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593B1 - 투각컵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투각컵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593B1
KR100986593B1 KR1020090087817A KR20090087817A KR100986593B1 KR 100986593 B1 KR100986593 B1 KR 100986593B1 KR 1020090087817 A KR1020090087817 A KR 1020090087817A KR 20090087817 A KR20090087817 A KR 20090087817A KR 100986593 B1 KR100986593 B1 KR 100986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ody
inner body
forming
opening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복한
김현욱
Original Assignee
김복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한 filed Critical 김복한
Priority to KR102009008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1Applying decorations on shaped articles, e.g. by pa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3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the shaping of preshaped articles, e.g. by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2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moving parts of the articles by c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각컵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되어진 외부몸체(10)와 내부몸체(20)의 성형물을 각각 성형하되, 내부몸체(20)의 상단 목부분에 걸림턱(21)을 돌출 형성시키는 기물 성형단계;(ST 1) 상기 성형된 내부몸체(20)를 외부몸체(20)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하되, 상기 내부몸체(20)에 형성된 걸림턱(21)이 외부몸체(20)의 개구부에 안착 결합되어지는 몸체 결합단계;(ST 2) 상기 내부몸체(20) 및 외부몸체(10)로 이루어진 기물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외부몸체(10)의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여 모양을 천공하는 건조 및 천공단계;(ST 3) 상기 건조 후 기물을 900~1000℃의 온도에서 12~24시간 가열을 실시하는 초벌구이 단계;(ST 4) 상기 초벌구이 완료 후 유약을 도포하는 유약도포단계;(ST 5) 상기 유약이 도포된 기물을 1200~1300℃의 온도에서 12~24시간 동안 가열하는 재벌구이단계;(ST 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투각컵, 제작, 성형, 도자기, 천공

Description

투각컵 제작방법{A CERAMIC CUP MANUFACTURE METHOE}
본 발명은 투각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 재질로 성형 제작되어지는 2중 구조의 투각컵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갈라짐 현상이 방지되어질 수 있는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는 일반적으로 도기 또는 자기라도 불리우게 된다.
이러한 도자기에 사용되는 원료는 고령토, 점토, 사토 등이 있으며, 이것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성형한 다음 열을 가하여 경화시킨 제품을 말하는데, 도자기 제작과정은 흙반죽, 성형, 유약, 소성의 네단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즉, 채취해온 도자기 원료인 고령토, 점토, 사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먼저 잘게 빻아 물에 넣고 잘 저어서 그 윗물을 받아 침전된 아주 섬세한 흙을 받아야 한다.
섬세한 흙을 받기 위해서는 침전된 흙을 '질흙', 그 윗물을 '톳물'이라고 하여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톳물받기'라 하고, 도자용어로는 수비라고 한다.
이때, 사토를 물에 넣어 나무 가래로 저으면서 톳물을 일으키는 장치를 구영 통이라 하고, 톳물을 가는 채로 받쳐서 침전시키는 장치를 '땅구멍'이라 한다. 질흙이 준비되면 그릇을 만든다.
이때 그릇을 빚기 하루 전에 수비 작업을 통하여 마련되어 있는 질흙을 이긴다. 질흙을 이기는 장소를 '질귀'라고 한다.
곱게 만든 질흙 덩어리를 곰베로 빻아서 맑은 물을 부어 질귀에서 이긴다. 흙을 이기는 작업은 자기 생산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다. 질흙을 질귀의 중심에 놓고 맨발로 밟아서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식으로 반복해서 밟는다.
이기는 작업이 끝나면 하루 밤 지난 뒤에 알맞게 질흙을 떼어서 뭉친 후 널빤지 위에 놓고 손으로 돌리면서 반죽한다.
이 질흙 뭉치를 '꼬박'이라고 한다. 나무물레 위에 손질된 꼬박을 중앙에 맞추어 놓는다. 물레 밑바탕을 밖으로 차면서 돌리기 시작한다. 그와 동시에 물을 묻힌 양손 엄지로 꼬박의 중앙부를 누르고 나머지 여덟 손가락으로 외부를 쓰다듬으면서 그릇의 형을 만들어간다. 다 만들어진 그릇을 그늘에서 일주일쯤 말린 다음 그릇의 굽언저리르 깎아내어 다듬는다.
