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959Y1 - 미광(微光) 실내 장식품 받침대 - Google Patents

미광(微光) 실내 장식품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959Y1
KR200219959Y1 KR2020000029761U KR20000029761U KR200219959Y1 KR 200219959 Y1 KR200219959 Y1 KR 200219959Y1 KR 2020000029761 U KR2020000029761 U KR 2020000029761U KR 20000029761 U KR20000029761 U KR 20000029761U KR 200219959 Y1 KR200219959 Y1 KR 200219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led
upholster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부용
Original Assignee
신부용
최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부용, 최동균 filed Critical 신부용
Priority to KR2020000029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959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광 실내 장식품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실내 장식품(2)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를 가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10)와, 상기 받침부(10) 몸체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다수의 LED(31)가 설치되어 있는 광원부(30)와, 상기 받침부(10)의 몸체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30)에 설치된 LED에서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키고 난반사시키도록 하는 표면부(11)와, 상기 광원부(30)에 전기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와, 상기 받침부(10) 하부면에 형성되어 이 받침부(10)를 지면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각부(20)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부(40)에서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광원부(30)에 설치된 다수의 LED(31)에서 빛이 방출되어, 이 LED(31)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받침부(10)를 전체를 투과하여 난반사, 굴절되어 피사체 즉, 실내 장식품(2)에 투과됨과 동시에 주변에 미광을 발산함으로서 야간에는 조명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실내장식품(2)을 조명함으로서 실내의 분위기 및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최소한의 실내조명으로 야간에 실내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른 광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압, 저전력의 특성을 가진 LED(31)를 광원으로 사용하므로서 전력소비를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받침부(10)는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고 쉽게 파손되는 않는 아크릴등의 재료을 사용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경제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미광(微光) 실내 장식품 받침대{Ornamentary stand with LED}
본 고안은 미광 실내 장식품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품 받침대에 올려지는 장식품등을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조명함으로서 미관을 향상시키고, 야간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품 받침대는 크리스탈이나 기타 반, 투명 물질로 만들어진 화병, 도자기등의 실내장식품등이 올려져 미관을 향상시키고, 주변의 환경을 청결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다.
따라서, 장식품받침대는 실내장식품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재를 지면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지각부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LED(light emitting diode)는 주입된 전자와 정공(正孔)이 재결합할 때, 과잉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하는 다이오드로써, GaAsP등을 이용한 적색발광과 GaP등을 이용한 녹색발광 등이 있으며, 저전압, 소전력이란 장점을 살려 통상적으로 표시소자(表示素子) 즉, 소형의 문자표시소자, 광결합 소자용 광원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식품 받침대는 실내장식품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부재와 이 받침부재를 지지하는 지각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미관 효과가 미비하고, 화병, 도자기등과 같은 실내장식품을 지지하는 역할만 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크리스탈이나 기타 반, 투명 재질로 되어있는 화병, 도자기등과 같은 장식품등이 올려지므로 야간시 시야확보를 하지못하여 사용자와 장식품등이 접촉할 경우 상기 장식품등이 받침대에서 이탈하여 쉽게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크리스탈이나 기타 반, 투명재질로 되어 있는 실내장식품등이 올려지는 장식품 받침부재 하부에 광원으로 LED를 다수 장착하여 상기 장식품등을 조명하게 하므로서 전체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광 장식품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조명하므로서 최소한의 실내조명으로 야간의 실내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미광 장식품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 장식품 받침대 2 - 실내장식품
10 - 받침부 11 - 표면부
12 - 안착턱 20 - 지각부
30 - 광원부 31 - LED
40 - 전원부 41 - 전선
42 - 플러그 50 - 광센서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 장식품(2)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를 가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10)와;
상기 받침부(10) 몸체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다수의 LED(31)가 설치되어 있는 광원부(30)와;
상기 받침부(10)의 몸체 하부면에 굴곡형성되며, 상기 광원부(30)에 설치된 LED에서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키고 난반사시키도록 하는 표면부(11)와;
상기 광원부(30)에 전기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와;
상기 받침부(10) 하부면에 형성되어 이 받침부(10)를 지면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각부(20)로 이루어져 달성된다.
즉, 전원부(40)에 의해서 전기가 광원부(30)로 공급되면, LED(31)에서 발생한 빛이 받침부(10)에 하부면에 형성된 표면부(11)부분으로 투과되어 굴절, 반사하므로서 받침부(10) 상부에 올려진 실내 장식품(2)에 투사됨과 동시에 주변에 미광을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평면도로서, 받침부의 몸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저면에 다수의 LED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받침부의 상면에는 화병이 올려져 있으며, 광원부에 설치된 LED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받침부 하부면에 형성된 표면부를 투과하여 굴절, 반사되고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 ∼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10)는 상면에 실내 장식품(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를 가지며, 외측면으로는 상기 실내장식품(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착턱(12)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지면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각부(2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0)는 후술될 광원부(30)에 설치된 LED(31)에서 발생되는 빛이 투과하도록 유리, 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고 강도가 우수한 아크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10)의 하부측에는 다수의 LED(31)가 구비된 광원부(30)가 설치되며, 이 광원부(30)는 상기 LED(31)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받침부(10) 전체에 투과되어 굴절, 반사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10)의 하부면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상기 LED(31)가 빛을 발생하도록 전기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광원부(30)에 구비되는 LED(31)는 주입된 전자와 정공(正孔)이 재결합할 때, 과잉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하므로, 미광(微光)을 발생시켜 미관을 증대시키고 저전압으로 기타 다른 광원에 비해 적은 전력을 소비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30)에 전기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로는 장식용 받침대(1)가 일반적으로 가정의 실내에 주로 설치되므로 플러그(42)가 결합된 전선(41)을 사용하여 상기 플러그(42)를 가정에 구비된 콘센트에 꽂아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받침부(10)의 하부면, 즉 저면부의 표면에는 연속된 파형으로 굴곡된 표면부(11)가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30)에 설치된 다수의 LED(31)에서 조사되는 빛의 난반사와 굴절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전원부(40)에서 전기전원을 공급받아 광원부(30)에 설치된 다수의 LED(31)에서 빛이 방출되어 상기 받침부(10)를 조사하고, 받침부(10)에 하부면에 형성된 표면부(11)를 투과하여 굴절, 난반사되어 상기 받침부(10)전체를 투과하므로서 미광이 발생되어, 상기 받침부(10) 상부에 올려지는 크리스털이나 기타 투명, 반투명 재질로 되어 있는 화병, 도자기등과 같은 실내 장식품(2)에 투사됨과 동시에 주변을 조명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원부(40)와 LED(31)가 설치된 광원부(30) 사이에는 광센서(50)를 장착하여, 이 광센서(50)가 빛을 감지하여 빛이 없는 야간에는 자동으로 전기를 공급하여 LED(31)가 점등되도록 하고, 주간이나 기타 조명이 있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LED(31)꺼지도록 하여 전력소비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크리스털이나 기타 반, 투명 재질로 되어 있는 화병, 도자기등과 같은 실내장식품(2)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부(10)를 반, 투명재질로 형성하고 그 하부면에 다수의 LED(31)가 설치된 광원부(30)를 장착하므로서, 이 LED(31)에서 발생된 빛이 상기 받침부(10)를 전체를 투과하여 난반사, 굴절되어 피사체 즉, 실내 장식품(2)에 투과됨과 동시에 주변에 미광을 발산함으로서 야간에는 조명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실내장식품(2)을 조명함으로서 실내의 분위기 및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최소한의 실내조명으로 야간에 실내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른 광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압, 저전력의 특성을 가진 LED(31)를 광원으로 사용하므로서 전력소비를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받침부(10)는 제조가 비교적 용이하고 쉽게 파손되는 않는 아크릴등의 재료을 사용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경제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실내 장식품(2)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를 가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10)와;
    상기 받침부(10) 몸체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며 다수의 LED(31)가 설치되어 있는 광원부(30)와;
    상기 받침부(10)의 몸체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30)에 설치된 LED에서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키고 난반사시키도록 하는 표면부(11)와;
    상기 광원부(30)에 전기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와;
    상기 받침부(10) 하부면에 형성되어 이 받침부(10)를 지면과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각부(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광 실내 장식품 받침대.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40)로 가정에 설치된 콘센트에 결합하여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플러그(42)가 구비된 전선(41)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광 실내 장식품 받침대.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30)와 상기 전원부(40)사이에 빛을 감지하여 빛이나 기타 다른 조명이 없을 경우 광원부(30)에 설치된 LED(31)가 자동점등할 수 있는 광센서(50)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광 실내 장식품 받침대.
KR2020000029761U 2000-10-25 2000-10-25 미광(微光) 실내 장식품 받침대 KR200219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761U KR200219959Y1 (ko) 2000-10-25 2000-10-25 미광(微光) 실내 장식품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761U KR200219959Y1 (ko) 2000-10-25 2000-10-25 미광(微光) 실내 장식품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959Y1 true KR200219959Y1 (ko) 2001-04-16

