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147B1 - 강관피복시스템 - Google Patents

강관피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147B1
KR100822147B1 KR1020070008553A KR20070008553A KR100822147B1 KR 100822147 B1 KR100822147 B1 KR 100822147B1 KR 1020070008553 A KR1020070008553 A KR 1020070008553A KR 20070008553 A KR20070008553 A KR 20070008553A KR 100822147 B1 KR100822147 B1 KR 100822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air
members
extrud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박정후
장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박정후, 장종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Priority to KR1020070008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강관 표면을 피복시키기 위해 접착제압출기와 수지제압출기로 된 한벌의 압출기와 하나의 강관이동수단에 의해서 소직경의 강관은 물론이거니와 대직경의 강관을 선택적으로 피복시킬 수 있는 강관피복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장비 구입비 및 운영비를 크게 절감시키고 원가절감이 도모될 수 있도록 개선된 강관 피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대,소직경 강관(p,p') 외주면을 코팅하기 위한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 및 접착제(b)와 수지제(s)가 압출되는 한쌍의 티형다이(20,20') 및 오형다이(30)를 이용하여 대,소직경 강관(P,P') 외주면을 피복되게 하고 상기 대,소직경 강관(p,p')을 이동시키는 강관이동수단(100)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가 하나의 받침부재(40)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수직이동수단(50)과, 상기 받침부재(4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평이동수단(60)과; 상기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의 토출부(11,11')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접착제공급관(21,31) 및 수지제공급관(22,32)을 통해 한쌍의 티형다이(20,20')와 오형다이(30) 중 어느 하나의 다이에만 선택적으로 접착제와 수지제가 공급되도록 하는 토출전환수단(70,70')을 포함하고; 상기 강관이동수단(100)은 프레임(110) 상면에서 간격조절장치부(12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이동부재(121)와, 상기 이동부재(121)의 체결공(121a)에 체결되는 가이드볼트(132a)가 관통하는 원호형의 가이드공(132)을 구비하고 중심축볼트(134) 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회동부재(131)와, 상기 회동부재(131)의 너트공(131a)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33a)가 선택적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공(133b)과 제2관통공(133c)을 구비하는 받침판부재(133) 및 상기 받침부재(133)의 상부 양측에 구비한 가이드부재(135)의 베어링보스(135')에 지지되는 샤프트(136)와, 상기 가이드부재(135) 사이의 샤프트(136)에 설치되어 회동되는 타이어로울러(137)를 가진 다수의 강관이송장치부(130)를 프레임(110)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등간격으로 설치되게 하되, 상기 강관이송장치부(130) 중 어느 일측의 강관이송장치부(130)에는 샤프트(136)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해 커플링(136a)으로 연결되는 감속모터(138)와, 상기 감속모터(138)의 반대 방향의 베어링보스(135')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샤프트(136)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장구로울러(139)를 더 구비하는 강관이송장치부(130)를 구성하고; 상기 이동부재(121) 상에서 정역모터(141) 동력에 의해 회동부재(131)가 회전되어 평면상으로 타이어로울러(137)의 경사진 각도가 조절되게 하는 각도조절장치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강관 피복, 강관 코팅, 강관 피복 시스템

Description

강관피복시스템{Metal tubing cloth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대직경 강관 피복 상태의 입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소직경 강관 피복 상태의 입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관피복시스템의 전체 평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 상태도,
도 5a 및 도 5b와 도 5c는 본 발명의 압출기 수평이동수단과 수직이동수단을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와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직이동수단과 수평이동수단의 종단면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토출전환수단의 평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대직경 강관의 피복상태를 보인 개략 구성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소직경 강관의 피복상태를 보인 개략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대직경 강관 이동 상태에서의 강관이동수단을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B-B'선 확대 단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강관이송장치부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강관이송장치부의 요부 확대 단면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각도조절장치부의 일부를 나타낸 9의 C-C'선 확대 단면ㄱ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소직경 강관 이동 상태의 강관이동수단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강관이송장치부의 변위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6은 도 14의 D-D'선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접착제압출기 10' : 수지제압출기
20,20' : 티형 다이 30 : 오형 다이
40 : 받침부재 50 : 수직이동수단
51 : 승강부재 52 : 워엄기어장치
53 : 연결축 54 : 수직스크류
56 : 너트부재 70,70' : 토출전환수단
71 : 몸체부재 73 : 회전공
76 : 전환부재 100 : 강관이송수단
110 : 프레임 120 : 간격조절장치부
121 : 이동부재 122 : 너트부재
124 : 스크류축 130 : 강관이송장치부
131 : 회동부재 132 : 원호형 가이드공
132a : 가이드볼트 133 ; 받침판부재
133a : 고정볼트 133b : 제1관통공
133c :제2관통공 136 : 샤프트
137 : 타이어로울러 138 : 감속모터
139 : 장구로울러 140 : 각도조절장치부
141 : 정역모터 143 : 스크류축
144 : 너트부재 145 : 이동링크부재
146 : 링크핀축 147 : 회동브라케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2-004297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6129호
본 발명은 강관의 외면에 수지층이 피복되도록 하는 강관피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강관피복시스템에 의해서 대직경(大直徑)의 강관 뿐만 아니라 소직경(小直徑)의 강관까지도 피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강관피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은 부식 방지를 위해서 외주면에 폴리에틸렌수지층이 피복되게 하고 이러한 강관을 피복강관이라고 한다.
피복되는 강관의 직경은 15-1500㎜ 까지 다양한 직경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강관의 직경에 따라서 피복하는 방법이 각각 다르다.
