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771B1 -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 Google Patents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771B1
KR100991771B1 KR1020080103193A KR20080103193A KR100991771B1 KR 100991771 B1 KR100991771 B1 KR 100991771B1 KR 1020080103193 A KR1020080103193 A KR 1020080103193A KR 20080103193 A KR20080103193 A KR 20080103193A KR 100991771 B1 KR100991771 B1 KR 100991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rotating
rotated
shaf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930A (ko
Inventor
이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Priority to KR1020080103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7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강관을 안정적으로 탑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직선방향 뿐만 아니라 일측면 방향으로도 이송 가능하도록 개선된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11) 상면에서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이동부재(12,12')와; 상기 이동부재(12,12') 하측에 각각 있는 너트부재(25,25')가 간격조절정역모터(21)의 동력이 연동축(22,22')에 의해 감속기어박스(23,23')로 전달되어 회전되는 스크류축(24,24')과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축(24,24') 회전에 의해 이동부재(12,12')의 간격이 조절되게 하는 간격조절수단(20)과; 상기 이동부재(12,12') 위에 설치되는 수평구름베어링(31) 상면에 중심축부(33)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동부재(32)와, 상기 회동부재(32) 위에서 지지보스(34,34')에 의해 지지되는 회동축(35)과 고정되는 타이어로울러(36)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재(32)가 회동구속부재(38)에 의해 회전을 못하도록 구속되게 설치되는 강관이송수단을 다수 구비하되 상기 강관이송수단 중에 어느 일측의 이동부재(12')에 있는 강관이송수단의 회동축(35)이 구동감속모터(37)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강관이송수단(30,30')과; 상기 이동부재(12,12')에 각각 구비하는 각도조절정역모터(41)의 동력이 스크류축(43)을 회전시켜 너트부재(44)를 가진 너트링크부재(44)가 직선운동하고, 상기 너트링크부재(45)는 강관이송수단(30,30') 측면으로 길게 설치되는 이동링크부재(46)를 직선운동되게 연결되고, 상기 이동링크부재(46)는 회동부재(32)와 고정된 회동브라켓트(47)와 링크핀축(48)으로 연결되 게 하여 회동부재(32)가 중심축부(33)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타이어로울러(36)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40,40')과; 상기 프레임(11) 양측에 연장되게 설치되는 프레임(51) 일측에 지지보스(52,52')에 지지되는 로드샤프트(53)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수평받침단부(54a)와 경사받침단부(54b)를 갖는 받침로드(54)와, 상기 받침로드(54) 중간 하측에 피스톤로드(55a)가 연결되어 상기 받침로드(54)를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승강실린더(55)를 갖는 강관승강수단(50,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강관컨베이어, 강관이송장치, 피복강관컨베이어, 강관승강장치

Description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Metal tubing conveyor of metal tubing clad system}
본 발명은 강관피복시스템에서 강관을 이송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관을 직선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면서도 일측면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 표면에 부식방지를 위한 피복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강관피복시스템은 접착제압출기로부터 토출되는 접착제가 강관 표면에 도포된 후 수지제압출기에서 토출되는 피복수지가 강관 표면에 접착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피복되는 강관은 접착제 그리고 수지제가 압출되는 티형다이 하측에서 강관이송장치에 의해서 직선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동시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접착제와 피복수지가 강관 표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강관이송장치에 관련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특허 제10-0822147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선행기술의 강관이송장치는 강관이 직선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면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피복되는 강관은 작게는 직경이 200㎜에서 크게는 1000㎜ 이상의 커 다란 강관이 피복되고 이송되는 것이기 때문에 강관을 강관이송장치에 탑재시키는데 있어 호이스트나 또는 지게차등을 이용하여 탑재시켜야 함으로써 중량이 무거운 강관을 강관이송장치에 내려 놓는 과정에 충격이 따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강관이송장치에 무리가 따르거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그리고 대량의 강관을 효율적으로 피복시키기 위해서는 강관을 직선방향 뿐만 아니라 측면방향으로도 자동으로 이송되게 하는 것이 필요로 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 1] KR 10-0822147 B1 2008.04.15
