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041A -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 - Google Patents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041A
KR20190012041A KR1020170094915A KR20170094915A KR20190012041A KR 20190012041 A KR20190012041 A KR 20190012041A KR 1020170094915 A KR1020170094915 A KR 1020170094915A KR 20170094915 A KR20170094915 A KR 20170094915A KR 20190012041 A KR20190012041 A KR 20190012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ver
decorative plate
terrarium
l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814B1 (ko
Inventor
정현록
Original Assignee
정현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록 filed Critical 정현록
Priority to KR102017009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8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being distinct from the light source 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라리움에 관한 것이다. 테라리움은 케이스와, 장식판과, 커버, 및 조명기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장식판은 바깥 둘레를 따라 투광부가 형성되며, 케이스의 상부 개구에 끼워져 지지된다. 커버는 내부 공간을 갖고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장식판의 상부를 덮는다. 조명기는 케이스 내에서 빛을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투광부를 통해 케이스의 외부로 발산되게 한다.

Description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Terrarium with lighting function}
본 발명은 밀폐된 유리용기나 입구가 작은 유리병 안에 작은 식물을 재배하는 테라리움에 관한 것이다.
테라리움은 밀폐된 유리용기나 입구가 작은 유리병 안에 작은 식물을 재배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보틀 가든(bottle garden)이라고도 한다. 다양한 종류의 이끼나 수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 다육식물이 주로 테라리움에 사용되는데, 용기 안에 이식된 식물은 물과 비료 같은 것들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지 않아도 적은 양의 실내 광만으로 광합성하고 호흡할 수 있다. 수분 역시 증발했다가 용기 안에서 다시 흙으로 돌아가므로, 이러한 순환작용에 의해 거의 자급자족할 수 있다.
이러한 테라리움은 단순히 식물을 키우는 게 아니라, 실내를 아름답게 장식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테리어 효과를 위해 취향에 따라 미니어처(miniature)나 피규어(figure) 등의 장식소품을 테라리움에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장식소품 외에도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47446호(2001. 06. 15.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조명 기능을 갖추어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테라리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라리움은 케이스와, 장식판과, 커버, 및 조명기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장식판은 바깥 둘레를 따라 투광부가 형성되며, 케이스의 상부 개구에 끼워져 지지된다. 커버는 내부 공간을 갖고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장식판의 상부를 덮는다. 조명기는 케이스 내에서 빛을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투광부를 통해 케이스의 외부로 발산되게 한다.
여기서, 조명기는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들이 일렬로 배열되어 회로기판에 실장된 LED 모듈과, LED들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외부로부터 입력 받아 LED들로 전달하는 전원입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조명기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투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라리움은 단순히 식물을 키우는 게 아니라, 실내 장식을 위해 미니어처나 피규어 등과 같은 장식소품과 더불어 조명을 이용함으로 인해 인테리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라리움은 방향제를 내장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라리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테라리움이 천정에 매달려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라리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라리움(100)은 케이스(110)와, 장식판(120)과, 커버(130), 및 조명기(14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케이스(110)는 편평한 바닥 부위(111)를 가지며, 바닥 부위(111)를 제외한 안팎 둘레 부위가 구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10)는 편평한 바닥 부위(111)를 통해 테이블 등에 안정되게 거치될 수 있다.
장식판(120)은 사용자가 미니 정원을 꾸밀 수 있게 하는 토대가 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장식판(120) 위에 매트를 깔아 식물(121)을 이식하고, 미니어처나 피규어 등의 장식소품(122)을 올려두어 미니 정원을 꾸밀 수 있다. 여기서, 식물(121)은 인조 식물일 수 있다. 식물(121)이 살아있는 경우, 흙이나 돌을 깔아 식물(121)을 이식하여 재배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사용자는 장식판(120) 위에 다양한 방식으로 장식판(120) 위를 장식할 수 있다.
장식판(120)은 바깥 둘레를 따라 투광부(126)가 형성된다. 투광부(126)는 케이스(110) 내부의 빛을 케이스(110) 외부로 투과시킨다. 따라서, 투광부(126)는 장식판(120)의 바깥 둘레를 따라 원형의 발광 띠를 형성하여 장식판(120)을 조명함으로써, 테라리움(100)에 의한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장식판(120)은 일정 두께의 원판으로 이루어지며, 투광부(126)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장식판(120)의 바깥 둘레를 감싼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투광부(126)는 사각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투광부(126)는 광 투과성을 갖는 아크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투광부는 장식판(120)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판으로 이루어져, 장식판(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될 수도 있다.