강관 직경이 15-350㎜ 정도가 되는 소직경의 강관들은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 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6129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된 오형 다이(O type die)로 강관이 통과되는 과정에 접착제가 강관 외주면에 도포되면서 곧이어서 수지제가 도포되어 코팅되게 하는 방법으로 피복되게 하고 있고, 이러한 피복방법은 오형 다이 압출기에 의해서 강관이 피복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강관 직경이 400-1500㎜ 정도가 되는 대직경의 강관들은 회전되면서 일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강관 외주면에 티형 다이(T tapy die) 압출기에 의해서 접착제를 도포하고 수지제를 도포하여 코팅되게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즉, 소직경의 강관은 피복되어야 하는 강관이 직선 방향으로만 이동하여 압출 다이를 통과하는 과정에 전체적으로 접착제가 도포되면서 수지제가 도포되어 코팅되게 피복되는 것이고, 대직경의 강관들은 그 강관들이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그 회전되는 강관 상부에서 외주면에 넓은 띠 형태로 접착제가 도포되고 수지제가 도포되게 피복되는 것이므로 그 피복방법이 전혀 다른 방법들이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강관피복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오형 다이 압출기와 소직경 강관 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소직경 강관이동장치를 구비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티형 다이 압출기와 대직경 강관을 회전시키면서 이동시키기 위한 대직경 강관이동장치를 각각 구비해야 하였다.
그리고 상기 오형 다이 압출기 및 티형 다이 압출기는 각각의 접착제 압출기 와 수지제 압출기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모두 4대의 압출기를 구비해야 하고 각각의 길다란 형태의 소직경 강관이동장치 및 대직경 강관이동장치를 각각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엄청난 고가의 설비비가 소요되어 비경제적이고 매우 넓은 설비 면적이 필요로 되고 장비의 구입비 및 운영비가 많이 소요되는 비합리적이고 비경제적인 강관피복시스템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2-0042979호와 같이 티-다이 압출기에 의해서 대구경의 강관 뿐만 아니라 소구경의 강관까지도 피복되게 하는 티-다이(T-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장치가 개시되었으나, 선행기술의 상기 티-다이 압출식 강관 외면코팅장치는 소구경(소직경)의 강관을 피복하는데 있어 피복 두께를 맞추기가 어렵고 생산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즉, 상기 선행기술에 있어 대직경의 강관은 그 무게가 중량이므로 그 무게에 의해서 강관을 회전시키면서 이동시키는 한쌍의 로울러와 접촉되는 접촉력이 강하므로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회전 속도가 일정하여 피복 두께를 일정하게 코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나가는 대직경의 강관은 안전을 위해 서행 이동되게 하는 것이므로 생산량은 예전과 변함이 없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있어 양쪽으로 배치되어 한쌍의 로울러에 의해서 소직경의 강관을 회전시키면서 직선 이동되게 하는 과정에 강관 외주면에 비교적 얇은 두께의 접착제와 수지제를 코팅시켜야 하는데 소직경의 강관은 무게가 경량이기 때문에 로울러와의 접촉력이 아무래도 낮으므로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어 정확한 속도로 회전되지 못함에 따라 정확한 두께로 코팅되지 못하는 단점이 초래되었다.
그리고 소직경의 강관을 회전시키면서 이동되게 하여 코팅되게 함에 따라 그 이동속도가 느리게 되므로 생산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본 발명은 강관 표면을 피복시키기 위해 접착제압출기와 수지제압출기로 된 한벌의 압출기와 하나의 강관이동수단에 의해서 소직경의 강관은 물론이거니와 대직경의 강관을 선택적으로 피복시킬 수 있는 강관피복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장비의 구입비 및 운영비를 크게 절감시키고 원가절감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소직경 강관 외주면을 코팅하기 위한 접착제압출기와 수지제압출기 및 접착제와 수지제가 압출되는 한쌍의 티형다이 및 오형다이를 이용하여 대,소직경 강관 외주면을 피복되게 하고 상기 대,소직경 강관을 이동시키는 강관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착제압출기와 수지제압출기가 하나의 받침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기 위해 받침부재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이동수단과, 상기 받침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직이동수단 하측으로 설치되는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접착제압출기와 수지제압출기의 토출부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접착제공급관 및 수지제공급관을 통해 한쌍의 티형다이와 오형다이 중 어느 하나의 다이에만 선택적으로 접착제와 수지제가 공급되도록 하는 한쌍의 토출전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강관이동수단은 프레임 상면에서 간격조절장치부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이동부재와,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 체결공에 체결되는 가이드볼트가 관통하는 원호형의 가이드공을 구비하고 중심축볼트를 중심으로 각각 회동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회동부재와, 상기 한쌍의 회동부재 너트공에 체결되는 고정볼트가 선택적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구비하여 각각 회동부재에 고정되는 한쌍의 받침판부재 및 상기 한쌍의 받침부재 상부 양측에 구비한 가이드부재의 베어링보스에 각각 지지되는 한쌍의 샤프트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의 샤프트에 설치되어 회동되는 타이어로울러를 가진 다수의 강관이송장치부를 