본 발명은 강관을 안정적으로 탑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직선방향 뿐만 아니라 일측면 방향으로도 이송 가능하도록 개선된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 상면에서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하측에 각각 있는 너트부재가 간격조절정역모터의 동력이 연동축에 의해 감속기어박스로 전달되어 회전되는 스크류축과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축 회전에 의해 이동부재의 간격이 조절되게 하는 간격조절수단과; 상기 이동부재 위에 설치되는 수평구름베어링 상면에 중심축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 위에서 지지보스에 의해 지지되는 회동축과 고정되는 타이어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구속부재에 의해 회전을 못하도록 구속되게 설치되는 강관이송수단을 다수 구비하되 상기 강관이송수단 중에 어느 일측의 이동부재에 있는 강관이송수단의 회동축이 구동감속모터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강관이송수단)과; 상기 이동부재에 각각 구비하는 각도조절정역모터의 동력이 스크류축을 회전시켜 너트부재를 가진 너트링크부재가 직선운동하고, 상기 너트링크부재는 강관이송수단 측면으로 길게 설치되는 이동링크부재를 직선운동되게 연결되고, 상기 이동링크부재는 회동부재와 고정된 회동브라켓트와 링크핀축으로 연결되게 하여 회동부재가 중심축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타이어로울러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 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프레임 양측에 연장되게 설치되는 프레임 일측에 지지보스에 지지되는 로드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수평받침단부와 경사받침단부를 갖는 받침로드와, 상기 받침로드 중간 하측에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받침로드를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승강실더를 갖는 강관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구속부재는 회동부재 테두리부에 걸림되는 걸림턱부를 구비하고 구속볼트에 의해 이동부재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실린더는 프레임에 있는 힌지보스에 지지되는 실린더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실린더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관을 안전하게 강관컨베이어에 탑재 및 옆방향으로도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강관컨베이어의 고장 발생율이 적어지고 수명 증대가 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극히 적어지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강관의 탑재와 옆방향으로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므로 강관피복시스템의 자동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와 더불어서 생산성 향상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강관컨베이어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강관피복시 스템의 전체 일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관컨베이어의 평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를 참조하면, 강관피복시스템은 크게 구분하여 티형다이(2,2')를 각각 구비하는 접착제압출기(1)와 수지제압출기(1')를 구비하고 상기 티형다이(2,2') 하측으로는 강관컨베이어(10)를 구비한다.
상기 강관컨베이어(10)에는 강관(P)이 얹혀지는 타이어로울러(36)를 가지고 있고, 상기한 타이어로울러(36)를 회전시킴으로써 강관(P) 자체가 회전하면서 앞쪽으로 전진되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회전하는 강관(P) 표면에 접착제압출기(1)의 티형다이(2)로부터 토출되는 접착제(Ba)가 도포된 후에 수지제압출기(1')의 티형다이(2')로부터 토출되는 수지제(Bb)가 도포되어 피복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접착제압출기(1) 및 수지제압출기(1')의 티형다이(2,2') 하측에 강관컨베이어(10)가 설치되는 것이나 구체적인 도면 도시를 생략하였다.
그리고 티형다이(2,2') 하측 양쪽으로도 각각의 강관컨베이어(10)가 설치된다.
따라서, 지게차 또는 다른 이송장치에 의해서 강관(P)이 도 2에서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강관컨베이어(10)의 타이어로울러(36) 위에 얹혀지게 탑재되면 타이어로울러(36)가 회전됨에 따라 강관(P)이 티형다이(2,2') 방향으로 이동되게 됨으로써 피복이 이루어지게 된 다음 도 2에서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강관컨베이어(10)로 이송되고, 이 강관컨베이어(10)에서는 피복이 완료된 강관(P)을 지게차 또는 다 른 이송장치쪽으로 안전하게 옮겨지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강관컨베이어(10)는 길다란 프레임(11) 상면에서 한쌍의 이동부재(12,12')가 좌,우측에 각각 구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12,12')는 간격조절수단(2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동부재(12,12') 위에는 강관(P)을 회전시키면서 앞쪽으로 이동되게 하는 다수의 강관이송수단(30,30') 각각 등간격적으로 다수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간격조절수단(20)은 도 3 및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간격조절정역모터(21) 동력이 연동축(22,22')에 의해서 전,후측에 각각 구비하는 감속기어박스(23,23')에 전달되게 구성되고, 상기 감속기어박스(23,23')의 좌,우측으로는 각각 스크류축(24,24')이 연동되게 설치되어 정역회전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어박스(23,23')는 이미 공지된 장치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크류축(24,24')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1) 상부에 있는 한쌍의 이동부재(12.12') 저면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 너트부재(25,25')와 각각 체결되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간격조절정역모터(21)가 콘트롤부(미도시됨) 조작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면 그 동력이 연동축(22,22')을 통해 감속기어박스(23,23')에 전달됨으로써 스크류축(24,24')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고 그로 인해 너트부재(25,25')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부재(12,12')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 로 이동됨에 따라 그 이동부재(12,12') 위에 각각 등각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는 강관이송수단(30,30')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간격이 넓어지거나 또는 좁혀지도록 조절되는 것이다.
