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220B1 -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220B1
KR100922220B1 KR1020080000926A KR20080000926A KR100922220B1 KR 100922220 B1 KR100922220 B1 KR 100922220B1 KR 1020080000926 A KR1020080000926 A KR 1020080000926A KR 20080000926 A KR20080000926 A KR 20080000926A KR 100922220 B1 KR100922220 B1 KR 100922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er
porcelain
lacquer
pearl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140A (ko
Inventor
권영길
Original Assignee
권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길 filed Critical 권영길
Priority to KR102008000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22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5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를 끊이고 마시는데 필요한 도자기 차도구에 관한 것으로, 백토와 사질점토로 이루어진 도자기(30)에 도자기와 자개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정재된 생옻을 도자기 표면에 도포한 후 끈적끈적할 정도로 1~2시간 건조시키고 150~200°C로 2시간 저온소성하여 자개를 도자기에 붙임으로 인하여 박리되지 않도록 구성한 후, 자개문양(60)이 부착된 도자기에 옻칠을 4~5회 반복하여 상칠(200)하여 다시 도자기의 자개문양(60)의 표면을 사포로 1000번정도 곱게 갈아주어 도자기 표면의 자개문양(60)이 현저하게 부각되어 도자기 표면이 미려하면서도 여러번 옻칠을 함으로 인하여 옻칠된 도자기의 고유한 멋을 느낄 수 있어 바쁜 일상에서 여유를 가지고 차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 차도구, 옻칠, 자개문양

Description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A Japanning Chinaware and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차를 끊이고 마시는데 필요한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 차도구에 관한 것으로 여러가지의 색상으로 표현되는 옻칠과 여러 형상으로 가공된 자개를 이용하여 다양한 무늬의 모양을 구현하기 위한 것인데 옻칠은 접착력이 강하고, 방수, 방충, 절연성을 지니는 동시에 광택이 뛰어 나다는 장점이 있어 도자기(30)에 사용할 경우 자개가 도자기(30)에서 박리되지 않으며 옻칠 특유의 광택을 발하여 심미와 온미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도자기는 유약을 발라 소성하여 완성된 것으로 오래 사용할 경우 방수효과가 낮아지고 균열이 생길수 있으며 무색의 광택을 띄고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져 사용되어 지고 있다.
종래에서는 목제, 금속, 의류, 신발등에 옻칠을 이용하는데 부패나 균열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또한 건강식품이나 약제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옻칠은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옻칠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쓰이는 목제, 금속, 의류등 여러 가지에 사용되어 변질이나 부패 균열을 막아 줌으로 오래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자기(30)로 성형된 차도구의 표면에 옻칠을 하기위한 것으로 모든 물건이 그렇듯 오래사용하게되면 색이 바래거나 균열이 생겨 사용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옻칠을 함으로 인하여 균열을 막을 수 있고 오래 사용할수록 고유의 색깔을 뛰어 전통차의 멋과 맛을 음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옻칠한 면으로 자개를 꽃모양으로 부착함으로 인하여 차 맛을 높일 수 있고 전통 차도구의 멋을 느낄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성형된 도자기(30)를 유약을 바르지 않고 초벌소성과 재벌소성 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생옻을 도자기 표면에 골고루 도포한후 1~2시간 정도 완전히 마르지 않는 끈적끈적한 상태로 건조후 150~200°C로 2시간 저온소성하면 옻칠의 접착력이 높아져서 여러 가지 문양을 가지는 자개를 부착함에 있어서 도자기(30)로부터 