프레임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등간격으로 설치되게 하되, 상기 강관이송장치부 중 어느 일측의 강관이송장치부에는 샤프트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해 커플링으로 연결되는 감속모터와, 상기 감속모터의 반대 방향의 베어링보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샤프트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장구로울러를 더 구비하는 강관이송장치부를 구성하고;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 상에서 정역모터 동력에 의해 회동부재가 회전되어 평면상으로 타이어로울러의 경사진 각도가 조절되게 하는 한쌍의 각도조절장치부가 각각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수직이동수단은, 받침부재 전,후 양측에 각각 고정된 승강부재 상부에 워엄과 워엄기어를 가진 워엄기어장치부를 각각 구비하여 좌,우측에서 각각 전,후방향으로 위치하는 워엄기어장치부의 워엄끼리 한쌍의 연결축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워엄기어 회전에 의해 회동되게 각각 설치되는 수직스크류는 수평이동부재상에 각각 고정된 수직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너트부재와 체결되어 회전운동되게 하고, 상기 한쌍의 연결축은 체인기어와 체인에 의해 정역모터로부터 동력전달되어 회전되게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수평이동수단은, 지면에 고정되는 한쌍의 레일을 따라 회동되게 이동되는 차륜이 받침부재 전,후측 양쪽에 각각 구비하는 수평이동부재 하측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게 하되 받침부재 양측으로 위치하는 한쌍의 차륜끼리 차륜축으로 각각 연결되게 하고 상기 차륜은 정역모터 동력이 체인기어와 체인에 의해 차륜축으로 전달되어 회동되도록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쌍의 토출전환수단은, 토출부에 각각 고정되는 몸체부재의 유입공 선측부에 형성되는 회전공과, 상기 회전공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티형다이용 및 오형다이용 유출공과, 상기 회전공에 삽입되어 다수의 체결구에 의해 몸체부재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전환부재와, 상기 전환부재에는 유입공과 일치되는 중앙유출로 및 유출공과 일치되게 되는 사이드유출로가 상호 연장되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장치부는, 프레임 상부에 있는 한쌍의 이동부재 저면에 각각의 너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너트부재는 중간부에 있는 정역모터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크류축과 체결되어 그 스크류축 회전에 의해 각각의 너트부재가 이동되어 한쌍의 이동부재 간격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쌍의 각도조절장치부는, 한쌍의 이동부재에 각각 설치되는 정역모터 회전력이 체인기어와 체인에 의해 동력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과 체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너트부재의 링크축부에 연결되는 이동링크부재와, 상기 이동링크부재에 링크핀축으로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회동부재와 고정된 회동브라케트에 의해 구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실시된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평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대직경 강관(p) 및 소직경 강관(p')의 외주면을 코팅하기 위한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를 구비한다. 상기 대직경 강관(p) 및 소직경 강관(p')은 이하에서 대,소직경 강관(p,p')이라고 하기도 한다.
상기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는 하나의 받침부재(40)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받침부재(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다수의 수직이동수단(50) 및 받침부재(4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평이동수단(60)에 의해서 받침부재(40)를 포함하여 그 위에 설치되어 있는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의 위치를 변위되게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수의 수직이동수단(50)과 수평이동수단(60)을 보여 준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수직이동수단(50)은, 받침부재(40) 전,후 양측에 각각 고정된 승강부재(51) 상부에 워엄기어장치부(52)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워엄기어장치부(52)는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그 내부에는 워엄(52a)과 워엄기어(52b)를 구비한 것으로서, 이러한 워엄기어장치부(52)는 예컨데 모터와 같이 하나의 부품으로 생산되어 시판되고 있는 장치이므로 그 상세한 내부 구성과 설명은 생략하고 동작되는 설명만 하기로 한다.
상기 워엄기어장치부(52)는 워엄(52a)이 회전되면 워엄기어(52b)가 회전되게 동작된다.
따라서, 받침부재(40) 전,후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워엄기어장치부(52)는 받침부재(40)의 길이방향 쪽이 전,후측이 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그 좌,우측에서 각각 전,후방향으로 위치하는 워엄기어장치부(52)의 워엄(52a)끼리 연결축(53)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도 5a 및 도 5b참조)
그리고 도 5a 및 도 5c와 같이 연결축(53)은 체인기어(57)와 체인(57')에 의해 정역모터(58)로부터 동력전달되어 회전되게 구성된다. 부호 57"는 중간체인기어이다.
따라서, 정역모터(58) 동력이 체인기어(57)와 체인(57')에 연결축(53)으로 전달되어 회전되면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워엄기어장치부(52)의 워엄(52a)이 회전됨으로서 워엄기어(52b)가 회전되게 동작된다.
상기 워엄기어(52b)에는 수직스크류(54)가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게 구성됨으로써 수직스크류(54)가 회전되게 된다.
