것을 OSD 처리부(105)에 의해 일정 시간 표시하여, OSD 처리부(105)에 의한 캐치 표시를 해제하여, 캐치 조작 제어의 종료로 된다.
이러한 캐치 조작 제어에 의해,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표시 내용은, 전환 되지 않고, OSD 처리부(105)에 의한 캐치 표시가 이루어지고,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표시 내용이,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표시 내용으로 전환된다.
또한, 베이스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스와프 커맨드를 수신하면, 상기 가반형 표시 장치(100)측과 대화면 표시 장치(300)측의 스와프 조작 제어를 병행 처리에 의해 행한다. 즉, 스와프 조작 제어에서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 의해, 스와프 조작이 가능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무선 권외 등에서 통신 불능인 상태나, 베이스 장치(200)측에서 조작 로크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 등 캐치 조작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러 표시를 행하여, 스와프 조작 제어의 종료로 된다.
한편, 스와프 조작이 가능한 경우에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 상기 스와프 커맨드를 나타내는 조작 신호를 베이스 장치(200)에 송신하고,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수신 채널을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수신 채널로 전환하는 처리를 호출하여 실행하고,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서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수신 채널을 취득하고, 가반형 표시 장치(300)의 수신 채널을 취득한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수신 채널로 전환하는 처리를 실행하여, 스와프 조작 제어의 종료로 된다. 또한, 가반형 표시 장치(100)측의 수신 채널을 전환하는 처리의 실행 중에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측의 영상과 음성을 뮤트한다.
대화면 표시 장치(300)측에서는, 수신 채널을 전환하는 처리의 호출을 수리하면, 화면의 페이드아웃 및 음성의 뮤트 제어를 행하고, 스캔 레이트의 변경 등의 신호 전환 처리를 행하여, 화면의 페이드아웃 및 음성의 뮤트 제어를 해제하여, 스와프 조작 제어의 종료로 된다.
이러한 스와프 조작 제어에 의해,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표시 내용이, 상기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표시 내용으로 전환되고, 또한 상기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표시 내용이,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표시 내용으로 전환된다.
여기서는, 베이스 장치(200)의 튜너(202A)는 튜너(202B)에 의해 선국되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 화면을 가반형 표시 장치(100)와 대화면 표시 장치(300)로 교체하는 화면 전환 처리, 즉 슬로우 조작 제어, 캐치 조작 제어 및 스와프 조작 제어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STB에 의해 선국된 위성 방송 신호에 의해 제공되는 위성 방송 프로그램이나, 또한 베이스 장치(200)에, VTR이나 DVD 장치가 외부 입력 기기로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VTR이나 DVD 장치에 의해 재생하도록되는 영화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 이 영상 표시 시스템(1)에서는, 셀렉터(206)의 제어에 의해 이들의 재생 화상을 마찬가지의 조작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이 영상 표시 시스템(1)은, 베이스 장치(200)에 구비한 도시하지 않은 로크 스위치에 의해, 버튼 조작 입력에 의한 슬로우 조작 제어, 캐치 조작 제어나 스와프 조작 제어를 접수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 설치된 리모콘 패널 RP 및 터치 패널(12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리모콘 패널 RP를 표시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우선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리모콘 버튼(123)를 누르면(단계 S1),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30)가 리모콘 패널 RP를 표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단계 S2). 구체적으로는, 가반형 표 시 장치(100)는, 베이스 장치(200)와 무선에 의해 통신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권외 등, 가반형 표시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 불가능한 경우에는, LCD(107)에 권외 에러 표시를 표시한다(단계 S3). 한편, 검출 가능한 경우에는, LCD(107)에 리모콘 패널 RP를 표시한다(단계 S4).
