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675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675B1
KR100993675B1 KR1020080058199A KR20080058199A KR100993675B1 KR 100993675 B1 KR100993675 B1 KR 100993675B1 KR 1020080058199 A KR1020080058199 A KR 1020080058199A KR 20080058199 A KR20080058199 A KR 20080058199A KR 100993675 B1 KR100993675 B1 KR 100993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rail
fixed rail
wall surfa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051A (ko
Inventor
겐이치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9001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22Cleaning means for refrige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 한쌍의 슬라이드 레일(5)을 고내 벽면(15)에 고정 지지된 고정 레일(7)과, 고정 레일(7)에 대해 완전히 인출된 상태와 수납된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 레일(9)로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5)에는 수납 용기(1)를 착탈 자유롭게 지지하고, 상기 수납 용기(1)가 완전히 인출된 전체 개방 시에 고정 레일(7)의 레일 단말부(7-1)와 수납 용기(1)의 후단부에 일정한 겹침부(L)를 만들고, 겹침부(L)에 의해 수납 용기(1)의 하중의 일부분을 고정 레일(7)에 의해 수용하여 가동 레일(9)의 하중 부담을 저감하여 휘어짐을 작게 억제하고, 수납 용기를 완전히 인출한 전체 개방 시에 아래쪽으로의 휘어짐량을 작게 억제하여 외관상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서랍식 수납 용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식 수납 용기는 예를 들면 야채실, 냉동실과 같이 전면이 서랍식 문으로 되어 있고, 그 내측에 수납 용기가 설치된 타입과 힌지식 개폐 문을 구비한 냉장실내에 수납 용기가 설치된 타입이 있다. 어느 타입의 수납 용기도 좌우의 가이드 레일로 가이드되어 완전히 인출된 전체 개방 상태와 수납된 전체 폐쇄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은 고내(庫內) 벽면에 고정 지지되는 고정 레일과 그 고정 레일에 대해 완전히 인출되는 상태와 수납된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 레일로 구성된다.
가동 레일은 수납 용기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가동 레일이 완전히 인출될 때 수납 용기를 지지한 상태로 수납 용기의 전체 개방 상태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177656호 참조).
수납 용기는 고정 레일에 대해 가동 레일이 완전히 인출될 때 전체 개방 상태가 되고, 수납 용기 전체 개방시의 하중은 가동 레일에 집중됨과 동시에 가동 레일은 편 지지 상태가 된다.
편 지지는 예를 들면 고정 레일에 대해 가동 레일의 자유단이 자유로운, 지지가 없는 상태에 놓이므로 하중(W)의 작용으로 자유단측이 하강하는 휘어짐이 발생한다. 하강하는 휘어짐량은 하중에 비례하여 커지고, 전체 개방에서 전체 폐쇄시의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을 곤란하게 한다. 또한, 외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최근에는 수납 용기의 대형화가 요구되고, 완전히 채워졌을때의 중량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간단한 고안에 의해 수납 용기를 완전히 인출한 전체 개방시에 있어서 하방으로의 휘어짐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서는 고내 벽면에 고정 지지된 고정 레일과 고정 레일에 대해 완전히 인출된 상태 및 수납된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 레일로 이루어진 좌우 한쌍의 슬라이드 레일과, 이 슬라이드 레일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지지된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용기가 완전히 인출된 전체 개방시에, 상기 고정 레일의 레일 단말부와 상기 수납 용기의 후단부 사이에 일정한 겹침부가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에서는 고내 벽면에 고정 지지된 고정 레일과,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해 완전히 인출된 상태 및 수납된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 레일과, 상기 고정 레일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레일을 원활히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진 좌우 한쌍의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에 지지된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용기가 완전히 인출된 전체 개방시에, 상기 고정 레일의 레일 단말부를 향한 상기 가이드 롤러와 상기 수납 용기의 후단부 사이에 일정한 겹침부가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 용기를 완전히 인출한 전체 개방시에 있어서, 고정 지지된 상태에 있는 고정 레일의 레일 단말부 또는 가이드 롤러의 롤러 단말부와 수납 용기의 후단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일정한 겹침부에 의해 수납 용기의 하중의 일부분을 고정 레일로 수용할 수 있게 되므로 그 고정 레일의 하중 분담분, 가동 레일에 작용하는 하중이 저감되는 결과, 가동 레일의 휘어짐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체 