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296B1 - 밀폐형 전동 압축기에 유용한 모터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밀폐형 전동 압축기에 유용한 모터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296B1
KR100983296B1 KR1020030071821A KR20030071821A KR100983296B1 KR 100983296 B1 KR100983296 B1 KR 100983296B1 KR 1020030071821 A KR1020030071821 A KR 1020030071821A KR 20030071821 A KR20030071821 A KR 20030071821A KR 100983296 B1 KR100983296 B1 KR 100983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late
terminal
protector
snap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476A (ko
Inventor
우노미츠로
다카스기요시아키
세리자와유키노부
Original Assignee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매사추세츠,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매사추세츠, 인크. filed Critical 센사타 테크놀로지스 매사추세츠, 인크.
Publication of KR20040034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12Means for adjustment of "on" or "off" operating temperature
    • H01H37/16Means for adjustment of "on" or "off" operating temperature by varying the proportion of input heat received by the thermal element, e.g. by displacement of a sh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01H71/164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01H37/54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wherein the bimetallic element is inherently snap a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프로텍터(1)는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제1 단자(31)와 제2 단자(32)를 장착시키는 금속 헤더(30)를 포함한다. 상기 헤더(30)에는 금속 하우징(10)이 고정되어 챔버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단자(31)에는 고정 접점(4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단자(32)와 헤더(30) 사이에는 히터(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챔버 내측에는 아암 조립체(60)가 배치되고, 이 아암 조립체의 단부는 하우징에 고정된다. 아암 조립체(60)는 고정 접점(40)과 맞물릴 수 있는 가동 접점(77)이 있는 전기 전도성 가동판(70)과, 가동판(7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놓이는 위치에 배치된 열감응성 부재(80)와, 가동판(70)과 열감응성 부재(80)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전기 전도성 용접 슬러그(9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밀폐형 전동 압축기에 유용한 모터 프로텍터{MOTOR PROTECTOR PARTICULARLY USEFUL WITH HERMETIC ELECTROMOTIVE COMPRESSOR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프로텍터의 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텍터의 단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취한 횡단면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헤더 핀 조립체의 평면도, 도 3b는 헤더핀 조립체의 측면도, 도 3c는 헤더 핀 조립체의 정면도.
도 4a는 헤더와 핀의 평면도, 도 4b는 헤더와 핀의 측면도, 도 4c는 도 4a의 4(c)-4(c) 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도 4d는 헤더와 핀의 저면도.
도 5a는 고정 접점의 평면도, 도 5b는 고정 접점의 좌측면도, 도 5c는 고정 접점의 정면도.
도 6a와 도 6b는 벤딩 가공전에 히터의 정면도 및 저면도.
도 6c, 도 6d 및 도 6e는 벤딩 가공 후에 히터의 각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7은 헤더 상의 절연막의 평면도.
도 8a는 아암 조립체의 평면도, 도 8b는 아암 조립체의 측면도, 도 8c는 도 8a의 8(c)-8(c) 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도 9a는 벤딩 가공 전에 가동판의 평면도, 도 9b와 도 9c는 벤딩 가공 후에 가동 접점(77)이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가동판의 평면도와 정단면도, 도 9d와 도 9e는 성형 후에 도 9b 및 도 9c와 유사한 평면도 및 횡단면도.
도 10은 바이메탈 디스크의 평면도.
도 11a는 용접 슬러그의 평면도, 도 11b는 용접 슬러그를 통해 취한 횡단면도.
도 12a는 하우징의 평면도, 도 12b는 도 12a의 12(b)-12(b) 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도 12c는 도 12a의 12(c)-12(c) 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도 12d는 저면도.
도 13은 아암 조립체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4는 아암 조립체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5는 아암 조립체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6은 아암 조립체의 또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7은 아암 조립체의 또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8a는 바이메탈 디스크의 변형례의 평면도, 도 18b는 평면도.
도 19는 하우징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20은 바이메탈 디스크의 변형례의 평면도.
도 21은 종래의 프로텍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프로텍터
10: 금속 하우징
20: 헤더 핀 조립체
30: 헤더
40: 고정 접점
50: 히터
60: 아암 조립체
70: 가동판
90: 용접 슬러그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밀폐형 전동 압축기에 사용하기 위한 모터 프로텍터, 구체적으로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 내에 사용되는 내부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전동 압축기 내에는 모터로 흐르는 과도한 전류를 검출하거나 비정상적인 작동 또는 속박 작동으로부터 기인한 대기 온도 상승을 검출하는 내부 프로텍터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한 내부 프로텍터는 과도한 전류나 대기 온도 상승에 반응하는 열감응성 바이메탈 소자를 포함한다. 이 바이메탈 소자는 과부하 작동 또는 속박 작동의 발생시 모터로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를 개방함으로써, 연소 등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모터를 보호한다.
밀폐형 전동 압축기에는 외부 전력 공급원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퓨즈 핀 조립체(또는 기밀식 단자 조립체)가 마련된다. 상기 퓨즈 핀 조립체는 공통 단자, 주 코일 단자 및 부 코일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프로텍터는 전동 압축기의 공통 단자와 모터 권선부 사이에서 직렬로 접속된다.
