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558B1 - 커넥터 장치 및 로킹 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및 로킹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558B1
KR100993558B1 KR1020080105034A KR20080105034A KR100993558B1 KR 100993558 B1 KR100993558 B1 KR 100993558B1 KR 1020080105034 A KR1020080105034 A KR 1020080105034A KR 20080105034 A KR20080105034 A KR 20080105034A KR 100993558 B1 KR100993558 B1 KR 10099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unlocking
connector
housing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197A (ko
Inventor
다케히로 나카타
사토시 모리카와
미치아키 오카모토
도시후미 이치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76627A external-priority patent/JP49249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76489A external-priority patent/JP49627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76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49249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765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104938A/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성이 개선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피결합부(16)의 후면은, 연통부(37)와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피결합면(16B)으로서 작용하며, 이 피결합면은, 한 쌍의 커넥터(10, 20)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한 때에 레그부(51)의 탄성 복원력을 받으면 다른 하우징(21)을 하나의 하우징(21)과의 접속 방향으로 전방으로 압박하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경사진다. 제2 커넥터(20)의 피팅부(27)에는, 피팅부(27)의 이면을 향할수록 피팅부(27)의 폭을 감소시키도록 경사진 경사면(46)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6)과 제1 커넥터(10)는, 제2 커넥터(20)와의 접속 방향으로 제1 커넥터(10)의 앞에 간극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 및 로킹 구조{A CONNECTOR DEVICE AND LOCKING STRUCTURE}
본 발명은 상호 접속 가능한 한 쌍의 커넥터 및 로킹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커넥터의 로크 아암과 다른 커넥터의 로크 돌기의 결합에 의하여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되는 커넥터 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83342호 공보 참조). 로크 아암의 선단부는 로크 돌기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로서 작용하며, 결합부는 두 커넥터의 접속 동작 중에 로크 돌기 상으로 이동하여 로크 아암을 탄성적으로 변형시킨다. 두 커넥터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하면, 결합부는 로크 돌기를 넘어서 이동하고, 로크 아암은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결합부와 로킹 돌기를 결합하며, 이로써 두 커넥터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 로크된다.
전술한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로크 아암이 탄성적으로 복원될 때 결합부와 로킹 돌기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결합부와 로킹 돌기 사이에는 특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에 진동 등이 가해지면, 로킹 돌기와 결합부 사이에 백래쉬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이상 소음이 발생할 수도 있고 단자들이 서로에 대해 문질러져서 마모될 수도 있다. 특히, 고온 및 고진동 환경에서 커넥 터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크리프 변형에 기인하여 로킹 돌기와 결합부 사이의 간극이 확대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백래쉬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부재를 스프링에 의해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 공보 H01-98485에 개시된 로킹 구조가 알려져 있다. 스프링은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한 한 쌍의 레그부를 구비하고, 커넥터의 하우징에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우징에는 상대 하우징에 마련된 로킹 돌기가 돌과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과 적절하게 접속된 때에, 스프링의 레그부는 통로 내로 돌출하고, (상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로킹 돌기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으며, 두 커넥터는 레그부와 로킹 돌기의 결합에 의해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된다.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된 두 커넥터를 분리할 때에는, 스프링을 아래로 눌러서 레그부를 통로로부터 후퇴시킴으로써 로킹 상태가 해제된다.
전술한 구조에 있어서는, 손가락 끝으로 스프링을 직접 눌러야 한다(즉, 로킹 해제 작업을 행해야 한다). 스프링이 손가락 끝보다 가늘기 때문에, 조작성이 열악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대 커넥터의 형상으로 인하여 손가락 끝을 스프링에 올려두기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예컨대, 상대 커넥터가 스프링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벽 부분을 갖는 경우에는), 지그 등을 이용하여 로킹 해제 작업을 행해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로킹 해제 작업에 노동력 및 시간이 요구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전술한 로킹 구조에 있어서는, 예컨대 커넥터 장치를 고진동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에 스프링이 변위되어 로킹 상태가 돌발적으로 해제될 수도 있다. 그러나 로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이 특정의 크기로 변위 가능한 상태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에 따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적인 조작성이 개선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특히 제1 커넥터를 제2 커넥터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적 절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및 조립체로서,
제1 및 제2 커넥터의 하나의 하우징의 장착부에 탄성 변위 가능한 한 쌍 이상의 레그부를 갖는 스프링 또는 탄성 부재가 장착되어 있고,
하나의 하우징에는 하나 이상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커넥터를 접속할 때에, 제1 및 제2 커넥터의 다른 하우징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피결합부가 통로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레그부는 통로와 장착부를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통부를 통하여 각각의 통로 내로 돌출하고,
피결합부는, 한 쌍의 커넥터를 접속할 때에, 레그부를 탄성적으로 변위시키면서 통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레그부와 접촉할 수 있으며,
피결합부의 후면은, 연통부와 실질적으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피결합면으로서 작용하고, 이 피결합면은, 한 쌍의 커넥터가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한 때에 레그부의 탄성 복원력을 받으면 다른 하우징을 전방으로 압박하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경사져 있으며,
제2 커넥터의 피팅부에는, 피팅부의 이면을 향할수록 피팅부의 폭을 감소시키도록 경사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장치 또는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면과 제1 커넥터는, 제2 커넥터와의 접속 방향으로 제1 커넥터의 앞에 간극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접촉하도록 설정되 어 있다.
그러한 구성에 따르면, 한 쌍의 커넥터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하면, 제1 커넥터는 제1 커넥터의 앞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로 제2 커넥터의 경사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된 레그부가 피결합면을 가압하며, 이로써 피결합면이 형성된 하우징은 접속 방향으로 전방으로 가압되거나 변위된다. 이에 따라, 크리프 등에 기인하여 커넥터가 변형되는 경우에도, 하우징은 레그부의 탄성 복원력 때문에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1 커넥터는 제2 커넥터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두 커넥터의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작업성이 향상된다.
제2 커넥터의 경사면과 접촉하게 되는 제1 커넥터의 부분에는 경사면(들)과 실질적으로 합치되게 경사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커넥터는 면 접촉 상태로 유지되므로, 백래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은, 레그부가 통로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삽입 위치와 레그부가 통로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거나 및/또는, 연통부 및/또는 레그부는 스프링의 변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하나 이상의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을 부드럽게 변위시킬 수 있다.
장착부는 제2 커넥터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커넥터의 외주면 상에서 장착부의 앞뒤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 이상의 벽 부분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은 벽 부분 사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2 커넥터와 스 프링 사이의 백래쉬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 따르면,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레그부를 갖고 하나의 부재 상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에 의하여, 하나의 부재와 적절하게 접속된 다른 부재를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하는 로킹 구조로서,
스프링은 다른 부재와의 접속 방향으로 하나의 부재의 전단부에 장착되고,
하나의 부재에 장착된 스프링은, 다른 부재의 피결합부가 통과하는 통로 내로 레그부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삽입 위치와, 레그부가 통로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으며,
스프링은 하나의 부재와 적절하게 접속된 다른 부재의 피결합부를 결합하여 스프링이 삽입 위치에 있는 로킹 상태를 달성하고, 삽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실질적으로 변위됨으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하며,
스프링은 하나의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삽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를 향하여 또는 후퇴 위치로 변위되며,
하나의 부재는, 실질적으로 다른 부재와의 접속 방향으로 연장하고 실질적으로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로킹 해제 아암을 구비하며, 접속 방향으로 로킹 해제 아암의 전단부는 스프링과 하나의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링을 하나의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로서 작용하며, 접속 방향으로 로킹 해제 아암의 후단부는 가압 시에 가압부를 가압하는 로킹 해제부로 서 작용하는 것인 로킹 구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스프링은 로킹 해제부가 가압되는 때에 삽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변위되어 로킹 상태를 달성한다. 스프링을 손가락 끝으로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또한, 로킹 해제부가 다른 부재와의 접속 방향으로 로킹 해제 아암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부재의 형상에 기인하여 접속 방향으로 하나의 부재의 전단부(스프링이 장착되는 단부)에 손가락을 둘 공간이 없을 경우라도 어떠한 문제도 없이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그 등을 이용하여 로킹 해제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그러한 작업에 필요한 노동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킹 해제 작업의 작업성과 그에 따른 전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러한 작업에 필요한 노동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로킹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로킹 구조는, 다른 부재와의 접속 방향으로 연장하고 로킹 해제 아암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지지 아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접속 방향으로 지지 아암의 후단부는 접속 방향으로 로킹 해제 아암의 후단부와 접속될 수 있고, 접속 방향으로 지지 아암의 전단부는 하나의 부재와 접속될 수 있으며, 로킹 해제 아암과 하나의 부재 중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로킹 해제 아암과 하나의 부재를 서로 근접시키도록 로킹 해제부가 가압될 때, 전후 방향으로 로킹 해제 아암의 중간 부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부에서 다른 하나와 접촉하기 위한 지지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로킹 해제부가 가압되면, 지지 아암이 경사져서 로킹 해제 아암을 하나의 부재에 근접하게 하며, 로킹 해제 아암은 지지점 부분과의 접촉에 의해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져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로킹 해제 아암과 하나의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시소와 유사하게 로킹 해제 아암을 기울이는 지지점 부분이 별개로 설치되기 때문에, 연결부의 강도를 상응하게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로킹 해제 아암과 하나의 부재의 연결부가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지는 이동을 위한 지지점으로서도 작용하면, 연결부는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확대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의 강성이 증가하며, 로킹 해제부를 가압할 때에 상응하게 큰 힘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로킹 해제 아암과 하나의 부재의 연결부의 강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로킹 해제 작업에 보다 적은 힘이 요구된다. 그 결과, 로킹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로킹 구조는, 레그부가 통로에 도입되는 입구에 배치된 테이퍼진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테이퍼진 안내부는, 스프링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통로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레그부의 결합부에 대하여, 레그부가 탄성 복귀하는 측(sides)에 위치되어 있고, 레그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결합부를 통로를 향하여 안내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로킹 해제부가 가압되면, 결합부는 레그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테이퍼진 안내부에 대하여 가압되어 통로 내로 안내되며, 스프링은 후퇴 위치로부터 삽입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따라, 로킹 해제 작업을 실행한 후에 한 쌍의 부재를 재접속하고 로킹할 때, 스프링을 다시 삽입 위치로 설정할 필요 가 없으며, 그 결과 로킹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가압부는, 스프링이 가압되어 이동할 때에, 스프링이 가압되는 측을 향하여 편향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킹 해제 작업 시에, 스프링이 로킹 해제 아암의 전단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로킹 해제 작업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의 제1 양태 또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 및 조립체가 제공되며, 상기 양태의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구조를 갖고, 이 로킹 구조에 있어서 하나의 부재로서의 하우징과 적절하게 접속된 다른 부재로서의 상대 하우징이 스프링에 의해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과 적절하게 접속된 상대 하우징이 한 쌍의 탄성 변위 가능한 레그부를 갖고 하우징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하여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및 조립체가 제공되며,
스프링은 상대 하우징과의 접속 방향으로 하우징의 전단부에 장착되고,
하우징에 장착된 스프링은, 상대 하우징의 피결합부가 통과하는 통로 내로 레그부가 돌출하는 삽입 위치와, 레그부가 통로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으며,
스프링은 하우징과 적절하게 접속된 상대 하우징의 피결합부를 결합하여 스프링이 삽입 위치에 있는 로킹 상태를 달성하고, 삽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변위됨으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하며,
스프링은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삽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변위되며,
하우징은, 상대 하우징과의 접속 방향으로 연장하고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로킹 해제 아암을 구비하며, 접속 방향으로 로킹 해제 아암의 전단부는 스프링과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링을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로서 작용하며, 접속 방향으로 로킹 해제 아암의 후단부는 가압 시에 가압부를 가압하는 로킹 해제부로서 작용한다.
스프링에 의해 적절한 접속 상태의 한 쌍의 부재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구조, 스프링에 의해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이들 로킹 구조 및 커넥터 장치는 로킹 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탄성 변위 가능한 한 쌍 이상의 레그부를 포함하고 하나의 부재에 또는 그 위에 장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에 의해, 하나의 부재와 적절하게 접속된 다른 부재를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하는 로킹 구조가 제공되며,
스프링은 다른 부재와의 접속 방향으로 하나의 부재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하나의 부재에 장착된 스프링은, 다른 부재의 하나 이상의 피결합부가 통과하는 통로 내로 레그부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삽입 위치와, 레그부가 통로로부터 후퇴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으며,
스프링은 다른 부재의 피결합부와 결합하여 스프링이 삽입 위치에 있는 로크 상태를 달성하고, 삽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변위됨으로써 로크 상태를 해제하며,
다른 부재와의 접속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한 가동 부재가 하나의 부재에 또는 그 내부에 조립되며,
가동 부재에는, 변위 시에 스프링을 후퇴 위치로 가압할 수 있도록 경사진 하나 이상의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가동 부재가 변위되거나 이동되면(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이동하면), 가압면은 스프링과 상호 작용(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여 스프링을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변위시키며, 이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스프링을 손가락 끝으로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전체 작업성이 개선된다. 또한, 다른 부재의 형상 등에 기인하여 접속 방향으로 하나의 부재의 전단부(스프링이 장착되는 단부)에 손가락을 둘 공간이 없는 경우라도, 어려움 없이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그 등을 이용하여 로킹 해제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그러한 작업에 필요한 노동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킹 해제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러한 작업에 필요한 노동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로킹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스프링이 후퇴 위치로 변위되거나 가압된 후에 실질적으로 접속 방향으로 다른 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가 슬라이더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가동 부재가 변위되어(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이동되어) 로킹 상태를 해제한 후에, 접촉부가 다른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하나의 부재를 분리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손가락 끝으로 유지한 상태로 하나의 부재를 다른 부재로부터 빼낼 때와 비교하여, 두 커넥터를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로킹 구조는 레그부가 통로에 도입되는 입구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테이퍼진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테이퍼진 안내부는, 스프링이 후퇴 위치에 있을 때 통로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레그부의 결합부에 대하여, 레그부가 탄성 복귀하는 측에 위치되어 있고, 레그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결합부를 통로를 향하여 안내하도록 경사져 있다.
가동 부재에 의한 상호 작용(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에 의한 가압 동작)을 실질적으로 중단하면, 결합부가 테이퍼진 안내부에 대하여 가압되어 레그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통로 내로 실질적으로 안내되며, 스프링은 후퇴 위치로부터 삽입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따라, 로킹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분리된 후에 한 쌍의 부재를 다시 접속할 때에, 스프링을 다시 삽입 위치로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로킹 동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어, 전체 작업성이 개선된다.
스프링은 하나의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삽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킹 해제 작업 중에 스프링의 변위 방향 은 하나의 부재로부터의 스프링의 분리 방향과 반대이므로, 로킹 해제 작업 중에 하나의 부재로부터 스프링이 돌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부는 하나의 부재와 반대쪽의 스프링 측에서 접촉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부재가 하나의 부재와 반대쪽(즉, 하나의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며, 그 결과 스프링이 하나의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동 부재(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는 한 쌍의 레그부 사이에서 스프링의 중앙부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 부재(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가 스프링의 중간부,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심부(한 쌍의 레그부 사이)와 상호 작용하거나 그 부분을 가압하기 때문에, 스프링을 가압하는 힘은 양호한 밸런스로 작용하고, 로킹 해제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하나의 부재는 하나의 부재와 반대쪽의 스프링 측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상승 방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승 방지부에 의하여 이동 또는 슬라이딩 동작 중에 가동 부재(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가동 부재(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가 상승하지 않도록 가동 부재(슬라이더)를 가압할 필요가 없어서, 로킹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의 이전의 양태 또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 및 조립체가 제공되며, 상기 양태의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구조를 갖고, 이 로킹 구조에 있어서 하나의 부재로서 의 하우징과 적절하게 접속된 다른 부재로서의 상대 하우징이 스프링에 의해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과 적절하게 접속되 상대 하우징이 한 쌍의 탄성 변위 가능한 레그부를 구비하고 하우징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하여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또는 조립체가 제공되며,
스프링은, 상대 하우징과의 접속 방향으로 하우징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하우징에 장착된 스프링은, 상대 하우징의 피결합부가 통과하는 통로 내로 레그부가 돌출하는 삽입 위치와, 레그부가 통로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으며,
스프링은 상대 하우징의 피결합부와 결합하여 프링이 삽입 위치에 있을 때 로킹 상태를 달성하고, 삽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변위됨으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하며,
다른 부재와 접속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하나의 부재 내료 조립되고,
슬라이더에는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스프링에 대하여 가압될 때에 스프링을 후퇴 위치로 가압할 수 있도록 기울어진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따르면, 스프링에 의해 적절한 접속 상태의 한 쌍의 부재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구조와, 스프링에 의해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이들 로킹 구조 및 커넥터 장치는 로킹 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탄성 변위 가능한 한 쌍의 레그부를 구비하고 하우징에 장착되는 스프링에 의해, 하우징과 적절하게 접속된 상대 하우징을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하는 로킹 구조가 제공되며,
스프링은, 다른 부재의 하나 이상의 피결합부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로 내로 레그부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삽입 위치와, 레그부가 통로로부터 후퇴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고, 하나의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삽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에 도달하며, 레그부와 피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다른 부재를 분리 불가능하게 로크하고, 레그부가 통로로부터 후퇴됨으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하며,
하나의 부재는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로킹 해제 아암을 포함하고, 이 로킹 해제 아암의 일단은, 스프링을 하나의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스프링과 하나의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부로서 작용하고, 그 타단은 가압 시에 가압부를 가압하거나 변위시키는 로킹 해제부로서 작용하며,
로킹 해제 아암은 가압부와 반대쪽의 스프링 측에 하나 이상의 팽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로킹 해제 아암의 조작부가 가압되면, 로킹 해제 아암의 가압부가 스프링을 실질적으로 하나의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을 가압하거나 변위시켜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스프링의 이러한 변위는, 스프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출부와 가압부 사이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방지된다. 이에 따라,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스프링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스프링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작업성이 향상된다.
