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808B1 -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808B1
KR100985808B1 KR1020057023412A KR20057023412A KR100985808B1 KR 100985808 B1 KR100985808 B1 KR 100985808B1 KR 1020057023412 A KR1020057023412 A KR 1020057023412A KR 20057023412 A KR20057023412 A KR 20057023412A KR 100985808 B1 KR100985808 B1 KR 100985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ype
impurity concentration
electric field
field relax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3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849A (ko
Inventor
카즈히로 후지카와
신 하라다
히로유키 마츠나미
츠네노부 기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893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PN junction gate, i.e. JFET
    • H01L29/66901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PN junction gate, i.e. JFET with a PN homojunction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0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 H01L29/0611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 H01L29/0615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for increasing or controlling the breakdown voltage of reverse biased devices by the doping profile or the shape or the arrangement of the PN junction, or with supplementary regions, e.g. junction termination extension [JTE]
    • H01L29/063Reduced surface field [RESURF] pn-junction structures
    • H01L29/0634Multiple reduced surface field (multi-RESURF) structures, e.g. double RESURF, charge compensation, cool, superjunction (SJ), 3D-RESURF, composite buffer (CB)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80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 PN or other rectifying junction gate, i.e. potential-jump barrier
    • H01L29/80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 PN or other rectifying junction gate, i.e. potential-jump barrier with a PN junction gate, e.g. PN homojunction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 H01L29/1608Silicon carb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 Recrystallisation Techniq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SiC 단결정 기판(1)상에 전계 완화층(12) 및 p-형 버퍼층(2)이 형성되어 있다. 전계 완화층(12)은 p-형 버퍼층(2)과 SiC 단결정 기판(1) 사이에서 SiC 단결정 기판(1)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p-형 버퍼층(2)상에는 n 형 반도체층(3)이 형성되어 있다. n 형 반도체층(3)상에는 p 형 반도체층(10)이 형성되어 있다. p 형 반도체층(10) 중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n+형 소스 영역층(4) 및 n+형 드레인 영역층(5)이 형성되어 있다. n+형 소스 영역층(4)과 n+형 드레인 영역층(5) 사이에 위치한 p 형 반도체층(10)의 영역 부분에는 p+형 게이트 영역층(6)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본 발명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 파괴가 억제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접합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서는 캐리어가 통과하는 채널 영역의 측부에 마련된 pn 접합에 대하여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pn 접합으로부터 넓어지는 공핍층을 채널 영역으로까지 넓혀서 채널 영역의 컨덕턴스를 제어하여 스위칭 동작이 행해진다.
이 접합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중에는 채널 영역에서 캐리어가 소자 표면에 평행하게 이동하는 횡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있다. 여기서, 그러한 횡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3-68762호 공보에 기재된 횡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iC 단결정 기판(101)상에 p-형 반도체층(102)이 형성되어 있다. 그 p-형 반도체층(102)상에 n 형 반도체층(103)이 형성되어 있다. 그 n 형 반도체층(103)상에 p 형 반도체층(110)이 형성되어 있다.
p 형 반도체층(11O) 중에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n+형 소스 영역층(104), p+형 게이트 영역층(106) 및 n+형 드레인 영역층(105)이 각각 형성되어 있 다.
그 n+형 소스 영역층(104), p+형 게이트 영역층(106) 및 n+형 드레인 영역층(105)의 위에는 소스 전극(107), 게이트 전극(109) 및 드레인 전극(10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횡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오프 상태에서 드레인 전극(108)을 통해 드레인 영역층(105)에 플러스 전압이 인가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핍층(121)은 드레인 영역층(105)과 게이트 영역층(106) 사이에서 넓어짐과 동시에, 드레인 영역층(10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p-형 반도체층(102)과 n 형 반도체층(103)과의 계면으로부터 SiC 단결정 기판(101)과 p-형 반도체층(102)과의 계면을 향하여 늘어나게 된다.
그런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iC 단결정 기판(101)과 p-형 반도체층(102)과의 계면에는 결정 결함(120)이 비교적 많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이 부분의 절연 파괴 전압은 결정 결함이 많이 존재하는 영역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영역에서의 절연 파괴 전압보다도 낮아진다.