개방에서 전체 폐쇄시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 첫째 상기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을 수직인 좌우의 고내 벽면과 상기 수납 용기의 저부를 향해 상기 고내 벽면까지의 틈이 점차 넓어지는 좌우의 용기 테이퍼 벽면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하여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수납 용기의 용적을 작게 하지 않고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상기 좌우의 가이드 레일을 수직인 고내 벽면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에 장착하고, 상기 수납 용기의 용기 테이퍼 벽면에 대해 근접 배치하여 정면에서 직접 가이드 레일을 보이지 않게 하여 외관상 향상이 도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상기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의 가동 레일을 덮개를 구비한 부재에 의해 전체 영역에 걸쳐 위쪽을 덮도록 하여 전체 폐쇄시에 슬라이드 레일 전체가 덮개에 의해 덮여져 고내에서 용기를 쓰러뜨렸을 때 그 용기 내의 액체 등이 직접 슬라이드 레일 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상기 덮개를, 수납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에 의해 형성하여 지지 브라켓을 이용하여 덮개를 만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상기 지지 브라켓에 수납 용기의 저부를 착탈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 선반부를 설치하여 슬라이드 레일에 대한 수납 용기의 장착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9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는 야채실 또는 냉동실로서 사용되는 서랍식 문을 구비한 수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수납 용기의 전체 개방 상태를 도시한 개요 측면도, 도 2는 서랍식 문을 생략한 도 1의 개요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수납 용기(1)는 위쪽이 개방된 전면(1a), 후면(1b), 좌우 양측면(1c)으로 이루어지고, 전방은 서랍식 문(3)으로 되어 있다.
서랍식 문(3)은 좌우 한쌍의 슬라이드 레일(5)에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5)은 고정 레일(7)과, 그 고정 레일(7)에 대해 완전히 인출된 상태와 수납된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 레일(9)과, 가동 레일(9)의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을 돕는 가이드 롤러(11)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레일(7)은 고내(13)의 좌우의 고내 벽면(15)에 장착 수단이 되는 나사(17)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가동 레일(9)은 제 1 가동 레일(9a)과 제 2 가동 레일(9b)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이 조합에 의해 전체 개방시의 전체 개방 스트로크를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전체 개방시의 전체 개방 스트로크가 너무 크게 필요로 하지 않는 수납 용기에 있어서는 1개의 가동 레일로 대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제 2 가동 레일(9a, 9b)은 전체 개방 시의 전체 개방 스트로크가 크게 취해지도록 조합 가동 레일로 되어 있는 것은 상기와 같지만, 제 2 가동 레일(9b)은 지지 브라켓(19) 및 장착 브라켓(21)을 구비하고, 지지 브라켓(19)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내 벽면(15)의 가이드 홈(23)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장착 브라켓(21)에는 상기 서랍식 문(3)이 장착되고,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5)에서 コ자 형상의 지지 프레임이 만들어져 그 지지 프레임 내에 수납 용기(1)의 위쪽 플랜지부가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11)는 제 1, 제 2 가이드 롤러(11a, 11b)로 구성되고, 제 1 가이드 롤러(11a)는 제 1 가동 레일(9a)용, 제 2 가이드 롤러(11b)는 제 2 가동 레일(9b)용으로 되어 있다.
제 1, 제 2 가이드 롤러(11a, 11b)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23)의 상하에 볼(25)이 소정의 간격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제 1 가이드 롤러(11a)의 볼(25)의 외측은 고정 레일(7)의 볼 유지부(7a)에 의해 유지되고, 볼(25)의 내측은 제 1 가동 레일(9a)의 볼 유지부(9a-1)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제 2 가이드 롤러(11b)의 볼(25)의 외측은 제 1 가동 레일(9a)의 볼 유지부(9a-2)에 의해, 또한 볼(25)의 내측은 제 2 가동 레일(9b)의 레일 유지부(9b-1)에 의해 각각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제 2 가이드 롤러(11a, 11b)는 제 1, 제 2 가동 레일(9a, 9b)의 이동 시에 그 이동 방향을 따라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지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인출된 전체 개방 시, 제 1, 제 2 가이드 롤러(11a, 11b)는 고정 레일(7) 및 제 1 가동 레일(9a)의 레일 단말부(7-1, 9-1)에 각각 설치된 스토퍼(S, S1)에 접촉하여 각 레일 단말부(7-1, 9-1)를 각각 향하도록 되어 있다.