상기에서 손으로 도자기 몸체를 성형하는 방식 외에 주입성형, 압축성형, 압착프레스 성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형성한 도자기 몸체를 초벌구이하여 유약을 칠한 다음 다시 재벌구이를 하는 것이 전통 도자기의 일반적인 제작과정이다.
초벌구이는 재벌구이를 할 때 가마의 뒤칸에서 유실되는 열을 이용하여 말린다.
그릇을 초벌구이시에는 가마 내의 온도를 70℃~800℃ 까지 올려 굽고, 재벌구이시에는 초벌구이한 자기를 유약 처리한 다음 1250℃ 내외로 가열하여 구어낸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도자기의 경우 몸체 외면에 양각 또는 음각의 형태로 제조하는 방식으로 생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작되는 도자기들의 경우, 그몸체 외주연에 형성되는 문양에 대해서는 변화를 줄 수 있으나, 몸체의 형상을 성형할 때에는 구조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점 때문에 몸체를 다중 구조로 성형하는 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2중 또는 3중의 몸체 구조를 이루는 투각형 도자기의 제작 성형이 시도되고 있으나, 내부몸체와 외부몸체의 결합 후 건조과정에서 온도, 건조속도, 수축율, 습도 등으로 인한 상단 및 하단 접합부의 갈라짐 현상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서는 건조시간을 지하실에서 1~2개월 소비해야 할 뿐만 아니라, 완전하게 건조되기 전까지는 외부몸체에 문양작업 및 천공작업을 할 수 없었고, 또한 소성과정에서도 외부몸체와 내부몸체의 상단 및 하단 접합부가 갈라짐 현상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2중 구조의 투각컵 제작시 소성단계에서 외부몸체의 수축에 따른 내부몸체와의 접촉부위에서 갈라짐 현상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작 실패율을 감소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각각 개구되어진 외부몸체와 내부몸체의 성형물을 성형하되, 상기 외부몸체의 상부 개구부의 직경은 내부몸체의 몸통 직경보다 크게 성형하는 기물 성형단계;(ST 1) 상기 성형된 내부몸체를 외부몸체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하되, 상기 내부몸체는 상단 목부분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외부몸체의 개구부에 안착 결합되어지는 몸체 결합단계;(ST 2) 상기 내부몸체 및 외부몸체로 이루어진 기물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외부몸체의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여 모양을 천공하는 건조 및 천공단계;(ST 3) 상기 건조 후 기물을 900~1000℃의 온도에서 12~24시간 가열을 실시하는 초벌구이 단계;(ST 4) 상기 초벌구이 완료 후 유약을 도포하는 유약도포단계;(ST 5) 상기 유약이 도포된 기물을 1200~1300℃의 온도에서 12~24시간 동안 가열하는 재벌구이단계;(ST 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2중 구조의 투각컵 성형 제작과정에서 내부몸체와 외부몸 체 사이에 측벽 및 바닥면에서 일정 이격간격이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치수를 계산하여 각 몸체를 성형하고 이들을 결합함으로서 이후 건조 및 소성과정에서 기물의 수축에 따른 갈라짐 현상이 방지되어 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는 외부몸체와 내부몸체 간에 일정 이격 간격이 유지되면서 결합되므로 건조시 몸체간에 갈라짐 현상이 발생 되지 않아,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할 뿐만 아니라, 건조 시 외부몸체에 문양작업 및 천공작업이 가능하므로 생산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투각컵 제작과정을 도 4 내지 도 8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성형물 성형단계>(ST 1)
본 발명의 투각컵 몸체를 제작하기 위한 도자기 흙은 통상의 도자기 재료 흙을 준비하고 흙을 걸래내고 반죽하고 치대는 일련의 공정은 통상의 공정을 따른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흙을 기계물레를 이용하여 외부몸체(10)와 내부몸체(20)를 각각 성형한다.
이때, 외부몸체(10)와 내부몸체(20)는 각각 상부가 개방된 입구부를 형성시키게 되는데, 내부몸체(20)의 상단 목부분에는 걸림턱(21)이 돌출되도록 성형 제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내부몸체(20)의 몸통 직경(d)이 도 4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외부몸체(10)의 상단 개구부 직경(D)보다 작도록 성형함으로서, 이후 몸체 결합단계(ST 2)에서 내부몸체(20)를 결합하였을 때 외부몸체(10)의 개구부 내경과 일정 이격간격(h1)이 형성되도록 해야한다.