그 결과, 공핍층(121)의 끝이 SiC 단결정 기판(101)의 근방에까지 달하면, 용이하게 절연 파괴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절연파괴가 억제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주표면을 갖는 반도체 기판과,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층과,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층과, 제1 도전형의 제3 반도체층과, 한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층과, 게이트 영역층을 갖고 있다.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층은 반도체 기판의 주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층은 제1 반도체층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전형의 제3 반도체층은 제2 반도체층상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층은 제3 반도체층 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영역층은 한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층 사이에 위치한 제3 반도체층 영역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반도체층은 제3 반도체층이 위치하는 쪽에 형성된 제1 불순물 농도를 갖는 버퍼층과, 버퍼층과 반도체 기판 사이의 영역에서 반도체 기판과 접하도록 형성되고, 제1 불순물 농도보다도 높은 제2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전계 완화층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오프 상태에서 드레인 영역층에 플러스 전압이 인가되면 공핍층이 드레인 영역층과 게이트 영역층 사이에서 넓어짐 과 동시에, 드레인 영역층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버퍼층과 제2 반도체층과의 계면으로부터 반도체 기판을 향하여 늘어나게 된다. 이 때, 전계 완화층이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반도체 기판과 전계 완화층과의 계면에 비교적 많이 존재하는 결정 결함이 전계 완화층 속에 위치하게 된다. 그 전계 완화층의 제2 불순물 농도는 버퍼층의 제1 불순물 농도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반도체 기판을 향하여 늘어나려는 공핍층에서는 그 전계 완화층에 의해서 그 늘어남이 억제되게 된다. 이에 따라, 공핍층의 끝이 결정 결함을 비교적 많이 포함한 반도체 기판과 전계 완화층과의 계면 근방에까지 달하는 일이 없어져, 그 결과 절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계 완화층과 반도체 기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버퍼층이 절연 파괴에 이르는 전계 강도보다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전계 완화층의 제2 불순물 농도를 버퍼층의 제1 불순물 농도의 5배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전계 완화층의 두께를 될 수 있는 한 얇게 하고, 또한, 공핍층의 늘어남을 억제하는 기능을 확실하게 얻고자 하면, 전계 완화층의 제2 불순물 농도는 버퍼층의 제1 불순물 농도의 적어도 10배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핍층의 폭을 확보하여 절연 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계 완화층의 두께는 될 수 있는 한 얇은 쪽이 바람직하고, 버퍼층의 두께에 대한 전계 완화층의 두께 비는 제1 불순물 농도에 대한 제2 불순물 농도 비의 역수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의 일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하는 공정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하는 공정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하는 공정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하는 공정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하는 공정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하는 공정 후에 행해지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공핍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전계 강도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도시하는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iC 단결정 기판(1)상에는 제1 반도체층으로서의 전계 완화층(12) 및 p-형 버퍼층(2)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전계 완화층(12)은 p-형 버퍼층(2)과 SiC 단결정 기판(1) 사이에서 SiC 단결정 기판(1)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 다.
p-형 버퍼층(2)상에는 제2 반도체층으로서의 n 형 반도체층(3)이 형성되어 있다. n 형 반도체층(3)상에는 제3 반도체층으로서의 p 형 반도체층(10)이 형성되어 있다.
p 형 반도체층(10) 중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n+형 소스 영역층(4) 및 n+형 드레인 영역층(5)이 형성되어 있다. 그 n+형 소스 영역층(4)과 n+형 드레인 영역층(5) 사이에 위치한 p 형 반도체층(10)의 영역 부분에는 p+형 게이트 영역층(6)이 형성되어 있다.
n+형 소스 영역층(4), p+형 게이트 영역층(6) 및 n+형 드레인 영역층(5) 위에는 소스 전극(7), 게이트 전극(9) 및 드레인 전극(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전술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표면을 갖는 SiC 단결정 기판(1)이 준비된다. 또한, SiC 단결정 기판(1)의 도전형은 문제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약 1500℃ 하에서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법에 의해서 SiC 단결정 기판(1)의 표면상에 전계 완화층(12)이 형성된다. 이 때, 원료 가스로서 모노실란(SiH4) 및 프로판(C3H8), 불순물 첨가용 가스로서 디보란(B2H6), 반송 가스로서 수소(H2)가 각각 이용된다.
