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890B1 - 돔 구조물 축조공법 - Google Patents

돔 구조물 축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890B1
KR100988890B1 KR1020080037279A KR20080037279A KR100988890B1 KR 100988890 B1 KR100988890 B1 KR 100988890B1 KR 1020080037279 A KR1020080037279 A KR 1020080037279A KR 20080037279 A KR20080037279 A KR 20080037279A KR 100988890 B1 KR100988890 B1 KR 100988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slab
side wall
horizontal support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590A (ko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주)성풍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풍건설 filed Critical (주)성풍건설
Priority to KR1020080037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890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4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structures of spherical, spheroid or similar shape, or for cupola structures of circular or polygonal horizontal or vertical section; Inflatabl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Abstract

돔구조물 축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돔구조물 축조방법은, 바닥부, 돔측벽부와 돔중앙부로 이루어진 천장부, 그 일단이 상기 바닥부에 연결형성되고, 그 타단이 상기 천장부에 연결형성되는 측부로 이루어진 돔 구조물의 축조공법에 있어서, 상기 측부 타단 높이에 수평지지대를 구비하는 단계; 돔측벽부 슬랩을 상기 돔측벽부의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돔측벽부 위치에 타설하는 단계; 돔중앙부 슬랩을 상기 돔중앙부의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돔중앙부 위치에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돔구조물 축조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돔 구조물의 내측면 형상을 성형하는 상기 슬랩은, 돔 구조물의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됨과 동시에 돔 구조물 내측면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돔 구조물의 시공 기간이 단축된다.

Description

돔 구조물 축조공법{METHOD FOR CONSTRUCTING DOME BUILDING}
본 발명은 돔 구조물의 축조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돔 구조물의 내부 형상을 성형하는 슬랩이 콘크리트 양생의 완료됨과 동시에 돔 구조물로부터 탈착 가능한 축조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이나 분묘처리장, 핵 폐기물 처리시설 등은 돔 형상으로 그 구조물을 시공한다. 이러한 돔 형상의 구조물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굴착된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부를 형성한 다음 바닥부 둘레 상측으로는 상기 바닥부와 일체로 소정의 높이만큼씩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측부를 축조한다. 이때, 상기 측부 높이의 증가분에 따라 기둥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판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 중 최상측에 위치한 지지판의 상면에 기둥재를 구비하되, 상기 최상측 지지판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기둥재의 길이를, 최상측 지지판의 외측에 위치한 기둥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기 기둥재에 의해 돔 형상의 거푸집을 고정한 뒤 상기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측부와 일체로 돔형상의 천장부를 축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 상부에 기둥재를 구비한 뒤 또 다른 지지판을 적층하여 돔 구조물의 천장부 를 형성할 경우, 아래쪽에 위치한 기둥재 및 지지판이 지탱해야 하는 하중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거푸집을 조립하고 해체하는데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기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997-000614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돔 구조물의 일정 높이까지는, 다수의 트러스 빔을 조립하여 형성된 마스터에 직각으로 지지빔을 설치한 후에 상기 지지빔 상에 기둥재를 세워 천장부 거푸집을 조립한 다음, 상기 천장부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돔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상기 천장부 거푸집을 해체할 때, 일일이 거푸집을 하나씩 해체해야만 하였고, 이로 인하여 시공 기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푸집의 형성이 효율적이며, 상기 거푸집을 일일이 해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돔 구조물의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돔 구조물의 축조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돔 구조물 축조방법은,