또한, 내부몸체(20)의 저면에서 걸림턱(21) 까지의 높이가 외부몸체(10)의 바닥면에서 상단 개구부 까지의 높이보다 작도록 성형함으로서, 이후 몸체 결합단계(ST 2)에서 내부몸체(20)를 결합하였을 때 외부몸체(10)의 바닥면이 내부몸체(20)의 저면과 접촉되지 않고 일정 이격간격(h2)이 형성되도록 해야한다.
<몸체 결합단계>(ST 2)
이와 같이 성형 제작되어진 외부몸체(10)의 내부에 내부몸체(20)를 삽입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결합 상태를 도 5a에 단면도로 나타내었다.
특히, 도 5a부의 A부 및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6 및 도 7을 통해 확인되어지는 바와 같이 안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외부몸체(10)와 내부몸체(20) 사이에 외벽 및 바닥면에서 상호 0.5~1mm 범위의 일정 이격간격(h1,h2)이 형성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 결합이 이루어지면, 결합부위의 외벽면을 따라 물을 뿌려주면서 손으로 문질러 주어 마무리함으로서 결합부위가 보다 자연스럽게 나타내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건조 및 천공단계>(ST 3)
한편, 상기와 같이 2중 구조로 결합된 기물은 약 1~2주 동안 자연건조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건조과정에서 천공형성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즉, 건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외부몸체(10)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시킨 후, 문양 모양에 따라 천공을 실시함으로서, 천공부위인 무늬공(11)을 통해 내부몸체(20)가 나타내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성형의 편리성을 위해 물을 스프레이 분사하면서 작업을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초벌구이 단계>(ST 4)
이후, 기물을 900~1000℃의 온도에서 12~24시간 가열소성을 실시하는 초벌구이작업을 실시한다.
<유약도포 단계>(ST 5)
초벌구이가 완료된 도자기는 유약을 도포한 후 음지에서 유약을 완전히 건조시킨다.
<재벌구이 단계>(ST 6)
건조 후 기물을 가마에서 1200~1300℃의 온도에서 12~24시간 가열소성을 실시하는 재벌구이를 실시함으로서 2중 몸체의 도자기 제작이 완성되어지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완성된 본 발명 투각도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외부몸체(10)에는 다양한 문양이 투각되어진 무늬공(11)이 형성되어짐과 함께 무늬공(11)을 내부몸체(20)가 나타내어짐으로서 2중 도자기 형태가 표출되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이 제작된 투각컵은 소성가열 과정에서 외부몸체(10)의 수축으 로 인해 0.5~1mm의 각 이격간격(h1,h2)이 점차 줄어들면서, 도 3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내부몸체(20)와 자연스럽게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외부몸체(10)의 크랙(갈라짐) 발생이 방지되고 제품의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작 완성된 투각컵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작 완성된 투각컵 측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작 완성된 투각컵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내부몸체와 외부몸체 분리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소성전 몸체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5a는 천공작업 전 상태도.
5b는 천공작업 후 상태도.
도 6은 도 5a의 A부 확대도.
