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2592A -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 Google Patents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2592A
KR20030002592A KR1020010038259A KR20010038259A KR20030002592A KR 20030002592 A KR20030002592 A KR 20030002592A KR 1020010038259 A KR1020010038259 A KR 1020010038259A KR 20010038259 A KR20010038259 A KR 20010038259A KR 20030002592 A KR20030002592 A KR 20030002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indow
light transmission
transmission window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아
Priority to KR1020010038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2592A/ko
Publication of KR20030002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59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4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with a lamp hous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oor or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6Ornamental or decora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용 또는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자기로 형성된 몸체에 다수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투과창을 형성하여 도자기의 멋스러움과 함께 광투과창을 통하여 방출되는 고상하면서도 은은한 빛으로 장식미를 한층높일 뿐만 아니라 건강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시키는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A porcelain lamp having windows}
본 발명은 조명용 또는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자기로 형성된 몸체에 다수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광투과창을 형성하여 도자기의 멋스러움과 함께 광투과창을 통하여 방출되는 고상하면서도 은은한 빛으로 장식미를 한층 높인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등은 내부에 전구와 같은 발광구를 내장하고 그 외부에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기 위한 갖을 설치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근자에는 장식미를 더하기 위하여 갖가지 형태의 캐이스를 갖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것 가운데 내열성이 우수한 전통적인 도자기를 외부 캐이스로 활용하여 등을 구성한 예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도자기를 이용한 등은 도자기로 형성되며 내부의 광원이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상부본체, 하부본체 및 갖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자기를 이용한 등은 광원이 방출되기 위한 통공이 도자기 본체의 벽을 완전히 통개한 통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의 직사광선이 그대로 외부로 방사되어, 사람의 눈에 직접 쪼여지게 된다. 따라서 눈이 쉽게 피로하여 사용에 불편함이 따랐다.
또한 종래의 도자기를 이용한 등은 측면의 통공으로 빛을 방출하는 일률적인 형식이어서 다양한 변형을 가할수가 없으므로 그 구조가 제한되어 획일적이라는 단점 또한 갖고있어서, 도자기의 기품있는 멋스러움과 함께 눈의 피로를 줄이고 다양한 변형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자기등이 갖고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도자기로 형성된 몸체에 다수의 광투과창을 형성하여 내부의 광선이 여과없이 눈에 직접 쬐여지는 것을 방지할 뿐 만 아니라, 광투과창 특유의 선택적 광투과로 인해 조명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도자기등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성된 유약(또는 안료)로 광투과창을 형성하여 원적외선 방출효과를 제고하여 인체에 유익한 도자기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도자기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장치 및 발광구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에는 상기 발광구에서 발산하는 빛이 통과하는 다수의 광투과창이 형성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는 바, 이하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3a 내지 도3g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광투과창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4a,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광투과창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상태도
도6a,6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광투과창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체 종단면도
도8a 내지 도8g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9a 내지 도9f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의 정면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몸체 2: 광투과창
3: 전원장치 4: 발광구
5: 통개구 20~26: 유약막
30,30`: 패류 50: 보석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2는 그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자기로 형성되는 몸체(1)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장치(3) 및 발광구(4)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에는 상기 발광구에서 발산하는 빛이 통과하는 다수의 광투과창(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원장치(3)는 조명장치등에서 사용하는 통상적인 것이므로 자세한 언급은 생략하며, 발광구 역시 통상적인 전구(또는 원적외선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구를 지지접속하는 소켓을 구비함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은 도자기로 형성되는 몸체에 내부의 빛이 통과될 수 있는 부분을 형성하되, 상기 빛이 통과되는 부분은 완전히 통개된 것이 아니라 빛이 선택적(또는 전투과도 가능)으로 통과될 수 있는 창으로 형성하여 통개시키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몸체의 상부는 완전히 통개된 통개부(5)로 형성하여 빛이 천정을 향해 직접 조사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천정에 조사된 빛은 반사되어 간접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한다. 또한 위에 뚜껑을 두어 취침 시 빛의 양을 줄이거나 구형으로 제작하여 취침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의 눈에 직접조사될 수 있는 방향인 몸체의 측면부는 통개시키지 않고 광투과창을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인 광투과창의 구성을 이하 상세히 설펴보면 먼저 도3a에서와 같은 형태의 제1실시예를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투과창을 형성하기 위해서 몸체에 다수 형성한 통개공에 유약막(20)을 입힌 후 이를 소성(구워서)시켜 유약막에 의한 광투과창을 구성한 것이며, 상기 유약막(20)은 통개공의 주위를 막의 형태로 밀봉하는 것이다.