상기 수직스크류(54)는 수평이동수단(60)의 수평이동부재(61)상에 고정된 수 직부재(55)에 설치되어 있는 너트부재(56)와 체결되어 회전 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정역모터(58)의 정회전 구동하게 되면 수직스크류(54)가 정회전됨에 따라 승강부재(51)가 상승되게 이동되는 것이고, 정역모터(58)가 반대로 역회전 구동하게 되면 수직스크류(54)가 역회전됨에 따라 승강부재(51)가 하강되게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승강부재(51)과 고정된 받침부재(40)가 승,하강되게 이동될 수 잇게 되는 것이고, 아울러서 받침부재(40) 위에 설치된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가 승,하강되게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수평이동수단(60)은, 지면(k)에 고정되는 한쌍의 레일(62)을 따라 회동되게 이동되는 차륜(63)이 받침부재(40) 전,후측 양쪽에 각각 구비하는 수직부재(55) 하측에 고정된 수평이동부재(61) 하측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게 하되 도 5c와 같이 받침부재(40) 양측으로 위치하는 한쌍의 차륜(63)끼리 차륜축(64)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륜(63)은 도 5a에 보인 바와 같이 정역모터(65) 동력이 체인기어(66)와 체인(66')에 의해 차륜축(64)으로 전달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정역모터(65)가 정회전되게 구동되면 도 5a에서 차륜(63)이 시계방향으로 정회전되게 되어 받침부재(40)가 앞쪽으로 전진되게 이동되는 것이고, 정역모터(65)가 역회전되게 구동되면 차륜(63)이 역회전되게 됨으로써 받침부재(40)가 후미쪽 방향으로 후진되게 이동되는 것으로써, 받침부재(40) 위에 설치된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가 전진되게 이동 되거나 후진되게 이동되는 상태로 수평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동작을 하기 위한 모터 등은 콘트롤부(미도시) 조작에 의해서 가동되고 정지되는 것이다. 상기 콘트롤부는 공지된 제어 기술에 의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의 토출부(11,11')에는 한쌍의 토출전환수단(70,70')이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토출전환수단(70,70')에는 각각 접착제공급관(21,31) 및 수지제공급관(22,32)이 연결되게 설치되어 한쌍의 티형다이(20,20')와 오형다이(30)에 접착제(b)와 수지제(s)가 공급되어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토출전환수단(70,70')은 한쌍의 티형다이(20,20')와 오형다이(30) 중 어느 하나의 다이에만 선택적으로 접착제와 수지제가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의 토출부(11,11')에 각각 설치되는 토출전환수단(70,70')은 도 7a와 같이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의 토출부(11,1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한쌍의 토출전환수단(70,70')은 토출부(11,11')에 각각 고정되는 몸체부재(71)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형성된 유입공(72) 선측부에는 회전공(7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공(73) 양측에는 각각 티형다이용 유출공(74)과 오형다이용 유출공(74')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회전공(73)에는 전환부재(76)가 삽입되 어 다수의 체결구(75)에 의해 몸체부재(71)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전환부재(76)에는 유입공(72)과 일치되는 중앙유출로(76a) 및 유출공(74,74')과 일치되게 되는 사이드유출로(76b)가 상호 연장되게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티형다이용 유출공(74)과 오형다이용 유출공(74')에는 접착제공급관(21,31) 및 수지제공급관(22,32)이 각각 연결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접착제압출기(10)의 토출전환수단(70)의 티형다이용 유출공(74)에는 티형 다이(20)와 연결되는 접착제공급관(21)이 고정되는 것이고 오형다이용 유출공(74')에는 오형 다이(30)와 연결되는 접착제공급관(31)이 연결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지제압출기(10')의 토출전환수단(70')의 티형다이용 유출공(74)에는 티형 다이(20')와 연결되는 수지제공급관(22)이 고정되는 것이고 오형다이용 유출공(74')에는 오형 다이(30)와 연결되는 수지제공급관(32)이 연결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티형 다이(20,20')에 의해 대직경 강관(p) 표면을 피복하려고 할 때에는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에 있는 각각의 토출전환수단(70,70')에서 오형 다이(30)와 연결된 접착제공급관(31)과 수지제공급관(32)으로는 접착제(b) 및 수지제(s)가 공급되지 못하도록 차단되게 하고 티형 다이(20,20')와 연결된 접착제공급관(21)과 수지제공급관(22)으로만 접착제(b) 및 수지제(s)가 공급되도록 하여 티형 다이(20,20')에 의해서 대직경 강관(p) 표면을 코팅하여 피복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오형 다이(30)에 의해 소직경 강관(p') 표면을 피복하려고 할 때에는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에 있는 각각의 토출전환수단(70,70')에서 오형 다이(30)와 연결된 접착제공급관(31)과 수지제공급관(32)으로는 접착제(b) 및 수지제(s)가 공급되게 하고 티형 다이(20,20')와 연결된 접착제공급관(21)과 수지제공급관(22)으로는 접착제(b) 및 수지제(s)가 공급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킴으로써 오형 다이(30)에 의해서 소직경 강관(p') 표면을 코팅되게 피복 하는 것이다.
도 7a는 티형 다이(20,20')에 의해 대직경 강관(p) 표면을 피복하려고 할 때의 토출전환수단(70,70')을 보인 것으로서, 이때는 전환부재(76)의 사이드유출공(76b)이 티형다이용 유출공(74)과 일치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토출전환수단(70,70')의 각각의 티형다이용 유출공(74)과 연결된 접착제공급관(21) 및 수지제공급관(22)으로 접착제(b) 및 수지제(s)가 공급되게 되어 티형 다이(20,20')에서 각각 접착제(b) 및 수지제(s)가 토출되게 되어 피복이 이루어지게 되는 반면에 오형다이용 유출공(74')으로는 접착제(b) 및 수지제(s)가 공급되지 못하고 차단되는 상태가 된다. 부호 77은 소공이 무수히 뚫린 소공부재이다.
한편, 오형 다이(30)에 의해 소직경 강관(p') 표면을 피복 하려고 할 때에는 도 7a 상태에서 체결구(75)를 풀어서 분리시킨 다음 회전공(73) 내에서 전환부재(76)를 180도 회전시켜서 사이드유출공(76b)이 오형다이용 유출공(74')과 일치되게 한 다음 체결구(75)를 다시 체결시켜서 전환부재(76)가 몸체부재(71)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도 7b와 같이 오형다이용 유출공(74')을 통해 각각의 토출전환수단(70,70')에 연결된 접착제공급관(31)과 수지제공급관(32)으로 접착제(b) 및 수지제(s)가 오형 다이(30)로 공급되어 토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는 티형다이용 유출공(74)으로는 접착제(b) 및 수지제(s)가 공급되지 못하고 차단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다시 티형 다이(20,20')에 의해서 코팅되게 하려고 할 시에는 다시 체결구(75)를 풀고 도 7a와 같이 전환부재(76)를 180도 회전시켜서 사이드유출공(76b)이 티형다이용 유출공(74)과 일치되게 하는 것이다.