다음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가스를 이용하여 CVD 법에 의해 전계 완화층(12)상에 p-형 버퍼층(2)이 형성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전계 완화층 (12)을 형성할 때의 각 가스 유량과는 다른 유량의 가스가 사용된다.
다음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약 1500℃ 하에서 CVD 법에 의해서 p-형 버퍼층(2)상에 n 형 반도체층(3)이 형성된다. 이 때, 원료 가스로서 모노실란(SiH4) 및 프로판(C3H8), 불순물 첨가용 가스로서 질소(N2), 반송 가스로서 수소(H2)가 각각 이용된다.
그 후, 또한 온도 약 1500℃ 하에서 CVD 법에 의해서 n 형 반도체층(3) 상에 p 형 반도체층(10)이 형성된다. 이 때, 원료 가스로서 모노실란(SiH4) 및 프로판(C3H8), 불순물 첨가용 가스로서 디보란(B2H6), 반송 가스로서 수소(H2)가 각각 이용된다.
다음에, p 형 반도체층(10) 상에 소정의 레지스트 패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그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이온 주입법에 의해 온도 300℃ 하에서 인(P)을 주입함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n+형 소스 영역층(4) 및 n+형 드레인 영역층(5)이 형성된다. 그 후, 레지스트 패턴이 제거된다.
다음에, p 형 반도체층(10)상에 소정의 레지스트 패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그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서, 이온 주입법에 의해 온도 300℃ 하에서 알루미늄(Al)을 주입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 소스 영역층(4)과 n+형 드레인 영역층(5) 사이에 위치한 영역에 p+형 게이트 영역층(6)이 형성된다. 그 후, 레지스트 패턴이 제거된다.
다음에, n+형 소스 영역층(4), p+형 게이트 영역층(6) 및 n+형 드레인 영역 층(5)을 덮도록 p 형 반도체층(10)상에 소정의 도전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그 도전층에 소정의 사진 제판 처리 및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n+형 소스 영역층(4), p+형 게이트 영역층(6) 및 n+형 드레인 영역층(5) 의 위에 소스 전극(7), 게이트 전극(9) 및 드레인 전극(8)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에 도시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완성된다.
전술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서는, 특히, 전계 완화층(12)이 p-형 버퍼층(2)과 SiC 단결정 기판(1) 사이에서 SiC 단결정 기판(1)과 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절연 파괴의 억제가 도모된다. 이하, 이에 관해서 설명한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오프 상태에서 드레인 전극(8)을 통해 드레인 영역층(5)에 플러스 전압이 인가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핍층(21)은 드레인 영역층(5)과 게이트 영역층(6) 사이에서 넓어짐과 동시에, 드레인 영역층(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p-형 버퍼층(2)과 n 형 반도체층(3)과의 계면으로부터 SiC 단결정 기판(1)을 향하여 늘어나게 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서는 전계 완화층(12)이 SiC 단결정 기판(1)의 표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SiC 단결정 기판(1)과 전계 완화층(12)과의 계면에 비교적 많이 존재하는 결정 결함(20)이 전계 완화층(12) 속에 위치하게 된다.
그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는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SiC 단결정 기판(1)을 향하여 늘어나려는 공핍층에서는 그 전계 완화층(12)에 의해서 그 늘어남이 억제되게 된다.
그로 인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핍층(21)의 끝이 결정 결함을 비교적 많이 포함한 SiC 단결정 기판(1)과 전계 완화층(12)과의 계면 근방에까지 달하는 일이 없어져 절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있어서의 전계 완화층(12) 및 p-형 버퍼층(2)의 깊이 방향에 대한 전계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에 도시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전계 완화층(12)의 두께 (L1)를 O.5 ㎛, 불순물 농도(제2 불순물 농도)(C1)를 1×1O17/㎤ 로 하고, p-형 버퍼층(2)의 두께(L2)를 5.0 ㎛, 불순물 농도(제1 불순물 농도)(C2)를 1×1O16/㎤ 로 하여, 드레인 영역층(5)에 6OO V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p-형 버퍼층(2)의 n 형 반도체층(3)측의 표면(A)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는 약 1.6×1O6 V/㎝ 가 된다.
