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749B1 - 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749B1
KR100987749B1 KR1020080058404A KR20080058404A KR100987749B1 KR 100987749 B1 KR100987749 B1 KR 100987749B1 KR 1020080058404 A KR1020080058404 A KR 1020080058404A KR 20080058404 A KR20080058404 A KR 20080058404A KR 100987749 B1 KR100987749 B1 KR 100987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opening
fixed
relay
clo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396A (ko
Inventor
다카시 유바
사토시 다카노
히로후미 사소
Original Assignee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8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01H50/58Driv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therewith; Mounting of driving arrangements on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2050/049Assembling or mounting multiple relays in one common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이며 프린트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사용되고, 직류의 고전압의 전원을 갖는 회로에 소위 양방 차단하도록 적용되며, 수명이 긴 직류 고전압 제어 릴레이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베이스(100)의 Y2측에는, 제1, 제2 개폐부(11, 20)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베이스(100)의 Y1측에, 여자 코일 유닛(105)이 탑재 고정되어 있으며, 전체가 사각의 상자 형상의 케이스(110)로 덮여 있고, 베이스(100)의 하면에는 단자가 돌출되어 있다. 케이스(110)에는 제1, 제2 영구자석편(30, 40)이 인서트 성형되어 있으며, 제1, 제2 영구자석편(30, 40)이 각각 제1, 제2 개폐부(11, 2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 영구자석편(30, 40)은, 모두 N극이 제1, 제2 개폐부(11, 20)에 대향하고 있다. 릴레이(10)는, 제1 개폐부(11)를 직류 전원의 양극과 부하를 연결하는 제1 회로 배선 도중에 접속하고, 제2 개폐부(20)를 직류 전원의 음극과 부하를 연결하는 제2 회로 배선 도중에 접속하여 사용된다. 제1, 제2 개폐부(11, 20)에 발생한 아크는 외측으로 분출되어 소호(消弧)된다. 단일의 릴레이(10)에 의해, 제1 회로 배선과 제2 회로 배선의 양방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릴레이

Description

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 장치{RELAY AND CIRCUIT DEVICE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전압의 직류 전류를 차단하는 데 필요한 회로에 사용 가능한 직류 고전압 제어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고전압의 직류 전류가 흐르는 회로가 있다. 예컨대, 컴퓨터 시스템에의 상용 전원이 정전되었을 때에 기동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UPS: Uninterruptable Power Supply)의 회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부근의 회로이다. 릴레이를 이러한 회로에 적용한 경우에는, 릴레이에 고전압이 작용함으로써, 릴레이의 접촉하고 있는 쌍을 이루는 접점이 분리되었을 때에, 접점 간에 아크 전류가 발생하고, 이 아크 전류에 의해, 접점이 손상되어, 릴레이의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UPS의 고전압의 직류 전류의 회로를 개폐하는 장치는, 릴레이와 반도체 스위치를 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반도체 스위치는, 회로를 차단할 때에 릴레이에 흐르는 전류값을 저하시켜서, 릴레이의 접점 간에 아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갖는다.
그러나, 릴레이 외에 반도체 스위치가 필요해져서, 부품수가 많아지며, 신뢰 성의 점에서 문제가 된다. 또한, 비용이 비싸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76370호 공보에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부근의 회로에 적용하는 릴레이가 기재되어 있다. 이 릴레이는, 접점 근처에 영구자석을 설치하고,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해서 접점이 분리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아크 전류를 편향시켜, 접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릴레이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 릴레이는, 한 쌍의 접점 세트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각 접점 세트 부분에 발생하는 아크 전류를 서로 분리되도록 외측으로 편향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7637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326553호 공보
그러나, 이 릴레이는 직류 전원의 하나의 전극, 예컨대 양극과 부하 회로를 접속하는 회로 배선 도중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며, 상기 한 쌍의 접점 세트는 상기의 회로 배선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릴레이의 2세트의 접점쌍이 모두 개방된 상태라도, 직류 전원의 음극과 부하 회로는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어, 직류 전원과 부하 회로는 완전히는 독립된 상태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특히 접지 전위가 불안정한 경우에는, 부하 회로에 전류가 계속 공급될 위험이 있었다.
또한, 상기 릴레이는 터미널 접속 타입이며, 사이즈가 크고, 프린트 회로 기판에 실장 가능한 구조로는 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326553호 공보의 릴레이는, 한 쌍의 접점 세트를 구비하며, 한 쌍의 접점 세트 사이에 영구자석을 구비하고, 프린트 회로 기판에 실장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각 접점 세트 부분에 발생하는 아크를 외측을 향하여 분출하도록 되어 있지 않으며, 직류 전원의 양극 및 음극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있는 회로 배선을 동시에 차단하도록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폐하는 제1 갭을 갖는 제1 개폐부와,
개폐하는 제2 갭을 가지며, 상기 제1 갭과 상기 제2 갭이 가로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상기 제1 개폐부와 나란히 배치된 제2 개폐부와,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여자(勵磁) 구동부와,
상기 제1 개폐부의 상기 제1 갭 및 제2 개폐부의 상기 제2 갭에 동일한 방향의 자계를 작용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영구자석이, 제1 개폐부의 제1 갭 및 제2 개폐부의 제2 갭에 동일한 방향의 자계를 작용시키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개폐부를 직류 전원의 양극과 부하를 연결하는 제1 회로 배선 도중에 접속하고, 제2 개폐부를 직류 전원의 음극과 부하를 연결하는 제2 회로 배선 도중에 접속함으로써, 단일의 릴레이에 의해, 제1 회로 배선과 제2 회로 배선의 양방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제1 갭 및 제2 갭에 발생하는 아크가 모두 외측으로 분출되어 소호(消弧)되기 때문에, 제1 개폐부 및 제2 개폐부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릴레이는 다수 회의 동작 후에도 성능 열화가 일어나지 않아, 긴 수명을 갖는다.
릴레이가 실장되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형성되는 회로의 배선은 교차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회로의 배선을 프린트 회로 기판의 한쪽 면만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직류 고전압 제어 릴레이의 원리]
우선, 본 발명이 되는 직류 고전압 제어 릴레이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되는 릴레이의 원리 구성을 도시하고, 도 2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전기 회로 장치를 도시한다.
릴레이(10)는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제1 개폐부(11) 및 제2 개폐부(20)와, 제1 개폐부(11)에 작용하는 제1 영구자석(30)과, 제2 개폐부(20)에 작용하는 제2 영구자석(40)을 갖는다.
도면에서, X1-X2는 제1 개폐부(11)와 제2 개폐부(20)가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방향, Y1-Y2는 제1, 제2 개폐부(11, 20)의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대향하고 있는 방향, Z1-Z2는 제1, 제2 개폐부(11, 20)의 스프링 단자의 길이 방향이다.
제1 개폐부(11)는, 제1 고정 접점(12)을 갖는 제1 고정 스프링 단자(13)와, 제1 가동 접점(14)을 갖는 제1 가동 스프링 단자(15)를 갖는다. 도면부호 17은 제1 고정 접점(12)과 제1 가동 접점(14) 사이의 제1 갭이며, Y 방향이 그 갭의 방향이다.
제2 개폐부(20)는, 제2 고정 접점(22)을 갖는 제2 고정 스프링 단자(23)와, 제2 가동 접점(24)을 갖는 제2 가동 스프링 단자(25)를 갖는다. 도면부호 27은 제2 고정 접점(22)과 제2 가동 접점(24) 사이의 제2 갭이며, Y 방향이 그 갭의 방향이다.
도면부호 16은 여자 구동부로서의 여자 코일이며, 제1, 제2 개폐부(11, 20) 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크 소호 수단으로서의 제1 영구자석(30)은 강력한 것이며, 제1 개폐부(11)의 Z1측에 배치되어 있고, Z2측이 N극, Z1측이 S극이며, 제1 갭(17)에 Z2 방향의 강력한 자계(53)를 계속 작용시킨다.
도 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크 소호 수단으로서의 제2 영구자석(40)은 강력한 것이며, 제2 개폐부(20)의 Z1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1 영구자석(30)과 마찬가지로, Z2측이 N극, Z1측이 S극이며, 제2 갭(27)에 Z2 방향의 강력한 자계(54)를 계속 작용시킨다. 또한, 자계(53, 54)는 자력선으로 나타낸다. 제1, 제2 갭(17, 27) 부분에서의 자계(53, 54)의 방향(Z2 방향)은, 각각 제1, 제2 갭(17, 27)의 방향(Y)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릴레이(10)는, 스프링 단자(13, 23, 15, 25)의 기부(基部)로부터 Z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단자(61 내지 64)를 가지며, 프린트 회로 기판에 실장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자(61)에 대해서는, 기호 및/또는 문자에 의해, 직류 전원의 플러스극에 접속되어야 한다고 지정되어 있다. 단자(63)에 대해서는, 기호 및/또는 문자에 의해, 직류 전원의 마이너스극에 접속되어야 한다고 지정되어 있다. 또한, 단자(62)에 대해서는, 부하 회로의 일단에 접속되어야 한다고 지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단자(64)에 대해서는, 부하 회로의 반대측의 단에 접속되어야 한다고 지정되어 있다.