장식판(120)은 케이스(110)의 상부 개구에 끼워져 지지된다. 투광부(126)는 케이스(110)의 상부 개구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바깥 둘레 면이 케이스(110)의 안쪽 둘레 면에 맞닿음으로써, 장식판(120)이 케이스(110)의 상부 개구에 끼워져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장식판(120)은 불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식판(120)은 미니어처나 피규어 등과 같은 장식소품(122)의 장착 핀(122a)을 끼우는 장착 홀(120a)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10) 내에서 조명기(140)로부터 조사된 빛은 장착 홀(120a)과 장착 핀(122a)의 틈새 사이로 새어 나옴으로써, 장식소품(122)의 주변을 조명하여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커버(130)는 내부 공간을 갖고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케이스(1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커버(130)는 중공 반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130)의 하부 개구는 케이스(110)의 상부 개구와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커버(130)는 하부 개구 부위의 안쪽 둘레를 따라 함몰되어 케이스(110)의 상단 부위를 끼우는 커버용 장착 홈(130a)을 가질 수 있다. 커버용 장착 홈(130a)의 저면은 케이스(110)의 상단과 맞닿는다. 이와 함께, 케이스(110)는 상부 개구 부위의 바깥 둘레를 따라 함몰되어 커버(130)의 하단 부위를 끼우는 케이스용 장착 홈(110a)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용 장착 홈(110a)의 저면은 커버(130)의 하단과 맞닿는다. 케이스용 장착 홈(110a)은 커버용 장착 홈(130a)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커버(130)는 케이스(110)에 요철 구조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30)는 케이스(110)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또한, 커버(130)와 케이스(110)의 각 장착 부위는 단차 없이 매끈하게 이어질 수 있다.
커버(13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장식판(120)의 상부를 덮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명한 커버(130)를 통해 장식판(120) 위에 꾸며진 식물(121), 장식소품(122) 등을 볼 수 있게 된다. 커버(130)는 폴리스틸렌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명기(140)는 케이스(110) 내에서 빛을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투광부(126)를 통해 케이스(110)의 외부로 발산되게 한다. 예컨대, 조명기(140)는 LED 모듈(141)과, 전원입력 포트(146)를 포함할 수 있다.
LED 모듈(141)은 복수의 LED(142)들이 일렬로 배열되어 회로기판(143)에 실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LED 모듈(141)은 장식판(12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기판(143)은 LED(142)들을 실장하지 않은 면이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장식판(120)의 하면에 접착됨으로써, LED(142)들이 하방을 향한 상태로 빛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LED(142)는 백색 LED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양한 색을 발광하는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입력 포트(146)는 LED(142)들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외부로부터 입력 받아 LED(142)들로 전달한다. 전원입력 포트(146)는 케이스(110)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전원입력 포트(146)는 보조 기판(147)에 실장되며, 보조 기판(147)은 전원입력 포트(146)로 입력된 전원을 LED(142)들로 전달하도록 케이블(148)에 의해 LED 모듈(141)의 회로기판(1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LED(142)들은 USB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전원입력 포트(146)는 UBS 전원 공급기의 USB 단자와 접속되는 USB 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테라리움(100)은 LED(142)들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테라리움(100)은 LED(142)들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조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과 밝기조절 버튼은 케이스(110)로부터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LED(142)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보조 기판(147) 또는 LED 모듈(141)의 회로기판(143)에 실장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안쪽 바닥면에는 미러(mirror, 150)가 배치될 수 있다. 미러(150)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케이스(110)의 안쪽 바닥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거나, 반사 물질로 케이스(110)의 안쪽 바닥면에 코팅될 수 있다. 미러(150)는 조명기(140)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방으로 반사시켜 투광부(126)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케이스(110)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조명기(140)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투과시킬 수 있다. 케이스(110)는 반투명성을 갖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10)는 조명기(140)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투과시킴에 따라 바깥 주변에 은은한 빛으로 조명할 수 있게 한다. 즉, 케이스(110)는 무드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테라리움(100)은 장식판(120)의 바깥 둘레를 따라 원형의 발광 띠를 형성하여 조명함과 아울러, 케이스(110)의 바깥 주변을 은은하게 조명할 수 있으므로, 인테리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미러(150)의 상면에는 추가 LED 모듈(161)이 배치되어 조명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추가 LED 모듈(161)은 복수의 LED(162)들이 원형의 회로기판(163) 상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실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LED(162)들은 상방을 향한 상태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회로기판(163)은 케이블(148)에 의해 보조 기판(14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방향제(170)가 회로기판(163) 상의 LED(162)들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실내 공기에 향을 남겨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러(15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커버(130)는 한쪽 측면에 손잡이(131)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31)를 통해 커버(130)를 쥐고서 케이스(1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손잡이(131)에는 끈으로 묶을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케이스(110)는 양쪽에 끈을 묶을 수 있는 고리(112)들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커버(130) 또는 케이스(110)에 묶인 끈(10)을 벽 또는 천정의 걸이에 걸어서 테라리움(100)을 벽 또는 천정에 매달아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케이스 120..장식판
126..투광부 130..커버
140..조명기 141..LED 모듈
142..LED 146..전원입력 포트
150..미러 161..추가 LED 모듈
170..방향제