리모콘 패널 RP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를 사용하여,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TV 방송 신호가 공급되어 있을 때의 TV 채널의 변경이나 베이스 장치에 접속된 각 외부 입력 기기의 리모콘 조작이 가능하다. 리모콘 조작을 할 때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리모콘 패널 RP가 조작되면, 터치 패널에 의해 이 조작을 검출하고(단계 S11),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30)에 의해, 리모콘 조작이 가능인지의 여부가 검출된다(단계 S12).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모콘 조작이 가능인지의 여부의 검출은, 사용자가 리모콘 패널 RP를 조작할 때마다(터치 패널에 닿을 때마다) 검출하지만,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경과마다 정기적으로 검출할지, 또는 리모콘 조작이 가능할지의 여부를 항상 검출하는 등을 행해도 된다. 리모콘 조작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LCD(107)에 대한 리모콘 패널 RP의 표시는 오프되어, LCD(107)에 에러 표시된다(단계 S13). 한편, 단계 S11에서 리모콘 조작이 가능한 것이 검출된 경우, 사용자가 리모콘 패널 RP에서의 버튼을 조작하면, LCD(107)의 표면에 설치된 터치 패널(121)에 의해, 접촉 위치를 검출하고,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검출한 접촉 위치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 처리부(112)로부터 베이스 장치(200)에 송신한다. 베이스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대화면 표시 장치에 공급되 는 영상 신호를 전환하는 처리가 호출되고(단계 S14), 처리를 완료한다. 이에 의해,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표시가 전환된다.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의 조작 신호가 베이스 장치(200)에 보내지면, 베이스 장치(200)는, 단계 14의 조작 제어와 병행하여, 공급되는 영상 신호 등의 변경에 수반하는 전환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송신한다.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서는, 베이스 장치(200)로부터 전환 처리 제어 신호를 수리하면(단계 S15), 예를 들면 화면의 페이드아웃 및 음성의 뮤트 제어를 행하여, 스캔 레이트의 변경 등의 신호 전환 처리를 행하고(단계 S16), 화면의 페이드아웃 및 음성의 뮤트 제어를 해제하여, 조작이 완료로 된다.
다음으로,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전환 조작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LCD(107)에 리모콘 패널 RP가 표시되어 있을 때만, 리모콘 조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대화면 표시 장치(300)가 텔레비전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전환 조작, 즉 리모콘 패널 RP로부터 「비디오」버튼을 조작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버튼이 조작(터치)되면, 터치 패널이 이것을 검출하고 (단계 S21),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30)가 리모콘 조작이 가능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단계 S22). 리모콘 조작이 불가능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리모콘 패널 RP의 표시가 오프되고, 대신에 에러 표시가 표시된다(단계 S23). 한편, 리모콘 표시 가능한 것이 검출되면, 후술하는 입력 전환이, 연동인지 비연동인지가 검출된다(단계 S24). 비연동이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 에 표시되어 있는 리모콘 패널 RP의 표시만 비디오용 리모콘 패널로 표시가 전환된다(단계 S25). 한편, 연동의 경우에는, 리모콘 패널 RP 및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표시가 동시에 전환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단계 S26).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 베이스 장치(200)에 조작 신호가 보내지면, 베이스 장치(200)는, 단계 26의 조작 제어와 병행하여,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전환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송신한다.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서는, 베이스 장치(200)로부터 전환 처리 제어 신호를 수리하면(단계 S27), 예를 들면 화면의 페이드아웃 및 음성의 뮤트 제어를 행하고, 스캔레이트의 변경 등의 신호 전환 처리를 행하고, 화면의 페이드아웃 및 음성의 뮤트 제어를 해제하여, 조작이 완료로 된다. 이렇게 해서,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표시가 전환된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S24에서의 입력 전환의 연동/비연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리모콘 패널 RP의 기기 선택 버튼의 조작을 터치 패널이 검출하여,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리모콘 패널 RP의 표시를 전환함과 함께, 베이스 장치(200)를 원격 조작하여, 외부 입력 단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소정의 외부 입력 기기(400)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즉, 각 1개의 외부 입력 단자에 1개의 외부 입력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모콘 패널 RP에 표시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기기 선택 버튼(5102, 5103, …)은, 베이스 장치(200)의 각 외부 입력 단자의 전환 선택과 연동하여, 이에 따라 각 외부 입력 기기를 전환 선택할 수 있는 것으 로 설명했지만, 베이스 장치(200)의 1개의 외부 입력 단자에는, 예를 들면 증폭기를 통하여 복수의 외부 입력 기기가 접속되는 경우가 있다.