본 예에서는 기본적으로 유약막이 입혀지는 통개공의 통개된 선단부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유약은 유약막이 뚫어지지 않고 통개공을 완전히 덮을 수 있을 정도의 점도를 갖추고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3b 내지 도3g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약막이 씌워지는 상기 통공은 유약막의 용이한 형성을 위해 그 통공의 단부가 경사진 여러 형태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도3b는 몸체의 바깥쪽 벽면(1`)에서 안쪽 벽면(1``) 쪽으로 통공의 단부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한 것이며, 즉, 통공의 단부의 단면형상이 안쪽 벽면 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유약막(21)은 몸체의 안쪽 벽면 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게 된다.
도3c는 도3b의 예와는 반대로 몸체의 안쪽 벽면(1``)에서 바깥쪽 벽면(1`) 쪽으로 통공의 단부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한 것이며, 즉, 통공의 단부의 단면형상이 바같쪽 벽면 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유약막은(22) 몸체의 바깥쪽 벽면 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게 된다.
도3d는 도3b의 통공의 단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경사도가 더 작은 형태를 보여준다. 본 예는 도3b의 예에서 보다 유약막(23)의 두께가 더 두꺼워 지게된다.
도3e는 도3c의 통공의 단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경사도가 더 적은 형태를 취한다. 본 예는 도3c의 예에서 보다 유약막(24)의 두께가 더 두꺼워 지게된다.
도3f는 몸체의 바깥쪽 벽면(1`)과 안쪽 벽면(1``) 쪽에서 벽면의 중앙 쪽으로 통공의 단부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한 것이며, 즉, 통공의 단부의 단면형상이 양쪽 벽면 쪽에서 벽면의 중앙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유약막(21)은 몸체의 벽면의 중앙(두께상으로) 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게 된다.
도3g는 몸체의 통공의 단부의 상부는 벽면의 중앙쪽으로 경사지며, 하부는 경사 없이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하였다. 본 예에서는 유약막이 통공의 상부에서는 얇고 하부에서는 두껍게 형성되게 된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그 변형예를 보여준다. 제2실시예는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광투과창이 몸체에(1) 형성된 통공에 얇게 절각한 패류(30)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패류가 통공의 바깥쪽에 부착된 것이며, 즉 몸체의 바깥쪽 면에 부착되어 형성된 것이다.
본 예의 변형예는 패류(30`)가 통공의 안쪽에 부착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아름다우면서도 빛을 반투과시키는 패류를 이용하므로써 영롱하고 은은한 조명빛을 얻을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몸체에 다수의 V형 홈(13)을 형성하고 상기 V형 홈에는 유약막을 소성하여 형성시킨 것이다.
도6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이고, 도6b는 그 변형예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4실시예는 광투과창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창은 몸체(1)에 형성된 통공에 보석(50)이 끼워지고 접착제(51)에 의해 고정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변형예는 광투과창은 몸체(1)에 형성된 통공에 보석(50`)이 끼워지고, 그 틈새에 유약막이 소성형성됨으로써 밀봉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석(50,50`)은 루비,사파이어,오팔,다이아 등등 여러 종류의 것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종류 마다 투과시키는 빛이 다르므로 각기 독특한 조명빛을 제공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투과창(2`)은 다수가 특정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광투과창은 빛을 한쪽 방향으로만 투과시키도록 편광판이 부착되어 형성되거나 일정한 각도록 갖는 구멍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광판의 편광각도에 따라 내부의 발광구(4)에 의한 빛은 측방 또는 천정쪽으로만 비춰지도록 할 수 있으며, 광투과창(2`)을 별자리 모양 등으로 형성하면, 아름다운 별자리가 천정 또는 실내 벽면에 투영되어 독특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된다.