도 2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밀폐형 모터 프로텍터의 횡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200)는 금속으로 제조된 하우징(210)과 여러 구성 부품을 장착시키는 금속 헤더(220)를 포함한다. 금속 헤더(220)의 외주부는 하우징(210)에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단자의 역할을 한다. 금속 헤더(220)의 중심에는 구멍이 있고, 이 구멍에는 유리 시일(222)에 의해 금속 헤더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핀(221)이 장착된다. 핀(221)은 하우징(210)의 고정판(2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고정판(230)은 용접 슬러그(232)에 의해 스냅 동작 바이메탈 디스크(231)의 일단부에 장착된다. 바이메탈 디스크(231)의 타단부에는 가동 접점(233)이 배치되고, 이 가동 접점(233)은 하우징(210)의 벽 상에 장착된 고정 접점(211)과 맞물리고 분리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모터 프로텍터(200)의 핀(221)은 전동 압축기의 공통 단자에 접속되고, 하우징(210)은 모터의 권선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동 압축기의 정상적인 작동 중에는, 공통 단자로부터 핀(221)으로 공급되는 전류가 고정판(230), 바이메탈 디스크(231), 가동 접점(233), 고정 접점(211) 및 하우징(210)을 통해 모터 코일로 흐른다. 어떠한 이유 때문이라도, 전동 압축기 모터의 회전자가 회전되지 않아 회전자를 향해 과도한 전류(이후에는 속박 전류라 칭함)가 흐르면, 전술한 경로에 열 이 발생되고 이 열이 바이메탈 디스크(231)의 미리 설정된 작동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바이메탈 디스크가 하나의 만곡 형상으로부터 반대 형상으로 스냅되어 가동 접점(233)이 고정 접점(211)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됨으로써, 전력 공급원 회로를 개방시킨다. 그 결과, 전동 압축기의 모터가 가능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전술한 종래의 모터 프로텍터는 다음의 한계를 갖는다. 그러한 모터 프로텍터가 임의의 가능한 손상으로부터 종래의 장비를 보호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지만, 최근에는 보호 대상 장비의 효율이 개선되어 정상 또는 정격 작동 중에 작동 전류와 비정상 작동 중에 발생하는 속박 전류 사이의 차가 감소되었다. 그 결과, 보호 대상 장비의 작동이 정격 작동 중에 모터 프로텍터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즉, 정격 작동에서 단기간의 과도한 부하 작동이 발생되면, 작동이 중단되지 않으면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지 않고도 장비의 작동 효율이 호전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프로텍터(200)는 바이메탈 디스크(231)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된 열과 바이메탈 디스크에 전달되는 대기 온도에 의해 구동된다. 그러나, 바이메탈 디스크(231)의 저항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전류가 작더라도 발생된 열량이 클 수 있다. 이 때문에, 정격 작동 중에 흐를 수 있는 정격 전류(또는 허용 가능한 과부하 작동 시에 과부하 전류)가 제한되고, 허용 가능한 과부하 작동 중이라도 바이메탈 디스크(231)가 순간적으로 스냅 동작으로 구동되는 경우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허용 가능한 과부하 작동 주기 동안에, 바이메탈 디스크(231)를 비롯한 전기 전도성 경로에 의한 열의 발생을 조절하고 허용 가능한 과부하 작동 중에 스냅 동작 바이메탈 디스크(231)의 구동을 저지하는 데 필요하지 않은 구성 요소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21에 도시된 프로텍터의 경우, 바이메탈 디스크(231) 등을 장착시키는 고정판(230)이 하우징(210)으로부터 멀리 배치되고, 그 결과 바이메탈 디스크 등과 같은 내부 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는 것이 어렵다. 또한, 핀(221)과 바이메탈 디스크(231) 사이의 전도성 경로(L)가 열의 발생에 기여하고, 또한 프로텍터로 향하는 전류를 저하시키는 데 일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한계를 극복하여 보호 대상 장비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는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 대상 장비의 정격 작동 전류와 속박 작동 전류 사이의 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메탈 디스크의 스냅 동작의 구동이 정확하게 제어되는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폐형 전동 압축기용의 종래의 프로텍터에 비해 개선된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프로텍터는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된 관계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고정시키는 금속 헤더와, 상기 금속 헤더에 고정되어 챔버를 형성하는 금속 하우징과,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어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고정 접점과,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어 제2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제2 단자와 금속 헤더 사이에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히터와, 챔버 내에 배치되어 단부가 금속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아암 조립체를 구비한다. 상기 아암 조립체는 고정 접점과 맞물리게 되어 있는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가동판과, 이 가동판에 인접하여, 예컨대 가동판의 상부 또한 하부에 놓이도록 배치된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와, 상기 가동판과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전기 전도성 고정 용접 슬러그 부재를 포함한다. 프로텍터의 열감응성 부재(바람직하게는, 스냅 동작 바이메탈 디스크)는 주 회로 경로의 일부가 아니기 때문에, 열감응성 부재에 의한 열 발생이 요인이 되지 않아 열감응성 부재에 의해 프로텍터로 흐르게 되어 있는 전류를 제한하는 논쟁이 없어진다. 이 결과, 종래의 프로텍터 경우에 비해 보호 대상 장비의 정격 작동시 전류가 커질 수 있다. 보호 대상 장비에 대해 모터의 속박 작동 중 속박 전류와 과부하 작동 중 과부하 전류 사이에 차별을 둠으로써, 예컨대 보호 대상 장비의 작동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가동판의 일단부와 열감응성 부재는 고정 용접 부재에 의해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판의 타단부에는 윈도우가 형성되고, 이 윈도우에 열감응성 부재의 타단부가 삽입되므로, 가동판은 열감응성 부재가 구동되어 하나의 접시 형태로부터 반대 형태로 스냅되면 이동된다. 열감응성 부재의 타단부가 윈도우 내측에 느슨하게 끼워맞춰짐으로써, 가동판이 바이메탈 디스크 등의 임의의 크리프 현상에 의해 바람직하지 못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열감응성 부재가 스냅되는 경우에 이 열감응성 부재용 지점(支點)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돌출부가 가동판 상에 형성된다. 열감응성 부재의 타단부의 운동은 이 지점의 사용에 의해 강조된다. 가동판의 측부에는 그 일부를 벤 딩함으로써 강화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는 가동판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부와 정렬되는 위치까지 형성되고, 이 부분을 강화시킴으로써, 돌출부 위치의 변위가 가능한 한 최소화된다. 그 결과, 지점은 항상 실질적으로 일정한 장소에 유지되어 접점들 간에 접촉 압력 뿐만 아니라 열감응성 부재의 구동 온도를 안정화시킨다.