즉, 이동부재(12,12')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면 강관이송수단(30,30')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므로 직경이 작은 강관(P')을 탑재시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이동부재(12,12')의 간격이 넓어져서 강관이송수단(30,30')의 간격이 넓어지면 직경이 큰 강관(P)을 탑재시켜 이송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강관이송수단(30,30')은 각각의 이동부재(12,12') 상부에 각각 수평구름베어링(31)과 회동부재(32)가 중심축부(33)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32) 상부 양측에 있는 지지보스(34,34') 사이에 지지되는 회동축(35)에는 타이어로울러(36)가 고정되어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이동부재(12,12') 중 어느 하나의 이동부재(12')에 있는 강관이송수단(30')의 타이어로울러(36)와 연동되는 회동축(35)이 구동감속모터(37) 동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강관이송수단(30,30')은 수평구름베어링(31)과 회동부재(32)가 평상시 회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회동구속부재(38)의 걸림턱부(38a)가 회동부재(32) 테두리부에 걸림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동구속부재(38)는 구속볼트(39)에 의해서 이동부재(12,12')에 각각 고정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구속볼트(39)를 해지하면 회동구속부재(38)가 헐거워지게 됨에 따라 수평구름베어링(31) 위에 있는 회동부재(32)가 중심축부(33)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구속볼트(39)를 조여서 회동구속부재(38)가 고정되면 회동부재(32)는 회동하지 못하게 구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동구속부재(38)를 해지하는 것은 타이어로울러(36)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때 해지하는 것이고, 타이어로울러(36)의 경사각도조절이 완료되면 다시 고정 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강관이송수단(30,30')은 타이어로울러(36)가 평면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강관이송수단(30')의 구동감속모터(37)가 구동되면 타이어로울러(36)가 회전됨에 따라 그 위에 얹혀져 있게 되는 강관(P)이 회동되면서 앞쪽방향으로 전진되게 이송되는 것이다.
강관(P)의 이송속도는 타이어로울러(36)의 경사지게 설치되는 각도에 따라 가감되게 되는 것으로서, 이미 선행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강관이송수단(30,30')의 회동구속부재(38)를 해지하는 것은 타이어로울러(36)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때 해지하는 것이고, 각도조절수단(40,40')에 의해서 타이어로울러(36)의 경사각도조절을 완료하면 회동구속부재(38)를 다시 고정 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각도조절수단(40.40')은 각각의 이동부재(12,12') 위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각도조절수단(40,40')은 각각 각도조절정역모터(41)를 구비하고 상 기한 각각의 각도조절정역모터(41)의 회전력이 체인기어(42)와 체인(42')에 의해 동력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류축(43)을 구비한다.
또한, 스크류축(43)과 체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너트부재(44)와, 상기 너트부재(44)의 링크축부(44a)에 연결되는 너트링크부재(45)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너트링크부재(45) 끝단에는 연결축(45a)에 의해서 이동링크부재(46)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동링크부재(46)는 이동부재(12,12') 외측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고, 그 중간부와 끝단부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부재(32)에 고정된 회동브라케트(47)와 링크핀축(48)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7를 참조하면 콘트롤부(미도시됨) 조작에 의해서 각도조절정역모터(41)가 정회전되게 구동시키면 그 회전력이 체인기어(42)와 체인(42')에 의해 동력 전달되어 스크류축(43)이 정회전 하게 됨으로써 너트부재(44)가 도 7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너트링크부재(45)와 이동링크부재(46)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이동링크부재(46)와 링크핀축(48)으로 연결되어 있는 회동브라케트(47)가 우측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링크핀축(48)이 관통하는 이동링크부재(46)와 회동브라케트(47)의 구멍은 링크핀축(48)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회동브라케트(47)가 이동하면서 회동하는 동작에 있어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회동브라케트(47)가 이동하면서 약간 회동하는데 있어 전혀 지장없이 동작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각도조절수단(40,40')을 구동시키게 되면 회동브라케트(47)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과 동시에 회동운동하는 동작에 따라 강관이송수단(30,30')의 회동부재(32)는 중심축부(33)를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때 원하는 만큼 회동부재(32)가 회동 된 상태가 되면 각도조절정역모터(41)를 정지시킴으로써 회동부재(32)가 회동되는 것이 정지된다.