릴레이(10)가 적용되는 전기 회로(70)는, 수백 V의 높은 전압을 출력하는 직 류 전원(71)과, 부하 회로(72)와, 직류 전원(71)의 플러스극과 부하 회로(72)를 연결하는 제1 회로 배선(73)과, 직류 전원(71)의 마이너스극과 부하 회로(72)를 연결하는 제2 회로 배선(74)을 갖는다. 도면부호 75는 직류 전원(71)측의 회로부이며, 도면부호 76은 부하 회로(72)측의 회로부이다. 화살표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낸다.
제1 회로 배선(73) 및 제2 회로 배선(74)은 프린트 회로 기판(80)의 한쪽 면에 패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프린트 회로 기판(8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로 배선(73) 도중에, 2개의 관통 구멍(81, 82)이 상기 단자(61, 62)에 대응하는 배치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회로 배선(74) 도중에, 2개의 관통 구멍(83, 84)이 상기 단자(63, 64)에 대응하는 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73P는 제1 회로 배선(73) 중 직류 전원(71)의 플러스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패턴이고, 도면부호 74P는 제2 회로 배선(74) 중 직류 전원(71)의 마이너스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패턴이다. 도면부호 73L은 제1 회로 배선(73) 중 부하 회로(7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패턴이고, 도면부호 74L은 제2 회로 배선(74) 중 부하 회로(72)의 반대측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패턴이다. 패턴(73P)의 단에 관통 구멍(81), 패턴(74P)의 단에 관통 구멍(83), 패턴(73L)의 단에 관통 구멍(82), 패턴(74L)의 단에 관통 구멍(8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릴레이(10)는, 단자(61, 62, 63, 64)를 각각 관통 구멍(81, 82, 83, 84)에 삽입하고 납땜하여 프린트 회로 기판(80) 상에 실장해서 사용된다.
여자 코일(16)에 직류 전류가 통전되어 여자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가동 접점(14)이 제1 고정 접점(12)에 접촉하고 있고, 제2 가동 접점(24)이 제2 고정 접점(22)에 접촉하고 있으며, 릴레이(10)는 폐쇄되어 있고, 전류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흐르고 있으며, 부하 회로(72)가 동작하고 있다.
여자 코일(16)로의 통전이 차단되면, 제1 가동 접점(14)이 제1 고정 접점(12)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 가동 접점(24)이 제2 고정 접점(22)으로부터 분리된다. 제1 가동 접점(14)이 제1 고정 접점(12)으로부터 분리된 순간에, 제1 갭(17)에 아크(아크 전류)가 발생하고, 마찬가지로, 제2 가동 접점(24)이 제2 고정 접점(22)으로부터 분리된 순간에, 제2 갭(27)에 아크가 발생한다.
여기서, 제1 갭(17)에는 제1 영구자석편(30)에 의해 강력한 자계(53)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기초해서 아크에는 X2 방향의 로렌츠 힘 F2가 작용하고, 아크는 X2 방향으로 편향되어 도면부호 9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갭(17)으로부터 X2 방향으로 분출되어 신속하게 소호된다. 또한, 아크가 갭(17)으로부터 X2 방향으로 분출되어 신속하게 소호되기 때문에, 제1 가동 접점(14) 및 제1 고정 접점(12)은 손상을 받지 않는다.
제2 갭(27)에 대해서는 제2 영구자석편(40)에 의해 강력한 자계(54)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 1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기초해서 아크에는 X1 방향의 로렌츠 힘 F1이 작용하고, 아크는 X1 방향으로 편향되어 도면부호 9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갭(27)으로부터 X1 방향으로 분출되어 신속하게 소호된다. 또한, 아크가 갭(27)으로부터 X1 방향으로 분출되어 신속하게 소호되기 때문에, 제2 고정 접점(22) 및 제2 가동 접점(24)은 손상을 받지 않는다.
제1 가동 접점(14)이 제1 고정 접점(12)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 가동 접점(24)이 제2 고정 접점(22)으로부터 분리되면, 제1 회로 배선(73) 및 제2 회로 배선(74)이 모두 릴레이(10) 부분에서 동시에 차단되어, 전기 회로(70)는 직류 전원(71)측의 회로부(75)와 부하 회로(72)측의 회로부(76)가 분리되고, 즉, 양방 차단되고, 완전히 독립된 상태가 되어, 접지 전위가 불안정한 경우라도, 부하 회로에 전류가 공급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가동 접점(14, 24) 및 고정 접점(12, 22)은 손상을 받지 않기 때문에, 릴레이(10)는 다수 회의 동작 후에도 성능 열화가 일어나지 않아, 긴 수명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이 되는 릴레이의 원리의 다른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릴레이(10X)는, 도 1에 도시하는 구성과는, 제1 영구자석편(30X) 및 제2 영구자석편(40X)이 각각 Z2측이 S극, Z1측이 N극인 방향이며, 단자(61)에 대해서는 전원의 마이너스극에 접속되어야 한다고 지정되어 있고, 단자(63)에 대해서는 전원의 플러스극에 접속되어야 한다고 지정되어 있는 구성인 점이 다르다. 제1, 제2 갭(17, 27) 부분에는 Z1 방향의 자계(53X, 54X)가 작용하고 있다.
이 구성의 릴레이(10X)가 적용되는 전기 회로(70X)는, 도 1에 도시하는 구성과는 극의 방향이 반대인 직류 전원(71X)을 갖는 점이 다르다.
여자 코일에 직류 전류가 통전되어 여자되어 있는 경우에는, 대향하는 접점은 접촉하고 있고, 릴레이(10X)는 폐쇄되어 있으며, 전류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흐르고 있고, 부하 회로(72)가 동작하고 있다.
여자 코일(16)로의 통전이 차단되면, 제1 가동 접점(14)이 제1 고정 접점(12)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 가동 접점(24)이 제2 고정 접점(22)으로부터 분리된다. 제1 가동 접점(14)이 제1 고정 접점(12)으로부터 분리된 순간에, 제1 갭(17)에 아크(아크 전류)가 발생하고, 마찬가지로, 제2 가동 접점(24)이 제2 고정 접점(22)으로부터 분리된 순간에, 제2 갭(27)에 아크가 발생한다.
여기서, 제1 갭(17)에는 제1 영구자석편(30X)에 의해 강력한 자계(53X)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기초해서 아크에는 X2 방향의 로렌츠 힘 F2가 작용하고, 아크는 X2 방향으로 편향되어 도면부호 9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갭(17)으로부터 X2 방향으로 분출되어 신속하게 소호된다.
제2 갭(27)에 대해서는 제2 영구자석편(40X)에 의해 강력한 자계(54X)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 3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기초해서 아크에는 X1 방향의 로렌츠 힘 F1이 작용하고, 아크는 X1 방향으로 편향되어 도면부호 9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갭(27)으로부터 X1 방향으로 분출되어 신속하게 소호된다.
(실시예 1)
도 4는 본 발명의 릴레이의 실시예 1이 되는 소형의 직류 고전압 제어 릴레이(10A)를, 케이스를 투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릴레이(10A)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도면 중, 도 1에 도시하는 구성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릴레이(10A)는, 도 1에 도시하는 원리 구성의 릴레이(10)를 실시한 것이며, 베이스(100)의 Y2측에는, X2측에, 제1 개폐부(11), X1측에, 제2 개폐부(20)가 배치되고, 베이스(100)의 중앙에는, 이음쇠(yoke; 102)가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으며, 접극자(接極子; 103) 및 카드(104)가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100)의 Y1측에, 여자 코일 유닛(105)이 탑재 고정되어 있으며, 전체가 사각의 상자 형상의 케이스(110)로 덮여 있고, 베이스(100)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가 돌출되어 있으며, 폭 W, 길이 L, 높이 H를 갖는다. 여자 코일 유닛(105), 이음쇠(102), 접극자(103) 및 카드(104)가 여자 구동부를 구성한다. 폭 W, 길이 L, 높이 H는, 20 ㎜∼30 ㎜ 정도이며, 릴레이(10A)는 소형이고, 하면에 단자를 갖고 있으며, 프린트 회로 기판(80) 상에 실장해서 사용 가능하다.
제1 개폐부(11)는, 쌍을 이루는 제1 고정 스프링 단자(13) 및 제1 가동 스프링 단자(15)가 Y 방향으로 대향해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제2 개폐부(20)는, 쌍을 이루는 제2 고정 스프링 단자(23) 및 제2 가동 스프링 단자(25)가 Y 방향으로 대향해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여자 코일 유닛(105)은, 포머(former; 107)에 여자 코일(16)이 감겨 있는 구조이다. 접극자(103)는 L자 형상을 가지며, 이음쇠(102)에 지지되어 있고, 수평 부분의 단이 여자 코일 유닛(105)의 상단의 전극에 대향하고 있으며, 수직 부분에, 절연성 수지제의 카드(104)가 부착되어 있고, 카드(104)의 반대측의 단은 가동 스프링 단자(15, 25)의 중앙의 연결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110)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제, 예컨대 열경화성 수지(예컨대 에폭 시 수지, 페놀 수지)제이다.
케이스(110)의 천판부(天板部; 111)에는, 그 내측면이며, Y2측 근처 부분에, 제1, 제2 영구자석편(30, 40)이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케이스(110)가 베이스(100)에 부착되었을 때에, 제1, 제2 영구자석편(30, 40)은 각각 제1, 제2 갭(17, 27)의 바로 상측(Z1측)에 대향한 배치가 된다.