도 12는, 베이스 장치(200)의 외부 입력 단자에 증폭기를 통하여 복수의 외부 입력 기기가 접속되는 경우의 영상 표시 시스템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장치(200)의 비디오 입력 1에 대응하는 외부 입력 단자에 증폭기(410)가 접속되고, 이 증폭기(410)에, 예를 들면 비디오 장치(411, 412), DVD(413), 튜너, 텔레비전 등의 복수의 외부 입력 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각 기기 선택 버튼은, 1개의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증폭기(410)가 접속되어 있는 외부 입력 단자에 대응하고 있는 기기 선택 버튼은, 증폭기(41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외부 입력 기기(411, 412, 413…)를 선택할 수 없다. 따라서,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설정 화면 등에, 연동/비연동을 설정하는 버튼 등을 설치하여, 1개의 외부 입력 단자에 복수의 외부 입력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모콘 패널 및 터치 패널에 의한 기기 선택 조작과, 베이스 장치(200)의 외부 입력 단자의 전환 조작을 비연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비연동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입력을 전환하지 않고,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 표시되는 리모콘 패널 RP만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증폭기(410)에 복수의 외부 입력 기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미리 외부 입력 기기의 기종 등을 설정 화면에 의해 설정함으로써, 증폭기(410)가 접속되어 있는 외부 입력 단자를 선택하는 기기 선택 버튼을 조작하 면, 도 13에 도시한 증폭기 조작용의 리모콘 패널 RP가 표시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폭기 조작용 리모콘 패널 RP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리모콘 패널 RP와 마찬가지로, 증폭기(410)의 전원을 온/오프를 전환하는 전원 버튼(602), 리모콘 패널 RP의 표시를 삭제하는 표시 오프 버튼(605) 등이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증폭기(410)에 접속되어 있는 각 외부 입력 기기(411, 412, 413…)에 대응하는 기기 선택 버튼(610n: 6101, 6102, 6103…)이 표시된 기기 선택 조작 표시부(620)가 설치되어 있다. 기기 선택 버튼(610n)에 의해, 증폭기(410)의 입력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증폭기(410)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 입력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영상을 베이스 장치(2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기타, 음량 조절 등의 각종 조작 버튼 표시부(630) 등을 설치해도 된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입력 전환이 비연동일 때의 TV용 리모콘 패널 및 비디오용 리모콘 패널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서, 상술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리모콘 패널과 동일한 기능 버튼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 패널 RP의 우측에 표시되는 기기 선택 버튼(5101, 5102, …)의 하방에 입력 전환 버튼(506)이 표시되어 있다. 이 입력 전환 버튼(506)은, 입력 전환 비연동 시에만 표시된다. 기기 선택 버튼(510n)의 전환과 베이스 장치(200)의 외부 입력 단자의 선택 전환을 연동으로 할지, 비연동으로 할지(입력 전환의 연동/비연동)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 화면 등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 전환 버튼(506)이 표시되어, 입력 전환이 비연동인 경우는, 기기 선택 버튼(510n)의 조작에 의해서,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서는, 미리 설정한 기기에 대응하는 리모콘 패널 RP에 표시가 전환하지만, 연동의 경우와 달리, 대화면 표시 장치(300)의 표시는 전환하지 않는다. 즉, 기기 선택 버튼(510n)에 의해서는, 베이스 장치(200)의 외부 입력 단자의 전환 선택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력 전환이 비연동인 경우에, 외부 입력 단자의 전환을 행할 때는, 입력 전환 버튼(506)을 조작(터치)하고, 이 조작을 터치 패널(121)이 검출함으로써, 조작 신호가 베이스 장치(200)에 보내지고, 이에 의해, 베이스 장치(200)가 외부 입력 단자를 순차 선택해간다.
사용자는, 우선 입력 전환 버튼(506)에 의해, 베이스 장치(200)의 증폭기(410)가 접속되어 있는 외부 입력 단자를 선택하고, 도 13에 도시한 증폭기(410)의 조작용 리모콘 패널 RP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 증폭기 조작용 리모콘 패널 RP로부터 조작 대상의 외부 입력 기기를 선택하고, 계속해서 인덱스 화면 또는 각 리모콘 패널 RP의 우측에 설치한 기기 선택 버튼(510n)을 조작함으로써, 조작 대상의 외부 입력 기기에 대응하는 리모콘 패널 RP를 표시시킨다. 즉, 예를 들면 조작 대상이 TV이면, 도 14에 도시한 TV용 리모콘 패널, 조작 대상이 비디오이면 도 15에 도시한 비디오용 리모콘 패널을 표시시키고, 이 리모콘 패널 RP 및 터치 패널(121)을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장치(200)를 원격 조작하여,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예에서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 베이스 장치(베이스 스테 이션)(200), 대화면 표시 장치(300)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를 가반형 표시 장치(300)와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서 표시하도록 영상 표시 시스템(1)을 구성했지만, 베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가반형 표시 장치(100)나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영상 신호를 무선에 의한 신호 전송 혹은 유선에 의한 신호 전송에 의해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장치가 튜너 수단을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을 선국하고, 그 영상 신호를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외부 입력 기기(400)으로서 튜너 수단을 설치해도 되고,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튜너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그 때, 가반형 표시 장치(100)로부터의 조작 신호가 베이스 장치(200)를 통하여 외부 입력 기기(400) 또는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공급되어, 튜너 수단을 제어하여 영상 신호를 선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반형 표시 장치(100)는, LCD(107)의 표시 화면 상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접촉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접수 수단은, 터치 패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마우스나 트랙볼 등의 다른 포인팅 수단이나, LCD(107)와는 별도로 십자 버튼과 결정 버튼으로 이루어진 조작 입력 수단과 같이, 다른 조작 입력의 접수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조작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조작 입력 수단을 복수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1)에서는, 외부 입력 기기, 지상파 텔레비전 방송,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 등의 각종 정보 전송 매체와 가반형 표시 장치(100) 및 대화면 표시 장치(300)를 연결시키는 베이스로 되는 베이스 장치(200)를, 베이스 장치(200)와 무선에 의해 쌍방향 통신 가능한 가반형 표시 장치(100)에 의해 원격 조작하여,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 혹은 베이스 장치(200)의 모뎀을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얻은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혹은 베이스 장치(200)에 접속된 외부 입력 기기의 예를 들면 STB로부터의 위성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나 음성 신호 등의 정보 신호를 대화면 표시 장치(300)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대화면 표시 장치(300)로써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반형 표시 장치(100)는, 소형화이면서 경량화이고, 베이스 장치(200)와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에 적합하며, 사용자는, 베이스 장치(200)와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이면, 가반형 표시 장치(100)를 운반하여, 어디든 가반형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베이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신호를 대화면 표시 장치(300)로써 재생하여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수 있다.