티형 다이(20,20')에 의한 대직경 강관(p)의 피복 상태를 보인 도 8a를 참조하면, 타이어로울러(137)의 회전으로 대직경 강관(p)이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과정에 티형 다이(20,20')에 의해서 접착제(b)와 수지제(s)가 토출되어 표면에 접착되게 피복되는 것이다. 상기 티형 다이(20,20')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내부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오형 다이(30)는 도 8b에 보인 바와 같이 장구로울러(139)의 회전에 의해 앞쪽으로 이동되게 되는 소직경 강관(p')이 중앙관통공(33)을 통과하게 되어 출구(34)를 통과하는 지점에서 접착제공급관(31)과 수지제공급관(32)에 의해 공급된 접착제(b)와 수지제(s)가 오형 다이(30) 내부에서 합쳐져서 출구(34)를 통과하는 소직경 강관(p') 표면에 감싸여지게 접착되어 피복되는 것이다. 상기 오형 다이(30)는 출원인에 의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6129호로 선등록 받은 것이므로 상세한 내부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직경 강관(p)을 피복 할 때에는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강관이동수단(100)의 타이어로울러(137)에 의해 받쳐지고 회전되면서 이동되게 하 여 티형 다이(20,20')에 의해서 접착제(b)와 수지제(s)가 토출되게 하여 피복되게 한다. 이때 오형 다이(30)는 강관이동수단(100)의 일측에서 받침대(35)에 받쳐지는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소직경 강관(p)을 피복 할 때에는 수직이동수단(50)에 의해서 받침부재(40)를 포함한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가 상승되게 이동되게 한 다음 수평이동수단(60)에 의해서 그 전체가 레일(62)를 따라 앞쪽으로 이동되게 한 후 다시 수직이동수단(50)에 의해서 강관이동수단(100) 상부로 오형 다이(30)가 하강되게 하여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오형 다이(30)의 중앙관통공(33)으로 장구로울러(139)에 의해 이동되는 소직경 강관(p')이 들어 갈 수 있도록 하여 피복을 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대직경 강관(p)을 피복하고자 할 때에는 다시 수직이동수단(50)과 수평이동수단(60)을 가동하여 다시 도 1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강관이동수단(100)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강관이동수단(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 앞쪽에 설치되어 피복하려는 대,소직경 강관(p,p')을 이동되게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강관이동수단(100)은 티형 다이(20,20')를 이용하여 대직경 강관(p)이 피복되게 할 때에는 타이어로울러(137)에 의해 대직경 강관(p)이 회전되면서 앞쪽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이고, 오형 다이(30)에 의해서 소직경 강관(p')이 피복되게 할 때에는 장구로울러(139)에 의해서 소직경 강관(p')이 앞쪽으로 이동되게 하 는 것으로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강관이동수단(100)은 프레임(110) 상면에서 간격조절장치부(12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쌍의 이동부재(121)를 구비한다.
간격조절장치부(120)는, 프레임(110) 상부에 있는 한쌍의 이동부재(121) 저면에는 각각의 너트부재(122)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너트부재(122)는 중간부에 있는 정역모터(123) 동력에 의해 회전되게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크류축(124)과 체결되어 그 스크류축(124) 회전에 의해 각각의 너트부재(122)가 이동됨으로써 한쌍의 이동부재(121)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스크류축(124)은 그 스크류축(124)에 형성되는 나사산이 오른나사산 및 왼나사산이 형성된 것이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한 각각의 스크류축(124)이 정회전되거나 또는 역회전됨에 따라 이동되는 양쪽의 너트부재(122)들은 서로 안쪽으로 이동되어 좁혀지거나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됨으로써 간격이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간격조절장치부(120)는 한쌍의 이동부재(121) 위에 설치되는 각각의 강관이송장치부(130)의 타이어로울러(137)의 간격을 조절되게 하거나 또는 장구로울러(139)가 중심부에 오도록 조절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정역모터(123)가 정회전되게 구동되면 각각의 스크류축(124)이 정회전되어 양쪽에 있는 각각의 너트부재(122)가 중심부 쪽으로 이동됨으로써 강관이송장치부(130)의 간격이 서로 좁혀지게 조절되는 것이고, 정역모터(123)를 역회전되게 하면 각각의 스크류축(124)이 역회전 됨으로써 각각의 너트부재(122)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강관이송장치부(130)의 간격이 점점 멀어지는 상태로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한쌍의 이동부재(121) 위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강관이송장치부(130)가 등간격으로 설치되게 구비한다.
상기 강관이송장치부(130)는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한쌍의 받침판부재(133)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한쌍의 받침판부재(133)는 한쌍의 회동부재(131)에 각각 수개의 고정볼트(133a)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쌍의 회동부재(131)에는 고정볼트(133a)가 각각 체결되는 너트공(131a)을 구비한다.