제1, 제2 영구자석편(30, 40)은, 길이(X 방향)가 7 ㎜ 정도, 폭(Y 방향)이 5 ㎜ 정도, 두께(Z 방향)가 2 ㎜∼3 ㎜ 정도의 사마륨 코발트 자석이며, 이하의 특성
잔류 자속 밀도 Br; 1.07 Tesla∼1.15 Tesla
보자력 HCB; 597 ㎄/m∼756 ㎄/m
최대 에너지곱 (BH)max; 199 kJ/㎥∼247 kJ/㎥
보자력 HCJ; 637 ㎄/m∼1432 ㎄/m
을 가지며, 강력하다. 사마륨 코발트 자석은, 네오디뮴 자석과 비교해서 내열성이 우수하여, 열에 의해 감자(減磁)되기 어렵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1, 제2 영구자석편(30, 40)은 모두 Z1측이 S극이고, Z2측이 N극인 방향에 있다.
베이스(100)의 저면에는, 스프링 단자(13, 23, 15, 25)의 기부로부터 Z2 방향으로 단자(61 내지 64)가 돌출되어 있으며, 그리고, 여자 코일(16)의 각 단이 접속된 단자(120, 121)가 돌출되어 있다.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저면에는, 단자마다, 수지 성형에 의해 나타난 문자에 의한 표시 「전원의 플러스극」 등이 이루어져 있다. 표시 「전원의 플러스극」에 의해, 단자(61)에 대해서는 전원의 플러스극측에 접속되어야 한다는 지정이 되어 있다. 단자(63)에 대해서는, 표시 「전원의 마이너스극」에 의해, 전원의 마이너스극측에 접속되어야 한다는 지정이 되어 있다. 단자(62)에 대해서는, 표시 「부하」에 의해, 부하 회로의 일단에 접속되어야 한다는 지정이 되어 있다. 단자(64)에 대해서는, 표시 「부하」에 의해, 부하 회로의 반대측의 단에 접속되어야 한다는 지정이 되어 있다. 이러한 지정은 케이스(110)의 측판부의 표면 또는 천판부의 상면에 직접적으로 인쇄된 표시에 의해 이루어져도 되고, 또는 지정이 인쇄된 라벨을 케이스(110)에 붙임으로써 이루어져도 된다.
상기 릴레이(10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로 배선(73)과 제2 회로 배선(74)에 걸쳐지고, 단자(61, 62, 63, 64)가 각각 관통 구멍(81, 82, 83, 84)에 삽입되어 납땜되며, 단자(120, 121)가 대응하는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서 납땜되어, 프린트 회로 기판(80) 상에 실장되어 사용된다. 또한, 베이스(10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직선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단자(61, 62, 63, 64) 및 단자(120, 121)를 대신하여, L자형의 단자를 설치하고, 각 단자가 프린트 회로 기판 상의 패드에 납땜되어, 릴레이(10A)가 프린트 회로 기판 상에 표면 실장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여자 코일(16)의 극성은 없으며, 여자 코일(16)로의 전류의 방향은 특정되지 않으므로, 릴레이(10A)를 구동시키는 회로의 구속 조건은 적어진다.
여자 코일(16)로의 통전이 차단되어 있을 때에는, 릴레이(10A)는 도 4 및 도 5의 (A) 내지 도 5의 (D)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고, 가동 접점(14, 24)은 각각 고정 접점(12, 22)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단자(120, 121)를 통해 여자 코일(16)에 직류 전류가 통전되면, 여자 코일 유닛(105)이 여자되고, 접극자(103)의 수평부가 여자 코일 유닛(105)에 흡착되어 동작하며, 카드(104)를 통해 가동 스프링 단자(15, 25)가 Y2 방향으로 가압되어, 가동 접점(14, 24)이 각각 고정 접점(12, 22)에 접촉해서, 릴레이(10A)는 「폐쇄」 상태가 된다. 전류가 도 1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흘러서, 부하 회로(72)가 동작한다.
여자 코일(16)로의 통전이 차단되면, 가동 접점(14)이 고정 접점(12)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와 동시에, 가동 접점(24)이 고정 접점(22)으로부터 분리되어, 갭(17, 27)에 아크가 발생한다. 또한, 가동 접점(14, 24) 및 고정 접점(12, 22)은 얇은 원판이며 대향하는 면이 구(球) 형상이기 때문에, 아크는 가동 접점(14, 24)의 중심과 고정 접점(12, 22)의 중심 사이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갭(17) 내의 아크는 영구자석편(30)의 자력 작용으로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기초해서 발생하는 로렌츠 힘 F2에 의해, 도면부호 9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X2 방향으로 편향되어서 분출되어 신속하게 소호되고, 갭(27) 내의 아크는 영구자석편(40)의 자력의 작용으로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기초해서 발생하는 로렌츠 힘 F1에 의해, 도면부호 9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X1 방향으로 편향되어서 분출되어 신속하게 소호된다.
갭(17, 27) 내의 아크가 신속하게 소호됨으로써, 첫 번째로, 전기 회로(70)에 흐르고 있던 회로 전류는, 도 6에, 선 I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938 μs 로 신속하게 차단된다. 두 번째로, 가동 접점(14, 24) 및 고정 접점(12, 22)이 손상을 받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10)는 다수 회의 개폐 동작 후에도 성능의 열화가 일어나지 않아 긴 수명을 갖는다. 또한, 도 6은 전압이 400 VDC이며, 전류가 10 A인 경우의 회로 전류의 차단 파형을 도시한다.
갭(17)에서 발생한 아크(90)는 케이스(110)의 X2측의 측판부(112)의 내면에 부딪히고, 갭(27)에서 발생한 아크(91)는 X1측의 측판부(113)에 부딪힌다. 여기서, 케이스(110)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제이기 때문에, 측판부(112, 113)의 내면에 손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측판부(112, 113)의 내면에, 아크에 포함되어 있는 용해물이 피착되어 퇴적하지만, 측판부(112, 113)의 내면과 갭(17, 27)은 2 ㎜∼4 ㎜ 정도의 치수 A만큼 떨어져 있기 때문에, 개폐부(11, 20)에의 영향은 없으며,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아크가 편향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크는 갭(17, 27) 내에 머무르고, 게다가, 계속해서, 가동 접점(14, 24) 및 고정 접점(12, 22)이 심한 손상을 받아서 용해되어 소멸해 버린다. 전기 회로(70)에 흐르고 있던 회로 전류는, 도 6에, 선 II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도 6의 선 IIa 부분은, 가동 접점(14, 24) 및 고정 접점(12, 22)이 용해되어 소멸해 버린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영구자석편(30, 40)이 따로따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영구자석편(30)과 영구자석편(40)을 연결하여 하나의 영구자석편으로 한 경우(도 10 참조)와 비교하여, 영구자석의 재료의 용적이 적어지고, 재료비가 저감된다.
또한, 아크를 분출하는 기능을 하는 영구자석편(30, 40)의 배치 위치가 갭(17, 27)의 상방(Z1측)이기 때문에, 릴레이(10)의 여자 구동부인 여자 코일 유닛(105)의 설계는 영구자석편(30, 40)의 존재를 고려하지 않고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케이스(110)의 변형예 및 영구자석편(30, 40)의 변형예 및 영구자석편(30, 40)의 고정 구조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스(110)는, 세라믹제의 케이스 부재를, 모두 열가소성 수지인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수지, 또는 LCP(Liquid Crystal Polymer) 수지로 인서트 몰드 성형한 구조여도 좋다. 또한, 케이스(110)는, 고온이 되는 부분, 즉, 측판 중 갭(17, 27)에 대향하는 부분을 예컨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로 한 구성이어도 좋다.
제1, 제2 영구자석편(30, 40)은, 네오디뮴 자석 또는 페라이트 자석이어도 좋다.
제1, 제2 영구자석편(30, 40)의 고정 구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그 천판부의 상면에 오목부(115)를 갖는 형상으로 하고, 영구자석편(30(40))을 이 오목부(115) 내에 압입한 구조로 해도 좋다. 또는,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케이스의 천판부의 하면에 접착한 구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케이스의 천판부에 접착한 구성, 점착제를 사용하여 케이스의 천판부에 고정한 구성, 또는 케이스에 형성한 오목부에 압입하여 가조립으로 하고 접착제로 접착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릴레이의 실시예 2가 되는 릴레이(10B)를 도시한다. 릴레이(10B)는, 도 9에 도시하는 릴레이 본체(130)가 2개, 케이스(110B)의 내부에 편입되어 있으며, 좌우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구성이다.
케이스(110B)에는, 릴레이 본체 수용부(115X1과 115X2)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며, 각 릴레이 본체 수용부(115X1과 115X2)의 천판부에는, 제1, 제2 영구자석편(30, 40)이 고정되어 있다.
릴레이 본체(13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C)의 Y2측에 개폐부(11C)를 가지며, 베이스(100C)의 중앙에는, 이음쇠(102C)가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고, 접극자(103C) 및 카드(104C)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100C)의 Y1측에, 여자 코일 유닛(105C)이 탑재 고정되어 있고, 베이스(100C)의 하면에 단자(61C, 62C) 및 단자(120C)가 돌출되어 있는 구성이다.