수납 용기(1)는 완전히 인출된 전체 개방 시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5)을 구성하는 고정 레일(7)의 레일 단말부(7-1)를 향한 제 1 가이드 롤러(11a)와 수납 용기(1)의 후단부가 일정한 겹침부(L)가 확보되는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가 없는 타입의 슬라이드 레일(5)에 있어서는 고정 레일(7)의 레일 단말부(7-1)와 수납 용기(1)의 후단부에 일정한 겹침부(L)가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겹침부(L)는 가동 레일(9)에 전체 하중이 작용한 종래 수단에 비해 하중의 일부분이 고정 레일(7)로 이동하여 고정 레일(7)이 분담하는 하중분, 가동 레일(9)에 작용하는 하중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납 용기(1)에 있어서 서랍식 문(3)을 완전히 인출하여 수납 용기(1)의 전체 개방 상태가 얻어진다.
수납 용기(1)의 전체 개방시, 고정 레일(7)의 레일 단말부(7-1)를 향한 제 1 가이드 롤러(11a)와 수납 용기(1)의 배면(1b)측이 되는 후단부에 겹침부(L)가 만들어지는 결과, 가동 레일(9)에 가해지는 하중의 일부분을 고정 레일(7)에 의해 수용할 수 있게 되고, 고정 레일(7)이 분담한 하중분, 가동 레일(9)에 작용하는 하중의 저감이 도모되어 하강하는 휘어짐을 작게 억제함과 동시에 외관을 향상시킨다.
또한, 전체 개방에서 전체 폐쇄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4 내지 도 9는 냉장실(27) 내에 설치된 수납 용기(29)에 따른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냉장실(27)은 개폐 문(31)의 내측에 도어 포켓(33)을 구비한 한편, 고내에는 복수의 선반부(35)를 비롯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탱크(37) 및 틸드실(39)이 설치되고, 그 위쪽에는 수납 용기(29)가 배치되어 있다.
수납 용기(29)는 도 5 및 도 9와 같이 상방 및 전방이 개방된 후술하는 손잡이(41)를 겸한 전면(29a)과 배면(29b) 및 좌우 양 측면(29c)으로 이루어지고, 수납 용기 전면(29a)은 아래에서 위를 향해 손을 넣는 수직인 상기 손잡이(41)로 되어 있다.
수납 용기(29)의 전면 개구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내 벽면(42)에 양단이 지지된 상태로 늘어진 상하 2장의 회동 자유로운 커버판(42a, 42b)에 의해 닫혀지고, 또한 수납 용기(29)의 좌우 양 측면은 정면에서 봤을 때, 상단에서 저부를 향해 하강 경사진 용기 테이퍼 벽면(29d)으로 되어 있다.
용기 테이퍼 벽면(29d)은 수납 용기(29)를 형발(型拔)할 때 필요한 형발 구배(勾配)로 되어 있고, 고내에 설치했을 때 좌우의 수직인 고내 벽면(42) 사이에 위에서 아래쪽을 향해 틈이 점차 넓어지는 공간(43)이 만들어지도록 되어 있다.
좌우의 공간(43)내에는 상기 수납 용기(29)를 전체 개방 상태와 전체 폐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레일(45)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45)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레일(47)과, 상기 고정 레일(47)에 대해 완전히 인출된 상태와 수납된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 레일(49)과, 상기 가동 레일(49)의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을 돕는 가이드 롤러(51)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레일(47)은 수직인 고내 벽면(42)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29)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53)에 장착 수단이 되는 나사(55)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45)은 상기 수납 용기(29)측에 근접 배치된 상태가 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봤을 때 전면의 손잡이(41)의 내측에 감춰져 직접 보이지 않게 되어 외관상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51)는 도 6,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57)의 상하에 볼(59)이 소정의 간격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볼(59)의 외측은 고정 레일(47)의 볼 유지부(47a)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볼(59)의 내측은 가동 레일(49)의 볼 유지부(49a)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51)는 가동 레일(49)의 이동시에 그 이동 방향을 따라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인출된 전체 개방시, 가이드 롤러(51)는 가동 레일(49)의 레일 단말부(49-1)가 고정 레일(47)에 설치된 스토퍼(S3)에 접촉하여 레일 단말부(49-1)를 각각 향하도록 되어 있다.