도 7은 도 5a의 B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투각컵 제작과정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부몸체 11 : 무늬공
20 : 내부몸체 21 : 걸림턱

Claims (5)

  1. 상부가 개구되어진 외부몸체(10)와 내부몸체(20)의 성형물을 각각 성형하되, 내부몸체(20)의 상단 목부분에 걸림턱(21)을 돌출 형성시키며, 내부몸체(20)의 저면에서 걸림턱(21) 까지의 높이가 외부몸체(10)의 바닥면에서 상단 개구부 까지의 높이보다 작도록 성형함으로서, 이후 몸체 결합단계(ST 2)에서 내부몸체(20)를 결합하였을 때 외부몸체(10)의 바닥면이 내부몸체(20)의 저면과 접촉되지 않고 일정 이격간격(h2)이 형성되도록 하고, 내부몸체(20)의 몸통 직경(d)이 외부몸체(10)의 상단 개구부 직경(D)보다 작도록 성형함으로서, 이후 몸체 결합단계(ST 2)에서 내부몸체(20)를 결합하였을 때 외부몸체(10)의 개구부 내경과 일정 이격간격(h1)이 형성되도록 하는 기물 성형단계;(ST 1)
    상기 성형된 내부몸체(20)를 외부몸체(20)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하되, 상기 내부몸체(20)에 형성된 걸림턱(21)이 외부몸체(20)의 개구부에 안착 결합되어지는 몸체 결합단계;(ST 2)
    상기 내부몸체(20) 및 외부몸체(10)로 이루어진 기물을 자연건조 방식으로 1~2주 동안 건조시킴과 함께 외부몸체(10)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면서 무늬를 형성하여 모양을 천공하는 건조 및 천공단계;(ST 3)
    상기 건조 후 기물을 900~1000℃의 온도에서 12~24시간 가열을 실시하는 초벌구이 단계;(ST 4)
    상기 초벌구이 완료 후 유약을 도포하는 유약도포단계;(ST 5)
    상기 유약이 도포된 기물을 1200~1300℃의 온도에서 12~24시간 동안 가열하는 재벌구이단계;(ST 6)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투각컵 제작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87817A 2009-09-17 2009-09-17 투각컵 제작방법 KR100986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817A KR100986593B1 (ko) 2009-09-17 2009-09-17 투각컵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817A KR100986593B1 (ko) 2009-09-17 2009-09-17 투각컵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6593B1 true KR100986593B1 (ko) 2010-10-08

Family

ID=4313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817A KR100986593B1 (ko) 2009-09-17 2009-09-17 투각컵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9365A (zh) * 2017-04-18 2017-09-12 界首市卢氏刻花彩陶有限公司 一种紫砂上釉杯具的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378Y1 (ko) 1996-06-18 1999-09-01 성문영 내부가 투과되는 도자기
KR20010055378A (ko) * 1999-12-10 2001-07-04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니트
KR20030002592A (ko)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레아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KR100381916B1 (en) * 2002-10-25 2003-04-26 Young An Jang Method for forming embossed pattern and letter of pottery
KR100887734B1 (ko) * 2008-07-23 2009-03-12 장영안 3중 투각 도자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378Y1 (ko) 1996-06-18 1999-09-01 성문영 내부가 투과되는 도자기
KR20010055378A (ko) * 1999-12-10 2001-07-04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니트
KR20030002592A (ko)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레아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KR100381916B1 (en) * 2002-10-25 2003-04-26 Young An Jang Method for forming embossed pattern and letter of pottery
KR100887734B1 (ko) * 2008-07-23 2009-03-12 장영안 3중 투각 도자기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9365A (zh) * 2017-04-18 2017-09-12 界首市卢氏刻花彩陶有限公司 一种紫砂上釉杯具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295B1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CN101722788A (zh) 仿古绞胎瓷及其制作方法
CN104773997B (zh) 一种绞胎陶瓷仿古砖的制备方法
KR101430128B1 (ko) 점토 소성 완구 브릭의 제조방법 및 그 사용방법
KR100969267B1 (ko) 투각 도자기 제조방법
CN206899450U (zh) 新型无范痕范制葫芦模具
KR100922220B1 (ko)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
KR100986593B1 (ko) 투각컵 제작방법
KR100887734B1 (ko) 3중 투각 도자기 제조방법
KR101348080B1 (ko)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가진 띠가 구현된 도자기의 제조 방법
CN103271597B (zh) 一种大规格陶瓷寄花和彩绘装饰的镜框生产方法
CN106495653A (zh) 一种基于数字技术的龙泉青瓷手印制作及收缩补偿方法
CN106977211B (zh) 活嵌陶瓷坯体及活嵌陶瓷器的制备方法
CN110128104A (zh) 一种吸水陶瓷
KR101295499B1 (ko) 도자기 제조방법
KR101104246B1 (ko) 도자기 뚜껑의 손잡이 제조방법
CN103803946A (zh) 一种水晶茶壶的制作方法
KR200431014Y1 (ko) 액세서리용 연리문 청자
JP2007099558A (ja) 宝石を装着した陶磁器又は陶器の製造方法
JP5244057B2 (ja) 人造星砂等の飾りをちりばめた陶磁器の製造方法
KR101092559B1 (ko) 창문투시효과를 갖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751255B1 (ko) 칠기 도자기에 나뭇잎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101783110B1 (ko) 도자 쥬얼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도자 쥬얼리
CN110872186A (zh) 一种水晶茶壶
CN110053134A (zh) 陶瓷工艺品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