그리고 각도조절정역모터(41)를 역회전되게 구동시키면 위에서 설명된 동작과 반대로 동작 됨으로써 회동부재(32)는 좌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각도조절장치부(40,40')에 의한 회동부재(32)의 회전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만 회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각도조절수단(40,40')에 의해서 평면상으로 타이어로울러(36)의 경사각도 조절을 완료하면 회동구속부재(38)에 의해서 회동부재(32)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다시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강관컨베이어(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1)의 직선이송방향의 전,후측 부분에 각각의 강관승강수단(50,50')을 구비한다.
상기 강관승강수단(50,50')은, 프레임(51) 일측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보스(52,52')에 지지되는 로드샤프트(53)에 길다란 받침로드(54)의 받침단부(54a) 끝단부가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평받침단부(54a) 일측에는 상부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받침단부(54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51)은 별도로 제작되어 강관컨베이어(10)의 프레임(11) 측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프레임(11)과 일체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받침로드(54)는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그 중간부에 승강실린더(55)의 피스톤로드(55a)가 로드힌지축(56)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실린더(55)는 프레임(51)에 고정된 힌지보스(57)에 실린더힌지축(57)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승강실린더(55)의 피스톤로드(55a)가 전진되게 동작되면 받침로드(54)는 로드샤프트(53)을 중심으로 경사받침단부(54b) 쪽이 상승되게 회동되는 것이고, 반대로 피스톤로드(55a)가 후진되게 동작되면 경사받침단부(54b) 쪽이 하강되게 회동되도록 된 것이다.
승강실린더(55)는 콘트롤부(미도시됨) 조작에 의해서 동시에 동작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강관컨베이어(10) 양측에 구비하는 각각의 강관이송수단(50,50')에 있는 각각의 승강실린더(55)는 동시에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55)는 유압실린더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강관승강수단(50,50')은 도 9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로드(54)의 수평받침단부(54a)가 수평상태에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강관(P)이 지게차나 또는 다른 이송장치에 의해서 받침로드(54) 위에 강관(P)이 얹혀지도록 한다. 이때 받침로드(54)는 경사받침단부(54b)가 있기 때문에 강관(P)은 굴러서 옆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다음, 콘트롤부(미도시됨)를 조작하여서 승강실린더(55)의 피스톤로드(55a) 가 후진되게 동작되도록 하면 받침로드(54)의 경사받침단부(54b)가 있는 쪽이 밑으로 하강되게 회동됨으로써 길다란 강관(P)은 가상선 도시와 같이 강관이송수단(30,30')의 타이어로울러(36) 위에 안전하게 안착되게 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받침로드(54)가 하측방향으로 더 하강되게 회동되도록 한 후 정지시킴으로써 받침로드(54)와 강관(P)과의 간섭이 없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강관(P)을 타이어로울러(36) 위에 언혀지게 탑재되도록 하는데 있어 받침로드(54)에 먼저 올려 놓은 다음 밑으로 내려서 타이어로울러(36) 위에 얹혀지게 함으로써 중량이 무거운 강관(P)을 탑재시킬 때 발생될 수 잇는 충격을 최소화하게 됨에 따라 강관컨베이어(1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수명 증대를 도모하게 한다.
또한, 크기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강관(P)을 강관컨베이어(10)에 안전하게 탑재하게 하므로 강관(P)을 탑재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강관(P) 피복이 완료된 다음에는 콘트롤부(미도시됨)를 조작하여서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55)의 피스톤로드(55a)가 전진되게 동작되도록 하면 받침로드(54)의 경사받침단부(54b)가 윗쪽으로 상승되게 회동됨으로써 강관(P)은 받침로드(54)에 얹혀져서 상승되게 된다.