팽출부는 한 쌍의 레그부 사이에서 스프링의 중간부와 일치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스프링은 폭방향 중심(실질적으로 한 쌍의 레그부 사이의 중간부)이 팽출부와 가압부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일측이 가압부로부터 상향 또는 외측으로 상승하는 스프링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는, 스프링이 가압되어 이동할 때, 스프링이 가압되는 측을 향하여 편향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킹 해제 작업 중에, 스프링이 가압부의 편향부에 대하여 가압되고, 가압부로부터 스프링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은 하나의 부재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원주방향 연장 홈부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의 종방향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의 제1 양태 또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 및 조립체가 제공되며, 상기 양태의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구조를 갖고, 이 로킹 구조에 있어서 하나의 부재로서의 하우징과 적절하게 접속된 다른 부재로서의 상대 하우징이 스프링에 의해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탄성 변위 가능한 한 쌍의 레그부를 구비하 고 하우징에 장착되는 스프링에 의해, 하우징과 적절하게 접속된 상대 하우징을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하는 로킹 구조가 제공되며,
스프링은, 다른 부재의 하나 이상의 피결합부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로 내로 레그부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삽입 위치와, 레그부가 통로로부터 후퇴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고, 하나의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삽입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에 도달하며, 레그부와 피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다른 부재를 분리 불가능하게 로크하고, 레그부가 통로로부터 후퇴됨으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하며,
하나의 부재는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로킹 해제 아암을 포함하고, 이 로킹 해제 아암의 일단은, 스프링을 하나의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스프링과 하나의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부로서 작용하고, 그 타단은 가압 시에 가압부를 가압하거나 변위시키는 로킹 해제부로서 작용하며,
로킹 해제 아암은 가압부와 반대쪽의 스프링 측에 하나 이상의 팽출부를 포함한다.
이상에 따르면, 로킹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고 스프링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는 로킹 구조 및 커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들을 개별적 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 실시예의 단일의 특징을 추가의 실시예로 조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 또는 조립체는, 적어도 서로 접속 가능한 (바람직한 제1 커넥터에 대응하는) 수형 커넥터(10)와 (바람직한 제2 커넥터에 대응하는) 암형 커넥터(20)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구성 부재에 있어서, 접속되는 두 커넥터(10, 20)의 측면을 각각 전방측으로 지칭하고, 상하측과 관련해서는 도 1을 참고한다.
수형 커넥터(10)는 수형 하우징(11)과 이 수형 하우징(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된 하나 이상의 수형 단자(12)를 포함한다. 수형 하우징(11)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으로 약간 더 긴 직사각형 튜브 형태의) 전방 리셉터클(13) 및 후방 리셉터클(14)을 포함하며, 전방 리셉터클(13)은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고, 후방 리셉터클(14)은 후방측이 개방되어 있다. 전방 리셉터클(13)의 두께(내외 방향의 치수)는 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반부)보다 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반부)에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으로 또는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돌출하는 (바람직한 피결합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16)가 수형 하우징(11)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외면 또는 측면(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결합 돌기(16)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나 이상(예컨대 3개)의 수형 단자(12)가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에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되어 있고, 수형 하우징(11)의 후방벽(15)[전방 리셉터클(13)과 후방 리셉터클(14) 사이의 벽]을 관통하면서 유지되어 있다. (3개의) 수형 단자(12)의 전방부 및 후방부는 각각 전방 리셉터클(13)과 후방 리셉터클(14)의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암형 커넥터(20)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수형 하우징(11)과 접속 가능한 암형 하우징(21)을 포함한다. 암형 하우징(21)은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단자 수납수(23)와, 단자 수납수(23)의 외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측 튜브부(24)를 포함한다.
단자 수납수(23)는, 수형 하우징(11)의 전방 리셉터클(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어질 수 있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폭방향으로 약간 더 긴 단면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칼럼의 형태이며, 암형 단자(22)가 삽입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3개의 공동(25)이 단자 수납수(23)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외측 튜브부(24)는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튜브 형상이고, 단자 수납수(23)의 후단으로부터 또는 후단에서 전단으로 연장되며, 외측 튜브부(24)의 후단과 단자 수납수(23)의 후단은 바람직하게는 연결부(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외측 튜브부(24)와 단자 수납수(23)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간극 내로 수형 하우징(11)의 전방 리셉터클(13)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외측 튜브 부(24)와 단자 수납수(23) 사이의 부분은 피팅부(27)로서 작용하며, 이 피팅부 내로 수형 커넥터(1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되게 되어 있다. 전방 리셉터클(13)과 외측 튜브부(24), 단자 수납수(23) 사이의 백래쉬(backlash)를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백래쉬 방지 리브(49)가, 단자 수납수(23)의 외주면 및/또는 외측 튜브부(24)의 내주면 상의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위치에서 돌출하여 피팅부(27)를 형성한다(도 6 참조). 암형 단자(22)를 단자 수납수(23) 내에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너(48)를 바람직하게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개구(24A)가 바람직하게는 외측 튜브부(24)의 측면(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납수(23)의 외주면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후단에 근접한 위치에 시일 링(28)이 장착되거나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일 링(28)이 실질적으로 전방 리셉터클(13)과 단자 수납수(23) 사이에서 압착되거나 변형됨으로써 하우징(11, 12) 사이에 밀봉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 외면 또는 측면(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또는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손가락 파지부(29)가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21)의 후단에 또는 그 후단 근처에 마련되어 있다. 양 커넥터(10, 20)를 분리할 때에는, 손가락 끝으로 (바람직하게는 양) 손가락 파지부(29)를 잡고 암형 하우징(21)을 빼낼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직립 벽(31)이 바람직하게는 폭방향으로 특정의 (예정된 또는 예정 가능한) 거리만큼 간격을 상태로 외측 튜브부(24)의 외면 또는 측면(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한 쌍 의) 직립 벽(31)은 암형 하우징(21)의 후단으로부터 그 전단 근처의 위치까지(또는 그에 근접하게) 계속해서 연장된다.
한 쌍의 직립 벽(31)의 전단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위치결정 벽(32)이 외측 튜브부(24)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결정 벽(33)이 제1 위치결정 벽(32) 앞에 또는 이 벽에 근접하여 외측 튜브부(24)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위치결정 벽(33)은 바람직하게는 외측 튜브부(24)의 외면(상면) 및 양 측면에 걸쳐 연장되는 원주방향 벽이다. 제2 위치결정 벽(33)과 제1 위치결정 벽(32)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며,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바람직한 편향 부재로서의) 스프링(50)의 폭(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공간이 위치결정 벽들 사이에 구획되어 있다. 제1 위치결정 벽(32)과 제2 위치결정 벽(33)은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벽 부분에 대응한다.
실질적으로 외측 튜브부(24)의 측면(상면)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위치결정 벽(33)의 부분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심)에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는 전방 리세스(34)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리세스(34)는 바람직하게는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중심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부)에서의 깊이는 제2 위치결정 벽(33)의 두께(전후 방향의 폭)의 2/3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절반이다.
제1 위치결정 벽(32)과 제2 위치결정 벽(33) 사이에 있는 외측 튜브부(24)의 부분은 스프링(50)이 장착되는 장착부(35)로서 작용한다. 달리 말하면, 암형 하우 징(21)은 바람직한 하나의 하우징에 대응하고, 수형 하우징(11)은 바람직한 다른 하우징에 대응한다. 장착부(35)는 외측 튜브부(24)의 외주면의 내측으로 오목한 부분, 제1 위치결정 벽(32) 및 제2 위치결정 벽(33)에 의해 형성된다.
외측 튜브부(24)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외벽 또는 측벽(좌측벽 및/또는 우측벽)에 수형 하우징(11)의 결합부(16)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로(36)가 형성되어 있다. 각 통로(36)는 [단자 수납수(23)를 향하여] 내측이 개방되어 있는 홈이고, 외측 튜브부(24)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며, 및/또는 장착부(35)와 연통한다. 장착부(35)와 통로(36)를 연통시키는 연통부(37)의 상면(37A) 및/또는 하면(37B)은 바람직하게는 외측[장착부(35)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서로 근접하도록 경사져있고, 및/또는 내측에서의 연통부(37)의 수직 방향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결합 돌기(16)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도 5 참조).
스프링(50)은 전체적으로 바닥측이 개방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U 형상이며, 서로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한 한 쌍의 레그부(51)와 레그부(5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부(52)를 포함한다. 한 쌍의 레그부(51)는 자연 상태 또는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측부(52)의 양단으로부터, 상측부(52)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하향)으로 연장한다.
한 쌍의 레그부(51)의 바닥 단부 또는 말단부는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뾰족하거나 내측으로 뾰족한 삼각형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이들 굴곡부는 연통부(37)를 통하여 통로(36)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결합부(53)로 서 작용한다. 결합부(53)는 서로를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진 상부(근위) 경사측(53A)과 하부(원위) 경사측(53B)을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내측을 향할수록 수직 방향(돌출 방향)으로 보다 작은 폭 또는 연장부를 갖도록 형상화되어 있다. 상부 경사측(53A)과 하부 경사측(53B)은 연통부(37)의 상면(37A) 및 하면(37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53)의 돌출 단부[상부 경사측(53A)과 하부 경사측(53B) 사이의 경계]는 둥근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50)은, 결합부(53)가 통로(36) 내로 돌출하는 삽입 위치(IP; 도 5 참조)와, 결합부(53)가 통로(36)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RP; 도 6 참조)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이 삽입 위치(IP)에 삽입되면, 통로(36)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결합부(53)는 통로(36)를 통과하는 결합부(16)에 의해 가압되며, 이로써 레그부(5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두 커넥터(10, 20)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하면, 레그부(5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결합부(53)와 결합 돌기(16)의 피결합면(16B)을 결합하여, 수형 하우징(11)을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시킨다.
스프링(50)은 삽입 위치(IP)로부터 상향으로[암형 하우징(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후퇴 위치(RP)에 도달한다. 스프링(50)이 후퇴 위치(RP)에 도달하면, 결합부(53)는 통로(36)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하여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통로(36)로부터 후퇴된 결합부(53)는 연통부(37)의 상면(37A)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연통부(37)의 상면(37A)과 결합부(53)의 상부 경사측(53A)은 바람직한 안내부에 대응하는 것이다.
직립 벽(31) 사이에 있는 외측 튜브부(24)의 상면의 부분은 전후 방향으로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략 중심 위치)로부터 암형 하우징(21)의 후방 가장자리를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로써 후방 리세스(38; 도 7 참조)를 형성한다. 후방 리세스(38)의 깊이는 이면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직립 벽(31) 사이에서 외측 튜브부(24)에는 로킹 해제 아암(39)이 설치되어 있다. 로킹 해제 아암(39)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수형 하우징(11)과의 접속 방향]으로 연장하고, 시소(seesaw)와 유사하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폭방향으로 설치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연결 회전축(41)을 통하여 양 직립 벽(31)에 연결되어 있다.
로킹 해제 아암(39)의 전단부(일단부)는, 스프링(50)의 아래(또는 반경 방향 내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여, 로킹 해제 아암(39)이 기울어질 때 스프링(50)을 상향 또는 반경 방향 외측[암형 하우징(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42)로서 작용한다. 로킹 해제 아암(39)의 전단에 또는 전단 근처에 외측 또는 상향으로 서 있는 전방 벽부(43)가 설치되어 있고, 가압부(42)는 하향 또는 내측으로, 즉 상기 전방 벽부(43)에 의해 스프링(50)을 상향 또는 외측으로 가압할 때에 스프링(50)이 가압되는 측을 향하여 편향된다. 전방 벽부(43)는 제2 위치결정 벽(33)의 전방 리세스(3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고, 전방 벽부(43)의 후면과 제2 위치결정 벽(33)의 후면[제1 위치결정 벽(32)에 마주하는 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벽부(43)는 그 폭이 상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산 형상을 갖는다.
전방 벽부(43)의 상단에 또는 그 근처에 후방으로 돌출하는 후크부(44)가 마련되어 있다. 전방 벽부(43)로부터의 후크부(44)의 돌출 거리는 전후 방향으로 스프링(50)의 폭(반경)의 대략 반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반을 넘는다. 후크부(44)는 스프링(50)의 상측부(52) 위에 배치되어 있고, 스프링(50)의 수직 폭(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간극이 후크부(44)와 가압부(42)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50)의 상측부(52)는 수직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크부(44)와 가압부(42)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부(44)는 스프링(50)의 폭방향 중심부[한 쌍의 레그부(51) 사이의 중심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50)은, 바람직하게는 전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제1 위치결정 벽(32), 전방 벽부(43) 및 제2 위치결정 벽(33)의 사이에 유지된다. 제1 위치결정 벽(32)과 제2 위치결정 벽(33)의 높이는, 스프링(50)이 삽입 위치(IP)와 후퇴 위치(RP) 사이의 변위 범위에 걸쳐 그들 위치결정 벽 사이에 유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로킹 해제 아암(39)의 후단부(타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가압 시에 가압부(42)를 가압하는 로킹 해제부(45)가 마련되어 있다. 로킹 해제부(45)의 하면은, [바람직하게는 로킹 해제부(45)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후단을 향하여 외측으로 또는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로킹 해제부(45)의 하면과 암형 하우징(21)의 후방 리세스(38)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암형 하우징(21)의 높이를 억제하면서 로킹 해제부(45)의 충분한 하향 탄성 변위가 확보되거나 제공된다.
로킹 해제 아암(39)이 자연스러운 상태로 있을 때, 스프링(50)은 삽입 위치(IP)에 유지되거나 위치 결정되어 있고, 암형 하우징(21)은 수형 하우징(11) 내로 로킹 가능한 상태로 있다. 이 때에, 로킹 해제 아암(39)의 상태를 로킹 가능한 상태(lockable state)로 지칭한다. 로킹 해제부(45)가 가압되어 로킹 해제 아암(39)을 기울어지게 하면, 가압부(42)는 스프링(50)을 상향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거나 변위시키고, 스프링(50)은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후퇴 위치로 변위되는데, 즉 수형 하우징(11)과의 로킹 상태가 해제된다. 로킹 해제 아암(39)의 이러한 상태를 로킹 해제 상태(unlocking state)로 지칭한다.
암형 커넥터(20)의 피팅부(27)에는 후방측(뒷쪽)을 향하여 피팅부(27)의 폭을 감소시키도록 경사진[단자 수납수(2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하나 이상의 경사면(46)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6)은 외측 튜브부(24)의 내주면[단자 수납수(23)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6)은 피팅부(27)의 후단측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26) 바로 앞의 위치로부터 단자 수납수(23)에 끼워진 시일 링(28)의 전단 근처의 위치에 이르는 범위의 외측 튜브부(24)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6)은, 수직 방향 및/또는 가로 방향으로 피팅부(27)의 치수를 줄이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원주(구체적으로, 4개의 코너를 배제한 상하 좌우 가장자리부)에 걸쳐 외측 튜브부(24)의 내주면에 실질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팅부(27)의 후단에서의 폭[경사면(46)과 단자 수납수(23) 사이의 거 리]는 수형 하우징(11)의 전방 리셉터클(13)의 전단부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두 커넥터(10, 20)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하면, 전방 리셉터클(13)은, 전방 리셉터클(13)의 전단이 피팅부(27)의 후단에 도달하기 전에 경사면(46)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전방 리셉터클(13)의 전방[암형 커넥터(20)와의 접속 방향으로 전방]에 간극이 형성된다.
전방 리셉터클(13)의 전단부[암형 커넥터(20)의 경사면(46)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46)의 경사도에 실질적으로 일치하게 하나 이상의 경사면(17)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7)은 실질적으로 전체 원주에 걸쳐 전방 리셉터클(1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면(17)은 전방 리셉터클(13)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고, 및/또는 전방 리셉터클(13)의 전단부는 경사면(17)에 의해 전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얇아진다. 경사면(17)에 대응하는 전방 리셉터클(13)의 내주면의 부분은 시일 링(28)과 밀착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10)의 결합 돌기(16)는 전후 방향으로 수형 하우징(11)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및/또는 그 높이 위치는 실질적으로 수형 하우징(11)의 수직 방향 중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돌기(16)의 전면(前面)은 스프링(50)이 결합 돌기(16)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상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라이딩 면(16A; riding surface)으로서 작용하는 반면, 그 후면은 스프링(50)과 결합할 수 있는 피결합면(16B)으로서 작용한다.