수납 용기(29)는 완전히 인출된 전체 개방 시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45)을 구성하는 고정 레일(47)의 단말부와 가동 레일(49)의 레일 단말부(49-1) 사이를 향하는 가이드 롤러(51)가 위치하는 부분과 수납 용기(29)의 후단부 사이에 일정한 겹침부(L)가 확보되는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롤러(51)가 없는 타입의 슬라이드 레일(45)에 있어서는 고정 레일(47)의 레일 단말부와 수납 용기(29)의 후단부 사이에 일정한 겹침부(L)가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겹침부(L)는 가동 레일(49)에 전체 하중이 작용한 종래 수단에 비해, 하중의 일부분이 고정 레일(47)로 이동하여 고정 레일(47)이 분담하는 하중분, 가동 레일(49)에 작용하는 하중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한편, 가동 레일(49)은 도 6,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용기(29)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61)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브라켓(61)은 상기 가동 레일(49)과는 거의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 레일(49)에 장착된 수직인 장착부(63)와, 장착부(63)의 상단에서 가동 레일(49)의 위쪽을 덮는 원호 형상으로 굴곡된 덮개(65)와, 장착부(63)의 하단에서 수납 용기(29)측을 향해 굴절된 수평인 지지 선반부(67)로 이루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지지 선반부(67)는 상기 수납 용기(29)의 저부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수납 용기(29)의 저부에 설치된 전후 좌우 한쌍의 돌기부(68)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구멍(69)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수납 용기(29)의 돌기부(68)를 걸어맞춤 구멍(69)에 걸어 맞춰 장착 설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수납 용기(29)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면 걸어맞춤 구멍(69)으로부터 돌기부(68)가 벗겨져 분리가 가능해진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뿐만 아니라 수납 용기(29)의 저부를 향해 점점 틈이 넓어지는 사용하지 않는 공간(43) 내에 슬라이드 레일(45)을 배치할 수 있게 되고, 수납 용기(29)의 용적을 작게 하지 않고 슬라이드 레일(45)의 배치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용기(29)의 용기 테이퍼 벽면(29d)에 근접 배치된 슬라이드 레 일(45)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의 손잡이(41)의 내측에 위치하고, 정면에서 봤을 때 감춰져 보이지 않아 외관상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내에서 용기(71)를 쓰러뜨렸을 때 용기(71)내의 액체가 아래로 흘러도 지지 브라켓(61)의 덮개(65)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45)에 직접 가해지지 않게 되고, 원활한 슬라이드 상태가 장기간에 걸쳐 얻어지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본체로부터 서랍식 문을 구비한 수납 용기를 완전히 인출한 전체 개방 시의 개요 측면도,
도 2는 서랍식 문을 가상선으로 나타낸 도 1의 개요 사시도,
도 3은 제 1 가이드 롤러를 도시한 개요 단면도,
도 4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실 내를 도시한 개요 절단 측면도,
도 5는 냉장실 내를 도시한 개요 정면도,
도 6은 슬라이드 레일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고내 벽면의 돌출부에 가이드 레일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편측만을 도시한 개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가동 레일을 완전히 인출한 상태의 한쪽 가이드 레일의 개요 측면도,
삭제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납 용기 2 : 서랍식 문
5 : 슬라이드 레일 7 : 고정 레일
7-1 : 레일 단말부 9 : 가동 레일
11 : 가이드 롤러 11a : 제 1 가이드 롤러
11b : 제 2 가이드 롤러 15 : 고내 벽면
29 : 수납 용기 29d : 용기 테이퍼 벽면
43 : 공간 45 : 슬라이드 레일
52 : 돌출부 61 : 지지 브라켓
65 : 덮개 67 : 지지 선반부
68 : 돌기부 69 : 걸어맞춤 구멍

Claims (7)

  1. 고내 벽면에 고정 지지된 고정 레일과,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해 완전히 인출된 상태 및 수납된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 레일로 이루어진 좌우 한쌍의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지지된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용기가 완전히 인출된 전체 개방시에, 상기 고정 레일의 레일 단말부와 상기 수납 용기의 후단부 사이에 일정한 겹침부가 만들어짐과 동시에,
    상기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고내 벽면에서의 수직인 좌우의 고내 벽면과 상기 수납 용기의 저부로 향해 상기 고내 벽면까지의 틈이 점차 넓어지는 좌우의 용기 테이퍼 벽면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 내이고, 상기 수직인 고내 벽면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납 용기의 용기 테이퍼 벽면에 대해 근접 배치되고,
    상기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의 가동 레일은 전체 영역에 걸쳐 위쪽을 덮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고내 벽면에 고정 지지된 고정 레일과,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해 완전히 인출된 상태 및 수납된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 레일과, 상기 고정 레일 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 레일을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진 좌우 한쌍의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에 지지된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용기가 완전히 인출된 전체 개방시에, 상기 고정 레일의 레일 단말부를 향하는 상기 가이드 롤러와 상기 수납 용기의 후단부 사이에 일정한 겹침부가 만들어짐과 동시에,