가동 접점의 위치와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 사이의 힘은 바람직하게는 아암 조립체가 고정된 하우징의 소성 변형에 의해 조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프로텍터의 외부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헤더의 내측면을 통해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인 챔버 공간 내로 2개의 단자가 돌출된다. 고정 접점에는 가동 접점과 맞물리게 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보다 횡단면적이 작은 제2 부분과, 이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부분이 있고, 이 제3 부분은 제1 단자에 고정된다. 고정 접점의 제1 부분의 열용량을 제2 부분보다 비교적 크게 함으로써, 전류 경로의 접촉부의 열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히터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퓨즈 부분을 포함한다. 퓨즈 부분의 횡단면적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에 비해 감소된다. 제1 연결부는 제2 단자에 접속되고, 제2 연결부는 헤더에 고정되며, 히터는 만곡 형태로 벤딩된다. 이 때문에, 히터가 제한된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히터 자체의 크기가 최소화되고, 그 결과 불필요한 부분으로 전달되는 열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히터로부터의 열이 아암 조립체로 효 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동판의 고정된 일단부와 열감응성 부재에 개구가 형성되고, 고정 용접 부재는 상기 개구들을 통해 수용되어 하우징의 내벽에 용접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아암 조립체의 일단부는 열용량이 큰 하우징에 연결되기 때문에, 전도성 경로로서의 역할을 하는 가동판에 의해 발생된 열이 하우징으로 효율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속박 작동 중에 속박 전류와 과부하 작동 중에 과부하 전류 사이의 차를 모터와 같은 보호 대상 장비에 가능한 만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 및 특징들 중 일부는 다음의 설명에 기재되어 있고, 일부는 그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잇점은 특히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교시한 수단, 조합 및 방법에 의해 구현 및 달성될 수 있다.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으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목적, 잇점 및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프로텍터(1)는 가동판 조립체(60)를 수용하고 헤더 핀 조립체(20)에 의해 폐쇄된 내부 공간 또는 챔버를 형성하는 컵 형상의 금속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헤더 핀 조립체(20)는 헤더(30)와, 한쌍의 전기 전도성 핀(31, 32)과, 고정 접점(40)과 히터(50)를 포함한다(또한 도 3 참조). 헤더(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 형태의 금속 부재(예컨대, 강)이며, 각 코너부는 만곡되어 있다. 헤더(30)에는 핀(31, 32)을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33, 34)가 형성되어 있다. 헤더(31)의 외주부 상에는 단차부(30a)가 형성된다. 핀(31, 32)은 코어(31a, 32a)를 각각 내측에 수용하는 직사각형의 원통형 금속 부재이다. 내부 코어(31a, 32a)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의 저저항 재료로 되어 있고 코어는 철 또는 철 합금에 의해 덮혀 있다. 핀(31, 32)의 직경은 헤더(30)의 개구(33, 34)보다 작아 유리 시일(35)에 의해 금속판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개구 내에 장착된다. 핀(31, 32)은 헤더(3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돌출되어 고정 접점(40)과 히터(50)에 각각 접속된다(도 3c 참조).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30)의 표면 상에는 핀(31, 32)에 대응하는 개구(36a, 36b)를 갖는 절연막(36; 도 7)이 배치된다. 핀(31, 32)은 또한 헤더(30)의 반대면으로부터도 돌출되어 외부 단자의 역할을 하는데, 핀(31)은 공통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핀(32)은 모터 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헤더(30) 상의 핀(31)의 측부에는 고정 접점(40)이 접속된다. 도 5a, 도 5b, 도 5c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40)은 은, 구리 및 철 등의 적층된 층을 갖는 다층 금속 구조체이다. 고정 접점(40)은 철로 제조된 기단부(41)와, 이 기단부(41)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만곡된 접촉부(42)를 포함한다.
기단부(41)는 그 내측면 상에 구리를 포함하고, 이 구리 재료에는 만곡면(41a)이 있다. 상기 만곡면(41a)의 곡률 반경은 핀(31)의 외주부의 곡률 반경보다 약간 크므로, 고정 접점(40)이 핀(31) 상에 장착될 때 만곡면(41a)은 핀(31)의 측부에 용접된다. 접촉부(42)는 은과 구리의 적층체를 철 상에 배치하여 형성된 폭넓고 평탄한 접촉면(42a)을 포함한다. 접촉부(42)와 기단부(41) 사이의 제한부(41b)는 접촉부(42)와 기단부(41)에 비해 횡단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접촉부(42)의 두께를 비교적 크게 함으로써, 접촉부(42)의 열용량이 커지게 된다.
고정 접점(40)은 접촉부(42)가 수직 배치된 핀(31) 상에 대략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제한부(41b) 때문에 핀(31)의 단부면과 접촉부(42)의 하부면 사이에 공간(S1)이 형성된다(도 3c를 참조하라). 공간(S1)이 제공되면 고정 접점(40)으로부터의 열 분산이 최소화된다. 고정 접점(40)의 기단부(41)로부터 접촉부(42)와 제한부(41b)의 벤딩이 또한 접촉부(42)의 열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고정 접점(40)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6a와 도 6b는 벤딩 작업을 받기 전에 히터(50)를 보여주고 있다. 도 6c, 도 6d 및 도 6e는 벤딩 작업 후에 히터를 보여주고 있다. 히터(50)는 예컨대 철판과 같은 금속판을 펀칭함으로써 형성되고, 본체(51)와, 이 본체(51)에 연결된 퓨즈 부분(52)과, 이 퓨즈 부분(52)에 연결된 연결부(53)를 포함한다. 본체(51)와 연결부(53)의 두께는 대략 동일하다. 그러나, 퓨즈 부분(52)의 두께와 폭 및 이에 따른 횡단면적은 본체(51) 및 연결부(53)보다 작다. 퓨즈 부분(52)은 예컨대 스탬핑에 의해 형성된다. 연결부(53)의 표면 상에는 핀(32)에 용접하기 위한 돌출부(53a)가 스탬핑에 의해 형성된다. 본체(51)의 단부에는 본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1a)가 형성된다.
히터(50)는 본체(51)의 대략 중심인 위치와 퓨즈 부분(52)의 위치에서 벤딩되어 대략 C 형상으로 만곡된다. 본체(51)로부터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1a)의 말단면은 절연막(36)에 의해 덮이지 않은 헤더 지점에서 헤더(30)의 표면에 용접되는 동시에, 연결부(53)의 돌출부(53a)는 핀(32)의 측부에 용접된다(도 3a와 도 3c를 참조하라).
히터(50)가 핀(32) 상에 장착되면, 히터의 본체(51)는 고정 접점(40)의 접촉면(42a)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있게 된다. 히터(50)가 장착되면, 헤더(30)까지 돌출부(53a), 퓨즈 부분(52), 본체(51) 및 연장부(51a)를 비롯하여 핀(32)에서 연결부(53)까지 전기 전도성 경로가 형성된다. 히터(50)의 조절부는 본체(51)이고, 열은 본체를 통과하는 전류에 의해 발생된다. 전류가 선택값보다 크면, 본체(51)와 연결부(53)보다 횡단면적이 작은 퓨즈 부분은 열에 의해 용융된다.