개폐부(11C)는, 쌍을 이루는 고정 스프링 단자(13C) 및 가동 스프링 단자(15C)가 대향하여 배치되고, 고정 접점(12C)과 가동 접점(14C)이 이간되어 대향하고 있으며, 그 사이에 갭(17C)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도면부호 130X1은 릴레이 본체 수용부(115X1) 내에 편입되어 있는 릴레이 본체이고, 도면부호 130X2는 릴레이 본체 수용부(115X2) 내에 편입되어 있는 릴레이 본체이다. 릴레이 본체(130X1)가 제1 갭(17B)을 가지며, 릴레이 본체(130X2)가 제2 갭(27B)을 갖는다. 제1, 제2 영구자석편(30, 40)은 모두 Z2측이 N극, Z1측이 S극인 방향이며, 갭(17B, 27B)에는 동일한 방향의 자계가 작용하고 있다. 또한, 릴 레이 본체(130X1)의 여자 코일 유닛의 여자 코일과, 릴레이 본체(130X2)의 여자 코일 유닛(105B)의 여자 코일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10B)의 베이스(100B)로부터 하방으로, 단자(61B 내지 64B) 및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여자 코일의 각 단이 접속된 단자(120B, 121B)가 돌출되어 있다.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B)의 하면에는, 문자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져 있으며, 단자(61B)에 대해서는 전원의 플러스극에 접속되어야 한다고 지정되어 있고, 단자(63B)에 대해서는 전원의 마이너스극에 접속되어야 한다고 지정되어 있으며, 단자(62B)에 대해서는 부하 회로의 일단에 접속되어야 한다고 지정되어 있고, 단자(64B)에 대해서는 부하 회로의 반대측의 단에 접속되어야 한다고 지정되어 있다.
상기 릴레이(10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로 배선(73)과 제2 회로 배선(74)에 걸쳐지며, 단자(61B, 62B, 63B, 64B)가 각각 관통 구멍(81, 82, 83, 84)에 삽입되어 납땜되고, 단자(120, 121)가 대응하는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서 납땜되어, 프린트 회로 기판(80) 상에 실장되어 사용된다.
릴레이(10B)는, 릴레이 본체(130X1)와 릴레이 본체(130X2)가 동시에 동작해서 동작한다. 릴레이(10B)의 동작 시에 갭(17B, 27B)에서 발생한 아크는, 상기한 실시예 1의 릴레이(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두 외측으로 편향되어 측판부(112B, 113B)를 향해서 분출되어 신속하게 차단된다. 따라서, 릴레이 본체(130X1, 130X2)의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손상이 억제되므로, 릴레이(10B)는 긴 수명을 갖는다.
(실시예 3)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릴레이(10D)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릴레이(10D)를 그 케이스를 투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릴레이(10D)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릴레이(10D)는, 도 1에 도시하는 릴레이(10)에 있어서의 제1, 제2 영구자석편(30, 40)을 공통화하여 하나의 영구자석편(45)으로 한 구성이 다르다. 다른 구성은 도 1에 도시하는 릴레이(10)의 구성과 동일하다.
영구자석편(45)은, 갭(17)과 갭(27)에 걸쳐지는 가늘고 긴 직육면체 형상이며, Z2측이 N극, Z1측이 S극이다. 이 영구자석편을 단일로 한 구성은, 갭(17)과 갭(27)에 동일한 방향의 자계를 작용시키는 구성이기에 가능해지고 있다.
실제로는, 영구자석편(45)은,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D)의 천판부의 하면에 편입되어 있으며, 갭(17) 및 갭(27)의 바로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갭(17)과 갭(27)에는 동일한 방향의 자계가 작용하고 있다.
릴레이(10D)의 동작 시에 갭(17, 27)에서 발생한 아크는, 상기한 실시예 1의 릴레이(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2의 (A)에 도면부호 90D, 91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두 외측으로 편향되어 측판부(112D, 113D)를 향해서 분출되어 신속하게 차단된다. 따라서, 릴레이(10D)의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손상이 억제되고, 따라서, 릴레이(10D)는 긴 수명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영구자석편을 단일로 한 구성은, 앞서 기재한 제1 영구자석편(30)과 제2 영구자석편(40)을 따로따로 설치한 구성과 비교해서,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으며, 영구자석편을 분할하는 가공비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4)
도 13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4가 되는 릴레이(10E)를 도시한다. 릴레이(10E)는, 제1 회로 배선(73)에 대응하는 2개의 개폐부(200, 201)를 갖고, 제2 회로 배선(74)에 대응하는 2개의 개폐부(210, 211)를 가지며, 합계 4개의 개폐부(200, 201, 210, 211)를 하나의 케이스 내에 편입시킨 구성이다. 이 릴레이(10E)는, 프린트 회로 기판의 회로 패턴이 제1 및 제2 회로 배선(73, 74)에 대하여, 모두 도중에 분기된 병렬 회로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인 경우에, 양방의 병렬 회로 부분에 실장되어 사용된다.
케이스는 개폐부(201)와 개폐부(210)를 구획하는 벽부(220)를 갖는다. 개폐부(200, 201, 210, 211)마다 영구자석편이 배치되어 있다. 영구자석편의 자극의 방향은, 개폐부(201, 211)에는, 도 13의 지면(紙面)을 표면으로부터 이면측으로 관통하는 방향의 자계가 작용하고, 개폐부(201, 210)에는, 도 13의 지면을 이면으로부터 표면측으로 관통하는 방향의 자계가 작용하도록 정해져 있다.
개폐부(200)에 발생하는 아크는 X2 방향, 개폐부(211)에 발생하는 아크는 X1 방향으로, 모두 케이스의 내면을 향해서 분출된다. 개폐부(210)에 발생하는 아크는 X1 방향, 개폐부(210)에 발생하는 아크는 X2 방향으로, 모두 벽부(220)를 향해서 분출된다.
또한, 개폐부(201)에 대향하는 영구자석편 및 개폐부(210)에 대향하는 영구자석편을 대신하여, 개폐부(201, 210)에 걸쳐지는 크기의 가늘고 긴 하나의 영구자석편을 설치해도 좋다.
이 릴레이(10E)는, 각 개폐부(200, 201, 210, 211)에 흐르는 전류를 낮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5)
도 14는 본원발명의 실시예 5가 되는 릴레이(10F)를 도시한다. 릴레이(10F)는, 도 13의 릴레이(10E)와는, 케이스에 대해서는, 개폐부(200)와 개폐부(201)를 구획하는 벽부(230)를 가지며, 개폐부(210)와 개폐부(211)를 구획하는 벽부(231)를 갖는 점이 다르고, 개폐부(200, 201, 210, 211)마다 배치되어 있는 영구자석편에 대해서는, 자극의 방향은, 개폐부(200, 201, 210, 211) 전부에 대해서, 도 14의 지면을 표면으로부터 이면측으로 관통하는 방향의 자계가 작용하도록 정해져 있는 점이 다른 구성이다.
개폐부(200)에 발생하는 아크는 X2 방향으로 케이스의 내면을 향해서 분출되고, 개폐부(201)에 발생하는 아크는 X2 방향으로 벽부(230)를 향해서 분출되며, 개폐부(210)에 발생하는 아크는 X1 방향으로 벽부(231)를 향해서 분출되고, 개폐부(211)에 발생하는 아크는 X1 방향으로 케이스의 내면을 향해서 분출된다.
또한, 개폐부(200)에 대향하는 영구자석편 및 개폐부(201)에 대향하는 영구자석편을 대신하여, 개폐부(200, 201)에 걸쳐지는 크기의 가늘고 긴 하나의 영구자석편을 설치해도 좋다. 개폐부(210)에 대향하는 영구자석편 및 개폐부(211)에 대 향하는 영구자석편을 대신하여, 개폐부(210, 211)에 걸쳐지는 크기의 가늘고 긴 하나의 영구자석편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개개의 개폐부에 대향하는 영구자석편을 대신하여, 개폐부(200, 201, 210, 211) 전부에 걸쳐지는 크기의 가늘고 긴 하나의 영구자석편을 설치해도 좋다.
이 릴레이(10F)도 상기의 릴레이(10E)와 마찬가지로, 각 개폐부(200, 201, 210, 211)에 흐르는 전류를 낮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6)
도 15는 본원발명의 실시예 5가 되는 릴레이(10G)를 도시한다. 릴레이(10G)는, 도 4에 도시하는 릴레이(10A)와는, 제1, 제2 영구자석편(30G, 40G)이 다르다.
도 16의 (A) 및 도 16의 (B)는, 제1, 제2 영구자석편(30G, 40G)의, 제1, 제2 갭(17, 27)에 대한 위치 관계를 도시한다.
고정 접점(12, 22)의 직경 d는 3 ㎜이다.
제1, 제2 영구자석편(30G, 40G)은, 편평한 직육면체이며, 길이 l(X 방향)이 6.6 ㎜, 폭 w(Y 방향)가 5 ㎜ 이다. 길이 l은 고정 접점(12, 22)의 직경 d의 약 2배이며, l>d이다.
