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876Y1 - 장식용 조명등 - Google Patents

장식용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876Y1
KR200223876Y1 KR2019980017602U KR19980017602U KR200223876Y1 KR 200223876 Y1 KR200223876 Y1 KR 200223876Y1 KR 2019980017602 U KR2019980017602 U KR 2019980017602U KR 19980017602 U KR19980017602 U KR 19980017602U KR 200223876 Y1 KR200223876 Y1 KR 200223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ver
decorative
decorative lamp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830U (ko
Inventor
안정웅
Original Assignee
안정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웅 filed Critical 안정웅
Priority to KR2019980017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876Y1/ko
Publication of KR199800688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8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876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이 연결되는 발광수단인 전구(L)가 구비되고 커버를 갖는 장식용 조명등에 있어서, 전구(L) 둘레에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투명재질의 커버베이스(11) 외측면에 일체로 다수개의 광투과석(13)이 배치된 불투명의 외체부(12)가 형성된 커버(10)를 구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조명등 내부의 전구(L)를 점등시키면 광투과석(13)을 통해 커버(10)의 외부로 은은하고 부드러운 빛이 발산되어 품위있고 독특한 조명 및 장식미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용 조명등
본 고안은 장식용(裝飾用) 조명등(照明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연석을 이용한 장식효과 및 독특한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장식용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용 조명등은 단순히 실내외를 조명하는 기능 이외에 그 자체 형상으로 장식의 효과를 얻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이는 조명하지 않을 때도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의 역할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의 장식용 조명등은 조명 및 인테리어 소품으로써 장식미를 구비함에 미흡함이 있었으며, 그외에는 별다른 기능을 갖지 못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명하지 않을 때도 자연스런 장식미를 가지며, 조명시에는 보다 독특하고 부드럽고 은은한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부가하여 사람에게 이로운 원적외선을 방출시켜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장식용 조명등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베이스 L ; 전구
10 ; 커버 11 ; 커버베이스
12 ; 외체부 13 ; 광투과석
14 ; 열기배출공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원이 연결되는 발광수단인 전구(L)가 구비되고 커버를 갖는 장식용 조명등에 있어서,
전구(L) 둘레에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투명재질의 커버베이스(11) 외측면에 일체로 다수개의 광투과석(13)이 배치된 불투명의 외체부(12)가 형성된 커버(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조명등은 은은하고 부드러운 조명의 효과 뿐만 아니라 자체의 장식효과가 뛰어난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이의 구성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코드 및 플러그로 전원이 연결되는 발광수단인 전구(L)가 설치된 베이스(B)를 구비하고, 이러한 베이스(B)에 결합되며 상기 전구(L)의 외장을 미려하게 형성하는 커버(10)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10)는 내부의 발광수단인 전구(L)의 빛이 외부로 일부 유출될 수 있도록 광투과성(光透過性)을 갖는 돌(13 ; 이하 광투과석[光透過石]이라 함)이 커버(10)의 외부를 이루는 외체부(12 ; 外體部)에 다수개 배치되어 독특한 무늬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체부(12)는 접착에폭시와 경화제, 색소 및 황토 등을 섞어 경화시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0)의 내측을 이루는 커버베이스(11)의 외주에 광투과석(13)을 배치시켜 부착 형성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커버베이스(11)로는 투명한 아크릴을 예시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돔형의 형상으로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며 필요에 따른 형상을 제조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광투과석(13)으로는 세라믹, 또는 옥 성분이 함유된 자연석(自然石)을 예시할 수 있으며, 자연상태에서 표면이 고른 것이나 원석을 가공하여 표면을 고른 것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채를 부여하면 보다 다양한 심미감을 즐길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P'는 플러그, '14'는 전구(L)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커버(10)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열기배출공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조명등을 필요한 위치에 위치시키고 전원을 연결하면 전구(L)가 점등된다. 이러한 전구(L)의 빛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0)의 불투명한 외체부(12)로는 투과되지 않고 반투명한 광투과석(13)을 통해서만 투과되어 커버(10)의 외부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광투과석(13)을 통해 투과된 빛은 은은하고 품격있는 조명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황토 등으로 이루어진 외체부(12)의 토속적 풍미와 내부로부터 빛을 부드럽게 발산하는 광투과석(13)이 어우러져 독특한 외관미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사시도로서, 도 2, 도 3의 실시예와는 다른 외형을 갖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즉 이는 조명등의 외부를 이루는 커버(10')의 형상을 변화시켜 다양한 외형을 이룰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서, 외체부(12')와 광투과석(13')의 구성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방이나 거실 등의 실내, 혹은 정원 등의 실외에 위치시키면 그 자체의 외형으로도 장식미를 갖는 것이며, 사용시에는 부드럽고 은은한 조명효과로 장식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구의 열을 받게 되는 외체부 및 광투과석으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므로 알려진 바와 같이 건강상의 효과를 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4)