또한, 가반형 표시 장치(100)의 조작에 의해, 베이스 장치(200)의 모뎀을 통하여, 예를 들면 인터넷 상에 제공되어 있는 소위 홈페이지의 정보를 취득하고, 그 홈페이지의 정보를 시청하거나, 자신 앞으로의 전자 메일을 수신하고, 그 전자 메 일을 LCD(107)에 표시하여 보거나, 또한 목적으로 하는 상대편에게 전자 메일을 작성하여 송신하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 및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 치환 또는 그 동등한 것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분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은, 제1 및 제2 표시 장치와 적어도 상기 제1 표시 장치에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베이스 장치로 이루어진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서, 제1 표시 장치는, 베이스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구비하고, 제2 표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조작용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 접수 수단과, 조작 입력 접수 수단에 의해 특정된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항목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 신호 생성 수단과, 해당 조작 신호를 베이스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베이스 장치는, 적어도 제1 표시 장치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신호 출력 수단과, 적어도 제2 표시 장치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영상 신호의 공급원인 외부 입력 장치를 접속하는 외부 입력 장치 접속 수단과,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외부 입력 장치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입력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 신호 송신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제2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여, 쌍방향 통신 수단을 통하여 베이스 장치에 송신하고, 이 조작 신호에 의해 베이스 장치에 접속된 영상 신호의 공급원으로 되는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여, 원하는 영상 신호를 제1 표시 장치에 공급하여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제2 표시 장치를 제1 표시 장치의 원격 조작 장치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Claims (19)

  1. 제1 및 제2 표시 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표시 장치에 제1 및 제2 영상 신호를 각각 공급하는 베이스 장치로 이루어진 영상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표시 장치는, 상기 베이스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갖고,
    상기 제2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영상 신호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조작용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 접수 수단과, 상기 조작 입력 접수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항목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 신호 생성 수단과, 해당 조작 신호를 상기 베이스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 장치에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영상 신호 출력 제어 수단과, 적어도 상기 제2 표시 장치로부터의 상기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영상 신호의 공급원인 외부 입력 장치를 접속하는 외부 입력 장치 접속 수단과, 상기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외부 입력 장치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입력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 신호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표시 장치의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항목은, 적어도 제1 내지 제3 교체 표시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체 표시가 접촉되면 상기 베이스 장치의 영상 신호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영상 신호 대신에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상기 제1 표시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제2 교체 표시가 접촉되면 상기 베이스 장치의 영상 신호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영상 신호 대신에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제2 표시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제3 교체 표시가 접촉되면 상기 베이스 장치의 영상 신호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영상 신호 대신에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제2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영상 신호 대신에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상기 제1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장치의 조작 입력 접수 수단은,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접촉하도록 한 상기 표시 화면 상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접촉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접촉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표시 화면 상의 접촉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항목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장치의 통신 수단은, 또한 적어도 상기 조작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제2 표시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2 표시 장치의 통신 수단은, 또한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장치는, 또한 튜너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튜너 수단에 의해 선국된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신호 출력 제어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 표시 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는, 또한 튜너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되어 해당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튜너 수단에 의해 선 국된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에 의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장치의 상기 제어 신호 송신 수단은,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상기 외부 입력 장치 제어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장치의 상기 제어 신호 송신 수단은, 무선 송신하는 상기 외부 입력 장치 제어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장치는, 통신 회선에 접속되어 해당 통신 회선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조작 신호가 상기 제1 표시 장치와 상기 제2 표시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의 상기 정보 신호의 송신 지시인 경우에,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송신이 지시된 표시 장치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송신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장치는, 상기 조작 신호가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상대편으로 송신하는 송신 정보인 경우에, 해당 송신 정보를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하여 목적으로 하는 상기 상대편에게 송신하는 송신 정보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표시 정보는, 상기 표시 화면 상에 투과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장치 접속 수단은, 증폭기를 통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공급원인 상기 외부 입력 장치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장치는, 상기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내용에 연동하여 상기 제1 표시 장치에 공급되는 영상 신호를 전환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13. 제1 및 제2 표시 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표시 장치에 제1 및 제2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베이스 장치로 이루어진 영상 표시 시스템의 영상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제2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조작용 표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 공정과,