이때, 받침로드(54)를 실선 도시와 같이 수평위치(S) 보다 약간 더 상승되게 하면 수평받침단부(54a)가 경사지게 됨으로써 그 위에 얹혀 있던 강관(P)은 옆으로 굴러서 이동되게 되어 지게차나 또는 다른 이송장치(3')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우측에 도시된 강관컨베이어(10)에 피복을 하기 위한 강관(P)을 탑재하게 된다.
이때, 강관(P)은 강관승강수단(50,50')에 의해 받쳐지고 하강되게 이동하여 양측 타이어로울러(36)에 안전하게 안착된다.
다음, 강관이송수단(30)의 구동감속모터(37)를 구동시켜서 타이어로울러(36)가 회전되게 함에 따라 강관(P)이 앞쪽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체가 회동되어 티형다이(2,2')로부터 접착제와 수지제가 도포되어 강관(P) 표면이 피복되게 되면서 도 2에서 좌측에 있는 강관컨베이어(10)로 이송된다.
그리고 피복이 완료된 강관(P)은 도 2에서 좌측에 있는 강관컨베이어(10)의 강관승강수단(50,50')에 의해서 상승되게 이동된 후 지게차나 또는 다른 이송장치쪽으로 자동으로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강관컨베이어(10)는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강관(P)을 안전하게 탑재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강관피복시스템의 자동화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강관컨베이어(10)에서 강관승강수단(50,50')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실시하거나 또는 강관컨베이어(10)의 중간부에 설치되게 하여 실시 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한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채용되는 강관피복시스템의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채용되는 강관피복시스템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컨베이어의 평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관컨베이어의 정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간격조절수단을 보인 도 3의 X-X'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강관이송수단을 설명하는 일부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각고조절수단을 보인 도 3의 "Y" 부분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타이어로울러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강관승강수단을 나타낸 도 3의 Z-Z'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강관승강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강관컨베이어 12,12' : 이동부재
20 : 간격조절수단 21 : 간격조절정역모터
24,24' : 스크류축 25,25' : 너트부재
30,30' : 강관이송수단 32 : 회동부재
33 : 중심축부 36 : 타이어로울러
37 : 구동감속모터 38 : 회동구속부재
40,40' : 각도조절수단 41 : 각도조절정역모터
43 : 스크류축 44 : 너트부재
46 : 이동링크부재 47 : 회동브라켓트
50,50' : 강관승강수단 53 : 로드샤프트
54 : 받침로드 55 : 승강실린더

Claims (4)

  1. 프레임(11) 상면에서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이동부재(12,12')와;
    상기 이동부재(12,12') 하측에 각각 있는 너트부재(25,25')가 간격조절정역모터(21)의 동력이 연동축(22,22')에 의해 감속기어박스(23,23')로 전달되어 회전되는 스크류축(24,24')과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축(24,24') 회전에 의해 이동부재(12,12')의 간격이 조절되게 하는 간격조절수단(20)과;
    상기 이동부재(12,12') 위에 설치되는 수평구름베어링(31) 상면에 중심축부(33)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동부재(32)와, 상기 회동부재(32) 위에서 지지보스(34,34')에 의해 지지되는 회동축(35)과 고정되는 타이어로울러(36)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재(32)가 회동구속부재(38)에 의해 회전을 못하도록 구속되게 설치되는 강관이송수단을 다수 구비하되 상기 강관이송수단 중에 어느 일측의 이동부재(12')에 있는 강관이송수단의 회동축(35)이 구동감속모터(37)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강관이송수단(30,30')과;
    상기 이동부재(12,12')에 각각 구비하는 각도조절정역모터(41)의 동력이 스 크류축(43)을 회전시켜 너트부재(44)를 가진 너트링크부재(44)가 직선운동하고, 상기 너트링크부재(45)는 강관이송수단(30,30') 측면으로 길게 설치되는 이동링크부재(46)를 직선운동되게 연결되고, 상기 이동링크부재(46)는 회동부재(32)와 고정된 회동브라켓트(47)와 링크핀축(48)으로 연결되게 하여 회동부재(32)가 중심축부(33)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타이어로울러(36)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40,40')과;
    상기 프레임(11) 양측에 연장되게 설치되는 프레임(51) 일측에 지지보스(52,52')에 지지되는 로드샤프트(53)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수평받침단부(54a)와 경사받침단부(54b)를 갖는 받침로드(54)와, 상기 받침로드(54) 중간 하측에 피스톤로드(55a)가 연결되어 상기 받침로드(54)를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하는 승강실린더(55)를 갖는 강관승강수단(50,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구속부재(38)는 회동부재(32) 테두리부에 걸림되는 걸림턱부(38a)를 구비하고 구속볼트(39)에 의해 이동부재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55)는 프레임(51)에 있는 힌지보스(57)에 지지되는 실린더힌지축(5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55)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KR1020080103193A 2008-10-21 2008-10-21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KR100991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93A KR100991771B1 (ko) 2008-10-21 2008-10-21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193A KR100991771B1 (ko) 2008-10-21 2008-10-21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930A KR20100043930A (ko) 2010-04-29