Family

ID=7305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761U KR200219959Y1 (ko) 2000-10-25 2000-10-25 미광(微光) 실내 장식품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9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891B1 (ko) 2016-06-20 2018-04-20 박창훈 불교 건축물 장식용 조형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891B1 (ko) 2016-06-20 2018-04-20 박창훈 불교 건축물 장식용 조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4909B2 (en) Mood-enhancing illumination apparatus
US20060176703A1 (en) Novelty lighting system
US6880958B2 (en) Electric lighting device in the form of a candle
US6220742B1 (en) Harmonic lights
US8418385B2 (en) Lighting device
US7489845B2 (en) Fiber optic withy light device
KR200219959Y1 (ko) 미광(微光) 실내 장식품 받침대
JP2016143598A (ja) 芳香器機能付きキャンドルライト
JP2004105231A (ja) 照明型容器
KR102024814B1 (ko)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
EP1424524A1 (en) Decorative light
US20060250805A1 (en) String of decorative pendant lamps for sunblind decoration
KR100350103B1 (ko) 공기방울 수족관 탁자
KR20060124390A (ko) 테이블
TWI697281B (zh) 懸空置式隧道型光譜魚缸
US6294877B1 (en) Article blinking Christmas tree assembly
CN212901104U (zh) 一种多氛围壁灯
US20040085774A1 (en) Candle Lamp holder
JP2000190700A (ja) イルミネーション用台座
KR200397866Y1 (ko) 반사유리를 이용한 만화경
KR20230000620U (ko) 엘이디를 이용한 인조화환
KR200170741Y1 (ko) 무드램프
RU45075U1 (ru) Прозрачный сосуд
KR200287385Y1 (ko) 다용도 광고판 용기
JP3039592U (ja) 光飾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