    상기 접수 공정에 의해 특정된 상기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항목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 신호 생성 공정과,
    상기 제2 표시 장치의 상기 베이스 장치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수수를 행하는 쌍방향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조작 신호를 상기 베이스 장치에 송신하는 조작 신호 송신 공정과,
    상기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신호의 공급원인 외부 입력 장치를 제어하는 외부 입력 장치 제어 공정과,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베이스 장치로 공급되는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신호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 제어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장치의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항목은, 적어도 제1 내지 제3 교체 표시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체 표시가 접촉되면 상기 베이스 장치의 영상 신호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영상 신호 대신에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상기 제1 표시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제2 교체 표시가 접촉되면 상기 베이스 장치의 영상 신호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영상 신호 대신에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제2 표시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제3 교체 표시가 접촉되면 상기 베이스 장치의 영상 신호 출력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영상 신호 대신에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제2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영상 신호 대신에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상기 제1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에 의해, 상기 베이스 장치의 튜너 수단을 제어하는 공정과,
    상기 튜너 수단에 의해 선국된 영상 신호를 상기 제1 표시 장치에 공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표시 장치의 튜너 수단을 제어하는 공정과,
    상기 튜너 수단에 의해 선국된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에 의해 표시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장치가, 통신 회선에 접속되어 해당 통신 회선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공정과,
    상기 조작 신호가 상기 제1 표시 장치와 제2 표시 장치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의 상기 정보 신호의 송신 지시인 경우에, 상기 정보 신호를 상기 송신이 지시된 표시 장치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송신 제어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장치는, 상기 조작 신호가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상대편으로 송신하는 송신 정보인 경우에, 해당 송신 정보를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하여 목적으로 하는 상기 상대편에게 송신하는 송신 정보 송신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8. 표시 장치에서,
    복수의 영상 신호의 공급원인 외부 입력 장치에 접속되어 영상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에 제1 및 제2 영상 신호를 각각 공급하는 베이스 장치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수수를 행하는 통신 수단과,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조작용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 접수 수단과,
    상기 조작 입력 접수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항목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조작 신호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신호는,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장치에 송신되고, 상기 베이스 장치는, 상기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소정의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공급하여 표시시키고,
    상기 표시 장치의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항목은, 적어도 제1 내지 제3 교체 표시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체 표시가 접촉되면 상기 베이스 장치는 상기 제1 영상 신호 대신에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제2 교체 표시가 접촉되면 상기 베이스 장치는 상기 제2 영상 신호 대신에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제3 교체 표시가 접촉되면 상기 베이스 장치는 상기 제2 영상 신호 대신에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장치에 출력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영상 신호 대신에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 접수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 화면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접촉하도록 한 상기 표시 화면 상의 접촉 위치를 검출하는 접촉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접촉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표시 화면 상의 접촉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조작용 표시 정보의 표시 항목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57000140A 2002-07-05 2003-06-26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0995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97683A JP3780982B2 (ja) 2002-07-05 2002-07-05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JPJP-P-2002-00197683 2002-07-05
PCT/JP2003/008141 WO2004006563A1 (ja) 2002-07-05 2003-06-26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967A KR20050016967A (ko) 2005-02-21
KR100995409B1 true KR100995409B1 (ko) 2010-11-18

Family

ID=3011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140A KR100995409B1 (ko) 2002-07-05 2003-06-26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52986B2 (ko)
EP (1) EP1521453B1 (ko)
JP (1) JP3780982B2 (ko)
KR (1) KR100995409B1 (ko)
CN (1) CN100592761C (ko)