제1 영구자석편(30G)은, 제1 갭(17)의 바로 상측(Z1측)에 대향하고, 그 X 방향의 중심(30GC)이, 고정 접점(12)의 중심에 대하여 X2 방향(제1 갭(17)에 발생하는 아크가 분출되는 방향)으로, 치수 e(0.8 ㎜ 정도)만큼 어긋나 있다. 따라서, 제1 영구자석편(30G) 중, 고정 접점(12)의 중심으로부터 X2 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길이 a1(4 ㎜), 및 고정 접점(12)의 가장자리로부터 X2 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길이 b1(1.5 ㎜)은, 제1 영구자석편(30G)을 그 중심(30GC)을 고정 접점(12)의 중심을 지나는 Z 방향의 선에 일치시켜서 배치한 경우의 대응하는 길이보다도 길다.
또한, 제1 영구자석편(30G) 중 고정 접점(12)의 중심으로부터 X2 방향측의 길이 a1(4 ㎜)은, 고정 접점(12)의 중심으로부터 X1 방향측의 길이 a2(2.6 ㎜)보다 길며, 즉, a1>a2이고, 고정 접점(12)의 가장자리로부터 X2 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길이 b1(1.5 ㎜)은, 고정 접점(12)의 가장자리로부터 X1 방향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길이 b2(1.1 ㎜)보다 길며, 즉, b1>b2이다.
따라서, 제1 영구자석편(30G)을 그 중심(30GC)을 고정 접점(12)의 중심을 지나는 Z 방향의 선에 맞춰서 배치한 구성(도 16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과 비교해서, 제1 영구자석편(30G)에 의한 자계가 미치고 있는 공간이, 제1 갭(17)으로부터 X1 방향의 부분과 비교해서, 제1 갭(17)으로부터 X2 방향의 부분으로 보다 넓게 확대되고 있다. 즉, 제1 영구자석편(30G)으로부터의 한정된 자계가, 아크에 효율적으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갭(17) 내에 발생한 아크가 제1 영구자석편(30)의 자력의 작용으로 도 15에 도면부호 90G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X2 방향으로 편향될 때에, 제1 영구자석편(30G)에 의한 자계는 편향되는 아크에 효율적으로 작용하고, 아크는 도 4에 도시하는 릴레이(10A)에 있어서의 경우와 비교해서 양호하게 분출되어 신속하게 소호된다.
제2 영구자석편(40G)은, 제1 갭(27)의 바로 상측(Z1측)에 대향하고, 그 X 방 향의 중심(40GC)이, 고정 접점(22)의 중심에 대하여 X1 방향(제2 갭(27)에 발생하는 아크가 분출되는 방향)으로, 치수 e(0.8 ㎜ 정도)만큼 어긋나 있다. 따라서, 제2 영구자석편(40G)을 그 중심(40GC)을 고정 접점(22)의 중심을 지나는 Z 방향의 선에 일치시켜서 배치한 구성(도 16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과 비교해서, 제2 영구자석편(40G)에 의한 자계가 미치고 있는 공간이, 제2 갭(27)으로부터 X2 방향의 부분으로 보다 넓게 확대되고 있다. 이 때문에, 갭(27) 내의 아크가 제2 영구자석편(40G)의 자력의 작용으로 도 15에 도면부호 91G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X1 방향으로 편향될 때에, 제2 영구자석편(40G)에 의한 자계는 편향되는 아크에 효율적으로 작용하고, 아크는 도 4에 도시하는 릴레이(10A)에 있어서의 경우와 비교해서 양호하게 분출되어 신속하게 소호된다.
(실시예 7)
도 17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7이 되는 릴레이(10H)를,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 영구자석을 투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릴레이(10H)를, 그 케이스 부분에서 단면하여 도시하는 투상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릴레이(10H)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동시에 릴레이(10H)와 전원 및 부하와의 접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릴레이(10H)의 구성]
릴레이(10H)는, 제1 릴레이 본체(250X2)가 X2측에, 제2 릴레이 본체(250X1)가 X1측에 배치되고, 케이스(110H)의 내부에 편입되어 있으며, 좌우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구성이다.
제1 릴레이 본체(250X2)는, 베이스(100HX2)의 Y2측에 제1 개폐부(11HX2)를 가지며, 베이스(100HX2)의 중앙에는, 이음쇠(102HX2)가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고, 접극자(103HX2) 및 카드(104HX2)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100HX2)의 Y1측에, 여자 코일 유닛(105HX2)이 탑재 고정되어 있고, 베이스(100HX2)의 하면에 단자(61H, 62H) 및 단자(120H)가 돌출되어 있는 구성이다. 제1 개폐부(11HX2)는 제1 갭을 갖는다. 이 제1 갭은 제1 갭부와 제2 갭부를 갖는다.
제1 개폐부(11HX2)는, X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제1 및 제2 고정 스프링 단자(251X2, 253X2)와, 제1 및 제2 고정 스프링 단자(251X2, 253X2)에 걸쳐지는 크기의 가동 스프링 부재(255X2)를 갖는다. 제1 및 제2 고정 스프링 단자(251X2, 253X2)에는, 각각, 고정 접점(252X2, 254X2)이 고정되어 있다. 가동 스프링 부재(255X2)는, 그 하단을 베이스(100HX2)에 고정하고 있으며, 휘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 가동 스프링 부재(255X2)에, 가동 접점(256X2, 257X2)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 접점(252X2)과 가동 접점(256X2)이 이간되어 대향하고 있으며, 그 사이에 제1 갭부(26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접점(254X2)과 가동 접점(257X2)이 이간되어 대향하고 있으며, 그 사이에 제2 갭부(2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00HX2)의 하면에는, 단자(61H, 62H) 및 단자(120H)가 돌출되어 있다.
제2 릴레이 본체(250X1)는, 상기 제1 릴레이 본체(250X2)와 동일한 구성이며, 제2 개폐부(11HX1)를 갖는다. 제2 개폐부(11HX1)는 제2 갭을 갖는다. 이 제2 갭은 제3 갭부와 제4 갭부를 갖는다.
제2 개폐부(11HX1)는, 고정 접점(252X1)과 가동 접점(256X1) 사이에 제3 갭부(263)를 가지며, 고정 접점(254X1)과 가동 접점(257X1) 사이에 제4 갭부(264)를 갖는다. 베이스(100HX2)의 하면에는, 단자(61H, 62H) 및 단자(120H)가 돌출되어 있다.
여자 코일 유닛(105HX2)의 여자 코일(16HX2)과, 여자 코일 유닛(105HX1)의 여자 코일(16HX1)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110H)의 천판부(111H)에는, 직육면체 형상의 제1, 제2 영구자석편(30H, 40H)이 고정되어 있다. 제1 영구자석편(30H)은, 제1 갭부(261)와 제2 갭부(262)의 Z1측에 위치하여 제1, 제2 갭부(261, 262)에 걸쳐져 있다. 제2 영구자석편(40H)은, 제3 갭부(263)와 제4 갭부(264)의 Z1측에 위치하여 제3, 제4 갭부(263, 264)에 걸쳐져 있다.
제1, 제2 영구자석편(30H, 40H)은 모두 Z2측이 N극, Z1측이 S극인 방향이며, 제1 내지 제4 갭부(261∼264)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의 자계가 작용하고 있다.
도 1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HX1, 100HX2)의 하면에는, 문자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져 있으며, 단자(61H)에 대해서는 전원의 플러스극에 접속되어야 한다고 지정되어 있고, 단자(63H)에 대해서는 전원의 마이너스극에 접속되어야 한다고 지정되어 있으며, 단자(62H)에 대해서는, 부하 회로의 일단에 접속되어야 한다고 지정되어 있고, 단자(64H)에 대해서는, 부하 회로의 반대측의 단에 접속되어야 한다고 지정되어 있다.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0H)는, 중앙에, 칸막이판부(115H)를 갖는다. 칸막이판부(115H)는, 예컨대, 내열성을 갖는 세라믹제이며, 제1 릴레이 본체(250X2)와 제2 릴레이 본체(250X1) 사이에 위치하여 구획하고 있다.
[릴레이(10H)의 실장 및 릴레이(10H)의 동작]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레이(10H)가 적용되는 전기 회로(70)는, 수백 V의 높은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전원(71)과, 부하 회로(72)와, 직류 전원(71)의 플러스극과 부하 회로(72)를 연결하는 제1 회로 배선(73)과, 직류 전원(71)의 마이너스극과 부하 회로(72)를 연결하는 제2 회로 배선(74)을 갖는다. 제1 회로 배선(73) 및 제2 회로 배선(74)은 프린트 회로 기판(80H)의 한쪽 면에 패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1 회로 배선(73)은, 직류 전원(71)의 플러스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패턴(73P)과, 부하 회로(7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패턴(73L)을 갖는다. 제2 회로 배선(74)은, 직류 전원(71)의 마이너스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패턴(74P)과, 부하 회로(72)의 반대측의 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패턴(74L)을 갖는다.
상기 구성의 릴레이(10H)는, 단자(61H)를 패턴(73P)의 단, 단자(63H)를 패턴(73P)의 단, 단자(62H)를 패턴(73P)의 단, 단자(64H)를 패턴(74L)의 단의 관통 구멍에 삽입해서 납땜하여 실장되어 있다. 즉, 제1 회로 배선(73) 도중에, 제1 릴레이 본체(250X2)가 설치되어 있고, 제2 회로 배선(74) 도중에, 제2 릴레이 본체(250X1)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120H, 121H)도 관통 구멍에 삽입해서 납땜하고 있다.