히터(50)를 벤딩하면 헤더(30)의 한정된 공간 내에 히터(50)를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공간(S1) 뿐만 아니라 공간(S2, S3 및 S4)을 제공할 수 있다(도 2 참조). 공간(S2, S3 및 S4)은 다른 구성 부품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열전달을 최소화하는 잇점을 제공한다. 히터에 의해 발생된 열량은 히터(50)를 벤딩하기 전에 히터의 횡단면적(도 6b에 도시된 치수 A)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어, 원하는 저항값을 얻고 제한된 유효 공간 내에 히터의 레이아웃을 설계하는 데 있어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조립체(60)는 가동판(70)과 바이메탈 디스크(80)를 포함한다. 가동판(70)(도 9 참조)은 기단부(71), 이 기단부(71)로부터 연장되는 가요부(72;可撓部), 이 가요부(72)에 연결된 협폭부(73) 및 이 협폭부(73)에 연결된 절곡부(74)를 포함한다. 이들 부분은 단일 금속판을 천공하여 형성된다.
기단부(71) 상에는 개구(71a)와 이 개구(71a)에 인접한 한쌍의 원형 돌출부(71b)가 형성된다. 개구(71a)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그 부품의 횡단면적이 가동판(70)의 기단부로부터 발생된 열량에 따라 조정된다. 가동판(70)은 전류 경로 중 일부로서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바이메탈 디스크(80)의 열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가동판(70)에는 기단부(71)와 가요부(72)의 상호 연결부 근처에 원형 돌출부(71c)가 형성된다. 또한, 기단부(71)의 양측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71d)가 형성된다. 플랜지(71d)는 가요부(72)보다 폭이 넓은 부분을 형성하고, 이 폭이 넓은 부분은 돌출부(71c)의 중심과 정렬되는 위치까지 또는 중심을 지나 선단측(접촉측)까지 연장된다.
가요부(72)는 대략 일정한 폭을 가지며 벤딩될 수 있다. 한쌍의 플랜지(72b)는 확장된 폭을 갖고 중심에 있는 개구(72a)는 가요부(72)와 협폭부(73)의 상호 연결부의 중간 지점에 형성된다. 협폭부(73)는 폭이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고 유사하게 절곡부(74)에 연결된다. 개구(74a)는 개구(72a)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절곡부(74)에 형성된다. 절곡부(74)의 양측부 상에는 탭(75)이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슬릿형 윈도우(76)가 또한 절곡부(74)에 형성된다. 절곡부(74)는 도 9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9b에 도시된 상태로 벤딩된다. 가동판(70)의 협폭부(73)의 벤딩에 의해, 절곡부(74)는 절곡부(74)의 개구(74a)가 가요부(72)의 개구(72a)와 정렬된 상태로 가요부(72) 상에 배치된다. 절곡부(74)의 자유 단부는 가요부(72)로부터 멀어지게 추가로 벤딩되어 상방으로 향함으로써, 직립부(74b)를 형성한다. 이 결과, 슬릿형 윈도우(76)가 가요부(72) 의 표면에 대해 직립 상태로 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개구를 제공한다. 기단부(71)의 양측부 상의 플랜지(71d)는 본체(71)의 대향면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게 벤딩되고, 절곡부(74)의 양측부 상의 탭(75)은 가요부(72)를 향해 대체로 수직하게 벤딩되며, 가요부(72)의 넓은 부분(72b)은 절곡부(74)를 향해 대체로 수직하게 벤딩된다.
벤딩에 이어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형 가동 접점(77)이 절곡부(74)와 가요부(72)의 정렬된 개구(74a, 72a)에 용접 또는 스테이킹에 의해 고정된다. 예컨대, 은 니켈, 은 카드뮴 산화물 또는 은 주석 산화물 및 구리의 피복 재료와 같은 적절한 재료가 가동 접점(77)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가동 접점(77)을 비롯한 가동판(70)의 선단부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도 9d의 점선(78)을 따라 벤딩된다. 이는 아암 조립체가 하우징(10) 내에 장착된 경우에 가동 접점(77)과 고정 접점(40) 사이에 부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이메탈 디스크(80)는 기단부(81)와, 이 기단부(81)로부터 연장되는 혀형상의 스냅 동작부(82)를 포함한다. 스냅 동작부(82)의 선단부 양측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한쌍의 직사각형 돌출부(리브;83)가 형성되어 바이메탈 디스크(80)의 스냅 동작 전에 크리프 동작을 최소화시킨다. 바이메탈 디스크(80)는 장착하기 전에 공지된 기법을 사용하여 스냅 동작 형태로 형성되어 선택된 구동 및 소정의 온도에서 하나의 접시 형태로부터 반대 접시 형태로 스냅된다.
도 11a와 도 11b는 철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제조되고 디스크 형상의 본체(91)와 이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는 원형 돌출부(92)를 포함하는 고정 금 속 용접 슬러그(90)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용접을 위한 복수 개의 돌출부(93)는 본체의 원주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돌출부(9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용접 슬러그(90)의 돌출부(92)는 가동판(70)의 기단부(71)의 개구(71a) 내로 삽입되고 용접 슬러그는 돌출부(93)를 통해 가동판(70)에 용접된다. 이어서, 바이메탈 디스크(80)는 가동판(70)에 용접되는데, 바이메탈 디스크(80)의 스냅 동작부(82)의 선단부(83a)는 수평 방향으로부터 가동판(70)의 직립부(74b)의 윈도우(76) 내로 삽입되고 가동판(70)을 통해 연장되는 슬러그(90)의 돌출부(92)는 바이메탈 디스크의 기단부(81)의 개구(81a) 내로 삽입된다. 또한, 가동판(70)의 기단부(71) 상의 돌출부(71b)는 바이메탈 디스크(80)의 기단부(81)에 용접되어 바이메탈 디스크(80)는 외팔보 형태로 가동판(70) 상에 지지된다.
이렇게 조립된 아암 조립체(60)는 하우징(10) 내측에 장착된다.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은 일측부가 개방되어 있는 강 등으로 제조된 금속 용기이다. 하우징(10)의 개방 측부를 형성하는 단부(11)는 외측을 향해 벤딩되어 헤더(30)의 표면에 대한 용접을 촉진시킨다. 아암 조립체(60)의 장착을 위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형 표면(13)과 바이메탈 디스크(80)가 맞물림 위치로 가동 접점(77)을 스냅시킨 경우 가동 접점(77)이 접촉하게 되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형 표면(14)이 하우징(10)의 바닥 상에 형성된다.