WO (1) WO20040065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112A (ko) * 2012-04-05 201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직 리모컨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8108B2 (en) * 2000-06-28 2015-05-1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nd user community functionality for publication and delivery of digital media content
US8990214B2 (en) 2001-06-27 2015-03-2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tributed editing and storage of digital media over a network
US8972862B2 (en) 2001-06-27 2015-03-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mote digital media ingest with centralized editorial control
US7970260B2 (en) 2001-06-27 2011-06-28 Verizon Business Global Llc Digital media ass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 users
US20070089151A1 (en) * 2001-06-27 2007-04-19 Mci, Llc.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y of digital media experience via common instant communication clients
JP4403966B2 (ja) 2002-05-20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490435B1 (ko) * 2003-07-01 200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 방향으로 명령어를 공유하는 무선 세탑박스 시스템 및그 방법
US7581182B1 (en) * 2003-07-18 2009-08-25 Nvid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3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edia centers
CN1846455B (zh) * 2003-08-29 2010-12-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控制装置和控制方法
US7092693B2 (en) * 2003-08-29 2006-08-15 Sony Corporation Ultra-wide band wireless / power-line communication system for delivering audio/video content
US8234672B2 (en) * 2003-09-02 2012-07-31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playback of digital media
JP2005122422A (ja) * 2003-10-16 2005-05-12 Sony Corp 電子機器装置、プログラム、電子機器装置のフォーカス制御方法
KR100539537B1 (ko) * 2003-12-31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 레이블링 기능을 갖는 티브이 및 그 레이블링 방법
JP4003746B2 (ja) * 2004-01-07 2007-11-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5303678A (ja) 2004-04-12 2005-10-27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送受信装置,受像システム,通信方法
WO2005109907A2 (en) * 2004-04-30 2005-11-17 Vulcan Inc. Maintain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state that is based on a selected time
WO2005109908A2 (en) * 2004-04-30 2005-11-17 Vulcan Inc. Maintain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state that is based on a selected piece of content
JP3897774B2 (ja) * 2004-06-09 2007-03-2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KR100594788B1 (ko) * 2004-08-1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JP4689220B2 (ja) * 2004-09-16 2011-05-2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端末
CN100508554C (zh) * 2004-12-22 2009-07-01 索尼株式会社 遥控系统、远程命令器及遥控服务器
JP4207900B2 (ja) 2004-12-22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リモコン・システム、リモート・コマンダ、並びにリモコン・サーバ
TW200704183A (en) * 2005-01-27 2007-01-16 Matrix Tv Dynamic mosaic extended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for television program selection and display
JP4635655B2 (ja) * 2005-03-10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8081964B1 (en) 2005-03-28 2011-12-20 At&T Mobility Ii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wireless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and a remote wireless display
US20060253782A1 (en) * 2005-04-01 2006-11-09 Vulcan Inc. Interface for manipulating multimedia playlists
US20060248557A1 (en) * 2005-04-01 2006-11-02 Vulcan Inc. Interface for controlling device groups
JP4360346B2 (ja) * 2005-04-07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制御機器およ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006356A (ja) * 2005-06-27 2007-01-11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4792247B2 (ja) * 2005-06-29 2011-10-12 Omo株式会社 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の視聴方法
US9614964B2 (en) 2005-08-19 2017-04-04 Nextstep, Inc. Consumer electronic registration, control and support concierge device and method
JP5179361B2 (ja) * 2005-08-19 2013-04-10 ロバート ステパニアン 非解放型デジタルバトラーの民生用電子装置及び方法
US9866697B2 (en) 2005-08-19 2018-01-09 Nexstep, Inc. Consumer electronic registration, control and support concierge device and method
JP4640046B2 (ja) * 2005-08-30 2011-03-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ジタル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07074237A (ja) * 2005-09-06 2007-03-22 Noritz Corp 浴室テレビジョン受信システム
US20070107012A1 (en) * 2005-09-07 2007-05-10 Verizon Business Network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demand resource allocation
US8631226B2 (en) 2005-09-07 2014-01-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video monitoring
US9401080B2 (en) 2005-09-07 2016-07-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video frames
US9076311B2 (en) 2005-09-07 2015-07-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mote workflow management
EP1793592A3 (en) * 2005-11-30 2008-02-27 Broadcom Corporation Parallel television remote control
US9247175B2 (en) 2005-11-30 2016-01-26 Broadcom Corporation Parallel television remote control
US20070124792A1 (en) * 2005-11-30 2007-05-31 Bennett James D Phone based television remote control
US20070162939A1 (en) * 2006-01-12 2007-07-12 Bennett James D Parallel television based video searching
US20070165144A1 (en) * 2006-01-17 2007-07-19 Bennett James D Parallel television based media interaction
JP4811017B2 (ja) * 2005-12-27 2011-11-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音声システム、制御装置、出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7699229B2 (en) 2006-01-12 2010-04-20 Broadcom Corporation Laptop based television remote control