박리되지 않도록 하며 주칠, 흑칠, 생칠, 토칠의 순으로 4~5회 반복칠하여 30~60일 건조시킨 후 자개문양 표면을 사포로 1000번 정도 문질러 표면을 곱게 갈아주어 완성함으로 인하여 접착력이 강하고, 내산성, 내열성이 높으며, 방수, 방출, 절연성을 지니는 동시에 광택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옻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이 자연 본연의 색을 띄게 되므로 더 아름답게 표현되는 것으로 차를 마시는데 있어 시각적으로도 눈을 즐겁게 하고 차를 마시면서 바쁜일상에서의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자기에서 자개가 박리되지 않도록 초칠(100) 후에 여러 가지 문양으로 이루어진 자개문양(60)을 접착하여 외부충격에도 자개문양(60)이 도자기에서 분리되지 않는 동시에 도자기 차도구의 표면에 옻칠을 함으로 인하여 방수와 균열을 막아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주칠, 흑칠, 생칠, 토칠의 순으로 상칠(200) 한 후 자개문양(60)에 사포질을 가함으로써 도자기의 표면 전체로 상칠(200)로 인한 미려함을 갖는 동시에 자개문양(60)이 표출되어 도자기의 멋스러움을 극대화할 수 있는 그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옻칠은 산이나 알칼리에도 녹지 않으며 내염성, 방부, 방충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옛날부터 금속, 목제등에 사용되어 온 것으로 옛날에는 옻칠을 함으로 부식과 균열을 방지하여 오래도록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실용성이 중요시 여겨져 왔으나 현대에 와서는 실용성도 중요하지만 옻칠을 함으로 표면의 광택이 전통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어 진다.
또한 옻칠은 살아있는 칠이어서 2~3년 후에는 색이 살짝빠지면서 제색이 나와 도자기의 본연의 색이 더욱 두드러지도록 하여 자연 본래의 색을 보여준다.
본 발명 또한 상기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 및 차도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백토와 사질점토로 이루어진 도자기(30)에 도자기와 자개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정재된 생옻을 도자기 표면에 도포한 후 끈적끈적할 정도로 1~2시간 건조시키고 150~200°C로 2시간 저온소성하여 자개를 도자기에 붙임으로 인하여 박리되지 않도록 구성한 후, 자개문양(60)이 부착된 도자기에 옻칠을 4~5회 반복하여 상칠(200)하여 다시 도자기의 자개문양(60)의 표면을 사포로 1000번정도 곱게 갈아주어 도자기 표면의 자개문양(60)이 현저하게 부각되어 도자기 표면이 미려하면서도 여러번 옻칠을 함으로 인하여 옻칠된 도자기의 고유한 멋을 느낄 수 있어 바쁜 일상에서 여유를 가지고 차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제조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차도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차도구의 단면도로써,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본 발명의 도자기(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으로 상칠이 구성되며 나타내고자 하는 문양의 문양자개를 구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의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도자기의 외부 형태를 구성하기 위해 백토와 사질점토를 원재료로 하여 성형작업을 통해 일정형태 또는 공지의 도자기 및 차도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기물을 구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물을 초벌소성과 재벌소성하여 자기질 또는 반자기질화 시키는 1단계; 상기 자기질화 또는 반자기질화된 기물의 표면으로 정재한 생옻을 도포 후 1~2시간 끈적끈적할 정도로 건조시킨 다음 150~200°C에서 다시 2시간 저온소성하는 2단계; 여러모양으로 구현된 자개문양(60)을 기물의 표면에 부착하는 3단계; 자개가 부착된 도자기 표면에 상칠(200)을 4~5회 반복칠하여 건조하여 완성하는 4단계; 상기 상칠(200)된 기물의 자개문양(60) 표면을 사포로 문질러 기물의 표면으로 자개문양(60)이 표출되는 5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 및 차도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2단계의 초칠(100)을 한 후 자개문양(60)이 부착되는 3단계 공정이 실시됨으로써 옻이 가지는 접착력을 통해 도자기 표면의 자개문양(60)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자기의 표면으로 상칠(200)이 