바닥부, 돔측벽부와 돔중앙부로 이루어진 천장부, 그 일단이 상기 바닥부에 연결형성되고, 그 타단이 상기 천장부에 연결형성되는 측부로 이루어진 돔 구조물의 축조공법에 있어서,
상기 측부 타단 높이에 수평지지대를 구비하는 단계;
돔측벽부 슬랩을 상기 돔측벽부의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돔측벽부 위치에 타설하는 단계;
돔중앙부 슬랩을 상기 돔중앙부의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돔중앙부 위치에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돔측벽부 슬랩 및 돔중앙부 슬랩은, 복수 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한 바닥패널의 평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수직지지대가 그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부와 상기 수평지지대 저면 사이에 링 형상의 수평지지대 하단링빔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와 상기 바닥패널 평면 사이에 링 형상의 바닥패널 링빔이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돔구조물 축조공법은, 상기 돔측벽부 슬랩과 상기 수평지지대 사이에 돔측벽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돔측벽지지부재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고, 상기 돔측벽지지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대 사이에 링 형상의 돔측벽링빔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돔중앙부 슬랩은, 상기 돔측벽부 슬랩을 양생완료된 돔 측벽부 내측면에서 탈착 해체한 후에 돔중앙부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돔중앙부 슬랩은, 그 일측이 양생 완료된 상기 돔 측벽부 내측면과 접하도록 돔중앙부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돔중앙부 슬랩은, 상기 수평지지대 평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승강부재에 의해 돔중앙부 내측면 형성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돔중앙부 슬랩은, 이송크레인으로 상기 승강부재 상부로 이송될 수 있고, 상기 돔중앙부 슬랩의 저면과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링 형상의 돔중앙부 링빔이 결합된 이후, 상기 승강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양생 완료된 상기 돔중앙부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돔중앙부 슬랩을 탈착할 수 있다. 또,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수평지지 대 사이에 링형상의 수평지지대 상단링빔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돔 구조물 축조공법은, 바닥부, 돔측벽부와 돔중앙부로 이루어진 천장부, 그 일단이 상기 바닥부에 연결형성되고, 그 타단이 상기 천장부에 연결형성되는 측부로 이루어진 돔 구조물의 축조공법에 있어서,
상기 측부 타단 높이에 수평지지대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돔측벽부 내측면 및 돔중앙부 내측면 형성위치에 천장부 슬랩을 고정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천장부 위치에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천장부 슬랩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한 바닥패널의 평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수직지지대가 그 저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부와 상기 수평지지대 저면 사이에 링 형상의 수평지지대 하단링빔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와 상기 바닥패널 평면 사이에 링 형상의 바닥패널 링빔이 결합되거나, 상기 천장부 슬랩이 상기 수평지지대 평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승강부재에 의해 돔 중앙부 및 돔 측벽부 내측면 형성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천장부 슬랩의 저면과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링 형상의 천장부 링빔이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양생 완료된 상기 돔측벽부 및 돔중앙부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천장부 슬랩을 탈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돔 구조물 축조공법을 사용함으로써, 거푸집을 일일이 해체하지 않아도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됨과 동시에 돔 구조물로부터 슬랩을 탈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돔 구조물의 시공 기간이 단축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돔 구조물 축조공법은, 바닥부, 돔측벽부(120, 220, 320)와 돔중앙부(130, 230, 330)로 이루어진 천장부, 그 일단이 상기 바닥부에 연결형성되고, 그 타단(Sed)이 상기 천장부에 연결형성되는 측부(S)로 이루어진 돔 구조물의 축조공법에 있어서,
상기 측부 타단(Sed) 높이에 수평지지대(110, 210)를 구비하는 단계;
돔측벽부 슬랩(123, 223)을 상기 돔측벽부(120, 220)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돔측벽부(120, 220) 위치에 타설하는 단계;