그러나, 한쌍의 받침판부재(133)에는 상기 고정볼트(133a)가 관통하는 구멍을 제1관통공(133b)과 제2관통공(133c)을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제1관통공(133b)과 제2관통공(133c) 중에 어느 하나의 관통공을 선택하여 고정볼트(133a)를 통과시켜 너트공(131a)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회동부재(131)들은 중심축볼트(134)를 중심으로 각각의 이동부재(121) 위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부호 134'는 중심축볼트(134)가 이탈되지 않게 체결되는 체결너트이고, 134"는 중심공이다.
또한, 한쌍의 회동부재(131) 들은 각각 도 11과 같이 가이드볼트(132a)가 관통하는 원호형의 가이드공(132)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볼트(132a)는 이동부재(121)에 있는 체결공(121a)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회동부재(131)가 중심축볼트(134)를 중심으로 회동되면 가이드볼트(132a)는 움직이지 않고 가이드공(132)이 원호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는데 이때 가이드공(132)과 가이드볼트(132a)에 의해서 일정한 각도 만큼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한쌍의 받침판부재(133) 상부 양측에는 한쌍의 가이드부재(135)에 있는 베어링보스(135')에 각각 지지되는 한쌍의 샤프트(13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부재(135) 사이에 있는 샤프트(136)에는 각각 타이어로울러(137)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강관이송장치부(130)는 프레임(110)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이동되는 이동부재(121)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 강관이송장치부(130) 중에 어느 한쪽의 강관이송장치부(130)에는 샤프트(136)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해 커플링(136a)으로 연결되는 감속모터(13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감속모터(138)의 반대 방향의 베어링보스(135')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샤프트(136)에는 장구로울러(139)가 더 설치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감속모터(138)와 장구로울러(139)를 더 갖도록 하는 것은 도 9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일부만 설치되게 하여 구동되게 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강관이송장치부(130) 마다 모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강관이송장치부(130)의 회동부재(131)가 회전되어 도 9와 같은 평면상으로 볼 때 타이어로울러(137)의 경사진 각도가 변위되도록 조절되게 하는 한쌍의 각도조절장치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각도조절장치부(140)는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양쪽에 구비하는 이동부재(121)에 각각 구비한다.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한쌍의 각도조절장치부(140)는 한쌍의 이동부재(121)에 각각 설치되는 정역모터(141) 회전력이 체인기어(142)와 체인(142')에 의해 동력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류축(143)을 구비한다. 부호 148은 지지부재이다.
또한, 스크류축(143)과 체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너트부재(144)와, 상기 너트부재(144)의 링크축부(144a)에 연결되는 이동링크부재(14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동링크부재(145)는 이동부재((121) 외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그 중간에는 타단부가 회동부재(131)와 고정된 회동브라케트(147)의 일단부가 링크핀축(146)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각도조절장치부(140)는 타이어로울러(137)가 평면상으로 경사진 각도를 조절할 때, 또는 장구로울러(139)를 이동부재(121) 사이에 위치되도록 할 때 사용하게 된다.
즉, 콘트롤부(미도시됨) 조작에 의해서 정역모터(141)가 정회전되게 구동시키면 그 회전력이 체인기어(142)와 체인(142')에 의해 동력 전달되어 스크류축(143)이 정회전 하게 됨으로써 너트부재(144)가 도 13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링크부재(145)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이동링크부재(145)와 링크핀축(144a)으로 연결되어 있는 회동브라케트(147)가 우측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링크핀축(144a)이 관통하는 이동링크부재(145)와 회동브라케트(147)의 구멍은 링크핀축(144a)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회동브라케트(147)가 이동하면서 회동하는 동작에 있어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회동브라케트(147)가 이동하면서 약간 회동하는데 있어 전혀 지장없이 동작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각도조절장치부(140)를 구동시키게 되면 회동브라케트(147)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것과 동시에 회동운동하는 동작에 따라 강관이송장치부(130)의 회동부재(131)는 중심축볼트(134)를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때 원하는 만큼 회동부재(131)가 회동 된 상태가 되면 정역모터(141)를 정지시킴으로써 회동부재(131)가 회동되는 것이 정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정역모터(141)를 역회전되게 구동시키면 위에서 설명된 동작과 반대로 동작 됨으로써 회동부재(131)는 좌측방향으로 회동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각도조절장치부(140)에 의한 회동부재(131)의 회전은 약간만 회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회동부재(131)의 회동에 의해서 평면상으로 타이어로울러(137)의 경사진 각도가 조절된 후 감속모터(138)의 구동에 의해서 타이어로울러(137)가 회전되는 것으로서, 타이어로울러(137)의 회전에 의해 대직경 강관(p)이 원호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그러한 타이어로울러(137)가 경사진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약간씩 앞쪽으로 대직경 강관(p)이 이동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오형 다이(30) 사용으로 인해 장구로울러(139)에 의해 소직경 강관(p')이 이송되게 하려고 할 때에는 도 14에 보인 바와 같이 장구로울러(139)를 강관이동수단(100)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는 도 15a와 같은 상태에서 도 15b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즉, 15a는 고정볼트(133a)가 제1관통공(133b)을 관통하여 너트공(131a)에 체결된 상태이며, 이 상태는 