아암 조립체(60)는 슬러그(90)의 돌출부(92) 표면을 리브(13)에 용접시킴으로써 장착된다. 아암 조립체(60)의 일단부는 슬러그(90)에 의해 리브(13) 상에 외팔보와 같이 지지된다. 하우징(10) 외측으로부터 프레스 등에 의해 리브(13)에 대 응하는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이 시기에 가동 접점(77)의 위치를 조정하는 교정이 수행되고, 이에 의해 하우징(10)을 소성 변형시킨다. 가동 접점(77)의 위치는 리브(13)의 가압량 또는 변형량을 변경시킴으로써 조정된다.
헤더 핀 조립체(20)는 아암 조립체의 교정이 완료된 후에 하우징(10) 상에 장착된다. 이어서, 하우징(10)의 단부(11)는 헤더(30)의 표면에 용접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1)의 조립을 완료시킨다. 이 때, 위치가 정확하게 조정된 가동 접점(77)은 특정한 접촉력에 의해 고정 접점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 접촉력은 전술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부터 하우징(10)을 변형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접촉 압력이 또한 스냅 동작이 일어나는 온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 전동 압축기의 보호 특성과 프로텍터(1)의 특성에 합치하는 최적값을 적절하게 선택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프로텍터(1)의 작동을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텍터(1)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 내측에 배치되고, 핀(32)은 퓨즈 핀의 공통 단자에 연결되고, 핀(31)은 모터의 권선부에 연결된다. 모터가 규칙적으로 작동되는 용례에서, 가동판(70)의 가동 접점(77)은 특정한 접촉력에 의해 고정 접점(40)의 접촉면(42a)과 맞물린다. 이 때, 가동 접점(40), 가동판(70), 하우징(10), 헤더(30) 및 히터(50)를 통해 핀(31)과 핀(32) 사이에 전류 경로가 형성됨으로써 전력을 모터에 공급한다.
전동 압축기의 모터가 속박 작동되면, 속박 전류가 프로텍터(1)로 흐르는 동시에, 열이 모터 등으로부터 전달된다. 속박 전류에 합치되는 열이 프로텍터(1)의 히터(50)에 의해 발생되는 동시에, 횡단면적이 기단부(71)의 개구(71a)에 의해 제한된 가동판(70) 부분으로부터 또한 열이 발생되어 조합된 열이 바이메탈 디스크(80)로 전달된다. 바이메탈 디스크(80)가 이 열로 인해 구동 온도를 초과하면, 바이메탈 디스크(80)는 스냅 동작을 개시한다. 바이메탈 디스크(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기단부(81)가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어, 그 선단부(83a)가 윈도우(76) 내에 자유롭게 또는 느슨하게 삽입된다. 스냅 동작과 관련하여, 바이메탈 디스크의 스냅 동작부(82)는 지점으로서의 돌출부(71c)에 의해 선단부(83a)를 스냅시켜 상방으로 들어올림에 따라 가동판(70) 상에 형성된 돌출부(71c)와 접촉된다. 이 때문에, 가동판(70)이 벤딩되어 가동 접점(77)이 고정 접점(40)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어 가동 접점(77)의 반대측이 하우징(10)의 돌출 리브(14)와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가동판(70)의 기단부(71)의 양측부 상의 돌출부(71c)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로 연장되는 플랜지(71d)로 인해 기단부(71) 자체의 벤딩이 실질적으로 방지되고, 그 결과 가동판(70)은 돌출부(71c)를 지나 또는 그 경계를 벗어나 벤딩된다. 바이메탈 디스크(80)의 선단부(83c)가 윈도우(76)의 상부면과 맞물리면, 절곡부(74)와 가요부(72)는 가동 접점(77)을 따라 일체로 들어올려진다. 이 방식으로, 가동판(70)은 바이메탈 디스크(80)의 이동에 합치하게 벤딩된다. 가동판(70)이 지점으로서 돌출부(71c)를 사용하여 고정 접점(40)으로부터 멀어지게 가동 접점(77)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가동 접점(77)과 고정 접점(40)을 개방시켜 이 접점들 사이에 채터링(chattering) 동작 가능성을 회피하는 경우에 양 접점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동 접점(77) 또는 가동판(70)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함으로써 아암 조립체에 필요한 공간을 제한할 수 있고, 그 결과 프로텍터(1)의 크기 감축을 달성할 수 있다.
프로텍터(1)의 대기 온도가 특정한 리셋 온도 아래로 저하되면, 바이메탈 디스크(80)는 전동 압축기를 여기시킬 수 있는 원래 상태로 다시 한번 리셋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단부(71)의 탄성 변형이 방지되고 바이메탈 디스크(80)가 지점으로서 돌출부(71c)를 사용하여 구동 상태에 있을 때마다 가동판(70)이 탄성 변형되므로, 바이메탈 디스크가 리셋될 때까지 바이메탈 디스크(80)의 크리프 동작의 결과로 가동 접점(77)이 고정 접점(40)과 맞물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바이메탈 디스크(80)의 크리프 동작에 의해 야기되는 가동판(70)의 벤딩은 가동판의 윈도우(76) 내측에 느슨하게 삽입되는 바이메탈 디스크의 선단부에 형성된 직사각형 돌출부(83)에 의해 방지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바이메탈 디스크(80)가 전류 경로에 있지 않고, 이에 의해 열이 발생되지 않으며, 바이메탈 디스크(80)의 구동이 주로 히터로부터의 열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종래의 프로텍터에 비해 프로텍터로 흐르게 될 수 있는 과부하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아암 조립체(60)의 한 단자가 하우징(10)과 전기적으로 및 열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가동판(70)을 통해 흐르는 전류로 인한 열 발생이 하우징을 통해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으로부터의 열 발생은 고정 접점(40)의 열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조절된다. 히터(50)에 의한 열 발생은 제한된 공간 내에 히터의 배치로 인해 그리고 히터를 공간(S2, S3 및 S4)에 의해 다른 구성 부품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조절되어 바이메탈 디스크(80)를 향하게 된다. 이 방식으로, 바이메탈 디스크가 구동되는 온도 범위가 종래의 프로텍터에 의해 훨씬 더 제한된다. 즉, 바이메탈 디스크가 구동되는 온도가 고도의 정확도로 조절될 수 있다. 이 결과, 속박 작동시의 속박 전류와 과부하 작동시에 과부하 전류 사이의 차가 실질적으로 감소됨으로써, 전동 모터 등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변형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7은 아암 조립체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3에 도시된 아암 조립체에서, 가동판(111)의 선단부에는 직립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바이메탈 디스크(80)의 선단부의 삽입 및 유지를 위한 윈도우(113)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직립부(112)에 형성되어 있다. 직립부(112)는 이 실시예에 도시된 아암 조립체의 단부(114)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이메탈 디스크(80)의 스냅 동작시 단부(114)가 직립부를 추종한다. 이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 가동판(70)의 절곡부(74)와 가요부(72)의 넓은 부분(72b)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에 도시된 아암 조립체는 바이메탈 디스크(122)를 가동판(121) 아래에 배치하고 이들 바이메탈 디스크와 가동판을 슬러그(90)에 의해 외팔보 형태로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가동판(121) 상에서 바이메탈 디스크와 맞물리기 위한 직립부, 윈도우, 돌출부(71c) 및 플랜지(71d)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실 시예의 아암 조립체의 경우에, 크리프 동작으로 인한 접점 간에 임의의 문제를 방지하는 동시에,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아암 조립체는 바이메탈 디스크와 맞물리는 직립부가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여 형성된 실시예이다. 가동판(131)은 그 선단부에 가동 접점(77)을 포함한다. 가동판(70)으로부터 분리된 단차부를 갖는 직립부(132)는 용접 등에 의해 가동판(70)에 고정된다. 별개 부품(132;직립부)의 단차부와 가동판 사이에 윈도우(133)가 형성되고 이 윈도우(133) 내에 바이메탈 디스크(80)의 선단부(83a)가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직립부(132)가 벤딩에 의해서가 아니라 용접 등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직립부(132)가 가동판(131) 및 가동 접점(77)과 일체로 대체된다.