돔중앙부 슬랩(133, 233)을 상기 돔중앙부(130, 230)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 정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돔중앙부(130, 230) 위치에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축조되는 돔 구조물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돔 중앙부의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인 돔 구조물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돔 중앙부의 콘크리트가 타설된 이후의 돔 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돔 형상의 천장부는 상기 바닥부와 측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이후 축조되는데, 상기 천장부를 축조하기에 앞서, 상기 천장부의 형상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돔측벽부 슬랩(123)과 돔중앙부 슬랩(133)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측부의 타단(Sed) 높이에 수평지지대(110)를 먼저 구비한다. 상기 수평지지대(110)는 바닥부가 상기 측부 타단(Sed)과 가깝게 구비되었을 때 상기 바닥부에서 바로 상기 수평지지대(110)에 수직인 수직지지대(114)를 구비하여 수평지지대(110)를 원하는 위치에 구비할 수도 있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114) 만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10)를 바닥부부터 지지할 수 없을 경우, 측부(S)에 걸림턱을 구비하여 바닥패널(116)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바닥패널(116)의 평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수직지지대(114)에 의해 상기 수평지지대(110)가 측부 타단(Sed)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대(114)의 상단부와 상기 수평지지 대(110) 저면 사이에 링 형상의 수평지지대 하단링빔(112)을 결합하고, 상기 수직지지대(114)의 하단부와 상기 바닥패널(116) 평면 사이에 링 형상의 바닥패널링빔(118)을 결합하여 상기 수직지지대(114)가 수평지지대(110)와 바닥패널(116) 사이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돔구조물 축조공법에 사용되는 돔측벽부 슬랩과 돔 중앙부 슬랩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측벽부 슬랩(123)과 돔중앙부 슬랩(133)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각 슬랩(123, 133)이 24분할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아래쪽 반원은, 24분할 된 돔중앙부 슬랩(133) 중 12분할 부분을 나타낸 것이고, 윗쪽 반원은 24분할된 돔측벽부 슬랩(123) 중 12분할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빗금친 부분의 영역은, 각 슬랩(123)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돔측벽부 슬랩(123)은 돔측벽부(120)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돔측벽부 슬랩(123)을 해체하기 이전에 상기 돔중앙부 슬랩(133)을 돔중앙부(130)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돔측벽부 슬랩(123)과 상기 돔중앙부 슬랩(133)을 돔측벽부(120) 및 돔중앙부(130)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시키고 돔중앙부(130)와 동측벽부(120)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돔측벽부 슬랩(123)과 상기 수평지지대(110) 사이에 돔측벽지지 부재(125)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돔측벽지지부재(125)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돔측벽지지부재(125)와 상기 수평지지대(110) 사이에 링 형상의 돔측벽링빔(127)이 결합될 수 있다. 그 일측이 상기 돔측벽링빔(127)에 결합된 상기 돔측벽지지부재(125)는, 상기 돔측벽링빔(127)에 고정되어 있는 그 일측의 변위가 고정된 상태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돔측벽부 슬랩(123)에 결합되어 있는 쪽 단부가 움직이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돔측벽지지부재(125)에 결합된 돔측벽부 슬랩(123)이 이동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돔중앙부 슬랩(233)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돔측벽부 슬랩(223)을 양생완료된 돔 측벽부(220) 내측면에서 탈착 해체한 후에 돔중앙부(230)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돔측벽부 슬랩(223)이 탈착 해체된 이후에 상기 돔중앙부 슬랩(233)을 돔중앙부(230)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하려면, 상기 돔중앙부 슬랩(233)의 일측은, 양생 완료된 상기 돔측벽부(220) 내측면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돔측벽부(220)가 타설 완료된 이후에 돔중앙부(230)를 타설할 경우, 돔측벽부(220)가 돔측벽부 슬랩(223)에 비하여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하고자 하는 돔중앙부 내측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돔중앙부 슬랩(233)을 돔중앙부(230) 내측면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돔중앙부(230)와 돔측면부(220) 사이가 이격됨 없이 연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돔중앙부 슬랩(133, 233)은, 상기 수평지지대(110, 210) 평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승강부재(134, 234)에 의해 