JP4870151B2 (ja) * 2006-03-22 2012-02-0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4873978B2 (ja) * 2006-03-31 2012-0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供給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これらで構成された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7306366A (ja) * 2006-05-12 2007-11-22 Sharp Corp リモコン装置
KR20070112596A (ko) * 2006-05-22 2007-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소스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US9088747B2 (en) 2006-09-12 2015-07-21 Sony Corporation Video display system, video display device, its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4897404B2 (ja) * 2006-09-12 2012-03-1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88005B2 (ja) * 2006-09-14 2010-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4388968B2 (ja) * 2007-03-28 2009-12-24 オンキヨー株式会社 画像再生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信号処理装置
JP4543065B2 (ja) * 2007-06-25 2010-09-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情報システム
JP5194673B2 (ja) 2007-09-26 2013-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端末、及び情報の送受信方法
KR101421196B1 (ko) * 2007-10-30 2014-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154381B2 (en) * 2007-12-31 2012-04-10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appliance control
JP5036630B2 (ja) * 2008-05-29 2012-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端末
US9497322B2 (en) * 2008-10-16 2016-11-15 Troy Barnes Remote control of a web browser
KR101635640B1 (ko) * 2008-12-11 2016-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0141761A (ja) * 2008-12-15 2010-06-24 Mitsubishi Electric Corp 遠隔操作システム
JP5695819B2 (ja) * 2009-03-30 2015-04-0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テレビ操作方法
KR20100135145A (ko) * 2009-06-16 201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방법
US9083958B2 (en) * 2009-08-06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Transforming video data in accordance with three dimensional input formats
US9525838B2 (en) * 2009-08-10 2016-12-20 Sling Media Pvt. Ltd.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remote control of streamed media
KR101660704B1 (ko) * 2009-11-24 2016-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장치, av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716299B2 (ja) 2010-06-28 2015-05-1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US20120050183A1 (en) * 2010-08-27 2012-03-01 Google Inc. Switching display modes based on connection state
KR101055481B1 (ko) * 2010-12-24 2011-09-08 이원희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 셋톱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제어 시스템
US8446363B1 (en) 2010-12-30 2013-05-21 Google Inc. Enhanced input using touch screen
KR101816930B1 (ko) * 2011-02-15 2018-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JP5712707B2 (ja) * 2011-03-15 2015-05-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表示ボード
US9326020B2 (en) 2011-06-20 2016-04-26 Enseo, Inc Commercial television-interfacing dongl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9832511B2 (en) 2011-06-20 2017-11-28 Enseo, Inc. Set-top box with enhanced controls
US10349109B2 (en) 2011-06-20 2019-07-09 Enseo, Inc. Televis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mote control device
US8650600B2 (en) * 2011-06-20 2014-02-11 Enseo, Inc. Set top/back box,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mote control device
US10791360B2 (en) * 2011-06-20 2020-09-29 Enseo, Inc. Commercial television-interfacing dongl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9380336B2 (en) 2011-06-20 2016-06-28 Enseo, Inc. Set-top box with enhanced conten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1051065B2 (en) 2011-06-20 2021-06-29 Enseo, Llc Televis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mote control device
US10148998B2 (en) * 2011-06-20 2018-12-04 Enseo, Inc. Set-top box with enhanced functionality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0149005B2 (en) 2011-06-20 2018-12-04 Enseo, Inc. Set-top box with enhanced conten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JP5214772B2 (ja) * 2011-06-24 2013-06-19 株式会社東芝 機器制御装置及び機器制御方法
CN102354269B (zh) * 2011-08-18 2013-06-1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用于控制显示装置的方法和系统
US20130053003A1 (en) * 2011-08-31 2013-02-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uxiliary device and system for adding web-based multimedia applications to a multimedia device
KR20130039812A (ko) 2011-10-13 2013-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3176639A (zh) * 2011-12-23 2013-06-26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具有远距离输入装置的计算机设备
CN103248931B (zh) * 2012-02-14 2016-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遥控器及生成控制信号的方法
JP5226142B1 (ja) * 2012-02-29 2013-07-03 株式会社東芝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20130104037A (ko) * 2012-03-12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23947B1 (ko) * 2012-03-19 2018-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362065B2 (ja) * 2012-03-30 2013-12-11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装置
CN103488410B (zh) * 2012-06-13 2016-08-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对显示内容进行控制的方法、装置和系统
CN202772996U (zh) * 2012-08-09 2013-03-06 高亿实业有限公司 遥控器
JP5902079B2 (ja) * 2012-12-07 2016-04-1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端末装置
KR20140091356A (ko) * 2013-01-11 201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제공방법
JP5284549B1 (ja) * 2013-03-12 2013-09-11 株式会社東芝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9736218B2 (en) * 2013-04-24 2017-08-15 Blackberry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haracter data