도 16에 도시된 아암 조립체(140)에 따르면, 바이메탈 디스크(80)용 지점이 별도 부품에 의해 제공된다. 돌출부(142)를 포함하는 금속판(143)이 가동판(141)과 바이메탈 디스크(80) 사이에 삽입된다. 용접 슬러그(90)가 가동판(141), 금속판(143) 및 바이메탈 디스크(80)의 기단부를 고정시키고 이들을 외팔보 형태로 지지한다. 또한, 돌출부(142)의 위치를 다르게 하여 복수 개의 금속판(143)을 마련하고 접점의 형상, 프로텍터의 크기 또는 접점 사이의 접촉 압력에 합치하게 금속판(143)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7과 도 16에 도시된 아암 조립체에서는 가동판(151, 141)의 절곡부에 의해 직립부(152)가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개구(72a)에 상당하는 개구를 형성하지 않고 가동 접점(77)이 용접에 의해 가동판의 선단부에 고정된다. 다른 관점에서, 도 17의 플랜지(71d)와 가동판(151)의 지점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8a, 도 18b는 바이메탈 디스크의 변형례를 도시하고 있다. 바이메탈 디스크(160)의 양측부 상에는 선단부에 플랜지(161)가 형성되어 리브(83;도 10 참조)를 사용하는 대신에 디스크의 대향면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게 벤딩된다. 리브(83)의 경우와 같이, 플랜지는 바이메탈 디스크(160)의 크리프 이동을 방지한다.
도 19는 하우징의 변형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하우징(10')은 리브(13)의 내측 말단 지점에 배치된 블록 요소(15)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 요소(15)에는 평탄면이 있고, 아암 조립체(60)가 리브(13)에 고정된 경우에, 이 평탄면이 바이메탈 디스크(80)의 기단부(81)와 맞물린다. 블록 요소(15)는 가동판(70)의 기단부의 벤딩을 방지할 수 있고, 전동 압축기의 과부하 작동 중에 바이메탈 디스크(80)로부터의 열을 흡수하므로, 하우징(10)으로의 열 방출이 향상되어 과부하 작동 중에 바이메탈 디스크의 조기 구동을 방지한다.
도 20은 바이메탈 디스크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바이메탈 디스크(170)의 선단부에 대체로 U자형의 돌출 리브(17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방식에서 2차원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171)를 형성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의 바이메탈 디스크의 크리프가 방지되는 동시에 폭방향으로의 크리프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보호 대상 장비의 일례로서 전동 압축기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보호 대상 장비로서 다른 모터나 압축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프로텍터가 밀폐형 전동 압축기의 내측에 사용되었다. 그러 나, 반드시 내측에 장착할 필요는 없다. 또한, 구성 부품들에 사용되는 형태 및 재료는 본 발명의 본질 내에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 접점(40)의 평탄면은 반드시 평탄면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대신에, 반원통형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반원통형은 만곡면을 제공하므로 가동 접점(77)과의 접촉 영역이 감소됨으로써 단위 면적 당 접촉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프로텍터에 따르면, 열감응성 부재(바람직하게는, 바이메탈 디스크)가 전류 경로에 있지 않으므로, 이 열감응성 부재에 의해 프로텍터로 흐르는 전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텍터의 구성 부품에 의한 열 발생이 조절되어 열 방산이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그 결과, 장비의 정격 작동시의 전류가 종래의 프로텍터의 경우보다 대량으로 보호됨으로써, 보호 대상 장비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정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는 그 변형 및 수정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는 그러한 변형 및 수정을 포함하도록 종래 기술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넓게 해석된다.