돔중앙부(130, 230) 내측면 형성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승강부재(134, 234)에 의하여 돔중앙부 슬랩(133, 233)을 돔중앙부(130, 230) 내측면 형성위치에 구비할 경우, 상기 승강부재(134, 234)를 수축하여 상기 돔중앙부(130, 230) 내측면 형성위치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돔중앙부 슬랩(133, 23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돔중앙부 슬랩(133, 233)은, 상기 승강부재(134, 234)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링 형상의 돔중앙부링빔(132, 232)에 그 저면이 결합되도록 이송크레인(141, 241)으로 돔중앙부 슬랩(133, 233)을 옮겨 놓는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대(110, 210)는, 제1수평지지대 상단링빔(138a, 238a) 내지 제3수평지지대 상단링빔(138c, 238c)에 결합된 제1수평지지대(110x, 210x)와 제2수평지지대 상단링빔(138b, 238b) 내지 제3수평지지대 상단링빔(138c, 238c)에 결합된 제2수평지지대(110y, 210y)가 교대로 구비되어 있는데, 이때 제1수평지지대 상단링빔(138a, 238a)과 제2수평지지대 상단링빔(138b, 238b)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돔중앙부 슬랩(133, 233)이 상기 돔중앙부링빔(132, 232) 위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134, 234) 및 돔측벽지지부재(125, 225)의 결합 위치 및 개수는, 상기 돔측벽부 슬랩(123, 223) 및 돔중앙부 슬랩(133, 233)에 요구되는 강성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대(110x, 110y, 210x, 210y) 사이에 탈장착이 가능한 이격봉(110z, 210z)을 더 구 비하여 상기 수평지지대(110x, 110y, 210x, 210y)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이렇게 복수개의 돔중앙부 슬랩(133, 233)이 상기 돔중앙부 링빔(132, 232) 위에 모두 장착되면, 상기 승강부재(134, 234)가 상승하여 상기 돔중앙부 슬랩(133, 233)을 상기 돔중앙부(130, 230)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되면, 상기 돔중앙부(130, 23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크레인(141, 241)은, 상기 돔중앙부 슬랩(133, 233)의 상승을 위하여, 이송크레인의 크레인포스트(141x, 241x)로부터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이송부(141y, 241y)를 해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돔중앙부(130, 230)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부재(134, 234)의 길이를 조절하여 양생 완료된 상기 돔중앙부(130, 230)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돔중앙부 슬랩(133, 233)을 탈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134, 234)를 상기 수평지지대(110, 2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대 사이에 링형상의 수평지지대 상단링빔(138, 23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양생 완료된 돔중앙부(130, 230) 내측면으로부터 탈착된 상기 돔중앙부 슬랩(133, 233)은, 돔 구조물을 굴착할 때 생기는 버럭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돔 구조물의 일측에 형성된 터널(T) 입구 등을 통하여 그 일부(133, 233)를 돔 구조물 외부로 빼낸 다음, 이송크레인(141, 241) 등을 사용하여 상기 바닥패널(116, 216)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돔 구조물 축조공법은, 상기 측부 타단(Sed) 높이에 수평지지대(310)를 구비하는 단계를 거친 이후에,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측벽부(320)와 돔중앙부(330)를 동시에 축조할 수 있도록, 상기 돔측벽부(320) 및 돔중앙부(330) 내측면 형성위치에 천장부 슬랩(343)을 고정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장부 슬랩(343)을 상기 천장부(320, 330)의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천장부(320, 330) 위치에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천장부 슬랩(343)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대(310)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한 바닥패널(316)의 평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수직지지대(314)가 그 저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수직지지대(314)의 상단부와 상기 수평지지대(310) 저면 사이에 링 형상의 수평지지대 하단링빔(312)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패널(316), 수직지지대(314), 수평지지대(310), 승강부재(334), 및 천장부 슬랩(343) 간의 결합관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나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직지지대(314)의 하단부와 상기 바닥패널(316) 평면 사이에 링 형상의 바닥패널 링빔(318)이 결합되고, 상기 천장부 슬랩(343)이 상기 수평지지대(310) 평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승강부재(334)에 의해 돔중앙부(330) 및 돔측벽부(320) 내측면 형성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천장부 