타이어로울러(137)가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장구로울러(139)는 옆쪽으로 비켜져 있는 상태로서 타이어로울러(137)에 의해서 대직경 강관(p)이 회전되면서 이동되게 하는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고정볼트(133a)를 풀은 다음 받침판부재(133)를 약간 우측으로 회전되게 하면 중심축볼트(134)를 중심으로 받침판부재(133)만 약간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장구로울러(139)는 도 14 및 도 15b와 같이 강관이동수단(100)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볼트(133a)를 받침판부재(133)에 있는 제2관통공(131c)으로 관통시켜 회동부재(131)에 있는 너트공(131a)에 체결되게 하면 장구로울러(139)가 강관이동수단(100)의 중간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6에 보인 바와 같이 감속모터(138)를 구동하면 장구로울러(139)의 회전에 의해서 소직경 강관(p)이 앞쪽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때는 소직경 강관(p')이 앞쪽으로 이동만 할 뿐이지 원주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게 됨에 따라 도 2와 같이 오형다이(30)에 의해서 피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다시 티형 다이(20,20')에 의해서 대직경 강관(p)을 피복하려고 할 때에는 다시 고정볼트(133a)를 풀고 받침판부재(133)를 회전시켜서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로울러(137)가 경사진 각도를 갖도록 한 다음 고정볼트(133a)를 받침판부재(133)에 있는 제1관통공(131b)으로 관통시켜 회동부재(131)에 있는 너트공(131a)에 체결되게 하고 감속모터(138)를 구동시켜 타이어로울러(137)의 회전에 의해서 대직경 강관(p)이 회전되면서 이송되게 하여 피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 및 하나의 강관이동수단(100)을 갖는 강관피복시스템에 의해서 대직경 강관(p) 및 소직경 강관(p') 모두를 피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소직경 강관(p')을 피복되게 하는 오형 다이(30) 및 대직경 강관(p)을 피복되게 하는 티형 다이(20,20') 모두를 채용할 수 있게 되므로 생산량의 저하됨이 없이 양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예전과 같이 강관피복시스템이 대직경 강관피복시스템과 소직경 강관피복시스템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대,소직경 강관(p,p')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피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강관피복시스템에 의해서 대직경 강관 뿐만 아니라 소직경 강관을 피복할 수 있게 되므로 예전과 같이 강관피복시스템이 대직경 강관피복시스템과 소직경 강관피복시스템을 각각 구비해야 함으로써 발생되는 고가 장비의 구입비를 절감할 수 있고 운영비 절감이 도모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장비 구입비 및 운영비 절감에 따른 감가상각비 및 원가절감이 되기 때문에 피복강관의 보급가격의 저하를 도모하게 되어 경제적 이익을 주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대,소직경 강관(p,p') 외주면을 코팅하기 위한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 및 접착제(b)와 수지제(s)가 압출되는 한쌍의 티형다이(20,20') 및 오형다이(30)를 이용하여 대,소직경 강관(P,P') 외주면을 피복되게 하고 상기 대,소직경 강관(p,p')을 이동시키는 강관이동수단(100)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가 하나의 받침부재(40)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기 위해 받침부재(40) 전,후부쪽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이동수단(50)과, 상기 받침부재(4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직이동수단(50) 하측으로 설치되는 수평이동수단(60)과;
    상기 접착제압출기(10)와 수지제압출기(10')의 토출부(11,11')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접착제공급관(21,31) 및 수지제공급관(22,32)을 통해 한쌍의 티형다이(20,20')와 오형다이(30) 중 어느 하나의 다이에만 선택적으로 접착제와 수지제가 공급되도록 하는 한쌍의 토출전환수단(70,70')을 포함하고;
    상기 강관이동수단(100)은 프레임(110) 상면에서 간격조절장치부(12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쌍의 이동부재(121)와,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121) 체결공(121a)에 체결되는 가이드볼트(132a)가 관통하는 원호형의 가이드공(132)을 구비하고 중심축볼트(134)를 중심으로 각각 회동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회동부재(131)와, 상기 한쌍의 회동부재(131) 너트공(131a)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33a)가 선택적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공(133b)과 제2관통공(133c)을 구비하여 각각 회동부재(131)에 고정되는 한쌍의 받침판부재(133) 및 상기 한쌍의 받침부재(133) 상부 양측에 구비한 가이드부재(135)의 베어링보스(135')에 각각 지지되는 한쌍의 샤프트(136)와, 상기 가이드부재(135) 사이의 샤프트(136)에 설치되어 회동되는 타이어로울러(137)를 가진 다수의 강관이송장치부(130)를 프레임(110)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등간격으로 설치되게 하되, 상기 강관이송장치부(130) 중 어느 일측의 강관이송장치부(130)에는 샤프트(136)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해 커플링(136a)으로 연결되는 감속모터(138)와, 상기 감속모터(138)의 반대 방향의 베어링보스(135')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샤프트(136)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장구로울러(139)를 더 구비하는 강관이송장치부(130)를 구성하고;