Claims (16)

  1. 상호간에 그리고 금속판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장착되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헤더 조립체와,
    상기 헤더 조립체 상에 수용되어 챔버를 형성하고, 상부벽과 이 상부벽에 종속된 측벽이 있는 컵 형상의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1 단자 상에 장착되는 전기 고정 접점과,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있고, 제1 단부는 제2 단자에 접속되며 제2 단부는 헤더 조립체의 금속판에 접속되는 히터 소자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각각 갖는 가동판과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를 포함하는 아암 조립체로서, 가동판의 제1 단부와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의 제1 단부는 하우징의 상부벽에 고정 연결되고,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는 반대 접시 형태들 사이에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아암 조립체와,
    상기 가동판의 제2 단부 상에 장착되어 전기 고정 접점과 맞물리고 분리되게 이동하도록 배치된 전기 가동 접점
    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판의 제2 단부에는 가동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직립부가 형성되고, 이 직립부에는 횡방으로 연장되는 윈도우가 형성되며, 이 윈도우에 상기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의 제2 단부가 느슨하게 수용 및 배치되어 전기 가동 접점과 전기 고정 접점이 맞물린 하나의 접시 형태로부터 전기 가동 접점과 전기 고정 접점이 서로 분리된 반대 접시 형태로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가 스냅되는 경우에 가동판의 제2 단부를 이동시키는 것인 프로텍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의 제2 단부는 그 자체 위로 벤딩되어 이중층을 형성하고 전기 가동 접점은 이 이중층의 일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중층의 한 층에는 자유 단부가 있고, 상기 한 층의 자유 단부를 다른 층으로부터 멀어지게 벤딩함으로써 직립부가 형성되는 것인 프로텍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는 챔버 내에서 헤더 조립체의 금속판 위로 연장되는 측부를 포함하고, 전기 고정 접점과 히터는 헤더 조립체의 금속판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의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측부에 부착되는 것인 프로텍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에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중간에서 자동 온도 조절식 스냅 동작 부재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자동 온도 조절식 스냅 동작 부재용 지점(支點)을 형성하며, 상기 가동판에는 이 가동판의 제1 단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방 연장형 돌출부와 정렬되는 위치로 연장되는 강화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프로텍터.
  5. 제1항에 있어서, 가동판의 제1 단부와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가장자리부에 의해 둘러싸인 돌출부가 중앙에 배치된 고정 용접 부 재는 이 돌출부가 상기 구멍을 통해 수용되어 하우징의 상부벽에 용접되도록 위치되며, 가동판과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는 고정 용접 부재의 가장자리부에 용접되는 것인 프로텍터.
  6. 상호간에 그리고 금속 헤더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고정시키는 금속 헤더와, 상기 헤더에 고정되어 챔버를 형성하는 금속 하우징과, 상기 제1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 접점과, 상기 제2 단자와 헤더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히터와,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된 아암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 조립체는 고정 접점과 맞물릴 수 있는 가동 접점이 장착된 전기 전도성 가동판과, 상기 가동판을 따라 위치하게 배치되어 소정 온도에서 반대 접시 형태들 사이에서 동작할 수 있는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와, 상기 가동판과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를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전기 전도성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프로텍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과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에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각각 있고, 제1 단부는 고정 부재에 의해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며, 상기 가동판의 제2 단부에는 윈도우가 형성되며,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윈도우 내에 삽입됨으로써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가 하나의 접시 형태로부터 반대 접시 형태로 스냅되는 경우에 가동판은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에 의해 편향되어 개방되는 것인 프로텍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의 제2 단부는 상기 윈도우 내에 느슨하게 수용되는 것인 프로텍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 상에 형성된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이 돌출부는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과 맞물리는 하나의 접시 형태로부터 반대 접시 형태로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가 스냅되는 경우에 지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인 프로텍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의 양측부 상에는 직립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프로텍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는 챔버 내로 헤더를 통해 돌출되고, 고정 접점은 가동 접점과 맞물릴 수 있는 표면이 있는 제1 부분과, 이 제1 부분보다 횡단면이 작은 제2 부분과, 이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제1 단자에 고정되는 것인 프로텍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제1 연결부와, 본체를 포함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본체보다 횡단면이 작은 퓨즈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단자에 고정되며, 제2 연결부는 상기 헤더에 고정되 고,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사이의 본체와 퓨즈 부분에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인 프로텍터.
  13. 제6항에 있어서, 가동판의 제1 단부와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고정 부재는 각각의 개구들을 관통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이 돌출부는 하우징의 내벽에 용접되는 것인 프로텍터.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는 바이메탈 디스크로 이루어지고, 이 바이메탈 디스크의 제2 단부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프로텍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바이메탈 디스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U자형 형태를 포함하는 것인 프로텍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의 제1 단부와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의 제1 단부는 함께 용접되고, 가동판의 횡단면적은 개구에 의해 감소됨으로써 현재의 열 발생이 열감응성 스냅 동작 부재로 전달되는 것인 프로텍터.
KR1020030071821A 2002-10-15 2003-10-15 밀폐형 전동 압축기에 유용한 모터 프로텍터 KR100983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99758A JP3828476B2 (ja) 2002-10-15 2002-10-15 無通電式密閉型モータプロテクタ
JPJP-P-2002-00299758 2002-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476A KR20040034476A (ko) 2004-04-28
KR100983296B1 true KR100983296B1 (ko) 2010-09-24

Family

ID=3204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821A KR100983296B1 (ko) 2002-10-15 2003-10-15 밀폐형 전동 압축기에 유용한 모터 프로텍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75403B2 (ko)
EP (1) EP1411536A1 (ko)
JP (1) JP3828476B2 (ko)
KR (1) KR100983296B1 (ko)
CN (1) CN128740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7934B2 (en) * 2003-09-12 2006-06-27 Denso Corporation Starter with overheat protection device
US7345568B2 (en) * 2005-05-03 2008-03-18 Tsung-Mou Yu Dual protection device for circuits
US7345569B2 (en) * 2005-05-03 2008-03-18 Tsung-Mou Yu Temperature sensitive protection device for circuits
US8591457B2 (en) * 2005-08-10 2013-11-26 Alza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a needle-free jet injection drug delivery device
JP4410201B2 (ja) * 2006-02-27 2010-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ータ
US7301434B1 (en) * 2006-05-12 2007-11-27 Sensata Technologies, Inc. Thermally responsive electrical switch
US7800477B1 (en) * 2007-03-20 2010-09-21 Thermtrol Corporation Thermal protector
JP2009032633A (ja) * 2007-07-30 2009-02-12 Shuzo Kushida 手動復帰型モータープロテクター.