피결합면(16B)은 결합부(16)를 실질적으로 전방[암형 하우징(21)과의 접속 방향으로 전방]으로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경사져 있는데, 즉 레그부(51)의 탄성 복원력[실질적으로 외측으로부터 전방 리셉터클(13)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으면 전방 리셉터클(13)로부터 후방측을 향한 돌출 거리를 줄이도록 경사져 있다. 피결합면(16B)의 경사도는 라이딩면(16A)의 경사도보다 가파른 것이 바람직하며, 전후 방향으로 스프링(50)의 폭보다 작은 치수와 관련하여 결합부(16)의 돌출 거리에 의해 규정된다. 피결합면(16B)은 두 커넥터(10, 20)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한 때에 연통부(37)와 마주하는 위치에 도달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두 커넥터(10, 20)의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 피결합면(16B)의 전방 가장자리 위치는 연통부(37)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전체의 피결합면(16B)은 연통부(37)를 매개로 외측 튜브부(24) 외측의 공간에 노출되어 있다. 전방 리셉터클(13)의 앞에 간극을 확보하기 위하여 경사면(46)을 제공함으로써, 피결합면(16B)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용이하게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전방 리셉터클의 전단이 피팅부의 후단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모드에서, 전후 방향에 대한 두 하우징의 위치는 그러한 접촉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리셉터클(13)의 앞에 간극이 제공되기 때문에, 전방 리셉터클(13)을 전방으로 삽입함으로써 약간의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의 수형 커넥터(10)와 암형 커넥터(20)를 로킹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히, 로킹 해제 아암(39)은 통상적으로 로킹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및/또는 스프링(50)은 통상적으로 로킹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 다.
먼저, 암형 하우징(21)의 통로(36)가 수형 하우징(11)의 결합 돌기(16)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는 상태로, 암형 하우징(21)을 손가락을 잡고 수형 하우징(11) 내로 점진적으로 밀어 넣는다. 그 후, 결합 돌기(16)를 통로(36)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라이딩면(16A)을 스프링(50)의 결합부(53)와 실질적으로 접촉시킨다. 결합 돌기(16)를 전방으로 더욱 이동시킴에 따라, 스프링(50)의 결합부(53)는 결합 돌기(16) 상에서 이동하고, 레그부(51)는 외측으로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된다. 이 때에, 로킹 해제 아암(39)의 후크부(44)가 스프링(50)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레그부(51)의 탄성 변위 시에 스프링(50)이 위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바람직하게는 시일 링(28)을 가압 또는 변형시키면서 수형 하우징(11)의 전방 리셉터클(13)의 전단부를 피팅부(27)의 이면측을 향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한다. 두 커넥터(10, 20)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하면, 전방 리셉터클(13)의 경사면(17)이 경사면(46)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임의의 추가의 전방 이동을 억제한다. 또한, 결합 돌기(16)의 돌출 단부면[라이딩면(16A)과 피결합면(16B) 사이의 면]은 스프링(50)을 전방으로 통과하고, 레그부(5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거나 및/또는 연통부(37)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피결합면(16B)과 탄성 접촉 상태로 유지되며, 그 결과 두 하우징(11, 21)은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된다. 이 때에, 레그부(51)의 결합부(53)는 전단 근처의 위치에서 피결합면(16B)면에 대하여 가압된다. 두 커넥터(10, 20)의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 두 하 우징(11, 21)의 내부 공간은 시일 링(28)과, 와이어용의 하나 이상의 탄성 또는 고무 플러그(47)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형 단자(12) 및 암형 단자(22)는 전기적으로 적절하게 접속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 쌍의 커넥터(10, 20)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하면, 수형 커넥터(10)의 경사면(17)과 암형 커넥터(20)의 경사면(46)은 수형 커넥터(10) 앞에 간극이 형성된 상태로 실질적으로 접촉 상태로 유지되거나 위치 결정되며, 결합 돌기(16)는 레그부(51)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두 커넥터(10, 20)를 실질적으로 밀착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10) 또는 암형 커넥터(20)가 크리프 등에 기인하여 변형되면[예컨대, 외측 튜브부(24)가 예컨대 외측으로 변형되면], 수형 하우징(11)은 레그부(5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이러한 변형에 대응한 전방 이동에 의해 두 커넥터(10, 20)를 밀착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커넥터(10, 20)가 고온 및/또는 고진동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라도, 두 커넥터(10, 20)의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단자(12, 22)의 슬라이딩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두 커넥터(10, 20)가 바람직하게는 경사면(17)과 경사면(46)의 접촉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긴밀한 면 접촉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백래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리셉터클(13)은, 전방 리셉터클(13)과 단자 수납수(23)의 사이에서 압착된(또는 변형된) 시일 링(28)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 튜브부(24)에 대하여 가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경사면(46)과 경사면(17)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원주에 걸쳐 실질적으로 밀착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된다.
스프링(50)은, 전 및/또는 후 방향의 변위를 방지하도록 제1 및/또는 제2 위치결정 벽(32, 33)[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및 제2 위치결정 벽(32, 33) 사이]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 수직 방향 변위는 후크부(44) 및/또는 가압부(42)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스프링(50)과 암형 하우징(21) 사이의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되어 있는 두 커넥터(10, 20)를 분리하는 상황을 설명한다. 먼저, 손가락 끝으로 로킹 가능한 상태의 로킹 해제 아암(39)을 잡고 로킹 해제부(45)를 하향 또는 내측으로 가압하거나 조작한다. 그 후, 로킹 해제 아암(39)이 기울어지며, 가압부(42)가 스프링(50)을 상향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거나 변위시킨다. 스프링(50)이 상향 또는 외측으로 가압되거나 변위됨에 따라, 결합부(53)의 상부 경사측(53A)은 실질적으로 연통부(37)의 상면(37A)을 따라 외측으로 안내되고, 이로써 레그부(51)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 때에, 상부 경사측(53A)과 연통부(37)의 상면(37A)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레그부(51)는 탄성 변형 시에 구속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스프링(50)을 부드럽게 변위시킬 수 있다. 로킹 해제 아암(39)이 로킹 해제 상태에 도달한 때에, 결합부(53)는 통로(36)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하는 연통부(37)의 상면 또는 외면(37A)의 상단 또는 외부단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결합 돌기(16)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로킹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킹 해제부(45)를 가압함으로써, 스프링(50)은 삽입 위치(IP)로부터 후퇴 위치(RP)로 또는 후퇴 위치를 향하여 변위되어 로킹 상태를 실질적으로 해제한다. 스프링(50)을 손 가락 끝으로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하다. 로킹 상태가 해제된 후에, 손가락을 암형 하우징(21)의 손가락 파지부(29)에 두고 양측으로부터 암형 하우징(21)을 잡고, 이를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두 커넥터(10, 20)가 분리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두 커넥터(10, 20)의 분리 작업이 완료된 후에 로킹 해제부(45)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떼면, 로킹 해제 아암(39)은 자연적으로 로킹 가능한 상태로 복귀하고, 레그부(51)의 결합부(53)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통부(37)의 상면(37A)에 대하여 가압된다. 그 후, 결합부(53)는 바람직하게는 연통부(37)의 상면(37A)의 경사에 의해 실질적으로 통로(36) 내로 안내되므로, 스프링(50)은 후퇴 위치(RP)로부터 삽입 위치(IP)로 또는 삽입 위치를 향하여 변위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50)은 손가락 끝을 로킹 해제부(45)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삽입 위치(IP)로 또는 삽입 위치를 향하여 자동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두 커넥터(10, 20)를 분리한 후에 다시 연결할 때에 바람직하게는 스프링(50)을 다시 삽입 위치(IP)로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두 커넥터(10, 20)의 연결 및 분리 작업에 필요한 시간 및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커넥터(10, 20)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하면, 수형 커넥터(10)와 암형 커넥터(20)의 경사면(46)은 수형 커넥터(10)의 앞에 간극이 있는 상태로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탄성 복원된 레그부(51)가 피결합면(16B)을 가압하여, 수형 커넥터(10)가 전방으로[암형 커넥터(20)와의 접속 방향으로] 가압되거나 변위된다. 따라서 커넥터(10, 20)가 크리 프 등에 기인하여 변형되는 경우라도, 수형 하우징(11)이 레그부(5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압박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수형 커넥터(10)와 암형 커넥터(20)의 경사면(46)이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두 커넥터(10, 20)의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결합부(16)의 하나 이상의 후면은 연통부(37)와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피결합면(16B)으로서 작용하고, 이 피결합면은, 한 쌍의 커넥터(10, 20)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한 때에 하나 이상의 레그부(51)의 탄성 복원력을 받으면 다른 하우징(11)을 하나의 하우징(21)과의 접속 방향으로 전방으로 압박하거나 변위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기울어진다. 제2 커넥터(20)의 피팅부(27)에는, 피팅부(27)의 이면측을 향하여 피팅부(27)의 폭을 감소시키도록 경사진 하나 이상의 경사면(46)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6)과 제1 커넥터(10)는, 제2 커넥터(20)와의 접속 방향으로 제1 커넥터(10)의 앞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접촉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변형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또한 포함되는 것이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50)이 암형 커넥터(20)에 장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지 않고, 암형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프링을 수형 커넥터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때에, 피결합부를 암형 커넥터에 설치 할 수도 있고, 통로를 수형 커넥터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스프링을 예컨대 수형 하우징의 후단부에 장착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피결합부는 암형 하우징의 외측 튜브부의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스프링의 레그부는, 두 커넥터를 연결할 때에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는 피결합부에 접촉할 수도 있는 반면에, 레그부는 두 커넥터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한 때에 외측으로 탄성 복원되어 결합부의 피결합면과 접촉한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프링(50)이 삽입 위치(IP)로부터 상향 또는 외측으로 변위됨으로써 후퇴 위치(RP)에 도달하고 있지만, 삽입 위치로부터 하향 변위됨으로써 후퇴 위치에 도달할 수도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로킹 해제 아암(39)을 조작함으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있지만, 그러한 로킹 해제 아암을 반드시 제공할 필요는 없으며, 손가락 끝으로 스프링을 직접 변위시킴으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4)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연통부(37)의 상면(37A)과 결합부(53)의 경사측(53A)이 모두 경사져 있지만, 어느 하나만을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로킹 구조는, 서로 적절하게 접속된 한 쌍의 커넥터[F, M; 암형 커넥터(F), 수형 커넥터(M)]를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하기 위한 로킹 구조에 적용된다. 이러한 로킹 구조는 암형 하우징(110)에 장착되거나 장착될 수 있는 스프링 또는 탄성 부재(140)에 의하여 암형 커넥터(F)의 (바람직한 하 나의 부재에 대응하는) 암형 하우징(110)과 적절하게 접속된 수형 커넥터(M)의 (바람직한 다른 부재에 대응하는) 수형 하우징(150)을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하도록 설계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구성 부재에 있어서, 접속되는 두 커넥터의 측면을 각각 전방측으로 지칭하고, 상하측과 관련해서는 도 8을 참고한다.
수형 커넥터(M)는 수형 하우징(150)과 이 수형 하우징(150)에 유지된 하나 이상의 수형 단자(151)를 포함한다. 수형 하우징(150)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으로 약간 더 긴 직사각형, 다각형, 라운드형, 또는 타원형 튜브 형태의) 전방 리셉터클(152)과 후방 리셉터클(153)을 포함하며, 전방 리셉터클(152)은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고, 후방 리셉터클(153)은 후방측이 개방되어 있다. 하나 이상, 예컨대 3개의 수형 단자(151)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에 폭방향으로 나란히) 제공되고, 수형 하우징(150)의 후방벽(154)[전방 리셉터클(152)과 후방 리셉터클(153) 사이의 벽]을 관통하면서 유지되어 있다. (3개의) 수형 단자(151)의 전방부 및 후방부는 각각 전방 리셉터클(152)과 후방 리셉터클(153)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돌출한다.
측방향으로 또는 외측으로(바람직하게는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돌출하는 (바람직한 피결합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155)가 수형 하우징(150)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면(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결합 돌기(155)는 전후 방향으로 수형 하우징(150)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및/또는 그 높이 위치는 수형 하우 징(150)의 수직 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 중심)에 위치되어 있다. 결합 돌기(155)의 전면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140)이 결합 돌기(155)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상향 또는 외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져 있는 반면에, 그 후면은 스프링(140)과 결합할 수 있는 피결합면(155A)으로서 작용한다.
암형 커넥터(F)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수형 하우징(150)과 접속될 수 있는 암형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암형 하우징(110)은,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13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단자 수납부(111)와, 단자 수납부(111)의 외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외측 튜브부(112)를 포함한다.
단자 수납부(111)는 수형 하우징(150)의 전방 리셉터클(15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폭방향으로 약간 더 긴 단면을 갖는 직사각형 칼럼의 형태이며, 암형 단자(134)가 삽입측,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 예컨대 3개의 공동(113)이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에서 단자 수납부(111)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외측 튜브부(112)는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튜브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자 수납부(111)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또는 전단을 향하여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측 튜브부(112)의 후단과 단자 수납부(111)의 후단은 연결부(114)에 의해 연결된다. 외측 튜브부(112)와 단자 수납부(111)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간 극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간극 내로 수형 하우징(150)의 전방 리셉터클(15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단자 수납부(111)의 외주면(바람직하게는 그 후방부)에 시일 링(115)이 끼워지거나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방 리셉터클(152)과 단자 수납부(111) 사이에서 압착되는 시일 링(115)에 의하여 두 하우징 사이에 밀봉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튜브부(112)의 하면에는, 암형 단자(134)를 단자 수납부(111) 내로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너(135)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면(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으로부터 옆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손가락 파지부(116)가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110)의 후단 또는 그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양 커넥터(F, M)를 분리할 때에는, 손가락 끝을 (양) 손가락 파지부(116)에 두고 암형 하우징(110)을 조작한다[예컨대 암형 하우징(110)을 외측으로 빼낸다].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직립 벽(117)이 외측 튜브부(112)의 외면, 측면, 또는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직립 벽(117)은 암형 하우징(110)의 후단으로부터 그 전단 근처의 위치로 또는 그 위치를 향하여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연장한다. 직립 벽(117) 사이에는 로킹 해제 아암(12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로킹 해제 아암(125)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직립 벽(117)에 인접하거나 그 벽들 사이에 있는] 외측 튜브부(112)의 상면의 부분은 전후 방향으로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 위치)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또는 후방 에지로 오목하게 되어, 후방 리세스(11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리세스(118)의 깊이는 이면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튜브부(112)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면(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1 위치결정 벽(119)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위치결정 벽(119)은 한 쌍의 직립 벽(117)의 전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외측 튜브부(112)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면을 따라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원주방향의 벽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위치결정 벽(119)의 앞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외측 튜브부(112)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결정 벽(121)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위치결정 벽(121)은 바람직하게는 외측 튜브부(112)의 상면 및 양 측면에 걸쳐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원주방향의 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위치결정 벽(121)과 제1 위치결정 벽(119)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및/또는 이들 위치결정 벽들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스프링(140)의 폭(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로킹 해제 아암(125)의 전단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출하거나 탈출할 수 있는 전방 리세스(122)가, 리세스 가공(recessing)에 의해 제2 위치결정 벽(121)[로킹 해제 아암(125)에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부분]의 폭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리세스(122)는 그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그 중심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부)에서의 깊이는 제2 위치결정 벽(121)의 두께(전후 방향의 폭)의 약 2/3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절반이다(도 11 참조).
제1 위치결정 벽(119)와 제2 위치결정 벽(121) 사이에 있는 외측 튜브부(112)의 부분은 스프링(14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장착부(123)로서 작용한다. 장착부(123)는 외측 튜브부(112)의 외주면의 내측으로 오목한 부분, 제1 위치결정 벽(119) 및 제2 위치결정 벽(12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형 하우징(150)의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155)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로(133)가 외측 튜브부(112)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벽(좌측벽 및/또는 우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각 통로(133)는 외측 튜브부(112)의 전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하고 및/또는 장착부(123)와 연통한다.
장착부(123) 및 통로(133)를 실질적으로 연통시키는 [레그부(141)가 통로(133)에 들어가는 바람직한 입구에 대응하는] 연통부(124)의 하나 이상의 상면(124A) 및/또는 하나 이상의 하면(124B)은 외측[장착부(123) 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서로 접근하도록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내측에서의 연통부(124)의 수직 방향 치수는 결합 돌기(155)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도 13 참조). 연통부(124)의 상면(124A)은 스프링(140)의 결합부(143)를 장착부(123)로부터 통로(133)를 향하여 안내하도록 경사져 있다. 연통부(124)의 상면(124A)은 바람직한 테이퍼진 안내부에 대응한다.