슬랩(343)의 저면과 상기 승강부재(334) 사이에 링 형상의 천장부 링빔(332)이 결합되고, 상기 승강 부재(334)의 길이를 조절하여 양생 완료된 상기 돔측벽부(320) 및 돔중앙부(330)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천장부 슬랩(343)을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돔중앙부(130, 230, 330) 및 돔측벽부(120, 220, 320)의 축조가 완료된 이후, 상기 이송크레인(141, 241, 341)의 크레인포스트(141x, 241x, 341x)의 단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수직이송구(141z, 241z, 341z)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이송구(141z, 241z, 341z)의 일측에 일정 곡률로 형성된 중공슬랩(33)을 장착할 수 있다. 즉, 돔중앙부 슬랩(133, 233) 또는 천장부 슬랩(343)에 의해 돔중앙부를 형성한 이후, 돔중앙부의 중심인 상기 크레인포스트(141x, 241x, 341x) 상부에 위치하는 중공부(3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중공슬랩(33)을 상기 수직이송구(141z, 241z, 341z)의 일측에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 중공부(30)는, 지상에 돔 구조물이 설치될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지만, 상기 돔 구조물이 지하에 축조되거나, 지상에 축조되더라도 중공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해야할 경우, 상기 중공부(30)의 내측면 형성위치에 중공슬랩(33)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중공부(30)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30) 콘크리트 타설방법은, 상기 중공부(30)를 제외한 돔중앙부(130, 230, 330)와 돔측벽부(120, 220, 320)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이후에 타설하는 것과 상기 천장부(30, 120, 220, 320, 130, 230, 330)를 동시에 타설하는 것,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부(30)를 제 외한 돔중앙부(130, 230, 330)와 돔측벽부(120, 220, 320)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이후에 상기 중공부(30)의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상기 중공슬랩(33)은, 축조 완료된 돔중앙부(130, 230, 330)의 내측면에 그 외주면이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장부(30, 120, 220, 320, 130, 230, 330)를 동시에 타설할 경우, 상기 돔측벽부 슬랩(123, 223), 돔중앙부 슬랩(133, 233), 천장부 슬랩(341)과 더불어 상기 중공슬랩(33)을 상기 천장부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하여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중공슬랩(33)은, 중공부(30)의 내측면에 접하는 상부면의 면적을 수직이송구(141z, 241z, 341z)와 결합된 하부면의 면적보다 좁게 형성하여 돔 구조물을 축조완료한 뒤, 상기 중공슬랩(33)이 중공부(30) 내측면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상적인 특징은, 중공슬랩(33) 뿐만 아니라 돔중앙부 슬랩(133, 233) 및 돔측벽부 슬랩(123, 223)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중공슬랩(33)과 돔중앙부 슬랩(133, 233) 및 돔측벽부 슬랩(123, 223)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토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중앙부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 돔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 중앙부의 콘크리트가 타설된 이후의 돔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측벽부 슬랩과 돔중앙부 슬랩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돔 중앙부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 돔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돔 중앙부의 콘크리트가 타설된 이후의 돔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돔측벽부 슬랩과 돔중앙부 슬랩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돔 중앙부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 돔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돔 중앙부의 콘크리트가 타설된 이후의 돔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2와 도 5 및 도 9의 B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310; 수평지지대 112, 212, 312: 수평지지대 하단링빔
114, 214, 314: 수직지지대 116, 216, 316: 바닥패널
118, 218, 318: 바닥패널링빔 120, 220, 320: 돔측벽부
123, 223: 돔측벽부 슬랩 125, 225: 돔측벽지지부재
127, 227: 돔측벽링빔 130, 230, 330: 돔중앙부
132, 232, 332: 돔중앙부 링빔 133, 233: 돔중앙부 슬랩
134, 234, 334: 승강부재 138, 238, 338: 수평지지대 상단링빔
141, 241, 341: 이송크레인 141x, 241x, 341x: 크레인 포스트
141y, 241y, 341y: 이송부 141z, 241z, 341z: 수직이송부
343: 천장부 슬랩 33: 중공슬랩
30: 중공부 S: 측부
Sed: 측부 타단 T: 터널

Claims (25)