도8a 내지 도8f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몸체(1,1`,1``)의 형상을 타원형,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미감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양한 형태의 몸체에 문틀(60,60`,60``)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문틀은 몸체의 상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나무틀은 나무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며, 이 외에도 가공이 용이한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틀을 설치하는 방법은 우선 몸체형상을 흙으로 빚은 후 초벌전 또는 초벌후에 몸체에 창틀 또는 문틀의 형태로 구멍을 형성한다. 이 후에 유약을 발라 재벌구이 하며, 재벌후 상기 문틀(또는 창틀) 구멍의 형태와 크기로 나무로 문틀(60,60`,60``)을 깍아 상기 문틀 구멍에 끼워 넣는다(접착제 사용가능).
이와 같이 문틀(또는 창틀)은 설치 후 또는 설치 전에 상기 문틀에 다양한 종류의 광투과창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문틀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모양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문틀에 다수의 소공(70)을 통개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문틀은 가장자리만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도8d에서와 같이 격자창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격자창 형태의 문틀에는 종이를 바르거나 보석등의 광투과판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문틀에는 스테인글라스(61`)나 우각편(61``) 또는 보석이나 셀루판, 패류,유리판, 종이 등의 광투과판을 부착하여 광투과창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공(70)위에는 보석이나 패류등의 상기 광투과판을 직접 부착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상기 다수의 광투과판 이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소공을 통하여 빛이 선택투과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8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창의 모양을 사각형,원형 또는 삼각형 등의 다각형을 갖는 틀(70)과 그 틀의 안쪽으로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는 다양한 모양의 광투과판(50)을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 광투과판(50)은 역시 보석이나 패류, 또는 종이,유리,셀로판지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얇은 막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역시 상기 다양한 모양의 광투과창용을 형성하기 위한 작은 구멍을 몸체의 초벌전 또는 초벌후에 형성하고, 유약바른 후 재벌하여 몸체를 도자기로 완성시킨 후 상기 구멍에 맞추어 틀(70)을 끼워넣어 완성한다.
이때 틀은 억지끼움식, 또는 접착제 부착식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자기로 형성된 몸체에 다양한 구조의 광투과창을 형성하여 내부의 빛이 직접 외부로 방사되는 것이 아니라 광투과창에 의해서 특정 파장이 흡수되어 선택적으로 도자기등 외부로 빛이 방사되므로써, 눈에 피로감을 저감시켜서 사용의 편리함을 더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투과창을 유약막으로 형성할 경우, 빛이 유약막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약막에서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되어 인체에도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석이나 패류를 광투과창으로 형성하여 아름다운 보석빛깔을 더욱 선명하고 밝게하여 품격을 더하고, 예술적인 감상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을 이용한 광투과창의 구성에 의해서는 천체의 별자리 공부나 기타 교육용 학습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게되어 실로 다대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8)

  1. 도자기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장치 및 발광구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에는 상기 발광구에서 발산하는 빛이 통과하는 다수의 광투과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통개구(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창은 몸체에 형성된 통공에 유약막이 소성형성되어 씌워져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약막이 씌워지는 상기 통공은 유약막의 용이한 형성을 위해 그 통공의 단부가 경사진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창은 몸체에 형성된 통공에 얇게 절각한 패류가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창은 몸체에 V형 홈을 형성하고 상기 V형 홈에 유약막이 소성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창은 몸체에 형성된 통공에 보석이 끼워지고 접착제(51)에 의해 고정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창은 몸체에 형성된 통공에 보석이 끼워지고, 그 틈새에 유약막이 소성됨으로써 밀봉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구는 원적외선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창은 다수가 특정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광투과창은 빛을 한쪽 방향으로만 투과시키도록 편광판이 부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창은 다수가 특정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상기 광투과창은 빛을 한쪽 방향으로만 투과시키도록 일정한 각도록 갖는 구멍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창은 중앙에 광투과판(50)이 설치된 틀(70)이 상기 몸체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13. 