암형 하우징(110)의 장착부(123)에 또는 그 위에 장착된 스프링(140)은 전체적으로 개방된 바닥측 또는 측방향 바닥측을 갖는 실질적으로 U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레그부(141)와, 레그부(14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부(14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레그부(141)는, 자연 상태 또는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측부(142)의 양단으로부터 또는 양단에서, 상측부(14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하향으로[또는 실질적으로 스프링(14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레그부(141)의 바닥 단부 또는 말단부(또는 이에 근접한 부분)는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뾰족하거나 내측으로 뾰족한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굴곡부는 통로(13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결합부(143)로서 작용한다. 결합부(143)는 서로를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진 상부(근위) 경사측(143A)과 하부(원위) 경사측(143B)을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내측을 향할수록 수직 방향으로 보다 작은 폭 또는 연장부를 갖도록 형상화되어 있다. 하부 경사측(143B)은 연통부(124)의 하면(124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상측 경사부(143A)는 연통부(124)의 상면(124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사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143)의 돌출 단부[상부(근위) 경사측(143A)과 하부(원위) 경사측(143B) 사이의 경계]는 둥근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140)은, 결합부(143)가 통로(13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삽입 위치(IP; 도 13 참조)와, 결합부(143)가 통로(133)로부터 후퇴하는 후퇴 위치(RP; 도 14 참조)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140)이 삽입 위치(IP)에 삽입되면, 통로(13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결합부(143) 는 통로(133)를 통과하는 결합 돌기(155)에 의해 가압되며, 이로써 레그부(141)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두 커넥터(F, M)가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하면, 레그부(14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결합부(143)와 피결합면(155A)을 결합하여, 수형 하우징(150)을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시킨다. 스프링(140)은 삽입 위치(IP)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 또는 상향으로[실질적으로 암형 하우징(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서 후퇴 위치(RP)에 도달한다. 스프링(140)이 후퇴 위치(RP)에 도달하면, 결합부(143)는 통로(133)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하여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실질적으로 통로(133)로부터 후퇴된 결합부(143)는 연통부(124)의 상면(124A)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위치결정 벽(119, 122)의 높이는, 삽입 위치(IP)와 후퇴 위치(RP) 사이의 스프링(140)의 변위 가능한 범위에 걸쳐 스프링(140)의 전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직립 벽(117)에 인접하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 쌍의 직립 벽(117) 사이에 설치된 로킹 해제 아암(125)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암형 하우징(110)과의 접속 방향]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외측 튜브부(112)로부터 상승하도록 실질적으로 폭방향으로 설치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연결 회전축 또는 선회축(126)을 매개로 직립 벽(117)에 연결되어 있다. 로킹 해제 아암(125)은 암형 하우징(110)의 후단(또는 그에 근접한 부분)으로부터 제2 위치결정 벽(121)의 전방 리세스(122)로 또는 그 리세스를 향하여 돌출하는 길이를 갖고, 및/또는 연결 회전축(126)은 로킹 해제 아암(125)의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간(바람직 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연결 회전축 또는 선회축(126)은 직립 벽(117)의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방향[로킹 해제 아암(125)의 짧은 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피벗 가능하도록 형상화되고, 로킹 해제 아암(125)은 연결 회전축(126)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연결 회전축(126)은 직립 벽(117)과 접속되는 로킹 해제 아암(125)의 측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약간 경사지게 연장한다. 자연스러운 상태에 있을 때, 로킹 해제 아암(125)은 외측 튜브부(112)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도 8 참조).
로킹 해제 아암(125)의 전단부(일단부)는, 스프링(140)의 아래(또는 반경 방향 내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여, 로킹 해제 아암(125)이 기울어질 때 스프링(140)을 상향 또는 외측[암형 하우징(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27)로서 작용한다. 로킹 해제 아암(125)의 전단에 또는 전단 근처에 외측 또는 상향으로 서 있거나 돌출하는 전방 벽부(128)가 설치되어 있고, 가압부(127)는 하향 또는 내측으로, 즉 상기 전방 벽부(128)에 의해 스프링(140)을 상향 또는 외측으로 가압할 때에 스프링(140)이 가압되는 측을 향하여 편향된다. 전방 벽부(128)는 제2 위치결정 벽(121)의 전방 리세스(12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고, 전방 벽부(128)의 후면과 제2 위치결정 벽(121)의 후면[제1 위치결정 벽(119)에 마주하는 면]은, 로킹 해제 아암(125)이 자연스러운 상태로 있을 때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벽부(128)는 그 폭이 상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실질적으로 산 형상 또는 수렴하는 형상을 갖는다.
전방 벽부(128)의 상단에 후방으로 돌출하는 후크부(129)가 마련되어 있다. 후크부(129)는 스프링(140)의 상측부(142)의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심 위치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합치되게 설치되어 있고, 및/또는 그 돌출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140)의 약 2/3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후 방향으로 스프링(140)의 폭(반경)의 절반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후크부(129)와 가압부(127)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140)의 수직 방향 폭(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140)의 상측부(142)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 후크부(129)와 가압부(127)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스프링(140)은, 전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제1 위치결정 벽(119), 전방 벽부(128), 제2 위치결정 벽(121)의 사이에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시에 가압부(127)를 가압하기 위한 로킹 해제부(131)가 로킹 해제 아암(125)의 후단부(타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로킹 해제부(131)의 폭은 연결 회전축(126; 도 11 참조) 앞에서 로킹 해제 아암(125)의 전방부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로킹 해제부(131)의 상면의 후단부는 후방측을 향하여 상향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는 피가압 경사부(132)로서 작용한다(도 8 참조). 로킹 해제부(131)의 하면은 후단을 향하여 상향 또는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달리 말하면, 로킹 해제부(131)는 후단을 향하여 수직 방향의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상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킹 해제부(131)의 하면과 암형 하우징(110)의 후방 리세스(118) 의 경사에 의하여, 암형 하우징(110)의 높이가 최대로 억제된 상태에서 로킹 해제부(131)의 충분한 하향 탄성 변위가 확보된다.
로킹 해제 아암(125)이 자연스러운 상태 또는 편향되지 않은 상태로 있으면, 스프링(140)은 삽입 위치(IP)에 유지되거나 위치 결정되고, 암형 하우징(110)은 수형 하우징(150)과 로킹 가능한 상태로 있다. 이때의 로킹 해제 아암(125)의 상태를 로킹 가능한 상태로 지칭한다. 로킹 해제부(131)가 가압되어 로킹 해제 아암(125)이 기울어지면, 가압부(127)는 스프링(140)을 상향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며, 스프링(140)은 후퇴 위치(RP)로 또는 후퇴 위치를 향하여 변위되는데, 즉 수형 하우징(150)과의 로킹 상태가 해제된다. 로킹 해제 아암(125)의 이러한 상태를 로킹 해제 상태로 지칭한다(도 14 및 도 15 참조).
다음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의 수형 커넥터(M)와 암형 커넥터(F)를 로킹하는 조작을 설명한다. 로킹 해제 아암(125)은 통상적으로 로킹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고, 스프링(140)은 통상적으로 삽입 위치(IP)로 설정된다.
먼저, 암형 하우징(110)을 조작하고(예컨대 손가락으로 파지하고), 암형 하우징(110)의 하나 이상의 통로(133)가 수형 하우징(150)의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155)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 상태로 수형 커넥터(M)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밀어 넣거나 변위시킨다. 그 후, 결합 돌기(155)를 통로(133)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그 전면을 스프링(140)의 결합부(143)와 실질적으로 접촉시킨다. 결합 돌기(155)를 전방으로 더 이동시킴에 따라, 스프링(140)의 결합부(143)는 결합 돌기(155) 상에서 이동하며, 레그부(141)는 외측으로(실질적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 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된다. 이때에, 로킹 해제 아암(125)의 후크부(129)가 스프링(140)의 위에(또는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스프링(140)이 레그부(141)의 탄성 변위로 인하여 상향 또는 외측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두 커넥터(M, F)가 적절한 접속 상태(또는 그에 근접한 상태)에 도달하는 것과 동시에, 결합 돌기(155)의 돌출 단부면은 스프링(140)을 전방으로 통과할 수 있고, 레그부(14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며, 이로써 결합부(143)와 결합 돌기(155)의 피결합면(155A)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두 하우징(110, 150)을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한다. 두 커넥터(F, M)의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 두 하우징(110, 150)의 내부 공간은 시일 링(115)과 배선용의 하나 이상의 탄성 또는 고무 플러그(136)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형 및 암형 단자(151, 134)는 적절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된 두 커넥터(F, M)를 분리할 수 있다. 먼저, 손가락 끝을 로킹 가능한 상태의 로킹 해제 아암(125)의 피가압 경사부(132)에 두고 로킹 해제부(131)를 하향 또는 내측으로 가압한다. 그 후, 연결 회전축 또는 피벗축(126)이 지지점으로서 회전하거나, 피벗되거나, 기능하며, 이로써 로킹 해제 아암(125)은 경사지고, 가압부(137)는 스프링(140)을 상향 또는 외측으로 가압한다. 스프링(140)이 가압부(137)에 의해 상향 또는 외측으로[후퇴 위치(RP)를 향하여] 가압됨에 따라, 결합부(143)는 연통부(124)의 상면(124A)의 경사를 따라 외측으로 안내되고, 레그부(141)는 서로 멀어지게 탄성 변형된다. 로킹 해제 아암(125)이 로킹 해제 상태에 도달하면, 결합부(143)는 통로(133)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되는 연통부(124)의 상면(124A)의 상단에 위치하며, 결합 돌기(155)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로킹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그 후, 손가락을 암형 하우징(110)의 손가락 파지부(116)에 두고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110)을 실질적으로 양측으로부터 유지하여, 그것을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두 커넥터(F, M)가 분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킹 해제부(131)를 가압함으로써, 스프링(140)은 삽입 위치(IP)로부터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그 후퇴 위치로 변위되어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스프링(140)을 손가락 끝으로 직접적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도한, 로킹 해제부(131)는 로킹 해제 아암(125)의 후단부[수형 커넥터(M)와의 접속 방향으로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암형 하우징(110)과 접속되는 수형 하우징에, 본 실시예의 수형 하우징(150)과 달리 예컨대 전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 등이 마련되고 암형 하우징(110)의 전단측[스프링(140)이 장착되는 측]에 손가락 끝을 둘 공간이 없는 경우에도, 어떠한 어려움 없이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지그 등을 이용하여 로킹 해제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그러한 작업에 필요한 노동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 끝으로 스프링을 직접 변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로킹 해제 작업의 작업성이 양호하고, 상대 수형 하우징의 형상에 관계없이 노동력 및 시간을 들이지 않으면서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로킹 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두 커넥터(F, M)의 분리 작업이 완료된 후에 로킹 해제부(131)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떼면, 로킹 해제 아암(125)이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스프링(140)을 하향 또는 내측으로 가압하거나 변위시키는 힘이 해제되고, 결합부(143)는 레그부(14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통부(124)의 상면(124A)에 대하여 가압된다. 그 후, 결합부(143)는 연통부(124)의 상면(124A)의 경사에 의해 통로(133) 내로 실질적으로 안내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140)은 후퇴 위치(RP)로부터 삽입 위치(IP)를 향하여 또는 그 삽입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140)은 손가락 끝을 로킹 해제부(13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삽입 위치(IP)로 설정된다. 따라서 두 커넥터(F, M)를 분리 후에 다시 접속할 때에 스프링(140)을 삽입 위치(IP)로 다시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접속 상태의 두 커넥터(F, M)를 다시 로킹하는데 필요한 시간 및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가압부(137)는 스프링(140)을 가압할 때에 실질적으로 스프링(140)이 가압되는 측을 향하여 바람직하게 편향되기 때문에, 로킹 해제 작업 중에 스프링(140)이 로킹 해제 아암(125)의 전단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로킹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로킹 해제 아암(125)의 후크부(129)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140)의 상측부(142) 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140)의 상향[암형 하우징(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변위 및 분리를 그 후크부(129)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킹 해제 아암(125)의 가압부(127)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140)의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심부[한 쌍의 레그부(141) 사이]를 가압하기 때문에, 스프 링(140)을 가압하는 힘이 양호한 밸런스로 작용하고, 로킹 해제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140)은 로킹 해제부(131)를 가압함으로써 삽입 위치(IP)로부터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그 후퇴 위치로 변위되어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스프링(140)을 손가락 끝으로 직접적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스프링에 의해 적절한 접속 상태의 한 쌍의 부재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구조와 스프링에 의해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로킹 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로킹 구조 및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의 부재(110)는, 다른 부재(150)와의 접속 방향으로 연장하고 바람직하게는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로킹 해제 아암(125)을 포함한다. 이 로킹 해제 아암(125)의 일단은 스프링(140)과 하나의 부재(110) 사이에 배치된 가압부(137)로서 작용하여 스프링(140)을 하나의 부재(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그 타단은 가압 시에 가압부(137)를 가압하는 로킹 해제부(131)로서 작용한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2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로킹 구조는 로킹 해제 아암(170)의 형상에 있어서 이전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러한 로킹 구조는 암형 하우징(11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또는 탄성 부재(140)에 의하여 서로 적절하게 접속된 한 쌍의 커넥터[F, M; 암형 커넥터(F), 수형 커넥터(M)]를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한다.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스프링(140)은 삽입 위치(IP)와 후퇴 위치(RP)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고, 삽입 위치(IP)로부터 상향으로 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변위됨으로써 실질적으로 후퇴 위치(RP)에 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로킹 해제 아암(170)이, 암형 하우징(110)의 외면, 측면 또는 상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직립 벽(117)에 인접하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 쌍의 레그부(14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로킹 해제 아암(170)은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판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암형 하우징(110)의 후단으로부터 제2 위치결정 벽(121)의 전방 리세스(122)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로킹 해제 아암(170)은 직립 벽(117)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양측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지지 아암(171)을 매개로 직립 벽(117)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 아암(171)은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110)으로부터 상승된 상태의 로킹 해제 아암(170)을 지지하거나 보조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및/또는 로킹 해제 아암(170)의 연장 방향[수형 하우징(150)과의 접속 방향]으로 길고 짧게 형상화되어 있다. 지지 아암은 로킹 해제 아암(170)과 직립 벽(117) 사이에서 중간 위치(바람 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극이 각 지지 아암(171)의 실질적으로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아암(171)의 전단부[수형 하우징(150)과의 접속 방향으로 전단부]는 전단 근처의 위치[제1 위치결정 벽(119)의 뒤 또는 그에 인접한 직립 벽(117)의 위치]에서 직립 벽(117)과 접속되어 있고, 그 후단부는 로킹 해제 아암(170)의 후단부[로킹 해제부(131)]와 접속되어 있다. 직립 벽(117)과 지지 아암(171)의 전단을 연결하는 부분은, 로킹 해제 아암(170)이 경사질 때 회전하는 연결 회전축(172)으로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로킹 해제 아암(170)의 전단부(일단부)는 로킹 해제 아암(170)이 경사질 때 스프링(140)을 상향 또는 외측으로[암형 하우징(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27)로서 작용하고, 전방 벽부(128)와 후크부(129)는 가압부(127)의 전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로킹 해제 아암(170)의 후단부(타단부)는 가압 시에 가압부(127)를 가압하는 로킹 해제부(131)로서 작용하며, 로킹 해제부(131)의 상면에 피결합 경사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및/또는 로킹 해제부(131)의 하면은 후단을 향하여 상향 또는 외측으로 경사진다.
로킹 해제 아암(170)의 경사 이동 시에 지지점으로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점 부분(173)이 직립 벽(117) 사이에 있는 외측 튜브부(112)의 상면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점 부분(173)은, 로킹 해제 아암(170)의 종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종방향 중심 위치)[후방 리세스(118) 앞의 위치 또는 그에 근접한 위치]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측 튜브부(112)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다. 적어도 한 쌍의 지지점 부분(173)은 로킹 해제 아암(170)의 폭방향[직립 벽(117)과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방향으로]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돌출 거리가 전방 및 후방측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산형 단면을 갖는다. 지지점 부분(173)의 돌출 거리는, 로킹 해제 아암(170)이 자연스러운 상태로 있을 때, 그 돌출 단부가, 로킹 해제부(131)의 가압 시에 로킹 해제 아암(170)이 경사 이동할 때에 지지점으로서 기능하도록 로킹 해제 아암(170)과 접촉하면서 로킹 해제 아암(170)의 하면으로부터 하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로킹 해제 아암(170)은 외측 튜브부(112)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또한, 로킹 해제 아암(170)은 자연스러운 상태로 있을 때 로킹 가능한 상태로 있으며, 경사질 때 로킹 해제 상태로 있다.
적절한 접속 상태의 수형 커넥터(M)와 암형 커넥터(F)를 로킹하는 작업은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실행한다.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된 두 커넥터(F, M)를 분리하는 작업은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로킹 해제 아암(170)을 조작함으로써 실행되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손가락 끝을 로킹 해제 상태의 로킹 해제 아암(170)의 피결합 경사부(132)에 두고 로킹 해제부(131)를 하향 또는 내측으로 가압하거나 변위시키면, 연결 회전축(172)이 회전하거나 피벗되어 지지 아암(171)의 후단[로킹 해제부(131)를 향한 측]을 하향으로 되게 하는 방식으로 지지 아암(171)을 기울어지게 한다. 그 후, 지지 아암(171)이 기울어짐에 따라, 전체 로킹 해제 아암(170)은 하향 또는 내측으로[외측 튜브부(112)를 향하여] 변위되고, 로킹 해제 아암(170)의 하면은 지지점 부분(173)과 실질적으로 접촉한다. 로킹 해제부(131)가 추가로 가압되면, 로킹 해제 아암(170)은 지지점 부분(173)을 지지점으로 하여 기울어지고, 가압부(127)는 스프링(140)을 상향으로 가압하며, 이로써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로킹 상태가 해제된 후에, 암형 하우징(110)이 후방으로 당겨져 두 커넥터(F, M)를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킹 상태는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로킹 해제부(131)를 가압함으로써 해제되므로, 로킹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 로킹 해제 아암(170)은 연결 회전축(172)과 별도로 설치된 지지점 부분(173)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진다. 여기서, 로킹 해제 아암의 경사 이동 시에 지지점으로서 기능하는 지지점 부분은 가압부를 상향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는 힘[즉, 스프링을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상향으로 변위시키는 힘]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연결 회전축이 지지점 부분으로서의 기능도 겸비하면, 이들 회전축은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형상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연결 회전축의 강성이 증가하며, 로킹 해제부를 가압할 때에 상응하게 큰 힘이 필요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점 부분(173)과 연결 회전축(172)을 개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연결 회전축(172)의 강성을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로킹 해제부(131)를 가압하는데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킹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변형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또한 포함되는 것이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커넥터 장치의 로킹 구조에 적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지 않고 서로 접속 가능한 한 쌍의 임의의 부재를 위한 로킹 구조에 적용될 수도 있다.