단자(120H, 121H)를 통해 여자 코일(16HX1, 16HX2)에 직류 전류가 통전되면, 여자 코일 유닛(105HX2, 105HX1)이 동시에 여자되고, 제1 릴레이 본체(250X2)에 대해서는, 접극자(103HX2)의 수평부가 여자 코일 유닛(105HX2)에 흡착되어 동작하며, 카드(104HX2)를 통해 가동 스프링 부재(225X2)가 Y2 방향으로 가압되어, 가동 접점(256X2, 257X2)이 각각 고정 접점(252X2, 254X2)에 접촉해서, 제1 릴레이 본체(250X2)는 「폐쇄」 상태가 된다. 제2 릴레이 본체(250X1)에 대해서는, 접극자(103HX1)의 수평부가 여자 코일 유닛(105HX1)에 흡착되어 동작하며, 카드(104HX1)를 통해 가동 스프링 부재(225X1)가 Y2 방향으로 가압되어, 가동 접점(256X1, 257X1)이 각각 고정 접점(252X1, 254X1)에 접촉해서, 제2 릴레이 본체(250X1)는 「폐쇄」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전류가 도 19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흘러서, 부하 회로(72)가 동작한다. 가동 스프링 부재(225X2)에서는, 전류는 가동 접점(257X2)측으로부터 가동 접점(256X2)측을 향해서 흐른다. 가동 스프링 부재(225X1)에서는, 전류는 가동 접점(257X1)측으로부터 가동 접점(256X1)측을 향해서 흐른다.
여자 코일(16HX1, 16HX2)로의 통전이 차단되면, 가동 접점(256X2, 257X2)이 각각 고정 접점(252X2, 254X2)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와 동시에, 가동 접점(256X1, 257X1)이 각각 고정 접점(252X1, 254X1)으로부터 분리되며, 갭부(261, 262, 263, 264)에 아크가 발생한다.
여기서, 갭부(261) 내의 아크는 도면부호 27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X2 방 향으로 편향되어 측판부(112H)를 향해서 분출되고, 갭부(262) 내의 아크는 도면부호 27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X1 방향으로 편향되어 칸막이판부(115H)를 향해서 분출되어 신속하게 소호된다. 갭부(263) 내의 아크는 도면부호 27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X2 방향으로 편향되어 칸막이판부(115H)를 향해서 분출되고, 갭부(264) 내의 아크는 도면부호 27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X1 방향으로 편향되어 측판부(113H)를 향해서 분출되어 신속하게 소호된다.
도 20의 (A)는 양극인 가동 접점(257X2)과 음극인 고정 접점(254X2) 사이의 갭부(262)에 발생하는 아크(272)를 도시한다. 도 20의 (B)는 아크(272)의 전압 Varc(아크를 유지할 수 있는 전압값)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아크(272)의 전압 Varc는, 다음의 두 개의 전압 V1, V2의 합이며,
Varc=V1+V2이다.
여기서, V1은 가동 접점(257X2) 근방에 발생하는 양극 강하 전압 v1과, 고정 접점(254X2) 근방에 발생하는 음극 강하 전압 v2의 합이며, (v1+v2)이다.
V2는 아크 기둥 전압(아크 기둥 전계 강도와 그 길이의 곱)이다.
여기서, 고정 접점(254X2)에 접촉하고 있던 가동 접점(257X2)이 고정 접점(254X2)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 가동 접점(257X2)과 고정 접점(254X2)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즉, 가동 접점(257X2)과 고정 접점(254X2) 사이에서 전류의 차단이 행해지기 위해서는, 아크 전압 Varc가 직류 전원(71)의 전압 E보다도 큰 것, 즉, Varc>E인 것이 필요 조건이다.
본 실시예의 릴레이(10H)는, 직류 전원(71)의 플러스극과 부하 회로(72)를 연결하는 제1 회로 배선(73)에 두 개의 갭부(262, 261)를 직렬로 갖는 구성이기 때문에, 강하 전압 V1이, 제1 회로 배선(73)에 하나의 갭부를 갖는 경우, 예컨대, 도 5에 도시하는 릴레이(10A)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서, 2배가 되며, 그만큼, 아크 전압 Varc가 높아져서, 그만큼, 아크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직류 전원(71)의 마이너스극과 부하 회로(72)를 연결하는 제2 회로 배선(74)에도, 두 개의 갭부(263, 264)가 직렬로 접속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와 마찬가지로, 아크 전압 Varc가 높아져서, 그만큼, 아크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릴레이(10H)를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장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각 갭부(261∼264)에 아크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각 갭부(261∼264) 내에 발생한 아크가 분출되어 아크가 신속하게 소호됨으로써, 가동 접점(256X2, 257X2, 256X1, 257X1) 및 고정 접점(252X2, 254X2, 252X1, 254X1)이 손상을 받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10H)는 다수 회의 개폐 동작 후에도 성능의 열화가 일어나지 않아 긴 수명을 갖는다.
또한, 상기의 릴레이(10H)는, 갭(261∼264)의 수가 4개이며, 도 13에 도시하는 릴레이(10E) 및 도 14에 도시하는 릴레이(10F)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릴레이(10H)의 바닥에 돌출되어 있는 단자의 수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릴레이(10E, 10F)의 경우에는 8개인 데 비해서, 그 절반인 4개로 충분하다(도 18의 (C) 참조). 따라서, 프린트 회로 기판의 릴레이(10H)에 관련되는 패턴의 개수가 적어도 되며, 패턴은 프린트 회로 기판의 양면을 사용하지 않고, 한쪽 면에 형성하면 되어, 프린트 회로 기판의 제조 비용이 저렴해진다.
또한, 제1 릴레이 본체(250X2)와 제2 릴레이 본체(250X1) 사이를 충분히 떨어뜨려서 배치할 수 있는 경우에는, 칸막이판부(115H)를 생략해도 좋다. 칸막이판부(115H)를 생략한 경우에는, 제1, 제2 영구자석편(30H, 40H)이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 즉, 가늘고 긴 하나의 영구자석편을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판부(115H)를 케이스(110H)와 별개의 부재로 해도 좋다.
(실시예 8)
도 21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8이 되는 릴레이(10J)를,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 또한 영구자석(30J, 40J)을 투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릴레이(10J)는, 도 17에 도시하는 릴레이(10H)와는, 제1 릴레이 본체(250X2)와 제2 릴레이 본체(250X1)가 일체화되어 있고, 여자 구동부(300)가 단일인 구성 부분이 다르다.
여자 구동부(300)는, 여자 코일 유닛(301)과, 이음쇠(도시하지 않음)와, 접극자(302)와, 카드(303)로 이루어진다. 카드(303)는, 가동 스프링 부재(255X2)와 가동 스프링 부재(255X1)에 걸쳐져 있다.
단일의 베이스(310) 상에, 제1 개폐부(11JX2)와 제2 개폐부(11JX1)가 X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단일의 여자 구동부(300)가 구동되면, 카드(303)를 통해 가동 스프링 부재(255X2, 255X1)가 Y2 방향으로 가압되어, 일체화된 릴레이 본체가 '폐쇄' 상태가 된다.
(실시예 9)
도 22는 본원발명의 실시예 8이 되는 릴레이(10K)를,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 또한 영구자석(30K, 40K)을 투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릴레이(10K)는, 도 17에 도시하는 릴레이(10H)와는, 가동 스프링 부재(280X2, 280X2)가 다르다.
가동 스프링 부재(280X2)는, 제1 및 제2 고정 스프링 단자(251X2, 253X2)에 걸쳐지는 크기를 가지며, 가동 접점(256X2, 257X2)이 고정되어 있고, 카드(104KX2)의 Y2측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카드(104KX2)는, L자 형상의 접극자(103KX2)의 수직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 스프링 부재(280X1)는, 제3 및 제4 고정 스프링 단자(251X1, 253X1)에 걸쳐지는 크기를 가지며, 가동 접점(256X1, 257X1)이 고정되어 있고, 카드(104KX1)의 Y2측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카드(104KX1)는, L자 형상의 접극자(103KX1)의 수직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릴레이 본체(250X2) 및 제2 릴레이 본체(250X1)가 동시에 구동되면, 카드(104KX2, 104KX1)가 동시에 Y2 방향으로 변위되어, 가동 스프링 부재(280X2, 280X1)가 동시에 Y2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8의 릴레이(10J)와 같이, 상기 릴레이(10K)의 두 개의 여자 코일 유닛(105HX2, 105HX1)을 하나로 통합하여, 하나의 여자 코일 유닛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의 릴레이에서는, 하나의 여자 코일 유닛이 구동되어, 가동 스프링 부재(280X1, 280X2)가 변위된다.
(실시예 10)
도 23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9가 되는 릴레이(10L)를 분해하여 도시한다. 도 24는 릴레이(10K)의 단면도이다.
이 릴레이(10K)는, 도 8에 도시하는 릴레이(10B)와는 케이스의 고정 구조가 다르다.