또한, 전계 완화층(12)과 p-형 버퍼층(2)과의 계면(B)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는 약 0.7×106 V/㎝ 가 된다. 게다가, 전계 완화층(12)과 p-형 버퍼층(2)과의 계면으로부터 전계 완화층(12)으로 약 0.35 ㎛ 정도(거리 D) 들어간 위치에서 전계 강도는 거의 O 이 된다.
그리고, 상기 조건에 있어서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C1)만을 변화시킨 경우의 전계 강도, 즉, 전계 완화층(12)의 두께(L1)를 0.5 ㎛, p-형 버퍼층(2)의 두께(L2)를 5.0 ㎛, 불순물 농도(C2)를 1×1016/㎤ 로 한 상태에서 전계 완화층 (12)의 불순물 농도(C1)를 변화시킨 경우에, 드레인 영역층(5)에 600 V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전계 완화층(12)과 SiC 단결정 기판(1)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는 다음과 같이 된다.
우선,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C1)를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 (C2)와 동일한 불순물 농도(1×1O16/㎤)로 한 경우의 전계 강도는 약 O.6×1O6 V/㎝ 가 된다. 다음에,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C1)를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C2)의 4배의 불순물 농도(4×1016/㎤)로 한 경우의 전계 강도는 약 O.3×1O6 V/㎝ 이 된다.
다음에,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C1)를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C2)의 5배의 불순물 농도(5×1016/㎤)로 한 경우의 전계 강도는 약 0.2×106 V/cm 가 되고,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C1)를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C2)의 7배의 불순물 농도(7×1O16/㎤)로 한 경우의 전계 강도는 거의 0 V/cm 가 된다. 이와 같이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C2)에 대하여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C1)를 높게 함으로써 전계 완화층(12)과 SiC 단결정 기판(1)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는 작아진다.
그리고,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C1)를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C2)의 1O배의 불순물 농도(1×1O17/㎤)로 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계 완화층(12)과 p-형 버퍼층(2)과의 계면으로부터 전계 완화층(12) 측에 약 0.35 ㎛ 정도(거리 D) 들어간 위치에서 전계 강도가 거의 0 이 된다.
한편, 전계 완화층(12)을 구비하지 않고, SiC 단결정 기판(1)의 표면에 두께 약 5.5 ㎛의 p-형 버퍼층이 직접 형성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경우(비교예)에는, p-형 버퍼층과 SiC 단결정 기판(1)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는 0.6×106 V/㎝ 가 된다.
p-형 버퍼층(2)이 절연 파괴에 이르는 전계 강도는 약 3.O×1O6 V/cm 이며, 전계 완화층(12)과 SiC 단결정 기판(1)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는 그 전계 강도의 1/10 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전계 완화층(12) 중에서의 전계 강도가 거의 O 이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SiC 단결정 기판(1)과의 계면 근방에 위치하는 전계 완화층(12) 부분에서의 전계 강도도, 그 계면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전계 완화층(12) 부분에서의 전계 강도도 거의 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술한 전계 완화층(12)과 SiC 단결정 기판(1)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와의 관계로부터 전계 완화층(12)과 SiC 단결정 기판(1)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그 p-형 버퍼층(2)이 절연 파괴에 이르는 전계 강도(약 3.O×1O6 V/cm)의 1/10 보다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C1)를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C2)의 5배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배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험에 따르면, 전계 완화층(12)의 두께(L1)를 0.5 ㎛, p-형 버퍼층(2)의 두 께(L2)를 5.0 ㎛, 불순물 농도(C2)를 1×1016/㎤ 로 한 접합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C1)를 p-형 버퍼층(2)과 동일한 불순물 농도(C2)(1×1O16/㎤)로 했을 때의 드레인·소스 사이의 절연 내압은 약 400 V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하여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C1)를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C2)의 1O 배의 불순물 농도(1×1O17/㎤)로 했을 때의 드레인·소스 사이의 절연 내압은 약 720 V 인 것으로 확인되어, 절연 내압이 대폭 향상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전계 완화층(12)을 형성할 때의 불순물로서 붕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순물 농도가 약 1×1O19/㎤(고체 용융 한계)를 넘으면 결정 결함이 매우 많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이 값을 넘어서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를 설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같이, 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서는 비교예가 되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비교해서 전계 완화층(12)을 구비함으로써 공핍층의 늘어남이 억제되어, 전계 완화층(12) 중에서 전계 강도가 거의 0 이 된다.