도자기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원장치 및 발광구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에는 광투과창용의 문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에는 종이가 부착되어 광투과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은 격자창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에는 다수의 광투과용 소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에는 광투과판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18.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창은 반투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KR1020010038259A 2001-06-29 2001-06-29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KR20030002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259A KR20030002592A (ko) 2001-06-29 2001-06-29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259A KR20030002592A (ko) 2001-06-29 2001-06-29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679U Division KR200249389Y1 (ko) 2001-06-29 2001-06-29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592A true KR20030002592A (ko) 2003-01-09

Family

ID=27712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259A KR20030002592A (ko) 2001-06-29 2001-06-29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259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961A (ko) * 2002-07-26 2004-01-31 강성호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조명등
KR100943253B1 (ko) * 2009-07-21 2010-02-18 김영수 창문투시효과를 갖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986593B1 (ko) * 2009-09-17 2010-10-08 김복한 투각컵 제작방법
KR101406828B1 (ko) * 2013-02-22 2014-06-13 강선옥 시루 빈 및 그 꽃이
KR101526922B1 (ko) * 2013-12-20 2015-06-11 이경묵 조명 등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5509A (ja) * 1992-01-24 1993-08-13 Tadashi Takahashi 照明用シェード、照明装置及びそのシェードの製造方法
JPH08293204A (ja) * 1995-04-24 1996-11-05 Kyocera Corp 照明具
JPH107450A (ja) * 1996-06-21 1998-01-13 Mari Kishi 宝石埋め込み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68830U (ko) * 1998-09-16 1998-12-05 안정웅 장식용 조명등
KR20000008259U (ko) * 1998-10-17 2000-05-15 조경수 조명장치가 구비된 도자기장식품
KR200188795Y1 (ko) * 1999-12-10 2000-07-15 전병오 도자기 조명 스탠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5509A (ja) * 1992-01-24 1993-08-13 Tadashi Takahashi 照明用シェード、照明装置及びそのシェードの製造方法
JPH08293204A (ja) * 1995-04-24 1996-11-05 Kyocera Corp 照明具
JPH107450A (ja) * 1996-06-21 1998-01-13 Mari Kishi 宝石埋め込み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68830U (ko) * 1998-09-16 1998-12-05 안정웅 장식용 조명등
KR20000008259U (ko) * 1998-10-17 2000-05-15 조경수 조명장치가 구비된 도자기장식품
KR200188795Y1 (ko) * 1999-12-10 2000-07-15 전병오 도자기 조명 스탠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961A (ko) * 2002-07-26 2004-01-31 강성호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조명등
KR100943253B1 (ko) * 2009-07-21 2010-02-18 김영수 창문투시효과를 갖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986593B1 (ko) * 2009-09-17 2010-10-08 김복한 투각컵 제작방법
KR101406828B1 (ko) * 2013-02-22 2014-06-13 강선옥 시루 빈 및 그 꽃이
KR101526922B1 (ko) * 2013-12-20 2015-06-11 이경묵 조명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2744A (en) Self-shining artificial jewelry device
CN209995575U (zh) 化妆镜
US6309084B1 (en) Lamp showing dynamically changeful luster and shadow
CN202629770U (zh) 一种艺术台灯
KR20030002592A (ko)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JP6117859B2 (ja) 照明装置
KR200249389Y1 (ko)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KR200223876Y1 (ko) 장식용 조명등
KR101642288B1 (ko) 굴절 및 반사광을 이용한 광 장식 효과를 갖는 천정 조명등용 커버체
JP2004139811A (ja) 照明器具のセード
WO2010043956A1 (en) Led projector to produce particular light and colour effects
KR200456219Y1 (ko) 조명등
JPH07164798A (ja) 装飾パネル
JP4135433B2 (ja) 照明器具
US11987071B2 (en) Device with backlit colored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929274B1 (ko) 프리즘을 추가한 입체 조형물
JP2003105950A (ja) 発光目地
KR200346278Y1 (ko) 조명기구 장식판
CN105953172A (zh) 一种琉璃工艺灯罩
CN215336145U (zh) 灯笼状灯具
CN210687966U (zh) 一种透光均匀的吸顶灯
KR200279725Y1 (ko) 조명등 커버
KR200214227Y1 (ko) 장식용 패널을 이용한 백라이트 액자
KR200461961Y1 (ko) 조명등기구
CN108166665B (zh) 能够产生反射效果的型材组合件及应用其的吊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