(2) 전자의 실시예에서는 로킹 해제 아암(125)을 회전 가능한 연결 회전축(126)에 의해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질 수 있지만, 로킹 해제 아암은 시소와 같이 바람직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있을 수 있다.
(3) 후자의 실시예에서는 지지점 부분(173)을 외측 튜브부(112)에 설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점 부분은 로킹 해제 아암에 설치될 수도 있고, 로킹 해제부가 가압되어 로킹 해제 아암이 하향으로 변위될 때에 외측 튜브부와 접촉함으로써 지지점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22 내지 도 3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로킹 구조는 서로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커넥터[F, M; 암형 커넥터(F), 수형 커넥터(M)]를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하는 로킹 구조에 적용된다. 이러한 로킹 구조는, 암형 하우징(210)에, 그 위에 또는 그 내부에 장착되거나 장착될 수 있는 스프링(230)에 의하여, 수형 커넥터(M)의 (바람직한 다른 부재에 대응하는) 수형 하우징(250)과 암 형 커넥터(F)의 (바람직한 하나의 부재에 대응하는) 암형 하우징(210)을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하도록 설계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구성 부재에 있어서, 접속되는 두 커넥터(F, M)의 측면을 각각 전방측으로 지칭하고, 상하측과 관련해서는 도 22를 참고한다.
수형 커넥터(M)는 특히 (차량의 정션 박스, 계기 패널 등과 같은) 장치와 직접 접속되어 있고, 수형 하우징(250)은 장치의 외벽(251)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는 전방 리셉터클(252A)과,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돌출하는 후방 리셉터클(252B)을 포함한다. 두 리셉터클(252A, 252B)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다각형, 계란형, 라운드형, 또는 타원형 튜브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전방 리셉터클(252A)은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고, 후방 리셉터클(252B)은 후방측이 개방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수형 단자(254)는 수형 하우징(250)의 후방벽(253)[전방 리셉터클(252A)과 후방 리셉터클(252B) 사이의 벽]을 관통하면서 유지되어 있다. 수형 단자(254)의 전방부 및 후방부는 각각 전방 리셉터클(252A) 및 후방 리셉터클(252B)에서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장치의 외벽(251)은 원주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원주에 걸쳐 암형 하우징(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돌출하는 (바람직한 피결합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55)가 수형 하우징(250)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면(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55)는 전후 방향으로 수형 하우징(250)의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 으로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그 높이 위치는 실질적으로 수형 하우징(250)의 수직 방향 중심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돌기(255)의 전면은 스프링(230)이 결합 돌기(255)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상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져 있는 반면에, 그 후면은 전후 방향으로 스프링(230)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면(255A)으로서 작용한다.
암형 커넥터(F)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수형 하우징(250)과 접속될 수 있는 암형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암형 하우징(210)은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2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단자 수납부(212)와, 단자 수납부(212)의 외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측 튜브부(213)를 포함한다.
단자 수납부(212)는, 실질적으로 수형 하우징(250)의 전방 리셉터클(252A)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될 수 있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약간 더 긴 (직사각형, 다각형, 라운드형, 계란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다각형, 라운드형, 계란형 또는 타원형) 칼럼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암형 단자(211)가 삽입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공동(214)이 단자 수납부(212)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튜브부(213)는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튜브 형상을 가지거나, 및/또는 단자 수납부(212)의 후단(또는 그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전단을 향하여 또는 전단으로 실질적으로 연장하며, 외측 튜브부(213)의 후단과 단자 수납부(212)의 후단은 연결부(21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외측 튜브부(213)와 단자 수납부(212)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간극 내로 수형 하우징(250)의 전방 리셉터클(252A)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자 수납부(212)의 외주면의 이면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단자 수납부(212)에 시일 링(216)이 끼워지거나 장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수형 하우징(250)의 전방 리셉터클(252A)과 암형 하우징(210)의 단자 수납부(212) 사이에서 압착되거나 변형되는 시일 링(216)에 의해 두 하우징(210, 250) 사이에 밀봉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형 하우징(210)의 후단부 또는 그 근처에,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파지부(217)가 마련되어 있다. 양 커넥터(F, M)를 분리할 때에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손가락 파지부(217)에 두고 암형 하우징(210)을 조작,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210)을 빼낼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직립 벽(218)이 외측 튜브부(213)의 측면, 외면 또는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슬라이더(240)가 외측 튜브부(213)에 또는 그 위에, 바람직하게는 직립 벽(218)에 인접하게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립 벽(218)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직립 벽(218)의 내측면(실질적으로 서로 마주하는 면)에 하나 이상의 안내부(219)가 마련되어 있다. 안내부(219)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판의 형태이며, 그 판면이 직립 벽(218)의 내측면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있도록 돌출한다(도 24 참조). 안내 부(219)는 직립 벽(218)의 수직 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 중심 위치)에 및/또는 직립 벽(218)을 따라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속하게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안내부(219)의 전후 방향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 결합 창(221)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창(221)은 직립 벽(218)에 근접한 안내부(219)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립 벽(218)을 따라 실질적으로 협소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및/또는 수직 방향(두께 방향)으로 안내부(219)를 관통한다.
안내부(219)에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외측 튜브부(213)의 측면, 외면 또는 상면의 부분에 하나 이상의 탈출 리세스(222; escaping recess)가 형성되어 있다(도 22 참조). 탈출 리세스(222)는 암형 하우징(210)의 후방 가장자리(또는 이에 인접한 부분)로부터 결합 창(221)의 전방 가장자리 위치보다 약간 앞의 위치를 향하여 또는 그 위치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에 설명하는 슬라이더(240)의 돌기(244)의 돌출 거리만큼 오목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탈출 리세스(222)의 깊이는 결합 창(221)에 마주하는 부분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백래쉬 방지 리브(223)가 직립 벽(218)의 사이에 있는 외측 튜브부(213)의 측면, 외면 또는 상면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도 24 참조).
외측 튜브부(213)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면(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1 위치결정 벽(218A)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위치결정 벽(218A)은,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직립 벽(218)의 전단으로부터 외측 튜브부(213)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원주방향 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위치결정 벽(218A)의 앞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외측 튜브부(213)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결정 벽(228)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위치결정 벽(228)은 실질적으로 외측 튜브부(213)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위치결정 벽(228)과 제1 위치결정 벽(218A)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전후 방향으로 스프링(230)의 폭(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공간이 이들 위치결정 벽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슬라이더(24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구멍(228A)이 제2 위치결정 벽(228)의 폭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228A)은 폭방향으로 더 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제2 위치결정 벽(228)을 관통한다(도 28 참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구멍(228A) 위에 있는 제2 위치결정 벽(228)의 부분(바람직하게는 상부 가장자리부)은 슬라이더(240)(바람직하게는 전단부)의 상승을 방지하는 상승 방지부(227)로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슬라이더(240)의 위[암형 하우징(210)과 반대쪽의 슬라이더(240) 측]에 위치되어 있다.
제1 위치결정 벽(218A)과 제2 위치결정 벽(228)의 사이에 있는 외측 튜브 부(213)의 부분은 스프링(230)이 장착되어 있는 장착부(224)로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224)는 외측 튜브부(213)의 외주면의 내측으로 오목한 부분, 제1 위치결정 벽(218A) 및 제2 위치결정 벽(228)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형 하우징(250)의 결합 돌기(255)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로(225)가 외측 튜브부(213)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벽(좌측벽 및/또는 우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각 통로(225)는 외측 튜브부(213)의 전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하고, 및/또는 장착부(224)와 연통한다.
장착부(224)와 통로(225)를 실질적으로 연통시키는 [레그(231)가 통로(225)에 들어가는 바람직한 입구에 대응하는] 연통부(226)의 하나 이상의 상면(226A) 및/또는 하면(226B)은 외측[장착부(224) 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서로 근접하도록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내측에서의 연통부(226)의 수직 방향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결합 돌기(255)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도 23 참조). 연통부(226)의 하면(226B)은 스프링(230)의 결합 돌기(255)를 장착부(224)로부터 통로(225)를 향하여 안내하도록 경사져 있으며, 본 발명의 테이퍼진 안내부에 대응하는 것이다.
스프링(230)은 [수형 하우징(250)과의 접속 방향으로 암형 하우징(210)의 전방측의 위치에서] 장착부(224)에 장착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스프링(230)은 전체적으로 바닥측이 개방된 실질적으로 W 또는 U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레그부(231)와, 레그부(231)(바람직하게는 상단)를 연결하는 상측부(232)를 포함한다. 한 쌍 의 레그부(231)는,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상측부(232)의 양단으로부터 상측부(23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하향[또는 실질적으로 스프링(230)의 변위 방향]으로 연장한다.
레그부(231)의 바닥 단부 또는 말단부는 실질적으로 수렴하거나 뾰족한 형상, 또는 내측으로(실질적으로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렴하거나 뾰족한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굴곡되고, 이들 굴곡부는 통로(2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결합부(233)로서 작용한다. 결합부(233)는 서로를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진 상부(근위) 경사측(233A)과 하부(원위) 경사측(233B)을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내측을 향하여 수직 방향의 폭 또는 연장부가 작도록 형상화되어 있다. 결합부(233)의 돌출 단부[상부 경사측(233A)과 하부 경사측(233B) 사이의 경계]는 둥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230)은 결합부(233)가 통로(2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삽입 위치(IP)(도 23 참조)와, 결합부(233)가 통로(225)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된 후퇴 위치(RP)(도 22 참조)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230)이 삽입 위치(IP)에 있으면, 통로(225) 내로 돌출하는 결합부(233)는 통로(225)를 통과하는 결합 돌기(255)에 의하여 가압되며, 이로써 레그부(231)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두 하우징(210, 250)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한 때에, 레그부(23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하나 이상의 결합부(233)를 하나 이상의 각각의 결합면(255A)과 결합시켜 수형 하우징(250)을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한다. 스프링(230)은 삽입 위치(IP)로부터 하향[암형 하우징(210) 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후퇴 위치(RP)에 실질적으로 도달한다. 스프링(230)이 실질적으로 후퇴 위치(RP)에 도달한 때에, 결합부(233)는 통로(225)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되고, 연통부(226)의 하면(226B)의 외측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실질적으로 수형 하우징(250)과의 접속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240)가 암형 하우징(210) 에, 또는 그 내부에 또는 그 위에 조립된다. 슬라이더(240)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긴) 본체(241)와, 본체(241)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안내 리브(242)를 구비한다(도 25 참조).
본체(241)는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판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암형 하우징(210)의 후단으로부터 상승 방지부(227)의 후단에 이르는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본체(241)의 중심부 또는 중간부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오르거나 상향 돌출하는 단차부 형태의] 손가락 접촉부(243)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손가락 접촉부(243)를 이용하여 슬라이더(240)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조작할 수 있다(도 26 참조).
하나 이상의 안내 리브(242)는 본체(241)의 측면으로부터 본체(241)의 하면을 따라 옆으로 돌출하는 실질적으로 박판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체(241)의 후방 가장자리(그에 인접한 부분)로부터 전방측 위치를 향하여 또는 그 위치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 리브(242)는 수형 하우징(250)의 외측 튜브부(213) 와 안내부(219) 사이의 간극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고, 및/또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이로써 슬라이더(240)가 암형 하우징(210)으로부터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안내 리브(242)에는 결합 창(221)과 결합될 수 있는 돌기(244)가 구비되어 있다. 돌기(244)는 전후 방향으로 안내 리브(242)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서 상향 또는 외측으로 돌출한다. 돌기(244)는, 결합 창(22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상화되며, 그 전면은 후방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돌출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후면은 결합 창(221)(바람직하게는 후방 가장자리)과 결합하여 슬라이더(240)가 후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억제면(244A)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244)는 안내 리브(242)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캔틸레버 형상의) 결합편(245)의 후단 또는 그 후단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더(240)는, 결합편(245)을 하향 또는 내측으로[암형 하우징(210)의 탈출 리세스(222)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면서 조립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암형 하우징(210)에, 그 내부에 또는 그 위에 조립된다.
양 안내 리브(242)의 측면에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백래쉬 방지 리브(246)가 결합편(245)(앞 및/또는 위)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백래쉬 방지 리브(246) 및/또는 외측 튜브부(213)의 백래쉬 방지 리브(223)에 의하여, 슬라이더(240)와 암형 하우징(210) 사 이의 백래쉬가 방지된다.
본체(241)에는, 스프링(230)의 상측부(232)와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여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상측부(232)를 하향으로 가압하는[스프링(230)을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후퇴 위치로 가압하거나 변위시키는] 가압면(247)이 형성되어 있다(도 27 참조). 가압면(247)은 바람직하게는, 안내 리브(242)의 앞에 있는 본체(241)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및/또는 전단을 향하여 상향으로[안내 리브(2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가압면(247)을 형성함으로써, 본체(241)의 전단부가 전단부를 향하여 얇아진다.
슬라이더(24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 쌍의 직립 벽(218) 사이의] 암형 하우징(210)의 폭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심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거나 변위되며, 가압면(247)은 스프링(230)의 상측 또는 외측부(232)의 폭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앙부)[한 쌍의 레그부(231) 사이의 중간/중심부]를 가압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240)가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에 있어서 최후방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슬라이더(240)의 가압면(247)은 스프링(230)을 실질적으로 가압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암형 하우징(210)은 수형 하우징(250)과 로킹 가능한 상태로 있다(도 22 참조). 이때의 슬라이더(240)의 위치를 로킹 가능한 위치로 지칭한다. 슬라이더(240)가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에 있어서 최전방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슬라이더(240)의 가압면(247)은 스프링(230)을 가압하여 스프링(230)을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후퇴 위치로 변위시키는데, 즉 수형 하우 징(250)과의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도 31 참조). 이때의 슬라이더(240)의 위치를 로킹 해제 위치로 지칭한다. 돌기(244)는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240)가 결합 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 결합 창(221)의 후단에 위치하고 결합면(255A)과 결합(도 29 참조)하는 반면에, 돌기(244)는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더(240)가 로킹 해제 위치에 있을 때는 결합 창(221)의 전단에 위치되어 있다(도 30 참조). 결합 창(221)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244)의 위치를 유리하게 볼 수 있는데, 즉 (예컨대, 육안으로 또는 카메라와 같은 외부 검출 장치에 의하여) 슬라이더(240)가 로킹 가능한 위치에 있는지 또는 로킹 해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접촉부(248)는 슬라이더(240)의 전단에서 돌출한다. 접촉부(248)는 바람직하게는 가압면(247)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데, 즉 암형 하우징(210)과 실질적으로 반대쪽의 스프링(230)의 상측부(232) 측에서 전방[수형 하우징(250)과의 접속 방향]으로 돌출한다(도 22 참조). 접촉부(248)는 바람직하게는 본체(241)의 실질적으로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고, 슬라이더(240)가 로킹 가능한 위치(도 23 참조)에 있을 때 바람직하게는 상측부(232)의 폭의 약 1/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긴 치수를 갖는 스프링(230)의 상측부(232)에 있는 부분의 위(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접촉부(248)는 상승 방지부(227)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슬라이더(240)가 로킹 해제 위치(도 31 참조)에 있을 때 장치의 외벽(251)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있다.