이로 인해서, 결정 결함의 밀도가 비교적 높고 절연 파괴 전계가 낮은 SiC 단결정 기판(1)과 전계 완화층(12)과의 계면 부근에서의 전계 강도가 낮게 억제되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결정 결함에 기인하는 절연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전계 완화층(12)에 있어서의 공핍층의 늘어남은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를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의 α배로 하면,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를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와 동일한 불순물 농도로 한 경우의 공핍층의 늘어남의 약 1/α배가 된다.
또한, p-형 버퍼층(2)에서는 비교적 전계 강도가 높기 때문에, 불순물 농도가 높아지면 결함이 생겨 내압 파괴가 생기기 쉽다. 그 때문에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를 비교적 높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고, 그러한 p-형 버퍼층(2)만에 의해 전계를 완화시키고자 하면 보다 두꺼운 p-형 버퍼층(2)이 필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해되게 된다.
전술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서는, SiC 단결정 기판(1)과의 계면 부근에 위치하고 결정 결함이 비교적 많이 존재하는 에피택셜층으로서,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 보다도 높은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전계 완화층(12)을 구비함으로써, p-형 버퍼층(2)의 두께를 두텁게 하지 않고 공핍층의 늘어남을 억제하여 절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생산적인 관점에서 p-형 버퍼층(2)에 더하여 전계 완화층(12)을 구비함으로써, p-형 버퍼층(2)과 전계 완화층(12)의 층 전체적으로는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설계적인 관점에서는 전계 완화층(12)은 SiC 단결정 기판(1)과 전계 완화층과의 계면으로 공핍층이 늘어나는 것을 저지하고, p-형 버퍼층(2)은 내압을 확보한다고 하는 각각의 기능이 명확해지도록 전계 완화층(12)과 p-형 버퍼층(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를 위해서는, 억셉터의 이온화한 총량을 고려하면, p-형 버퍼층(2)의 총량(L2×C2)이 전계 완화층(12)의 총량(L1×C1)보다도 크다고 하는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계를 다시 말하면, p-형 버퍼층(2)의 두께(L2)에 대한 전계 완화층(12)의 두께(L1)의 비(L1/L2)가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C2)에 대한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C1)의 비(C1/C2)의 역수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전계 완화층(12)의 두께를 될 수 있는 한 얇게 하고, 또한, 공핍층의 늘어남을 억제하는 기능을 확실하게 얻고자 한다면, 전계 완화층(12)의 불순물 농도를 p-형 버퍼층(2)의 불순물 농도의 적어도 10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서는, 접합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예로 들었지만, 횡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라면 M0(Metal 0xide)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번 개시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나 있으며,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파워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서, 스위칭 전원이나 자동차의 인버터 등에 유효하게 적용된다.