  1. 바닥부, 돔측벽부와 돔중앙부로 이루어진 천장부, 그 일단이 상기 바닥부에 연결형성되고, 그 타단이 상기 천장부에 연결형성되는 측부로 이루어진 돔 구조물의 축조공법에 있어서,
    상기 측부 타단 높이에 수평지지대를 구비하는 단계;
    돔측벽부 슬랩을 상기 돔측벽부의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돔측벽부 위치에 타설하는 단계;
    돔중앙부 슬랩을 상기 돔중앙부의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돔중앙부 위치에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돔측벽부 슬랩 및 돔중앙부 슬랩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한 바닥패널의 평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수직지지대가 그 저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부와 상기 수평지지대 저면 사이에 링 형상의 수평지지대 하단링빔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와 상기 바닥패널 평면 사이에 링 형상의 바닥패널 링빔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돔측벽부 슬랩과 상기 수평지지대 사이에 돔측벽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돔측벽지지부재는, 길이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돔측벽지지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대 사이에 링 형상의 돔측벽링빔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돔중앙부 슬랩은, 상기 돔측벽부 슬랩을 양생완료된 돔 측벽부 내측면에서 탈착 해체한 후에 돔중앙부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돔중앙부 슬랩은, 그 일측이 양생 완료된 상기 돔 측벽부 내측면과 접하도록 돔중앙부 내측면 형성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돔중앙부 슬랩은, 상기 수평지지대 평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승강부재에 의해 돔중앙부 내측면 형성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돔중앙부 슬랩은, 이송크레인으로 상기 승강부재 상부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크레인은, 크레인포스트, 상기 크레인포스트 일측에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돔중앙부 슬랩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크레인포스트 단부에 탈장착하게 결합되어 수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이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이송부는 상기 돔중앙부측 단부에 일정 곡률로 형성된 중공슬랩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돔중앙부 슬랩의 저면과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링 형상의 돔중앙부 링빔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양생 완료된 상기 돔중앙부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돔중앙부 슬랩을 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대 사이에 링형상의 수평지지대 상단링빔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17. 바닥부, 돔측벽부와 돔중앙부로 이루어진 천장부, 그 일단이 상기 바닥부에 연결형성되고, 그 타단이 상기 천장부에 연결형성되는 측부로 이루어진 돔 구조물의 축조공법에 있어서,
    상기 측부 타단 높이에 수평지지대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돔측벽부 내측면 및 돔중앙부 내측면 형성위치에 천장부 슬랩을 고정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천장부 위치에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부 슬랩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한 바닥패널의 평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수직지지대가 그 저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단부와 상기 수평지지대 저면 사이에 링 형상의 수평지지대 하단링빔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와 상기 바닥패널 평면 사이에 링 형상의 바닥패널 링빔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부 슬랩은, 상기 수평지지대 평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승강부재에 의해 돔 중앙부 및 돔 측벽부 내측면 형성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부 슬랩의 저면과 상기 승강부재 사이에 링 형상의 천장부 링빔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양생 완료된 상기 돔측벽부 및 돔중앙부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천장부 슬랩을 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크레인포스트, 상기 크레인포스트 일측에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천장부 슬랩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크레인포스트 단부에 탈장착하게 결합되어 수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이송부를 포함하는 이송크레인에 의해 상기 천장부 슬랩이 상기 승강부재 상부로 이송되고,
    상기 수직이송부에는 상기 돔중앙부측 단부에 일정 곡률로 형성된 중공슬랩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 구조물 축조공법.