다음으로, 실질적으로 적절학 접속된 상태의 수형 커넥터(M)와 암형 커넥터(F)를 로킹하는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프링(230)은 통상적으로 삽입 위 치(IP)로 설정되어 있고, 슬라이더(240)는 통상적으로 로킹 가능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먼저, 암형 하우징(210)을 (예컨대 손가락으로 잡고) 조작하여, 암형 하우징(210)의 통로(225)가 수형 하우징(250)의 결합 돌기(255)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 상태로 수형 커넥터(M) 내로 점진적으로 압박하거나 변위시킨다. 그 후, 결합 돌기(255)를 통로(225)에서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그 전면을 스프링(230)의 결합부(233)와 실질적으로 접촉시킨다. 결합 돌기(255)가 전방으로 더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230)의 결합부(233)는 결합 돌기(255) 상에서 이동하며, 레그부(231)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된다. 이때에, 슬라이더(240)의 접촉부(248)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프링(230)의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레그부(231)의 탄성 변위 시에 스프링(230)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두 커넥터(F, M)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한 때에, 결합 돌기(255)의 돌출 단부면은 스프링(230)을 전방으로 통과하고, 레그부(23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귀하며, 결합부(233)와 결합면(255A)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마주하며, 그 결과 두 하우징(210, 250)이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된다. 두 커넥터(F, M)가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두 하우징(210, 250)의 내부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시일 링(216) 및/또는 배선용의 탄성 또는 고무 플러그(229)에 의해 밀봉되고, 암형 단자(211) 및 수형 단자(254)는 적절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되어 있는 두 커넥터(F, M)를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손가락 끝을 로킹 가능한 위치의 슬라이더(240)의 접촉 부(248)에 두고 슬라이더(24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조작하거나, 변위시킨다. 그 후, 가압면(247)은 스프링(230)의 상측부(232)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스프링(230)을 하향 또는 내측으로 가압하며, 슬라이더(240)의 전단부는 상승 방지부(227)의 아래에[즉, 삽입 구멍(228A)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스프링(230)이 가압면(247)에 의해 하향 또는 내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결합부(233)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연통부(226)의 하면(226B)의 경사를 따라 외측으로 안내되며, 레그부(231)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된다(도 32 참조). 슬라이더(240)가 로킹 해제 위치에 도달한 때에, 결합부(233)는 연통부(226)의 하면(226B)의 바닥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되고 통로(225)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되며, 이로써 결합 돌기(255)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로킹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이때에, 슬라이더(240)의 접촉부(248)는 장치의 외벽(251)과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게 된다(도 31 참조). 그 후, 손가락을 암형 하우징(210)의 손가락 파지부(217)에 두고, 슬라이더(240)가 장치의 외벽(251)에 대하여 가압되는 중에 암형 하우징(210)을 후방으로 빼내어, 두 커넥터(F, M)를 분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이더(240)를 슬라이딩시키거나 조작함으로써, 가압면(247)은 스프링(230)과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게 되어 스프링(230)을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후퇴 위치로 가압하며, 이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스프링(230)을 예컨대 손가락으로 직접적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장치의 외벽(251)이 장애물로서 서 있고 스프링(230)을 (예컨대 손가락으로) 직접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상황이라도, 어떠 한 문제도 없이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지그 등을 이용하여 로킹 해제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에 비교할 때, 그러한 작업에 필요한 노동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작업성이 향상된다.
스프링(230)을 손가락 끝으로 직접적으로 변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로킹 해제 작업의 작업성이 양호하며, 상대 부재의 형상에 관계없이 노동력 및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로킹 해제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더(240)가 슬라이딩하거나 변위되고 가압면(247)이 스프링(230)을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후퇴 위치로 가압한 후에 바람직하게는 접촉부(248)를 장치의 외벽(251)과 접촉시킴으로써, 암형 하우징(210)은 분리 방향으로 빼내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암형 하우징(210)을 손가락 끝으로 유지하면서 암형 커넥터(F)를 빼내야 하는 경우에 비교할 때, 커넥터 분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로킹 구조 및/또는 이 로킹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의 전체적인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두 커넥터(F, M)의 분리 작업이 완료된 후에 슬라이더(240)를 로킹 가능한 위치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변위시키면, 스프링(230)을 아래로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고, 레그부(23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결합부(233)가 연통부(226)의 하면(226B)에 대하여 가압된다. 그 후, 결합부(233)는 연통부(226)의 하면(226B)의 경사에 의해 통로(225) 내로 실질적으로 안내되므로, 스프링(230)이 후퇴 위치(RP)로부터 삽입 위치(IP)를 향하여 또는 삽입 위치로 변위된다. 이에 따라, 스프 링(230)은 슬라이더(240)를 초기 위치(IP)(로킹 가능한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만으로 삽입 위치(IP)로 자동으로 설정되므로, 분리 후에 두 커넥터(F, M)를 다시 접속할 때에 스프링(230)을 다시 삽입 위치(IP)로 설정할 필요가 없어서, 커넥터 로킹 작업에 필요한 노동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스프링(230)은 실질적으로 암형 하우징(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삽입 위치(IP)로부터 후퇴 위치(RP)에 실질적으로 도달한다. 달리 말하면, 로킹 해제 작업 중의 스프링(230)의 변위 방향은 암형 하우징(210)으로부터 스프링(230)을 분리하는 분리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이기 때문에, 로킹 해제 작업 중에 스프링(230)이 암형 하우징(210)으로부터 돌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킹 해제 작업 중에 분리된 스프링(230)을 잃어버리거나 스프링(230)을 다시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커넥터의 접속 및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슬라이더(240)의 접촉부(248)가 스프링(230)의 외측 또는 상측부(232)의 위에 또는 외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230)의 상향[암형 하우징(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변위를 접촉부(248)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커넥터(F, M)를 접속할 때에 스프링(230)의 변위 및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고, 커넥터 장치를 고진동하에서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더(240)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230)의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심부[레그부(231) 사이]를 가압하므로, 스프링(230)을 가압하는 힘은 양호한 밸런스로 작용하고, 로킹 해제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210)에 상승 방지부(227)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동작 중에 슬라이더(240)의 전단부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230)을 하향 가압할 때에 슬라이더(240)가 들어 올려지지 않도록 슬라이더(240)를 가압할 필요가 없으며, 그 결과 로킹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더(240)가 슬라이딩하거나 변위될 때에, 가압면(247)이 바람직하게는 스프링(230)과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여 스프링(230)을 후퇴 위치(RP)로 가압하며, 이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손가락 끝으로 스프링(230)을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성이 양호하고, 로킹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에 의해 적절한 접속 상태의 한 쌍의 부재를 로킹하기 위한 로킹 구조 및 스프링에 의해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로킹 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로킹 구조 및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프링(230)이 [수형 하우징(250)과 같은] 다른 부재(250)의 하나 이상의 피결합부(255)와 결합되어 삽입 위치(IP)로 있을 때의 로킹 상태를 구현하고, 삽입 위치(IP)로부터 후퇴 위치(RP)로 변위됨으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실질적으로 다른 부재(25)와의 접속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거나 변위될 수 있는 (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서의) 슬라이더(240)가 하나의 부재(210)에, 그 내부로, 또는 그 위에 조립되며, 그 슬라이더에는 슬라이더(240)를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스프링(230)과 접촉하는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그 후퇴 위치로 가압하도록 경사질 수 있는 적 어도 하나의 가압면(247)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3 내지 도 367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킹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로킹 구조는, 스프링(230)이 상향[암형 하우징(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삽입 위치(IP)로부터 후퇴 위치(RP)에 실질적으로 도달한다는 점에서 이전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킹 구조를 채용하는 한 쌍의 커넥터[F, M; 암형 커넥터(F), 수형 커넥터(M)]는, 한 쌍의 탄성 변위 가능한 레그부(23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230)에 의해 암형 커넥터(F)와 수형 커넥터(M)를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하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스프링(230)은 암형 하우징(210)의 장착부(224)에 장착되고, 결합부(233)가 통로(2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삽입 위치(IP)와, 결합부(233)가 통로(225)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한 후퇴 위치(RP)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스프링(230)은 상향 또는 외측으로 변위됨으로써 삽입 위치(IP)로부터 후퇴 위치(RP)에 도달한다. 스프링(230)이 후퇴 위치(RP)에 도달한 때에, 결합부(233)는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통로(225)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하여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형 하우징(210)의 연통부(226)의 하나 이상의 외면 또는 상면(226A)은 스프링(230)의 결합부(233)를 통로(225)로 안내하도록 경사진 하나 이상의 테이퍼진 안내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형 하우징(250)과의 접속 방향에 대응하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거나 변위될 수 있는 슬라이더(290)가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암형 하우징(210)에, 그 내부로, 또는 그 위에 조립되며, 슬라이딩 또는 이동 가능한 범위에 있어서 최후방 위치가 로킹 가능한 위치이고, 최전방 위치가 로킹 해제 위치이다.
슬라이더(290)의 본체(241)에는 스프링(230)의 외측 또는 상측부(232)와 상호 작용하는(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면(291)이 형성되어, 이동 또는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외측 또는 상측부(232)를 상향 또는 외측으로 가압한다[스프링(230)을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그 후퇴 위치로 가압한다]. 가압면(291)은 하나 이상의 안내 리브(242)의 앞에 있고 본체(241)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전단을 향하여 하향[안내 리브(24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도 34 참조).
접촉부(248)는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본체(241)의 전단에서 돌출한다. 접촉부(248)는, 슬라이더(290)가 로킹 가능한 위치(도 33 참조)에 있을 때 스프링(230)의 상측부(232)의 위에 위치되어 있고, 슬라이더(290)가 로킹 해제 위치(도 36 참조)에 있을 때 상승 방지부(227)[암형 하우징(210)의 전단]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 접촉부(248)는, 스프링(230)이 후퇴 위치로 가압된 후에 수형 하우징(250)의 외벽(251)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적절한 접속 상태의 수형 커넥터(M)와 암형 커넥터(F)를 로킹하는 작업은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실행된다.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된 두 커넥터(F, M)를 분리하는 작업은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슬라이더(290)를 슬라이딩시키거나, 조작하거나, 변위시킴으로써 실행되며,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실시된다.
손가락 끝을 로킹 가능한 위치의 슬라이더(290)의 손가락 접촉부(243)에 두고 슬라이더(29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조작하거나, 이동시키거나, 변위시킨다. 그 후, 가압면(291)은 스프링(230)의 상측부(232)와 결합하거나 상호 작용하여(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여) 스프링(230)을 상향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며, 결합부(233)는 바람직하게는 연통부(226)의 상면(226A)의 경사를 따라 실질적으로 외측으로 안내되며, 이에 따라 레그부(23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슬라이더(290)가 로킹 해제 위치에 도달하면, 결합부(233)는 연통부(226)의 상면(226A)의 상단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되어 있고, 및/또는 실질적으로 통로(225)로부터 후퇴하며, 이로써 로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때에, 슬라이더(290)의 접촉부(248)가 수형 커넥터(M)의 외벽(251)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손가락을 암형 하우징(210)의 손가락 파지부(217)에 두고, 슬라이더(290)가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외벽(251)에 대하여 가압되는 상태로 암형 하우징(210)을 후방으로 당기고, 이로써 두 커넥터(F, M)를 분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이더(290)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로킹 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로킹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변형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또한 포함되는 것이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커넥터 장치의 로킹 구조에 적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지 않고 서로 접속 가능한 한 쌍의 임의의 부재를 위한 로킹 구조에 적용될 수도 있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240)(9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더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이때에, 슬라이더의 가압면은 후방 슬라이딩 작업에 의해 스프링을 후퇴 위치로 가압하도록 기울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3 내지 도 4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로킹 구조는 서로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접속된 한 쌍의 커넥터[F, M; 암형 커넥터(F), 수형 커넥터(M)]를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하는 로킹 구조에 적용된다. 이러한 로킹 구조는 암형 하우징(310)에 또는 그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340)에 의해 암형 커넥터(F)의 (바람직한 하나의 부재에 대응하는) 암형 하우징(310)과 적절하게 접속된 수형 커넥터(M)의 (바람직한 다른 부재에 대응하는) 수형 하우징(350)을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하도록 설계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구성 부재에 있어서, 접속되는 두 커넥터의 측면을 각각 전방측으로 지칭하고, 상하측과 관련해서는 도 33을 참고한다.
수형 커넥터(M)는 수형 하우징(350)과, 이 수형 하우징(350)에 적어도 부분 적으로 유지되거나 설치된 하나 이상의 수형 단자(351)를 포함한다. 수형 하우징(350)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으로 약간 더 긴 직사각형, 다각형, 계란형 또는 타원형 튜브 형태의] 전방 리셉터클(352)과 후방 리셉터클(353)을 포함하며, 전방 리셉터클(352)은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고, 후방 리셉터클(353)은 후방측이 개방되어 있다. 하나 이상(예컨대, 3개)의 수형 단자(351)는, 수형 하우징(350)의 후방벽(354)[전방 리셉터클(352)과 후방 리셉터클(353) 사이의 벽]을 관통하면서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에서 폭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유지되어 있다. 3개의 수형 단자(351)의 전방부 및 후방부는 각각 전방 리셉터클(352) 및 후방 리셉터클(353)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후로 돌출한다.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돌출하는 (바람직한 피결합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355)가 수형 하우징(350)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면(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결합 돌기(355)는 전후 방향으로 수형 하우징(350)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및/또는 그 높이 위치는 수형 하우징(350)의 수직 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 중심)에 위치되어 있다. 결합 돌기(355)의 전면은. 스프링(340)이 결합 돌기(355)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상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져 있는 반면에, 그 후면은 스프링(340)과 결합 가능한 피결합면(356)으로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형 커넥터(F)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수형 하우징(350)과 접속될 수 있는 암형 하우징(310)을 포함한다. 암형 하우징(310)은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3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단자 수납부(312)와, 단자 수납부(312)의 외주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외측 튜브부(313)를 포함한다.
단자 수납부(312)는, 수형 하우징(350)의 전방 리셉터클(35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거나 삽입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폭방향으로 약간 더 긴 단면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칼럼 형태이며, 암형 단자(311)가 삽입측,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예컨대 3개)의 공동(314)이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에서 단자 수납부(312)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외측 튜브부(313)는 전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튜브 형상이고, 및/또는 단자 수납부(312)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연장하며, 외측 튜브부(313)의 후단 및 단자 수납부(312)의 후단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31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외측 튜브부(313)와 단자 수납부(312)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간극 내로 수형 하우징(350)의 전방 리셉터클(35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단자 수납부(312)(바람직하게는 그 외주면의 후방부)에는 시일 링(316)이 끼워지거나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방 리셉터클(352)과 단자 수납부(312) 사이에서 시일 링(316)이 압착되거나 변형됨으로써 두 하우징 사이에 밀봉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튜브부(313)의 측면 또는 내면에는 암형 단자(311)를 단자 수납부(312) 내로 유지하는 리테이너(338)를 조립하는데 사용되 는 개구(313A)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면(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으로부터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손가락 파지부(317)가 암형 하우징(310)의 후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양 커넥터(F, M)를 분리할 때에는, 손가락 끝을 (바람직하게는 양쪽) 손가락 파지부(317)에 두고 암형 하우징(310)을 조작할 수 있다(바람직하게는 빼낼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직립 벽(318)이 외측 튜브부(313)의 측면, 외면 또는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직립 벽(318)은 암형 하우징(310)의 후단으로부터 그 전단 근처의 위치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로킹 해제 아암(327)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립 벽(318)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직립 벽(318) 사이에 있는 외측 튜브부(313)의 외면 또는 상면의 부분은 전후 방향으로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로부터 암형 하우징(310)의 후방 가장자리를 향하여 또는 후방 가장자리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로써 후방 리세스(313)를 형성한다. 후방 리세스(313)의 깊이는 후방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직립 벽(318)의 전단으로부터 외측 튜브부(313)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면(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위치결정 벽(321)이 외측 튜브부(313)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위치결정 벽(321)의 앞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외측 튜브부(313)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결정 벽(322)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위치결정 벽(322)은 외측 튜브부(313)의 외면 또는 상면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면에 걸쳐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원주방향의 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위치결정 벽(322)과 제1 위치결정 벽(321)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고, 전후 방향으로 스프링(340)의 폭(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공간이 이들 위치결정 벽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도 39 참조).
리세스 가공에 의해 제2 위치결정 벽(322)[로킹 해제 아암(327)과 마주하는 부분]의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심)에, 로킹 해제 아암(327)의 전단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출하는 전방 리세스(323)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리세스(323)는 그 폭방향 단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단)로부터 그 중심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심부)에서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제2 위치결정 벽(322)의 두께(전후 방향의 폭)의 약 2/3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절반이다.
제1 위치결정 벽(321)과 제2 위치결정 벽(322) 사이에 있는 외측 튜브부(313)의 부분(전단에 근접한 부분)은 스프링(340)이 장착되는 장착부(324)로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부분은 바람직한 홈부에 대응하는 것이다. 장착부(324)는 외측 튜브부(313)의 외주면의 내측으로 오목한 부분, 제1 위치결정 벽(321) 및 제2 위치결정 벽(322)에 의해 형성된다.
수형 하우징(350)의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355)가 통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로(325)가 외측 튜브부(313)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벽(좌측벽 및/또는 우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통로(325)는 외측 튜브부(313)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및/또는 장착부(324)와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324)와 통로(325)를 연통시키는 연통부(326)의 상면(326A) 및/또는 하면(326B)은 외측[장착부(324)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서로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으며, 및/또는 내측에서의 연통부(326)의 수직 방향 치수는 결합 돌기(355)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도 41 참조). 연통부(326)의 상면(326A)은 스프링(340)의 결합부(343)를 장착부(324)로부터 통로(325)를 향하여 안내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형 하우징(310)의 장착부(324)에 또는 그 위에 장착된 스프링(340)은 전체적으로 바닥측이 개방된 실질적으로 W 또는 U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로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될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레그부(341)와 레그부(34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부(342)를 포함한다. 한 쌍의 레그부(341)는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상측부(342)의 양단으로부터 상측부(34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하향으로 연장된다.