Claims (4)

  1. 주표면을 갖는 반도체 기판(1)과,
    상기 반도체 기판(1)의 주표면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층(12, 2)과,
    상기 제1 반도체층(12, 2)상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층(3)과,
    상기 제2 반도체층(3)상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제3 반도체층(10)과,
    상기 제3 반도체층(10) 중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층(4, 5)과,
    상기 한 쌍의 소스·드레인 영역층(4, 5)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3 반도체층(10)의 영역 부분에 형성된 게이트 영역층(6)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도체층(l2, 2)은,
    상기 제3 반도체층(10)이 위치하는 쪽에 형성된 제1 불순물 농도를 갖는 버퍼층(2)과,
    상기 버퍼층(2)과 상기 반도체 기판(1)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1)과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불순물 농도보다도 높은 제2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전계 완화층(12)을 구비한 것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불순물 농도는 상기 제1 불순물 농도의 5배 이상 으로 설정된 것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불순물 농도는 상기 제1 불순물 농도의 적어도 10배 이상으로 설정된 것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2)의 두께에 대한 상기 전계 완화층(12)의 두께의 비는 상기 제1 불순물 농도에 대한 상기 제2 불순물 농도의 비의 역수 이하로 설정된 것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KR1020057023412A 2003-06-13 2004-05-2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KR100985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69475 2003-06-13
JPJP-P-2003-00169475 2003-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849A KR20060017849A (ko) 2006-02-27
KR100985808B1 true KR100985808B1 (ko) 2010-10-06

Family

ID=3354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3412A KR100985808B1 (ko) 2003-06-13 2004-05-21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21142B2 (ko)
EP (1) EP1635400B1 (ko)
JP (1) JP4730097B2 (ko)
KR (1) KR100985808B1 (ko)
CN (1) CN100505318C (ko)
CA (1) CA2513516A1 (ko)
TW (1) TWI251882B (ko)
WO (1) WO2004112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6547B2 (ja) * 2005-01-24 2010-11-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接合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5191109B2 (ja) * 2006-08-29 2013-04-24 ローム株式会社 接合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4751308B2 (ja) 2006-12-18 2011-08-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横型接合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4683141B2 (ja) * 2009-05-01 2011-05-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横型接合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WO2010131571A1 (ja) * 2009-05-11 2010-11-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N102422424A (zh) 2009-05-11 2012-04-18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半导体器件
US20100308340A1 (en) * 2009-06-04 2010-12-09 General Electric Company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buried channel
JP2012164790A (ja) * 2011-02-07 2012-08-30 Sumitomo Electric Ind Ltd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8762A (ja) * 2001-06-14 2003-03-07 Sumitomo Electric Ind Ltd 横型接合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6368A (en) * 1978-10-10 1979-11-2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 for use in integrated circuits
JPS6431471A (en) * 1987-07-27 1989-02-01 Shimadzu Corp Semiconductor device
JPS6431471U (ko) 1987-08-19 1989-02-27
JPH0974106A (ja) * 1995-09-07 1997-03-18 Sumitomo Chem Co Ltd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用エピタキシャル基板
JP2000323499A (ja) * 1999-05-10 2000-11-24 Hitachi Cable Ltd 化合物半導体エピタキシャルウェハ
US6686616B1 (en) * 2000-05-10 2004-02-03 Cree, Inc. Silicon carbide metal-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s
US7005708B2 (en) * 2001-06-14 2006-02-28 Sarnoff Corporation Minimum-dimension, fully-silicided MOS driver and ESD protection design for optimized inter-finger coupl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8762A (ja) * 2001-06-14 2003-03-07 Sumitomo Electric Ind Ltd 横型接合型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112150A1 (ja) 2006-07-27
EP1635400A1 (en) 2006-03-15
KR20060017849A (ko) 2006-02-27
EP1635400B1 (en) 2012-07-18
US20060113574A1 (en) 2006-06-01
US7321142B2 (en) 2008-01-22
TW200511441A (en) 2005-03-16
JP4730097B2 (ja) 2011-07-20
TWI251882B (en) 2006-03-21
WO2004112150A1 (ja) 2004-12-23
EP1635400A4 (en) 2007-09-26
CN100505318C (zh) 2009-06-24
CA2513516A1 (en) 2004-12-23
CN1774815A (zh)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4060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large blocking volt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35035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device
US10002952B2 (en)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device
US8564017B2 (en)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040047717A (ko) SiC-MISFET 및 그 제조방법
US9263571B2 (en)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694014A (zh)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KR20090091278A (ko) 횡형 접합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US9640612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985808B1 (ko)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US10749022B2 (en) Semiconductor device
JP2009070849A (ja) 半導体装置
CN109962109B (zh) 半导体器件及该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
US1010325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wide bandgap vertical-type MOSFET
US1168876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476370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embedded Schottky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388780B1 (en) Semiconductor device
EP4340040A1 (en) Semiconductor device
KR20000010289A (ko) 전력용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