Claims (3)

  1.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
    바깥 둘레를 따라 투광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 개구에 끼워져 지지되는 장식판;
    내부 공간을 갖고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장식판의 상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빛을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상기 투광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발산되게 하는 조명기;
    를 포함하는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는,
    복수의 LED들이 일렬로 배열되어 회로기판에 실장된 LED 모듈과,
    상기 LED들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외부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LED들로 전달하는 전원입력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조명기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
KR1020170094915A 2017-07-26 2017-07-26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 KR102024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15A KR102024814B1 (ko) 2017-07-26 2017-07-26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15A KR102024814B1 (ko) 2017-07-26 2017-07-26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041A true KR20190012041A (ko) 2019-02-08
KR102024814B1 KR102024814B1 (ko) 2019-09-24

Family

ID=6536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915A KR102024814B1 (ko) 2017-07-26 2017-07-26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424B1 (ko) 2022-12-01 2023-11-29 김도연 결로방지 테라리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819B1 (ko) * 2023-11-10 2024-01-24 주식회사 더라임코리아 조명이 결합된 유리돔 구조의 커스터마이징 인테리어용 소품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446A (ko) 1999-11-15 2001-06-15 한명세 나비 사육 테라륨용 캡슐 화분
JP2008027872A (ja) * 2006-07-25 2008-02-07 Twinbird Corp 照明装置
JP3183812U (ja) * 2013-03-21 2013-05-30 楊進生 ゆらゆら動く装飾品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3812B2 (ja) * 1995-10-16 2001-07-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無線機のマルチバンド高周波回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446A (ko) 1999-11-15 2001-06-15 한명세 나비 사육 테라륨용 캡슐 화분
JP2008027872A (ja) * 2006-07-25 2008-02-07 Twinbird Corp 照明装置
JP3183812U (ja) * 2013-03-21 2013-05-30 楊進生 ゆらゆら動く装飾品の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424B1 (ko) 2022-12-01 2023-11-29 김도연 결로방지 테라리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814B1 (ko)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581B2 (en) Color changing lighting device
KR102024814B1 (ko)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
JP6433734B2 (ja) 低誘引性照明装置
US20090052168A1 (en) Artwork of light-emitting display ornament
JP2010207188A (ja) 導光機能付き観賞用カバーケース
US9410693B2 (en) Solar-powered, illuminated decorator balls
US20110051406A1 (en) Star lite
JP2004105231A (ja) 照明型容器
WO1999050915A1 (fr) Emetteur de lumiere
JP2004087160A (ja) 投影型照明装置
JP3221624U (ja) 光源一体型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テリア器具
CN203322907U (zh) 一种led射灯
TWM524424U (zh) 裝飾燈柱
KR101751016B1 (ko) 유리컵을 이용한 와이어형 샹들리에
JP3214572U (ja) 照明装置
TWI697281B (zh) 懸空置式隧道型光譜魚缸
JP6067393B2 (ja) 植物育成容器
KR101673570B1 (ko) 다양한 색상과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KR20090006869U (ko) 방향제 기능을 갖는 장식용 조명구
JP3119789U (ja) 照明付き植栽容器及び植栽容器を収納した照明付き天板
JP2005158546A (ja) 照明装置
CN210319527U (zh) 装饰灯
RU178032U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светодиодный светильник
JP6968371B2 (ja) 収納機能を有するled光源体
KR200219959Y1 (ko) 미광(微光) 실내 장식품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