KR100991771B1 true KR100991771B1 (ko) 2010-11-04

Family

ID=4221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193A KR100991771B1 (ko) 2008-10-21 2008-10-21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834B1 (ko) 2013-12-26 2017-06-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라이저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시추 해상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360B1 (ko) * 2012-05-29 2014-08-20 동부제철 주식회사 강관파일조립체의 용접 자동화 장치
KR101422771B1 (ko) * 2013-04-12 2014-08-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라이저 핸들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N103447407B (zh) * 2013-09-05 2015-05-20 无锡双友石化机械有限公司 一种双工位悬臂车
CN105016045A (zh) * 2015-07-28 2015-11-04 江苏玉龙钢管股份有限公司 一种扩径机悬臂小车
CN109095108B (zh) * 2018-09-17 2023-09-19 宁波诗兰姆汽车零部件有限公司 扎带上料机构
CN110523947B (zh) * 2019-08-24 2022-03-01 浙江深澳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离心铸管机的摇臂式接管称重装置
CN111422607A (zh) * 2020-04-10 2020-07-17 中冶辽宁德龙钢管有限公司 自适应式钢管输送系统及其操作方法
CN113697452A (zh) * 2021-08-26 2021-11-26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钢管自动下料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267B1 (ko) 2000-12-01 2003-02-26 한미아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
KR100654404B1 (ko) 2005-08-31 2006-12-08 한미아 강관 이송장치
KR100822147B1 (ko) 2007-01-26 2008-04-15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강관피복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267B1 (ko) 2000-12-01 2003-02-26 한미아 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방법 및 그 장치
KR100654404B1 (ko) 2005-08-31 2006-12-08 한미아 강관 이송장치
KR100822147B1 (ko) 2007-01-26 2008-04-15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강관피복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834B1 (ko) 2013-12-26 2017-06-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라이저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시추 해상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930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771B1 (ko)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CN104487367B (zh) 独立卸货分选输送机
US6071058A (en) Refuse loader with vehicle mounted guide rails
EP3748081B1 (en) Railway wagon for moving sleepers, railway vehicle comprising said railway wagon
EP3468836B1 (en) Load handling device for a transportation unit, and a transportation unit with said device
KR101923400B1 (ko) 지브 크레인
CN102811930A (zh) 行李装卸系统
CA2578432C (en) Steerable conveyor with height adjustable wheels
CN105292972A (zh) 一种升降轨道对接锁紧装置及轨道输送系统
JP5843593B2 (ja) 遠隔操作可能な圧延ロール組替装置
FI127067B (fi) Siirtolaite
CN218289420U (zh) 板件运输流水线
KR101675953B1 (ko) 버킷 엘리베이터형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 피더
CN214268908U (zh) 一种快开式侧帘箱的货物自动装卸系统
JP4289200B2 (ja) 搬送設備
CN219990249U (zh) 分拣装置的导入输送机
CN218319426U (zh) 一种输送线用辅助装置
CN218402567U (zh) 升降移载装置及生产线
CN214269474U (zh) 一种快开式侧帘箱的货物自动装卸系统
CN210854151U (zh) 一种工件热处理用自动输料系统
US9533659B2 (en) Tow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CN216781889U (zh) 一种横梁式车轮搬运机械手行走轨道安装工装
CN213679656U (zh) 一种防止货物脱落的可调式叉车货叉
CN218950380U (zh) 一种载车板对齐装置及具有其的输送机设备
KR102326861B1 (ko) 복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