이루어지는 4단계 후, 자개문양(60)에 한정하여 상칠(200)을 벗겨내도록 사포질이 이루어지는 5단계 공정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칠(200)작업을 통하여 도자기의 표면이 이루어지면서도 자개문양(60)은 상칠(200)이 벗겨져 자개문양(60)이 표출되어 옻칠의 미려함과 자개문양(60)의 미려함이 동시에 구현될 수 있는 도자기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상칠(200)은 생칠, 주칠, 흑칠, 토칠로 구분되며 첫째, 생칠(300)은 옻나무 표피에 상처를 내면 상처로부터 유회백색의 유액의 수지가 나오는데 이것을 생칠이라하고, 둘째, 주칠(100)은 칠액에 황화수소나 황화철이나 천연진사(天然辰砂)를 섞어 만드는 것을 말하며, 셋째, 흑칠(200)은 칠액에. 송연(松煙)·유연(油煙)·칠연(漆煙)을 섞어 검은색을 내지만, 남양산은 천연상태에서 검은색을 나타내며, 넷째, 토칠은 흙 가루와 생옻칠을 곱게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옻칠은 다른 말로는 색을 입힌다는 뜻도 되는데 이처럼 사용방법에 따라 색을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화학약품이 아닌 천연재료의 도료로 알려져 있을 만큼 그 용도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공정처리 과정은 도자기 성형 및 초벌구이 및 재벌구이<초칠 및 초칠건조<자개문양 부착<상칠 및 상칠건조<자개문양 표면정리 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
1단계 : 도자기 성형 및 초벌구이 및 재벌구이
백토와 사질점토로 물레성형하여 1150°C로 구워진 도자기(30)를 건조시키고 성형된 도자기(30)를 유약을 바르지 않고 다시 재벌소성하기 위한 것으로 옻을 칠하고자 하는 부위는 유약을 칠하지 않고 반자기질. 자기질화 시킨다
2단계 : 초칠(100) 및 초칠건조
정재한 생옻을 도자기 표면에 도포후 1~2시간(끈적끈적한 상태)로 건조시킨후 150~200°C로 2시간 저온소성 한다.
3단계 : 자개문양(60) 부착
초칠(100)된 도자기 표면에 여러 가지 문양으로 만들어진 자개문양(60)을 일정한 간격으로 외부표면의 중앙을 돌아가면서 하나로 연결된 무늬를 형성한다.
4단계 : 상칠(200) 및 상칠 건조
초칠(100)후 차도구 기물을 4~5회 주칠, 흑칠, 생칠, 토칠의 순으로 반복칠하여 30~60일 건조시킨다.
5단계 : 자개문양(60) 표면정리
자개문양에 적층된 상칠(200)층을 1000번정도 사포로 문질러 상칠(200)을 벗겨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차도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차도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 도자기 60 : 자개문양
100 : 초칠 200 : 상칠

Claims (2)

  1. 표면으로 옻칠이 구성되는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백토와 사질점토를 통해 일정형태로 성형된 기물을 초벌소성과 재벌소성하여 자기질 또는 반자기질화 시키는 1단계; 상기 자기질화 또는 반자기질화된 기물의 표면으로 정재한 생옻을 도포 후 일정시간에 걸쳐 건조시킨 후 저온소성하는 2단계; 여러모양으로 구현된 자개문양(60)을 기물의 표면에 부착하는 3단계; 자개가 부착된 도자기 표면에 상칠(200)을 4~5회 반복칠하여 건조하여 완성하는 4단계; 상기 상칠(200)된 기물의 자개문양 표면을 사포로 문질러 기물의 표면으로 자개문양이 표출되는 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
  2.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정재한 생옻을 도포 후 1~2시간 건조시킨 후 150~200°C에서 다시 2시간 저온소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
KR1020080000926A 2008-01-03 2008-01-03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 KR100922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926A KR100922220B1 (ko) 2008-01-03 2008-01-03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926A KR100922220B1 (ko) 2008-01-03 2008-01-03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140A KR20090075140A (ko) 2009-07-08
KR100922220B1 true KR100922220B1 (ko) 2009-10-20

Family