KR1020080037279A 2008-04-22 2008-04-22 돔 구조물 축조공법 KR100988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279A KR100988890B1 (ko) 2008-04-22 2008-04-22 돔 구조물 축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279A KR100988890B1 (ko) 2008-04-22 2008-04-22 돔 구조물 축조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590A KR20090111590A (ko) 2009-10-27
KR100988890B1 true KR100988890B1 (ko) 2010-10-20

Family

ID=4153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279A KR100988890B1 (ko) 2008-04-22 2008-04-22 돔 구조물 축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8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450B1 (ko) * 2010-11-11 2011-02-14 (주)유경기술단 수직터널의 상부에 돔부가 일체로 연결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25317B1 (ko) 2010-12-09 2011-03-29 고엄식 지하 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25320B1 (ko) 2010-12-31 2011-03-29 (주)유경기술단 지하 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2425140A (zh) * 2011-08-31 2012-04-25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高空封拱的专用移动支撑架及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7318B (zh) * 2014-07-23 2017-06-13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大跨度拱顶施工方法及装置
CN104327883B (zh) * 2014-10-14 2017-10-13 洛阳利尔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水煤浆气化炉拱顶的胎具
CN107829754A (zh) * 2017-11-15 2018-03-23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硐室
CN112554534A (zh) * 2021-01-14 2021-03-26 中国十五冶金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大型筒仓穹顶砼的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148B1 (ko) * 1994-06-09 1997-04-24 동양건축공영 주식회사 오니 소화조용 거푸집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148B1 (ko) * 1994-06-09 1997-04-24 동양건축공영 주식회사 오니 소화조용 거푸집 지지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450B1 (ko) * 2010-11-11 2011-02-14 (주)유경기술단 수직터널의 상부에 돔부가 일체로 연결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25317B1 (ko) 2010-12-09 2011-03-29 고엄식 지하 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25320B1 (ko) 2010-12-31 2011-03-29 (주)유경기술단 지하 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2425140A (zh) * 2011-08-31 2012-04-25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高空封拱的专用移动支撑架及施工方法
CN102425140B (zh) * 2011-08-31 2013-10-16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高空封拱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590A (ko)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890B1 (ko) 돔 구조물 축조공법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CN204869177U (zh) 预制箱梁模板
KR20200032316A (ko) 트러스형 지지체를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101451877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구조물
KR20180089806A (ko) 보 바닥 형성용 거푸집 패널
CN108316469A (zh) 一种预制装配式建筑系统及其施工工艺
KR101140884B1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5977412B2 (ja) 既設建物を利用した新設建物の地下躯体
KR102430362B1 (ko) 사일로 내부 콘 프리캐스트 시공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사일로 내부 콘의 프리캐스트 시공방법
KR102277374B1 (ko) 아파트 구조물 역타설 공법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6449637B2 (ja) 建物の構築方法
JP5003253B2 (ja) Rc大梁の施工方法
KR102266630B1 (ko) 모듈러 바닥판을 이용한 합성보 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KR102089758B1 (ko) 기둥단위 지지구조를 가진 역타공법용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JP5925231B2 (ja) 建物の構築方法と新設建物の地下躯体
JP5559409B1 (ja) 高層の建築物、及びそ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2010174486A (ja) 地下タンク構造の側壁の構築方法
KR200351989Y1 (ko)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JP7202413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100697302B1 (ko) 교량 거푸집 탈착방법 및 다단식 거푸집
KR20090022451A (ko) 지하 벽체용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지하 벽체의 건축 공법
JP6418870B2 (ja) エレベータピットの構築方法
JP2016145494A (ja) タービン発電機基礎台、タービン建屋、およびタービン建屋の構築方法
KR102425501B1 (ko) 프리캐스트와 슬립폼을 이용한 사일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