US9740389B2 (en) * 2013-04-24 2017-08-22 Blackberry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haracter data
US11716392B2 (en) * 2013-04-24 2023-08-01 Blackberry Limited Updating an application at a second device based on received user input at a first device
TWI511053B (zh) * 2013-05-28 2015-12-01 Univ Nat Taiwan Science Tech 顯示系統及其方法
US9454251B1 (en) 2013-06-26 2016-09-27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trolling a remote device using a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in a display inhibited state
US9041863B2 (en) * 2013-08-30 2015-05-26 Xiaomi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resources
JP5837013B2 (ja) * 2013-09-18 2015-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350565A1 (en) * 2014-05-29 2015-12-03 Opentv, Inc. Techniques for magnifying a high resolution image
KR102330250B1 (ko) * 2015-01-22 202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973811B2 (en) * 2015-08-30 2018-05-15 EVA Automation, Inc. Determining device state using a state-detection circuit
JP6512062B2 (ja) * 2015-10-23 2019-05-15 富士通株式会社 選択肢情報の提示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293593A (zh) * 2016-08-29 2017-01-04 南京巨鲨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触控屏的显示器聚焦显示系统及显示方法
US10841651B1 (en) 2017-10-10 2020-11-17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elevision consumption behavior
CN110333835B (zh) * 2019-05-09 2023-07-25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车载数据图像的显示方法、系统、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KR20220099791A (ko) * 2021-01-07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985375B2 (en) 2022-01-11 2024-05-14 Enseo, Llc Set-top box with enhanced functionality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0794A (en) * 1994-03-31 1996-03-19 Panasonic Technologies, Inc.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menu-driven user interface
JPH09298677A (ja) 1996-05-07 1997-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表示装置
US6104334A (en) * 1997-12-31 2000-08-15 Eremote, Inc. Portable internet-enabled controller and information browser for consumer devices
US6097441A (en) * 1997-12-31 2000-08-01 Eremote, Inc. System for dual-display interaction with integrated television and internet content
US6496122B2 (en) 1998-06-26 2002-12-1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Image display and remote control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two distinct images
US6407779B1 (en) * 1999-03-29 2002-06-18 Zilo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uitive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US6263503B1 (en) * 1999-05-26 2001-07-17 Neal Margulis Method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a wireless television system
JP3609663B2 (ja) * 1999-09-30 2005-01-12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US6862741B1 (en) * 1999-12-22 2005-03-01 Gateway,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event related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on intelligent remote devices
JP4543513B2 (ja) 2000-07-17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双方向通信システム、表示装置、ベース装置および双方向通信方法
US20040237104A1 (en) * 2001-11-10 2004-11-25 Cooper Jeffery All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displaying video programs and mobile hand held devices
US20030233660A1 (en) * 2002-06-18 2003-12-18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Device interaction
US6889207B2 (en) * 2002-06-18 2005-05-03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Content control in a device environ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7112A (ko) * 2012-04-05 201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직 리모컨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34590B1 (ko) 2012-04-05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컨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리모컨 유저 인터페이스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21453A4 (en) 2008-02-27
JP3780982B2 (ja) 2006-05-31
US8352986B2 (en) 2013-01-08
WO2004006563A1 (ja) 2004-01-15
EP1521453A1 (en) 2005-04-06
CN1679319A (zh) 2005-10-05
EP1521453B1 (en) 2013-03-27
US20050262535A1 (en) 2005-11-24
JP2004040656A (ja) 2004-02-05
CN100592761C (zh) 2010-02-24
KR20050016967A (ko)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409B1 (ko) 영상 표시 시스템, 영상 표시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0996063B1 (ko)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영상 표시 제어 장치
US20140281999A1 (en) Display device, two-way communication system and display information using method
US7224323B2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display apparatus, base apparatus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ethod
US9673924B2 (en) Method of linkage-viewing TV broadcasting program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gital TV,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gital TV thereof
US6876396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image on display part
US6084643A (en) Receiving equipm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4478868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4336597A (ja) 操作入力受付装置、操作入力受付方法および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7306366A (ja) リモコン装置
JP4289061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操作端末装置およびチャンネルリスト設定システム、並びにチャンネルリスト設定方法
JP455462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1352500A (ja) 電子番組ガイドデー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