ID=4133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926A KR100922220B1 (ko) 2008-01-03 2008-01-03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2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718B1 (ko) * 2011-06-17 2011-12-16 이용석 불투명 유약을 이용한 옻칠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47488B1 (ko) 2012-07-02 2014-01-03 장용덕 직화내열용 친환경 옻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711008B1 (ko) 2016-03-18 2017-03-03 (주)메가크리에이트 원두커피 찌꺼기를 활용한 항균 다공성 세라믹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732B1 (ko) * 2015-01-22 2015-05-08 방기탁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KR20180065675A (ko) * 2016-12-08 2018-06-18 김화원 내구성이 우수한 세라믹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95690B1 (ko) 2016-12-09 2018-09-07 최성진 단어 카드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30143B1 (ko) * 2021-04-26 2023-05-08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도자기 재질 핸드드립 커피추출장치의 나노옻칠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제품 및 나노 옻칠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367A (ko) * 1987-06-04 1989-03-14 박송현 옻칠도자기 제조방법
KR20020023497A (ko) * 2000-09-22 2002-03-29 하종철 도태칠기(陶胎漆器) 기법
KR100676911B1 (ko) * 2004-11-20 2007-01-31 이한영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367A (ko) * 1987-06-04 1989-03-14 박송현 옻칠도자기 제조방법
KR20020023497A (ko) * 2000-09-22 2002-03-29 하종철 도태칠기(陶胎漆器) 기법
KR100676911B1 (ko) * 2004-11-20 2007-01-31 이한영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718B1 (ko) * 2011-06-17 2011-12-16 이용석 불투명 유약을 이용한 옻칠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47488B1 (ko) 2012-07-02 2014-01-03 장용덕 직화내열용 친환경 옻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711008B1 (ko) 2016-03-18 2017-03-03 (주)메가크리에이트 원두커피 찌꺼기를 활용한 항균 다공성 세라믹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140A (ko)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220B1 (ko)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
KR101518732B1 (ko)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KR100945787B1 (ko) 갯벌흙을 이용한 유약 및 이를 이용한 흑색, 황색 반점을 갖는 도자기 제조방법
KR101424594B1 (ko) 표피문양이 형성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69065B1 (ko) 석영 칠보 도자의 제작 방법
CN104859020A (zh) 一种驱蚊蚁竹木地板的制备工艺
CN110893737A (zh) 一种陶胎漆器的制备方法
KR100978047B1 (ko) 황토 및 기타 점토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된 건축 내외장재에 옻칠을 도포하는 방법
KR101134026B1 (ko) 옻칠을 이용한 자개 부착 방법
KR20110040551A (ko) 옻칠을 이용한 장신물의 제조방법
KR100887734B1 (ko) 3중 투각 도자기 제조방법
CN109703260A (zh) 一种茶壶陶瓷漆器的制备方法
KR20130130348A (ko) 목기의 터치 옻칠 방법
WO2020258482A1 (zh) 一种应用于原石石材的漆线雕工艺
KR100690555B1 (ko) 건축 내장재와 그 제조방법
KR20020023497A (ko) 도태칠기(陶胎漆器) 기법
CN100497004C (zh) 一种灯具漆艺制品的加工方法
KR20030025355A (ko) 옻칠 납골함의 제작방법
KR20090019062A (ko) 목기의 터치 옻칠기법
KR200246427Y1 (ko) 도자기
CN104609898A (zh) 玻璃的缩聚反应釉及其制作方法
KR20120040643A (ko) 옻칠을 이용한 타일 제조방법
CN103113083A (zh) 一种船螺贝壳电镀装饰陈设艺术瓷器的制造方法
CN103172352A (zh) 一种仿珍珠镶钻装饰陈设艺术瓷器的制造方法
KR200430749Y1 (ko) 전사지 코팅 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