  1. 전원이 연결되는 발광수단인 전구(L)가 구비되고 커버를 갖는 장식용 조명등에 있어서,
    전구(L) 둘레에 소정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투명재질의 커버베이스(11) 외측면에 일체로 다수개의 광투과석(13)이 배치된 불투명의 외체부(12)가 형성된 커버(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체부(12)는 접착에폭시, 경화제, 색소 및 황토를 섞어 경화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석(13)은 표면이 고른 자연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석(13)은 색채를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조명등.
KR2019980017602U 1998-09-16 1998-09-16 장식용 조명등 KR200223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602U KR200223876Y1 (ko) 1998-09-16 1998-09-16 장식용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602U KR200223876Y1 (ko) 1998-09-16 1998-09-16 장식용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830U KR19980068830U (ko) 1998-12-05
KR200223876Y1 true KR200223876Y1 (ko) 2001-08-07

Family

ID=6971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602U KR200223876Y1 (ko) 1998-09-16 1998-09-16 장식용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87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030B1 (ko) 2009-03-26 2009-11-17 강흥석 도벽 투광판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도벽 투광판을이용한 조명장치
KR101074721B1 (ko) 2009-03-26 2011-10-18 강흥석 도자 조명 커버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도자 조명 커버를 이용한 조명등
KR101354533B1 (ko) 2012-08-14 2014-02-05 이성우 보석조명판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592A (ko) * 2001-06-29 2003-01-09 주식회사 레아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KR20040009961A (ko) * 2002-07-26 2004-01-31 강성호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조명등
KR100684140B1 (ko) * 2005-04-19 2007-02-20 한천섭 장식입자가 도포 접착된 아크릴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030B1 (ko) 2009-03-26 2009-11-17 강흥석 도벽 투광판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도벽 투광판을이용한 조명장치
KR101074721B1 (ko) 2009-03-26 2011-10-18 강흥석 도자 조명 커버의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도자 조명 커버를 이용한 조명등
KR101354533B1 (ko) 2012-08-14 2014-02-05 이성우 보석조명판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830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6013266D1 (de) Lichtobjekt mit wechselnder farbe und benutzerschnittstelle dafür
CA2300669A1 (en) Light cover
KR200223876Y1 (ko) 장식용 조명등
KR20190012041A (ko)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
KR200482515Y1 (ko) 조명지지체를 갖는 램프
KR200456219Y1 (ko) 조명등
JP2006127885A (ja) 照明器具
KR200382108Y1 (ko) 투광성 장식부재를 갖는 천장용 조명커버
KR101673570B1 (ko) 다양한 색상과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KR200238057Y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전기스텐드
KR200249389Y1 (ko)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KR20010001496U (ko) 전등용 갓
KR200213903Y1 (ko) 다중가변갓을 구비한 스탠드
KR20030002592A (ko)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KR200461961Y1 (ko) 조명등기구
CN2085902U (zh) 可调色彩灯具
KR200407804Y1 (ko) 천장 조명기구
KR200380214Y1 (ko) 발광부를 갖는 조명등 테의 장식
CN208048186U (zh) 一种led发光戒指
CN206459143U (zh) 一种具有多种发光效果的led天花灯
KR200279737Y1 (ko) 실내용 조명등
CN206929658U (zh) 一种新型智能装饰筒灯
KR200279725Y1 (ko) 조명등 커버
KR910003984Y1 (ko) 수족관의 조명 장치
JP3091909U (ja) 内照式装飾体の基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