KR101241629B1 (ko) * 2008-05-30 2013-03-11 가부시키가이샤 우부카타 세이사쿠쇼 열응동 개폐기
JP5274155B2 (ja) * 2008-08-25 2013-08-28 三洋電機株式会社 過電流保護装置
DE102008048554B3 (de) * 2008-09-16 2010-02-04 Hofsaess, Marcel P. Temperaturabhängiger Schalter
US7737816B1 (en) * 2008-11-25 2010-06-15 Tsung Mou Yu Dual protection device for circuit
US7808361B1 (en) * 2008-11-25 2010-10-05 Tsung Mou Yu Dual protection device for circuit
US7750788B2 (en) * 2008-12-09 2010-07-06 Tsung Mou Yu Dual protection device for circuit
US7791448B2 (en) * 2008-12-12 2010-09-07 Tsung Mou Yu Dual protection device for circuit
DE102009061050B4 (de) * 2009-06-05 2019-09-05 Marcel P. HOFSAESS Bimetallteil und damit ausgestattete temperaturabhängige Schalter
CN102097881B (zh) * 2009-12-11 2015-09-30 森萨塔科技(常州)有限公司 电机保护器
CN102097786B (zh) * 2009-12-11 2016-01-27 森萨塔科技(常州)有限公司 电机保护器
US9159985B2 (en) * 2011-05-27 2015-10-13 Ostuka Techno Corporation Circuit break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TW201318020A (zh) * 2011-10-28 2013-05-01 Thermokey Electric Ind Corp 溫度開關
DE102012103306B3 (de) * 2012-04-17 2013-04-25 Thermik Gerätebau GmbH Temperaturabhängiger Schalter mit Kontaktteil als Heizwiderstand
KR101779469B1 (ko) * 2013-01-21 2017-09-18 가부시키가이샤 우부카타 세이사쿠쇼 열 응동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가동 접점의 높이 조정장치
EP2988313B2 (en) * 2013-04-19 2023-03-29 Littelfuse Japan G.K. Protective device
WO2015063833A1 (ja) * 2013-10-28 2015-05-07 株式会社生方製作所 熱応動スイッチおよび成形用金型
WO2015129093A1 (ja) * 2014-02-25 2015-09-03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温度スイッチ
BR112016026826B1 (pt) * 2014-05-23 2021-12-21 Ubukata Industries Co., Ltd Interruptor reativo ao calor
WO2016063583A1 (ja) * 2014-10-20 2016-04-28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温度スイッチ
BR112017013061A2 (pt) * 2014-12-24 2018-01-02 Ubukata Industries Co., Ltd. comutador de resposta térmica
DE112015006113B4 (de) * 2015-02-04 2023-03-30 Uchiya Thermostat Co., Ltd. Überhitzungsschutz
CN105225893A (zh) * 2015-10-08 2016-01-06 常州市家虹包装有限公司 防松型保护器
JP6684078B2 (ja) * 2015-11-09 2020-04-22 ショット日本株式会社 保護素子
US20200028404A1 (en) * 2017-02-20 2020-01-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ic motor and electric motor manufacturing method
CN107611926B (zh) * 2017-09-15 2020-11-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过载保护装置、方法、存储介质、压缩机及电器
CN110120557B (zh) * 2018-02-05 2021-01-15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保护装置及电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2149A (en) * 1974-10-07 1975-08-26 Texas Instruments Inc Motor protector apparatus
US3959762A (en) * 1974-12-09 1976-05-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hermally responsive electrical switch
US4015229A (en) * 1975-01-10 1977-03-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hermally responsive switch
US4041432A (en) * 1975-09-16 1977-08-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tor protector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and thermostat material for use therein
US4167721A (en) * 1977-09-15 1979-09-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ermetic motor protector
US4231010A (en) 1978-11-30 1980-10-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hermostatic switch employing a stud member for calibration of the switch
US4376926A (en) 1979-06-27 1983-03-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tor protector calibratable by housing deformation having improved sealing and compactness
US4458231A (en) * 1981-12-14 1984-07-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rotector apparatus for dynamoelectric machines
US4476452A (en) * 1982-09-27 1984-10-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tor protector
US4646195A (en) * 1983-11-14 1987-02-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tor protector particularly suited for use with compressor motors
US4894634A (en) 1988-10-19 1990-01-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witch device
US4914414A (en) 1989-08-03 1990-04-03 Susumu Ubukata Thermally responsive switch
JP2519549B2 (ja) * 1989-12-26 1996-07-31 生方 眞哉 熱応動開閉器
JPH05282977A (ja) 1992-03-30 1993-10-29 Texas Instr Japan Ltd 過電流保護装置
JP2899550B2 (ja) * 1995-08-30 1999-06-02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ロテクタ
US5898555A (en) 1996-02-05 1999-04-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verload protector with overcurrent and over temperature protection
DE19909059C2 (de) 1999-03-02 2003-10-16 Marcel Hofsaes Schalter mit Verschweißsicherung
JP2000311574A (ja) * 1999-04-28 2000-11-07 Texas Instr Japan Ltd 電気装置
JP3756700B2 (ja) 1999-07-22 2006-03-15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ロテクタ
JP3787482B2 (ja) * 2000-04-17 2006-06-21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ロテクタ
JP4471479B2 (ja) 2000-10-13 2010-06-02 ウチヤ・サーモスタッ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ロテ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7402C (zh) 2006-11-29
JP3828476B2 (ja) 2006-10-04
JP2004134307A (ja) 2004-04-30
CN1497636A (zh) 2004-05-19
US20040100351A1 (en) 2004-05-27
US7075403B2 (en) 2006-07-11
EP1411536A1 (en) 2004-04-21
KR20040034476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296B1 (ko) 밀폐형 전동 압축기에 유용한 모터 프로텍터
JP6251037B2 (ja)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並びに2次電池パック
CA2208910C (en) Thermal protector for electric motors
US6756876B2 (en) Circuit interrupter and method
US8547196B2 (en) Thermally responsive switch
JP2005129471A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
KR20050021306A (ko) 모터 시동 릴레이 및 이것을 이용한 전기 컴프레서
US6674620B2 (en) Hermetic single phase motor protector
JP5294092B2 (ja) 三相電動機の保護装置
US6127913A (en) Thermal protector
KR101308793B1 (ko) 열감응 전기 스위치
JP4252739B2 (ja) 電磁継電器
JP5941289B2 (ja) ブレーカー
JP3257680B2 (ja) 熱応動スイッチ及びその製作方法
JP3853779B2 (ja) 密閉型電動圧縮機用インターナルプロテクタ
JP3849387B2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
JP7425710B2 (ja)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2次電池パック
JPH0547278A (ja) 熱応動スイツチ
WO2023120197A1 (ja) ブレーカー、安全回路及び2次電池パック
WO2022059067A1 (ja) モータプロテクタ
CN220914141U (zh) 温度断路器、电池及电装置
JP3992320B2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
JP2019009136A (ja) 熱応動開閉器
JPH07161271A (ja) サ−キットブレ−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44580A (ja) 熱応動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0