레그부(341)의 바닥 단부 또는 말단부는, 내측으로(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렴하거나, 산 모양이거나 Qy족한 형상을 갖거나, 내측으로 수렴하거나 뾰족한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절곡되어 있고, 이들 하나 이상의 절곡부는 하나 이상의 통로(3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결합부(343)로서 작용한다. 결합부(343)는 서로를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진 상부 경사측(343A)과 하부 경사측(343B)을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내측을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작은 폭 또는 연장부를 갖도록 형상화된다. 결합부(343)의 돌출 단부[상부 경사측(343A)과 하부 경사측(343B) 사이의 경계]는 둥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340)은, 결합부(343)가 통로(3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삽입 위치(IP)(도 41 참조)와, 결합부(343)가 통로(325)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한 후퇴 위치(RP)(도 42 참조)의 사이에서 변위될 수도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340)이 삽입 위치(IP)에 있을 때, 하나 이상의각 통로(3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부(343)는 통로(325)를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355)에 의해 가압되고, 이로써 레그부(341)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두 커넥터(F, M)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하면, 레그부(34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결합부(343)와 피결합면(356)을 결합시켜 수형 하우징(350)을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시킨다. 스프링(340)은 바람직하게는 삽입 위치(IP)로부터 상측 또는 외측[암형 하우징(3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후퇴 위치(RP)에 도달한다. 스프링(340)이 후퇴 위치(RP)에 도달하면, 결합부(343)는 통로(325)로부터 실질적으로 후퇴되어 로킹 상태를 해제한다. 통로(325)로부터 후퇴된 결합부(343)는 연통부(326)의 상면(326A)의 외측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되어 있다.
로킹 해제 아암(327)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수형 하우징(350)과의 접속 방 향]으로 연장되고, 폭방향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면에 설치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연결 회전축 또는 피벗축(328)을 매개로 직립 벽(318)에 연결되어 있다(도 38 및 도 39 참조). 로킹 해제 아암(327)은 하나 이상의 연결 회전축(328)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킹 해제 아암(327)은 암형 하우징(310)의 후단으로부터 제2 위치결정 벽(322)의 전방 리세스(323)로 돌출하게 되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연결 회전축(328)은 로킹 해제 아암(327)의 실질적으로 종방향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킹 해제 아암(327)이 자연스러운 상태에 있을 때에는, 외측 튜브부(313)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도 33 참조).
로킹 해제 아암(327)의 전단부(일단부)는, 스프링(340)의 아래에 위치하고 로킹 해제 아암(327)이 경사져 있을 때 상향 또는 외측[실질적으로 암형 하우징(3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340)을 가압하는 가압부(329)로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킹 해제 아암(327)의 전단부에 상향으로 서 있는 전방 벽부(331)가 설치되어 있고, 가압부(329)는 그 전방 벽부(331)에 의하여 하향 또는 내측으로, 즉 스프링(340)을 상향으로 가압할 때에 스프링(340)이 가압되는 측을 향하여 편향된다. 전방 벽부(331)는 제2 위치결정 벽(322)의 전방 리세스(32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고, 전방 벽부(331)의 후면과 제2 위치결정 벽(322)의 후면[제1 위치결정 벽(321)과 마주하는 면]은 로킹 해제 아암(327)이 자연스러운 상태로 있는 때에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벽부(331)는 그 폭이 상단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실질적으로 산 형상 또는 수렴하는 형상을 갖는다.
전방 벽부(331)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332)가 설치되어 있다. 팽출부(332)의 돌출 거리는 전후 방향으로 스프링(340)의 폭(반경)의 절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팽출부(332)는, 스프링(340)의 상측부(342)의 폭방향 중간 또는 중심부[실질적으로 한 쌍의 레그부(341) 사이의 중간부]의 위에 또는 외측[가압부(329)와 실질적으로 반대쪽의 스프링(340)의 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39 및 도 41 참조).
팽출부(332)의 상면은 돌출 단부를 향하여 하향 또는 내측으로 경사진 장착 안내면(333)으로 형성되어, 스프링(340)은 장착부(324)에 부드럽게 장착될 수 있다. 팽출부(332)의 하면은 위로부터 스프링(340)의 상측부(342)를 억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억제면(334)으로 형성되어 있다. 억제면(334)의 돌출 단부는 스프링(340)의 상단을 가압하도록 약간 하향으로 돌출하는 실질적으로 아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출부(332)는 로킹 해제 아암(327)과 일체로 되거나 단일체를 이루며, 스프링(340)의 상측부(342)의 수직 방향 폭(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공간이 억제면(334)과 가압부(329)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340)의 상측부(342)의 폭방향 중심부는, 수직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간극이 없는 상태로 억제면(334)과 가압부(329)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340)은, 전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간극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제1 위치결정 벽(321), 전방 벽부(331), 제2 위치결정 벽(322)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위치결정 벽(321) 및 제2 위치결정 벽(322)의 높이는, 스프링(340)이 삽입 위치(IP)와 후퇴 위치(RP) 사이에 변위되는 경우라도 스프링(340)의 앞뒤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킹 해제 아암(327)의 후단부(타단부)는 가압 시에 가압부(329)를 가압하는 로킹 해제부(335)로서 작용한다. 로킹 해제부(335)의 폭은 연결 회전축(328)의 앞에 있는 로킹 해제 아암(327)의 부분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고, 후방측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상향으로 경사진 피가압 경사부(336)가 로킹 해제부(335)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로킹 해제부(335)의 하면은 후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하면, 로킹 해제부(335)는 후단을 향하여 수직 방향의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상화된다. 로킹 해제부(335)의 하면과 암형 하우징(310)의 후방 리세스(313)의 경사에 의하여, 암형 하우징(310)의 높이를 최대로 억제하면서 로킹 해제부(335)의 충분한 하향 탄성 변위가 확보된다.
로킹 해제 아암(327)이 자연스러운 상태에 있을 때, 스프링(340)은 삽입 위치(IP)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암형 하우징(310)은 수형 하우징(350)과 로킹 가능한 상태로 있다. 이때의 로킹 해제 아암(327)의 상태를 로킹 가능한 상태로 지칭한다(도 33 참조). 로킹 해제부(335)가 가압되어 로킹 해제 아암(327)을 경사지게 하면, 가압부(329)는 스프링(340)을 상향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고, 스프링(340)은 후퇴 위치(RP)를 향하여 또는 후퇴 위치로 변위되는데, 즉 수형 하우 징(350)과의 로킹 상태가 해제된다. 로킹 해제 아암(327)의 이러한 상태를 로킹 해제 상태로 지칭한다(도 42 참조).
다음으로,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의 수형 커넥터(M)와 암형 커넥터(F)를 로킹하는 작업을 설명한다. 로킹 해제 아암(327)은 통상적으로 로킹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스프링(340)은 통상적으로 삽입 위치(IP)로 설정되어 있다.
먼저, 암형 하우징(310)을 예컨대 손가락으로 파지하고, 암형 하우징(310)의 하나 이상의 통로(325)가 수형 하우징(350)의 하나 이상의 각각의 결합 돌기(355)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 상태로 수형 커넥터(M) 내로 점진적으로 밀어 넣는다. 그 후, 결합 돌기(355)를 통로(325)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시켜, 그 전면을 스프링(340)의 결합부(343)와 접촉시킨다. 결합 돌기(355)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결합부(343)는 결합 돌기(355) 상에서 이동하고, 레그부(341)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된다. 이때에, 로킹 해제 아암(327)의 팽출부(332)는 스프링(340)의 위에 또는 외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레그부(341)의 탄성 변위 시에 스프링(340)이 상측으로 또는 외측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두 커넥터(F, M)가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하면, 레그부(341)는 탄성적으로 복귀하고, 결합부(343)는 결합 돌기(355)와 결합하여 두 하우징(310, 350)을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한다. 두 커넥터(F, M)의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 두 하우징(310, 350)의 내부 공간은 시일 링(316)과 하나 이상의 배선용 탄성 또는 고무 플러그(337)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암형 단자(311) 및 수형 단자(351) 는 적절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절하게 접속된 두 커넥터(F, M)에 있어서, 스프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출부(332)와 가압부(329) 사이에서 유지되거나 위치 결정되므로, 장착부(324)에 대한 스프링(340)의 수직 및 원주 방향 변위가 방지된다. 스프링(340)과 수형 하우징(350)의 결합 돌기(355)는 스프링(340)의 변위를 방지함으로써 확실하게 결합 상태로 유지되어, 로킹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340)은 억제면(334)과 가압부(329)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긴밀하게 유지되므로 요동(shaking)이 방지되고, 및/또는 스프링(340)이 제1 위치결정 벽(321)과 제2 위치결정 벽(322)의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긴밀하게 유지되므로 스프링(340)의 전후 방향[암형 하우징(310)의 종방향]의 변위 및 백래쉬가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340)과 암형 하우징(310)의 상대 변위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두 커넥터(F, M)는 고진동 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킹된 두 커넥터(F, M)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손가락 끝을 로킹 가능한 상태의 로킹 해제 아암(327)의 피가압 경사부(336)에 두고 로킹 해제부(335)를 하향으로 가압한다. 그 후, 로킹 해제 아암(327)이 기울어지고, 가압부(329)가 스프링(340)을 외측 또는 상향으로 가압하거나 변위시킨다. 이때에, 스프링(340)의 상향의[암형 하우징(3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변위는 스프링(340)의 폭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심부 또는 그 근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한 쌍의 레그부(341) 사이의 중간 위치]의 팽출부(332)에 의해 방지되므로, 스프링(340)은 일측[예컨대, 팽 출부가 스프링의 폭방향 일측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타측]을 가압부(329)로부터 상향으로 상승시키는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340)이 가압부(329)에 의해 상향 또는 외측으로 가압되거나 변위됨에 따라, 결합부(343)는 실질적으로 연통부(326)의 상면(326A)의 경사를 따라 외측으로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레그부(341)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위된다. 로킹 해제 아암(327)이 로킹 해제 위치에 도달하는 때에, 결합부(343)는 통로(325)로부터 후퇴되는 연통부(326)의 상면(326A)의 상단에 위치되어 있다. 여기서, 팽출부(33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프링(340)의 위에 또는 외측에 마련되어 있지 않으면, 스프링(340)은 스프링(340)을 상향으로 당기는 과도하게 큰 힘에 기인하여 가압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팽출부(332)를 제공함으로써, 그러한 스프링(34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329)는 스프링(340)이 가압되는 측부를 향하여 바람직하게 편향되기 때문에, 스프링(340)을 가압할 때에, 스프링(340)이 로킹 해제 작업 중에 가압부(329)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킹 해제 아암(327)의 가압부(329)는 스프링(340)의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심부를 가압하기 때문에, 스프링(340)을 가압하는 힘이 양호한 밸런스로 스프링(340)에 작용하여, 로킹 해제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로킹 해제 아암(327)을 조작하여 결합 돌기(355)를 후방으로, 즉 로킹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이동시킬 때에는, 손가락을 암형 하우징(310)의 손가락 파지부(317)에 두고, 암형 하우징(310)을 실질적으로 양측으로부터 잡고 후방으로 당겨서, 두 커넥터(F, M)를 분리한다.
두 커넥터(F, M)를 분리하는 작업이 완료된 후에 로킹 해제부(335)를 가압하는 손가락을 떼면, 로킹 해제 아암(327)은 자연적으로 로킹 가능한 상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귀하여 스프링(340)을 하향 또는 내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며, 결합부(343)는 레그부(34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통부(326)의 상면(326A)에 대하여 가압되거나, 및/또는 상면(326A)의 경사에 의해 통로(325) 내로 안내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340)은 후퇴 위치(RP)로부터 삽입 위치(IP)를 향하여 또는 삽입 위치로 변위된다. 따라서 스프링(340)은 손가락 끝을 로킹 해제부(335)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삽입 위치(IP)로 자동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두 커넥터(F, M)를 분리 후에 다시 접속할 때에, 스프링(340)을 다시 삽입 위치(IP)로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커넥터(F, M)를 접속하고 연결하는데 필요한 시간 및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작업성이 향상된다.
암형 커넥터(F)가 단독으로 남겨져 있을 때의 스프링(340)의 변위는 팽출부(332)를 제공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형 커넥터(F)가 단독으로 남겨져 있을 때에 스프링(340)이 변위되면, 암형 커넥터(F)를 수형 커넥터(M)와 접속할 때에 스프링(340)을 다시 정확한 위치로 설정해야 하므로, 노동력 및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팽출부(332)를 제공함으로써, 스프링(340)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340)을 다시 설정할 필요가 없어, 커넥터 연결 작업에 필요한 노동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작업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하우징에 대한 스프링의 분리, 백래쉬 또는 변위를 방지할 수 있는 로킹 구조 및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의 부재(310)는 바람직하게는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로킹 해제 아암(327)을 포함한다. 로킹 해제 아암(327)의 일단은 스프링(340)을 하나의 부재(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스프링(340)과 하나의 부재(310) 사이에 배치된 가압부(329)로서 작용하고, 그 타단은 가압 시에 가압부(329)를 가압하는 조작부(335)로서 작용한다. 로킹 해제 아암(327)은 가압부(329)와 반대쪽의 스프링(340)의 측에 팽출부(332)를 또한 구비한다.
<변형예>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변형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또한 포함되는 것이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커넥터 장치의 로킹 구조에 적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지 않고 서로 접속 가능한 한 쌍의 임의의 부재를 위한 로킹 구조에 적용될 수도 있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 가능한 연결 회전축에 의해 로킹 해제 아암(327)을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일 수 있지만, 로킹 해제 아암은 시소와 같이 기울어질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암형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서 있는 지지 레그를 마련할 수도 있고, 로킹 해제 아암을 지지 레그를 지지점으로 하여 기울일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적절한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암형 커넥터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 3은 암형 커넥터의 단면 평면도이고,
도 4는 두 커넥터의 적절한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평면도이고,
도 5는 두 커넥터의 적절한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잠금 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암형 커넥터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두 커넥터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가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9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암형 커넥터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 10은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암형 커넥터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암형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암형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커넥터 장치가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로크 해제 상태의 암형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두 커넥터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16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를 도시하 는 외부 사시도이고,
도 17은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암형 커넥터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 18은 암형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19는 암형 커넥터의 후면도이고,
도 20은 암형 커넥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외부 사시도이고,
도 21은 암형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도 22는 한 쌍ㅇ의 커넥터가 제1 실시예에 따른 로킹 구조에 의해 로킹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24는 암형 하우징의 측단면도이고,
도 25는 슬라이더의 평면도이고,
도 26은 슬라이더의 측면도이고,
도 27은 슬라이더의 정면도이고,
도 28은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암형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29는 슬라이더가 로크 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의 한 쌍의 커넥터의 단면 평면도이고,
도 30은 슬라이더가 로킹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한 쌍의 커넥터의 단면 평면도이고,
도 31은 한 쌍의 커넥터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33은 한 쌍의 커넥터가 제2 실시예에 따른 로킹 구조에 의해 로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34는 슬라이더의 측면도이고,
도 35는 슬라이더의 정면도이고,
도 36은 한 쌍의 커넥터의 로킹 상태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37은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가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38은 암형 커넥터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 39는 암형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40은 암형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41은 두 커넥터가 적절한 접속 상태로 로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42는 로크 해제 상태의 암형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43은 두 커넥터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형 커넥터(제1 커넥터)
11 … 암형 하우징(다른 하우징)
16 … 결합 돌기(피결합부)
16B … 결합면
17 … 경사면
20 … 암형 커넥터(제2 커넥터)
21 … 암형 하우징(하나의 하우징)
27 … 피팅부
32 … 제1 위치 결정 벽(한 쌍의 벽 부분)
33 … 제2 위치 결정 벽(한 쌍의 벽 부분)
35 … 장착부
36 … 통로
37 … 연통부
37A … 연통부의 상면(안내부)
39 … 로킹 해제 아암
42 … 가압부
45 … 로킹 해제부
46 … 경사면
50 … 스프링
51 … 레그부
53 … 결합부
53A … 상부 경사측(안내부)
110 … 암형 커넥터(하나의 부재)
124 … 연통부(레그부가 통로에 들어가는 입구)
124A … 연통부의 상면(안내 테이퍼부)
125, 170 … 로킹 해제 아암
127 … 가압부
131 … 로킹 해제부
133 … 통로
140 … 스프링
141 … 레그부
143 … 결합부
150 … 수형 하우징(다른 부재)
155 … 결합 돌기(피결합부)
171 … 지지 아암
173 … 지지점 부분
210 … 암형 커넥터(하나의 부재)
225 … 통로
226 … 연통부(레그부가 통로에 들어가는 입구)
226A … 연통부의 상면(안내 테이퍼부)
226B … 연통부의 하면(안내 테이퍼부)
227 … 승강 방지부
230 … 스프링
231 … 레그부
233 … 결합부
240, 290 … 슬라이더
247, 291 … 가압면
248 … 접촉부
250 … 수형 하우징(다른 부재)
255 … 결합 돌기(피결합부)
310 … 암형 커넥터(하나의 부재)
324 … 장착부(홈 부분)
325 … 통로
327 … 로킹 해제 아암
329 … 가압부
332 … 팽출부
335 … 로킹 해제부(조작부)
340 … 스프링
341 … 레그부
343 … 결합부
350 … 수형 하우징(다른 부재)
355 … 결합 돌기(피결합부)

Claims (21)

  1. 서로 접속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커넥터(10, 20)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제2 커넥터(20)의 하나의 하우징(21)의 장착부(35)에 탄성 변위 가능한 한 쌍 이상의 레그부(51)를 갖는 스프링(50)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하우징(21)에는 하나 이상의 통로(36)가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커넥터(10, 20)를 접속할 때에, 상기 제1 커넥터(10)의 다른 하우징(11)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피결합부(16; engageable portion)가 상기 통로 안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레그부(51)는 통로(36)와 장착부(35)를 연통시키는 하나 이상의 연통부(37)를 통하여 각각의 통로(36) 안으로 돌출하고,
    상기 피결합부(16)는, 한 쌍의 커넥터(10, 20)를 접속할 때에, 레그부(51)를 탄성적으로 변위시키면서 통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레그부(51)와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피결합부(16)의 후면은, 연통부(37)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피결합면으로서 작용하고, 이 피결합면은, 한 쌍의 커넥터(10, 20)가 접속 상태에 도달한 때에 레그부(51)의 탄성 복원력을 받으면 다른 하우징(11)을 전방으로 압박하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2 커넥터(20)에는 피팅부(27)가 마련되고, 상기 피팅부(27)에는 피팅부(27)의 이면을 향할수록 피팅부(27)의 폭을 감소시키도록 경사진 하나 이상의 경사면(4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46)과 제1 커넥터(10)는, 제2 커넥터(20)와의 접속 방향으로 제1 커넥터(10)의 앞에 간극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20)의 경사면(46)과 접촉하게 되는 제1 커넥터(10)의 부분에는 경사면(들)(46)과 합치되게 경사진 하나 이상의 경사면(1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은, 레그부(51)가 통로(36) 안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삽입 위치(IP)와 레그부(51)가 통로(36)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RP)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거나,
    상기 연통부(37) 또는 레그부(51)는 스프링(50)의 변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하나 이상의 안내부(37A; 53A)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35)는 제2 커넥터(20)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 커넥터(20)의 외주면 상에서 장착부(35)의 앞뒤에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 이상의 벽 부분(32, 33)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장치.