    상기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은, 상기 고내 벽면에서의 수직인 좌우의 고내 벽면과 상기 수납 용기의 저부로 향해 상기 고내 벽면까지의 틈이 점차 넓어지는 좌우의 용기 테이퍼 벽면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 내이고, 상기 수직인 고내 벽면으로부터 상기 수납 용기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납 용기의 용기 테이퍼 벽면에 대해 근접 배치되고,
    상기 좌우의 슬라이드 레일의 가동 레일은 전체 영역에 걸쳐 위쪽을 덮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수납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수납 용기의 저부를 착탈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 선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수납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기 수납 용기의 저부를 착탈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 선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80058199A 2007-07-26 2008-06-20 냉장고 KR100993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94946A JP2009030875A (ja) 2007-07-26 2007-07-26 冷蔵庫
JPJP-P-2007-00194946 2007-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051A KR20090012051A (ko) 2009-02-02
KR100993675B1 true KR100993675B1 (ko) 2010-11-10

Family

ID=4030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199A KR100993675B1 (ko) 2007-07-26 2008-06-20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030875A (ko)
KR (1) KR100993675B1 (ko)
CN (1) CN101354208A (ko)
TW (1) TWI3490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2416A1 (de) * 2010-02-26 2011-09-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herausziehbarem Behälter
JP5246192B2 (ja) * 2010-03-25 2013-07-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5246193B2 (ja) * 2010-03-25 2013-07-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CN102679673B (zh) * 2011-03-17 2015-02-04 株式会社东芝 冰箱
CN103335482B (zh) * 2013-07-16 2016-03-30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抽屉复位组件和具有其的冰箱
KR101529442B1 (ko) * 2014-10-31 2015-06-18 김기원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JP6539096B2 (ja) * 2015-04-21 2019-07-03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JP6539136B2 (ja) * 2015-07-15 2019-07-03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
CN104976845A (zh) * 2015-07-31 2015-10-1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5806001A (zh) * 2016-03-26 2016-07-27 佛山市顺德区环威电器有限公司 一种抽屉式冷藏箱
JP6985861B2 (ja) * 2017-09-07 2021-12-2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10849071A (zh) * 2019-11-28 2020-02-28 湖南恺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顺序运动的三段式滑轨
CN114877608A (zh) * 2022-05-20 2022-08-09 台州市黄岩通宝盈模具有限公司 一种塑料盒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4174U (ko) 1984-09-13 1986-04-11
JPS61194183U (ko) * 1985-05-24 1986-12-03
JPH116683A (ja) * 1998-06-19 1999-01-12 Toshiba Corp 冷蔵庫の引き出し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4174U (ko) 1984-09-13 1986-04-11
JPS61194183U (ko) * 1985-05-24 1986-12-03
JPH116683A (ja) * 1998-06-19 1999-01-12 Toshiba Corp 冷蔵庫の引き出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9096B (en) 2011-09-21
KR20090012051A (ko) 2009-02-02
TW200907266A (en) 2009-02-16
JP2009030875A (ja) 2009-02-12
CN101354208A (zh) 200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675B1 (ko) 냉장고
US8398187B2 (en) Refrigerator comprising an extractably guided receptacle for chilled goods
KR20100138098A (ko) 높이조절 수납부재가 구비된 냉장고
US20140191646A1 (en) Drawer assembly for an appliance
JP2010038499A (ja) 冷蔵庫
EP2405219B1 (en) Refrigerator
JPH05346286A (ja) 貯蔵庫
KR101869556B1 (ko) 냉장고
JP4200315B2 (ja) 冷蔵庫
KR20110079966A (ko) 냉장고
JP4309334B2 (ja) 貯蔵庫
KR200475384Y1 (ko) 수납장의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장치
KR101210806B1 (ko) 냉기손실이 없는 선반구조
KR100766565B1 (ko) 냉장고용 도어바스켓
JP4257146B2 (ja) 収納ボックス
KR20150016023A (ko) 냉장고
JP4406670B1 (ja) 冷蔵庫
JP6857008B2 (ja) 冷蔵庫
JP4200320B2 (ja) 冷蔵庫
JP4270015B2 (ja) 冷蔵庫
JP4270050B2 (ja) 冷蔵庫
JP2011214725A (ja) 冷蔵庫
JP4270026B2 (ja) 冷蔵庫
JP2009052801A (ja) 冷蔵庫
JP2005300034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