케이스(110K)는, 측판부(112K)의 하단 근방의 구멍부(320X2)가 릴레이 본체(130X2)의 베이스(100LX2)의 결합 클로부(310X2)와 결합되고, 측판부(113K)의 하단 근방의 구멍부(320X1)가 릴레이 본체(130X1)의 베이스(100LX1)의 결합 클로부(311X1)와 결합되며, 중앙의 칸막이판부(절연 배리어)(115K)의 하단 근방의 X2측의 구멍부(321)가 릴레이 본체(130X2)의 베이스(100LX2)의 결합 클로부(311X2)와 결합되고, 중앙의 칸막이벽부(절연 배리어)(115K)의 하단 근방의 X1측의 구멍부(322)가 릴레이 본체(130X1)의 베이스(100LX1)의 결합 클로부(310X1)와 결합되어, 릴레이 본체(130X1, 130X2)와 결합되어 있으며, 릴레이 본체(130X1, 130X2)와 케이스(110K)와의 결합 강도는 높다. 칸막이벽부(115K)는 릴레이 본체(130X1, 130X2)를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되는 릴레이의 원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전기 회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되는 릴레이의 원리의 다른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되는 릴레이를, 케이스를 투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릴레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릴레이에 의한 회로 전류의 차단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영구자석의 케이스에의 고정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가 되는 릴레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릴레이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이 되는 릴레이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이 되는 릴레이를, 케이스를 투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릴레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가 되는 릴레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5가 되는 릴레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이 되는 릴레이를, 케이스를 투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릴레이에 있어서의, 제1, 제2 영구자석편의 제1, 제2 갭에 대한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7이 되는 릴레이를,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 영구자석을 투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릴레이 H를, 그 케이스 부분에서 단면(斷面)하여 도시하는 투상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릴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동시에 릴레이와 전원 및 부하와의 접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갭에 발생하는 아크와 아크의 전압 Varc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8이 되는 릴레이를,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 영구자석을 투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원발명의 실시예 9가 되는 릴레이를,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 영구자석을 투시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원발명의 실시예 10이 되는 릴레이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릴레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X, 10A∼10H, 10J, 10K, 10L: 릴레이
11: 제1 개폐부 20: 제2 개폐부
12: 제1 고정 접점 13: 제1 고정 스프링 단자
14: 제1 가동 접점 15: 제1 가동 스프링 단자
16: 여자 코일 17: 제1 갭
22: 제2 고정 접점 23: 제2 고정 스프링 단자
24: 제2 가동 접점 25: 제2 가동 스프링 단자
27: 제2 갭 30, 30X: 제1 영구자석
40, 40X: 제2 영구자석 45: 영구자석
53, 54: 자계 61∼64: 단자
70: 전기 회로 71: 직류 전원
72: 부하 회로 73: 제1 회로 배선
74: 제2 회로 배선 75: 직류 전원측의 회로부
76: 부하 회로측의 회로부 80: 프린트 회로 기판
81∼84: 관통 구멍 90, 91: 아크
100: 베이스 102: 이음쇠
103: 접극자 104: 카드
105: 여자 코일 유닛 110: 케이스
111: 천판부 112, 113: 측판부
115H: 칸막이판부 115K: 칸막이벽부
261: 제1 갭부 262: 제2 갭부
263: 제3 갭부 264: 제4 갭부

Claims (16)

  1. 삭제
  2. 개폐되는 제1 갭을 갖는 제1 개폐부와,
    개폐되는 제2 갭을 가지며, 상기 제1 갭과 상기 제2 갭이 가로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상기 제1 개폐부와 나란히 배치된 제2 개폐부와,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여자(勵磁) 구동부와,
    상기 제1 개폐부의 상기 제1 갭 및 제2 개폐부의 상기 제2 갭에 동일한 방향의 자계를 작용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제1 갭을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1 가동 접점 및 제1 고정 접점과, 상기 제1 가동 접점을 갖는 제1 가동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1 고정 접점을 갖는 제1 고정 스프링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2 갭을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2 가동 접점 및 제2 고정 접점과, 상기 제2 가동 접점을 갖는 제2 가동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2 고정 접점을 갖는 제2 고정 스프링 단자를 포함하는 것인 릴레이.
  3. 개폐되는 제1 갭을 갖는 제1 개폐부와,
    개폐되는 제2 갭을 가지며, 상기 제1 갭과 상기 제2 갭이 가로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상기 제1 개폐부와 나란히 배치된 제2 개폐부와,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여자(勵磁) 구동부와,
    상기 제1 개폐부의 상기 제1 갭 및 제2 개폐부의 상기 제2 갭에 동일한 방향의 자계를 작용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부의 상기 제1 갭은 제1 갭부와, 제2 갭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상기 제1 갭부를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1 가동 접점 및 제1 고정 접점과, 제2 갭부를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2 가동 접점 및 제2 고정 접점과, 상기 제1 고정 접점을 갖는 제1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2 고정 접점을 갖는 제2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1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2 고정 스프링 단자 사이에 걸쳐지는 크기이며 상기 제1 가동 접점 및 상기 제2 가동 접점을 갖는 제1 가동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개폐부의 상기 제2 갭은 제3 갭부와, 제4 갭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개폐부는, 상기 제3 갭부를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3 가동 접점 및 제3 고정 접점과, 제4 갭부를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4 가동 접점 및 제4 고정 접점과, 상기 제3 고정 접점을 갖는 제3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4 고정 접점을 갖는 제4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3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4 고정 스프링 단자 사이에 걸쳐지는 크기이며 상기 제3 가동 접점 및 상기 제4 가동 접점을 갖는 제2 가동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제1 갭부, 제2 갭부, 제3 갭부, 제4 갭부에 동일한 방향의 자계를 작용시키는 것인 릴레이.
  4. 개폐되는 제1 갭을 갖는 제1 개폐부와,
    개폐되는 제2 갭을 가지며, 상기 제1 갭과 상기 제2 갭이 가로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상기 제1 개폐부와 나란히 배치된 제2 개폐부와,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여자(勵磁) 구동부와,
    상기 제1 개폐부의 상기 제1 갭 및 제2 개폐부의 상기 제2 갭에 동일한 방향의 자계를 작용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측판부 및 천판부(天板部)를 가지며,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와 상기 여자 구동부를 덮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의 상기 천판부에, 상기 영구자석이 고정되어 있는 것인 릴레이.
  5. 개폐되는 제1 갭을 갖는 제1 개폐부와,
    개폐되는 제2 갭을 가지며, 상기 제1 갭과 상기 제2 갭이 가로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상기 제1 개폐부와 나란히 배치된 제2 개폐부와,
    상기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여자(勵磁) 구동부와,
    상기 제1 개폐부의 상기 제1 갭 및 제2 개폐부의 상기 제2 갭에 동일한 방향의 자계를 작용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제1 개폐부의 상기 제1 갭과 상기 제2 개폐부의 상기 제2 갭에 걸쳐지는 크기의 단일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릴레이.
  6. 제1 갭을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1 가동 접점 및 제1 고정 접점과, 상기 제1 가동 접점을 갖는 제1 가동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1 고정 접점을 갖는 제1 고정 스프링 단자를 포함하는 제1 개폐부와, 상기 제1 개폐부를 동작시키는 제1 여자 구동부를 갖는 제1 릴레이 본체와,
    제2 갭을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2 가동 접점 및 제2 고정 접점과, 상기 제2 가동 접점을 갖는 제2 가동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2 고정 접점을 갖는 제2 고정 스프링 단자를 포함하는 제2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동작시키는 제2 여자 구동부를 갖는 제2 릴레이 본체와,
    측판부 및 천판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릴레이 본체와 상기 제2 릴레이 본체를 덮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천판부에, 그 하면측이 동일한 자극(磁極)이 되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갭 및 상기 제2 갭에 대향하는 제1 및 제2 영구자 석
    을 구비하는 릴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칸막이판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릴레이 본체 및 제2 릴레이 본체는 각각 베이스를 갖고,
    상기 칸막이판부와 상기 제1 릴레이 본체의 베이스와 상기 제2 릴레이 본체의 베이스가 결합되어 있는 것인 릴레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구자석은, 그 중심을, 상기 제1 갭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갭에 발생하는 아크가 분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어긋나게 해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영구자석은, 그 중심을, 상기 제2 갭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2 갭에 발생하는 아크가 분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어긋나게 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인 릴레이.
  9. 제1 갭을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1 가동 접점 및 제1 고정 접점과, 제2 갭을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2 가동 접점 및 제2 고정 접점과, 상기 제1 고정 접점을 갖는 제1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2 고정 접점을 갖는 제2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1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2 고정 스프링 단자 사이에 걸쳐지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1 가동 접점 및 상기 제2 가동 접점을 갖는 제1 릴레이 본체용의 가동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제1 개폐부와, 상기 제1 개폐부를 동작시키는 제1 여자 구동부를 갖는 제1 릴레이 본체와,
    제3 갭을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3 가동 접점 및 제3 고정 접점과, 제4 갭을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4 가동 접점 및 제4 고정 접점과, 상기 제3 고정 접점을 갖는 제3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4 고정 접점을 갖는 제4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3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4 고정 스프링 단자 사이에 걸쳐지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3 가동 접점 및 상기 제4 가동 접점을 갖는 제2 릴레이 본체용의 가동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제2 개폐부와, 상기 제2 개폐부를 동작시키는 제2 여자 구동부를 갖는 제2 릴레이 본체와,
    측판부 및 천판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릴레이 본체와 상기 제2 릴레이 본체를 덮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천판부에, 그 하면측이 동일한 자극이 되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갭 및 상기 제2 갭에 대향하는 제1 및 제2 영구자석
    을 구비하는 릴레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칸막이판부를 가지며,
    상기 칸막이판부가, 상기 제1 릴레이 본체와 상기 제2 릴레이 본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릴레이.