    상기 한쌍의 이동부재(121) 상에서 정역모터(141) 동력에 의해 회동부재(131)가 회전되어 평면상으로 타이어로울러(137)의 경사진 각도가 조절되게 하는 한쌍의 각도조절장치부(140)가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피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수직이동수단(50)은, 받침부재(40) 전,후 양측에 각각 고정된 승강부재(51) 상부에 워엄(52a)과 워엄기어(52b)를 가진 워엄기어장치부(52)를 각각 구비하여 좌,우측에서 각각 전,후방향으로 위치하는 워엄기어장치부(52)의 워엄(52a)끼리 한쌍의 연결축(53)으로 각각 연결되게 하고, 상기 워엄기어(52b) 회전에 의해 회동되게 각각 설치되는 수직스크류(54)는 수평이동부재(61)상에 각각 고정된 수직부재(55)에 설치되어 있는 너트부재(56)와 체결되어 회전운동 되게 하고, 상기 한쌍의 연결축(53)은 체인기어(57)와 체인(57')에 의해 정역모터(58)로부터 동력전달되어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피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수단(60)은, 지면(k)에 고정되는 한상의 레일(62)를 따라 회동되게 이동되는 차륜(63)이 받침부재(40) 전,후측 양쪽에 각각 구비하는 수평이동부재(61) 하측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되게 하되 받침부재(40) 양측으로 위치하는 한쌍의 차륜(63)끼리 차륜축(64)으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차륜(63)은 정역모터(65) 동력이 체인기어(66)와 체인(66')에 의해 차륜축(64)으로 전달되어 회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피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토출전환수단(70,70')은, 토출부(11,11')에 각각 고정되는 몸체부재(71)의 유입공(72) 선측부에 형성되는 회전공(73)과, 상기 회전공(73)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티형다이용 및 오형다이용 유출공(74,74')과, 상기 회전공(73)에 삽입되어 다수의 체결구(75)에 의해 몸체부재(71)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전환부재(76)와, 상기 전환부재(76)에는 유입공(72)과 일치되는 중앙유출로(76a) 및 유출공(74,74')과 일치되게 되는 사이드유출로(76b)가 상호 연결되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피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장치부(120)는, 프레임(110) 상부에 있는 한쌍의 이동부재(121) 저면에 각각의 너트부재(122)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너트부재(122)는 중간부에 있는 정역모터(123)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크류축(124)과 체결되어 그 스크류축(124) 회전에 의해 각각의 너트부재(122)가 이동되어 한쌍의 이동부재(121)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피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각도조절장치부(140)는, 한쌍의 이동부재(121)에 각각 설치되는 정역모터(141) 회전력이 체인기어(142)와 체인(142')에 의해 동력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류축(143)과, 상기 스크류축(143)과 체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너트부재(144)와, 상기 너트부재(144)의 링크축부(144a)에 연결되는 이동링크부재(145)와, 상기 이동링크부재(145)에 링크핀축(146)으로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회동부재(131)와 고정된 회동브라케트(147)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피복 시스템.
KR1020070008553A 2007-01-26 2007-01-26 강관피복시스템 KR100822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553A KR100822147B1 (ko) 2007-01-26 2007-01-26 강관피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553A KR100822147B1 (ko) 2007-01-26 2007-01-26 강관피복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147B1 true KR100822147B1 (ko) 2008-04-15

Family

ID=3953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553A KR100822147B1 (ko) 2007-01-26 2007-01-26 강관피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1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771B1 (ko) 2008-10-21 2010-11-04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KR101056466B1 (ko) 2009-07-03 2011-08-11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강관코팅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422A (en) 1979-07-06 1981-02-02 Ube Ind Ltd Method of sheathing steel pipe
JPS57133026A (en) 1981-02-12 1982-08-17 Kawasaki Steel Corp Polyethylene coating of welded steel pipe
KR200406129Y1 (ko) 2005-11-04 2006-01-20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접착층과 수지층을 가진 피복층이 코팅되게 하는 강관피복장치
KR100746366B1 (ko) 2006-03-20 2007-08-03 주식회사 대륙금속 분말 접착제를 이용한 강관 코팅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422A (en) 1979-07-06 1981-02-02 Ube Ind Ltd Method of sheathing steel pipe
JPS57133026A (en) 1981-02-12 1982-08-17 Kawasaki Steel Corp Polyethylene coating of welded steel pipe
KR200406129Y1 (ko) 2005-11-04 2006-01-20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접착층과 수지층을 가진 피복층이 코팅되게 하는 강관피복장치
KR100746366B1 (ko) 2006-03-20 2007-08-03 주식회사 대륙금속 분말 접착제를 이용한 강관 코팅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771B1 (ko) 2008-10-21 2010-11-04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강관피복시스템의 강관컨베이어
KR101056466B1 (ko) 2009-07-03 2011-08-11 주식회사 이니텍기계 강관코팅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35600B (zh) 一种提高建筑混凝土质量的养护方法
KR100822147B1 (ko) 강관피복시스템
CN111097625A (zh) 一种直管衬塑翻转架
CN112517778B (zh) 一种多角度液压弯管机及弯管控制方法
CN207026187U (zh) 一种pe管材在线校圆装置
CN105857713A (zh) 一种型材在线自动贴膜机
CN104191590B (zh) 一种软轴用护管包塑机的多功能水冷装置
CN111663418B (zh) 一种公路施工用裂缝修补装置
CN104476778A (zh) 橡胶履带用钢丝帘布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CN216510703U (zh) 一种塑板用牵引装置
US20190099935A1 (en) Calender stack and method for calendering a plastic film
CN214061071U (zh) 一种造纸用耐磨胶辊
CN111746009B (zh) 一种pvc板材的成型机构
CN205442223U (zh) 一种塑料管材卷管机
CN204309349U (zh) 一种立式玻璃覆膜机
CN204296038U (zh) 橡胶履带用钢丝帘布的制造装置
CN210557353U (zh) 一种铝合金门窗用传送装置
CN209756016U (zh) 一种节约制作成本的管材牵引机
CN210160187U (zh) 一种广告墙面整平设备
CN217553112U (zh) 管材校圆装置
CN109228473B (zh) 一种牧草压扁装置
CN109730017B (zh) 一种倾角可调节式分鱼机
CN219748880U (zh) 一种挤出胶管冷却装置
CN220146635U (zh) 一种挤出机使用的下料牵引设备
CN112893694A (zh) 一种轨道交通用金属丝的调直缠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