  6.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한 한 쌍의 레그부(51; 141)를 갖고 하나의 부재(20; 110) 상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50; 140)에 의하여, 하나의 부재(20; 110)와 접속된 다른 부재(10; 150)를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하는 로킹 구조로서,
    상기 스프링(50; 140)은 다른 부재(10; 150)와의 접속 방향으로 하나의 부재(20; 110)의 전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나의 부재(20; 110)에는 하나 이상의 통로(36; 1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부재(20; 110)와 상기 다른 부재(10; 150)를 접속할 때에, 상기 다른 부재(10; 150)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피결합부(16; 155)가 상기 통로 안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의 부재(20; 110)에 장착된 스프링(50; 140)은, 다른 부재(10; 150)의 피결합부(16; 155)가 통과하는 통로(36; 133) 안으로 레그부(51; 141)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삽입 위치(IP)와, 레그부(51; 141)가 통로(36; 133)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RP)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50; 140)은 하나의 부재(20; 110)와 접속된 다른 부재(10; 150)의 피결합부(16; 155)와 결합하여 스프링(50; 140)이 삽입 위치(IP)에 있는 로킹 상태를 달성하고, 삽입 위치(IP)로부터 후퇴 위치(RP)로 변위됨으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스프링(50; 140)은 하나의 부재(20; 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삽입 위치(IP)로부터 후퇴 위치(RP)로 변위되며,
    상기 하나의 부재(20; 110)는, 다른 부재(10; 150)와의 접속 방향으로 연장하고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로킹 해제 아암(39; 125; 170)을 구비하며, 접속 방향으로 로킹 해제 아암(39; 125; 170)의 전단부는 스프링(50; 140)과 하나의 부재(20; 110) 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링(50; 140)을 하나의 부재(20; 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42; 127)로서 작용하며, 접속 방향으로 로킹 해제 아암의 후단부는 가압 시에 가압부(42; 127)를 가압하는 로킹 해제부(45; 131)로서 작용하는 것인 로킹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부재(150)와의 접속 방향으로 연장하고 로킹 해제 아암(125; 170)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지지 아암(171)을 더 포함하며,
    접속 방향으로 상기 지지 아암(171)의 후단부는 접속 방향으로 로킹 해제 아암(125; 170)의 후단부와 접속되어 있고, 접속 방향으로 상기 지지 아암의 전단부는 하나의 부재(110)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로킹 해제 아암(170)과 하나의 부재(110) 중 하나는, 로킹 해제 아암(170)과 하나의 부재(110)를 서로 근접시키도록 로킹 해제부(131)가 가압될 때, 전후 방향으로 로킹 해제 아암(170)의 중간 부분에서 다른 하나와 접촉하기 위한 지지점 부분(173)을 포함하는 것인 로킹 구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51; 141)가 통로(36; 133)에 도입되는 입구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테이퍼진 안내부(37A; 124A)를 더 포함하며, 이 테이퍼진 안내부는, 스프링(50; 140)이 후퇴 위치(RP)에 있을 때 통로(36; 133) 안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레그부(51; 141)의 결합부(53; 143)에 대하여, 상기 레그부(51; 141)가 탄성 복귀하는 측(sides)에 위치되어 있고, 레그부(51; 14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결합부(53; 143)를 통로(36; 133)를 향하여 안내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인 로킹 구조.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42; 127)는, 스프링(50; 140)이 가압되어 이동할 때에, 스프링(50; 140)이 가압되는 측을 향하여 편향되도록 형상화되는 것인 로킹 구조.
  10. 탄성 변위 가능한 한 쌍 이상의 레그부(231)를 포함하고 하나의 부재(210)에 또는 그 위에 장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230)에 의해, 하나의 부재(210)와 접속된 다른 부재(250)를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하는 로킹 구조로서,
    상기 스프링(230)은 다른 부재(250)와의 접속 방향으로 하나의 부재(210)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부재(210)에는 하나 이상의 통로(2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부재(210)와 상기 다른 부재(250)를 접속할 때에, 상기 다른 부재(250)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피결합부(255)가 상기 통로 안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하나의 부재(210)에 장착된 상기 스프링(230)은, 다른 부재(250)의 하나 이상의 피결합부(255)가 통과하는 통로(225) 안으로 레그부(231)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삽입 위치(IP)와, 레그부(231)가 통로(225)로부터 후퇴되는 후퇴 위치(RP)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230)은 다른 부재(250)의 피결합부(255)와 결합하여 스프링(230)이 삽입 위치(IP)에 있는 로크 상태를 달성하고, 삽입 위치(IP)로부터 후퇴 위치(RP)로 변위됨으로써 로크 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다른 부재(250)와의 접속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한 가동 부재(240; 290)가 하나의 부재(210)에 또는 그 내부에 조립되며,
    상기 가동 부재(240; 290)에는, 변위 시에 스프링(230)을 후퇴 위치(RP)로 가압할 수 있도록 경사진 하나 이상의 가압면(247; 29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로킹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30)이 후퇴 위치(RP)로 변위된 후에 접속 방향으로 다른 부재(250)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248)가 슬라이더(240)로부터 돌출하는 것인 로킹 구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231)가 통로(225)에 도입되는 입구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테이퍼진 안내부(226A)를 더 포함하며, 이 테이퍼진 안내부는, 스프링(230)이 후퇴 위치(RP)에 있을 때 통로(225) 안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레그부(231)의 결합부(233)에 대하여, 상기 레그부(231)가 탄성 복귀하는 측에 위치되어 있고, 레그부(23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결합부(233)를 통로(225)를 향하여 안내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인 로킹 구조.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30)은 하나의 부재(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삽입 위치(IP)로부터 후퇴 위치(RP)에 도달하는 것인 로 킹 구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248)는 하나의 부재(210)와 반대쪽의 스프링(230) 측에서 접촉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인 로킹 구조.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240; 290)는 한 쌍의 레그부(231) 사이에서 스프링(230)의 중앙부를 가압하는 것인 로킹 구조.
  16.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부재(210)는 하나의 부재(210)와 반대쪽의 스프링(230) 측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상승 방지부(227)를 구비하는 것인 로킹 구조.
  17. 탄성 변위 가능한 한 쌍 이상의 레그부(341)를 구비하고 하나의 부재(310)에 또는 그 위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340)에 의해, 하나의 부재(310)와 접속된 다른 부재(350)를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하는 로킹 구조로서,
    상기 하나의 부재(310)에는 하나 이상의 통로(3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부재(310)와 상기 다른 부재(350)를 접속할 때에, 상기 다른 부재(350)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피결합부(355)가 상기 통로 안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340)은, 다른 부재(350)의 하나 이상의 피결합부(355)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통로(325) 안으로 레그부(341)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삽입 위치(IP)와, 레그부(341)가 통로(325)로부터 후퇴되는 후퇴 위치(RP)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고, 하나의 부재(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삽입 위치(IP)로부터 후퇴 위치(RP)에 도달하며, 레그부(341)와 피결합부(355)의 결합에 의해 다른 부재(350)를 분리 불가능하게 로크하고, 레그부(341)가 통로(325)로부터 후퇴됨으로써 로킹 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하나의 부재(310)는 시소와 유사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로킹 해제 아암(327)을 포함하고, 이 로킹 해제 아암(327)의 일단은, 스프링(340)을 하나의 부재(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스프링(340)과 하나의 부재(310)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부(329)로서 작용하고, 그 타단은 가압 시에 가압부(329)를 가압하거나 변위시키는 로킹 해제부(335)로서 작용하며,
    상기 로킹 해제 아암(327)은 가압부(329)와 반대쪽의 스프링(340) 측에 하나 이상의 팽출부(332)를 포함하는 것인 로킹 구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332)는 한 쌍의 레그부(341) 사이에서 스프링(340)의 중간부와 일치하게 마련되어 있는 것인 로킹 구조.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329)는, 스프링(340)이 가압되어 이동할 때, 스프링(340)이 가압되는 측을 향하여 편향되도록 형상화되는 것인 로킹 구조.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40)은 하나의 부재(310)에 형성된 원주방향 연장 홈부(324)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인 로킹 구조.
  21. 제6항, 제10항 또는 제17항에 따른 로킹 구조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로서,
    하나의 부재로서의 하우징(10; 110; 210; 310)과 접속된 다른 부재로서의 상대 하우징(20; 150; 250; 350)이 하나 이상의 스프링(50; 140; 230; 340)에 의해 분리 불가능하게 로킹되는 것인 커넥터 장치.
KR1020080105034A 2007-10-24 2008-10-24 커넥터 장치 및 로킹 구조 KR100993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76627A JP4924902B2 (ja) 2007-10-24 2007-10-24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JPJP-P-2007-276495 2007-10-24
JP2007276489A JP4962787B2 (ja) 2007-10-24 2007-10-24 コネクタ
JPJP-P-2007-276501 2007-10-24
JP2007276495A JP4924901B2 (ja) 2007-10-24 2007-10-24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JPJP-P-2007-276489 2007-10-24
JPJP-P-2007-276627 2007-10-24
JP2007276501A JP2009104938A (ja) 2007-10-24 2007-10-24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197A KR20090042197A (ko) 2009-04-29
KR100993558B1 true KR100993558B1 (ko) 2010-11-11

Family

ID=4028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034A KR100993558B1 (ko) 2007-10-24 2008-10-24 커넥터 장치 및 로킹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88454B2 (ko)
EP (1) EP2053702B1 (ko)
KR (1) KR100993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9784A1 (en) * 2004-04-01 2007-08-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Clutch Assembly
US7114990B2 (en) 2005-01-25 2006-10-03 Corning Gilbert Incorporated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grounding member
JP2009004318A (ja) * 2007-06-25 2009-01-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5141315B2 (ja) * 2008-03-14 2013-02-13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支持構造
US7758370B1 (en) * 2009-06-26 2010-07-20 Corning Gilbert Inc. Quick release electrical connector
JP5723534B2 (ja) * 2010-02-03 2015-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用治具
TWI549386B (zh) 2010-04-13 2016-09-11 康寧吉伯特公司 具有防止進入及改良接地之同軸連接器
US8888526B2 (en) 2010-08-10 2014-11-18 Corning Gilbert, Inc.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and grounding shield
TWI558022B (zh) 2010-10-27 2016-11-11 康寧吉伯特公司 具有耦合器和固持及釋放機制的推入固定式纜線連接器
JP5561127B2 (ja) * 2010-11-29 2014-07-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30132B2 (ja) * 2011-06-03 2015-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
CN103797657B (zh) * 2011-07-25 2016-04-20 矢崎总业株式会社 电连接器
US9190744B2 (en) 2011-09-14 2015-11-1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and grounding shield
US20130072057A1 (en) 2011-09-15 2013-03-21 Donald Andrew Burris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and grounding shield
US9136654B2 (en) 2012-01-05 2015-09-15 Corning Gilbert, Inc. Quick mount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US9407016B2 (en) 2012-02-22 2016-08-02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continuity contacting portion
JP2014082044A (ja) * 2012-10-15 2014-05-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スプリングロック式コネクタ
JP5854281B2 (ja) * 2012-10-15 2016-02-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スプリングロック式コネクタ
JP5812353B2 (ja) * 2012-10-15 2015-11-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スプリングロック式コネクタ
US9287659B2 (en) 2012-10-16 2016-03-1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RFI protection
DE102012020767A1 (de) * 2012-10-23 2014-04-24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r Nullkraftsteckverbinder
US9147963B2 (en) 2012-11-29 2015-09-29 Corning Gilbert Inc. Hardline coaxial connector with a locking ferrule
JP5517272B1 (ja) * 2012-12-27 2014-06-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153911B2 (en) 2013-02-19 2015-10-06 Corning Gilbert Inc. Coaxial cable continuity connector
US9172154B2 (en) 2013-03-15 2015-10-27 Corning Gilbert Inc.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RFI protection
US10290958B2 (en) 2013-04-29 2019-05-1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RFI protection and biasing ring
CN105284015B (zh) 2013-05-20 2019-03-08 康宁光电通信Rf有限责任公司 具有整体rfi保护的同轴电缆连接器
US9548557B2 (en) 2013-06-26 2017-01-1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Connector assembli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9048599B2 (en) 2013-10-28 2015-06-02 Corning Gilbert Inc. Coaxial cable connector having a gripping member with a notch and disposed inside a shell
JP6149787B2 (ja) * 2014-04-14 2017-06-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9548572B2 (en) 2014-11-03 2017-01-1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Coaxial cable connector having a coupler and a post with a contacting portion and a shoulder
JP2016110851A (ja) * 2014-12-08 2016-06-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033122B2 (en) 2015-02-20 2018-07-2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Cable or conduit connector with jacket retention feature
US9590287B2 (en) 2015-02-20 2017-03-0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Surge protected coaxial termination
US10211547B2 (en) 2015-09-03 2019-02-1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Coaxial cable connector
US9525220B1 (en) 2015-11-25 2016-12-2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Coaxial cable connector
JP6741213B2 (ja) 2016-12-13 2020-08-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US10128607B2 (en) * 2017-02-23 2018-11-1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Sealed connector system
JP6806606B2 (ja) * 2017-03-23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7208008B3 (de) * 2017-05-11 2018-10-1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er und Verfahren zum Anbringen einer Vibrationssicherung an einem Stecker
JP6810894B2 (ja) 2017-07-14 2021-01-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CN108683004B (zh) * 2018-05-21 2024-06-07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组件、连接器及其开锁滑块
CN112345156A (zh) * 2020-09-16 2021-02-09 悦然(温州)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传感器自动调节装置
US12034264B2 (en) 2021-03-31 2024-07-0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ies with outer conductor engagement featur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CN116073186B (zh) * 2023-03-07 2023-06-02 浙江力达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拨动型两阶段锁止连接器以及连接器插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3342A (ja) 2003-12-24 2005-07-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23825A1 (de) 1981-06-16 1983-01-0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H0789920B2 (ja) 1987-10-12 1995-10-04 生化学工業株式会社 微生物による−α−N−アセチルガラクトサミニダーゼの製造法
JPH0198485U (ko) * 1987-12-23 1989-06-30
IT220672Z2 (it) * 1990-11-13 1993-10-11 Itw Fastex Italia Spa Dispositivo di collegamento a scatto, a tenuta di fluido, per tubazioni
DE4235271C1 (de) 1992-10-20 1993-09-30 Reinshagen Kabelwerk Gmbh Elektrischer Stecker mit mechanischer Verriegelung
US5938466A (en) * 1995-08-09 1999-08-1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device having spring mechanism
EP0803676B1 (de) 1996-04-23 2001-09-26 Christian Heilmann Schnellkupplung für die Verbindung von Schlauch- und Rohrleitungen
JP4529658B2 (ja) 2003-11-28 2010-08-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SG141248A1 (en) * 2006-09-08 2008-04-28 Mea Technologies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3342A (ja) 2003-12-24 2005-07-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3702B1 (en) 2012-06-20
EP2053702A2 (en) 2009-04-29
US7588454B2 (en) 2009-09-15
US20090111312A1 (en) 2009-04-30
EP2053702A3 (en) 2009-07-29
KR20090042197A (ko)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558B1 (ko) 커넥터 장치 및 로킹 구조
EP2859625B1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product
CN112152018B (zh) 电连接器组、电连接器和将其与对接连接器连接和断开的方法
JP3467202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7267562B2 (en) Connector
JP5428730B2 (ja) 防水コネクタ
US9231342B2 (en) Connector
US7118417B2 (en) Connector with lock arm
JP4088189B2 (ja) コネクタ
JP7251398B2 (ja) コネクタ
EP1005111A2 (en) Connector
US20150038022A1 (en) Connector
KR101411202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7306486B2 (en) Connector
JP4062250B2 (ja) コネクタ
KR101251097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어셈블리
US739323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ocking mechanism for locking connector housings
US6206717B1 (en) Connector
JP7275275B2 (ja) コネクタ
US737782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030186579A1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JP2021005517A (ja) コネクタ
JP4924901B2 (ja)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US6666710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CN221379893U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