  11. 제9항에 있어서, 제1 릴레이 본체는, 상기 제1 여자 구동부가 제1 카드를 가지며, 상기 가동 스프링 부재가 상기 제1 카드에 고정되어 있고,
    제2 릴레이 본체는, 상기 제2 여자 구동부가 제2 카드를 가지며, 상기 가동 스프링 부재가 상기 제2 카드에 고정되어 있는 것인 릴레이.
  12. 제1 갭을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1 가동 접점 및 제1 고정 접점과, 제2 갭을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2 가동 접점 및 제2 고정 접점과, 상기 제1 고정 접점을 갖는 제1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2 고정 접점을 갖는 제2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1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2 고정 스프링 단자 사이에 걸쳐지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1 가동 접점 및 상기 제2 가동 접점을 갖는 제1 릴레이 본체용의 가동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제1 개폐부와,
    제3 갭을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3 가동 접점 및 제3 고정 접점과, 제4 갭을 사이에 형성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제4 가동 접점 및 제4 고정 접점과, 상기 제3 고정 접점을 갖는 제3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4 고정 접점을 갖는 제4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3 고정 스프링 단자와 상기 제4 고정 스프링 단자 사이에 걸쳐지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3 가동 접점 및 상기 제4 가동 접점을 갖는 제2 릴레이 본체용의 가동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제2 개폐부와,
    상기 제1 개폐부 및 상기 제2 개폐부를 동작시키는 단일의 여자 구동부와,
    측판부 및 천판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개폐부, 상기 제2 개폐부, 상기 여자 구동부를 덮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천판부에, 그 하면측이 동일한 자극이 되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갭에 대향하는 제1 영구자석과, 상기 제3 및 제4 갭에 대향하는 제2 영구자석
    을 구비하는 릴레이.
  13.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사마륨 코발트 자석, 네오디뮴 자석, 또는 페라이트 자석인 것인 릴레이.
  14. 제6항, 제9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구자석 및 제2 영구자석은, 사마륨 코발트 자석, 네오디뮴 자석, 또는 페라이트 자석인 것인 릴레이.
  15. 제4항, 제6항, 제9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열성을 갖는 구조인 것인 릴레이.
  16. 직류 전원의 양극과 부하를 연결하는 제1 회로 배선 및 상기 직류 전원의 음극과 상기 부하를 연결하는 제2 회로 배선을 갖는 회로 장치로서,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의 제1 개폐부는 상기 제1 회로 배선을 개폐하고, 상기 릴레이의 제2 개폐부는 상기 제2 회로 배선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인 회로 장치.
KR1020080058404A 2007-09-14 2008-06-20 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 장치 KR100987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39233 2007-09-14
JP2007239233 2007-09-14
JPJP-P-2008-00089410 2008-03-31
JP2008089410A JP5202072B2 (ja) 2007-09-14 2008-03-31 リレ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396A KR20090028396A (ko) 2009-03-18
KR100987749B1 true KR100987749B1 (ko) 2010-10-18

Family

ID=4047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404A KR100987749B1 (ko) 2007-09-14 2008-06-20 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202072B2 (ko)
KR (1) KR100987749B1 (ko)
CN (5) CN102306572B (ko)
DE (2) DE602008003078D1 (ko)
TW (1) TWI4007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5138B2 (ja) * 2008-01-25 2010-09-0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連設型リレーユニット
JP5197480B2 (ja) * 2009-05-14 2013-05-1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電磁継電器
JP5560058B2 (ja) * 2010-01-26 2014-07-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134657B2 (ja) * 2010-07-27 2013-01-3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5566251B2 (ja) * 2010-10-12 2014-08-06 三菱電機株式会社 継電器
JP5675337B2 (ja) * 2010-12-28 2015-02-2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N102592865B (zh) * 2011-01-13 2015-11-25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用于汽车锂离子电池系统的线性高压接触器的对偶双极磁场
JP5085754B2 (ja) * 2011-03-14 2012-11-28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727862B2 (ja) 2011-05-19 2015-06-03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KR101354405B1 (ko) * 2011-06-07 2014-01-22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전자계전기 및 전자계전기의 제조방법
JP5917852B2 (ja) * 2011-08-11 2016-05-1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及びコネクタ
CN103094733B (zh) * 2013-02-04 2016-08-03 四川华丰企业集团有限公司 采用磁吹灭弧的高压电连接器
WO2014155874A1 (ja) 2013-03-27 2014-10-02 三菱電機株式会社 開閉装置
KR101812914B1 (ko) 2014-06-06 2018-01-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개폐 장치
JP6433706B2 (ja) * 2014-07-28 2018-12-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端子
CN106663556B (zh) 2014-08-18 2019-08-30 三菱电机株式会社 开闭装置
JP2016110843A (ja) 2014-12-05 2016-06-2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WO2016088402A1 (ja) 2014-12-05 2016-06-0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414453B2 (ja) 2014-12-05 2018-10-31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447919B2 (ja) * 2015-04-07 2019-0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631068B2 (ja) * 2015-07-27 2020-01-15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CN105957736B (zh) * 2016-07-27 2018-03-16 东营金丰正阳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低压接触器
JP6973200B2 (ja) 2018-03-13 2021-11-24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開閉装置
CN110783147B (zh) * 2019-09-29 2021-03-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直流接触器及汽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6061A (en) 1994-02-22 1996-08-13 Nippondenso Co., Ltd. Plunger type electromagnetic relay with arc extinguishing structure
WO2001027950A1 (fr) 1999-10-14 2001-04-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tacteur
JP2001176370A (ja) 1999-12-16 2001-06-29 Denso Corp 電磁継電器
KR100312465B1 (ko) * 1998-08-26 2001-11-03 추후제출 단극형 릴레이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9464A (en) * 1961-03-24 1965-01-06 Westinghouse Air Brake Co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o-mechanical switching device
JPS5713628A (en) * 1980-06-27 1982-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Direct current electromagnetic contactor
JPS60107551U (ja) * 1983-12-26 1985-07-2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H10326553A (ja) * 1997-05-28 1998-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リレー
JPH1140029A (ja) * 1997-07-15 1999-02-12 Daiichi Denki Kk 永久磁石付継電器
JP2004273413A (ja) * 2003-01-09 2004-09-30 Sumitomo Electric Ind Ltd 直流リレー
DE602005027433D1 (de) * 2004-07-14 2011-05-26 Panasonic Elec Works Co Ltd Elektromagnetisches relais
JP4107289B2 (ja) * 2004-12-22 2008-06-25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レー装置
JP4810937B2 (ja) * 2005-09-06 2011-11-09 オムロン株式会社 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6061A (en) 1994-02-22 1996-08-13 Nippondenso Co., Ltd. Plunger type electromagnetic relay with arc extinguishing structure
KR100312465B1 (ko) * 1998-08-26 2001-11-03 추후제출 단극형 릴레이 스위치
WO2001027950A1 (fr) 1999-10-14 2001-04-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tacteur
JP2001176370A (ja) 1999-12-16 2001-06-29 Denso Corp 電磁継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06572B (zh) 2014-01-15
TWI400737B (zh) 2013-07-01
JP5202072B2 (ja) 2013-06-05
CN102280313A (zh) 2011-12-14
CN102280314A (zh) 2011-12-14
CN101388303A (zh) 2009-03-18
CN102306572A (zh) 2012-01-04
DE602008003394D1 (de) 2010-12-23
CN102306573B (zh) 2014-01-08
CN102280314B (zh) 2014-07-09
CN102280313B (zh) 2014-07-09
KR20090028396A (ko) 2009-03-18
DE602008003078D1 (de) 2010-12-02
JP2009087918A (ja) 2009-04-23
CN101388303B (zh) 2012-05-02
TW200912983A (en) 2009-03-16
CN102306573A (zh)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749B1 (ko) 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 장치
EP2081203B1 (en) Relay
CN102543520B (zh) 单直流电弧室及采用它的双向直流电气开关设备
JP5560058B2 (ja) 電磁継電器
US8921728B2 (en) Switch unit with arc-extinguishing units
JP5675337B2 (ja) 電磁継電器
KR102531475B1 (ko) 릴레이
KR102290582B1 (ko) 개폐기
CN110574135B (zh) 具有改进的永磁灭弧的开关装置
US20240029968A1 (en) High-Voltage Arc Quenching Systems and Electrical Switching Devices Comprising the Same
CN221125758U (zh) 具有灭弧结构的继电器
WO2022239299A1 (ja) 電磁開閉器
US20240047163A1 (en) Interrupter and air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CN115210840A (zh) 触点装置和搭载该触点装置的电磁继电器
CN116438618A (zh) 触点装置和电磁继电器
JP3834986B2 (ja) 高周波信号開閉装置
CN111313307A (zh) 一种开关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